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ist ein Scribd-Unternehmen logo
1 von 110
Downloaden Sie, um offline zu lesen
1
2
3
"정말 우리가 이렇게 모여서 얘기한 것들이 실제로 만들어 진다고요?"
"그럼요!"
"너무 좋아요. 지금까지는 그냥 모여서 얘기하는 것으로 끝나서 이번에도 그럴 줄 알았어요."
- 심화 리빙랩 1회차 中
4
도시에는 왜 플랫폼이 필요한가?
4차 산업혁명, 초 연결 시대
도시가 부가가치 창출의 주체
이제 우리는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자원과 연결되어 창의적인 협력이 가능한 세상을 살아가게 되었습니다. 또한 4차
산업 혁명과 함께 부가가치 창출의 주체가 기업에서 도시로 옮겨가고 있으며, 주민자치 시대가 본격화되고 있습니
다. 이제 우리 도시(마을)는 이러한 프레임의 변화에 적합한 연결 및⸳ 협력 그리고 이를 위한 소통 도구가 필요합니
다.
왜 플랫폼인가?
기차 플랫폼은 각지에서 온 사람들과 각지로 떠나려는 사람들이 타고 내리는 장소입니다. 도시(마을) 플랫폼은 구성
주체의 데이터가 도시로 모이고 도시의 데이터가 구성 주체로 퍼져나가는 (도시)데이터 자본의 축적 인프라입니다.
딜로이트(Deloitte)는 4가지 기업유형 중 네트워크 조정자(플랫폼 기업)가 가장 효율적으로 가치를 창출한다는 연
구 보고서를 냈습니다.
정보의 교차가 일어나는 플랫폼은 가치의 생산과 소비를 만들어 내며 새로운 도시 비즈니스 창출의 기반이 되고, 구
성원이 주체가 되어 매 순간 생동하며 발전해 가는 근간이 될 것입니다. 또한 구성원 간 상호협력과 발전의 경험은
제 3의 자본인 ‘신뢰’라는 사회적 자본으로 축적되어, 도시 경쟁력을 강화시킬 것입니다.
이에 본 기획 리빙랩은 마을(도시)단위 사회⋅ 경제 협력 도구(tool)로서 ‘마을플랫폼’을 주제로 선정하였습니다.
인하대학교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김 정 은
5
마을 협력 디지털 인프라,
주미니 프로젝트의 기획 Living Lab
마을 플랫폼(App) 기획, ‘주미니’ 프로젝트는 기업에서 도시로 가치창출의 중심이 변화하고, 주민자치가 시작되
는 시점에 1) 필요한 마을 협력 디지털 인프라를 기획, 설계하고 2) 궁극적으로는 마을의 순환경제비즈니스모
델(CEBM, Circular Economy Business Model)을 구축하기 위해, 인천시와 미추홀구의 지원을 받은 4개월
(2020년 8월~11월) 프로젝트입니다.
본 프로젝트에서 Inha Living Lab Networks의 역할은 1) Living Lab 의 공통 프레임 워크 및 구현 계획을 개발,
2) 미래 마을 및 마을 플랫폼에 대한 큰 틀 제시, 3) Living Lab 활동에 대한 최종 사용자 및 이해 관계자의 참여를
조정하는 것입니다.
본 프로젝트는 방법론적 접근 방식에 대한 문헌연구 결과와 사례를 바탕으로 도출한 ‘Design thinking + 4P_
SCLLM’을 기초로 진행했습니다.
Inha Living Lab Networks의 Living Lab 접근 방식
지식은 연구진이 지혜는 주민이
수평적 참여형 혁신_마을연구원제도
인하대 Living Lab Networks의 역할은 교육, R&D 및 지역 개발을 통합하는 것입니다. 인하대 Living Lab
Networks는 혁신 이니셔티브 네트워크와 문화를 개발하고 플랫폼, 방법론 및 증거 기반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지
역, 국가 및 국제 수준에서 중개자로 자리 매김하고자 합니다.
* 주미니 뜻
1. 주민 자치 시대 주민에 의한, 주민을 위한, 주민의 플랫폼
2. 주머니의 방언으로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우리 마을
6
목차
1
Intro
우리가 만들 리빙랩
도시에는 왜 플랫폼이 필요한가? 2
6
9
9
10
12
13
리빙랩의 특성
진행방식
기획의도
커리큘럼
우리가 만들 리빙랩에 필요한 것은?
7
18
16
14
20
38
51
60
58
66
88
3
문헌 연구
발표 자료
활동 사진
부록
2
오리엔테이션
리빙랩 진행일지 타임라인
기초 리빙랩
1) 마을을 배우다 : 금융경제 교수가 스마트 시티를 하는 이유
3) 마을을 그리다 : 마을 르네상스 시대
5) 마을을 그리다 : 우리가 살게 될 스마트 시티에 대한 이해
2) 마을을 배우다 :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마을은
4) 마을을 그리다 : 산업혁명시대 마을 민주주의와 자치
6) 마을을 그리다 : 마을 플랫폼 설계 시작
리빙랩 진행일지
시범모델 등 결과보고
심화 리빙랩
1) 마을을 만들다 :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1
3) 마을을 만들다 : 마을 플랫폼 비쥬얼리제이션
2) 마을을 만들다 :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2
4) 마을을 만들다 : 마을 플랫폼 프로토타입을 위한 디자인
마을을 배우다
마을을 그리다
마을을 만들다
8
리빙랩 주제
주민ㆍ연구진ㆍ지자체ㆍ개발자가
수평적 참여형 혁신으로 함께 만드는
주민중심 마을 협력 도구
'마을 플랫폼'
9
1
우리가 만들 리빙랩
10
인하대 디지털혁신전략센터의 리빙랩
"지식은 연구진이, 지혜는 주민이!"
LIVING LABS 리빙랩
삶의 현장 실험실
REAL-LIFE CONTEXT
Target group
& behavioural
definers
Users
Practical
know-how
& resources
Expertise
& scientific
substantiantion
Long term
perspective
& regulatory role
Public actors
Private actors
Knowledge
institutes
지자체
연구진
마을 연구원
(주민)
개발자
Living 랩은 마을(도시)이 부가가치 창출의 중심이 되는 4차 산업혁명, 주민자치 시대에 우리가 사는 곳을 더 좋은
곳으로 만들어 나가는주민 주도 수평적 참여형 혁신 방법론입니다. 리빙랩은 일상의 문제해결에 있어 공동체 영역
을 한데 묶어 연구와 실행을 연결하는 개방형 혁신 플랫폼으로 주민자치, 스마트 시티 구축의 중요한 접근법으로 떠
오르고 있습니다.
동네 골목 쓰레기 문제와 주차난, 대기오염과 미세먼지 피해 등 우리 사회가 풀어가야 할 모든 문제가 리빙랩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가 사는 주택과 골목, 아파트 단지, 재래시장, 학교 교실, 회사 생산 현장, 온라인 커뮤니티
등 모든 삶의 현장이 실험실이 될 수 있습니다.
<Amsterdam Institute for Advanced Metropolitan Solutions 의 리빙랩 구성원> <인하대 Living Lab Networks 의 구성원>
11
리빙랩의 특성
기획의도
리빙랩은 아이디어 수립부터 사업화 단계 간의 간극을 줄이고 혁신 활동의 생산성 및 효과를 제고합니다. 리빙랩은
최고의 대답이 아닌 더 나은 해답을, 단순한 데이터 계산이 아니라 복잡한 인간의 경험을 반영합니다. 따라서 리빙랩
활동에서는 참여하는 사용자들의 특성 파악 및 사회 영향 평가가 중요합니다.
리빙랩은 우리가 사는 곳을 더 좋은 곳으로 만들어나가는 ‘수평적 참여형’ 혁신 방법론입니다. 1차적으로
는 마을(도시)을 4차 산업혁명 시대 부가가치 창출의 중심으로 변화시킵니다. 비즈니스 모델 차원에서도 실행단계
간의 간극을 줄이고 혁신 활동의 생산성 및 효과를 제고할 수 있습니다.
마을 플랫폼(App) 기획, ‘주미니’ 프로젝트는 인천시와 미추홀구의 지원을 받아 인하대 디지털혁신전략센터 팀이
4개월간(2020년 8월~11월) 진행한 프로젝트입니다. 기업에서 도시로 가치 창출의 중심이 변화하고, 주민자치시
대가 시작되는 시점에 필요한 마을 협력 디지털 인프라를 기획, 설계하고 궁극적으로는 마을의 순환 경제 비즈니스
모델(CEBM, Circular Economy Business Model)을 구축하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본 기획을 진행한 인하대 디지털혁신전략센터는 개방형 혁신 생태계에 대한 유럽형 리빙랩의 정의를 기반으로
합니다. 인하대 팀은 마을 협력 플랫폼(App) 개발에 큰 틀을 제시해 이해 관계자의 참여를 조정하고자 노력했습니
다. 또한 본 연구진은 국내외 14개 리빙랩 모델과 방법론 연구를 검토했습니다. 본 기획에는 '디자인 씽킹' 방법론과
4P-SCLLM(4P Smart City Living Lab Model) 모델을 접목해 진행했습니다. (부록 60~65p)
1.주미니’란 본 기획을 바탕으로 설계될 마을 플랫폼의 이름(가칭)이다. 크게는 주민자치 시대에 '주민에 의한, 주민을 위한, 주
민'의 플랫폼이라는 뜻과 2.주머니의 방언으로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우리 마을' 플랫폼이란 뜻을 통칭한다.
중앙화 국가중심 제품(신기술)
분권화 도시(마을)중심 서비스(기술융합)
1~3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
ⓒ 김정은. 2020
12
1
위코노미는 We + Economy의 합성어로 경제, 환경, 사회복지가 연결되어 있어 비즈니스를 성공하려면 사회적 대의를 추구
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리빙랩은 아이디어 발현→의제설정→실제활동→피드백(확산)의 반복으로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에
본 기획에서는 (플랫폼을 완성한 후 논의하지 않고) 마을에 필요한 기능을 미추홀구 주민들로부터 먼저 도출한 후
이를 구체화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수평적 참여형 Living Lab으로서의 실질적 마을 협력 솔루
션을
기획했습니다.
본 연구진은 리빙랩 운영 핵심 원칙, 필수 조건 그리고 핵심 활동 요소들이 모두 Living(마을) 플랫폼에 중요한 요소
임을 확인했습니다. 이에 '마을자원-공간-사람-기관'의 연결을 본 연구의 주요 테마로 설정했습니다. 또한 리빙랩
원칙과 필수 조건의 궁극적 목표를 각각 가치와 실용화(사업화)로 보고 이 두 가지를 담은 '나를 위한 것이 곧 우리를
위한 것'이라는 위코노미1
지향을 목표했습니다.
한편 국내·외 리빙랩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국외의 경우 공공(Public), 민간(Private), 시민(People) 등이
ICT 기술을 바탕으로 지역·도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반면 국내는 공공(Public), 시민 (People)주도로 진행되
고 있으며,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사례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본 기획 리빙랩은 [기본 리빙랩]과 [심
화 리빙랩]으로 구분하고 기본 리빙랩에는 대표 개발자가, 심화 리빙랩에는 분임 별 개발자가 각 1명씩 참석함으로
서 공공, 시민, 기업이 함께 진행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미래 마을 협력 도구의 설계를 위해선 먼저 4차 산업혁명과 우리가 사는 세상, 그 속에서의 모습에 대한
이해와 논의의 장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이런 필요성을 전달하기에 강연 형식은 일방적이라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에 생소한 개념에 대한 쉽고 편안한 접근을 돕고자 인문학 콘서트 형식을 형태로 본 기획을 진행했습니다.
진행 방식
13
인문학 콘서트
본 기획 리빙랩은 인문학 콘서트 형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우리가 사는 지역 사회의 문제를 함께 인식하고 의견을
취합하는 수평적 참여 형태를 지향했습니다.
전문적인 내용들도 친근한 설명으로 들으니
이해가 잘 됐습니다.
듣기에 그치지 않고 참여자(마을 연구원)들도
함께 의견을 나누기 편했습니다.
살기 좋은 마을을 만드는 데 필요한 지식, 실무자,
연구자 등을 함께 만나다 보니 정말 인문학에
가까워진 기분이었어요.
강의에 대해 궁금한 점을 바로 질문하면서
생각을 확장해 갈 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14
과정 회차 주제 강 연 자
기초
1 금융경제 교수가 스마트 시티를 하는 이유 김정은 (인하대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2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마을은 김정은
3 마을 르네상스 시대 유문종 (전 수원 마을 르네상스 센터장)
4 산업혁명 시대 마을 민주주의와 자치 이지헌 (주 ABC 부사장)
5 우리가 살게 될 스마트 시티에 대한 이해 김정은
6 마을 플랫폼 설계 시작 김정은
심화
1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1
김정은
공동진행 : 권석빈(주 시그나 한국대표)
2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2
3 마을 플랫폼 비쥬얼리제이션
4 마을 플랫폼 프로토타입을 위한 디자인
커리큘럼
* 위 프로그램은 제출한 본래 기획내용을 바탕으로 기재했으며, 주민 참여율에 따라 유동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수업에 변동 발생한 경우에는 회차별 페이지에 별도 기재했습니다.
진행기간 : 2020.08~2020.11(4개월간)
시간: 회차당 90분 내외(토론 포함)
장소 : 인하대학교 강의실
참가자 : 강연자, 마을 연구원, 개발자 등
연구책임자 : 김정은
15
과제 과제 과제
우리가 만들 리빙랩에 필요한 것은?
첫째, 지향하는 목적과 가치에 맞게 기존의 리빙랩 프로세스 커스터 마이징(적용)
둘째, 참여자 간 유기적인 의사소통실현을 위한 네트워크 설계 구현
셋째, 지속적으로 운영 가능한 한국형 리빙랩 모델
넷째, 정부, 공공기관, 기업, 대학, 시민 간 편리한 소통 체계
다섯째,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소통의 장(온·오프라인 플랫폼)
우리의 마을을 함께 만들고자 하는
고귀한 여러분의 의도와 행동을 이룰 수 있게,
4차 산업 혁명과 미래라는 생소하고 어려워 보이는 주제이지만
이번 리빙랩에서 우리 함께 그 모험을 시작해보자!
As-Is To-Be
우리가
살고 있는 마을
우리가
살고 싶은 마을
한 걸음 한 걸음 우리가 원하는 마을에 도착하기 위해
하나씩 해결할 문제들을 잘 도출하기 위해
이 과정이 잘 이뤄질 수 있는 마을 플랫폼(App)을 설계하자!
=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
To-Be와 As-Is의 차이점
- 최민주 외 (2020)
ⓒ 김정은. 2020
16
'마을 플랫폼' 설계의 시작을
우리가 살고 싶은 '마을'을
정의하고 공감하는 것부터
시작해 보자.
각자 살고 싶은 '마을'의 이미지, 역할
그리고 그 말이 담고 있는 뜻을 자유롭게
표현한 후 그것을 모아 우리가
만들 '마을'을 도출해보자.
17
2
리빙랩 진행일지
18
마을 플랫폼 기본 기능 도출
실제 마을 협력 사업 설계 과제 수행을 통해
마을 플랫폼 기본 기능 도출
프로토 타입 리뷰1
앱 기획(와이어프레임)
프로토 타입 리뷰2
앱디자인과 사용자 경험
마을 플랫폼 심화 기능 도출
도출된 마을 플랫폼 기본 기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
리빙랩 진행일지 타임라인
1회차
2020.07.27
2회차
2020.08.03
3회차
2020.08.10
4회차
2020.08.17
1회차
2020.10.06
2회차
2020.10.12
3회차
2020.11.11
4회차
2020.11.23
협력의 필요성
우리는 왜 협력 도구가 필요한가!
협력의 단위, 마을
주민 자치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기능은?
기초 리빙랩
새로운 협력 인프라와 방식
4차 산업혁명(Digital transformation 시대),
스마트 시티(마을) 기반 인프라는 무엇인가?
새로운 협력의 도구,
Block Chain
(Trust machine)
협력 도구 어떤 기술로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심화 리빙랩
19
※ 타임라인은 리빙랩의 흐름을 나타내기 위해 계획안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코로나 이후 발생한 변동사항에 관해서는 해당 강의차에 부연하였습니다.
5회차
2020.09.14
6-1회차
2020.09.21
6-2회차
2020.09.23
To Be
미래의 우리 마을 플랫폼은? (1)
As Is
현재의 마을 플랫폼은?
To Be
미래의 우리 마을 플랫폼은? (2)
20
오리엔테이션
2020.06.26
기획 시작 전 대표 마을 연구원분들을 모셨습니다. 진행 계획
과 회차별 주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마을 연구원들이 바
라는 부분에 대해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마을에서 어
떤 역할과 활동을 했는지 자신을 소개하고, 리빙랩 참여 동기,
기대 역할, 목표를 공유하며 개인의 니즈와 프로젝트의 목표
연계성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2020.07.24
'마을 연구원’ 위촉식을 진행했습니다. 해당 명칭은 '주민 연구원'과
'마을 연구원' 중 투표로 결정되었습니다. ‘연구원’이라는 호칭과 위
촉식을 통해 단순 참여자가 아닌 연구진이라는 인식을 심어 수평적
역할과 책임감을 형성했습니다.
수평적 참여형 혁신!
'마을 연구원'
리빙랩 OT
'마을 연구원' 위촉식
* 인하대학교는 국내 최초로 수평적 참여형 혁신의 리빙랩을 구현하고자 주민을 마을 연구원으로 위촉함 (2020.07.24)
21
본 리빙랩이 추구하는 방향
ㆍ수평적 참여
 (주민을 마을 연구원으로 위촉-위촉식 진행, 명함 제작)
ㆍ동기 부여
 (인문학 콘서트)
ㆍ공동목표와 가치 수립
 (우리가 살고 싶은 '마을', '필요 활동', 이를 위한 '플랫폼 기능' 함께 정의)
ㆍ친근한 공식화
 (단톡방 운영, 리빙랩 회차별 다과를 함께)
ㆍ모든 이해관계자의 관심사 포함
 (상업적 측면 & 내부 열정)
ㆍ동등한 관계
 (마을 연구원)
ㆍ믿음·신뢰 관계 구축
 (리빙랩 전후 격식 없는 대화, 카톡으로 실시간 의견 공유)
ㆍ낮은 임계값
 (고등학생 자녀, 잠시 귀국한 친척 등도 참여)
ㆍ마지막 리빙랩은 송년 파티로!
 (공동체감 형성)
22
23
마을을
배우다
기초 리빙랩
금융경제 교수가 스마트 시티를 하는 이유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마을은
마을 르네상스 시대
22
24
26
24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Basic 1
김정은
인하대학교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Topic : 마을을 배우다 - 금융경제 교수가 스마트 시티를 하는 이유
“4차 산업혁명 시대, 기업이 아닌 도시가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아날로그 마을과 디지털 마을 2개가 필요하다”
“디지털 마을의 Capital은 DATA”
ㆍ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주체가 기업에서 도시로
 변모해 나갈 것으로 예상됨
ㆍ미래 도시는 경제활동의 동력원이 데이터이며, 향후 각 마을 경쟁력은 마을 생태계
 데이터의 활용도에 달려 있음
ㆍ아날로그 사회와 별개로 이상적인 디지털 마을을 만들고 상상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
 이 중요해짐
ㆍ누구나 쉽게 참여하고 상상하고 소통할 수 있는 장소(플랫폼)가 필요함
ㆍ우리의 리빙 플랫폼 경쟁력은 마을 data 생태계를 어떻게 구축하고 활용할 것인가에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마을 구성원 모두가 디지털 마을 플랫폼에서 living할 수 있
 어야 함
강의 요약
※ 인문학 콘서트 1회차 발표자료는 부록 66, 67p
25
Question
마을 연구원 의견
As-Is To-Be 분석을 통한 과제 도출
우리 마을 데이터는 어떤 것이 있을까?
어떻게 모을까?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ㆍ우리 마을 데이터는 우리 마을에 있는 모든 것 : 마을 토론, 공공·민간 시설, 상가, 인구
 구성, 마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형태의 교환과 주민들의 역량, 경험, 보유 물품, 생각 등
ㆍ미추홀 APP(플랫폼)을 만들 때 지역별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과 활용이 되
 면 좋겠다.
ㆍ파악된 마을별 개성과 특색을 플랫폼에 잘 반영해 내가 사는 마을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면 좋겠다.
ㆍ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지만 동시에 타지역과는 차별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
1. 자연스럽게 마을의 유·무형 데이터를 모을 수 있는 카테고리 설계 필요
2. 많은 공감과 적극적 협력이 필요한 사안 도출 및 솔루션 설계 기능 필요
3. 동네, 구, 시로 영역 선택 설계
26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Basic 2 Topic : 마을을 배우다 -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마을은?
"4차 산업혁명이라 쓰고 초연결 시대라고 읽는다"
"중개 기관 중심(중앙화)의 협력 방식에서 P2P(분권화) 협력 방식으로"
"시대에 적합한 협력 도구(시스템)가 경쟁력 창출의 핵심"
ㆍ마을/국가 간 양극화 격차를 줄이고 기술발전의 혜택을 누구나 누릴 수 있도록 돕는
 상상력 기반의 ‘기술 르네상스 시대’가 도래함
ㆍ초연결을 통한 P2P(분권화)가 발전하면서 경쟁에 적합한 협력방식 설계 및 도구
 (시스템) 선정이 중요해짐
ㆍ4차 산업혁명이 조직과 시장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경제적 가치의 생산과 거래의 조직화에서 이전에 불가능했던 일들을 만들기 때문임
ㆍ모바일, 사물통신, 클라우드 등 신기술을 활용하며 발전하는 순환 경제 시대가 탄생
 함. 특히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서로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 제작 가능함
강의 요약
김정은
인하대학교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 인문학 콘서트 2회차 발표자료는 부록 68, 76p
27
Question
마을 연구원 의견
As-Is To-Be 분석을 통한 과제 도출
크라우드 소싱이란?
블록체인이란 무엇인가요?
디지털 마을에서 우리의 협력 형태는?
 →P2P , 경제 모델은 순환 경제
ㆍ마을의 유·무형 자원과 마을의 필요를 연결할 내부 협력 네트워크나 시스템이 부족하다.
ㆍ필요 사항을 입력하면 해당 능력자 및 자원과 연결되는 기능이 있으면 좋겠다.
ㆍ문제 파악 및 진행 상황 확인이 쉬웠으면 좋겠다.
ㆍ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식빵을 쓸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
1. 주민간(P2P) 마을 자원 공유 및 거래 기능 설계
2. 마을 협력이 필요한 문제 정의 및 진행 상황 확인 기능 설계
3.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식빵 설계 필요
28
-> 지역경제 선순환 시너지 창출 가능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Basic 3
유문종
전 수원 마을 르네상스 센터장
Topic : 마을을 그리다 - 4차 산업혁명시대 마을 민주주의와 자치
"이제는 주민자치, 마을의 시대"
"우리 마을에 어떤 복지가 필요할까?"
"플랫폼 위에서 시너지를 융합하라"
ㆍ각 지역/마을이 마주한 문제는 매우 다양하여 국가 단위 기준으로 파악하고 해결하
 는데 어려움이 있음
ㆍ해결지역별 주민자치를 통해 해당 지역을 가장 잘 아는 마을 주민들이 복지 사각지대나
 예산 중복 낭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ㆍ평상시 주민 의견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동시에 행정과 지역 주민 간 가교가 되어
 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함
강의 요약
※ 인문학 콘서트 3의 자료는 48p와 연결
29
Question
마을 연구원 의견
As-Is To-Be 분석을 통한 과제 도출
우리는 왜 협력해야 하는가?
초연결 시대에는 어떤 협력 단위가 적절한가?
주민자치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기능은?
ㆍ지역 주민이 민원을 전달하면 실제로 반영되기까지 해당 행정처리 과정을 민원인이 직접
 확인하기가 복잡하고 어렵다.
ㆍ예산 편성 시기와 사업 제안 시기가 맞물리지 않거나 관할 주체가 중복되는 경우 예산
 이 중복되거나 실현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
ㆍ주민자치, 주민총회뿐만 아니라 관련 사업부서 등 연계 유관이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표준형’ 마을 플랫폼이 필요하다.
ㆍ마을 플랫폼(App)에 주민자치, 주민총회 그리고 연계 행정 기관 및 정보가 연결될 수
 있게 설계되어야 한다.
1. 주민과 유관기관이 모두 쉽게 사용 가능한 표준화 DB 플랫폼 구축
2. 의견 제시 글 작성 시 제출 단계에서 전달사업부서 지정 -> 연계 기능 필요
3. 본인(자신)의 현재 민원 처리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카테고리 설계(My주미니현황 등)
30
31
마을을
그리다
기초 리빙랩
30
32
34
산업혁명 시대 마을 민주주의와 자치
우리가 살게 될 스마트 시티에 대한 이해
마을 플랫폼 설계 시작
32
Basic 4
이지헌
(주) 에이비씨 부사장
Topic : 마을을 그리다 - 4차 산업혁명시대 마을 민주주의와 자치
“상상을 현실로 만들어 줄 새로운 도구가 필요하다”
“미래 세대, 마을 활동을 통해 공감 능력 키울 수 있다”
“최적의 연구자는 바로 마을 연구원”
ㆍ깃허브, 컨플루언스 등의 문서 기반 협업 도구가 등장하면서 참여자들이 제출한 아이
 디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보관할 수 있게 됨
ㆍ다양한 아이디어(방식)를 수렴하기 위한 거버넌스 툴을 활용해 시스템 운영의 대상과
 책임을 명확히 할 수 있음
ㆍ프로그래밍에 집중한 에자일(Agile) 개발 방식1
을 바탕으로 주체 간 상호작용 및 협업
 (Co-work)을 원활하게 도울 수 있음
ㆍ마을 플랫폼 중 '마을'의 뜻과 역할을 합의 형성하고 진행하기 위해 위의 기능들을 적용
 가능함
강의 요약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 참고 : 코로나 1.5단계 시행일로 철저한 사전 방역 및 테이블별 개인 위생용품(비닐장갑, 손 소독제 등) 배치 후 진행함
* 코로나 1.5 단계 및 에어컨 고장으로 인문학 콘서트 후 책임연구원이 지난 시간 브레인 스토밍 결과물 요약 브리핑 후 별도 팀
별 토론을 진행하지 않고 마침
* 에자일 개발 방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책 후반부 발표 자료 4회차 부분(p.73)에 수록되어 있다.
※ 인문학 콘서트 4회차 발표자료는 부록 77~80p
33
Question
마을 연구원 의견
우리가 원하는 ‘마을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를 구체화하고,
이것을 하기 위해 우리의 마을 APP은 어떤 기능들이 들어가야
할 것인가?
ㆍ우리가 원하는 마을, 해결해야할 주제, 그리고 마을 플랫폼에서 축적·파생되는 데이터
 를 잘 모으고 활용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됐다.
ㆍ카카오톡, 파일 공유, 일정조율 등의 기존에 익숙한 도구들의 활용이 가능할 시 접근하
 기 편리할 것 같다.
ㆍ합의된 마을의 이미지와 역할을 실현하기 위해 고민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을 플랫폼
 에 추가할 수 있으면 좋겠다.
As-Is To-Be 분석을 통한 과제 도출
1. 실현 가능한 목표들을 구체화할 수 있는 기능 개설
2. 마중물 프로젝트 등 주민들이 제안한 좋은 아이디어를 실제로 사업화할 수 있는 방안
 모색
34
Basic 5 Topic : 마을을 그리다 - 우리가 살게 될 스마트 시티에 대한 이해
“스마트 시티와 U-City”
“도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노력이 곧 리빙랩 활동”
ㆍ4차 산업 시대 이후 만들어지는 도시를 Smart City라고 정의함
 앞으로의 도시를 이해하기 위해 이전 시대의 U-city 보다 플랫폼 경쟁력이 중요해짐
 이를 전제로 현재 그리고 앞으로 우리가 살게 될 마을을 보다 구체화해야 함
ㆍ데이터센터가 디지털 시대 핵심으로 부각되면서 IT 기업 간 각축전 치열
 스마트 도시와 미래 기술은 우리 마을의 다양한 공간, 자신의 재능, 시간과 그 외 다양한
 자원과 많은 것들을 나눌 수 있음
 또한 이를 통해 도시 자원이 더욱더 효율적으로 분배될 수 있음
ㆍ도시 자원을 효율적으로 연결하고 활용하기 위해 팀별로 기획한 사업안들을 구체화
 하는 연습이 리빙랩 과정이기도 함
 내가 살고 있는 마을의 본질은 무엇인지, 현재에서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실질적인 목표 설정이 필요함
ㆍ우리가 만들 스마트 도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합의 형성 기법
 (도입하기-브레인스토밍-분류하기-이름짓기-마무리하기)을 이용한 팀별 주제 구체화
 방식을 설명함
강의 요약
* 기초 리빙랩 5회차는 현재의 마을 플랫폼(As-Is) 벤치마킹 결과 분석이 주제였으나, 코로나 2.5단계로 당초 스케쥴보다 2주
연기 후 On-line으로 진행됨
* 당초 주제인 ‘현재 마을 플랫폼 벤치마킹 결과 분석’은 심화 1회차에 진행됨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김정은
인하대학교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35
Question
마을 연구원 의견
기존 U시티와 스마트 시티는 어떻게 다를까?
교환할 것은 어떤 것이 있을까? 교환의 기록 및 증표는 무엇이 있을까?	
살기 좋은 우리마을(사업)을 만들려면 어떤 데이터를
활용해야 할까?
ㆍ코로나 2.5 단계로 인해 연기된 리빙랩 공동체의 친밀감 및 리빙랩 활동성을 유지하는
 시간이었다.
ㆍ마을 플랫폼(App)에 마을 사람들이 서로 교환하고 함께하고 싶은 것을 효율적으로 모
 으고 활용할 수 있게 설계되면 좋겠다.
ㆍ마을 데이터를 규정짓지 않고 플랫폼에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올라 올 수 있게 설계
 해야 할 것 같다.
천연 원료로 방역 자원봉사해 주신
박수민 마을 연구원님께 감사패 전달
As-Is To-Be 분석을 통한 과제 도출
1. 플랫폼에 마을의 유·무형 자원, 활동 그리고 의견이 잘 올라오게 하고 이를 수렴할 수
 있는 기능 설계
2. 의견뿐만 아니라 주민이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을 올리고 협력할 수 있게 하는 게시판 개설
(적극적 참여형 주민으로서의 역할 설정)
36
Basic 6 Topic : 마을을 그리다 - 마을 플랫폼 설계 시작
“플랫폼은 어떻게 디자인해야 하는가?”
“플랫폼의 본질에 초점을 맞추자”
ㆍ플랫폼은 때때로 사용자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생산자의 평판을 높여주는 형태로 가치
 를 제공하기도 함. 따라서 관심도 역시 플랫폼에서는 ‘통화’가 될 수 있음
ㆍ플랫폼을 사용하는 생산자와 소비자는 1) 정보 2) 상품 및 서비스 3) 통화의 형태를
 띤 것 등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거래할 수 있어야 함
ㆍ참여자, 가치 단위, 필터 등 3가지 핵심 요소가 명확하게 정의된 디자인을 적용하여
 사용자들이 핵심 상호작용을 매력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함
ㆍ마을 단위 순환 경제 비즈니스 모델 발굴
 (1) 순환하라! 아이스팩 사업
2020.11.20(화) 기준 해당 사업은 관할구청에서 마을 연구원의 뜻을 인지하고 공
간 및 시설, 인력 지원에 대한 기준협의를 완료함. 연구원이 거주소재지인 주안 4동
에 우선적으로 시범사업 시행 중임. 협의와 의견수렴을 거친 후 2021년 1분기 자원
봉사 일환 신사업으로 추진 예정임
(2) 공간의 효율적 활용
 공간(유형자산)과 마을 구성원의 아이디어·지혜(무형자산)그리고 유휴자산이 만나
 마을 구성원 주도하에 마을이 가진 유무형의 자산을 더 가치있게 사용하자!
강의 요약
김정은
인하대학교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 코로나 2.5단계는 해제되었으나, 안전을 위해 2개조로 나누어 기본 리빙랩 6회차를 2회 진행함
※ 인문학 콘서트 6회차 발표자료는 부록 81~83p 참고
37
Question
마을 연구원 의견
As-Is To-Be 분석을 통한 과제 도출
참여율을 높여 사용자들에게 큰 가치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더욱 쉽게 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를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부정적인 네트워크 효과를 최소화하는 기술 인프라를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ㆍ시니어들의 경험과 지혜, 추구하는 가치 및 원하는 일의 개념과 형태 DATA 수집할 수
