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ist ein Scribd-Unternehmen logo
1 von 25
Downloaden Sie, um offline zu lesen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1




                  [ 요     약 ]

▣ 강원도 주도의 자립적 일자리 창출 필요.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가 최근 부각

 - 최근 실업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 특히, 강원도는 기업유치를 통한 일
  자리 창출 한계(접경지역 안보, 수자원 보호, 백두대간 보전 등 개발규제)
 - 지역 주도의 자립적 고용창출, 강원도 특유의 지역자원 활용, 지역 내 경제순환
  구축 등의 의미에서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전략적 육성 필요


▣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다양한 측면에서 상호 보완성을
 지님. 지역사회 차원에서 통합적 추진체계 구축시, 시너지 효과 배가

 - 양자 공히 사회적 문제를 비즈니스 방식으로 해결한다는 측면에서 사업범위 유사
 - 또한 사회적 문제를 단순한 공공지원이 아니라 영업적 방식을 통해 해결하기
  때문에 양자 모두 수익성과 공익성의 동시 추구 지향


▣ 양자의 유사성과 보완성에도 불구, 중앙부처 관련 지원사업은 다소
  산발적. 이에 대한 통합 모델 개발과 통합지원 체계 구축 필요

 - 최근 중앙부처 정책동향은 사회적 기업 지원정책에서 커뮤니티 비즈니스 관련
  정책으로 확대되는 경향(2007년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 육성사업” 추진, 2010년
  행정안전부 “자립형 지역공동체 육성사업” 추진, 2011년      추진 농수산식품부
  “농어촌 공동체회사 활성화 사업” 추진 예정)
 - 중앙부처에서는 관련 사업의 필요성은 인식하지만, 부처간 이해관계로 인해 가
  급적 사업의 차별성을 부각하는 방향으로 사업 추진
 - 향후 지역단위에서 관련 사업의 통합적 비즈니스 모델과 통합적 지원체계 구축
  필요성 부각
2    정책브리프 제80호




▣ 상기한 문제의식 하에, 관련 사업의 성격과 사업의 정책목표를 기준
 으로 5개의 통합 모델 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 제안

 - 사업성격에 따라 공익성이 높은 사업과 수익성이 높은 사업으로 분류. 정책 목
  표에 따라 취약계층 고용창출과 지역공동체 활성화로 분류
 - 최종적으로 5개의 통합 유형 개발(지역산업진흥형, 지역자원활용형, 자립지원형,
  생활지원형, 기타형). 진출가능한 사업분야와 비즈니스 모델 사례 제안


 - ① “지역산업진흥형” 사업은 소득창출을 통한 지역공동체 활성화에 초점. 주로
  식품생산⋅가공유통, 전통시장활성화, 관광 및 도농교류, 마을만들기 등 사업분
  야에서 사업 진출 가능. 비즈니스 모델은 주민주식회사로 설립한 일본 “(주)요
  시다 고향촌”과 조합원 출자로 설립된 일본 “(주)아모르 도와” 제안

 - ② “지역자원활용형” 사업은 지역에 산재해 있는 자원을 활용, 비즈니스방식으로
  소득창출을 목적. 주로 지역시설 위탁운영, 컨설팅/자원을 활용한 마을만들기,
  환경/산림/자원재활용, 정보화/안전 분야에서 사업 진출 가능. 비즈니스 모델은
  2008년 고용노동부 인증 사회적 기업인 대구 “(사)희망자전거제작소”와 비영리
  민간법인인 일본 “후보아자레아” 제안

 - ③ “자립지원형” 사업은 취약계층 등 경제활동 참여 도모, 자립기반 마련에 초
  점. 주로 노인/여성/결혼이민자 등 취약계층 자립지원, 도시권 주부⋅퇴직자, 고
  령자 대상 평생학습 교육, 지역금융 등의 분야에 사업 발굴 및 진출 가능. 비즈
  니스 모델은 순천 “시니어 공동체”와 일본 “(주)이로도리” 제안

 - ④ “생활지원형” 사업은 비즈니스 방식을 통해 취약계층 생활지원이 목적. 본
  유형은 공공성이 매우 강해 자체 수익구조가 취약, 행정지원이나 민간 후원에
  기반한 사업 추진 필요. 주로 가사/보육, 보건⋅의료 분야에 고령자, 장애인, 저
  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복지와 공공부문이 담당하는 서비스를 위탁운영하는 사
  업이 이에 해당. 비즈니스 모델은 경주자활지원센터 내 “(사)함께가는길” 제안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3




▣ ������도 단위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도청 내 희망일자리 추진단”확대
 운영,“(가칭) 강원도 지역공동체 사업 지원센터”설치,“(가칭) 강원
 도 공공시설 지정관리제”도입, 지원조례 제정 검토

 - 관련 사업의 지자체 이관 및 사업 확대에 대비, 도청 “희망일자리 추진단” 내
  인력 보강 및 외부전문가 고용 필요
 - 관련 사업을 전담하는 “(가칭) 강원도 지역공동체 사업 지원센터” 설치 필요. 운
  영방식은 민⋅관⋅연이 연계한 민간위탁 방식 도입이 적절
 -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공공시설 관리와 운영(도로, 수도, 공원, 관광시설 등 포
  함)을 주민주식회사, 공동체 법인 등에 위탁운영하는 “(가칭) 강원도 공공시설
  지정관리제” 도입 검토


▣ ������시군 단위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전담부서 설치 및 중간지원센터”
 설립 필요

 - 시군 단위에서도 도 단위 지원체계와 연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전
  담부서의 설치”, “행정서비스 위탁”, “지원조례의 제정” 등 정비 필요
 - 특히, 시군은 현장에서 사업을 발굴하고 기업을 촉발하고, 기업 및 조직의 전문
  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 이를 위한 “중간지원센터 설립”이 필수불가결


▣ ������지역사회 내 연계체계 구축������을 위해 민간기업, 지역금융기관, 지역
  대학, 비영리 민간단체, 기타 공공기관과의 유기적 연계 협력 절실

 -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은 지역사회공헌사업으로서 “1사 1사회적기업 자매결연 맺기
  운동” 추진. 청소위탁 및 기업 상품 홍보도 연계 가능
 - 지역금융은 지자체⋅기업 등과 연계하여 “소액 융자상품 개발” 및 “사회적 기업
  펀드 조성” 검토. 지역대학과는 사회적 기업가 양성 관련 교류협력 가능
 - 비영리 민간단체는 관련 사업을 촉발하거나 네트워크화하는 역할 수행. 즉, 최초
  공익성 우선의 사업 전개 ⟶ 이후 주식회사나 조합 등 사업확대 추진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5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Ⅰ 문제제기


○ 최근 실업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
 - 2008년 실업률은 3.6%, 체감실업률은 이의 2배인 7.4% 육박, 사실상 실업자는 약
  400만 명으로 추정(통계청, 2008)
 - 이러한 실업문제는 지역 간에 걸쳐 더욱 두드러짐. 1995년〜2008년까지 지역별 취
  업자는 수도권, 충청권을 제외하고 대부분 지역에서 감소(현대경제연구원, 2010)


○ 강원도는 제조업 육성 및 기업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 한계
 - 강원도는 지형적으로 산악지대로서 원활한 물류를 위한 사회간접자본 확충비용이 큼
  또한 지리적으로 수자원 공급, 접경지역 안보, 백두대간 보전 등 개발규제가 강함
 - 이러한 이유로 강원도는 제조업 육성이나 기업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에 한계. 이를
  반영하듯 강원도의 제조업 비중은 12%에 불과(전국 평균 29%)


○ 강원도 주도의 자립적 일자리 창출 필요.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회적 기업과 커뮤
 니티 비즈니스의 전략적 육성 절실
 - 지역 주도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안으로서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적 비즈니스 모델을 모색하고 이의 통합지원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
 - 이는 강원도 주도의 자립적 고용창출, 강원도 특유의 지역자원 활용, 지역 내 경제
  순환 구축 등의 측면에서 의의가 있음
6     정책브리프 제80호




Ⅱ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란?


1. 사회적 기업이란?

○ 사회적 기업이란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고 이를 위해 수익창출 등 영업활동을 수행
 하는 조직이나 기업”으로 개념화
 - 사회적 기업 관련 최근의 다양한 학술적 논의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정의는 존재하지 않음
 - OECD(1999)는 사회적 기업(Social Enterprises)을 공익을 위해 모험사업가적인 전략
  으로 조직화되어, 수익의 극대화가 아닌 경제적⋅사회적 목표의 실현에 목적을 두
  고, 사회적 소외와 실업문제에 대하여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역량 있는 민간
  기업 활동으로 정의


○ 사회적 기업은 주주의 가치를 극대화하기보다는 사회적 요구의 충족과 사회적 문제
 해결에 좀더 큰 가치를 두는 비즈니스를 의미


○ 국내에서 사회적 기업에 대한 법적 정의는 취약계층 고용창출에 초점
 -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육성법”에서는 사회적 기업을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서비스의 생산⋅판매 등 영업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으로서 인증받은 자”로 정의
 - 국내에서 사회적 기업에 대한 법적 개념이 취약계층 고용창출에 초점이 맞추어진
  이유는 공공근로사업 및 자활지원사업 ⟶ 사회적 일자리 사업 ⟶ 사회적 기업 등
  으로 이어진 정책변화과정에서 발생


○ 지역사회 자립적 일자리 창출의 관점에서 사회적 기업의 법적 개념을 넘어서 광의의
 개념으로 접근 필요
 - 현행 사회적 기업의 법적 개념을 넘어서 지역사회 문제해결 및 취약계층 고용창출
  등 지역사회연계형 사회적 기업으로 개념적 접근 필요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7




2. 커뮤니티 비즈니스란?

○ 커뮤니티 비즈니스(Community Business)란 “지역공동체 스스로가 지역사회가 요구하
 는 재화와 서비스를 비즈니스 방식으로 접근하여 생산⋅판매하고 자연스럽게 지역문
 제를 해결하는 지역공동체 사업”을 의미
 -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커뮤니티(Community)와 비즈니스(Business)의 합성어로서 지역
  주민들이, 지역 자원을 이용해, 지역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지속가능한 사업 모델
 - 지역 공동체의 재생과 자립을 실현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으로 최근에 주목


○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지역의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수익성과 동시에 공익성을 추구
 -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지역 조직이 주축이 되어 상가활성화, 특산품 판매, 폐기물
  재활용, 취업교육 등 지역의 현안과제를 해결, 공익성과 수익성 동시 추구


○ 사업조직 형태는 일반기업, 협동조합, 사회적 기업, 비영리 기관 및 조직, 농촌 생활
 공동체 조직 등 다양한 형태로 참여 가능
 -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커뮤니티, 즉 지역공동체가 기업이자 사업가이기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사업조직 참여 가능


○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궁극적 목표는 지역공동체 활성화
 - 주민 조직 주체의 지역밀착형 비즈니스를 통해 지역 내 경제순환을 도모하고 일자
  리 창출을 통해 지역공동체 활성화 도모



3.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비교

○ 사회적 기업, 커뮤니티 비즈니스 공히 수익성과 공익성의 동시 추구 및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초점
 -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사회적 문제를 비즈니스 방식으로 해결한다는
  측면에서 사업범위가 매우 유사
 - 또한 사회적 문제를 단순한 공공지원이 아니라 영업적 방식을 통해 해결하기 때문
  에 양자 모두 수익성과 공익성 동시 추구 지향
8       정책브리프 제80호




○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약자 지원에 비중, 재정 자립도 취약
 -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 등 사회적 약자를 지원하는 것이 우선, 따라서 사업활동이
  적정 이윤 창출에 못 미치면 정부 보조 등이 필수


○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지역성이 우선, 수익확보 여부는 전적으로 사업체 책임
 -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지역문제 해결과 지역자원 활용에 초점, 자체적 자금 흐름을
  창출하여 재정적 독립이 목표, 수익확보 여부는 사업체 책임


