Anzeige

서비스디자인 스타벅스조사

BELT on the TEE
28. Jun 2013
Anzeige

Más contenido relacionado

Destacado(17)

Anzeige

서비스디자인 스타벅스조사

  1. Service Design for Starbucks Coffee Starbucks Coffee_무관심을 파는 카페 1270448 교류학생 박예은
  2. Service Design for Starbucks Coffee About us ㈜스타벅스커피 코리아는 2000년 12월 ㈜신세계와 스타벅스 커피 인터내셔널의 공동투자 로 설립된 합작 법인으로 스타벅스는 국내에 새로운 커피 문화를 소개하고 전달하는 것을 자사의 비전으로 하며, 국내 협력업체와의 공생적 관계 유지, 글로벌 인재 양성, 평등 고용, 환경보호 운동, 지역사회 참여 등 국내 경제 및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3. Service Design for Starbucks Coffee Motive 2000년대에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점이 2000개가 넘어가고 커피에 대한 관심도 급격히 높아졌으며 시장 경쟁이 치열하다. 이러한 경쟁 들 속에서 스타벅스는 현재 50여 개국 17000여 매장에서 매일 수 백만 명의 고객이 즐겨 찾는 커피브랜드로 성장했다. 바쁜 일상 속 개인주의가 심화되어 혼자 식사를 하거나 카페에 있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 따라 커피 문화는 변화하고 있다. 커피를 즐겨 마시는 한 사람으로써 커피 브랜드 1위를 하는 스타벅 스 서비스디자인의 리서치를 통해 완벽 할 것만 같은 스타벅스의 문 제점과 과정을 포함한 방법론적 리서치를 실행 해 보았다. Starbucks Coffee
  4. 20대_( 혼자 카페를 즐기는 사람들 ) Service Design for Starbucks Coffee Target 요즘은 자신의 개성에 어울리는 감성적인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로 스타벅스의 타겟층은 20~30대이며 특히, 여성을 주요 대상으로 잡아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5. Service Design for Starbucks Coffee Reserch Location : 숙명여자대학교 거리 Starbucks Coffee Fluidity : 대학생 또는 직장인이 유동성 高 Preference : 대학생보다는 직장인이 과반수
  6. Service Design for Starbucks Coffee Experience_(사용자 경험) 이름 : 박미화 성별 : 여 나이 : 22 직업 : 대학생 Q. 스타벅스 카페를 자주 이용하시는지? A. 조용하고 혼자 오기 좋아 자주 이용하는 편이다. Q. 스타벅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A. 일단 브랜드자체가 프렌차이즈 중 고급스러운 이미지라 선호하는 브랜드인 것 같다. 컵도 디자인이 예쁘고 맛도 제일 좋아하는 아메리카노에 시럽을 추가해 먹으면 맛있다. 스타벅스는 다른 카페에 비해 조용한고 클래식한 노래가 나와서 제일 좋은 것 같다. 여기는 혼자 오는 사람이 많아 혼자와도 머슥하지 않아서 자주 오는 편이다. 하지만, 사람들이 자리를 두 개씩 차지 하고 있어서 테이크아웃을 한 적이 있다.
  7. Service Design for Starbucks Coffee Research Processes_(사용자 관점) 의자는 푹신하나 의자 높이 보다 책상이 낮아 노트북이나 책을 보기 불편하다. 진동 알림벨이 없어 5분 동안 기다려야 한다. 음료를 기다리는 동안 협소한 공간으로 줄이 모호하다. 한 벽면에 코드가 하나 밖에 없어서 노트북 사용을 못했다.
  8. Service Design for Starbucks Coffee Research Processes_(사용자 관점) Problem 위 사진과 같이 자리는 많이 비어있지만 90%가 혼자서 두 자리를 차지해, 공간을 효율적인 활용을 못하며 카페에 온 사람들은 띄엄띄엄 앉는다. 심지어는 제 돈을 주고 카페를 즐기러 온 사람들은 자리가 없어 앉지 못하고 나가는 경우도 목격했다.
  9. Service Design for Starbucks Coffee
  10. Service Design for Starbucks Coffee 스타벅스 커피의 주요 고객들은 혼자서 오는 손님이 많은 편이였다. 사람들 대부분 약 2시간 이상 장시간 동안 머물러 있다. 공부를 하거나 책을 보거나 핸드폰을 만 지는 사람이 대부분 이다. 친구들끼리 웃고 떠들 기에는 스타벅스보다 카페베네, 할리스커피 와 같은 브랜드와 더 적합하다.
  11. Service Design for Starbucks Coffee
  12. Service Design for Starbucks Coffee 서비스 전 단계 서비스 단계 서비스 후 단계 · 카페 선택의 고민 · 핸드폰을 통한 검색 · 메뉴판 제시 · 판매자의설명 · 브로슈어 제공 · 잡지 제공 서비스 · 사람들의 대화 공간 · 맛있는 커피 · 세련된 인테리어 · 의자, 테이블, 방석 제공 · 무료 와이파이 · 집
  13. Service Design for Starbucks Coffee 서비스 만족도
  14. “나는 혼자이고 싶다” 무관심을 파는 카페
  15. Service Design for Starbucks Coffee 공간의 부족
  16. Service Design for Starbucks Coffee 기존 스타벅스 구조 매장 내 혼자서 카페를 즐기는 사람들을 위해 전체를 바꾸는 것이 아닌 혼자 앉을 수 있는 좌석을 늘리는 것이 공간 활용에 효율적이다. 기존의 스타벅스는 혼자 앉을 수 있는 공간이 작다.
  17. Service Design for Starbucks Coffee 서울여자대학교의 독서실 내부 모습 강남에 있는 스터디 카페 학교 앞이라는 성질을 이용해 스터디가 가능한 독립적인 자리와 커피를 함께 마실 수 있는 일거양득 카페를 제시
  18. Service Design for Starbucks Coffee 2층에는 2명 이상씩 자리 잡는 공간으로 위 아래로 따로 배치 1층은 혼자 온 사람만을 위한 독립적 공간을 만들며 개인좌석 배치
  19. Service Design for Starbucks Coffee 효율적 공간 활용_ 프렌차이즈 카페는 대부분 자리세까지 포함 된 가격이므로 제 돈을 주고 서비스를 사용 할 권리가 있다. SINGLE SEAT _ 혼자 오는 사람들 또는 2인 이상 고객을 위해 기존에 있는 싱글 좌석을 확대한다. 층 분리형 카페 분리형 카페로 1층 2층을 나눠 자리의 효율성을 높인다.
Anzei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