 는 장(도구)이 필요하다.
ㆍ활용되지 못하는 마을의 공간들을 자원으로 인식하고 이를 어떻게 활용할지 논의할 수
 있는 아이디어 교류의 장도 필요하다.
ㆍ마을 협력 과정에서 논의된 내용 등을 영구 보관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금전/비금
 전적 보상 도구 설계가 플랫폼에 적용되면 좋겠다.
1. 모바일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시니어를 고려할 방안 강구
-> 정보 비대칭성을 해결하고 온오프 어디서든 동일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능 마련
2. 마을단위 순환경제 모델 구축 -> 공간/재능/자원/아이디어 연계
3. 소규모 마을 협력 프로젝트 지속 진행_ex 순환하라 아이스팩 사업
38
마을 연구원 의견
ㆍ미추홀 APP(플랫폼)을 만들 때 지역별 특징이 다르다는 걸 잘 반영해줬으면 좋겠다.
ㆍ파악된 마을별 개성과 특색을 플랫폼에 잘 반영해 내가 사는 마을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면 좋겠다.
ㆍ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지만 동시에 타지역과는 차별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
ㆍ우리 마을 플랫폼 APP은 마을 구성원에 대한 이해와 우리 마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구축하는 기능 수행이 필요하다.
ㆍ마을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내부 협력 네트워크나 시스템이 부족하다.
ㆍ디지털 식빵 쓸 수 있도록 설계가 필요하다.
ㆍ‘살고 싶은 마을’과 ‘현재 우리 마을’의 모습 간 구분이 어렵고 모호하게 느껴진다.
ㆍ필요 사항을 입력하면 해당 능력자 및 자원과 연결되는 기능이 있으면 좋겠다.
ㆍ문제 파악 및 솔루션 확인이 쉬웠으면 좋겠다.
ㆍ지역 주민이 민원을 전달하면 실제로 반영되기까지 해당 행정처리 과정을 민원인이 직접 확인하기가 복잡하고 어렵다.
ㆍ예산 편성 시기와 사업 제안 시기가 맞물리지 않거나 관할 주체가 중복되는 경우 예산이 중복되거나 실현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
ㆍ주민자치, 주민총회뿐만 아니라 관련 사업부서 등 연계 유관이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표준형’ 마을 플랫폼이 필요하다.
ㆍ마을 플랫폼(App)에 주민자치, 주민총회 그리고 연계 행정 기관 및 정보가 연결될 수 있게 설계되어야 한다.
ㆍ마을 플랫폼에서 축적·파생되는 데이터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됐다.
ㆍ카카오톡, 파일 공유, 일정조절 등의 기존에 익숙한 도구들의 활용이 가능할 시 접근하기 편리할 것 같다.
ㆍ합의된 마을의 이미지와 역할을 실현하기 위해 고민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을 플랫폼에 추가할 수 있으면 좋겠다.
ㆍ코로나 2.5 단계로 인해 연기된 리빙랩 공동체의 친밀감을 재확인하는 시간이었다.
ㆍ마을 플랫폼(App)에 마을 자원(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모으고 활용할 수 있게 설계되면 좋겠다.
ㆍ시니어들의 경험과 지혜, 추구하는 가치 및 원하는 일의 개념과 형태 DATA 수집할 수 있는 장(도구)이 필요하다.
ㆍ활용되지 못하는 마을의 공간들을 자원으로 인식하고 이를 어떻게 활용할지 논의할 수 있는 아이디어 교류의 장도 필요하다.
ㆍ마을 협력 과정에서 논의된 내용 등을 영구 보관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금전/비금전적 보상 도구 설계가 플랫폼에 적용되면 좋겠다.
39
As-Is To-Be 분석을 통한 과제 도출 실현기능명 목적
1. 지역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카테고리 설계(역사, 유래, 특성, 강점 등)
2. 지역 현안 및 정책이슈 페이지로 확인할 수 있는 버튼 삽입
3. 커뮤니티 기능에 전체공개/해당 지역 거주자 공개 기능 설계
  (가입단계에서 구분)
[이용자 인증]
누구나 플랫폼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
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2단계 인증과정을
통해 신뢰성과 보안성 확보
1. 구성을 관리할 수 있는 공통 양식 설계(블록체인 기술, 화폐 적용 등)
2. 추후 연계 기관 및 데이터 연결 확장 가능성을 염두에 둔 기초 설계 필요
[결제시스템]
지역화폐 또는 자체 블록체인 포인트와
연계하여 플랫폼 내 결제 기능을 지원하
고, 기부 기능 추가하여 상호작용이 원활
해 지도록 유도
1. 주민과 유관이 모두 쉽게 사용 가능한 표준화 DB 플랫폼 구축
2. 의견 제시 글 작성 시 제출 단계에서 전달사업부서 지정 -> 연계
3. 진행 중인 정책과 희망사항을 구분해서 작성할 수 있도록 글쓰기 단계
 카테고리 구분
4. 간편한 검색을 돕는 방안 마련(해시 카드, 키워드 자동입력, 연관검색 등)
[해시카드]
단순 검색에서 키워드 검색으로 마을 문
제가 중복적으로 제안되지 않도록, 문제
를 키워드별로 관리할 수 있는 기능 설계
(예정)
단순 복사로 공유하는 기능에서 SNS or
URL 모두 공유 가능하게 설계 추가(예정)
1. 축적된 데이터를 주민들도 열람, 활용할 수 있도록 권한 부여
2. 의견뿐만 아니라 주민이 실천 가능한 일들을 알려주는 자유게시판
  개설(주민으로서의 역할 설정)
[마을 데이터광장]
마을이 가진 인적, 물적, 공간적, 가치적,
문화적 자원 등을 데이터화 하여 등록하
고, 효과적으로 검색, 연결시 키는 기능 제공
1. 실현 가능한 목표들을 구체화할 수 있는 기능 개설
2. 마중물 프로젝트 등 주민들이 제안한 좋은 아이디어를 실제로 사업화할
  수 있는 방안 모색
[마을창업]
좋은 제안과 의견을 지역구민이 참여할
수 있는 창업으로 재설계. 지속가능한 솔
루션으로 확대 (사업계획, 펀드 모금, 수
익 배분 관리 기능 제공)
1. 모바일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시니어를 고려할 방안 강구
→ 정보 비대칭성을 해결하고 온오프 어디서든 동일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능 마련
2. 마을단위 순환경제 모델 구축 → 공간/재능/자원/아이디어 연계
3. 소규모 마을 협력 프로젝트 지속 진행_ex 순환하라 아이스팩 사업
[모임생성]
타 플랫폼과 달리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
뿐 아니라 오프라인 모임의 원활한 진행
서포팅이 가능하게 구축
40
41
마을을
만들다
심화 리빙랩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1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2
마을 플랫폼 비쥬얼리제이션
마을 플랫폼 프로토 타임을 위한 디자인
시범모델 등 결과보고
40
41
42
44
51
42
Applications 1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1 : As-Is 현재의 마을 플랫폼은?
1. 국내외 공동체 플랫폼 9개(국내 6개, 해외 3개) 특징 및 장단점 분석
2. 1의 내용을 토대로 ‘우리 마을 플랫폼에는 어떤 기능이 필요할까?’ 논의
  ① 마을 플랫폼의 설계 자체를 대상으로 논의하지 않음. 리빙랩 활동 과정과 소규모
    마을 협력 프로젝트 도출·디자인 과정을 통해 마을 구성원이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협력 플랫폼 기능을 도출함.
  ② 주민(마을 연구원)-연구자-개발자가 서로 즉시 피드백을 주고받는 상호작용 효과
    를 기대함. 즉각적인 의견 교환을 통해 실현 가능한 주제를 구체화할 수 있음.
3. 실현가능한 주제 구체화 : 마중물 프로젝트 기획
  ① 순환하라! 아이스팩! : 아이스팩을 우리 마을의 공유자산 관점으로 전환하여
   순환 공유하는 과정을 함께 보고 관리하고 사용함.
  ② 공간 활용 App : 빈 공터, 양로원 등을 활용해 공간(유형자산)과 마을 구성원의
   아이디어·지혜(무형자산)가 만나 마을을 더 가치 있게 사용함.
4. 앱개발자 설계 참여
  개발자가 마을연구원의 말과 행동을 직접 관찰하고 마을 플랫폼에 추가로 필요 기능 확인
진행 내용
김정은
인하대학교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채팅 기능
회의록
작성기능
캘린더
기능
투표
기능
※ 참고자료 84, 85P
43
Applications 2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2 : 마을 플랫폼 심화 기능 도출
1. 마중물 프로젝트 앱 초안 기획
앞선 수업의 브레인 스토밍 결과를 바탕으로 앱개발자가 직접 기초 앱 기획 초안을 발표
함. 마을 연구원들의 의견을 즉각 수렴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 구체화하여 진행함. 주민
들은 ‘앱 기획자’가 아니라 앱 기획자와 소통하는 ‘유저’에 가까운 성향을 보임.
결과적으로 기존에 기획했던 스토리보드를 뒤집고 주민들과 상상하는 사용자 리서치 기
능을 반영해 최고 주요 키워드였던 ‘재능 기부’에 초점을 맞추기로 결정함. 녹색공간을 일
종의 ‘문화 살롱’으로 만드는 데 집중하기로 함.
함께 기획한 솔루션을 눈으로 확인하며 공동창조의 순간을 체감하고 리빙랩 공동체 연대
감이 상승함.
2. 앱개발자 설계 참여
개발자가 마을연구원의 말과 행동을 직접 관찰하고 마을플랫폼에 추가로 필요 기능 확인
  ① "홍보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 SNS 공유하기 기능  
  ② "마을 사람들 간에 소소한 일들을 도와주면 좋을 것 같아요" - 재능 요청/제공 기능  
  ③ "코로나로 많이 힘들잖아요. 상점이나 마을에서 장사하시는 분들이 활성화할 수 있는
   것들은 뭐가 없을까요?" - 상점 타임세일 기능
  ④ 주민자치기능 아이디어 착안 – 앱 주요 기능으로 개발 진행
진행 내용
김정은
인하대학교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심화 리빙랩 1,2회차에서 앱개발자를 통해 확인한 추가 필요 기능들은 3회차 앱개발자 시각화
(Visualization) 이후에 정식으로 논의하기로 함
44
Applications 3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3 : 마을 플랫폼 비쥬얼리제이션
1. 마을 플랫폼 기능 개요
  (1)탑재기능
  ① 재능 : 자신이 가진 재능을 지역 내 다른 주민에게 공개하고, 자신에게 없는 재능을
    공급받음으로써 근거리 생활 전문가 활용 기능.
    ‘보상’이라는 공동체 형성 및 관리를 중요시한 계속성 있는 방식으로 설계.
  ② 공유 : 마을 자산의 디지털화를 위한 데이터 수집 창구 역할 수행.
    #인적 #자연적 #물리적 #사회적 #역사적 자원 수집을 통해 실용적인 디지털
    트위닝(마을화) 실현.
  ③ 동네제안 : 마을 전체 프로세스를 일원화해 모두가 주목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
    스마트 두레와 같이 실제 사업화로 연계될 수 있도록 설계.
    주민공감투표를 통해 주민자치 분과별 니즈 조사용으로 활용.
  ④ 상점/모임 : 실용적이면서도 지역상권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보조 기능인 '타임
    세일'을 추가. 재고 관리에 어려움을 겪었던 점주들과 시간/기회를 경제적 이익으
    로 대체하기 바라는 주민을 연결. 어플리케이션 트래픽에도 기여 예상.
  ⑤ 주민자치회 :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주민들의 의견이나 사업제안들을 실제적 자치
    기구인 주민자치회에서 다룰 수 있도록 설계. 지역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한 눈에
    보고, 참여할 수 있음. 주민자치회를 위한 온라인 기능을 제공하고 향후 공공 주관
    부서와의 정책 연계로 확대하여 효율성 향상 도모. 각 단계별 주민들이 총회에서
    합의된 내용을 게시할 수 있도록 설계 확장 예정.
진행 내용
김정은
인하대학교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권석빈
시그나 한국대표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45
주민자치주요기능
ㆍ우리가 사는 세상과 행정을 부드럽게 연결
ㆍ우리가 말하고, 제안하고, 실천하는 모든 행동을 의미 있게 구체화하는 과정
ㆍ나와 상관없는 일 → 나도 할 수 있는 일로 전환
	 ▶ 내 손에 닿는 주민자치의 실현
ㆍ지역 내 프로젝트의 사업 진행 상황을 한눈에 확인하는 동시에 의견 제안 가능
ㆍ자치위원 신청(온라인 수강), 분과 개설(자치 모임), 결과 공표, 예산 집행 내역 확인 등
	 ▶ 오프라인의 주민자치 기능 온라인 플랫폼에 동시 구현
#마을이 가진 문제를
#마을이 가진 자원으로
#마을 구성원이 협력하여 솔루션을 찾는
마을 플랫폼의 완성
주민자치 주요기능은 '2018년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메뉴얼'을 기반으로 작성함
46
Applications 4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4 : 프로토타입을 위한 디자인
ㆍ앱기획(와이어프레임)을 기본으로 한 앱디자인 결과물(프로토타입) 공개
ㆍ미추홀구 주무관 참여 : 행정기관 관계자를 통한 주민 궁금증 해소
ㆍ심화 리빙랩 3회차에서 공개된 앱기획에 대한 주민 피드백 반영 설명
진행 내용
김정은
인하대학교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구분 내용 조치
동네제안 공무원 담당자 배치 및 대응 진행중(필터설정)
마을어플
제안한 안건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배치 수렴
공공서류 발급 가능(추후) 논의필요
익명성 보호 수렴
타지역/마을과 의견 구분 수렴
다국어 지원 수렴
아이스팩 QR 읽은 횟수 표시 수렴
주민자치
주민참여예산과 융합(2021부터 적용) 논의필요
남은 예산 표시/ 신청기간 표시 수렴
타임세일
광고성 / 가격비교 페이지로 활용되지 않도록
설계
논의필요
권석빈
시그나 한국대표
47
여러분들이 설계하신 이러한 프로젝트들이 자생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활성화되는
플랫폼과 그것이 작동할 수 있는 기능이 특화된 app의 결합은 우리가 기본 리빙랩에
서 배웠던 20C 공장이 하던 역할 21C엔 도시가 수행할 것(도시정책=신산업정책)이
라는 경제학자 Richard Baldwin의 실례를 만든 것입니다! -연구책임자 김정은-
내가 제안한
문제들이 어디쯤
와있는 지 한 눈에 볼
수 있게 해주세요.
공공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게
해주면 어떨까요?
우리 동네 사람과
다른 동네 사람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해당 마을에 어떤
외국인이 많이 사는 지
확인해서, 해당 국가의
언어를 앱에 반영
해주세요.
주민참여예산도
주민자치와 함께 보여져서
예산 사용이 중복되지
않도록 해주세요.
제안 된 문제에
대해서 담당 공무원이
직접 댓글을 달아서 관심
있는 사람들이 구청의
생각을 알게
해주세요.
주민 피드백
마을 플랫폼에
바라는 점
48
① 순환경제_순환하라! 아이스팩!
아이스팩을 우리 마을의 공유자산 관점으로 전환하여
순환공유하는 과정을 함께 보고 관리하고 사용하자!
ㆍ사용하기 쉽게 만들자!
ㆍ수거와 관리를 쉽게 할 수 있어야 한다
ㆍ그럼 QR코드를 활용해보자
ㆍ순환과정과 기여한 부분을 한눈에 볼 수 있게 만들자
ㆍ환경을 지킨 것을 체감할 수 있도록 App내에 가상 숲을 만들어 재활용에 기여한
 만큼 나무가 자라는 효과를 주는 것도 좋을 것 같다
ㆍ게임처럼 재미도 있고, 내가 기여한 부분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느낄 수 있도록!
ㆍ아이스팩이 순환하여 만들어낸 가치를 기록하고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들어가야 한다
ㆍ이 기능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가능하다!
ㆍ여기서 축적된 데이터를 잘 관리 할 수 있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마중물 프로젝트
기획
49
심화 리빙랩 1회차, 마을 연구원이 제시한 해결해야 할 문제
“일일이 아이스팩을 살펴가며 정보를 기록해야 하는 것이 불편합니다.”
“매번 같이 일하는 회사가 바뀌는데 아이스팩을 전달하는 방식이 달라서 적응하는데 불편
해요.”
“인수인계 없이 아이스팩을 관리하는 회사가 바뀌면 액셀 체계도 바꾸자고 회사 측에서
나서는데 이러면 일관성없이 아이스팩 사용통계가 기록돼서 써먹지도 못합니다.”
이에 대한 개발자의 해결방안 제시
QR코드를 이용해서 추가적인 정보도 담아 스캔이 가능하게 하자!
같이 일하는 회사가 바뀌지 않게 자동화된 사회적 경제 시스템으로 주민 자치적으로 계속
아이스팩을 관리할 수 있는 인프라를 만들자!
일관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인프라를 바탕으로 통계를 쉽게 정리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만들어보자!
공급자 : 공유자산을 창고에서 관리
    품질 유지 담당자가 수거된 아이스팩을 확인하고 식별자를 통해 수거 내역을 블록체인에 기록
배송자 : 수거, 배달 역할
    배송자 식별자를 통해 수거·배달 내역 블록체인에 기록
사용자 : 공유자산을 사용
    정해진 기간 동안 사용. 정해진 기간 내 반납 하지 못한 경우, 블록체인에 기록, 패널티 부여 가능
식별자- 공유재화에 달리는
식별번호- QR코드
스티커 또는 바코드 이용
아이스팩 반납
아이스팩 반납 인증
공
급
된
아
이
스
팩
창
고
에
전
달
아
이
스
팩
공
급
아
이
스
팩
공
급
인
증
배
송
식
별
자
인
증
공급자
배송자 사용자
아이스팩의 문제
식별할 수 있는 바코드가 손상되거나 부재할 경우 이
를 시스템에서 생성된 식별자 QR코드로 교체
50
② 공간 활용 App
공조
(公助)
공공중심
국가단위
솔루션
경제적 자본
신공조
(申供助)
▼
마을 공조(供助)체
마을 공조(供助) & 사회적 자본 축적, On-Off 공간 필요
주민중심
개별 마을 단위
솔루션
사회적 자본
과거~현재
현재~미래
주민총회
공공중심이었던 과거의 공조체가 현대에는 주민중심으로 변화했다. 이처럼 디지털 사
회가 발전하면서 온오프라인 공간을 모두 활용한 사회적 공조 시스템이 대두되었다. 이
러한 시스템은 개별 마을에 꼭 필요한 자원과 솔루션을 매칭해 시너지를 만들 수 있다.
통합 " 플랫폼 위에서 함께"
마을이 세상, 주민자치 시대의 준비
→ 우선순위 도출
Synergy 시너지
"통합 융합"
도시
재생
참여
예산
지역
복지
각종
정책
교육
안전
마을
경제
문화
예술
동네
복지
주거
환경
마중물 프로젝트
기획
ⓒ 김정은. 2020
ⓒ 김정은. 2020
51
공간(유형자산)과 마을 구성원의 아이디어·지혜(무형자산)그리고 유휴자산이 만나 마
을 구성원 주도하에 마을이 가진 유무형의 자산을 더 가치있게 사용하자!
빈집 빈 상가를 어떻게 활용하는게 가장 좋을까?
꽃과 나무를 심고 거기에서 얘기를 나눌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자.
원도심은 공원이 부족하고 커뮤니티 공간이 부족하니까!
경로당은 냉장고, 에어컨 등 시설이 잘 구비되어 있으나, 활용되지 않고있는 유
휴공간이 많다. 그리고 60대는 경로당에 가기가 쉽지 않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 액티브 시니어의 장소가 마땅하지 않다. 경로당의 이미지와 역할이 새롭
게 정의되어지고 공간이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그럼 기존 이용자
분들에게 반감을 살 수 있고, 설득이 어려울 것 같다.
그럼 공간을 빼앗고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활동을 추가하는 방
향으로 가자! 경로당에 대학처럼 시간표를 만들자!
개설할 수업과 그 수업 수강할 사람을 신청 받아(어린이~중장년~시니어) 마을
구성원의 지혜를 모으고 세대를 연결하는 가지 창조 공간으로 만들어 가보자!
그렇다면, 빈집과 빈 상가도 그 공간에서 무엇을 할 것 인지 아이디어를 신청받
고 그 아이디어에 참여하거나 함께할 사람을 연결해주는 방식으로 마을이 가
진 문제를 마을이 가진 유무형의 자원(공간, 경험,지식 등)으로 마을 구성원이
주가 되어 해결해 나가는 것을 시작해 보자!
※ 참고자료 84, 85P
52
공유재 관련 뉴스 게시 기능
공유재별 데이터(ex: 재 사용 회수, 지역 등)를 정리하는 대시보드 기능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
53
시범모델 등 결과보고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프로토타입
누구나 플랫폼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2단계 인증과정을 통해 신뢰성과 보안성 확보
거주자 비거주자를 구분하여 마을플랫폼 이용권한 차등 부여
[이용자 인증]
54
지역화폐 또는 자체 블록체인 포인트와 연계하는 디지털 식빵 설계
플랫폼 내 결제 기능을 지원하고, 기부 기능 추가
상호작용이 원활해지도록 유도
플랫폼 내에서 사용되는 포인트 등의 지급수단을 마련
지역 순환 경제 생태계 조성
[결제 시스템]
55
단순 검색에서 키워드 검색으로 표준화 된 마을 데이터 수집·축적 기초 마련
문제를 키워드별로 관리할 수 있는 기능 설계(예정)
단순 링크 복사로 공유하는 기능에서 SNS 방식으로도 공유 가능
각 단계별 주민들이 총회에서 합의된 내용 게시/전달 가능
[해시카드]
56
마을이 가진 인적, 물적, 공간적, 가치적, 문화적 자원 등을 데이터화 하여 등록
효과적인 검색, 연결 기능 제공
스스가 자원이 될 수도 있고, 마을의 모든 자원 역시 데이터화가 가능함
마을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역할 수행
[마을 데이터 광장]
57
좋은 제안과 의견을 지역구민이 참여할 수 있는 창업으로 재설계
지속가능한 솔루션으로 확대
(사업계획, 펀드 모금, 수익 배분 관리 기능 제공)
공감받은 제안이 주민자치회에서 주민총회를 거쳐 사업화에 이르는 과정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
[마을 사업화]
58
타 플랫폼과 달리 온라인 커뮤니티 뿐 아니라
오프라인 모임의 원활한 진행 서포팅이 가능하게 구축
같은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의 모임에서 동일한 주제의 마을 문제를
해결하는 주민 자치 분과로 발전 가능
[모임 생성]
59
*네이버 QR코드 스캐너 사용 안됨
마을 플랫폼 : 주미니
프로토타입(Proto Type)
https://cloud.protopie.io/p/3849d9489b
60
61
3
부록
62
문헌 연구
본 기획 리빙랩은 리빙랩 운영 핵심원칙, 필수조건, 핵심활동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고
이를 리빙랩 과정에서 충실히 이행하고자 했다.
계속성, Continuity
(지속성, Sustainability)
개방성, Openness
즉시성(Spontaneity)
가치(Value)
현실성,Realism
(영향력, Influence)
지속적 학습과 개발위한 초 경제적 협력에서 나아가 개인적 욕구 뿐 아니
라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고 기여하는 혁신이 지속 가능성을 확보
인문학 콘서트 형식 + 마을 협력을 통해 추진하는 사업구상을 과제로 마
을 플랫폼 기능 도출
다양한 관점의 반영 필요(다양한 관점의 결합은 신속하고 성공적인 개
발이나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시장 발견에 핵심적 역할(Bergvall-
Ka
ㅇ
reborn et al.2009), 혁신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
부 뿐 아니라 외부 아이디어와 경로를 활용할 필요가 있음
마을 주민 + 외부 전문가 특강 + 지자체 + 기술 개발자 함께 진행
신속하고 지속적인 사용자의 요구의 반영 강조 (Bergvall-Ka
ㅇ
reborn et
al.2009)(사용자 주도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심화 리빙랩 시 개발자가 함께 구상
UI/UX 설계 후 마을 연구원(주민)과 피드백 과정 진행
사회적 가치, 사업적 가치성
순환 경제ㆍ지속 가능 경제ㆍ자아실현(Gig Eco.와 연계)의 가치 공유·
공감
실제 시장에서 유효한 결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실제와 같은 사용 환
경에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강조(CoreLabs, 2007),
원칙으로서의 영향은 사용자를 적극적이고 역량있는 협력자(partner)
와 영역 전문가(domain expert)로 보고, 이들이 혁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권리가 있으며, 실제로 영향을 미치도록 촉진하는 것에 초점을 둠
(Bergvall-Ka
ㅇ
reborn et al.2009)
마을 연구원 위촉, 마을 연구원 연구 보고서 작성, 전문가&개발자와 함께
아이디에이션
리빙랩 운영
핵심원칙
리빙랩은 다른 혁신방법론과 구별되는 원칙에 따라 관리, 운영되어야 한다. CoreLabs(2007)
는 리빙랩 운영의 5가지 핵심 원칙(principle)으로 계속성(continuity),개방성(Openness),
현실성(Realism), 사용자 권한부여(Empowerment of Users), 즉시성(Spontaneity)등을
제시했다. Bergvall-Karebornet al.(2009)은 개방성(Openness), 영향(Influence), 현실성
(Realism), 가치(Value),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등을 리빙랩의 핵심 원칙으로 제시하고
있다.
63
리빙랩 필수 조건과
활용 단계
Corallo, Latino and Neglia(2013)은 활동 자체가 아닌 리빙랩 사용자가 주도적인
역할을 갖는 혁신 방법론 개발을 위해 사전 기획, 사용자 주도의 혁신, 리빙랩공동체 형
성, 리빙랩공동체 관리, 제품 ·서비스 사업화 등 다섯 가지 필수 조건을 제시하였다. 리
빙랩의 중요한 과제의 하나는 시장에서의 수익 창출 문제라는 점에서 제품 및 서비스의
사업화도 필수적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다.
Katzy(2012)는 기존 방법론은 활용하여 리빙랩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을 구분한다. 첫
째, 아이디어 탐색 및 팀 구성 단계다. 잠재력이 높은 아이디어 탐색 및 개념 형석과 팀
구성원을 대학이나 기업 연구분야에서 찾아내어 실제 프로젝트로 발전시키는 단계다.
이때 리빙랩은 ‘구진-투자자-사용자를 연결하는(matchmaking)공간’ 기능을 수행한
다.
둘째, 공동 창조 단계로 전통적인 R&D 과정에서 사용자, 기업, 시장 등 기술뿐만 아니
라 사회적 ·경제적 요소를 결합하여 공동개발을 수행하는 단계다. 제품개발 지원, 사용
자 실증 및 마케팅, 새로운 기업 창출을 위한 기업활동 등 세 가지 과정으로 구성된다.
셋째, 벤처 사업화 단계로 프로토타입 등 일정한 성과를 내면 적절한 시범에 졸업시키
는 단계다. 예를 들어 6~12개월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프로젝트가 리빙랩을 졸업해야
혁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트의 완료 시점은 시간이 아닌 성취 정도에 따라 결
정된다고 본다. 이상적으로는 선도적인 사용자로부터 호기 수익을 얻거나 실제 작동 여
부를 점검하는 과정인 프로토타입(working prototype)이 개발된 시점이 적정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Corallo의 논의와 달리 Katzy가 제시한 리빙랩 활동에는 기획단계가 명확하게 표현되
어 있지 않았다. 하지만 ‘기획’은 리빙랩의 철학을 바탕으로 혁신 활동의 방향과 내용을
사전에 계획한다는 점에서 독립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는 중요한 단계다. 따라서 리빙랩
의 주요 활동은 기획, 공동체 형성과 공동체 관리, 공동창조, 실용화(사업화, 적용, 확산)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64
리빙랩 방법론
및 프로세스
방법론 단계 및 프로세스 특징 방법론 단계 및 프로세스 특징
Katzy 리빙랩
비즈니스 모델
① 아이디어 단계(Ideation phase)
② 공동 창조 단계(Co-creation phase)
③ 벤처사업화 단계(Venturing phase)
비즈니스 모델
개발 강조
Collaboration
@Rural(C@R)
① 지역사용자 공동체 구축
② 사용자 참여
③ 새로운 제품/서비스 개발
④ 네트워크 및 시너지 창출
⑤ 실행연구
농촌지역
활성화 강조
Service
Experience
Engineering
(SEE), 대만
① FIND
② InnovationNet
③ Design Lab: PoC, PoS, PoB
※ PoC(Proof of Consept), PoS(Proof
of Service), PoB(Proof of Business)
비즈니스 모델
개발 강조
디자인씽킹
① 공감(Empathize)
② 문제정의(Define)
③ 아이디어화(Ideate)
④ 프로토타입(Prototype)
⑤ 테스트(Test)
나선형방법론
Helsinki LL,
핀란드
① 기반형성 단계(grounding phase)
② 상호적ㆍ반복적 공동설계단계
  (co-design phase)
③ 적용 및 실행 단계
  (appropriation&implementation stage)
서비스 설계 및
적용 강조,
나선형방법론
국민디자인단,
더블
다이아몬드
① 이해하기(Understand)
② 발견하기(Discover)
③ 정의하기(Define)
④ 발전하기(Develop)
⑤ 테스트(Test)
나선형방법론
Catalan LL,
스페인
① 집단선택(group selection)
② 혁신장(innovation arena)
③ 맥락 개발(context development)
비즈니스 모델
개발 강조
행복도시리빙랩,
세종시
① 사전분석(Pre-Research)
② 서비스 도출(Ideation)
③ 서비스 기능개선
  (User Research)
④ 서비스 검증(User Test)
서비스 설계 및
적용 강조,
나선형방법론
iLab.o,
벨기에
① 개념화(contextualistion)
② 구체화(concretization)
③ 실행(implementation)
④ 피드백(feedback)
ICT 기술 개발
및 적용 강조,
나선형방법론
R&D
송위진외(2017)
① 대안탐색(exploration)
  (아이디어 발굴, 개념화)
② 대인 실험(experimentation)
  (프로토타입 개발)
③ 대안 평가(evaluation)
  (출시 전, 출시, 출시 후)
비즈니스 모델
개발 강조,
나선형방법론
Rural Inclusion
Methodology,
(RIM)
① 공동체 기획
② 의사소통 전략 설정
③ 공동체 관리 과정
④ 이해관계자 동기 유지
농촌지역
활성화 강조
와우디랩
① 깊이 공감하기
② 문제 정의하기
③ 다양한 아이디어내기
④ 빠른 프로토타입
⑤ 현장테스트
나선형방법론
FormIT
① 기획(planning)
② 개념 설계 주기(concept design cycle)
③ 프로토타입 설계 주기
  (prototype design cycle)
④ 혁신 설계 주기(innovation design cycle)
⑤ 사업화(commercializtion)
IT 서비스 제품
설계 강조,
나선형방법론
대전정보
문화산업
진흥원
① 문제도출하기
② 문제정의 및 솔루션 도출
③ 기술 개발
④ 실증협의체 운영
IT 서비스 제품
설계 강조,
나선형방법론
※ 본 리빙랩에서 사용된 방법론
리빙랩 운영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리빙랩이 지향하는 가치·목적에 부합하는 프로세스와 수단을 갖추는 것이 필요
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진은 리빙랩 모델과 방법론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본 기획 리빙랩의 모델을 도출했다. 본 기획 리
빙랩은 4P-SCLLM과 14개 리빙랩 방법론을 검토하고 나선형 방법론의 특징이 마을 협력 도구 개발에 적합한 성질로
판단하여 '디자인 씽킹' 방법론을 기본으로 4P-SCLLM 모델을 접목했다.
앞 페이지 리빙랩 필수 조건과 리빙랩 모델 설정은 성지은의 연구자료(2017)의 28~32p를 참고했다.
65
문제찾기
Finding
구현하기
Implementation
상상하기
Ideation
실험하기
Experiment
지역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는 다양한 행위자가 온/오프라인을 통해 지역 ·사
회의 문제를 인식하고 공감하는 데 있다. 방법은 온/오프라인을 통해 시민의견을 조
사 및 취합하고, 포럼 및 토론회 등 Open Question을 통해 문제를 확보한다. 이 단
계에서 리빙랩 조직을 구성한다. 특히 페르소나 가설을 세울 때에는 인구 통계학적 정
보만 고려하지 않고, 실제로 서비스를 이용할 법란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바탕으로 제
작해야 한다.
포럼, 토론회 등 Open Question을 통해 문제를 확보
문제 해결에 앞서 대안을 찾는 데 있다. 지역 ·사회 문제 및 서비스, 서비스 수요자를
선정한다. 온라인은 SNS 기반의 포럼 및 토론회를 개최하고, 블록체인 기반의 투표