○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다양한 측면에서 상호 보완성을 지님(<표 1> 참
 조). 지역사회 차원에서 통합적 추진체계 구축시 시너지 효과 배가


 표 1.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비교

        구분                 사회적 기업         커뮤니티 비즈니스

                          취약계층 등           지역자원 발굴,
       사업 목적
                         사회적 약자 지원        지역사회 문제해결

      수익성과 공익성            수익성≤공익성          수익성≥공익성

  사업의 공간적 범위              지역적≤전국적          지역적≥전국적

  사업의 내용적 범위           경제산업분야≤사회서비스분야   경제산업분야≥사회서비스분야

      고용창출 범위            일반인≤취약계층         일반인≥취약계층

       재원조달            사업체 자체재원≤정부보조    사업체 자체재원≥정부보조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9




Ⅲ 관련 사업의 정책 동향과 시사점


1. 관련 정책사업 현황

○ 현재 중앙부처 관련 사업은 고용노동부의 “사회적 기업 육성사업”, 행정안전부의
  “(자립형) 지역공동체 사업”, 농수산식품부의 “농어촌 공동체회사 활성화 사업” 등임
  (<표 2> 참조)
 - 고용노동부에서는 2007년부터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과 인증제를 도입하여 취약계
   층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맞추어 사업 진행 중
 - 행안부는 일자리 창출과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병행하여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과
  “자립형 지역공동체 육성 사업”으로 구분하여 2010년 하반기부터 사업 실시 중
 - 농수산식품부는 농촌지역 자립기반구축을 위해 지역 공동체 조직 지원에 초점을
   맞춘(지역성과 수익성 강조) 커뮤니티 비즈니스 형태의 사업을 추진할 예정


  표 2.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 관련 정책사업 현황

   사업명       관련부처
                                  주요 사업내용                  특    징
 (관련 부처)    (추진연도)

                        -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 사회적 기업
 사회적 기업        노동부       인증제 도입                      -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에
 육성사업       (2007년)     - 2010년 현재 268개 사회적 기업 인증,    초점
                          각종 경영ㆍ재정ㆍ홍보사업지원

                        - 희망근로사업의 후속조치 사업인
  (자립형)
           행정안전부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과 커뮤니티         - 일자리 창출과 커뮤니티
 지역공동체
            (2010년)      비즈니스형“자립형 지역공동체              비즈니스 병행
   사업
                         사업 병행 추진

                        - 노동부 사회적 기업에 대한 농촌조직
  농어촌
           농수산식품부        진출의 한계 극복                   - 농촌형 커뮤니티 비즈니스에
 공동체회사
           (2011년 예정)   - 농촌 자립기반 구축에 초점을 맞춘          초점(지역성과 수익성 강조)
 활성화 사업
                         지역 공동체 조직지원

                        - 지역혁신센터 내 커뮤니티 비즈니스
                         네트워크 기능강화에 초점을 맞춘 시범        - 지식경제부는 시범사업,
           지식경제부,
  기 타                     사업(지식식경제부)                  문화관광부는 고용노동부와
           문화관광부
                        - 노동부와 MOU를 통한 문화예술체육         MOU체결 통해 추진
                         분야 사회적 기업 육성(문화관광부)
10     정책브리프 제80호




○ 최근 정책동향은 사회적 기업 지원정책에서 커뮤니티 비즈니스 관련 정책으로 확대
 되는 경향
 - 최초 고용노동부의 사회적 기업 지원정책이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에 초점이 맞추
  어진 관계로, 지역문제 해결형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업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임


○ 중앙부처에서는 관련 사업의 필요성은 인식하지만, 부처간 이해관계로 인해 가급적
 사업의 차별성을 부각하는 방향으로 사업 추진
 - 고용노동부는 취약계층 일자리 지원에 초점, 농수산식품부는 농촌형 커뮤니티 비즈
  니스 활성화에 초점, 행안부는 근로취로형 일자리 지원과 커뮤니티 비즈니스 병행



2. 시사점

○ 향후 지역단위에서 관련 사업의 통합적 지원체계의 구축 필요성 부각
 - 중앙부처에서는 부처 이해관계로 사업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고 있지만, 이들 사업이
  실현되는 지역단위에서는 부처 간 산발적 추진으로 사업실행의 혼선 증대
 - 중앙의 산발적 사업을 도 혹은 시군 단위에서 깔때기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
  이의 현실적 대안이 지역단위 통합지원체계를 갖추는 것


○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적 비즈니스 모델 개발 필요
 - 중앙의 정책사업을 포괄하면서, 사회적 기업 및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차별성과 연
  계성을 염두에 둔 지역 차원의 사업 발굴 필요


○ 강원도의 특성상 적은 예산으로 견실한 기업과 조직을 창출해 내는 데 초점
 - 중앙부처 사업들이 현장에서 가시화된다면, 강원도 여건에 맞는 사례의 분석이 필수.
  특히, 강원도의 여건상, 어려운 환경에서 성공한 사업 사례분석이 요구됨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11




Ⅳ 사업유형개발과 비즈니스 모델


1. 사업유형 개발의 기본 틀

○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연계성을 중시한 사업 유형 개발
 - 지금까지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별개의 사업으로 인식, 이를 통합한
  사업유형개발은 전무. 하지만 지역 현장에서는 이들 사업들이 동시적으로 추진됨.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두 사업 간 연계성을 중시한 사업 유형 개발 필요


○ 중앙부처 관련 정책을 포괄하는 사업 유형 개발
 - 상기한 3개의 중앙부처 사업정책은 현재 그리고 향후 현장에서 가시화될 전망. 별개
  의 사업으로 정책화된 사업을 현장에서 하나의 틀로 포괄하는 사업유형 개발 필요


○ 강원도의 특성이 십분 반영된 사업 유형 개발
 - 관련 사업이 도내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강원도 특성에 맞는 비즈니
  스 모델을 발굴하는 것이 관건. 강원도 특성에 맞는 사례의 선정 및 분석 필요


○ 상기한 문제의식 하에 “사업성격축(공익성과 수익성)”, “정책목표축(취약계층 고용창
 출과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기준으로 유형화 시도
 - 사업 성격에 따라 공익성이 높은 사업과 수익성이 높은 사업으로 분류
 - 정책 목표에 따라 취약계층 고용창출과 지역공동체 활성화로 분류


○ 최종적으로 5개의 유형을 발굴, 강원도 지역사회 내에서 어떠한 유형과 사업 분야가
 진출 가능한가를 검토
 - 1) 지역(산업) 진흥형, 2) (지역)자원활용형, 3) 자립지원형, 4) 생활지원형, 5) 기타
  형으로 명명하여 사업분야 발굴
12        정책브리프 제80호




                                       지역공동체 활성화

                                       농어촌 공동체회사

                       (자립형)지역공동체 사업                         사
                                                             업
              공익성                                        수익성 성
                                                             격
                                       노동부 사회적기업

                                       (취약계층)고용창출
                                 정책목표
                                          ‣ 유형 및 분야 도출

           (지역)자원활용형                                지역(산업)진흥형
  공    공                          정보화
  동    동                    컨설팅      시설위탁운영
  체    체                                            식품생산ㆍ가공/유통
  활    활                      지역자원관리/활용
  성    성                                            전통시장 활성화
                         환경/산림/자원재활용             관광/교류
  화    화                                 마을만들기

                                  문화/예술/체육
  취                              중간조직/네트워크만들기
  약                               기타형
  층                      가사/보육            평생학습   지역금융
  고                 보건ㆍ의료
  용                                     노인 등 취약계층 자립지원
  창
  출        생활지원형                                         자립지원형

                 공익성                             수익성


                    ● 그림 1 ● 사업유형 및 분야 발굴의 기본 틀


2. 유형별 특성과 비즈니스 모델사례

□ 지역(산업)진흥형 사업 : 소득창출을 통한 지역공동체 활성화에 초점


○ 본 유형은 지역산업진흥이나 지역문제 해결을 통해 침체된 지역을 활성화하는 것이
 목적
 - 공익성을 바탕으로 하지만 수익창출을 통한 지역산업 활성화⋅지역재생 등 사업성
  이 강한 분야로서 다양한 경영자원의 활용과 마케팅 노력 필요
 - 주로 식품생산⋅가공/유통, 전통시장활성화, 관광 및 도농교류, 마을만들기 등의 사
  업분야에 사업 발굴 및 진출 가능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13




∎ 비즈니스 모델 사례 1 : 일본“(주) 요시다 고향촌”


○ 요시다 고향촌 주식회사는 일본 시마네현 요시다마을 주민들로 구성된 주민주식회
  사임
 - 1985년 지역주민 100여명이 총 6억 원 규모의 출자로 설립. 지역주민이 주주로 활동


○ 최초 마을의 문제인 “상수도정비⋅관리사업”으로 시작, 현재 “농산물 가공 제조⋅판매”,
 “시민버스 운행”, “온천민박운영” 등 사업 전개
 - 산간지역으로서 수도설비에 불편, 지역주민이 자격증 취득 후 수도 수리 관리사업
  전개. 수익성 확보를 위해 농산가공품 틈새시장 공략, “계란덮밥용 간장”, “주먹밥
  전용 된장”, “불고기 전용 소스” 등 개발 판매
 - 마을 온천민박 운영, 시민버스 운행 등 마을 관광활성화 및 대민 서비스 관련 사업
  동시 진행


 ○ 지역문제해결형 비즈니스로 출발, 농산가공품 틈새시장 공략으로 고정수요 확보, 농
  산물 신뢰성 구축으로 소비자 신뢰확보 등이 주요 성공 요인




    자료 : 日本 經濟産業省(2009), 「ソーシャルビジネス 55選」p.40 참조

             ● 그림 2 ● 요시다 고향촌 주식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14      정책브리프 제80호




∎ 비즈니스 모델 사례 2 : 일본“(주)아모르 도와”


○ (주)아모르 도와는 동경 도와긴자 조합원이 출자하여 설립한 주식회사
 - 지역 내 대형유통업체의 입점 후 지역재생을 위해 1990년 조원 41명이 출자하여
  주민출자형 주식회사 설립


○ 주요사업은 “병원 내 레스토랑 및 매점 운영사업”, “학교급식사업”, “도시락 택배사업”,
 “청소사업” 등 수익사업과 “방과후 교실 운영, “고령자 도시락 지원 및 복지시설 지원”
 등 사회공헌사업 진행
 - 학교급식은 일일 약 8,500명 급식지원, 도시락 택배사업은 지역 내 다양한 행사 도
  시락 배달, 청소사업은 대형유통업체 청소사업 대행 등임
 - 폐업한 상점을 활용, 지역 아동 방과후 학습공간 및 운영비 지원, 독거노인 도시락
  택배 및 고령자 취미활동을 위한 마을 폐상점 임대 지원 등임


○ 지역주민 210명 고용, 2009년 약 50억원 매출로 지역고용창출과 상점가 활성화 도모
 - 학교급식, 도시락택배사업으로 지역상점가 재생, 대형유통업체의 청소대행사업 전
  개로 대형유통업체와 주민주식회사 상생 도모




  자료 : (주)아모르도와 홈페이지(http://www.amorutowa.co.jp/)

                 ● 그림 3 ● 아모르 도와 주식회사의 급식사업 현황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15




□ (지역)자원활용형 사업 : 지역에 산재된 자원을 활용, 비즈니스 방식으로 소득 창출

○ 본 유형은 지역공동체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자원을 활용하여 수익성과 공익성을 동
  시에 추구하여 지역공동체 활성화 도모
 - 지역자원을 발굴하고 상품화하는 데 필요한 노하우를 습득하고 지역 내 적절한 사
   업주체를 선정하는 것이 사업추진의 핵심 키
 - 주로 지역시설위탁운영, 컨설팅/자원을 활용한 마을만들기, 환경/산림/자원재활용,
   정보화/안전 등의 분야에 사업 발굴 및 진출 가능


∎ 비즈니스 모델 사례 1 : 대구“(사)희망자전거제작소”

○ 2008년 노동부 인증 사회적 기업으로서 정식명칭은 “대구 YMCA 희망자전거제작소
  사업단”임
 - 사업운영 형식은 대구 YMCA 내 사업단 형태로서 대구 YMCA, 대구도시가스(주),
   대구시가 공동으로 기획ㆍ운영


○ 도심에 무단 방치 자전거를 수거⋅수리하여 재생 자전거 제작, 시민의 출퇴근용으로
  활용. 예술 디자인 자전거 제작을 통해 도심 관광용으로 자전거 활용, 수익 창출


○ 재생자전거 재활용 사업을 통해 자원낭비를 막고 녹색 교통수단 창출. 아트바이크사
  업, 투어바이크사업 등 도시이미지를 높이고 관광활성화 도모. 자전거에 광고물을 부
  착하여 소득을 창출하는 등 수익원 다원화 도모


  표 3. 대구“희망자전거제작소”사업 현황

   사업명                               주요 사업내용

            ‣ 자전거제작 판매ㆍ임대 : 수거된 자전거를 활용, 예술자전거 등 특수 자전거를 제작, 판매
              하여 시민들에게 연간 일정액을 받고 임대
  수익사업      ‣ 예술자전거 이벤트, 광고 : 수거된 자전거를 활용, 자전거 묘기쇼 등 이벤트를 개최하고
              자전거에 광고물을 부착하여 운행
            ‣ 투어바이크 사업 : 영업용 자전거(2인 또는 4인)로 도심을 운행 및 생태관광 투어

            ‣ 재활용 자전거 보급 : 저소득 임대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고장난 자전거를 무상으로 수
              리해 주는 사업
 비수익사업
            ‣ 마을자전거 네트워크 사업 : 저소득 임대아파트 주민에게 무료로 자전거를 대여해 주는
              사업 등을 포함한 총 5개 정도

자료 : 희망자전거제작소 홈페이지(http://www.bikeart.co.kr/) 및 박은희(2009),「대구경북 사회적기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방안」p.43, 대구경북연구원자료 등을 참고로 재작성
16        정책브리프 제80호




∎ 비즈니스 모델 사례 2 : 일본“후보아자레아”

○ 후보아자레아는 비영리활동법인(NPO법인)으로서, 민간기업이 방치한 지역의 스키장
 을 관리ㆍ운영하여 소득창출과 지역활성화 도모
 - 스키장 시설은 시가 소유, 관리운영은 본 단체에서 위탁운영. 주민회원제도 도입으
  로 2009년 현재 337명이 회원으로 가입⋅활동


○ 주요 사업은 스키장 운영과 자연교육 사업으로, 연간 6억 원의 사업소득 창출 및 식
 자재 판매 등 지역농업활성화 도모
 - 스키장 운영은 시설정비, 리프트 운영관리, 레스토랑 및 렌탈 스키 등 부속사업 경
  영 등. 자연교육 사업은 스키대회 및 교실 개최 등임
 - 본 사업을 통해 방문객 증가로 인해 연간 약 5만 명의 안정적 수요 확보. 식자재
  등구입으로 지역농업활성화 동시 도모
 - 비수기에는 야생초 약초 연구회, 별을 보는 모임, 플라워 트래킹 등 이벤트 개최를
  통해 새로운 소득원 발굴


○ 스키장은 대기업이 경영하는 곳이라는 상식을 깨고 주민 주도의 스키장 경영을 통해
 수익창출 가능성을 시사
 - 특히, 지역자본으로 운영되는 관계로 지역주민들이 주인의식을 갖고 스키장 애용
  및 체육교육의 장으로도 활용되어 주민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




       자료 : 日本 經濟産業省(2009), 「ソーシャルビジネス 55選」p.10 참조

                   ● 그림 4 ● 후보 아자레아의 비즈니스 모델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17




□ 자립지원형 사업 : 취약계층 등 경제활동 참여 도모, 자립기반 마련에 초점


○ 본 유형은 지역 내 취약계층이나 지역주민들의 경제활동 참여를 도모하여 자립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
 - 취약계층 고용창출이라는 공공성을 바탕에 깔고 있기 때문에 수익성을 어떻게 확
  보하는가가 관건. 공공에서 담당하는 사회서비스 사업에 진출하거나 별도의 수익사
  업 병행 필요
 - 주로 노인/여성/결혼이민자 등 취약계층 자립지원, 도시권 주부⋅퇴직자, 고령자 대
  상 평생학습 교육, 지역금융 등의 분야에 사업 발굴 및 진출 가능


∎ 비즈니스 모델 사례 1 : 순천“시니어공동체”


○ 순천 “시니어공동체”는 지역 노인회가 고령인력을 활용하여 청려장 지팡이와 천연염
 색상품, 전통발표식품을 제작⋅판매하는 사업
 - 순천시 노인회 산하에 실버사업단 신규 설립, 2009년 현재 약 90명 수준의 고령자
  가 사업 참여


○ 주요 사업내용은 지팡이(청려장), 천연염색상품, EM, 전통발효식품 등을 제작 판매하
 는 사업이 주를 이룸
 - 청려장의 경우, 노인의 날 행사시 순천시가 문경에서 2-3천만 원 상당의 지팡이를
  구매해 오고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지역 생산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하여 지역 노
  인회에서 제작⋅판매
 - 매출은 하루 평균 6-8만원 선이며 순천시가 대량 구매하는 청려장의 년 매출은 3천
  만 원임. 염색사업은 1인당 월 10만 원씩 인건비 보조를 받고 있으며 판매금을 통
  해 추가 인건비 지급


○ 수익성이 그다지 높지 않지만, 도시지역 노인 일자리 창출을 통해 다소의 소득을 보
 장하고 삶의 보람을 느끼는 등 노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
18    정책브리프 제80호




∎ 비즈니스 모델 사례 2 : 일본“(주)이로도리”


○ (주)이로도리는 고령자를 중심으로, 잎이나 야생화를 호텔이나 여관에서 사용되는 요
 리의 “장식”으로 출하하는 사업
 - 마을 산에 산재하는 꽃이나 풀도 하나의 상품으로 판매 가능하다는 인식전환에 주목.
  지역의 농협직원이 사업 설립인이 되어 1986년부터 사업 시작
 - 고령자들이 사용하기 편한 PC를 개발하여 개인 매상을 공포함으로서 경쟁심을 유
  도하는 장치 등을 고안하여 사업에 활용


○ 2010년 현재 194개 농가가 연간 26억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으며 출하량은 전국 시
 장의 80%를 차지
 - 농가에 PC를 설치해 판매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시장동향을 파악하고 농가 스스로
  출하를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고령자가 일을 통해서 사람과 시장, 사회와 관계를 맺음으로써 돈도 벌고 자긍심도
  고양하는 효과 거양




   자료 : 日本 經濟産業省(2009), 「ソーシャルビジネス 55選」p.42 참조


                ● 그림 5 ● (주)이로도리의 비즈니스 모델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19




□ 생활지원형 사업 : 비즈니스 방식을 통해 취약계층 생활지원


○ 본 유형은 취약계층 생활지원이 주목적. 공공성이 매우 강해 자체 수익구조가 취약,
 행정지원이나 민간 후원에 기반한 사업 추진 필요
 - 주로 가사/보육, 보건⋅의료 분야에 고령자, 장애인,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복지
  와 공공부문이 담당하는 서비스를 위탁운영하는 사업이 이에 해당


∎ 비즈니스 모델 사례 : 경주자활지원센터 내“(사)함께가는길”


○ (사)함께가는길은 경주지역자활센터 내 사업단으로서 2007년 고용노동부 사회적 기업
 으로 인증받은 비영리 민간단체임


○ 주요 사업은 1) 사회적 일자리 사업, 2) 시장진입형 사업, 3) 취업상담 및 직업교육사업,
 4) 사회공헌사업 및 문화지원사업 등임
 - 사회적 일자리 사업은 방문도우미 사업, 장애통합교육보조원 사업, 간병사업, 세탁
  사업, 무료공부방 운영 등
 - 시장진입형 사업은 영농사업, 우리콩마을사업, 스팀세차 사업, 청소/가사사업, 산모
  도우미사업, 집수리/도배사업 등
 - 취업상담 및 직업교육 부문은 취약계층 취업알선을 위한 취업정보센터 운영 및 취
  업 관련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을 운영을 위한 인력개발원 운영
 - 사회공헌사업 및 문화지원사업은 사랑의 집짓기, 연탄나눔 운동, 무료 야생화문화
  강좌,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운영, 생태마을 전시관 운영 등 포함


○ 수익성 확보를 위해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 수익성과 공공성의 동시 도모를 통해 지
 역의 다양한 복지수요에 대응
 - 단순한 사회복지 서비스의 제공으로 수익성의 한계를 보이는 기존 “자활공동체”의
  한계 극복


○ 자활센터를 거점으로 하여 각종 사회 서비스 사업을 “사업단 형태”로 추진. 이러한
 개별 사업단의 성장을 통해 새로운 사회적 기업으로 분화ㆍ발전 중
20     정책브리프 제80호




Ⅴ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1. 도 단위 통합지원체계 구축

□ 도청 내“희망일자리 추진단”확대 운영

○ 추진단 내 외부전문가를 고용하여 별도의 팀 단위로 사업 추진 검토
 - 고용노동부의 “예비 사회적 기업 지원사업”의 지자체 이관, 행정안전부 “자립형 지역
  공동체 사업” 확대, 농수산식품부 “농어촌 공동체회사 활성화 사업”의 가시화 예상
 - 관련 행정업무의 과부하, 전문성 보강을 위해 도청 “희망일자리 추진단” 내 인력 보
  강 및 외부전문가 고용 필요


□ 사회적 기업 및 커뮤니티 비즈니스 통합지원센터 설치

○ 사회적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전담지원하는 “(가칭) 강원도 지역공동체 사업 지
 원센터” 설립 검토
 - 민⋅관⋅연이 연계하여 민간위탁방식의 지원센터 설립 검토, 민간위탁방식에 의해
  민간에서 자율성을 갖고 운영하고, 행정이 측면지원하는 방식 검토


□ (가칭)“강원도 공공시설 지정관리제”도입

○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공공시설 관리와 운영(도로, 수도, 공원, 관광시설 등 포함)을
 주민주식회사, 공동체 법인 등에 위탁운영하는 “(가칭) 강원도 공공시설 지정관리제”
 도입 검토
 - 지역사회단체에 대한 보조는 축소하는 대신, 지방행정 서비스의 위탁 또는 공동사
  업을 확대하여 관련 시장 창출 및 행정업무 효율화 도모. 단, 이 경우 서비스의 질
  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


□ (가칭)“강원도형 지역공동체 사업”지원 조례 제정

○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 통합지원을 위해서는 “(가칭) 강원도형 지역공동체
 사업” 지원조례 제정 필요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21




 - 현재 관련 조례는 “강원도 사회적기업 육성조례”가 있지만, 이는 고용노동부의 사
  회적 기업 육성법에 준하여 만든 조례이므로 지역공동체 사업을 희망하는 다양한
  기업과 조직들이 지원받기에는 제약이 큼. 이를 통합한 지원조례 제정 필요
 - 조례제정시, “시군 단위 전담부서 설치”를 의무화하거나 “중간지원조직 육성”을 권고
  하는 조항도 포함하여 시군간 연계성 도모


2. 시군 단위 통합지원체계 구축

□ 전담부서 설치 및 중간지원조직 육성


○ 시군 단위에서도 도 단위 지원체계와 연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전담부서
 의 설치”, “행정서비스 위탁”, “지원조례의 제정” 등 정비가 요구됨