시스템을 활용 한다. 오프라인은 포럼, 토론회 및 직접 투표를 통해 지역 ·사회문제를
선정하고 논의한다.
Design Thinking Method를 활용한 POV(Point of View),
HMW(How Might We), 브레인 스토밍 등을 통해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탐색된 대안을 통해 세부적인 서비
스 구상 및 기획을 진행하는 데 있다. 수렴된 명확한 문제 정의에 대한 Mild & Crazy
로 아이디어를 발산한다. 그리고 더 관심가는 아이디어를 그림으로 시각화해보고 즉
각적인 피드백을 더해가며 프로토타입을 계획하고 제작한다.
그리고 결함 없는 서비스 개발을 위해 브레인스토밍, 워크숍 등 다양한 기법을 적용하
며, 서비스 시나리오 도출을 위해 UX/UI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서비스 기능을 개
선한다. 특히 직접 서비스 수요자들의 삶에 들어가 현장을 관찰하고 삶의 현장에서 검
증해나가는 과정이 중요하다.
수렴된 명확한 문제정의에 대한 Mild & Crazy로 아이디어 발산
더 관심가는 아이디어를 그림으로 시각화해보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더해가
며 프로토 타입을 계획하고 제작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비스 적용 및 운영, 고도화
1
2
3
4
4P Smart City
Living Lab Model
4P-SCLLM은 [최민주 외 (2020) 한국 콘텐츠 학회]이 시민 참여 기반의 스마트 시티 리빙
랩 모델 설정 논문에서 제시한 모델이다. 본 기획 리빙랩은 1~3단계만 적용해서 진행했다.
66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테스트
프로토
타입
디자인 씽킹 방법론
4P-SCLLM
+
문제찾기
Finding
1
상상하기
Ideation
2
실험하기
Experiment
3
구현하기
Implementation
4
디자인 씽킹
방법론을 기본
모델로 설정한
이론적 근거
14개 국내외 리빙랩 방법론의 공통점은 문제해결의 시작부터 모든 단계에 사용자의
참여를 강조한 디자인 씽킹 방법론을 적용하여 진행되고 있다. 본 기획 리빙랩에서는
디자인 씽킹의 나선형 방법론의 특징이 마을 협력 도구(플랫폼) 개발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했다. 본 리빙랩은 기획 리빙랩으로 [기획 - 공동체 형성 및 관리 - 공동 창조]의 단
계를 수행한다.
67
출처 (성지은 외, 2017, 30~32pp. 재 구성)
리빙랩 원칙
+ 필수 조건
+ 핵심 활동
리빙랩 핵심 활동
(Katzy(2012); Corallo + Latino and Neglia(2013)
사전 기획 공동창조 실용화
리빙랩 원칙
(Bergvall-Ka
ㅇ
reborn et al.2009 + CoreLabs, 2007)
지속성
(계속성)
개방성
현실성
(영향성)
즉시성 가치
리빙랩 필수 조건
(Corallo, Latino and Neglia, 2013)
사전 기획
사용자 주도의
혁신
리빙랩 공동체
형성
리빙랩 공동체
관리
개발된
제품ㆍ서비스
사업화
기획
공동체 형성
및 관리
공동 창조 실용화
68
1차 산업혁명 2차 산업혁명 3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
1800 2000
1784
증기기관과 기계화 혁명
[도시 간의 연결]→공간의 연결
1969
컴퓨터와 인터넷 기반의 지식정보 혁명
[국가 간의 연결]→시공간의 연결
1870
전기를 이용한 대량생산 혁명
[낮과 밤의 연결]→시간의 연결
2015
인공지능, 로봇기술, 생명과학이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
IoT/CPS/인공지능 기반의 혁명
[현실과 가상의 연결]→시공간과 가상공간의 연결
1890
Introduction
4차 산업혁명 시대, 아날로그 월드와 디지털 월드가 연결되는 시대
우리는 대부분의 동물과 1:1로 마주쳤을 때, 위협을 느낀다. 그러나 우리는 문명의 발전을 이끌어 왔다.
우리 만이 가진 어떤 능력 덕분이었을까? 상상하는 능력’_유발하라리 <호모사피엔스>
우리는 지금 존재 하지 않는 것을 상상하는 능력이 있고
상상한 것을 언어를 통해 서로 소통하며 어떻게 협력하
는 것이 효율적이며 바람직한가를 찾고 상상을 현실로
만들며 더 풍요로운 세상으로 만들어 왔다.
상상 언어 협력 현실
Q
인문학 콘서트 자료
기업 자본
공장
도시 데이터
마을 플랫폼
1~3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
ⓒ 김정은. 2020
ⓒ 김정은. 2020
69
초연결 시대, 다품종 대량생산 시대우리가 추구해야할 중요한 가치는
지속성·공정성, 사람(개인), 자연생태계 법칙 중심, 개인 맞춤형·우리
마을 맞춤형 제품과 서비스 개발 및 제공이 필요한 시대
산업혁명을 통해
다품종 소량생산 시대
대기업 공장 중심의 소품종 대량생산 시대 급속한 성장, 중요한 가치는
효율성, 중앙(중개)기관 중심 사회·경제 시스템화 급속성장 그러나 불
균형 심화와 지속, 가능성에 대한 문제 발생
산업혁명 이전
World GDP Per Capita(1990$)
8,000
6,000
4,000
2,000
0
200 600
1 4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0
4차 산업혁명
산업혁명과 우리가 추구하는 가치
새로운 Capital은?
IT 시대
Information Technology
DT 시대
Data Technology
Data는 가솔린과 마찬가지로
경제활동의 동력원
-2014. 마윈
70
Introduction
초연결 시대
스마트 도시와 디지털 미래 사회
중앙화 국가중심 제품(신기술)
분권화 도시(마을)중심 서비스(기술융합)
1~3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 초연결 시대, 중개 기관 중심(중앙화)의 협력 방식에서
P2P(분권화) 협력 방식으로”
“시대에 적합한 협력의 방식 설계 및 도구(시스템)은 경쟁력 창출의 핵심"
 Ex) 네덜란드 동인도 주식회사
   → 새로운 협력 주체와 방식 설계 선도로 경제 강국 건설
4차 산업혁명 : 초연결 시대 ※ 초기 모델이 현재 공유경제
기업 중심
협력 형태
P2P
협력 시대
ㆍ협력에 필요한 자원 검색 및 연결을 한 곳에서
ㆍ협력을 용이하게 기본 폼(양식) 제공&신뢰성
 확보 방안 필요
스마트도시란 ‘시 경쟁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건설ㆍICT 등을 융·복합하여 건설
된 도시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말
한다. 이러한 스마트시티를 기반으로 하는 미래 사회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작
용(Interactivity)을 특징으로 에너지, 환경물,쓰레기/교통/치안 등 기존 비효율적
자원배분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시스템을 갖추게 될 것이다.
ⓒ 김정은. 2020
ⓒ 김정은. 2020
71
2025년, 전세계 35억명 인프라가 부족한 빈민가에서 살게 될 것
- 켄트 라슨 MIT 미디어랩 도시공학 대표
마을과 마을간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지금...
all thy heart is set on high designs,
High actions. But wherewith to be achieved?
Great acts require great means of enterprise;
그대의 온 마음은 고귀한 의도,
고귀한 행동에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무엇으로 이루겠는가?
위대한 행위는 엄청난 모험 수단을 필요로 한다.
복낙원[Paradise Regained, 復樂園] : 영국의 시인 J.밀턴의 서사시. 1671년 출판. 그의 대작인 《실낙원》의 속편
잃어버린 낙원을 다시 복원하기위해 우리는 무엇이 필요할까?
기술 르네상스 시대
상상력과 협업이 국가와 도시의 격차
를 줄이고, 기술의 가능화 효과를 누구
나 향유 할 수 있는 세상으로 이끌 수
있음을 공감!
.
.
.
분산화된 자율형 인프라가 필요한 시대
그리드 없는 분산형 에너지
파이프 없는 하수 시스템
토지 없는 식량 생산
차량 없는 교통 체계
통화 없는 경제활동
토지 소유 없는 권리제공 기능
국가중심에서 도시(마을)중심으로
72
필요 사항을 입력하면,
해당 능력자 및 자원과
연결되는 마을 플랫폼이
필요하다!
Gigster : not 직원 but 독립계약자, 프로젝트 단위 인력사용, 원격지의 능력자
Machanical Turk : 아마존이 운영하는 온라인 크라우드소싱 중개소
Gigster VS Machanical Turk
원격지의 능력자 VS 크라우드 노동자
정보입력 → 자격과 준비가 되어있는 프리랜서와 연결
Iceo 시스템
Konsus
프로젝트 자동관리
컴퓨터 프로그램
ㆍ노동의 우버화
ㆍ주문형/O2O
ㆍ프리랜서 중개사이트
ex)
1920년대
미국 재즈 공연장 필요에
따라 연주자를 섭외해
공연하던 것
현재
필요에 따라 임시직을 섭외해
일을 맡기는 고용 형태
노동자가 아닌 파트타임 사업가, 크라우드 소싱
GIG 란?
GIG Eco.
포춘 50개 기업 중 한 곳에 대한
124 페이지 연구보조서 작성주문
- 소프트웨어자 자동으로 집필자,
편집자, 교정자, 사실확인자를 기용
→ 3일만에 완성
파워포인트 제작 대행 서비스
(그래픽 대행 : 시간당 29달러)
-시범 프로그램
냅킨에 신규앱 디자인 작성, 제품
제작, 사용자 테스트까지 하루
AI, IOT, Robot 등 미래 핵심 기술은 인간다움에 집중할 수 있는 시대를 열고 있습니다.
기술 혁명은 인간 존재의 물질적 조건을 재정의하고 문화를 재구성합니다.
Klein, Maury(2008)
4차 산업혁명이 조직과 시장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경제적 가치의 생산과 거래의 조직화에서
이전에 불가능 했던 일들을 만들기 때문!
Q
A
새로운 경제 유형
미래 산업
73
BLOCK
데이터 기록
CHAIN
암호로 연결
+
'블록체인'이 무엇인가요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는
2016.11.06일자 ‘신뢰기계 : 비트코
인 기술이 세계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가?’가호의 표지 기사로 블록체인
을 소개하면서 블록체인은 ‘확신을 주
는 거대한 체인'이라고 소개한 바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디지털 분산원장,
P2P 네트워크다. 블록체인은 기존에
한 곳에서만 기록·관리하는 거래 장부
를 네트워크(생태계)에 참여하는 모두
의 장부(block)에 동시에 기록할 수 있
다. 또한 암호로 장부를 연결(chain)해
나감으로써 신뢰할 수 없는 사람들 사
이에도 신뢰할 수 있는 거래를 가능하
게 만든다.
현재 우리는 거래의 신뢰 확보를 중앙 기관에 의존하고 있다. 우리의 모든 거래가 한곳
에 집중되어 여러가지 위험에 노출되고 있는 셈이다. 만약 거래 당사자간에 신뢰할 수
있는 직접 거래가 가능하다면 더욱 빠르고 유연한 협업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다. 나아
가 보다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협업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블록체인 기술 기반 마을 플
랫폼 구축을 통한 마을사회 주체의 협력적 관계 연결은 미래 도시 경쟁력의 원천이 될
것이다.
ⓒ 김정은. 2020
74
블록체인을 활용해 물류 네트워크 정보를 공유한다. 설계제조국부터, 물류, 재무에 이
르는 정확한 정보에 모두 접근할 수 있다(트랜잭션 순차 포함). 최종 데이터 승인은 세
관 당국에서 확인하며, 최종 타임스탬프 역시 세관 당국에 의해 생성된다.
* 기존 공급망 방식은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통해 상품, 서비스정보, 자금 등의 자산을
전달한다. 따라서 수출신고, 수출입 중개인, 물류 공급업체, 세관 대행사, 금융기관 등
거래 참여자등이 서로 중복된 서류를 주고 받으며 서류의 실효성을 검사해야 하는 한계
가 있다.
데이터와 시간의 변경사항을 기록하기 때문에 최신 자료 수집 가능
네트워크 사용자 모두가 해당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음
정보의 사실 유무 검증데이터의 위·변조 불가
온라인 정보 전달을 통해 오류감소 및 신뢰도 증가
블록체인은 보기가 허용된 정보만 공유 가능하므로 제한적 정보 공유 가능
블록을 체인에 추가하고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음
블록체인 활용 사례 -IBM 블록체인 시스템
블록체인의 이점
75
현재 맘카페에서는 서로 물건을 교환하고 나누는 수단으로 식빵을 사용하고 있다. 무
료 나눔이어도 주고 받음이라는 교환기록, 거래로서의 의미부여, 감사의 뜻을 표현하
기 위해 식빵을 사용하고 있다.
다양한 유·무형 거래가 발생할 마을 플랫폼에도 디지털 식빵이 필요할 것이다. 이 식빵
화폐를 디지털로 옮기면 아날로그 식빵 화폐가 수행하지 못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
다. 신뢰 기술인 블록체인 기술로 서로 함께 보는 장부에서 단위를 나눠 거래하기, 저장
하기, 쉽고 빠르게 교환하기, 투명하게 기록하기 등이 가능하다.
왜 식빵을 화폐로 쓰는 걸까?
76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연결해 주는 끈
사람들 사이를 연결해 주는 디지털 소셜 플랫폼에 대한 견해 역시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제이슨 탠즈는 리프트, 에어비앤비 등 공유경제 플랫폼을 사용하게 된 이후로 미
국인들이 낯선 사람을 만나는 것을 위험으로 느끼지 않는 일에 관해 적었다. 그는 “산업
사회를 규정하던 이웃사이의 소통이 디지털로 새롭게 창조되었다. 다만 현재의 이웃은
페이스북 계정을 보유한 모두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Not 단순 중요 정보전달, But 더 잘(well) 정보 전달
한편 어반시터 (UrbanSitter)는 린 퍼킨스(Lynn Perkins)가 창업한 베이비시터 매칭
사이트이다. 페이스북이나 링크드인을 통해서만 가입할 수 있다. 사람들은 온라인으로
베이비 시터를 구하는 게 직접 추천받는 것보다 어떻게 더 효과적이고 안전 할 수 있는
지 의아해했다. 요컨대 미래 사회 구성원들은 비슷한 요구를 가진 집단(부모)보다 전문
성이 같은 집단(베이비시터)을 더욱 신뢰하는 것이다. 베이비시터들 사이에서는 무엇보
다 연결이 중요해진다. 미래의 디지털소셜 네트워크는 단순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보다,
더 잘(well) 전달하기 위해 발전할 것이다.
디지털 소셜 플랫폼
디지털 소셜 네트워크
'How Airbnb and Lyft finally got Americans to trust each other'
77
낯선 사람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데 ‘친구’가 어떤 역할을 할까?
1995년 ‘신뢰게임‘ 실험
잠재의식 차원에서 평소 신뢰하는 사람들의 이름을 본 참가자는 신뢰하지 않는 사람의
이름을 본 참가자보다 익명의 상대에게 평균 50% 가까이 많은 돈을 보냈다.
“우리는 사람들이 인지하지 못 하게 낯선 사람에 대한 신뢰를 자극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블록체인 기술과 함께 신뢰 역시 제도적 신뢰에서 분산적 신뢰로 이동하고 있다.
제 3의 자본, 신뢰 =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물적 자본과 인적 자본의 투입만으로 경제와 사회의 선진화가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눈에 보이는 자본 외에도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과 기업, 정부 등 사회 주체를 협력적인
관계로 연결하는 제 3의 자본, 즉 사회적 자본이 풍부해야만 경제발전과 사회 안정을
동시에 이룰 수 있다. 같은 물적·인적 자본을 가지고 있어도 구성원 간의 관계에 따라
서 전혀 다른 경제·사회적 성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_고(故) 존 키스 머니건(John Keith Murnoghan), 켈로그 경영대학원 사회과학부 교수
_제3의 자본, 이동원·정갑영 외 지음, 삼성경제연구소
지역적
신뢰
제도적
신뢰
분산적
신뢰
신뢰 이동
- 레이첼 보츠먼 (2019)
78
우리가 COVID 19 위기 속에서 배우고 있는 교훈
→ 지속 가능한 세상의 힌트는 자연의 법칙
: 모든 주체들 사이에는 적정
거리가 침해되지 않고 유지
되어야 한다!
이 사진들이 주는 메시지
▶모바일, 클라우드,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등을 활용해 순환경제가 가능한 시점이 옴
순환공급망 모델 : 크레일라 테크놀로지(친환경적 바이오매스 자원 생산), 악조노벨
+ 포타놀(화학제품 제조에 태양에너지 활용/식물 광합성 모방), 스타벅스 커피콩 케
이크-우유구매
처음 시작부터
제품 수명 연장 모델 : 지속적 제품 기능 유지, 개별 니즈에 맞춘 업그레이드/개조 서
비스, 델 아울렛, 델 리퍼브, 중장비 업체 캐터필러 재제조, 월마트 게임보상판매, 에
코 ATM 키오스크
보다 오래쓸 수
있게 만들어진
공유 플랫폼 모델
유휴자산의
적극적 사용
PaaS : 미쉐린 솔루션, 필립스 LED조명, 태양광 업체 솔라시티, 다임러 카투고
소유보다 기능
회수/재활용 모델 : P&G (폐기물 제로 기반 운영 시설 45개, 재활용/다른 용도 사
용/에너지로 전환), GM (폐기물 90% 재활용, 102개 시설물 폐기물 제로, 연간 10
억 달러 수익 창출) I:CO(효율적 대량 회수망 구축한 패션 산업계 위탁 운영자)
폐기물 이력제
적정거리의 유지
5가지 순환경제 비즈니스 모델
79
깃허브( Github)
-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공유하고 협업하여 개발할
수 있는 버전 관리 시스템인 깃(Git)에 프로젝트 관리
지원 기능을 확장하여 제공하는 웹 호스팅 서비스.
설명 출처 네이버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사진 출처 https://uxgjs.tistory.com/182
상상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선 먼저 상상(서로의 아이디어)을 서로 소통할 도구가
필요한데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문서를 중심으로 하는 아이디에이션의 장점
ㆍ다양한 고려 사항에 대한 정보 공유가 효율적으로 진행
ㆍ참여자 개인별 특성과 개성을 반영한 기획이 용이함
ㆍ아이디어의 공통 요소와 차별 요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관리 가능
ㆍ의견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진행하여 민주적인 의사결정으로 이어지도록 함
ㆍ차후 연계된 과업에 대해 효과적인 준비가 가능
문서 기반 협업 도구의 장점
ㆍ개인별, 버전별 문서 관리가 가능, 아이디어 개발 과정에 대한 추적 가능
ㆍ열람, 확인, 채택 등 업무가 진행되는 절차를 구분하여 관리
ㆍ일정 별 관리를 통해서 전체적인 과업 완료와 성과 도출에 대한 예측이 가능
ㆍ서비스 확장 등을 위한 정보 관리 표준화 작업 등에 용이
컨플루언스(Confluence)
- 컨플루언스(Confluence)는 아틀라시안에서 개발한
자바 기반의 상용 위키 소프트웨어이다. 다른 위키 소
프트웨어들의 데이터를 불러오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
용자 관리 및 특정 프로젝트의 관리 등에 사용할 수 있
도록, 사용자의 상태 업데이트나 '좋아요'(Like) 버튼,
Follow 기능, 댓글 기능, 뉴스 및 블로깅 기능 등을 기
본으로 포함하고 있고,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문서들을
불러오는 등 오피스 커넥터 및 페이스북등 소셜 미디어
와의 연동도 제공하여 협업 환경이 구축된다.
사진 출처 https://support.atlassian.com/
confluence-cloud/docs/use-spaces-to-
organize-your-work/
창작, 자치, 운영
창작 도구
80
거버넌스 도구 활용 사례
디스커스 온
사진 출처 https://discusson.kr/
디사이드마드리드
사진 출처 https://participedia.net/case/4365
민주주의 서울
사진 출처
https://democracy.seoul.go.kr/
front/index.do
개발 참여와 거버넌스 방안 시스템 개발
1. 구상 과정의 참여
원칙적으로 문서를 활용하여 시스템의 상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요소를 점검하
는 방식으로 진행됨. 깃허브, 컨플루언스 등의 공유 문서, 공유 디렉토리 서비스를 통해
서 개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수용할 수 있도
록 함  
2. 평가 및 결정 과정 참여
평가 및 결정 과정의 참여시스템의 주요 사양, 구현의 우선 순위, 적용 솔루션 및 프로그
램 구성 요소등을 평가하고 결정하는 과정에서 참여자의 의견을 반영하는 유형평가 및
결정의 과정을 통해 시스템 운영의 대상과 책임을 명확히 함
81
에자일 기법
주체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며 프로세스의 나선형 방법론 적용이 가능한 방식으로는
에자일 기법을 예로 들 수 있다.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선언문의 나열식 내용을 느낌
대로 정리하자면, "협력"과 "피드백"이라는 두 단어로 보인다. 즉, 한 마디로 "협력과 피
드백을 자주, 일찍, 더 잘하는 것"이다.
Resources Database Infra On/Off Tools Administration
Problems Agenda Alternative Decision Action
Proof of Concept Realization
Knowledge-base
Service Platform Legal Support
Environment
AGILE
Co-working Process
에자일(Agile)
- 프로그래밍에 집중한 유연한 개발 방식
사진출처
https://testsigma.com/blog/iteration-
regression-testing-and-full-regression-
testing-in-agile/
82
협업형 개발의 진행
협업형 개발은 기획과 개발의 두 가지 단계로 구분함
① 문제 발굴
  문제의 발굴은 기존의 경험적인 지식과 정보 수집 도구를 활용하여 실제 당면한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임 단순한 문제점의 나열은 성행 단계에서
  마쳐야 하며, 의제화 될 수 있는 개념과 어휘를 반영해야 함
⑤ 개발 실행
  - 개발 시스템 환경의 확정 : 블록체인(탈중앙화)/비블록체인(중앙화), 개발 언어,
  저장 시스템, 네트워크 구성 등
  - 개발팀의 구성 : 업무 분장, 운영 책임자
  - 문서 환경 : 설계, 작업 기록(및 특기 사항), 업무 정보 공유
  - 개발 환경 : 장비, 공간, 편의성 등
기획-개발의 효율적인 순환을 위한 방법론
에자일 과정에서의 데이터 구축 : 데이터의 유형, 가치 척도 등을 모델화
데이터의 자원화 : 에자일 항목에 포함
에자일 과정의 기록
중간 산출물(기본형 앱)
테스트 및 실제 적용 데이터
⑥ 개발 관리
  - 개발 운영을 위한 업무 관리 도구 : 아틀라시안 지라, 트렐로 등
  - 이슈, 담당, 일정, 결과 관리
1. 기획
2. 개발
3. 에자일
3. 협업형
  개발의
  결과
② 의제(과제) 선정
  제목을 정하는 과정.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의 내용을 담아 명시함으로써 구체적인
  대안을 세울 수 있도록 주제를 환기함
③ 대안 제시
  문제 해결의 방안을 정하는 과정. 다양한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개방적인 논의구조
  와 조직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함. 참가자 개개인이 적극적으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도
  록 사전 교육과 정보 및 자료 공유 등을 시행 함
④ 의사 결정
  의사결정의 대상은 기본적으로 의제와 대안임. 필요한 경우 의사 진행을 위한 별도의
  결정이 필요할 수도 있음
  대표자, 대리인, 담당자 등에 위임하는 방식이 대표적인 의사결정의 방법이며, 특별한
  필요에 의해서 투표, 추첨 등을 행사할 수 있음
Co-working Process
83
플랫폼의 시스템 덕분에 쉽고 편리하게 가치 단위를 교환 할 수 있다. 업워크는 고객에게 원격으로 서비스를 관
리할 수 잇는 기본 도구를 제공한다. 고객은 이를 이용해 프리랜서가 제작한 슬라이드와 동영상 같은 디지털 상
품을 업워크 플랫폼에서 직접 주고 받을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플랫폼 바깥에서 교환되기
도 한다. 저녁 식사 예약은 옐프에서 하지만, 사람들은 실제로 레스토랑이 있는 테이블에서 진짜 음식을 먹는다.
링크드인은 다면 플랫폼으로, 처음에는 전문가들을 서로 연결한다는 단일 핵심 상호작용을 중심에 두고 설계되
었다.
Ex)
Ex)
관심,명성, 영향력, 평판도 교환 가능하게
트립어드바이저(TripAdvisor)의 회원들은 자기들이 좋아하는 생산자의 평판을 높여주는 형태로 가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관심, 명성, 영향력, 평판, 기타 무형의 가치가 플랫폼에서는 ‘통화’가 된다. 때로는 통화
교환이 플랫폼 자체에서 이뤄진다. 한 플랫폼의 수익 창출 능력은 그 플랫폼이 획득하고 내재화 할 수 있는
통화의 유형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그러므로 플랫폼의 목적은 생산자와 소비자들이 한데 모여 서로 정보, 상품이나 서비스, 통화로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데 있다. 플랫폼은 참여자들이 만날 수 있는 인프라를 만들어 주고, 이들에게 도구와 규칙
을 제공함으로써, 이들이 쉽게 그리고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가치를 주고 받는다.
플랫폼 성패의 관건, 핵심 상호작용 디자인
플랫폼을 설계할 때는 가장 먼저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핵심 상호작용’을 설계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
다. 핵심 상호작용은 플랫폼에서 일어나는 가장 중요한 활동이다. 그리고 이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을 맨 처
음 플랫폼으로 끌어들이는 가치의 교환과 관련되어 있다.
핵심 상호작용에는 참여자, 가치 단위, 필터 등 3가지 핵심 요소가 수반된다.
이 3가지 요소는 반드시 명확하게 정의해야 하며, 사용자들이 핵심 상호작용을 최대한 간편하고 매력적이
며 가치있게 느낄 수 있도록 신중하게 설계해야한다. 플랫폼의 가장 기본적인 목표는 이러한 핵심 상호작
용을 촉진하는데 있다.
플랫폼이 정확히 무엇을 수행하며,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물어야 한다.
플랫폼은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여 이들이 서로 가치를 교환 할 수 있게 해준다.
플랫폼의 생산자와 소비자는 언제나 3가지를 주고 받는다.
1. 정보 2. 상품이나 서비스 3. 통화의 형태를 띤 것들
정보의 교환은 무조건 용이하게
- 모든 플랫폼에서 상호작용은 정보의 교환에서 시작한다.
상품·서비스 교환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 정보를 교환하고 나면, 플랫폼 참여자들은 가치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교환하기로 마음 먹을 수 있다.
플랫폼 사용자들이 주고받는 각 아이템을 ‘가치 단위(value unit)라고 부른다.
84
참여자의 역할, 범위를 명확하게 파악하라
기본적으로 모든 핵심상호작용의 참여자는 둘이다. 하나는 가치를 창출하는 생산자, 다른 하나는 가치를
소비하는 소비자이다. 핵심상호작용을 정의할 때 두 참여자의 역할은 모두 명확하게 기술하고 파악해야 한
다. 같은 사용자가 다른 상호작용에서는 다른 역할을 할 수 있다.
에어비앤비에서는 호스트이면서 게스트이고, 유튜브에서는 동영상을 올리기도 시청하기도 한다.
- 이베이나 에어비엔비의 제품 서비스 목록 정보는 판매자가 만든 가치 단위
- 킥스타터(Kickstarter)와 같은 플랫폼에서 프로젝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잠재적 후원자들이
투자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해주는 가치단위
- 유튜브의 동영상, 트위터의 트윗, 링크드인의 전문가 프로필, 우버의 이용 가능한 차량 목록도 모두
가치 단위
우버 운전자들은 차량의 위치, 승객탑승 여부 등 다양한 요소 공유(이런 정보들이 가치 단위), 탑승객은 자
신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필터를 설정한다. 이런 정보 교환이 일어나면, 클릭 몇 번 후 도착-탑승-계좌
에서 지급이 이뤄지고 핵심 상호작용이 완료된다. 가치가 생성되고 교환이 이뤄진 것!
참여자 + 가치단위 + 필터 => 핵심 상호 작용
Ex)
Ex)
Ex)
Ex)
가치 단위는 핵심 상호작용에서 나온다.
핵심 상호작용은 생산자에 의해 가치 단위가 만들어지는 것에서 시작된다.
필터는 가치 단위의 효과적 이용을 위한 필수 요소
필터는 플랫폼이 사용하는 알고리즘 형태의 소프트웨어 기반 도구로, 사용자들이 적절한 가치 단위를 교
환 할 수 있게 해 준다. 필터가 잘 설계 되어 있을 경우 플랫폼 사용자들은 자신들과 관련이 있으면서 유용
한 가치 단위만을 제공받을 수 있다.
파살(Fasal) : 인도 시골 농부들과 중개상과 기타 구매자들을 연결해 주는 온라인 시스템
파살을 통해 농부들은 가까운 시장 여러 곳에서 농산품이 얼마에 팔리는지 신속하게 알 수 있으며, 어느
시장에 상품을 내놔야 가장 유리한지도 알 수 있다. 또 데이터를 가지고 가격을 협상 할 수도 있다. 스마트
폰을 이용 영세 농민들이 절실히 필요로 하는 시장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가 됨.
출처 : Rajiv Banker, Sabyasachi Mitra, and Vallabh Sambamurthy , "The Effects of Digital Trading
Platforms on Commodity Prices in Agricultural Supply Chains," MIS Quarterly 35, no.3 (2011) : 599-611
끌어오고, 촉진하고, 매칭시키는 플랫폼의 디자인
플랫폼의 핵심 목적 : 핵심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
가치있는 핵심 상호작용이 많이 일어나게 하려면, 플랫폼은 3가지 핵심 기능을 반드시 수행해야 한다.
1. 끌어오기
2. 촉진하기
3. 매칭하기
85
무엇을 가지고 누구를, 어디에서 끌어올 것인가
매칭에 필요한 개인정보 확보 방법은 다양
플랫폼이 처리 할 수 있는 데이터가 많을 수록-그리고 데이터를 수집, 조직, 분류, 분석, 해석하는데 사용할
알고리즘이 잘 설계되어 있을수록- 더 정확하게 필터링 할 수 있고, 연관성과 유용성이 더 높은 정보를 주
고 받을 수 있다.
페이스북은 사용자들이 최소한 몇 명의 다른 사용자들과 친구관계을 맺었을 때 플랫폼이 가치 있다고 느
끼는지를 알아냈다. 페이스북은 마케팅 방법을 신규 회원 가입 유치에서 회원들간의 친구 맺기를 독려하는
쪽으로 선회했다.
사용자들이 계속 플랫폼으로 들어오게 만드는 가장 강력한 도구 중 하나가 피드백 고리이다.
효과적인 피드백 고리는 네트워크 확장, 가치 생성, 네트워크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
플랫폼에서 교환되는 무형의 통화 가치는 사용자들을 끌어들이는 플랫폼의 중요 요인
Ex) 무형의 통화 : 관심, 인기, 영향력
발명품 플랫폼 퀄키(Quirky) : 사용자들이 자체 도구를 이용하여 획기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놓고 협력 할 수 있게 해줌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장벽을 없애기도(ex:인스타그램), 높이기도 한다(ex:시터시터(Sittercity)
베이비 시터 플랫폼은 사용자들(부모)간의 신뢰를 얻기 위해 아무나 생산자(베이비시터)로 가입할 수 없게
엄격한 규칙 적용
신원, 성별, 국적, 위치, 관계 상태, 연력, 특정 시점의 관심사 등 명확한 데이터 수집 전략 필요
-인센티브 지공, 게임 요소 차용
Ex)
Ex)
Ex)
어떻게 바람직한 상호작용만 촉진할 것인가?
플랫폼은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을 통제하지 않는다. (정보 공장)
플랫폼은 가치를 창출하고 교환 할 수 있게 하는 인프라를 만들고, 이러한 상호작용을 관리할 원칙들을 설
계한다. 이러한 모든 활동이 ‘촉진하기‘ 과정이다.
상호작용을 촉진한다는 말은 생산자가 플랫폼에서 가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만들어 교환하는 일을 최대
한 쉽게 해 준다는 뜻이며, 그러려면 협업과 공유에 필요한 크리에이티브 툴을 제공할 수 도 있다.
81~83p 출처 : 마셜 밴 앨스타인 외 공저(이현경 옮김), <플랫폼 레볼루션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지배할 플랫폼 비즈니스의 모
든 것>, 부키(2017).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Weitere ähnliche Inhalte