○ 시군의 경우, 현장에서 사업을 발굴하고 기업을 촉발하고, 기업 및 조직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이를 위한 “중간조직의 육성”이 필수불가결
 - 시군 단위 중간조직의 육성은 1) 민ㆍ관ㆍ연 연계형 중간지원 센터 설립(예 : 완주
  군 CBN센터), 2)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내 사업기능 부과(예 : 강릉시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3) 지역대학이나 연구원 등과 연계하여 관련 기관 내 센터 설치
 - 지원센터의 기능은 1) 시군 내 관련사업의 거점 기능, 2) 인력양성기능, 3) 조사연
  구 기능, 4) 창업 및 컨설팅 기능, 5) 네트워크 기능 등 포함


  표 4. 시군 단위 중간지원센터의 기능

  주요 기능                          사업 내용

            중앙부처 및 도 단위 협력체계 구축, 지역사회와 센터 간 연계 사업, 국제교류 사업, 홍
  거점 구축
            보관 운영 등

  인력 양성     핵심인력 교육 및 연수, 마을단위 학습프로그램 운영, 창업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정책사업 발굴, 사업모델개발, 지역 자원조사, 사회서비스 수요공급 조사, 비영리민간단
  조사연구
            체 역량조사 등

 창업 및 컨설팅   다양한 조직참여 방안 검토, 사업화 아이템 발굴, 법률ㆍ회계ㆍ노무 등 경영지원

            사업 주체별 및 지원자 간 네트워크 지원, 사업자ㆍ고객ㆍ지역주민 간 네트워크 만들기
 네트워크 만들기
            및 파트너십 형성 등 관련 사업
22   정책브리프 제80호




3. 지역사회 연계체계 구축

○ 지역사회 내 존재하는 다양한 주체 간 유기적 연계를 통해 순환과 공생의 지역공동체
 일자리 창출 도모 필요
 - 지역사회 내 사회적 기업 및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연계가능한 기관 및 단체는 1) 민간
  기업, 2) 지역대학, 3) 지역금융기관, 4) 비영리 민간단체 5) 공공기관 등 기타 기관
  등임




                      사회적 기업
                     커뮤니티 비즈니스




                ● 그림 6 ● 지역사회내 연계 체계도


□ 민간기업과의 연계협력


○ 민간기업은 지역사회 공헌사업으로서 “1사 1사회적기업 자매결연 맺기 운동” 전개
 - 민간기업과의 연계를 통해 기업의 경영 노하우 제공, 퇴직 경영인 등 기술인력 제공,
  사회적기업 등 청소위탁 가능
 - 기업의 입장에서 지역사회 내 사회적 기업과의 파트너십 형성을 통해 시장의 소비
  자를 파악하거나 신상품 홍보 등 공동협력 가능(예 : 희망자전거제작소 ⟶ 예술자
  전거에 기업홍보 광고물 부착)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23




□ 지역금융기관과의 연계협력

○ 지역금융기관과는 해당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소액융자상품 개발⋅판매” 검토

○ 기업과 금융기관이 연계하여 “사회적기업 펀드 조성” 검토


□ 지역대학과의 연계협력

○ 지역대학 내 전문인력 양성코스 개발, 사회적 기업 관련과 개설 등을 통해 진정성과
 전문성을 갖춘 사회적 기업가 양성에 교류협력 가능


○ 대학내 식당 등을 사회적 기업 및 지역공동체 사업체에게 위탁⋅경영, 식자재 공급
 등 연계, 지역사회 내 안전한 식자재를 공급하고 지역사회 일자리도 창출하여 상호
 공생 도모


□ 비영리 민간단체와의 연계협력

○ 지역 내 비영리 민간단체는 관련 사업을 촉발하거나 네트워크화하는 역할을 수행함
 으로써 연계협력 가능
 - 비영리 민간단체는 최초 공익성에 우선하여 사업을 전개하고 이후 주식회사나 조합
  등으로 사업형태를 다양화하거나 확대 추진
 - 지역자활센터 등 비영리 민간단체에 지역주민 조직이 사업단 형태로 참여(예 : 경
  주자활지원센터 내 “함께가는길”)하거나, 주민자치센터 등 노인회, 부녀회 등에서
  지역공동체 사업에 참여(예 : 순천 시니어 공동체 등)


□ 공공기관 및 기타기관과의 연계협력

○ 공공기관은 지역사회 공헌사업으로서 “1기관 1사회적기업 자매결연 맺기 운동”을 전개
 하여 사회적기업 상품의 우선구매 촉진
 - 병원이나 지역 학교의 학교급식분야에 농산물 생산ㆍ유통관련 사회적기업과 연계
  협력 가능


○ 지역사회 상공인 단체와의 연계를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 등 분야에서 사회적 기업과의
 연계협력 가능(예 : (주)아모르 도와)

Weitere ähnliche Inhalte

Was ist angesagt?

희망제작소 Cb강의안 김미현
희망제작소 Cb강의안   김미현희망제작소 Cb강의안   김미현
희망제작소 Cb강의안 김미현seekly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actioncan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사)틔움복지재단'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사)틔움복지재단'[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사)틔움복지재단'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사)틔움복지재단'thecirclefoundation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thecirclefoundation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미디어공동체완두콩협동조합'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미디어공동체완두콩협동조합'[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미디어공동체완두콩협동조합'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미디어공동체완두콩협동조합'thecirclefoundation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무릉외갓집영농조합법인'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무릉외갓집영농조합법인'[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무릉외갓집영농조합법인'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무릉외갓집영농조합법인'thecirclefoundation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actioncan
 
청년 체인지메이커 아카데미 ㅡ 1강 사회적기업의 국내외 변화추세를 읽는 핫이슈 - 이은애
청년 체인지메이커 아카데미 ㅡ 1강 사회적기업의 국내외 변화추세를 읽는 핫이슈 - 이은애청년 체인지메이커 아카데미 ㅡ 1강 사회적기업의 국내외 변화추세를 읽는 핫이슈 - 이은애
청년 체인지메이커 아카데미 ㅡ 1강 사회적기업의 국내외 변화추세를 읽는 핫이슈 - 이은애seed:s corporation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동네방네 협동조합'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동네방네 협동조합'[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동네방네 협동조합'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동네방네 협동조합'thecirclefoundation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seekly
 
0825 서울시사회적경제활성화정책대화자료집 최종
0825 서울시사회적경제활성화정책대화자료집 최종0825 서울시사회적경제활성화정책대화자료집 최종
0825 서울시사회적경제활성화정책대화자료집 최종센터 지원
 
1 총괄발표(16 9) 2014 서울시 사회적경제 현황 및 지역화 과제 se지워...
1  총괄발표(16 9) 2014 서울시 사회적경제 현황 및 지역화 과제 se지워...1  총괄발표(16 9) 2014 서울시 사회적경제 현황 및 지역화 과제 se지워...
1 총괄발표(16 9) 2014 서울시 사회적경제 현황 및 지역화 과제 se지워...센터 지원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토닥토닥협동조합'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토닥토닥협동조합'[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토닥토닥협동조합'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토닥토닥협동조합'thecirclefoundation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준열 김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사회서비스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사회서비스[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사회서비스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사회서비스thecirclefoundation
 
제4차 열린포럼 자료집
제4차 열린포럼 자료집제4차 열린포럼 자료집
제4차 열린포럼 자료집Gori Communication
 
3차 지속가능한관광 정책포럼-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공정관광(김재현)
3차 지속가능한관광 정책포럼-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공정관광(김재현)3차 지속가능한관광 정책포럼-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공정관광(김재현)
3차 지속가능한관광 정책포럼-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공정관광(김재현)sustaintour
 
환경논총 제55권
환경논총 제55권환경논총 제55권
환경논총 제55권EPISNU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재단 함께
 

Was ist angesagt? (20)

희망제작소 Cb강의안 김미현
희망제작소 Cb강의안   김미현희망제작소 Cb강의안   김미현
희망제작소 Cb강의안 김미현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사)틔움복지재단'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사)틔움복지재단'[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사)틔움복지재단'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사)틔움복지재단'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미디어공동체완두콩협동조합'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미디어공동체완두콩협동조합'[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미디어공동체완두콩협동조합'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미디어공동체완두콩협동조합'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무릉외갓집영농조합법인'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무릉외갓집영농조합법인'[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무릉외갓집영농조합법인'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무릉외갓집영농조합법인'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
 
6강_이은애
6강_이은애6강_이은애
6강_이은애
 
청년 체인지메이커 아카데미 ㅡ 1강 사회적기업의 국내외 변화추세를 읽는 핫이슈 - 이은애
청년 체인지메이커 아카데미 ㅡ 1강 사회적기업의 국내외 변화추세를 읽는 핫이슈 - 이은애청년 체인지메이커 아카데미 ㅡ 1강 사회적기업의 국내외 변화추세를 읽는 핫이슈 - 이은애
청년 체인지메이커 아카데미 ㅡ 1강 사회적기업의 국내외 변화추세를 읽는 핫이슈 - 이은애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동네방네 협동조합'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동네방네 협동조합'[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동네방네 협동조합'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동네방네 협동조합'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0825 서울시사회적경제활성화정책대화자료집 최종
0825 서울시사회적경제활성화정책대화자료집 최종0825 서울시사회적경제활성화정책대화자료집 최종
0825 서울시사회적경제활성화정책대화자료집 최종
 
1 총괄발표(16 9) 2014 서울시 사회적경제 현황 및 지역화 과제 se지워...
1  총괄발표(16 9) 2014 서울시 사회적경제 현황 및 지역화 과제 se지워...1  총괄발표(16 9) 2014 서울시 사회적경제 현황 및 지역화 과제 se지워...
1 총괄발표(16 9) 2014 서울시 사회적경제 현황 및 지역화 과제 se지워...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토닥토닥협동조합'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토닥토닥협동조합'[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토닥토닥협동조합'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토닥토닥협동조합'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사회서비스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사회서비스[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사회서비스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사회서비스
 
제4차 열린포럼 자료집
제4차 열린포럼 자료집제4차 열린포럼 자료집
제4차 열린포럼 자료집
 
3차 지속가능한관광 정책포럼-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공정관광(김재현)
3차 지속가능한관광 정책포럼-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공정관광(김재현)3차 지속가능한관광 정책포럼-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공정관광(김재현)
3차 지속가능한관광 정책포럼-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공정관광(김재현)
 
환경논총 제55권
환경논총 제55권환경논총 제55권
환경논총 제55권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Ähnlich wie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사회적 약자기업 육성을 위한 공공시장 조성방안
사회적 약자기업 육성을 위한 공공시장 조성방안사회적 약자기업 육성을 위한 공공시장 조성방안
사회적 약자기업 육성을 위한 공공시장 조성방안a_go_ra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이해와 운영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이해와 운영[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이해와 운영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이해와 운영더게임체인저스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thecirclefoundation
 
굿앱스 제작소의 사회적 기업화
굿앱스 제작소의 사회적 기업화굿앱스 제작소의 사회적 기업화
굿앱스 제작소의 사회적 기업화Juhyun Lee
 
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
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
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seekly
 
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
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
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Gori Communication
 
사회적경제(3) 사회적경제제도
사회적경제(3) 사회적경제제도사회적경제(3) 사회적경제제도
사회적경제(3) 사회적경제제도수원 주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Gori Communication
 
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
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
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Myung Jo Bang
 
[사회적기업가포럼]행복나래 강대성 대표이사
[사회적기업가포럼]행복나래 강대성 대표이사[사회적기업가포럼]행복나래 강대성 대표이사
[사회적기업가포럼]행복나래 강대성 대표이사Hwajun Song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thecirclefoundation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호석 진호석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Gori Communication
 
사회적기업을어떻게경영할것인가
사회적기업을어떻게경영할것인가사회적기업을어떻게경영할것인가
사회적기업을어떻게경영할것인가JINI-JUNG
 
공고문2014년 혁신형-사업-신청-희망기업-모집공고
공고문2014년 혁신형-사업-신청-희망기업-모집공고공고문2014년 혁신형-사업-신청-희망기업-모집공고
공고문2014년 혁신형-사업-신청-희망기업-모집공고센터 지원
 
2015년 총회 사업 세부계획
2015년 총회 사업 세부계획2015년 총회 사업 세부계획
2015년 총회 사업 세부계획actioncan
 
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
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
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Sang Hyun Park
 
소셜벤처활성화방안-Lh소셜벤처사업을중심으로
소셜벤처활성화방안-Lh소셜벤처사업을중심으로소셜벤처활성화방안-Lh소셜벤처사업을중심으로
소셜벤처활성화방안-Lh소셜벤처사업을중심으로Sanghyeok Park
 

Ähnlich wie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20)

사회적 약자기업 육성을 위한 공공시장 조성방안
사회적 약자기업 육성을 위한 공공시장 조성방안사회적 약자기업 육성을 위한 공공시장 조성방안
사회적 약자기업 육성을 위한 공공시장 조성방안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이해와 운영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이해와 운영[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이해와 운영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이해와 운영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
 
굿앱스 제작소의 사회적 기업화
굿앱스 제작소의 사회적 기업화굿앱스 제작소의 사회적 기업화
굿앱스 제작소의 사회적 기업화
 
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
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
완주Cb워크샵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현황 유남희
 
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
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
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
 
사회적경제(3) 사회적경제제도
사회적경제(3) 사회적경제제도사회적경제(3) 사회적경제제도
사회적경제(3) 사회적경제제도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
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
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
 
[사회적기업가포럼]행복나래 강대성 대표이사
[사회적기업가포럼]행복나래 강대성 대표이사[사회적기업가포럼]행복나래 강대성 대표이사
[사회적기업가포럼]행복나래 강대성 대표이사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사회적기업을어떻게경영할것인가
사회적기업을어떻게경영할것인가사회적기업을어떻게경영할것인가
사회적기업을어떻게경영할것인가
 
공고문2014년 혁신형-사업-신청-희망기업-모집공고
공고문2014년 혁신형-사업-신청-희망기업-모집공고공고문2014년 혁신형-사업-신청-희망기업-모집공고
공고문2014년 혁신형-사업-신청-희망기업-모집공고
 
완주CB센터 발표자료 _ 지역사회다시보기
완주CB센터 발표자료 _ 지역사회다시보기 완주CB센터 발표자료 _ 지역사회다시보기
완주CB센터 발표자료 _ 지역사회다시보기
 
2015년 총회 사업 세부계획
2015년 총회 사업 세부계획2015년 총회 사업 세부계획
2015년 총회 사업 세부계획
 
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
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
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
 
소셜벤처활성화방안-Lh소셜벤처사업을중심으로
소셜벤처활성화방안-Lh소셜벤처사업을중심으로소셜벤처활성화방안-Lh소셜벤처사업을중심으로
소셜벤처활성화방안-Lh소셜벤처사업을중심으로
 

Mehr von seekly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seekly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seekly
 
마젤란 완주공무원 일본연수 보고 김준호
마젤란 완주공무원 일본연수 보고   김준호마젤란 완주공무원 일본연수 보고   김준호
마젤란 완주공무원 일본연수 보고 김준호seekly
 
애뉴얼리포트 삼양그룹 후원 제안서 희망제작소
애뉴얼리포트 삼양그룹 후원 제안서   희망제작소애뉴얼리포트 삼양그룹 후원 제안서   희망제작소
애뉴얼리포트 삼양그룹 후원 제안서 희망제작소seekly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seekly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seekly
 
100705 2회 국제전문가워크샵 기획안_한선경
100705 2회 국제전문가워크샵 기획안_한선경100705 2회 국제전문가워크샵 기획안_한선경
100705 2회 국제전문가워크샵 기획안_한선경seekly
 
[희망제작소]별책부록 영국
[희망제작소]별책부록 영국[희망제작소]별책부록 영국
[희망제작소]별책부록 영국seekly
 
Cb강연자료 김재현
Cb강연자료   김재현Cb강연자료   김재현
Cb강연자료 김재현seekly
 
(2007 17)경남지역 문화산업 분석
(2007 17)경남지역 문화산업 분석(2007 17)경남지역 문화산업 분석
(2007 17)경남지역 문화산업 분석seekly
 
(2007 17)(한상우)문화재발굴
(2007 17)(한상우)문화재발굴(2007 17)(한상우)문화재발굴
(2007 17)(한상우)문화재발굴seekly
 
(2007 13)경남여성경제활동활성화 b5
(2007 13)경남여성경제활동활성화 b5(2007 13)경남여성경제활동활성화 b5
(2007 13)경남여성경제활동활성화 b5seekly
 
(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
(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
(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seekly
 
(2007 13)문화마케팅 전략을 통한 도시활성화 방안
(2007 13)문화마케팅 전략을 통한 도시활성화 방안(2007 13)문화마케팅 전략을 통한 도시활성화 방안
(2007 13)문화마케팅 전략을 통한 도시활성화 방안seekly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seekly
 
(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seekly
 
2011 간사 사무장_채용마을_위치
2011 간사 사무장_채용마을_위치2011 간사 사무장_채용마을_위치
2011 간사 사무장_채용마을_위치seekly
 
진악 예비계획1203
진악 예비계획1203진악 예비계획1203
진악 예비계획1203seekly
 
여산거점마을종합개발
여산거점마을종합개발여산거점마을종합개발
여산거점마을종합개발seekly
 
마전권역1203
마전권역1203마전권역1203
마전권역1203seekly
 

Mehr von seekly (20)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마젤란 완주공무원 일본연수 보고 김준호
마젤란 완주공무원 일본연수 보고   김준호마젤란 완주공무원 일본연수 보고   김준호
마젤란 완주공무원 일본연수 보고 김준호
 
애뉴얼리포트 삼양그룹 후원 제안서 희망제작소
애뉴얼리포트 삼양그룹 후원 제안서   희망제작소애뉴얼리포트 삼양그룹 후원 제안서   희망제작소
애뉴얼리포트 삼양그룹 후원 제안서 희망제작소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100705 2회 국제전문가워크샵 기획안_한선경
100705 2회 국제전문가워크샵 기획안_한선경100705 2회 국제전문가워크샵 기획안_한선경
100705 2회 국제전문가워크샵 기획안_한선경
 
[희망제작소]별책부록 영국
[희망제작소]별책부록 영국[희망제작소]별책부록 영국
[희망제작소]별책부록 영국
 
Cb강연자료 김재현
Cb강연자료   김재현Cb강연자료   김재현
Cb강연자료 김재현
 
(2007 17)경남지역 문화산업 분석
(2007 17)경남지역 문화산업 분석(2007 17)경남지역 문화산업 분석
(2007 17)경남지역 문화산업 분석
 
(2007 17)(한상우)문화재발굴
(2007 17)(한상우)문화재발굴(2007 17)(한상우)문화재발굴
(2007 17)(한상우)문화재발굴
 
(2007 13)경남여성경제활동활성화 b5
(2007 13)경남여성경제활동활성화 b5(2007 13)경남여성경제활동활성화 b5
(2007 13)경남여성경제활동활성화 b5
 
(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
(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
(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
 
(2007 13)문화마케팅 전략을 통한 도시활성화 방안
(2007 13)문화마케팅 전략을 통한 도시활성화 방안(2007 13)문화마케팅 전략을 통한 도시활성화 방안
(2007 13)문화마케팅 전략을 통한 도시활성화 방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2011 간사 사무장_채용마을_위치
2011 간사 사무장_채용마을_위치2011 간사 사무장_채용마을_위치
2011 간사 사무장_채용마을_위치
 