Was ist angesagt?

Conf EXALT TLD - ChatGPT impact Design
Conf EXALT TLD - ChatGPT impact DesignConf EXALT TLD - ChatGPT impact Design
Conf EXALT TLD - ChatGPT impact DesignTanguyLeDuff1
 
A lógica por trás de UX Writing
A lógica por trás de UX WritingA lógica por trás de UX Writing
A lógica por trás de UX WritingMergo
 
Introduction to Service Design Thinking & Doing
Introduction to Service Design Thinking & DoingIntroduction to Service Design Thinking & Doing
Introduction to Service Design Thinking & DoingJacquelyn Brioux
 
Visual tools to design
Visual tools to designVisual tools to design
Visual tools to designRoberta Tassi
 
Gênesis revisitado livro zecharia sitchin
Gênesis revisitado livro zecharia sitchinGênesis revisitado livro zecharia sitchin
Gênesis revisitado livro zecharia sitchinSamoel Moreira
 
実務視点のデザイン経営
実務視点のデザイン経営実務視点のデザイン経営
実務視点のデザイン経営Concent, Inc.
 
【株式会社キャラット様】Social insightご導入後マニュアル210706
【株式会社キャラット様】Social insightご導入後マニュアル210706【株式会社キャラット様】Social insightご導入後マニュアル210706
【株式会社キャラット様】Social insightご導入後マニュアル210706YukaKaneshiro
 
WTF - Why the Future Is Up to Us - pptx version
WTF - Why the Future Is Up to Us - pptx versionWTF - Why the Future Is Up to Us - pptx version
WTF - Why the Future Is Up to Us - pptx versionTim O'Reilly
 
Design, Promote, Repeat: How Long-Term Marketing Strategies Lead to Success
Design, Promote, Repeat: How Long-Term Marketing Strategies Lead to SuccessDesign, Promote, Repeat: How Long-Term Marketing Strategies Lead to Success
Design, Promote, Repeat: How Long-Term Marketing Strategies Lead to SuccessShortStack
 
ユーザビリティテストの世界「入門編」
ユーザビリティテストの世界「入門編」ユーザビリティテストの世界「入門編」
ユーザビリティテストの世界「入門編」Tarumoto Tetsuya
 
Behavioural science - Approaches to Improve UX
Behavioural science - Approaches to Improve UXBehavioural science - Approaches to Improve UX
Behavioural science - Approaches to Improve UXUser Vision
 
PDCAとOODAの違いとは?
PDCAとOODAの違いとは?PDCAとOODAの違いとは?
PDCAとOODAの違いとは?Mizuhiro Kaimai
 
Game On: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how games are changing the world
Game On: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how games are changing the worldGame On: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how games are changing the world
Game On: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how games are changing the worldJeremy Johnson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이해와 실습 (Seoul Creative Lab 교육과정): 김정태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이해와 실습 (Seoul Creative Lab 교육과정): 김정태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이해와 실습 (Seoul Creative Lab 교육과정): 김정태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이해와 실습 (Seoul Creative Lab 교육과정): 김정태Jeongtae Kim
 
Heuristics — The Holy Grail of UX
Heuristics — The Holy Grail of UXHeuristics — The Holy Grail of UX
Heuristics — The Holy Grail of UXDarren Hood, MSUXD
 
Cross-channel ecosystems strategy
Cross-channel ecosystems strategyCross-channel ecosystems strategy
Cross-channel ecosystems strategyAndrea Resmini
 
発展的評価 理解のためのはじめの一歩
発展的評価 理解のためのはじめの一歩発展的評価 理解のためのはじめの一歩
発展的評価 理解のためのはじめの一歩CSONetworkJapan
 
IDEO's design thinking.
IDEO's design thinking. IDEO's design thinking.
IDEO's design thinking. BeeCanvas
 
UXPA 2023: Making UX a Business Outcome: A Framework
UXPA 2023: Making UX a Business Outcome: A FrameworkUXPA 2023: Making UX a Business Outcome: A Framework
UXPA 2023: Making UX a Business Outcome: A FrameworkUXPA International
 
株式会社Imagineers' Guild 開発事例 2021/03
株式会社Imagineers' Guild 開発事例 2021/03株式会社Imagineers' Guild 開発事例 2021/03
株式会社Imagineers' Guild 開発事例 2021/03Dan Imagineer
 

Was ist angesagt? (20)

Conf EXALT TLD - ChatGPT impact Design
Conf EXALT TLD - ChatGPT impact DesignConf EXALT TLD - ChatGPT impact Design
Conf EXALT TLD - ChatGPT impact Design
 
A lógica por trás de UX Writing
A lógica por trás de UX WritingA lógica por trás de UX Writing
A lógica por trás de UX Writing
 
Introduction to Service Design Thinking & Doing
Introduction to Service Design Thinking & DoingIntroduction to Service Design Thinking & Doing
Introduction to Service Design Thinking & Doing
 
Visual tools to design
Visual tools to designVisual tools to design
Visual tools to design
 
Gênesis revisitado livro zecharia sitchin
Gênesis revisitado livro zecharia sitchinGênesis revisitado livro zecharia sitchin
Gênesis revisitado livro zecharia sitchin
 
実務視点のデザイン経営
実務視点のデザイン経営実務視点のデザイン経営
実務視点のデザイン経営
 
【株式会社キャラット様】Social insightご導入後マニュアル210706
【株式会社キャラット様】Social insightご導入後マニュアル210706【株式会社キャラット様】Social insightご導入後マニュアル210706
【株式会社キャラット様】Social insightご導入後マニュアル210706
 
WTF - Why the Future Is Up to Us - pptx version
WTF - Why the Future Is Up to Us - pptx versionWTF - Why the Future Is Up to Us - pptx version
WTF - Why the Future Is Up to Us - pptx version
 
Design, Promote, Repeat: How Long-Term Marketing Strategies Lead to Success
Design, Promote, Repeat: How Long-Term Marketing Strategies Lead to SuccessDesign, Promote, Repeat: How Long-Term Marketing Strategies Lead to Success
Design, Promote, Repeat: How Long-Term Marketing Strategies Lead to Success
 
ユーザビリティテストの世界「入門編」
ユーザビリティテストの世界「入門編」ユーザビリティテストの世界「入門編」
ユーザビリティテストの世界「入門編」
 
Behavioural science - Approaches to Improve UX
Behavioural science - Approaches to Improve UXBehavioural science - Approaches to Improve UX
Behavioural science - Approaches to Improve UX
 
PDCAとOODAの違いとは?
PDCAとOODAの違いとは?PDCAとOODAの違いとは?
PDCAとOODAの違いとは?
 
Game On: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how games are changing the world
Game On: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how games are changing the worldGame On: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how games are changing the world
Game On: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how games are changing the world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이해와 실습 (Seoul Creative Lab 교육과정): 김정태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이해와 실습 (Seoul Creative Lab 교육과정): 김정태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이해와 실습 (Seoul Creative Lab 교육과정): 김정태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이해와 실습 (Seoul Creative Lab 교육과정): 김정태
 
Heuristics — The Holy Grail of UX
Heuristics — The Holy Grail of UXHeuristics — The Holy Grail of UX
Heuristics — The Holy Grail of UX
 
Cross-channel ecosystems strategy
Cross-channel ecosystems strategyCross-channel ecosystems strategy
Cross-channel ecosystems strategy
 
発展的評価 理解のためのはじめの一歩
発展的評価 理解のためのはじめの一歩発展的評価 理解のためのはじめの一歩
発展的評価 理解のためのはじめの一歩
 
IDEO's design thinking.
IDEO's design thinking. IDEO's design thinking.
IDEO's design thinking.
 