진악 예비계획1203
진악 예비계획1203진악 예비계획1203
진악 예비계획1203
 
여산거점마을종합개발
여산거점마을종합개발여산거점마을종합개발
여산거점마을종합개발
 
마전권역1203
마전권역1203마전권역1203
마전권역1203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 1.
  • 2.
  • 3.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1 [ 요 약 ] ▣ 강원도 주도의 자립적 일자리 창출 필요.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가 최근 부각 - 최근 실업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 특히, 강원도는 기업유치를 통한 일 자리 창출 한계(접경지역 안보, 수자원 보호, 백두대간 보전 등 개발규제) - 지역 주도의 자립적 고용창출, 강원도 특유의 지역자원 활용, 지역 내 경제순환 구축 등의 의미에서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전략적 육성 필요 ▣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다양한 측면에서 상호 보완성을 지님. 지역사회 차원에서 통합적 추진체계 구축시, 시너지 효과 배가 - 양자 공히 사회적 문제를 비즈니스 방식으로 해결한다는 측면에서 사업범위 유사 - 또한 사회적 문제를 단순한 공공지원이 아니라 영업적 방식을 통해 해결하기 때문에 양자 모두 수익성과 공익성의 동시 추구 지향 ▣ 양자의 유사성과 보완성에도 불구, 중앙부처 관련 지원사업은 다소 산발적. 이에 대한 통합 모델 개발과 통합지원 체계 구축 필요 - 최근 중앙부처 정책동향은 사회적 기업 지원정책에서 커뮤니티 비즈니스 관련 정책으로 확대되는 경향(2007년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 육성사업” 추진, 2010년 행정안전부 “자립형 지역공동체 육성사업” 추진, 2011년 추진 농수산식품부 “농어촌 공동체회사 활성화 사업” 추진 예정) - 중앙부처에서는 관련 사업의 필요성은 인식하지만, 부처간 이해관계로 인해 가 급적 사업의 차별성을 부각하는 방향으로 사업 추진 - 향후 지역단위에서 관련 사업의 통합적 비즈니스 모델과 통합적 지원체계 구축 필요성 부각
  • 4. 2 정책브리프 제80호 ▣ 상기한 문제의식 하에, 관련 사업의 성격과 사업의 정책목표를 기준 으로 5개의 통합 모델 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 제안 - 사업성격에 따라 공익성이 높은 사업과 수익성이 높은 사업으로 분류. 정책 목 표에 따라 취약계층 고용창출과 지역공동체 활성화로 분류 - 최종적으로 5개의 통합 유형 개발(지역산업진흥형, 지역자원활용형, 자립지원형, 생활지원형, 기타형). 진출가능한 사업분야와 비즈니스 모델 사례 제안 - ① “지역산업진흥형” 사업은 소득창출을 통한 지역공동체 활성화에 초점. 주로 식품생산⋅가공유통, 전통시장활성화, 관광 및 도농교류, 마을만들기 등 사업분 야에서 사업 진출 가능. 비즈니스 모델은 주민주식회사로 설립한 일본 “(주)요 시다 고향촌”과 조합원 출자로 설립된 일본 “(주)아모르 도와” 제안 - ② “지역자원활용형” 사업은 지역에 산재해 있는 자원을 활용, 비즈니스방식으로 소득창출을 목적. 주로 지역시설 위탁운영, 컨설팅/자원을 활용한 마을만들기, 환경/산림/자원재활용, 정보화/안전 분야에서 사업 진출 가능. 비즈니스 모델은 2008년 고용노동부 인증 사회적 기업인 대구 “(사)희망자전거제작소”와 비영리 민간법인인 일본 “후보아자레아” 제안 - ③ “자립지원형” 사업은 취약계층 등 경제활동 참여 도모, 자립기반 마련에 초 점. 주로 노인/여성/결혼이민자 등 취약계층 자립지원, 도시권 주부⋅퇴직자, 고 령자 대상 평생학습 교육, 지역금융 등의 분야에 사업 발굴 및 진출 가능. 비즈 니스 모델은 순천 “시니어 공동체”와 일본 “(주)이로도리” 제안 - ④ “생활지원형” 사업은 비즈니스 방식을 통해 취약계층 생활지원이 목적. 본 유형은 공공성이 매우 강해 자체 수익구조가 취약, 행정지원이나 민간 후원에 기반한 사업 추진 필요. 주로 가사/보육, 보건⋅의료 분야에 고령자, 장애인, 저 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복지와 공공부문이 담당하는 서비스를 위탁운영하는 사 업이 이에 해당. 비즈니스 모델은 경주자활지원센터 내 “(사)함께가는길” 제안
  • 5.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3 ▣ ������도 단위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도청 내 희망일자리 추진단”확대 운영,“(가칭) 강원도 지역공동체 사업 지원센터”설치,“(가칭) 강원 도 공공시설 지정관리제”도입, 지원조례 제정 검토 - 관련 사업의 지자체 이관 및 사업 확대에 대비, 도청 “희망일자리 추진단” 내 인력 보강 및 외부전문가 고용 필요 - 관련 사업을 전담하는 “(가칭) 강원도 지역공동체 사업 지원센터” 설치 필요. 운 영방식은 민⋅관⋅연이 연계한 민간위탁 방식 도입이 적절 -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공공시설 관리와 운영(도로, 수도, 공원, 관광시설 등 포 함)을 주민주식회사, 공동체 법인 등에 위탁운영하는 “(가칭) 강원도 공공시설 지정관리제” 도입 검토 ▣ ������시군 단위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전담부서 설치 및 중간지원센터” 설립 필요 - 시군 단위에서도 도 단위 지원체계와 연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전 담부서의 설치”, “행정서비스 위탁”, “지원조례의 제정” 등 정비 필요 - 특히, 시군은 현장에서 사업을 발굴하고 기업을 촉발하고, 기업 및 조직의 전문 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 이를 위한 “중간지원센터 설립”이 필수불가결 ▣ ������지역사회 내 연계체계 구축������을 위해 민간기업, 지역금융기관, 지역 대학, 비영리 민간단체, 기타 공공기관과의 유기적 연계 협력 절실 -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은 지역사회공헌사업으로서 “1사 1사회적기업 자매결연 맺기 운동” 추진. 청소위탁 및 기업 상품 홍보도 연계 가능 - 지역금융은 지자체⋅기업 등과 연계하여 “소액 융자상품 개발” 및 “사회적 기업 펀드 조성” 검토. 지역대학과는 사회적 기업가 양성 관련 교류협력 가능 - 비영리 민간단체는 관련 사업을 촉발하거나 네트워크화하는 역할 수행. 즉, 최초 공익성 우선의 사업 전개 ⟶ 이후 주식회사나 조합 등 사업확대 추진
  • 6.
  • 7.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5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Ⅰ 문제제기 ○ 최근 실업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 - 2008년 실업률은 3.6%, 체감실업률은 이의 2배인 7.4% 육박, 사실상 실업자는 약 400만 명으로 추정(통계청, 2008) - 이러한 실업문제는 지역 간에 걸쳐 더욱 두드러짐. 1995년〜2008년까지 지역별 취 업자는 수도권, 충청권을 제외하고 대부분 지역에서 감소(현대경제연구원, 2010) ○ 강원도는 제조업 육성 및 기업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 한계 - 강원도는 지형적으로 산악지대로서 원활한 물류를 위한 사회간접자본 확충비용이 큼 또한 지리적으로 수자원 공급, 접경지역 안보, 백두대간 보전 등 개발규제가 강함 - 이러한 이유로 강원도는 제조업 육성이나 기업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에 한계. 이를 반영하듯 강원도의 제조업 비중은 12%에 불과(전국 평균 29%) ○ 강원도 주도의 자립적 일자리 창출 필요.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회적 기업과 커뮤 니티 비즈니스의 전략적 육성 절실 - 지역 주도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안으로서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적 비즈니스 모델을 모색하고 이의 통합지원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 - 이는 강원도 주도의 자립적 고용창출, 강원도 특유의 지역자원 활용, 지역 내 경제 순환 구축 등의 측면에서 의의가 있음
  • 8. 6 정책브리프 제80호 Ⅱ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란? 1. 사회적 기업이란? ○ 사회적 기업이란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고 이를 위해 수익창출 등 영업활동을 수행 하는 조직이나 기업”으로 개념화 - 사회적 기업 관련 최근의 다양한 학술적 논의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정의는 존재하지 않음 - OECD(1999)는 사회적 기업(Social Enterprises)을 공익을 위해 모험사업가적인 전략 으로 조직화되어, 수익의 극대화가 아닌 경제적⋅사회적 목표의 실현에 목적을 두 고, 사회적 소외와 실업문제에 대하여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역량 있는 민간 기업 활동으로 정의 ○ 사회적 기업은 주주의 가치를 극대화하기보다는 사회적 요구의 충족과 사회적 문제 해결에 좀더 큰 가치를 두는 비즈니스를 의미 ○ 국내에서 사회적 기업에 대한 법적 정의는 취약계층 고용창출에 초점 -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육성법”에서는 사회적 기업을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서비스의 생산⋅판매 등 영업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으로서 인증받은 자”로 정의 - 국내에서 사회적 기업에 대한 법적 개념이 취약계층 고용창출에 초점이 맞추어진 이유는 공공근로사업 및 자활지원사업 ⟶ 사회적 일자리 사업 ⟶ 사회적 기업 등 으로 이어진 정책변화과정에서 발생 ○ 지역사회 자립적 일자리 창출의 관점에서 사회적 기업의 법적 개념을 넘어서 광의의 개념으로 접근 필요 - 현행 사회적 기업의 법적 개념을 넘어서 지역사회 문제해결 및 취약계층 고용창출 등 지역사회연계형 사회적 기업으로 개념적 접근 필요
  • 9.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7 2. 커뮤니티 비즈니스란? ○ 커뮤니티 비즈니스(Community Business)란 “지역공동체 스스로가 지역사회가 요구하 는 재화와 서비스를 비즈니스 방식으로 접근하여 생산⋅판매하고 자연스럽게 지역문 제를 해결하는 지역공동체 사업”을 의미 -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커뮤니티(Community)와 비즈니스(Business)의 합성어로서 지역 주민들이, 지역 자원을 이용해, 지역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지속가능한 사업 모델 - 지역 공동체의 재생과 자립을 실현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으로 최근에 주목 ○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지역의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수익성과 동시에 공익성을 추구 -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지역 조직이 주축이 되어 상가활성화, 특산품 판매, 폐기물 재활용, 취업교육 등 지역의 현안과제를 해결, 공익성과 수익성 동시 추구 ○ 사업조직 형태는 일반기업, 협동조합, 사회적 기업, 비영리 기관 및 조직, 농촌 생활 공동체 조직 등 다양한 형태로 참여 가능 -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커뮤니티, 즉 지역공동체가 기업이자 사업가이기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사업조직 참여 가능 ○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궁극적 목표는 지역공동체 활성화 - 주민 조직 주체의 지역밀착형 비즈니스를 통해 지역 내 경제순환을 도모하고 일자 리 창출을 통해 지역공동체 활성화 도모 3.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비교 ○ 사회적 기업, 커뮤니티 비즈니스 공히 수익성과 공익성의 동시 추구 및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초점 -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사회적 문제를 비즈니스 방식으로 해결한다는 측면에서 사업범위가 매우 유사 - 또한 사회적 문제를 단순한 공공지원이 아니라 영업적 방식을 통해 해결하기 때문 에 양자 모두 수익성과 공익성 동시 추구 지향
  • 10. 8 정책브리프 제80호 ○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약자 지원에 비중, 재정 자립도 취약 -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 등 사회적 약자를 지원하는 것이 우선, 따라서 사업활동이 적정 이윤 창출에 못 미치면 정부 보조 등이 필수 ○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지역성이 우선, 수익확보 여부는 전적으로 사업체 책임 -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지역문제 해결과 지역자원 활용에 초점, 자체적 자금 흐름을 창출하여 재정적 독립이 목표, 수익확보 여부는 사업체 책임 ○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다양한 측면에서 상호 보완성을 지님(<표 1> 참 조). 지역사회 차원에서 통합적 추진체계 구축시 시너지 효과 배가 표 1.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비교 구분 사회적 기업 커뮤니티 비즈니스 취약계층 등 지역자원 발굴, 사업 목적 사회적 약자 지원 지역사회 문제해결 수익성과 공익성 수익성≤공익성 수익성≥공익성 사업의 공간적 범위 지역적≤전국적 지역적≥전국적 사업의 내용적 범위 경제산업분야≤사회서비스분야 경제산업분야≥사회서비스분야 고용창출 범위 일반인≤취약계층 일반인≥취약계층 재원조달 사업체 자체재원≤정부보조 사업체 자체재원≥정부보조
  • 11.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9 Ⅲ 관련 사업의 정책 동향과 시사점 1. 관련 정책사업 현황 ○ 현재 중앙부처 관련 사업은 고용노동부의 “사회적 기업 육성사업”, 행정안전부의 “(자립형) 지역공동체 사업”, 농수산식품부의 “농어촌 공동체회사 활성화 사업” 등임 (<표 2> 참조) - 고용노동부에서는 2007년부터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과 인증제를 도입하여 취약계 층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맞추어 사업 진행 중 - 행안부는 일자리 창출과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병행하여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과 “자립형 지역공동체 육성 사업”으로 구분하여 2010년 하반기부터 사업 실시 중 - 농수산식품부는 농촌지역 자립기반구축을 위해 지역 공동체 조직 지원에 초점을 맞춘(지역성과 수익성 강조) 커뮤니티 비즈니스 형태의 사업을 추진할 예정 표 2.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 관련 정책사업 현황 사업명 관련부처 주요 사업내용 특 징 (관련 부처) (추진연도) -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 사회적 기업 사회적 기업 노동부 인증제 도입 -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에 육성사업 (2007년) - 2010년 현재 268개 사회적 기업 인증, 초점 각종 경영ㆍ재정ㆍ홍보사업지원 - 희망근로사업의 후속조치 사업인 (자립형) 행정안전부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과 커뮤니티 - 일자리 창출과 커뮤니티 지역공동체 (2010년) 비즈니스형“자립형 지역공동체 비즈니스 병행 사업 사업 병행 추진 - 노동부 사회적 기업에 대한 농촌조직 농어촌 농수산식품부 진출의 한계 극복 - 농촌형 커뮤니티 비즈니스에 공동체회사 (2011년 예정) - 농촌 자립기반 구축에 초점을 맞춘 초점(지역성과 수익성 강조) 활성화 사업 지역 공동체 조직지원 - 지역혁신센터 내 커뮤니티 비즈니스 네트워크 기능강화에 초점을 맞춘 시범 - 지식경제부는 시범사업, 지식경제부, 기 타 사업(지식식경제부) 문화관광부는 고용노동부와 문화관광부 - 노동부와 MOU를 통한 문화예술체육 MOU체결 통해 추진 분야 사회적 기업 육성(문화관광부)
  • 12. 10 정책브리프 제80호 ○ 최근 정책동향은 사회적 기업 지원정책에서 커뮤니티 비즈니스 관련 정책으로 확대 되는 경향 - 최초 고용노동부의 사회적 기업 지원정책이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에 초점이 맞추 어진 관계로, 지역문제 해결형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업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임 ○ 중앙부처에서는 관련 사업의 필요성은 인식하지만, 부처간 이해관계로 인해 가급적 사업의 차별성을 부각하는 방향으로 사업 추진 - 고용노동부는 취약계층 일자리 지원에 초점, 농수산식품부는 농촌형 커뮤니티 비즈 니스 활성화에 초점, 행안부는 근로취로형 일자리 지원과 커뮤니티 비즈니스 병행 2. 시사점 ○ 향후 지역단위에서 관련 사업의 통합적 지원체계의 구축 필요성 부각 - 중앙부처에서는 부처 이해관계로 사업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고 있지만, 이들 사업이 실현되는 지역단위에서는 부처 간 산발적 추진으로 사업실행의 혼선 증대 - 중앙의 산발적 사업을 도 혹은 시군 단위에서 깔때기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 이의 현실적 대안이 지역단위 통합지원체계를 갖추는 것 ○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적 비즈니스 모델 개발 필요 - 중앙의 정책사업을 포괄하면서, 사회적 기업 및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차별성과 연 계성을 염두에 둔 지역 차원의 사업 발굴 필요 ○ 강원도의 특성상 적은 예산으로 견실한 기업과 조직을 창출해 내는 데 초점 - 중앙부처 사업들이 현장에서 가시화된다면, 강원도 여건에 맞는 사례의 분석이 필수. 특히, 강원도의 여건상, 어려운 환경에서 성공한 사업 사례분석이 요구됨
  • 13.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11 Ⅳ 사업유형개발과 비즈니스 모델 1. 사업유형 개발의 기본 틀 ○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연계성을 중시한 사업 유형 개발 - 지금까지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별개의 사업으로 인식, 이를 통합한 사업유형개발은 전무. 하지만 지역 현장에서는 이들 사업들이 동시적으로 추진됨.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두 사업 간 연계성을 중시한 사업 유형 개발 필요 ○ 중앙부처 관련 정책을 포괄하는 사업 유형 개발 - 상기한 3개의 중앙부처 사업정책은 현재 그리고 향후 현장에서 가시화될 전망. 별개 의 사업으로 정책화된 사업을 현장에서 하나의 틀로 포괄하는 사업유형 개발 필요 ○ 강원도의 특성이 십분 반영된 사업 유형 개발 - 관련 사업이 도내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강원도 특성에 맞는 비즈니 스 모델을 발굴하는 것이 관건. 강원도 특성에 맞는 사례의 선정 및 분석 필요 ○ 상기한 문제의식 하에 “사업성격축(공익성과 수익성)”, “정책목표축(취약계층 고용창 출과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기준으로 유형화 시도 - 사업 성격에 따라 공익성이 높은 사업과 수익성이 높은 사업으로 분류 - 정책 목표에 따라 취약계층 고용창출과 지역공동체 활성화로 분류 ○ 최종적으로 5개의 유형을 발굴, 강원도 지역사회 내에서 어떠한 유형과 사업 분야가 진출 가능한가를 검토 - 1) 지역(산업) 진흥형, 2) (지역)자원활용형, 3) 자립지원형, 4) 생활지원형, 5) 기타 형으로 명명하여 사업분야 발굴
  • 14. 12 정책브리프 제80호 지역공동체 활성화 농어촌 공동체회사 (자립형)지역공동체 사업 사 업 공익성 수익성 성 격 노동부 사회적기업 (취약계층)고용창출 정책목표 ‣ 유형 및 분야 도출 (지역)자원활용형 지역(산업)진흥형 공 공 정보화 동 동 컨설팅 시설위탁운영 체 체 식품생산ㆍ가공/유통 활 활 지역자원관리/활용 성 성 전통시장 활성화 환경/산림/자원재활용 관광/교류 화 화 마을만들기 문화/예술/체육 취 중간조직/네트워크만들기 약 기타형 층 가사/보육 평생학습 지역금융 고 보건ㆍ의료 용 노인 등 취약계층 자립지원 창 출 생활지원형 자립지원형 공익성 수익성 ● 그림 1 ● 사업유형 및 분야 발굴의 기본 틀 2. 유형별 특성과 비즈니스 모델사례 □ 지역(산업)진흥형 사업 : 소득창출을 통한 지역공동체 활성화에 초점 ○ 본 유형은 지역산업진흥이나 지역문제 해결을 통해 침체된 지역을 활성화하는 것이 목적 - 공익성을 바탕으로 하지만 수익창출을 통한 지역산업 활성화⋅지역재생 등 사업성 이 강한 분야로서 다양한 경영자원의 활용과 마케팅 노력 필요 - 주로 식품생산⋅가공/유통, 전통시장활성화, 관광 및 도농교류, 마을만들기 등의 사 업분야에 사업 발굴 및 진출 가능
  • 15.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13 ∎ 비즈니스 모델 사례 1 : 일본“(주) 요시다 고향촌” ○ 요시다 고향촌 주식회사는 일본 시마네현 요시다마을 주민들로 구성된 주민주식회 사임 - 1985년 지역주민 100여명이 총 6억 원 규모의 출자로 설립. 지역주민이 주주로 활동 ○ 최초 마을의 문제인 “상수도정비⋅관리사업”으로 시작, 현재 “농산물 가공 제조⋅판매”, “시민버스 운행”, “온천민박운영” 등 사업 전개 - 산간지역으로서 수도설비에 불편, 지역주민이 자격증 취득 후 수도 수리 관리사업 전개. 수익성 확보를 위해 농산가공품 틈새시장 공략, “계란덮밥용 간장”, “주먹밥 전용 된장”, “불고기 전용 소스” 등 개발 판매 - 마을 온천민박 운영, 시민버스 운행 등 마을 관광활성화 및 대민 서비스 관련 사업 동시 진행 ○ 지역문제해결형 비즈니스로 출발, 농산가공품 틈새시장 공략으로 고정수요 확보, 농 산물 신뢰성 구축으로 소비자 신뢰확보 등이 주요 성공 요인 자료 : 日本 經濟産業省(2009), 「ソーシャルビジネス 55選」p.40 참조 ● 그림 2 ● 요시다 고향촌 주식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 16. 14 정책브리프 제80호 ∎ 비즈니스 모델 사례 2 : 일본“(주)아모르 도와” ○ (주)아모르 도와는 동경 도와긴자 조합원이 출자하여 설립한 주식회사 - 지역 내 대형유통업체의 입점 후 지역재생을 위해 1990년 조원 41명이 출자하여 주민출자형 주식회사 설립 ○ 주요사업은 “병원 내 레스토랑 및 매점 운영사업”, “학교급식사업”, “도시락 택배사업”, “청소사업” 등 수익사업과 “방과후 교실 운영, “고령자 도시락 지원 및 복지시설 지원” 등 사회공헌사업 진행 - 학교급식은 일일 약 8,500명 급식지원, 도시락 택배사업은 지역 내 다양한 행사 도 시락 배달, 청소사업은 대형유통업체 청소사업 대행 등임 - 폐업한 상점을 활용, 지역 아동 방과후 학습공간 및 운영비 지원, 독거노인 도시락 택배 및 고령자 취미활동을 위한 마을 폐상점 임대 지원 등임 ○ 지역주민 210명 고용, 2009년 약 50억원 매출로 지역고용창출과 상점가 활성화 도모 - 학교급식, 도시락택배사업으로 지역상점가 재생, 대형유통업체의 청소대행사업 전 개로 대형유통업체와 주민주식회사 상생 도모 자료 : (주)아모르도와 홈페이지(http://www.amorutowa.co.jp/) ● 그림 3 ● 아모르 도와 주식회사의 급식사업 현황
  • 17.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15 □ (지역)자원활용형 사업 : 지역에 산재된 자원을 활용, 비즈니스 방식으로 소득 창출 ○ 본 유형은 지역공동체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자원을 활용하여 수익성과 공익성을 동 시에 추구하여 지역공동체 활성화 도모 - 지역자원을 발굴하고 상품화하는 데 필요한 노하우를 습득하고 지역 내 적절한 사 업주체를 선정하는 것이 사업추진의 핵심 키 - 주로 지역시설위탁운영, 컨설팅/자원을 활용한 마을만들기, 환경/산림/자원재활용, 정보화/안전 등의 분야에 사업 발굴 및 진출 가능 ∎ 비즈니스 모델 사례 1 : 대구“(사)희망자전거제작소” ○ 2008년 노동부 인증 사회적 기업으로서 정식명칭은 “대구 YMCA 희망자전거제작소 사업단”임 - 사업운영 형식은 대구 YMCA 내 사업단 형태로서 대구 YMCA, 대구도시가스(주), 대구시가 공동으로 기획ㆍ운영 ○ 도심에 무단 방치 자전거를 수거⋅수리하여 재생 자전거 제작, 시민의 출퇴근용으로 활용. 예술 디자인 자전거 제작을 통해 도심 관광용으로 자전거 활용, 수익 창출 ○ 재생자전거 재활용 사업을 통해 자원낭비를 막고 녹색 교통수단 창출. 아트바이크사 업, 투어바이크사업 등 도시이미지를 높이고 관광활성화 도모. 자전거에 광고물을 부 착하여 소득을 창출하는 등 수익원 다원화 도모 표 3. 대구“희망자전거제작소”사업 현황 사업명 주요 사업내용 ‣ 자전거제작 판매ㆍ임대 : 수거된 자전거를 활용, 예술자전거 등 특수 자전거를 제작, 판매 하여 시민들에게 연간 일정액을 받고 임대 수익사업 ‣ 예술자전거 이벤트, 광고 : 수거된 자전거를 활용, 자전거 묘기쇼 등 이벤트를 개최하고 자전거에 광고물을 부착하여 운행 ‣ 투어바이크 사업 : 영업용 자전거(2인 또는 4인)로 도심을 운행 및 생태관광 투어 ‣ 재활용 자전거 보급 : 저소득 임대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고장난 자전거를 무상으로 수 리해 주는 사업 비수익사업 ‣ 마을자전거 네트워크 사업 : 저소득 임대아파트 주민에게 무료로 자전거를 대여해 주는 사업 등을 포함한 총 5개 정도 자료 : 희망자전거제작소 홈페이지(http://www.bikeart.co.kr/) 및 박은희(2009),「대구경북 사회적기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방안」p.43, 대구경북연구원자료 등을 참고로 재작성