UXPA 2023: Making UX a Business Outcome: A Framework
UXPA 2023: Making UX a Business Outcome: A FrameworkUXPA 2023: Making UX a Business Outcome: A Framework
UXPA 2023: Making UX a Business Outcome: A Framework
 
株式会社Imagineers' Guild 開発事例 2021/03
株式会社Imagineers' Guild 開発事例 2021/03株式会社Imagineers' Guild 開発事例 2021/03
株式会社Imagineers' Guild 開発事例 2021/03
 

Ähnlich wie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seekly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seekly
 
세미나결과집 공유도시를 둘러싼 환경변화와 미래전망-공간공유사례를 중심으로
세미나결과집 공유도시를 둘러싼 환경변화와 미래전망-공간공유사례를 중심으로세미나결과집 공유도시를 둘러싼 환경변화와 미래전망-공간공유사례를 중심으로
세미나결과집 공유도시를 둘러싼 환경변화와 미래전망-공간공유사례를 중심으로UrbanHybrid
 
[NSPACE] 주거인권캠프 발표자료 : 공유공간으로세상을바꾸자
[NSPACE] 주거인권캠프 발표자료 : 공유공간으로세상을바꾸자[NSPACE] 주거인권캠프 발표자료 : 공유공간으로세상을바꾸자
[NSPACE] 주거인권캠프 발표자료 : 공유공간으로세상을바꾸자Sue Hyun Jung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SIMIN
 
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
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
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Jaeheung Lee
 
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yewon Shin
 
대구의 ‘닷 탱크’ 포럼 창조도시를 꿈꾸며
대구의 ‘닷 탱크’ 포럼 창조도시를 꿈꾸며대구의 ‘닷 탱크’ 포럼 창조도시를 꿈꾸며
대구의 ‘닷 탱크’ 포럼 창조도시를 꿈꾸며Han Woo PARK
 
사물인터넷 도시조성 워크숍- 북촌IoT 실증사업 사례발표
사물인터넷 도시조성 워크숍- 북촌IoT 실증사업 사례발표 사물인터넷 도시조성 워크숍- 북촌IoT 실증사업 사례발표
사물인터넷 도시조성 워크숍- 북촌IoT 실증사업 사례발표 Misuk HAN
 
커뮤니티매핑 사례발표
커뮤니티매핑 사례발표커뮤니티매핑 사례발표
커뮤니티매핑 사례발표ChangMin Oh
 
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
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
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actioncan
 
우리동네 공유공간을 찾아라...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로컬커넥터 앤스페이스
우리동네 공유공간을 찾아라...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로컬커넥터 앤스페이스우리동네 공유공간을 찾아라...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로컬커넥터 앤스페이스
우리동네 공유공간을 찾아라...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로컬커넥터 앤스페이스Sue Hyun Jung
 
택티컬 어버니즘 택티컬어버니즘 택티컬어바니즘 택티컬 어바니즘
택티컬 어버니즘 택티컬어버니즘 택티컬어바니즘 택티컬 어바니즘택티컬 어버니즘 택티컬어버니즘 택티컬어바니즘 택티컬 어바니즘
택티컬 어버니즘 택티컬어버니즘 택티컬어바니즘 택티컬 어바니즘ChangeWalk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Sang Hyun Park
 
앤스테이블 : 더 좋은 공간을 위한 자료 ..............................
앤스테이블 : 더 좋은 공간을 위한 자료 ..............................앤스테이블 : 더 좋은 공간을 위한 자료 ..............................
앤스테이블 : 더 좋은 공간을 위한 자료 ..............................master660140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actioncan
 
스마트 구로 홍보관 _ MnM case study book vol1
스마트 구로 홍보관 _ MnM case study book vol1스마트 구로 홍보관 _ MnM case study book vol1
스마트 구로 홍보관 _ MnM case study book vol1M&M Networks
 
소셜스탁 소셜이노베이션캠프 본선 Ppt
소셜스탁 소셜이노베이션캠프 본선 Ppt소셜스탁 소셜이노베이션캠프 본선 Ppt
소셜스탁 소셜이노베이션캠프 본선 PptiCOOP KOREA
 

Ähnlich wie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세미나결과집 공유도시를 둘러싼 환경변화와 미래전망-공간공유사례를 중심으로
세미나결과집 공유도시를 둘러싼 환경변화와 미래전망-공간공유사례를 중심으로세미나결과집 공유도시를 둘러싼 환경변화와 미래전망-공간공유사례를 중심으로
세미나결과집 공유도시를 둘러싼 환경변화와 미래전망-공간공유사례를 중심으로
 
[NSPACE] 주거인권캠프 발표자료 : 공유공간으로세상을바꾸자
[NSPACE] 주거인권캠프 발표자료 : 공유공간으로세상을바꾸자[NSPACE] 주거인권캠프 발표자료 : 공유공간으로세상을바꾸자
[NSPACE] 주거인권캠프 발표자료 : 공유공간으로세상을바꾸자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
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
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
 
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
 
대구의 ‘닷 탱크’ 포럼 창조도시를 꿈꾸며
대구의 ‘닷 탱크’ 포럼 창조도시를 꿈꾸며대구의 ‘닷 탱크’ 포럼 창조도시를 꿈꾸며
대구의 ‘닷 탱크’ 포럼 창조도시를 꿈꾸며
 
사물인터넷 도시조성 워크숍- 북촌IoT 실증사업 사례발표
사물인터넷 도시조성 워크숍- 북촌IoT 실증사업 사례발표 사물인터넷 도시조성 워크숍- 북촌IoT 실증사업 사례발표
사물인터넷 도시조성 워크숍- 북촌IoT 실증사업 사례발표
 
4강_송하진
4강_송하진4강_송하진
4강_송하진
 
커뮤니티매핑 사례발표
커뮤니티매핑 사례발표커뮤니티매핑 사례발표
커뮤니티매핑 사례발표
 
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
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
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
 
우리동네 공유공간을 찾아라...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로컬커넥터 앤스페이스
우리동네 공유공간을 찾아라...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로컬커넥터 앤스페이스우리동네 공유공간을 찾아라...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로컬커넥터 앤스페이스
우리동네 공유공간을 찾아라...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로컬커넥터 앤스페이스
 
택티컬 어버니즘 택티컬어버니즘 택티컬어바니즘 택티컬 어바니즘
택티컬 어버니즘 택티컬어버니즘 택티컬어바니즘 택티컬 어바니즘택티컬 어버니즘 택티컬어버니즘 택티컬어바니즘 택티컬 어바니즘
택티컬 어버니즘 택티컬어버니즘 택티컬어바니즘 택티컬 어바니즘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앤스테이블 : 더 좋은 공간을 위한 자료 ..............................
앤스테이블 : 더 좋은 공간을 위한 자료 ..............................앤스테이블 : 더 좋은 공간을 위한 자료 ..............................
앤스테이블 : 더 좋은 공간을 위한 자료 ..............................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
 
공유광주책자
공유광주책자공유광주책자
공유광주책자
 
스마트 구로 홍보관 _ MnM case study book vol1
스마트 구로 홍보관 _ MnM case study book vol1스마트 구로 홍보관 _ MnM case study book vol1
스마트 구로 홍보관 _ MnM case study book vol1
 
소셜스탁 소셜이노베이션캠프 본선 Ppt
소셜스탁 소셜이노베이션캠프 본선 Ppt소셜스탁 소셜이노베이션캠프 본선 Ppt
소셜스탁 소셜이노베이션캠프 본선 Ppt
 

Mehr von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
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
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Mehr von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
[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
[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
 
[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
[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
[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
 
[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
[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
[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
 
[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
[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
[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
 
[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
[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
[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
[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
[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Kai
KaiKai
Kai
 