  • 18. 16 정책브리프 제80호 ∎ 비즈니스 모델 사례 2 : 일본“후보아자레아” ○ 후보아자레아는 비영리활동법인(NPO법인)으로서, 민간기업이 방치한 지역의 스키장 을 관리ㆍ운영하여 소득창출과 지역활성화 도모 - 스키장 시설은 시가 소유, 관리운영은 본 단체에서 위탁운영. 주민회원제도 도입으 로 2009년 현재 337명이 회원으로 가입⋅활동 ○ 주요 사업은 스키장 운영과 자연교육 사업으로, 연간 6억 원의 사업소득 창출 및 식 자재 판매 등 지역농업활성화 도모 - 스키장 운영은 시설정비, 리프트 운영관리, 레스토랑 및 렌탈 스키 등 부속사업 경 영 등. 자연교육 사업은 스키대회 및 교실 개최 등임 - 본 사업을 통해 방문객 증가로 인해 연간 약 5만 명의 안정적 수요 확보. 식자재 등구입으로 지역농업활성화 동시 도모 - 비수기에는 야생초 약초 연구회, 별을 보는 모임, 플라워 트래킹 등 이벤트 개최를 통해 새로운 소득원 발굴 ○ 스키장은 대기업이 경영하는 곳이라는 상식을 깨고 주민 주도의 스키장 경영을 통해 수익창출 가능성을 시사 - 특히, 지역자본으로 운영되는 관계로 지역주민들이 주인의식을 갖고 스키장 애용 및 체육교육의 장으로도 활용되어 주민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 자료 : 日本 經濟産業省(2009), 「ソーシャルビジネス 55選」p.10 참조 ● 그림 4 ● 후보 아자레아의 비즈니스 모델
  • 19.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17 □ 자립지원형 사업 : 취약계층 등 경제활동 참여 도모, 자립기반 마련에 초점 ○ 본 유형은 지역 내 취약계층이나 지역주민들의 경제활동 참여를 도모하여 자립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 - 취약계층 고용창출이라는 공공성을 바탕에 깔고 있기 때문에 수익성을 어떻게 확 보하는가가 관건. 공공에서 담당하는 사회서비스 사업에 진출하거나 별도의 수익사 업 병행 필요 - 주로 노인/여성/결혼이민자 등 취약계층 자립지원, 도시권 주부⋅퇴직자, 고령자 대 상 평생학습 교육, 지역금융 등의 분야에 사업 발굴 및 진출 가능 ∎ 비즈니스 모델 사례 1 : 순천“시니어공동체” ○ 순천 “시니어공동체”는 지역 노인회가 고령인력을 활용하여 청려장 지팡이와 천연염 색상품, 전통발표식품을 제작⋅판매하는 사업 - 순천시 노인회 산하에 실버사업단 신규 설립, 2009년 현재 약 90명 수준의 고령자 가 사업 참여 ○ 주요 사업내용은 지팡이(청려장), 천연염색상품, EM, 전통발효식품 등을 제작 판매하 는 사업이 주를 이룸 - 청려장의 경우, 노인의 날 행사시 순천시가 문경에서 2-3천만 원 상당의 지팡이를 구매해 오고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지역 생산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하여 지역 노 인회에서 제작⋅판매 - 매출은 하루 평균 6-8만원 선이며 순천시가 대량 구매하는 청려장의 년 매출은 3천 만 원임. 염색사업은 1인당 월 10만 원씩 인건비 보조를 받고 있으며 판매금을 통 해 추가 인건비 지급 ○ 수익성이 그다지 높지 않지만, 도시지역 노인 일자리 창출을 통해 다소의 소득을 보 장하고 삶의 보람을 느끼는 등 노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20. 18 정책브리프 제80호 ∎ 비즈니스 모델 사례 2 : 일본“(주)이로도리” ○ (주)이로도리는 고령자를 중심으로, 잎이나 야생화를 호텔이나 여관에서 사용되는 요 리의 “장식”으로 출하하는 사업 - 마을 산에 산재하는 꽃이나 풀도 하나의 상품으로 판매 가능하다는 인식전환에 주목. 지역의 농협직원이 사업 설립인이 되어 1986년부터 사업 시작 - 고령자들이 사용하기 편한 PC를 개발하여 개인 매상을 공포함으로서 경쟁심을 유 도하는 장치 등을 고안하여 사업에 활용 ○ 2010년 현재 194개 농가가 연간 26억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으며 출하량은 전국 시 장의 80%를 차지 - 농가에 PC를 설치해 판매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시장동향을 파악하고 농가 스스로 출하를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고령자가 일을 통해서 사람과 시장, 사회와 관계를 맺음으로써 돈도 벌고 자긍심도 고양하는 효과 거양 자료 : 日本 經濟産業省(2009), 「ソーシャルビジネス 55選」p.42 참조 ● 그림 5 ● (주)이로도리의 비즈니스 모델
  • 21.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19 □ 생활지원형 사업 : 비즈니스 방식을 통해 취약계층 생활지원 ○ 본 유형은 취약계층 생활지원이 주목적. 공공성이 매우 강해 자체 수익구조가 취약, 행정지원이나 민간 후원에 기반한 사업 추진 필요 - 주로 가사/보육, 보건⋅의료 분야에 고령자, 장애인,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복지 와 공공부문이 담당하는 서비스를 위탁운영하는 사업이 이에 해당 ∎ 비즈니스 모델 사례 : 경주자활지원센터 내“(사)함께가는길” ○ (사)함께가는길은 경주지역자활센터 내 사업단으로서 2007년 고용노동부 사회적 기업 으로 인증받은 비영리 민간단체임 ○ 주요 사업은 1) 사회적 일자리 사업, 2) 시장진입형 사업, 3) 취업상담 및 직업교육사업, 4) 사회공헌사업 및 문화지원사업 등임 - 사회적 일자리 사업은 방문도우미 사업, 장애통합교육보조원 사업, 간병사업, 세탁 사업, 무료공부방 운영 등 - 시장진입형 사업은 영농사업, 우리콩마을사업, 스팀세차 사업, 청소/가사사업, 산모 도우미사업, 집수리/도배사업 등 - 취업상담 및 직업교육 부문은 취약계층 취업알선을 위한 취업정보센터 운영 및 취 업 관련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을 운영을 위한 인력개발원 운영 - 사회공헌사업 및 문화지원사업은 사랑의 집짓기, 연탄나눔 운동, 무료 야생화문화 강좌,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운영, 생태마을 전시관 운영 등 포함 ○ 수익성 확보를 위해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 수익성과 공공성의 동시 도모를 통해 지 역의 다양한 복지수요에 대응 - 단순한 사회복지 서비스의 제공으로 수익성의 한계를 보이는 기존 “자활공동체”의 한계 극복 ○ 자활센터를 거점으로 하여 각종 사회 서비스 사업을 “사업단 형태”로 추진. 이러한 개별 사업단의 성장을 통해 새로운 사회적 기업으로 분화ㆍ발전 중
  • 22. 20 정책브리프 제80호 Ⅴ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1. 도 단위 통합지원체계 구축 □ 도청 내“희망일자리 추진단”확대 운영 ○ 추진단 내 외부전문가를 고용하여 별도의 팀 단위로 사업 추진 검토 - 고용노동부의 “예비 사회적 기업 지원사업”의 지자체 이관, 행정안전부 “자립형 지역 공동체 사업” 확대, 농수산식품부 “농어촌 공동체회사 활성화 사업”의 가시화 예상 - 관련 행정업무의 과부하, 전문성 보강을 위해 도청 “희망일자리 추진단” 내 인력 보 강 및 외부전문가 고용 필요 □ 사회적 기업 및 커뮤니티 비즈니스 통합지원센터 설치 ○ 사회적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전담지원하는 “(가칭) 강원도 지역공동체 사업 지 원센터” 설립 검토 - 민⋅관⋅연이 연계하여 민간위탁방식의 지원센터 설립 검토, 민간위탁방식에 의해 민간에서 자율성을 갖고 운영하고, 행정이 측면지원하는 방식 검토 □ (가칭)“강원도 공공시설 지정관리제”도입 ○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공공시설 관리와 운영(도로, 수도, 공원, 관광시설 등 포함)을 주민주식회사, 공동체 법인 등에 위탁운영하는 “(가칭) 강원도 공공시설 지정관리제” 도입 검토 - 지역사회단체에 대한 보조는 축소하는 대신, 지방행정 서비스의 위탁 또는 공동사 업을 확대하여 관련 시장 창출 및 행정업무 효율화 도모. 단, 이 경우 서비스의 질 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 □ (가칭)“강원도형 지역공동체 사업”지원 조례 제정 ○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 통합지원을 위해서는 “(가칭) 강원도형 지역공동체 사업” 지원조례 제정 필요
  • 23.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21 - 현재 관련 조례는 “강원도 사회적기업 육성조례”가 있지만, 이는 고용노동부의 사 회적 기업 육성법에 준하여 만든 조례이므로 지역공동체 사업을 희망하는 다양한 기업과 조직들이 지원받기에는 제약이 큼. 이를 통합한 지원조례 제정 필요 - 조례제정시, “시군 단위 전담부서 설치”를 의무화하거나 “중간지원조직 육성”을 권고 하는 조항도 포함하여 시군간 연계성 도모 2. 시군 단위 통합지원체계 구축 □ 전담부서 설치 및 중간지원조직 육성 ○ 시군 단위에서도 도 단위 지원체계와 연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전담부서 의 설치”, “행정서비스 위탁”, “지원조례의 제정” 등 정비가 요구됨 ○ 시군의 경우, 현장에서 사업을 발굴하고 기업을 촉발하고, 기업 및 조직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이를 위한 “중간조직의 육성”이 필수불가결 - 시군 단위 중간조직의 육성은 1) 민ㆍ관ㆍ연 연계형 중간지원 센터 설립(예 : 완주 군 CBN센터), 2)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내 사업기능 부과(예 : 강릉시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3) 지역대학이나 연구원 등과 연계하여 관련 기관 내 센터 설치 - 지원센터의 기능은 1) 시군 내 관련사업의 거점 기능, 2) 인력양성기능, 3) 조사연 구 기능, 4) 창업 및 컨설팅 기능, 5) 네트워크 기능 등 포함 표 4. 시군 단위 중간지원센터의 기능 주요 기능 사업 내용 중앙부처 및 도 단위 협력체계 구축, 지역사회와 센터 간 연계 사업, 국제교류 사업, 홍 거점 구축 보관 운영 등 인력 양성 핵심인력 교육 및 연수, 마을단위 학습프로그램 운영, 창업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정책사업 발굴, 사업모델개발, 지역 자원조사, 사회서비스 수요공급 조사, 비영리민간단 조사연구 체 역량조사 등 창업 및 컨설팅 다양한 조직참여 방안 검토, 사업화 아이템 발굴, 법률ㆍ회계ㆍ노무 등 경영지원 사업 주체별 및 지원자 간 네트워크 지원, 사업자ㆍ고객ㆍ지역주민 간 네트워크 만들기 네트워크 만들기 및 파트너십 형성 등 관련 사업
  • 24. 22 정책브리프 제80호 3. 지역사회 연계체계 구축 ○ 지역사회 내 존재하는 다양한 주체 간 유기적 연계를 통해 순환과 공생의 지역공동체 일자리 창출 도모 필요 - 지역사회 내 사회적 기업 및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연계가능한 기관 및 단체는 1) 민간 기업, 2) 지역대학, 3) 지역금융기관, 4) 비영리 민간단체 5) 공공기관 등 기타 기관 등임 사회적 기업 커뮤니티 비즈니스 ● 그림 6 ● 지역사회내 연계 체계도 □ 민간기업과의 연계협력 ○ 민간기업은 지역사회 공헌사업으로서 “1사 1사회적기업 자매결연 맺기 운동” 전개 - 민간기업과의 연계를 통해 기업의 경영 노하우 제공, 퇴직 경영인 등 기술인력 제공, 사회적기업 등 청소위탁 가능 - 기업의 입장에서 지역사회 내 사회적 기업과의 파트너십 형성을 통해 시장의 소비 자를 파악하거나 신상품 홍보 등 공동협력 가능(예 : 희망자전거제작소 ⟶ 예술자 전거에 기업홍보 광고물 부착)
  • 25.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23 □ 지역금융기관과의 연계협력 ○ 지역금융기관과는 해당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소액융자상품 개발⋅판매” 검토 ○ 기업과 금융기관이 연계하여 “사회적기업 펀드 조성” 검토 □ 지역대학과의 연계협력 ○ 지역대학 내 전문인력 양성코스 개발, 사회적 기업 관련과 개설 등을 통해 진정성과 전문성을 갖춘 사회적 기업가 양성에 교류협력 가능 ○ 대학내 식당 등을 사회적 기업 및 지역공동체 사업체에게 위탁⋅경영, 식자재 공급 등 연계, 지역사회 내 안전한 식자재를 공급하고 지역사회 일자리도 창출하여 상호 공생 도모 □ 비영리 민간단체와의 연계협력 ○ 지역 내 비영리 민간단체는 관련 사업을 촉발하거나 네트워크화하는 역할을 수행함 으로써 연계협력 가능 - 비영리 민간단체는 최초 공익성에 우선하여 사업을 전개하고 이후 주식회사나 조합 등으로 사업형태를 다양화하거나 확대 추진 - 지역자활센터 등 비영리 민간단체에 지역주민 조직이 사업단 형태로 참여(예 : 경 주자활지원센터 내 “함께가는길”)하거나, 주민자치센터 등 노인회, 부녀회 등에서 지역공동체 사업에 참여(예 : 순천 시니어 공동체 등) □ 공공기관 및 기타기관과의 연계협력 ○ 공공기관은 지역사회 공헌사업으로서 “1기관 1사회적기업 자매결연 맺기 운동”을 전개 하여 사회적기업 상품의 우선구매 촉진 - 병원이나 지역 학교의 학교급식분야에 농산물 생산ㆍ유통관련 사회적기업과 연계 협력 가능 ○ 지역사회 상공인 단체와의 연계를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 등 분야에서 사회적 기업과의 연계협력 가능(예 : (주)아모르 도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