Daegu
DaeguDaegu
Daegu
 
Brown
BrownBrown
Brown
 
Gamin
GaminGamin
Gamin
 
dazzayo
dazzayodazzayo
dazzayo
 
Dsi
DsiDsi
Dsi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
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
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 1. 1
  • 2. 2
  • 3. 3 "정말 우리가 이렇게 모여서 얘기한 것들이 실제로 만들어 진다고요?" "그럼요!" "너무 좋아요. 지금까지는 그냥 모여서 얘기하는 것으로 끝나서 이번에도 그럴 줄 알았어요." - 심화 리빙랩 1회차 中
  • 4. 4 도시에는 왜 플랫폼이 필요한가? 4차 산업혁명, 초 연결 시대 도시가 부가가치 창출의 주체 이제 우리는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자원과 연결되어 창의적인 협력이 가능한 세상을 살아가게 되었습니다. 또한 4차 산업 혁명과 함께 부가가치 창출의 주체가 기업에서 도시로 옮겨가고 있으며, 주민자치 시대가 본격화되고 있습니 다. 이제 우리 도시(마을)는 이러한 프레임의 변화에 적합한 연결 및⸳ 협력 그리고 이를 위한 소통 도구가 필요합니 다. 왜 플랫폼인가? 기차 플랫폼은 각지에서 온 사람들과 각지로 떠나려는 사람들이 타고 내리는 장소입니다. 도시(마을) 플랫폼은 구성 주체의 데이터가 도시로 모이고 도시의 데이터가 구성 주체로 퍼져나가는 (도시)데이터 자본의 축적 인프라입니다. 딜로이트(Deloitte)는 4가지 기업유형 중 네트워크 조정자(플랫폼 기업)가 가장 효율적으로 가치를 창출한다는 연 구 보고서를 냈습니다. 정보의 교차가 일어나는 플랫폼은 가치의 생산과 소비를 만들어 내며 새로운 도시 비즈니스 창출의 기반이 되고, 구 성원이 주체가 되어 매 순간 생동하며 발전해 가는 근간이 될 것입니다. 또한 구성원 간 상호협력과 발전의 경험은 제 3의 자본인 ‘신뢰’라는 사회적 자본으로 축적되어, 도시 경쟁력을 강화시킬 것입니다. 이에 본 기획 리빙랩은 마을(도시)단위 사회⋅ 경제 협력 도구(tool)로서 ‘마을플랫폼’을 주제로 선정하였습니다. 인하대학교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김 정 은
  • 5. 5 마을 협력 디지털 인프라, 주미니 프로젝트의 기획 Living Lab 마을 플랫폼(App) 기획, ‘주미니’ 프로젝트는 기업에서 도시로 가치창출의 중심이 변화하고, 주민자치가 시작되 는 시점에 1) 필요한 마을 협력 디지털 인프라를 기획, 설계하고 2) 궁극적으로는 마을의 순환경제비즈니스모 델(CEBM, Circular Economy Business Model)을 구축하기 위해, 인천시와 미추홀구의 지원을 받은 4개월 (2020년 8월~11월) 프로젝트입니다. 본 프로젝트에서 Inha Living Lab Networks의 역할은 1) Living Lab 의 공통 프레임 워크 및 구현 계획을 개발, 2) 미래 마을 및 마을 플랫폼에 대한 큰 틀 제시, 3) Living Lab 활동에 대한 최종 사용자 및 이해 관계자의 참여를 조정하는 것입니다. 본 프로젝트는 방법론적 접근 방식에 대한 문헌연구 결과와 사례를 바탕으로 도출한 ‘Design thinking + 4P_ SCLLM’을 기초로 진행했습니다. Inha Living Lab Networks의 Living Lab 접근 방식 지식은 연구진이 지혜는 주민이 수평적 참여형 혁신_마을연구원제도 인하대 Living Lab Networks의 역할은 교육, R&D 및 지역 개발을 통합하는 것입니다. 인하대 Living Lab Networks는 혁신 이니셔티브 네트워크와 문화를 개발하고 플랫폼, 방법론 및 증거 기반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지 역, 국가 및 국제 수준에서 중개자로 자리 매김하고자 합니다. * 주미니 뜻 1. 주민 자치 시대 주민에 의한, 주민을 위한, 주민의 플랫폼 2. 주머니의 방언으로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우리 마을
  • 6. 6 목차 1 Intro 우리가 만들 리빙랩 도시에는 왜 플랫폼이 필요한가? 2 6 9 9 10 12 13 리빙랩의 특성 진행방식 기획의도 커리큘럼 우리가 만들 리빙랩에 필요한 것은?
  • 7. 7 18 16 14 20 38 51 60 58 66 88 3 문헌 연구 발표 자료 활동 사진 부록 2 오리엔테이션 리빙랩 진행일지 타임라인 기초 리빙랩 1) 마을을 배우다 : 금융경제 교수가 스마트 시티를 하는 이유 3) 마을을 그리다 : 마을 르네상스 시대 5) 마을을 그리다 : 우리가 살게 될 스마트 시티에 대한 이해 2) 마을을 배우다 :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마을은 4) 마을을 그리다 : 산업혁명시대 마을 민주주의와 자치 6) 마을을 그리다 : 마을 플랫폼 설계 시작 리빙랩 진행일지 시범모델 등 결과보고 심화 리빙랩 1) 마을을 만들다 :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1 3) 마을을 만들다 : 마을 플랫폼 비쥬얼리제이션 2) 마을을 만들다 :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2 4) 마을을 만들다 : 마을 플랫폼 프로토타입을 위한 디자인 마을을 배우다 마을을 그리다 마을을 만들다
  • 8. 8 리빙랩 주제 주민ㆍ연구진ㆍ지자체ㆍ개발자가 수평적 참여형 혁신으로 함께 만드는 주민중심 마을 협력 도구 '마을 플랫폼'
  • 10. 10 인하대 디지털혁신전략센터의 리빙랩 "지식은 연구진이, 지혜는 주민이!" LIVING LABS 리빙랩 삶의 현장 실험실 REAL-LIFE CONTEXT Target group & behavioural definers Users Practical know-how & resources Expertise & scientific substantiantion Long term perspective & regulatory role Public actors Private actors Knowledge institutes 지자체 연구진 마을 연구원 (주민) 개발자 Living 랩은 마을(도시)이 부가가치 창출의 중심이 되는 4차 산업혁명, 주민자치 시대에 우리가 사는 곳을 더 좋은 곳으로 만들어 나가는주민 주도 수평적 참여형 혁신 방법론입니다. 리빙랩은 일상의 문제해결에 있어 공동체 영역 을 한데 묶어 연구와 실행을 연결하는 개방형 혁신 플랫폼으로 주민자치, 스마트 시티 구축의 중요한 접근법으로 떠 오르고 있습니다. 동네 골목 쓰레기 문제와 주차난, 대기오염과 미세먼지 피해 등 우리 사회가 풀어가야 할 모든 문제가 리빙랩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가 사는 주택과 골목, 아파트 단지, 재래시장, 학교 교실, 회사 생산 현장, 온라인 커뮤니티 등 모든 삶의 현장이 실험실이 될 수 있습니다. <Amsterdam Institute for Advanced Metropolitan Solutions 의 리빙랩 구성원> <인하대 Living Lab Networks 의 구성원>
  • 11. 11 리빙랩의 특성 기획의도 리빙랩은 아이디어 수립부터 사업화 단계 간의 간극을 줄이고 혁신 활동의 생산성 및 효과를 제고합니다. 리빙랩은 최고의 대답이 아닌 더 나은 해답을, 단순한 데이터 계산이 아니라 복잡한 인간의 경험을 반영합니다. 따라서 리빙랩 활동에서는 참여하는 사용자들의 특성 파악 및 사회 영향 평가가 중요합니다. 리빙랩은 우리가 사는 곳을 더 좋은 곳으로 만들어나가는 ‘수평적 참여형’ 혁신 방법론입니다. 1차적으로 는 마을(도시)을 4차 산업혁명 시대 부가가치 창출의 중심으로 변화시킵니다. 비즈니스 모델 차원에서도 실행단계 간의 간극을 줄이고 혁신 활동의 생산성 및 효과를 제고할 수 있습니다. 마을 플랫폼(App) 기획, ‘주미니’ 프로젝트는 인천시와 미추홀구의 지원을 받아 인하대 디지털혁신전략센터 팀이 4개월간(2020년 8월~11월) 진행한 프로젝트입니다. 기업에서 도시로 가치 창출의 중심이 변화하고, 주민자치시 대가 시작되는 시점에 필요한 마을 협력 디지털 인프라를 기획, 설계하고 궁극적으로는 마을의 순환 경제 비즈니스 모델(CEBM, Circular Economy Business Model)을 구축하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본 기획을 진행한 인하대 디지털혁신전략센터는 개방형 혁신 생태계에 대한 유럽형 리빙랩의 정의를 기반으로 합니다. 인하대 팀은 마을 협력 플랫폼(App) 개발에 큰 틀을 제시해 이해 관계자의 참여를 조정하고자 노력했습니 다. 또한 본 연구진은 국내외 14개 리빙랩 모델과 방법론 연구를 검토했습니다. 본 기획에는 '디자인 씽킹' 방법론과 4P-SCLLM(4P Smart City Living Lab Model) 모델을 접목해 진행했습니다. (부록 60~65p) 1.주미니’란 본 기획을 바탕으로 설계될 마을 플랫폼의 이름(가칭)이다. 크게는 주민자치 시대에 '주민에 의한, 주민을 위한, 주 민'의 플랫폼이라는 뜻과 2.주머니의 방언으로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우리 마을' 플랫폼이란 뜻을 통칭한다. 중앙화 국가중심 제품(신기술) 분권화 도시(마을)중심 서비스(기술융합) 1~3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 ⓒ 김정은. 2020
  • 12. 12 1 위코노미는 We + Economy의 합성어로 경제, 환경, 사회복지가 연결되어 있어 비즈니스를 성공하려면 사회적 대의를 추구 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리빙랩은 아이디어 발현→의제설정→실제활동→피드백(확산)의 반복으로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에 본 기획에서는 (플랫폼을 완성한 후 논의하지 않고) 마을에 필요한 기능을 미추홀구 주민들로부터 먼저 도출한 후 이를 구체화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수평적 참여형 Living Lab으로서의 실질적 마을 협력 솔루 션을 기획했습니다. 본 연구진은 리빙랩 운영 핵심 원칙, 필수 조건 그리고 핵심 활동 요소들이 모두 Living(마을) 플랫폼에 중요한 요소 임을 확인했습니다. 이에 '마을자원-공간-사람-기관'의 연결을 본 연구의 주요 테마로 설정했습니다. 또한 리빙랩 원칙과 필수 조건의 궁극적 목표를 각각 가치와 실용화(사업화)로 보고 이 두 가지를 담은 '나를 위한 것이 곧 우리를 위한 것'이라는 위코노미1 지향을 목표했습니다. 한편 국내·외 리빙랩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국외의 경우 공공(Public), 민간(Private), 시민(People) 등이 ICT 기술을 바탕으로 지역·도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반면 국내는 공공(Public), 시민 (People)주도로 진행되 고 있으며,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사례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본 기획 리빙랩은 [기본 리빙랩]과 [심 화 리빙랩]으로 구분하고 기본 리빙랩에는 대표 개발자가, 심화 리빙랩에는 분임 별 개발자가 각 1명씩 참석함으로 서 공공, 시민, 기업이 함께 진행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미래 마을 협력 도구의 설계를 위해선 먼저 4차 산업혁명과 우리가 사는 세상, 그 속에서의 모습에 대한 이해와 논의의 장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이런 필요성을 전달하기에 강연 형식은 일방적이라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에 생소한 개념에 대한 쉽고 편안한 접근을 돕고자 인문학 콘서트 형식을 형태로 본 기획을 진행했습니다. 진행 방식
  • 13. 13 인문학 콘서트 본 기획 리빙랩은 인문학 콘서트 형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우리가 사는 지역 사회의 문제를 함께 인식하고 의견을 취합하는 수평적 참여 형태를 지향했습니다. 전문적인 내용들도 친근한 설명으로 들으니 이해가 잘 됐습니다. 듣기에 그치지 않고 참여자(마을 연구원)들도 함께 의견을 나누기 편했습니다. 살기 좋은 마을을 만드는 데 필요한 지식, 실무자, 연구자 등을 함께 만나다 보니 정말 인문학에 가까워진 기분이었어요. 강의에 대해 궁금한 점을 바로 질문하면서 생각을 확장해 갈 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 14. 14 과정 회차 주제 강 연 자 기초 1 금융경제 교수가 스마트 시티를 하는 이유 김정은 (인하대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2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마을은 김정은 3 마을 르네상스 시대 유문종 (전 수원 마을 르네상스 센터장) 4 산업혁명 시대 마을 민주주의와 자치 이지헌 (주 ABC 부사장) 5 우리가 살게 될 스마트 시티에 대한 이해 김정은 6 마을 플랫폼 설계 시작 김정은 심화 1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1 김정은 공동진행 : 권석빈(주 시그나 한국대표) 2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2 3 마을 플랫폼 비쥬얼리제이션 4 마을 플랫폼 프로토타입을 위한 디자인 커리큘럼 * 위 프로그램은 제출한 본래 기획내용을 바탕으로 기재했으며, 주민 참여율에 따라 유동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수업에 변동 발생한 경우에는 회차별 페이지에 별도 기재했습니다. 진행기간 : 2020.08~2020.11(4개월간) 시간: 회차당 90분 내외(토론 포함) 장소 : 인하대학교 강의실 참가자 : 강연자, 마을 연구원, 개발자 등 연구책임자 : 김정은
  • 15. 15 과제 과제 과제 우리가 만들 리빙랩에 필요한 것은? 첫째, 지향하는 목적과 가치에 맞게 기존의 리빙랩 프로세스 커스터 마이징(적용) 둘째, 참여자 간 유기적인 의사소통실현을 위한 네트워크 설계 구현 셋째, 지속적으로 운영 가능한 한국형 리빙랩 모델 넷째, 정부, 공공기관, 기업, 대학, 시민 간 편리한 소통 체계 다섯째,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소통의 장(온·오프라인 플랫폼) 우리의 마을을 함께 만들고자 하는 고귀한 여러분의 의도와 행동을 이룰 수 있게, 4차 산업 혁명과 미래라는 생소하고 어려워 보이는 주제이지만 이번 리빙랩에서 우리 함께 그 모험을 시작해보자! As-Is To-Be 우리가 살고 있는 마을 우리가 살고 싶은 마을 한 걸음 한 걸음 우리가 원하는 마을에 도착하기 위해 하나씩 해결할 문제들을 잘 도출하기 위해 이 과정이 잘 이뤄질 수 있는 마을 플랫폼(App)을 설계하자! =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 To-Be와 As-Is의 차이점 - 최민주 외 (2020) ⓒ 김정은. 2020
  • 16. 16 '마을 플랫폼' 설계의 시작을 우리가 살고 싶은 '마을'을 정의하고 공감하는 것부터 시작해 보자. 각자 살고 싶은 '마을'의 이미지, 역할 그리고 그 말이 담고 있는 뜻을 자유롭게 표현한 후 그것을 모아 우리가 만들 '마을'을 도출해보자.
  • 18. 18 마을 플랫폼 기본 기능 도출 실제 마을 협력 사업 설계 과제 수행을 통해 마을 플랫폼 기본 기능 도출 프로토 타입 리뷰1 앱 기획(와이어프레임) 프로토 타입 리뷰2 앱디자인과 사용자 경험 마을 플랫폼 심화 기능 도출 도출된 마을 플랫폼 기본 기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 리빙랩 진행일지 타임라인 1회차 2020.07.27 2회차 2020.08.03 3회차 2020.08.10 4회차 2020.08.17 1회차 2020.10.06 2회차 2020.10.12 3회차 2020.11.11 4회차 2020.11.23 협력의 필요성 우리는 왜 협력 도구가 필요한가! 협력의 단위, 마을 주민 자치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기능은? 기초 리빙랩 새로운 협력 인프라와 방식 4차 산업혁명(Digital transformation 시대), 스마트 시티(마을) 기반 인프라는 무엇인가? 새로운 협력의 도구, Block Chain (Trust machine) 협력 도구 어떤 기술로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심화 리빙랩
  • 19. 19 ※ 타임라인은 리빙랩의 흐름을 나타내기 위해 계획안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코로나 이후 발생한 변동사항에 관해서는 해당 강의차에 부연하였습니다. 5회차 2020.09.14 6-1회차 2020.09.21 6-2회차 2020.09.23 To Be 미래의 우리 마을 플랫폼은? (1) As Is 현재의 마을 플랫폼은? To Be 미래의 우리 마을 플랫폼은? (2)
  • 20. 20 오리엔테이션 2020.06.26 기획 시작 전 대표 마을 연구원분들을 모셨습니다. 진행 계획 과 회차별 주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마을 연구원들이 바 라는 부분에 대해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마을에서 어 떤 역할과 활동을 했는지 자신을 소개하고, 리빙랩 참여 동기, 기대 역할, 목표를 공유하며 개인의 니즈와 프로젝트의 목표 연계성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2020.07.24 '마을 연구원’ 위촉식을 진행했습니다. 해당 명칭은 '주민 연구원'과 '마을 연구원' 중 투표로 결정되었습니다. ‘연구원’이라는 호칭과 위 촉식을 통해 단순 참여자가 아닌 연구진이라는 인식을 심어 수평적 역할과 책임감을 형성했습니다. 수평적 참여형 혁신! '마을 연구원' 리빙랩 OT '마을 연구원' 위촉식 * 인하대학교는 국내 최초로 수평적 참여형 혁신의 리빙랩을 구현하고자 주민을 마을 연구원으로 위촉함 (2020.07.24)
  • 21. 21 본 리빙랩이 추구하는 방향 ㆍ수평적 참여  (주민을 마을 연구원으로 위촉-위촉식 진행, 명함 제작) ㆍ동기 부여  (인문학 콘서트) ㆍ공동목표와 가치 수립  (우리가 살고 싶은 '마을', '필요 활동', 이를 위한 '플랫폼 기능' 함께 정의) ㆍ친근한 공식화  (단톡방 운영, 리빙랩 회차별 다과를 함께) ㆍ모든 이해관계자의 관심사 포함  (상업적 측면 & 내부 열정) ㆍ동등한 관계  (마을 연구원) ㆍ믿음·신뢰 관계 구축  (리빙랩 전후 격식 없는 대화, 카톡으로 실시간 의견 공유) ㆍ낮은 임계값  (고등학생 자녀, 잠시 귀국한 친척 등도 참여) ㆍ마지막 리빙랩은 송년 파티로!  (공동체감 형성)
  • 22. 22
  • 23. 23 마을을 배우다 기초 리빙랩 금융경제 교수가 스마트 시티를 하는 이유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마을은 마을 르네상스 시대 22 24 26
  • 24. 24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Basic 1 김정은 인하대학교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Topic : 마을을 배우다 - 금융경제 교수가 스마트 시티를 하는 이유 “4차 산업혁명 시대, 기업이 아닌 도시가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아날로그 마을과 디지털 마을 2개가 필요하다” “디지털 마을의 Capital은 DATA” ㆍ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주체가 기업에서 도시로  변모해 나갈 것으로 예상됨 ㆍ미래 도시는 경제활동의 동력원이 데이터이며, 향후 각 마을 경쟁력은 마을 생태계  데이터의 활용도에 달려 있음 ㆍ아날로그 사회와 별개로 이상적인 디지털 마을을 만들고 상상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  이 중요해짐 ㆍ누구나 쉽게 참여하고 상상하고 소통할 수 있는 장소(플랫폼)가 필요함 ㆍ우리의 리빙 플랫폼 경쟁력은 마을 data 생태계를 어떻게 구축하고 활용할 것인가에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마을 구성원 모두가 디지털 마을 플랫폼에서 living할 수 있  어야 함 강의 요약 ※ 인문학 콘서트 1회차 발표자료는 부록 66, 67p
  • 25. 25 Question 마을 연구원 의견 As-Is To-Be 분석을 통한 과제 도출 우리 마을 데이터는 어떤 것이 있을까? 어떻게 모을까?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ㆍ우리 마을 데이터는 우리 마을에 있는 모든 것 : 마을 토론, 공공·민간 시설, 상가, 인구  구성, 마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형태의 교환과 주민들의 역량, 경험, 보유 물품, 생각 등 ㆍ미추홀 APP(플랫폼)을 만들 때 지역별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과 활용이 되  면 좋겠다. ㆍ파악된 마을별 개성과 특색을 플랫폼에 잘 반영해 내가 사는 마을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면 좋겠다. ㆍ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지만 동시에 타지역과는 차별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 1. 자연스럽게 마을의 유·무형 데이터를 모을 수 있는 카테고리 설계 필요 2. 많은 공감과 적극적 협력이 필요한 사안 도출 및 솔루션 설계 기능 필요 3. 동네, 구, 시로 영역 선택 설계
  • 26. 26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Basic 2 Topic : 마을을 배우다 -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마을은? "4차 산업혁명이라 쓰고 초연결 시대라고 읽는다" "중개 기관 중심(중앙화)의 협력 방식에서 P2P(분권화) 협력 방식으로" "시대에 적합한 협력 도구(시스템)가 경쟁력 창출의 핵심" ㆍ마을/국가 간 양극화 격차를 줄이고 기술발전의 혜택을 누구나 누릴 수 있도록 돕는  상상력 기반의 ‘기술 르네상스 시대’가 도래함 ㆍ초연결을 통한 P2P(분권화)가 발전하면서 경쟁에 적합한 협력방식 설계 및 도구  (시스템) 선정이 중요해짐 ㆍ4차 산업혁명이 조직과 시장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경제적 가치의 생산과 거래의 조직화에서 이전에 불가능했던 일들을 만들기 때문임 ㆍ모바일, 사물통신, 클라우드 등 신기술을 활용하며 발전하는 순환 경제 시대가 탄생  함. 특히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서로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 제작 가능함 강의 요약 김정은 인하대학교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 인문학 콘서트 2회차 발표자료는 부록 68, 76p
  • 27. 27 Question 마을 연구원 의견 As-Is To-Be 분석을 통한 과제 도출 크라우드 소싱이란? 블록체인이란 무엇인가요? 디지털 마을에서 우리의 협력 형태는?  →P2P , 경제 모델은 순환 경제 ㆍ마을의 유·무형 자원과 마을의 필요를 연결할 내부 협력 네트워크나 시스템이 부족하다. ㆍ필요 사항을 입력하면 해당 능력자 및 자원과 연결되는 기능이 있으면 좋겠다. ㆍ문제 파악 및 진행 상황 확인이 쉬웠으면 좋겠다. ㆍ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식빵을 쓸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 1. 주민간(P2P) 마을 자원 공유 및 거래 기능 설계 2. 마을 협력이 필요한 문제 정의 및 진행 상황 확인 기능 설계 3.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식빵 설계 필요
  • 28. 28 -> 지역경제 선순환 시너지 창출 가능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Basic 3 유문종 전 수원 마을 르네상스 센터장 Topic : 마을을 그리다 - 4차 산업혁명시대 마을 민주주의와 자치 "이제는 주민자치, 마을의 시대" "우리 마을에 어떤 복지가 필요할까?" "플랫폼 위에서 시너지를 융합하라" ㆍ각 지역/마을이 마주한 문제는 매우 다양하여 국가 단위 기준으로 파악하고 해결하  는데 어려움이 있음 ㆍ해결지역별 주민자치를 통해 해당 지역을 가장 잘 아는 마을 주민들이 복지 사각지대나  예산 중복 낭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ㆍ평상시 주민 의견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동시에 행정과 지역 주민 간 가교가 되어  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함 강의 요약 ※ 인문학 콘서트 3의 자료는 48p와 연결
  • 29. 29 Question 마을 연구원 의견 As-Is To-Be 분석을 통한 과제 도출 우리는 왜 협력해야 하는가? 초연결 시대에는 어떤 협력 단위가 적절한가? 주민자치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기능은? ㆍ지역 주민이 민원을 전달하면 실제로 반영되기까지 해당 행정처리 과정을 민원인이 직접  확인하기가 복잡하고 어렵다. ㆍ예산 편성 시기와 사업 제안 시기가 맞물리지 않거나 관할 주체가 중복되는 경우 예산  이 중복되거나 실현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 ㆍ주민자치, 주민총회뿐만 아니라 관련 사업부서 등 연계 유관이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표준형’ 마을 플랫폼이 필요하다. ㆍ마을 플랫폼(App)에 주민자치, 주민총회 그리고 연계 행정 기관 및 정보가 연결될 수  있게 설계되어야 한다. 1. 주민과 유관기관이 모두 쉽게 사용 가능한 표준화 DB 플랫폼 구축 2. 의견 제시 글 작성 시 제출 단계에서 전달사업부서 지정 -> 연계 기능 필요 3. 본인(자신)의 현재 민원 처리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카테고리 설계(My주미니현황 등)
  • 30. 30
  • 31. 31 마을을 그리다 기초 리빙랩 30 32 34 산업혁명 시대 마을 민주주의와 자치 우리가 살게 될 스마트 시티에 대한 이해 마을 플랫폼 설계 시작
  • 32. 32 Basic 4 이지헌 (주) 에이비씨 부사장 Topic : 마을을 그리다 - 4차 산업혁명시대 마을 민주주의와 자치 “상상을 현실로 만들어 줄 새로운 도구가 필요하다” “미래 세대, 마을 활동을 통해 공감 능력 키울 수 있다” “최적의 연구자는 바로 마을 연구원” ㆍ깃허브, 컨플루언스 등의 문서 기반 협업 도구가 등장하면서 참여자들이 제출한 아이  디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보관할 수 있게 됨 ㆍ다양한 아이디어(방식)를 수렴하기 위한 거버넌스 툴을 활용해 시스템 운영의 대상과  책임을 명확히 할 수 있음 ㆍ프로그래밍에 집중한 에자일(Agile) 개발 방식1 을 바탕으로 주체 간 상호작용 및 협업  (Co-work)을 원활하게 도울 수 있음 ㆍ마을 플랫폼 중 '마을'의 뜻과 역할을 합의 형성하고 진행하기 위해 위의 기능들을 적용  가능함 강의 요약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 참고 : 코로나 1.5단계 시행일로 철저한 사전 방역 및 테이블별 개인 위생용품(비닐장갑, 손 소독제 등) 배치 후 진행함 * 코로나 1.5 단계 및 에어컨 고장으로 인문학 콘서트 후 책임연구원이 지난 시간 브레인 스토밍 결과물 요약 브리핑 후 별도 팀 별 토론을 진행하지 않고 마침 * 에자일 개발 방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책 후반부 발표 자료 4회차 부분(p.73)에 수록되어 있다. ※ 인문학 콘서트 4회차 발표자료는 부록 77~80p
  • 33. 33 Question 마을 연구원 의견 우리가 원하는 ‘마을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를 구체화하고, 이것을 하기 위해 우리의 마을 APP은 어떤 기능들이 들어가야 할 것인가? ㆍ우리가 원하는 마을, 해결해야할 주제, 그리고 마을 플랫폼에서 축적·파생되는 데이터  를 잘 모으고 활용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됐다. ㆍ카카오톡, 파일 공유, 일정조율 등의 기존에 익숙한 도구들의 활용이 가능할 시 접근하  기 편리할 것 같다. ㆍ합의된 마을의 이미지와 역할을 실현하기 위해 고민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을 플랫폼  에 추가할 수 있으면 좋겠다. As-Is To-Be 분석을 통한 과제 도출 1. 실현 가능한 목표들을 구체화할 수 있는 기능 개설 2. 마중물 프로젝트 등 주민들이 제안한 좋은 아이디어를 실제로 사업화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34. 34 Basic 5 Topic : 마을을 그리다 - 우리가 살게 될 스마트 시티에 대한 이해 “스마트 시티와 U-City” “도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노력이 곧 리빙랩 활동” ㆍ4차 산업 시대 이후 만들어지는 도시를 Smart City라고 정의함  앞으로의 도시를 이해하기 위해 이전 시대의 U-city 보다 플랫폼 경쟁력이 중요해짐  이를 전제로 현재 그리고 앞으로 우리가 살게 될 마을을 보다 구체화해야 함 ㆍ데이터센터가 디지털 시대 핵심으로 부각되면서 IT 기업 간 각축전 치열  스마트 도시와 미래 기술은 우리 마을의 다양한 공간, 자신의 재능, 시간과 그 외 다양한  자원과 많은 것들을 나눌 수 있음  또한 이를 통해 도시 자원이 더욱더 효율적으로 분배될 수 있음 ㆍ도시 자원을 효율적으로 연결하고 활용하기 위해 팀별로 기획한 사업안들을 구체화  하는 연습이 리빙랩 과정이기도 함  내가 살고 있는 마을의 본질은 무엇인지, 현재에서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실질적인 목표 설정이 필요함 ㆍ우리가 만들 스마트 도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합의 형성 기법  (도입하기-브레인스토밍-분류하기-이름짓기-마무리하기)을 이용한 팀별 주제 구체화  방식을 설명함 강의 요약 * 기초 리빙랩 5회차는 현재의 마을 플랫폼(As-Is) 벤치마킹 결과 분석이 주제였으나, 코로나 2.5단계로 당초 스케쥴보다 2주 연기 후 On-line으로 진행됨 * 당초 주제인 ‘현재 마을 플랫폼 벤치마킹 결과 분석’은 심화 1회차에 진행됨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김정은 인하대학교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 35. 35 Question 마을 연구원 의견 기존 U시티와 스마트 시티는 어떻게 다를까? 교환할 것은 어떤 것이 있을까? 교환의 기록 및 증표는 무엇이 있을까? 살기 좋은 우리마을(사업)을 만들려면 어떤 데이터를 활용해야 할까? ㆍ코로나 2.5 단계로 인해 연기된 리빙랩 공동체의 친밀감 및 리빙랩 활동성을 유지하는  시간이었다. ㆍ마을 플랫폼(App)에 마을 사람들이 서로 교환하고 함께하고 싶은 것을 효율적으로 모  으고 활용할 수 있게 설계되면 좋겠다. ㆍ마을 데이터를 규정짓지 않고 플랫폼에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올라 올 수 있게 설계  해야 할 것 같다. 천연 원료로 방역 자원봉사해 주신 박수민 마을 연구원님께 감사패 전달 As-Is To-Be 분석을 통한 과제 도출 1. 플랫폼에 마을의 유·무형 자원, 활동 그리고 의견이 잘 올라오게 하고 이를 수렴할 수  있는 기능 설계 2. 의견뿐만 아니라 주민이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을 올리고 협력할 수 있게 하는 게시판 개설 (적극적 참여형 주민으로서의 역할 설정)
  • 36. 36 Basic 6 Topic : 마을을 그리다 - 마을 플랫폼 설계 시작 “플랫폼은 어떻게 디자인해야 하는가?” “플랫폼의 본질에 초점을 맞추자” ㆍ플랫폼은 때때로 사용자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생산자의 평판을 높여주는 형태로 가치  를 제공하기도 함. 따라서 관심도 역시 플랫폼에서는 ‘통화’가 될 수 있음 ㆍ플랫폼을 사용하는 생산자와 소비자는 1) 정보 2) 상품 및 서비스 3) 통화의 형태를  띤 것 등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거래할 수 있어야 함 ㆍ참여자, 가치 단위, 필터 등 3가지 핵심 요소가 명확하게 정의된 디자인을 적용하여  사용자들이 핵심 상호작용을 매력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함 ㆍ마을 단위 순환 경제 비즈니스 모델 발굴  (1) 순환하라! 아이스팩 사업 2020.11.20(화) 기준 해당 사업은 관할구청에서 마을 연구원의 뜻을 인지하고 공 간 및 시설, 인력 지원에 대한 기준협의를 완료함. 연구원이 거주소재지인 주안 4동 에 우선적으로 시범사업 시행 중임. 협의와 의견수렴을 거친 후 2021년 1분기 자원 봉사 일환 신사업으로 추진 예정임 (2) 공간의 효율적 활용  공간(유형자산)과 마을 구성원의 아이디어·지혜(무형자산)그리고 유휴자산이 만나  마을 구성원 주도하에 마을이 가진 유무형의 자산을 더 가치있게 사용하자! 강의 요약 김정은 인하대학교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 코로나 2.5단계는 해제되었으나, 안전을 위해 2개조로 나누어 기본 리빙랩 6회차를 2회 진행함 ※ 인문학 콘서트 6회차 발표자료는 부록 81~83p 참고
  • 37. 37 Question 마을 연구원 의견 As-Is To-Be 분석을 통한 과제 도출 참여율을 높여 사용자들에게 큰 가치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더욱 쉽게 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를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부정적인 네트워크 효과를 최소화하는 기술 인프라를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ㆍ시니어들의 경험과 지혜, 추구하는 가치 및 원하는 일의 개념과 형태 DATA 수집할 수  는 장(도구)이 필요하다. ㆍ활용되지 못하는 마을의 공간들을 자원으로 인식하고 이를 어떻게 활용할지 논의할 수  있는 아이디어 교류의 장도 필요하다. ㆍ마을 협력 과정에서 논의된 내용 등을 영구 보관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금전/비금  전적 보상 도구 설계가 플랫폼에 적용되면 좋겠다. 1. 모바일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시니어를 고려할 방안 강구 -> 정보 비대칭성을 해결하고 온오프 어디서든 동일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능 마련 2. 마을단위 순환경제 모델 구축 -> 공간/재능/자원/아이디어 연계 3. 소규모 마을 협력 프로젝트 지속 진행_ex 순환하라 아이스팩 사업
  • 38. 38 마을 연구원 의견 ㆍ미추홀 APP(플랫폼)을 만들 때 지역별 특징이 다르다는 걸 잘 반영해줬으면 좋겠다. ㆍ파악된 마을별 개성과 특색을 플랫폼에 잘 반영해 내가 사는 마을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면 좋겠다. ㆍ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지만 동시에 타지역과는 차별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 ㆍ우리 마을 플랫폼 APP은 마을 구성원에 대한 이해와 우리 마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구축하는 기능 수행이 필요하다. ㆍ마을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내부 협력 네트워크나 시스템이 부족하다. ㆍ디지털 식빵 쓸 수 있도록 설계가 필요하다. ㆍ‘살고 싶은 마을’과 ‘현재 우리 마을’의 모습 간 구분이 어렵고 모호하게 느껴진다. ㆍ필요 사항을 입력하면 해당 능력자 및 자원과 연결되는 기능이 있으면 좋겠다. ㆍ문제 파악 및 솔루션 확인이 쉬웠으면 좋겠다. ㆍ지역 주민이 민원을 전달하면 실제로 반영되기까지 해당 행정처리 과정을 민원인이 직접 확인하기가 복잡하고 어렵다. ㆍ예산 편성 시기와 사업 제안 시기가 맞물리지 않거나 관할 주체가 중복되는 경우 예산이 중복되거나 실현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 ㆍ주민자치, 주민총회뿐만 아니라 관련 사업부서 등 연계 유관이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표준형’ 마을 플랫폼이 필요하다. ㆍ마을 플랫폼(App)에 주민자치, 주민총회 그리고 연계 행정 기관 및 정보가 연결될 수 있게 설계되어야 한다. ㆍ마을 플랫폼에서 축적·파생되는 데이터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됐다. ㆍ카카오톡, 파일 공유, 일정조절 등의 기존에 익숙한 도구들의 활용이 가능할 시 접근하기 편리할 것 같다. ㆍ합의된 마을의 이미지와 역할을 실현하기 위해 고민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을 플랫폼에 추가할 수 있으면 좋겠다. ㆍ코로나 2.5 단계로 인해 연기된 리빙랩 공동체의 친밀감을 재확인하는 시간이었다. ㆍ마을 플랫폼(App)에 마을 자원(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모으고 활용할 수 있게 설계되면 좋겠다. ㆍ시니어들의 경험과 지혜, 추구하는 가치 및 원하는 일의 개념과 형태 DATA 수집할 수 있는 장(도구)이 필요하다. ㆍ활용되지 못하는 마을의 공간들을 자원으로 인식하고 이를 어떻게 활용할지 논의할 수 있는 아이디어 교류의 장도 필요하다. ㆍ마을 협력 과정에서 논의된 내용 등을 영구 보관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금전/비금전적 보상 도구 설계가 플랫폼에 적용되면 좋겠다.
  • 39. 39 As-Is To-Be 분석을 통한 과제 도출 실현기능명 목적 1. 지역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카테고리 설계(역사, 유래, 특성, 강점 등) 2. 지역 현안 및 정책이슈 페이지로 확인할 수 있는 버튼 삽입 3. 커뮤니티 기능에 전체공개/해당 지역 거주자 공개 기능 설계   (가입단계에서 구분) [이용자 인증] 누구나 플랫폼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 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2단계 인증과정을 통해 신뢰성과 보안성 확보 1. 구성을 관리할 수 있는 공통 양식 설계(블록체인 기술, 화폐 적용 등) 2. 추후 연계 기관 및 데이터 연결 확장 가능성을 염두에 둔 기초 설계 필요 [결제시스템] 지역화폐 또는 자체 블록체인 포인트와 연계하여 플랫폼 내 결제 기능을 지원하 고, 기부 기능 추가하여 상호작용이 원활 해 지도록 유도 1. 주민과 유관이 모두 쉽게 사용 가능한 표준화 DB 플랫폼 구축 2. 의견 제시 글 작성 시 제출 단계에서 전달사업부서 지정 -> 연계 3. 진행 중인 정책과 희망사항을 구분해서 작성할 수 있도록 글쓰기 단계  카테고리 구분 4. 간편한 검색을 돕는 방안 마련(해시 카드, 키워드 자동입력, 연관검색 등) [해시카드] 단순 검색에서 키워드 검색으로 마을 문 제가 중복적으로 제안되지 않도록, 문제 를 키워드별로 관리할 수 있는 기능 설계 (예정) 단순 복사로 공유하는 기능에서 SNS or URL 모두 공유 가능하게 설계 추가(예정) 1. 축적된 데이터를 주민들도 열람, 활용할 수 있도록 권한 부여 2. 의견뿐만 아니라 주민이 실천 가능한 일들을 알려주는 자유게시판   개설(주민으로서의 역할 설정) [마을 데이터광장] 마을이 가진 인적, 물적, 공간적, 가치적, 문화적 자원 등을 데이터화 하여 등록하 고, 효과적으로 검색, 연결시 키는 기능 제공 1. 실현 가능한 목표들을 구체화할 수 있는 기능 개설 2. 마중물 프로젝트 등 주민들이 제안한 좋은 아이디어를 실제로 사업화할   수 있는 방안 모색 [마을창업] 좋은 제안과 의견을 지역구민이 참여할 수 있는 창업으로 재설계. 지속가능한 솔 루션으로 확대 (사업계획, 펀드 모금, 수 익 배분 관리 기능 제공) 1. 모바일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시니어를 고려할 방안 강구 → 정보 비대칭성을 해결하고 온오프 어디서든 동일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능 마련 2. 마을단위 순환경제 모델 구축 → 공간/재능/자원/아이디어 연계 3. 소규모 마을 협력 프로젝트 지속 진행_ex 순환하라 아이스팩 사업 [모임생성] 타 플랫폼과 달리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 뿐 아니라 오프라인 모임의 원활한 진행 서포팅이 가능하게 구축
  • 40. 40
  • 41. 41 마을을 만들다 심화 리빙랩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1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2 마을 플랫폼 비쥬얼리제이션 마을 플랫폼 프로토 타임을 위한 디자인 시범모델 등 결과보고 40 41 42 44 51
  • 42. 42 Applications 1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1 : As-Is 현재의 마을 플랫폼은? 1. 국내외 공동체 플랫폼 9개(국내 6개, 해외 3개) 특징 및 장단점 분석 2. 1의 내용을 토대로 ‘우리 마을 플랫폼에는 어떤 기능이 필요할까?’ 논의   ① 마을 플랫폼의 설계 자체를 대상으로 논의하지 않음. 리빙랩 활동 과정과 소규모     마을 협력 프로젝트 도출·디자인 과정을 통해 마을 구성원이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협력 플랫폼 기능을 도출함.   ② 주민(마을 연구원)-연구자-개발자가 서로 즉시 피드백을 주고받는 상호작용 효과     를 기대함. 즉각적인 의견 교환을 통해 실현 가능한 주제를 구체화할 수 있음. 3. 실현가능한 주제 구체화 : 마중물 프로젝트 기획   ① 순환하라! 아이스팩! : 아이스팩을 우리 마을의 공유자산 관점으로 전환하여    순환 공유하는 과정을 함께 보고 관리하고 사용함.   ② 공간 활용 App : 빈 공터, 양로원 등을 활용해 공간(유형자산)과 마을 구성원의    아이디어·지혜(무형자산)가 만나 마을을 더 가치 있게 사용함. 4. 앱개발자 설계 참여   개발자가 마을연구원의 말과 행동을 직접 관찰하고 마을 플랫폼에 추가로 필요 기능 확인 진행 내용 김정은 인하대학교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채팅 기능 회의록 작성기능 캘린더 기능 투표 기능 ※ 참고자료 84, 85P
  • 43. 43 Applications 2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2 : 마을 플랫폼 심화 기능 도출 1. 마중물 프로젝트 앱 초안 기획 앞선 수업의 브레인 스토밍 결과를 바탕으로 앱개발자가 직접 기초 앱 기획 초안을 발표 함. 마을 연구원들의 의견을 즉각 수렴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 구체화하여 진행함. 주민 들은 ‘앱 기획자’가 아니라 앱 기획자와 소통하는 ‘유저’에 가까운 성향을 보임. 결과적으로 기존에 기획했던 스토리보드를 뒤집고 주민들과 상상하는 사용자 리서치 기 능을 반영해 최고 주요 키워드였던 ‘재능 기부’에 초점을 맞추기로 결정함. 녹색공간을 일 종의 ‘문화 살롱’으로 만드는 데 집중하기로 함. 함께 기획한 솔루션을 눈으로 확인하며 공동창조의 순간을 체감하고 리빙랩 공동체 연대 감이 상승함. 2. 앱개발자 설계 참여 개발자가 마을연구원의 말과 행동을 직접 관찰하고 마을플랫폼에 추가로 필요 기능 확인   ① "홍보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 SNS 공유하기 기능     ② "마을 사람들 간에 소소한 일들을 도와주면 좋을 것 같아요" - 재능 요청/제공 기능     ③ "코로나로 많이 힘들잖아요. 상점이나 마을에서 장사하시는 분들이 활성화할 수 있는    것들은 뭐가 없을까요?" - 상점 타임세일 기능   ④ 주민자치기능 아이디어 착안 – 앱 주요 기능으로 개발 진행 진행 내용 김정은 인하대학교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심화 리빙랩 1,2회차에서 앱개발자를 통해 확인한 추가 필요 기능들은 3회차 앱개발자 시각화 (Visualization) 이후에 정식으로 논의하기로 함
  • 44. 44 Applications 3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3 : 마을 플랫폼 비쥬얼리제이션 1. 마을 플랫폼 기능 개요   (1)탑재기능   ① 재능 : 자신이 가진 재능을 지역 내 다른 주민에게 공개하고, 자신에게 없는 재능을     공급받음으로써 근거리 생활 전문가 활용 기능.     ‘보상’이라는 공동체 형성 및 관리를 중요시한 계속성 있는 방식으로 설계.   ② 공유 : 마을 자산의 디지털화를 위한 데이터 수집 창구 역할 수행.     #인적 #자연적 #물리적 #사회적 #역사적 자원 수집을 통해 실용적인 디지털     트위닝(마을화) 실현.   ③ 동네제안 : 마을 전체 프로세스를 일원화해 모두가 주목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     스마트 두레와 같이 실제 사업화로 연계될 수 있도록 설계.     주민공감투표를 통해 주민자치 분과별 니즈 조사용으로 활용.   ④ 상점/모임 : 실용적이면서도 지역상권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보조 기능인 '타임     세일'을 추가. 재고 관리에 어려움을 겪었던 점주들과 시간/기회를 경제적 이익으     로 대체하기 바라는 주민을 연결. 어플리케이션 트래픽에도 기여 예상.   ⑤ 주민자치회 :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주민들의 의견이나 사업제안들을 실제적 자치     기구인 주민자치회에서 다룰 수 있도록 설계. 지역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한 눈에     보고, 참여할 수 있음. 주민자치회를 위한 온라인 기능을 제공하고 향후 공공 주관     부서와의 정책 연계로 확대하여 효율성 향상 도모. 각 단계별 주민들이 총회에서     합의된 내용을 게시할 수 있도록 설계 확장 예정. 진행 내용 김정은 인하대학교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권석빈 시그나 한국대표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 45. 45 주민자치주요기능 ㆍ우리가 사는 세상과 행정을 부드럽게 연결 ㆍ우리가 말하고, 제안하고, 실천하는 모든 행동을 의미 있게 구체화하는 과정 ㆍ나와 상관없는 일 → 나도 할 수 있는 일로 전환 ▶ 내 손에 닿는 주민자치의 실현 ㆍ지역 내 프로젝트의 사업 진행 상황을 한눈에 확인하는 동시에 의견 제안 가능 ㆍ자치위원 신청(온라인 수강), 분과 개설(자치 모임), 결과 공표, 예산 집행 내역 확인 등 ▶ 오프라인의 주민자치 기능 온라인 플랫폼에 동시 구현 #마을이 가진 문제를 #마을이 가진 자원으로 #마을 구성원이 협력하여 솔루션을 찾는 마을 플랫폼의 완성 주민자치 주요기능은 '2018년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메뉴얼'을 기반으로 작성함
  • 46. 46 Applications 4 마을 플랫폼 프로덕트 기획4 : 프로토타입을 위한 디자인 ㆍ앱기획(와이어프레임)을 기본으로 한 앱디자인 결과물(프로토타입) 공개 ㆍ미추홀구 주무관 참여 : 행정기관 관계자를 통한 주민 궁금증 해소 ㆍ심화 리빙랩 3회차에서 공개된 앱기획에 대한 주민 피드백 반영 설명 진행 내용 김정은 인하대학교 디지털혁신전략센터 센터장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구분 내용 조치 동네제안 공무원 담당자 배치 및 대응 진행중(필터설정) 마을어플 제안한 안건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배치 수렴 공공서류 발급 가능(추후) 논의필요 익명성 보호 수렴 타지역/마을과 의견 구분 수렴 다국어 지원 수렴 아이스팩 QR 읽은 횟수 표시 수렴 주민자치 주민참여예산과 융합(2021부터 적용) 논의필요 남은 예산 표시/ 신청기간 표시 수렴 타임세일 광고성 / 가격비교 페이지로 활용되지 않도록 설계 논의필요 권석빈 시그나 한국대표
  • 47. 47 여러분들이 설계하신 이러한 프로젝트들이 자생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활성화되는 플랫폼과 그것이 작동할 수 있는 기능이 특화된 app의 결합은 우리가 기본 리빙랩에 서 배웠던 20C 공장이 하던 역할 21C엔 도시가 수행할 것(도시정책=신산업정책)이 라는 경제학자 Richard Baldwin의 실례를 만든 것입니다! -연구책임자 김정은- 내가 제안한 문제들이 어디쯤 와있는 지 한 눈에 볼 수 있게 해주세요. 공공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게 해주면 어떨까요? 우리 동네 사람과 다른 동네 사람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해당 마을에 어떤 외국인이 많이 사는 지 확인해서, 해당 국가의 언어를 앱에 반영 해주세요. 주민참여예산도 주민자치와 함께 보여져서 예산 사용이 중복되지 않도록 해주세요. 제안 된 문제에 대해서 담당 공무원이 직접 댓글을 달아서 관심 있는 사람들이 구청의 생각을 알게 해주세요. 주민 피드백 마을 플랫폼에 바라는 점
  • 48. 48 ① 순환경제_순환하라! 아이스팩! 아이스팩을 우리 마을의 공유자산 관점으로 전환하여 순환공유하는 과정을 함께 보고 관리하고 사용하자! ㆍ사용하기 쉽게 만들자! ㆍ수거와 관리를 쉽게 할 수 있어야 한다 ㆍ그럼 QR코드를 활용해보자 ㆍ순환과정과 기여한 부분을 한눈에 볼 수 있게 만들자 ㆍ환경을 지킨 것을 체감할 수 있도록 App내에 가상 숲을 만들어 재활용에 기여한  만큼 나무가 자라는 효과를 주는 것도 좋을 것 같다 ㆍ게임처럼 재미도 있고, 내가 기여한 부분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느낄 수 있도록! ㆍ아이스팩이 순환하여 만들어낸 가치를 기록하고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들어가야 한다 ㆍ이 기능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가능하다! ㆍ여기서 축적된 데이터를 잘 관리 할 수 있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마중물 프로젝트 기획
  • 49. 49 심화 리빙랩 1회차, 마을 연구원이 제시한 해결해야 할 문제 “일일이 아이스팩을 살펴가며 정보를 기록해야 하는 것이 불편합니다.” “매번 같이 일하는 회사가 바뀌는데 아이스팩을 전달하는 방식이 달라서 적응하는데 불편 해요.” “인수인계 없이 아이스팩을 관리하는 회사가 바뀌면 액셀 체계도 바꾸자고 회사 측에서 나서는데 이러면 일관성없이 아이스팩 사용통계가 기록돼서 써먹지도 못합니다.” 이에 대한 개발자의 해결방안 제시 QR코드를 이용해서 추가적인 정보도 담아 스캔이 가능하게 하자! 같이 일하는 회사가 바뀌지 않게 자동화된 사회적 경제 시스템으로 주민 자치적으로 계속 아이스팩을 관리할 수 있는 인프라를 만들자! 일관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인프라를 바탕으로 통계를 쉽게 정리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만들어보자! 공급자 : 공유자산을 창고에서 관리     품질 유지 담당자가 수거된 아이스팩을 확인하고 식별자를 통해 수거 내역을 블록체인에 기록 배송자 : 수거, 배달 역할     배송자 식별자를 통해 수거·배달 내역 블록체인에 기록 사용자 : 공유자산을 사용     정해진 기간 동안 사용. 정해진 기간 내 반납 하지 못한 경우, 블록체인에 기록, 패널티 부여 가능 식별자- 공유재화에 달리는 식별번호- QR코드 스티커 또는 바코드 이용 아이스팩 반납 아이스팩 반납 인증 공 급 된 아 이 스 팩 창 고 에 전 달 아 이 스 팩 공 급 아 이 스 팩 공 급 인 증 배 송 식 별 자 인 증 공급자 배송자 사용자 아이스팩의 문제 식별할 수 있는 바코드가 손상되거나 부재할 경우 이 를 시스템에서 생성된 식별자 QR코드로 교체
  • 50. 50 ② 공간 활용 App 공조 (公助) 공공중심 국가단위 솔루션 경제적 자본 신공조 (申供助) ▼ 마을 공조(供助)체 마을 공조(供助) & 사회적 자본 축적, On-Off 공간 필요 주민중심 개별 마을 단위 솔루션 사회적 자본 과거~현재 현재~미래 주민총회 공공중심이었던 과거의 공조체가 현대에는 주민중심으로 변화했다. 이처럼 디지털 사 회가 발전하면서 온오프라인 공간을 모두 활용한 사회적 공조 시스템이 대두되었다. 이 러한 시스템은 개별 마을에 꼭 필요한 자원과 솔루션을 매칭해 시너지를 만들 수 있다. 통합 " 플랫폼 위에서 함께" 마을이 세상, 주민자치 시대의 준비 → 우선순위 도출 Synergy 시너지 "통합 융합" 도시 재생 참여 예산 지역 복지 각종 정책 교육 안전 마을 경제 문화 예술 동네 복지 주거 환경 마중물 프로젝트 기획 ⓒ 김정은. 2020 ⓒ 김정은. 2020
  • 51. 51 공간(유형자산)과 마을 구성원의 아이디어·지혜(무형자산)그리고 유휴자산이 만나 마 을 구성원 주도하에 마을이 가진 유무형의 자산을 더 가치있게 사용하자! 빈집 빈 상가를 어떻게 활용하는게 가장 좋을까? 꽃과 나무를 심고 거기에서 얘기를 나눌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자. 원도심은 공원이 부족하고 커뮤니티 공간이 부족하니까! 경로당은 냉장고, 에어컨 등 시설이 잘 구비되어 있으나, 활용되지 않고있는 유 휴공간이 많다. 그리고 60대는 경로당에 가기가 쉽지 않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 액티브 시니어의 장소가 마땅하지 않다. 경로당의 이미지와 역할이 새롭 게 정의되어지고 공간이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그럼 기존 이용자 분들에게 반감을 살 수 있고, 설득이 어려울 것 같다. 그럼 공간을 빼앗고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활동을 추가하는 방 향으로 가자! 경로당에 대학처럼 시간표를 만들자! 개설할 수업과 그 수업 수강할 사람을 신청 받아(어린이~중장년~시니어) 마을 구성원의 지혜를 모으고 세대를 연결하는 가지 창조 공간으로 만들어 가보자! 그렇다면, 빈집과 빈 상가도 그 공간에서 무엇을 할 것 인지 아이디어를 신청받 고 그 아이디어에 참여하거나 함께할 사람을 연결해주는 방식으로 마을이 가 진 문제를 마을이 가진 유무형의 자원(공간, 경험,지식 등)으로 마을 구성원이 주가 되어 해결해 나가는 것을 시작해 보자! ※ 참고자료 84, 85P
  • 52. 52 공유재 관련 뉴스 게시 기능 공유재별 데이터(ex: 재 사용 회수, 지역 등)를 정리하는 대시보드 기능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
  • 53. 53 시범모델 등 결과보고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 타입 테스트 프로토타입 누구나 플랫폼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2단계 인증과정을 통해 신뢰성과 보안성 확보 거주자 비거주자를 구분하여 마을플랫폼 이용권한 차등 부여 [이용자 인증]
  • 54. 54 지역화폐 또는 자체 블록체인 포인트와 연계하는 디지털 식빵 설계 플랫폼 내 결제 기능을 지원하고, 기부 기능 추가 상호작용이 원활해지도록 유도 플랫폼 내에서 사용되는 포인트 등의 지급수단을 마련 지역 순환 경제 생태계 조성 [결제 시스템]
  • 55. 55 단순 검색에서 키워드 검색으로 표준화 된 마을 데이터 수집·축적 기초 마련 문제를 키워드별로 관리할 수 있는 기능 설계(예정) 단순 링크 복사로 공유하는 기능에서 SNS 방식으로도 공유 가능 각 단계별 주민들이 총회에서 합의된 내용 게시/전달 가능 [해시카드]
  • 56. 56 마을이 가진 인적, 물적, 공간적, 가치적, 문화적 자원 등을 데이터화 하여 등록 효과적인 검색, 연결 기능 제공 스스가 자원이 될 수도 있고, 마을의 모든 자원 역시 데이터화가 가능함 마을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역할 수행 [마을 데이터 광장]
  • 57. 57 좋은 제안과 의견을 지역구민이 참여할 수 있는 창업으로 재설계 지속가능한 솔루션으로 확대 (사업계획, 펀드 모금, 수익 배분 관리 기능 제공) 공감받은 제안이 주민자치회에서 주민총회를 거쳐 사업화에 이르는 과정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 [마을 사업화]
  • 58. 58 타 플랫폼과 달리 온라인 커뮤니티 뿐 아니라 오프라인 모임의 원활한 진행 서포팅이 가능하게 구축 같은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의 모임에서 동일한 주제의 마을 문제를 해결하는 주민 자치 분과로 발전 가능 [모임 생성]
  • 59. 59 *네이버 QR코드 스캐너 사용 안됨 마을 플랫폼 : 주미니 프로토타입(Proto Type) https://cloud.protopie.io/p/3849d9489b
  • 60. 60
  • 62. 62 문헌 연구 본 기획 리빙랩은 리빙랩 운영 핵심원칙, 필수조건, 핵심활동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고 이를 리빙랩 과정에서 충실히 이행하고자 했다. 계속성, Continuity (지속성, Sustainability) 개방성, Openness 즉시성(Spontaneity) 가치(Value) 현실성,Realism (영향력, Influence) 지속적 학습과 개발위한 초 경제적 협력에서 나아가 개인적 욕구 뿐 아니 라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고 기여하는 혁신이 지속 가능성을 확보 인문학 콘서트 형식 + 마을 협력을 통해 추진하는 사업구상을 과제로 마 을 플랫폼 기능 도출 다양한 관점의 반영 필요(다양한 관점의 결합은 신속하고 성공적인 개 발이나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시장 발견에 핵심적 역할(Bergvall- Ka ㅇ reborn et al.2009), 혁신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 부 뿐 아니라 외부 아이디어와 경로를 활용할 필요가 있음 마을 주민 + 외부 전문가 특강 + 지자체 + 기술 개발자 함께 진행 신속하고 지속적인 사용자의 요구의 반영 강조 (Bergvall-Ka ㅇ reborn et al.2009)(사용자 주도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심화 리빙랩 시 개발자가 함께 구상 UI/UX 설계 후 마을 연구원(주민)과 피드백 과정 진행 사회적 가치, 사업적 가치성 순환 경제ㆍ지속 가능 경제ㆍ자아실현(Gig Eco.와 연계)의 가치 공유· 공감 실제 시장에서 유효한 결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실제와 같은 사용 환 경에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강조(CoreLabs, 2007), 원칙으로서의 영향은 사용자를 적극적이고 역량있는 협력자(partner) 와 영역 전문가(domain expert)로 보고, 이들이 혁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권리가 있으며, 실제로 영향을 미치도록 촉진하는 것에 초점을 둠 (Bergvall-Ka ㅇ reborn et al.2009) 마을 연구원 위촉, 마을 연구원 연구 보고서 작성, 전문가&개발자와 함께 아이디에이션 리빙랩 운영 핵심원칙 리빙랩은 다른 혁신방법론과 구별되는 원칙에 따라 관리, 운영되어야 한다. CoreLabs(2007) 는 리빙랩 운영의 5가지 핵심 원칙(principle)으로 계속성(continuity),개방성(Openness), 현실성(Realism), 사용자 권한부여(Empowerment of Users), 즉시성(Spontaneity)등을 제시했다. Bergvall-Karebornet al.(2009)은 개방성(Openness), 영향(Influence), 현실성 (Realism), 가치(Value),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등을 리빙랩의 핵심 원칙으로 제시하고 있다.
  • 63. 63 리빙랩 필수 조건과 활용 단계 Corallo, Latino and Neglia(2013)은 활동 자체가 아닌 리빙랩 사용자가 주도적인 역할을 갖는 혁신 방법론 개발을 위해 사전 기획, 사용자 주도의 혁신, 리빙랩공동체 형 성, 리빙랩공동체 관리, 제품 ·서비스 사업화 등 다섯 가지 필수 조건을 제시하였다. 리 빙랩의 중요한 과제의 하나는 시장에서의 수익 창출 문제라는 점에서 제품 및 서비스의 사업화도 필수적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다. Katzy(2012)는 기존 방법론은 활용하여 리빙랩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을 구분한다. 첫 째, 아이디어 탐색 및 팀 구성 단계다. 잠재력이 높은 아이디어 탐색 및 개념 형석과 팀 구성원을 대학이나 기업 연구분야에서 찾아내어 실제 프로젝트로 발전시키는 단계다. 이때 리빙랩은 ‘구진-투자자-사용자를 연결하는(matchmaking)공간’ 기능을 수행한 다. 둘째, 공동 창조 단계로 전통적인 R&D 과정에서 사용자, 기업, 시장 등 기술뿐만 아니 라 사회적 ·경제적 요소를 결합하여 공동개발을 수행하는 단계다. 제품개발 지원, 사용 자 실증 및 마케팅, 새로운 기업 창출을 위한 기업활동 등 세 가지 과정으로 구성된다. 셋째, 벤처 사업화 단계로 프로토타입 등 일정한 성과를 내면 적절한 시범에 졸업시키 는 단계다. 예를 들어 6~12개월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프로젝트가 리빙랩을 졸업해야 혁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트의 완료 시점은 시간이 아닌 성취 정도에 따라 결 정된다고 본다. 이상적으로는 선도적인 사용자로부터 호기 수익을 얻거나 실제 작동 여 부를 점검하는 과정인 프로토타입(working prototype)이 개발된 시점이 적정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Corallo의 논의와 달리 Katzy가 제시한 리빙랩 활동에는 기획단계가 명확하게 표현되 어 있지 않았다. 하지만 ‘기획’은 리빙랩의 철학을 바탕으로 혁신 활동의 방향과 내용을 사전에 계획한다는 점에서 독립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는 중요한 단계다. 따라서 리빙랩 의 주요 활동은 기획, 공동체 형성과 공동체 관리, 공동창조, 실용화(사업화, 적용, 확산)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 64. 64 리빙랩 방법론 및 프로세스 방법론 단계 및 프로세스 특징 방법론 단계 및 프로세스 특징 Katzy 리빙랩 비즈니스 모델 ① 아이디어 단계(Ideation phase) ② 공동 창조 단계(Co-creation phase) ③ 벤처사업화 단계(Venturing phase) 비즈니스 모델 개발 강조 Collaboration @Rural(C@R) ① 지역사용자 공동체 구축 ② 사용자 참여 ③ 새로운 제품/서비스 개발 ④ 네트워크 및 시너지 창출 ⑤ 실행연구 농촌지역 활성화 강조 Service Experience Engineering (SEE), 대만 ① FIND ② InnovationNet ③ Design Lab: PoC, PoS, PoB ※ PoC(Proof of Consept), PoS(Proof of Service), PoB(Proof of Business) 비즈니스 모델 개발 강조 디자인씽킹 ① 공감(Empathize) ② 문제정의(Define) ③ 아이디어화(Ideate) ④ 프로토타입(Prototype) ⑤ 테스트(Test) 나선형방법론 Helsinki LL, 핀란드 ① 기반형성 단계(grounding phase) ② 상호적ㆍ반복적 공동설계단계   (co-design phase) ③ 적용 및 실행 단계   (appropriation&implementation stage) 서비스 설계 및 적용 강조, 나선형방법론 국민디자인단, 더블 다이아몬드 ① 이해하기(Understand) ② 발견하기(Discover) ③ 정의하기(Define) ④ 발전하기(Develop) ⑤ 테스트(Test) 나선형방법론 Catalan LL, 스페인 ① 집단선택(group selection) ② 혁신장(innovation arena) ③ 맥락 개발(context development) 비즈니스 모델 개발 강조 행복도시리빙랩, 세종시 ① 사전분석(Pre-Research) ② 서비스 도출(Ideation) ③ 서비스 기능개선   (User Research) ④ 서비스 검증(User Test) 서비스 설계 및 적용 강조, 나선형방법론 iLab.o, 벨기에 ① 개념화(contextualistion) ② 구체화(concretization) ③ 실행(implementation) ④ 피드백(feedback) ICT 기술 개발 및 적용 강조, 나선형방법론 R&D 송위진외(2017) ① 대안탐색(exploration)   (아이디어 발굴, 개념화) ② 대인 실험(experimentation)   (프로토타입 개발) ③ 대안 평가(evaluation)   (출시 전, 출시, 출시 후) 비즈니스 모델 개발 강조, 나선형방법론 Rural Inclusion Methodology, (RIM) ① 공동체 기획 ② 의사소통 전략 설정 ③ 공동체 관리 과정 ④ 이해관계자 동기 유지 농촌지역 활성화 강조 와우디랩 ① 깊이 공감하기 ② 문제 정의하기 ③ 다양한 아이디어내기 ④ 빠른 프로토타입 ⑤ 현장테스트 나선형방법론 FormIT ① 기획(planning) ② 개념 설계 주기(concept design cycle) ③ 프로토타입 설계 주기   (prototype design cycle) ④ 혁신 설계 주기(innovation design cycle) ⑤ 사업화(commercializtion) IT 서비스 제품 설계 강조, 나선형방법론 대전정보 문화산업 진흥원 ① 문제도출하기 ② 문제정의 및 솔루션 도출 ③ 기술 개발 ④ 실증협의체 운영 IT 서비스 제품 설계 강조, 나선형방법론 ※ 본 리빙랩에서 사용된 방법론 리빙랩 운영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리빙랩이 지향하는 가치·목적에 부합하는 프로세스와 수단을 갖추는 것이 필요 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진은 리빙랩 모델과 방법론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본 기획 리빙랩의 모델을 도출했다. 본 기획 리 빙랩은 4P-SCLLM과 14개 리빙랩 방법론을 검토하고 나선형 방법론의 특징이 마을 협력 도구 개발에 적합한 성질로 판단하여 '디자인 씽킹' 방법론을 기본으로 4P-SCLLM 모델을 접목했다. 앞 페이지 리빙랩 필수 조건과 리빙랩 모델 설정은 성지은의 연구자료(2017)의 28~32p를 참고했다.
  • 65. 65 문제찾기 Finding 구현하기 Implementation 상상하기 Ideation 실험하기 Experiment 지역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는 다양한 행위자가 온/오프라인을 통해 지역 ·사 회의 문제를 인식하고 공감하는 데 있다. 방법은 온/오프라인을 통해 시민의견을 조 사 및 취합하고, 포럼 및 토론회 등 Open Question을 통해 문제를 확보한다. 이 단 계에서 리빙랩 조직을 구성한다. 특히 페르소나 가설을 세울 때에는 인구 통계학적 정 보만 고려하지 않고, 실제로 서비스를 이용할 법란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바탕으로 제 작해야 한다. 포럼, 토론회 등 Open Question을 통해 문제를 확보 문제 해결에 앞서 대안을 찾는 데 있다. 지역 ·사회 문제 및 서비스, 서비스 수요자를 선정한다. 온라인은 SNS 기반의 포럼 및 토론회를 개최하고, 블록체인 기반의 투표 시스템을 활용 한다. 오프라인은 포럼, 토론회 및 직접 투표를 통해 지역 ·사회문제를 선정하고 논의한다. Design Thinking Method를 활용한 POV(Point of View), HMW(How Might We), 브레인 스토밍 등을 통해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탐색된 대안을 통해 세부적인 서비 스 구상 및 기획을 진행하는 데 있다. 수렴된 명확한 문제 정의에 대한 Mild & Crazy 로 아이디어를 발산한다. 그리고 더 관심가는 아이디어를 그림으로 시각화해보고 즉 각적인 피드백을 더해가며 프로토타입을 계획하고 제작한다. 그리고 결함 없는 서비스 개발을 위해 브레인스토밍, 워크숍 등 다양한 기법을 적용하 며, 서비스 시나리오 도출을 위해 UX/UI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서비스 기능을 개 선한다. 특히 직접 서비스 수요자들의 삶에 들어가 현장을 관찰하고 삶의 현장에서 검 증해나가는 과정이 중요하다. 수렴된 명확한 문제정의에 대한 Mild & Crazy로 아이디어 발산 더 관심가는 아이디어를 그림으로 시각화해보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더해가 며 프로토 타입을 계획하고 제작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비스 적용 및 운영, 고도화 1 2 3 4 4P Smart City Living Lab Model 4P-SCLLM은 [최민주 외 (2020) 한국 콘텐츠 학회]이 시민 참여 기반의 스마트 시티 리빙 랩 모델 설정 논문에서 제시한 모델이다. 본 기획 리빙랩은 1~3단계만 적용해서 진행했다.
  • 66. 66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테스트 프로토 타입 디자인 씽킹 방법론 4P-SCLLM + 문제찾기 Finding 1 상상하기 Ideation 2 실험하기 Experiment 3 구현하기 Implementation 4 디자인 씽킹 방법론을 기본 모델로 설정한 이론적 근거 14개 국내외 리빙랩 방법론의 공통점은 문제해결의 시작부터 모든 단계에 사용자의 참여를 강조한 디자인 씽킹 방법론을 적용하여 진행되고 있다. 본 기획 리빙랩에서는 디자인 씽킹의 나선형 방법론의 특징이 마을 협력 도구(플랫폼) 개발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했다. 본 리빙랩은 기획 리빙랩으로 [기획 - 공동체 형성 및 관리 - 공동 창조]의 단 계를 수행한다.
  • 67. 67 출처 (성지은 외, 2017, 30~32pp. 재 구성) 리빙랩 원칙 + 필수 조건 + 핵심 활동 리빙랩 핵심 활동 (Katzy(2012); Corallo + Latino and Neglia(2013) 사전 기획 공동창조 실용화 리빙랩 원칙 (Bergvall-Ka ㅇ reborn et al.2009 + CoreLabs, 2007) 지속성 (계속성) 개방성 현실성 (영향성) 즉시성 가치 리빙랩 필수 조건 (Corallo, Latino and Neglia, 2013) 사전 기획 사용자 주도의 혁신 리빙랩 공동체 형성 리빙랩 공동체 관리 개발된 제품ㆍ서비스 사업화 기획 공동체 형성 및 관리 공동 창조 실용화
  • 68. 68 1차 산업혁명 2차 산업혁명 3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 1800 2000 1784 증기기관과 기계화 혁명 [도시 간의 연결]→공간의 연결 1969 컴퓨터와 인터넷 기반의 지식정보 혁명 [국가 간의 연결]→시공간의 연결 1870 전기를 이용한 대량생산 혁명 [낮과 밤의 연결]→시간의 연결 2015 인공지능, 로봇기술, 생명과학이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 IoT/CPS/인공지능 기반의 혁명 [현실과 가상의 연결]→시공간과 가상공간의 연결 1890 Introduction 4차 산업혁명 시대, 아날로그 월드와 디지털 월드가 연결되는 시대 우리는 대부분의 동물과 1:1로 마주쳤을 때, 위협을 느낀다. 그러나 우리는 문명의 발전을 이끌어 왔다. 우리 만이 가진 어떤 능력 덕분이었을까? 상상하는 능력’_유발하라리 <호모사피엔스> 우리는 지금 존재 하지 않는 것을 상상하는 능력이 있고 상상한 것을 언어를 통해 서로 소통하며 어떻게 협력하 는 것이 효율적이며 바람직한가를 찾고 상상을 현실로 만들며 더 풍요로운 세상으로 만들어 왔다. 상상 언어 협력 현실 Q 인문학 콘서트 자료 기업 자본 공장 도시 데이터 마을 플랫폼 1~3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 ⓒ 김정은. 2020 ⓒ 김정은. 2020
  • 69. 69 초연결 시대, 다품종 대량생산 시대우리가 추구해야할 중요한 가치는 지속성·공정성, 사람(개인), 자연생태계 법칙 중심, 개인 맞춤형·우리 마을 맞춤형 제품과 서비스 개발 및 제공이 필요한 시대 산업혁명을 통해 다품종 소량생산 시대 대기업 공장 중심의 소품종 대량생산 시대 급속한 성장, 중요한 가치는 효율성, 중앙(중개)기관 중심 사회·경제 시스템화 급속성장 그러나 불 균형 심화와 지속, 가능성에 대한 문제 발생 산업혁명 이전 World GDP Per Capita(1990$) 8,000 6,000 4,000 2,000 0 200 600 1 4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0 4차 산업혁명 산업혁명과 우리가 추구하는 가치 새로운 Capital은? IT 시대 Information Technology DT 시대 Data Technology Data는 가솔린과 마찬가지로 경제활동의 동력원 -2014. 마윈
  • 70. 70 Introduction 초연결 시대 스마트 도시와 디지털 미래 사회 중앙화 국가중심 제품(신기술) 분권화 도시(마을)중심 서비스(기술융합) 1~3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 초연결 시대, 중개 기관 중심(중앙화)의 협력 방식에서 P2P(분권화) 협력 방식으로” “시대에 적합한 협력의 방식 설계 및 도구(시스템)은 경쟁력 창출의 핵심"  Ex) 네덜란드 동인도 주식회사    → 새로운 협력 주체와 방식 설계 선도로 경제 강국 건설 4차 산업혁명 : 초연결 시대 ※ 초기 모델이 현재 공유경제 기업 중심 협력 형태 P2P 협력 시대 ㆍ협력에 필요한 자원 검색 및 연결을 한 곳에서 ㆍ협력을 용이하게 기본 폼(양식) 제공&신뢰성  확보 방안 필요 스마트도시란 ‘시 경쟁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건설ㆍICT 등을 융·복합하여 건설 된 도시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말 한다. 이러한 스마트시티를 기반으로 하는 미래 사회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작 용(Interactivity)을 특징으로 에너지, 환경물,쓰레기/교통/치안 등 기존 비효율적 자원배분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시스템을 갖추게 될 것이다. ⓒ 김정은. 2020 ⓒ 김정은. 2020
  • 71. 71 2025년, 전세계 35억명 인프라가 부족한 빈민가에서 살게 될 것 - 켄트 라슨 MIT 미디어랩 도시공학 대표 마을과 마을간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지금... all thy heart is set on high designs, High actions. But wherewith to be achieved? Great acts require great means of enterprise; 그대의 온 마음은 고귀한 의도, 고귀한 행동에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무엇으로 이루겠는가? 위대한 행위는 엄청난 모험 수단을 필요로 한다. 복낙원[Paradise Regained, 復樂園] : 영국의 시인 J.밀턴의 서사시. 1671년 출판. 그의 대작인 《실낙원》의 속편 잃어버린 낙원을 다시 복원하기위해 우리는 무엇이 필요할까? 기술 르네상스 시대 상상력과 협업이 국가와 도시의 격차 를 줄이고, 기술의 가능화 효과를 누구 나 향유 할 수 있는 세상으로 이끌 수 있음을 공감! . . . 분산화된 자율형 인프라가 필요한 시대 그리드 없는 분산형 에너지 파이프 없는 하수 시스템 토지 없는 식량 생산 차량 없는 교통 체계 통화 없는 경제활동 토지 소유 없는 권리제공 기능 국가중심에서 도시(마을)중심으로
  • 72. 72 필요 사항을 입력하면, 해당 능력자 및 자원과 연결되는 마을 플랫폼이 필요하다! Gigster : not 직원 but 독립계약자, 프로젝트 단위 인력사용, 원격지의 능력자 Machanical Turk : 아마존이 운영하는 온라인 크라우드소싱 중개소 Gigster VS Machanical Turk 원격지의 능력자 VS 크라우드 노동자 정보입력 → 자격과 준비가 되어있는 프리랜서와 연결 Iceo 시스템 Konsus 프로젝트 자동관리 컴퓨터 프로그램 ㆍ노동의 우버화 ㆍ주문형/O2O ㆍ프리랜서 중개사이트 ex) 1920년대 미국 재즈 공연장 필요에 따라 연주자를 섭외해 공연하던 것 현재 필요에 따라 임시직을 섭외해 일을 맡기는 고용 형태 노동자가 아닌 파트타임 사업가, 크라우드 소싱 GIG 란? GIG Eco. 포춘 50개 기업 중 한 곳에 대한 124 페이지 연구보조서 작성주문 - 소프트웨어자 자동으로 집필자, 편집자, 교정자, 사실확인자를 기용 → 3일만에 완성 파워포인트 제작 대행 서비스 (그래픽 대행 : 시간당 29달러) -시범 프로그램 냅킨에 신규앱 디자인 작성, 제품 제작, 사용자 테스트까지 하루 AI, IOT, Robot 등 미래 핵심 기술은 인간다움에 집중할 수 있는 시대를 열고 있습니다. 기술 혁명은 인간 존재의 물질적 조건을 재정의하고 문화를 재구성합니다. Klein, Maury(2008) 4차 산업혁명이 조직과 시장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경제적 가치의 생산과 거래의 조직화에서 이전에 불가능 했던 일들을 만들기 때문! Q A 새로운 경제 유형 미래 산업
  • 73. 73 BLOCK 데이터 기록 CHAIN 암호로 연결 + '블록체인'이 무엇인가요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는 2016.11.06일자 ‘신뢰기계 : 비트코 인 기술이 세계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가?’가호의 표지 기사로 블록체인 을 소개하면서 블록체인은 ‘확신을 주 는 거대한 체인'이라고 소개한 바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디지털 분산원장, P2P 네트워크다. 블록체인은 기존에 한 곳에서만 기록·관리하는 거래 장부 를 네트워크(생태계)에 참여하는 모두 의 장부(block)에 동시에 기록할 수 있 다. 또한 암호로 장부를 연결(chain)해 나감으로써 신뢰할 수 없는 사람들 사 이에도 신뢰할 수 있는 거래를 가능하 게 만든다. 현재 우리는 거래의 신뢰 확보를 중앙 기관에 의존하고 있다. 우리의 모든 거래가 한곳 에 집중되어 여러가지 위험에 노출되고 있는 셈이다. 만약 거래 당사자간에 신뢰할 수 있는 직접 거래가 가능하다면 더욱 빠르고 유연한 협업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다. 나아 가 보다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협업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블록체인 기술 기반 마을 플 랫폼 구축을 통한 마을사회 주체의 협력적 관계 연결은 미래 도시 경쟁력의 원천이 될 것이다. ⓒ 김정은. 2020
  • 74. 74 블록체인을 활용해 물류 네트워크 정보를 공유한다. 설계제조국부터, 물류, 재무에 이 르는 정확한 정보에 모두 접근할 수 있다(트랜잭션 순차 포함). 최종 데이터 승인은 세 관 당국에서 확인하며, 최종 타임스탬프 역시 세관 당국에 의해 생성된다. * 기존 공급망 방식은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통해 상품, 서비스정보, 자금 등의 자산을 전달한다. 따라서 수출신고, 수출입 중개인, 물류 공급업체, 세관 대행사, 금융기관 등 거래 참여자등이 서로 중복된 서류를 주고 받으며 서류의 실효성을 검사해야 하는 한계 가 있다. 데이터와 시간의 변경사항을 기록하기 때문에 최신 자료 수집 가능 네트워크 사용자 모두가 해당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음 정보의 사실 유무 검증데이터의 위·변조 불가 온라인 정보 전달을 통해 오류감소 및 신뢰도 증가 블록체인은 보기가 허용된 정보만 공유 가능하므로 제한적 정보 공유 가능 블록을 체인에 추가하고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음 블록체인 활용 사례 -IBM 블록체인 시스템 블록체인의 이점
  • 75. 75 현재 맘카페에서는 서로 물건을 교환하고 나누는 수단으로 식빵을 사용하고 있다. 무 료 나눔이어도 주고 받음이라는 교환기록, 거래로서의 의미부여, 감사의 뜻을 표현하 기 위해 식빵을 사용하고 있다. 다양한 유·무형 거래가 발생할 마을 플랫폼에도 디지털 식빵이 필요할 것이다. 이 식빵 화폐를 디지털로 옮기면 아날로그 식빵 화폐가 수행하지 못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 다. 신뢰 기술인 블록체인 기술로 서로 함께 보는 장부에서 단위를 나눠 거래하기, 저장 하기, 쉽고 빠르게 교환하기, 투명하게 기록하기 등이 가능하다. 왜 식빵을 화폐로 쓰는 걸까?
  • 76. 76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연결해 주는 끈 사람들 사이를 연결해 주는 디지털 소셜 플랫폼에 대한 견해 역시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제이슨 탠즈는 리프트, 에어비앤비 등 공유경제 플랫폼을 사용하게 된 이후로 미 국인들이 낯선 사람을 만나는 것을 위험으로 느끼지 않는 일에 관해 적었다. 그는 “산업 사회를 규정하던 이웃사이의 소통이 디지털로 새롭게 창조되었다. 다만 현재의 이웃은 페이스북 계정을 보유한 모두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Not 단순 중요 정보전달, But 더 잘(well) 정보 전달 한편 어반시터 (UrbanSitter)는 린 퍼킨스(Lynn Perkins)가 창업한 베이비시터 매칭 사이트이다. 페이스북이나 링크드인을 통해서만 가입할 수 있다. 사람들은 온라인으로 베이비 시터를 구하는 게 직접 추천받는 것보다 어떻게 더 효과적이고 안전 할 수 있는 지 의아해했다. 요컨대 미래 사회 구성원들은 비슷한 요구를 가진 집단(부모)보다 전문 성이 같은 집단(베이비시터)을 더욱 신뢰하는 것이다. 베이비시터들 사이에서는 무엇보 다 연결이 중요해진다. 미래의 디지털소셜 네트워크는 단순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보다, 더 잘(well) 전달하기 위해 발전할 것이다. 디지털 소셜 플랫폼 디지털 소셜 네트워크 'How Airbnb and Lyft finally got Americans to trust each other'
  • 77. 77 낯선 사람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데 ‘친구’가 어떤 역할을 할까? 1995년 ‘신뢰게임‘ 실험 잠재의식 차원에서 평소 신뢰하는 사람들의 이름을 본 참가자는 신뢰하지 않는 사람의 이름을 본 참가자보다 익명의 상대에게 평균 50% 가까이 많은 돈을 보냈다. “우리는 사람들이 인지하지 못 하게 낯선 사람에 대한 신뢰를 자극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블록체인 기술과 함께 신뢰 역시 제도적 신뢰에서 분산적 신뢰로 이동하고 있다. 제 3의 자본, 신뢰 =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물적 자본과 인적 자본의 투입만으로 경제와 사회의 선진화가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눈에 보이는 자본 외에도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과 기업, 정부 등 사회 주체를 협력적인 관계로 연결하는 제 3의 자본, 즉 사회적 자본이 풍부해야만 경제발전과 사회 안정을 동시에 이룰 수 있다. 같은 물적·인적 자본을 가지고 있어도 구성원 간의 관계에 따라 서 전혀 다른 경제·사회적 성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_고(故) 존 키스 머니건(John Keith Murnoghan), 켈로그 경영대학원 사회과학부 교수 _제3의 자본, 이동원·정갑영 외 지음, 삼성경제연구소 지역적 신뢰 제도적 신뢰 분산적 신뢰 신뢰 이동 - 레이첼 보츠먼 (2019)
  • 78. 78 우리가 COVID 19 위기 속에서 배우고 있는 교훈 → 지속 가능한 세상의 힌트는 자연의 법칙 : 모든 주체들 사이에는 적정 거리가 침해되지 않고 유지 되어야 한다! 이 사진들이 주는 메시지 ▶모바일, 클라우드,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등을 활용해 순환경제가 가능한 시점이 옴 순환공급망 모델 : 크레일라 테크놀로지(친환경적 바이오매스 자원 생산), 악조노벨 + 포타놀(화학제품 제조에 태양에너지 활용/식물 광합성 모방), 스타벅스 커피콩 케 이크-우유구매 처음 시작부터 제품 수명 연장 모델 : 지속적 제품 기능 유지, 개별 니즈에 맞춘 업그레이드/개조 서 비스, 델 아울렛, 델 리퍼브, 중장비 업체 캐터필러 재제조, 월마트 게임보상판매, 에 코 ATM 키오스크 보다 오래쓸 수 있게 만들어진 공유 플랫폼 모델 유휴자산의 적극적 사용 PaaS : 미쉐린 솔루션, 필립스 LED조명, 태양광 업체 솔라시티, 다임러 카투고 소유보다 기능 회수/재활용 모델 : P&G (폐기물 제로 기반 운영 시설 45개, 재활용/다른 용도 사 용/에너지로 전환), GM (폐기물 90% 재활용, 102개 시설물 폐기물 제로, 연간 10 억 달러 수익 창출) I:CO(효율적 대량 회수망 구축한 패션 산업계 위탁 운영자) 폐기물 이력제 적정거리의 유지 5가지 순환경제 비즈니스 모델
  • 79. 79 깃허브( Github) -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공유하고 협업하여 개발할 수 있는 버전 관리 시스템인 깃(Git)에 프로젝트 관리 지원 기능을 확장하여 제공하는 웹 호스팅 서비스. 설명 출처 네이버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사진 출처 https://uxgjs.tistory.com/182 상상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선 먼저 상상(서로의 아이디어)을 서로 소통할 도구가 필요한데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문서를 중심으로 하는 아이디에이션의 장점 ㆍ다양한 고려 사항에 대한 정보 공유가 효율적으로 진행 ㆍ참여자 개인별 특성과 개성을 반영한 기획이 용이함 ㆍ아이디어의 공통 요소와 차별 요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관리 가능 ㆍ의견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진행하여 민주적인 의사결정으로 이어지도록 함 ㆍ차후 연계된 과업에 대해 효과적인 준비가 가능 문서 기반 협업 도구의 장점 ㆍ개인별, 버전별 문서 관리가 가능, 아이디어 개발 과정에 대한 추적 가능 ㆍ열람, 확인, 채택 등 업무가 진행되는 절차를 구분하여 관리 ㆍ일정 별 관리를 통해서 전체적인 과업 완료와 성과 도출에 대한 예측이 가능 ㆍ서비스 확장 등을 위한 정보 관리 표준화 작업 등에 용이 컨플루언스(Confluence) - 컨플루언스(Confluence)는 아틀라시안에서 개발한 자바 기반의 상용 위키 소프트웨어이다. 다른 위키 소 프트웨어들의 데이터를 불러오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 용자 관리 및 특정 프로젝트의 관리 등에 사용할 수 있 도록, 사용자의 상태 업데이트나 '좋아요'(Like) 버튼, Follow 기능, 댓글 기능, 뉴스 및 블로깅 기능 등을 기 본으로 포함하고 있고,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문서들을 불러오는 등 오피스 커넥터 및 페이스북등 소셜 미디어 와의 연동도 제공하여 협업 환경이 구축된다. 사진 출처 https://support.atlassian.com/ confluence-cloud/docs/use-spaces-to- organize-your-work/ 창작, 자치, 운영 창작 도구
  • 80. 80 거버넌스 도구 활용 사례 디스커스 온 사진 출처 https://discusson.kr/ 디사이드마드리드 사진 출처 https://participedia.net/case/4365 민주주의 서울 사진 출처 https://democracy.seoul.go.kr/ front/index.do 개발 참여와 거버넌스 방안 시스템 개발 1. 구상 과정의 참여 원칙적으로 문서를 활용하여 시스템의 상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요소를 점검하 는 방식으로 진행됨. 깃허브, 컨플루언스 등의 공유 문서, 공유 디렉토리 서비스를 통해 서 개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수용할 수 있도 록 함   2. 평가 및 결정 과정 참여 평가 및 결정 과정의 참여시스템의 주요 사양, 구현의 우선 순위, 적용 솔루션 및 프로그 램 구성 요소등을 평가하고 결정하는 과정에서 참여자의 의견을 반영하는 유형평가 및 결정의 과정을 통해 시스템 운영의 대상과 책임을 명확히 함
  • 81. 81 에자일 기법 주체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며 프로세스의 나선형 방법론 적용이 가능한 방식으로는 에자일 기법을 예로 들 수 있다.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선언문의 나열식 내용을 느낌 대로 정리하자면, "협력"과 "피드백"이라는 두 단어로 보인다. 즉, 한 마디로 "협력과 피 드백을 자주, 일찍, 더 잘하는 것"이다. Resources Database Infra On/Off Tools Administration Problems Agenda Alternative Decision Action Proof of Concept Realization Knowledge-base Service Platform Legal Support Environment AGILE Co-working Process 에자일(Agile) - 프로그래밍에 집중한 유연한 개발 방식 사진출처 https://testsigma.com/blog/iteration- regression-testing-and-full-regression- testing-in-agile/
  • 82. 82 협업형 개발의 진행 협업형 개발은 기획과 개발의 두 가지 단계로 구분함 ① 문제 발굴   문제의 발굴은 기존의 경험적인 지식과 정보 수집 도구를 활용하여 실제 당면한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임 단순한 문제점의 나열은 성행 단계에서   마쳐야 하며, 의제화 될 수 있는 개념과 어휘를 반영해야 함 ⑤ 개발 실행   - 개발 시스템 환경의 확정 : 블록체인(탈중앙화)/비블록체인(중앙화), 개발 언어,   저장 시스템, 네트워크 구성 등   - 개발팀의 구성 : 업무 분장, 운영 책임자   - 문서 환경 : 설계, 작업 기록(및 특기 사항), 업무 정보 공유   - 개발 환경 : 장비, 공간, 편의성 등 기획-개발의 효율적인 순환을 위한 방법론 에자일 과정에서의 데이터 구축 : 데이터의 유형, 가치 척도 등을 모델화 데이터의 자원화 : 에자일 항목에 포함 에자일 과정의 기록 중간 산출물(기본형 앱) 테스트 및 실제 적용 데이터 ⑥ 개발 관리   - 개발 운영을 위한 업무 관리 도구 : 아틀라시안 지라, 트렐로 등   - 이슈, 담당, 일정, 결과 관리 1. 기획 2. 개발 3. 에자일 3. 협업형   개발의   결과 ② 의제(과제) 선정   제목을 정하는 과정.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의 내용을 담아 명시함으로써 구체적인   대안을 세울 수 있도록 주제를 환기함 ③ 대안 제시   문제 해결의 방안을 정하는 과정. 다양한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개방적인 논의구조   와 조직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함. 참가자 개개인이 적극적으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도   록 사전 교육과 정보 및 자료 공유 등을 시행 함 ④ 의사 결정   의사결정의 대상은 기본적으로 의제와 대안임. 필요한 경우 의사 진행을 위한 별도의   결정이 필요할 수도 있음   대표자, 대리인, 담당자 등에 위임하는 방식이 대표적인 의사결정의 방법이며, 특별한   필요에 의해서 투표, 추첨 등을 행사할 수 있음 Co-working Process
  • 83. 83 플랫폼의 시스템 덕분에 쉽고 편리하게 가치 단위를 교환 할 수 있다. 업워크는 고객에게 원격으로 서비스를 관 리할 수 잇는 기본 도구를 제공한다. 고객은 이를 이용해 프리랜서가 제작한 슬라이드와 동영상 같은 디지털 상 품을 업워크 플랫폼에서 직접 주고 받을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플랫폼 바깥에서 교환되기 도 한다. 저녁 식사 예약은 옐프에서 하지만, 사람들은 실제로 레스토랑이 있는 테이블에서 진짜 음식을 먹는다. 링크드인은 다면 플랫폼으로, 처음에는 전문가들을 서로 연결한다는 단일 핵심 상호작용을 중심에 두고 설계되 었다. Ex) Ex) 관심,명성, 영향력, 평판도 교환 가능하게 트립어드바이저(TripAdvisor)의 회원들은 자기들이 좋아하는 생산자의 평판을 높여주는 형태로 가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관심, 명성, 영향력, 평판, 기타 무형의 가치가 플랫폼에서는 ‘통화’가 된다. 때로는 통화 교환이 플랫폼 자체에서 이뤄진다. 한 플랫폼의 수익 창출 능력은 그 플랫폼이 획득하고 내재화 할 수 있는 통화의 유형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그러므로 플랫폼의 목적은 생산자와 소비자들이 한데 모여 서로 정보, 상품이나 서비스, 통화로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데 있다. 플랫폼은 참여자들이 만날 수 있는 인프라를 만들어 주고, 이들에게 도구와 규칙 을 제공함으로써, 이들이 쉽게 그리고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가치를 주고 받는다. 플랫폼 성패의 관건, 핵심 상호작용 디자인 플랫폼을 설계할 때는 가장 먼저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핵심 상호작용’을 설계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 다. 핵심 상호작용은 플랫폼에서 일어나는 가장 중요한 활동이다. 그리고 이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을 맨 처 음 플랫폼으로 끌어들이는 가치의 교환과 관련되어 있다. 핵심 상호작용에는 참여자, 가치 단위, 필터 등 3가지 핵심 요소가 수반된다. 이 3가지 요소는 반드시 명확하게 정의해야 하며, 사용자들이 핵심 상호작용을 최대한 간편하고 매력적이 며 가치있게 느낄 수 있도록 신중하게 설계해야한다. 플랫폼의 가장 기본적인 목표는 이러한 핵심 상호작 용을 촉진하는데 있다. 플랫폼이 정확히 무엇을 수행하며,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물어야 한다. 플랫폼은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여 이들이 서로 가치를 교환 할 수 있게 해준다. 플랫폼의 생산자와 소비자는 언제나 3가지를 주고 받는다. 1. 정보 2. 상품이나 서비스 3. 통화의 형태를 띤 것들 정보의 교환은 무조건 용이하게 - 모든 플랫폼에서 상호작용은 정보의 교환에서 시작한다. 상품·서비스 교환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 정보를 교환하고 나면, 플랫폼 참여자들은 가치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교환하기로 마음 먹을 수 있다. 플랫폼 사용자들이 주고받는 각 아이템을 ‘가치 단위(value unit)라고 부른다.
  • 84. 84 참여자의 역할, 범위를 명확하게 파악하라 기본적으로 모든 핵심상호작용의 참여자는 둘이다. 하나는 가치를 창출하는 생산자, 다른 하나는 가치를 소비하는 소비자이다. 핵심상호작용을 정의할 때 두 참여자의 역할은 모두 명확하게 기술하고 파악해야 한 다. 같은 사용자가 다른 상호작용에서는 다른 역할을 할 수 있다. 에어비앤비에서는 호스트이면서 게스트이고, 유튜브에서는 동영상을 올리기도 시청하기도 한다. - 이베이나 에어비엔비의 제품 서비스 목록 정보는 판매자가 만든 가치 단위 - 킥스타터(Kickstarter)와 같은 플랫폼에서 프로젝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잠재적 후원자들이 투자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해주는 가치단위 - 유튜브의 동영상, 트위터의 트윗, 링크드인의 전문가 프로필, 우버의 이용 가능한 차량 목록도 모두 가치 단위 우버 운전자들은 차량의 위치, 승객탑승 여부 등 다양한 요소 공유(이런 정보들이 가치 단위), 탑승객은 자 신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필터를 설정한다. 이런 정보 교환이 일어나면, 클릭 몇 번 후 도착-탑승-계좌 에서 지급이 이뤄지고 핵심 상호작용이 완료된다. 가치가 생성되고 교환이 이뤄진 것! 참여자 + 가치단위 + 필터 => 핵심 상호 작용 Ex) Ex) Ex) Ex) 가치 단위는 핵심 상호작용에서 나온다. 핵심 상호작용은 생산자에 의해 가치 단위가 만들어지는 것에서 시작된다. 필터는 가치 단위의 효과적 이용을 위한 필수 요소 필터는 플랫폼이 사용하는 알고리즘 형태의 소프트웨어 기반 도구로, 사용자들이 적절한 가치 단위를 교 환 할 수 있게 해 준다. 필터가 잘 설계 되어 있을 경우 플랫폼 사용자들은 자신들과 관련이 있으면서 유용 한 가치 단위만을 제공받을 수 있다. 파살(Fasal) : 인도 시골 농부들과 중개상과 기타 구매자들을 연결해 주는 온라인 시스템 파살을 통해 농부들은 가까운 시장 여러 곳에서 농산품이 얼마에 팔리는지 신속하게 알 수 있으며, 어느 시장에 상품을 내놔야 가장 유리한지도 알 수 있다. 또 데이터를 가지고 가격을 협상 할 수도 있다. 스마트 폰을 이용 영세 농민들이 절실히 필요로 하는 시장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가 됨. 출처 : Rajiv Banker, Sabyasachi Mitra, and Vallabh Sambamurthy , "The Effects of Digital Trading Platforms on Commodity Prices in Agricultural Supply Chains," MIS Quarterly 35, no.3 (2011) : 599-611 끌어오고, 촉진하고, 매칭시키는 플랫폼의 디자인 플랫폼의 핵심 목적 : 핵심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 가치있는 핵심 상호작용이 많이 일어나게 하려면, 플랫폼은 3가지 핵심 기능을 반드시 수행해야 한다. 1. 끌어오기 2. 촉진하기 3. 매칭하기
  • 85. 85 무엇을 가지고 누구를, 어디에서 끌어올 것인가 매칭에 필요한 개인정보 확보 방법은 다양 플랫폼이 처리 할 수 있는 데이터가 많을 수록-그리고 데이터를 수집, 조직, 분류, 분석, 해석하는데 사용할 알고리즘이 잘 설계되어 있을수록- 더 정확하게 필터링 할 수 있고, 연관성과 유용성이 더 높은 정보를 주 고 받을 수 있다. 페이스북은 사용자들이 최소한 몇 명의 다른 사용자들과 친구관계을 맺었을 때 플랫폼이 가치 있다고 느 끼는지를 알아냈다. 페이스북은 마케팅 방법을 신규 회원 가입 유치에서 회원들간의 친구 맺기를 독려하는 쪽으로 선회했다. 사용자들이 계속 플랫폼으로 들어오게 만드는 가장 강력한 도구 중 하나가 피드백 고리이다. 효과적인 피드백 고리는 네트워크 확장, 가치 생성, 네트워크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 플랫폼에서 교환되는 무형의 통화 가치는 사용자들을 끌어들이는 플랫폼의 중요 요인 Ex) 무형의 통화 : 관심, 인기, 영향력 발명품 플랫폼 퀄키(Quirky) : 사용자들이 자체 도구를 이용하여 획기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놓고 협력 할 수 있게 해줌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장벽을 없애기도(ex:인스타그램), 높이기도 한다(ex:시터시터(Sittercity) 베이비 시터 플랫폼은 사용자들(부모)간의 신뢰를 얻기 위해 아무나 생산자(베이비시터)로 가입할 수 없게 엄격한 규칙 적용 신원, 성별, 국적, 위치, 관계 상태, 연력, 특정 시점의 관심사 등 명확한 데이터 수집 전략 필요 -인센티브 지공, 게임 요소 차용 Ex) Ex) Ex) 어떻게 바람직한 상호작용만 촉진할 것인가? 플랫폼은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을 통제하지 않는다. (정보 공장) 플랫폼은 가치를 창출하고 교환 할 수 있게 하는 인프라를 만들고, 이러한 상호작용을 관리할 원칙들을 설 계한다. 이러한 모든 활동이 ‘촉진하기‘ 과정이다. 상호작용을 촉진한다는 말은 생산자가 플랫폼에서 가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만들어 교환하는 일을 최대 한 쉽게 해 준다는 뜻이며, 그러려면 협업과 공유에 필요한 크리에이티브 툴을 제공할 수 도 있다. 81~83p 출처 : 마셜 밴 앨스타인 외 공저(이현경 옮김), <플랫폼 레볼루션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지배할 플랫폼 비즈니스의 모 든 것>, 부키(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