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ist ein Scribd-Unternehmen logo
1 von 7
Downloaden Sie, um offline zu lesen
밧줄 권선기 (yarn winder, rope winder)
이 밧줄 권선기는 1900년대 농장에서 널리 사용되기 사용되었다. 3가닥의 실을 동시에 따로 따로 고리에 걸고
꼬아서 가닥을 만들 수 있다. 다시 세 가닥의 실을 꼬아 밧줄을 만들 수 있다.
밧줄 권선기는 3/4” 두께, 폭 4” 합판으로 만들 수 있다. 한 조각은 길이가 20”, 다른 조각은 15”로 준비한다.
(참고로 1”은 1 inch = 2.54cm) 아래 그림에서 (A)는 손잡이를 만들고, (B)와 (C)를 잘라 'ㄴ'자 형태로 목공
풀과 나사못으로 접착해서 기본 몸체를 만든다.(D)는 잘라서 이후에 실 가닥을 구분하는 갈래 주걱을 만들 때
사용한다. 실 가락을 끼우는 홈은 나중에 판다. (E)는 고리를 고정하는 판으로 사용한다.
(A)와 (D)는 같은 모양으로 잘라서 하나는 손잡이로 사용하고 하나는 갈래국자로 사용한다. 손잡이와 갈래국
자용 부재에 직경 3-1/2”(반지름 1-3/4”) 원을 그린다. 각도기로 60º 간격으로 표시한 후 3시, 7시, 11시 위
치에 구멍자리를 표시하고 모양대로 잘라낸다. 손잡이에 드릴로 구멍을 뚫을 때는 기본 몸체 윗 부분에 해당하
는 (C)와 (A)를 클램프로 서로 고정하고 두 부재를 관통하여 같은 자리에 드릴로 구멍을 뚫는다. 이때 구멍의
직경은 1/8”이다. 이 구멍은 나중에 실을 거는 3개의 고리를 끼울 자리다.
실을 걸을 회전 고리는 철사 옷걸이를 재활용해서 만든다. 대략 8” 길이로 세 가닥을 준비한다. 철사는 두번
'L' 형태로 꺾는다. 끝에서 1-1/2” 위치에서 한번, 다시 꺽인 부분에서 1-1/2” 더 나간 위치에서 한번 더 꺾는
다. 나중에 손잡이와 몸체(C) 구멍에 끼운 후 고리 모양으로 반대쪽 끝을 만든다.
갈래 주걱은 실을 꼬아 밧줄을 만들 때 세 가닥의 실을 분리(갈라) 해주는 장치다. 갈래주걱은 앞서 설명한 손
잡이와 만드는 방법이 동일하다. 즉 전체적인 모양, 크기, 표시하는 원과 구멍의 위치가 같다. 단, 갈래 주걱에
는 구멍 대신에 실을 끼울 홈을 같은 위치에 판다.
반대쪽 끝단 고리는 재단한 부재 (E)를 이용한다. 부재의 정 중앙에 3” 길이의 문고리용 나사못 고리를 박는다.
밧줄 권선기 사용법
우선 완성된 기본 몸체(B)(C)를 클램프로 탁자에 고정한다. 약 180cm 정도 길이의 밧줄을 만들기 위해서는
18m 정도의 실이 필요하다. 실 한쪽 끝을 권선기 몸체에 부착된 3개의 회전 고리 중 한 개에 묶는다. 180Cm
정도 거리에 놓인 끝단 고리에 실을 끌어가 건다. 다시 실은 반복해서 남은 회전고리와 끝단 고리에 걸고 마지
막으로 묶어 고정한다. 끝단 고리는 벽이나 기둥에 박아서 고정되어 있거나 누군가 잡고 있어야 한다.
세 가닥 실의 중간에 갈래 주걱을 끼워 넣는다. 몸체의 손잡이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 실을 꼰다. 이때 갈래주걱
으로 세 가닥의 실이 엉키지 않도록 이동한다. 처음 세 가닥을 따로 꼬고, 다시 이 세 가닥을 하나로 모아서 반
대방향으로 꼬아 밧줄을 만든다. 갈래주걱을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밧줄이 촘촘해지거나 느슨해진다. 기
본적으로 밧줄을 만들거나 여러 가닥의 실을 합쳐 두껍게 만드는 합사 방식은 같다.
다른 형태의 권선기 사례들을 소개한다. 크게 만들면 밧줄을, 작게 만들면 합사기로 사용할 수 있다.
(끝단 고리 대신 추를 달아 밧줄의 인장력을 조절하면서 고정하는 장치)
밧줄권선기 또는 합사기
밧줄권선기 또는 합사기
밧줄권선기 또는 합사기

Weitere ähnliche Inhalte

Mehr von Seongwon Kim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Seongwon Kim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Seongwon Kim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Seongwon Kim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Seongwon Kim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Seongwon Kim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Seongwon Kim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Seongwon Kim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Seongwon Kim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Seongwon Kim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Seongwon Kim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Seongwon Kim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Seongwon Kim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Seongwon Kim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Seongwon Kim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Seongwon Kim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Seongwon Kim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Seongwon Kim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Seongwon Kim
 

Mehr von Seongwon Kim (20)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밧줄권선기 또는 합사기

  • 1. 밧줄 권선기 (yarn winder, rope winder) 이 밧줄 권선기는 1900년대 농장에서 널리 사용되기 사용되었다. 3가닥의 실을 동시에 따로 따로 고리에 걸고 꼬아서 가닥을 만들 수 있다. 다시 세 가닥의 실을 꼬아 밧줄을 만들 수 있다. 밧줄 권선기는 3/4” 두께, 폭 4” 합판으로 만들 수 있다. 한 조각은 길이가 20”, 다른 조각은 15”로 준비한다. (참고로 1”은 1 inch = 2.54cm) 아래 그림에서 (A)는 손잡이를 만들고, (B)와 (C)를 잘라 'ㄴ'자 형태로 목공 풀과 나사못으로 접착해서 기본 몸체를 만든다.(D)는 잘라서 이후에 실 가닥을 구분하는 갈래 주걱을 만들 때 사용한다. 실 가락을 끼우는 홈은 나중에 판다. (E)는 고리를 고정하는 판으로 사용한다. (A)와 (D)는 같은 모양으로 잘라서 하나는 손잡이로 사용하고 하나는 갈래국자로 사용한다. 손잡이와 갈래국 자용 부재에 직경 3-1/2”(반지름 1-3/4”) 원을 그린다. 각도기로 60º 간격으로 표시한 후 3시, 7시, 11시 위 치에 구멍자리를 표시하고 모양대로 잘라낸다. 손잡이에 드릴로 구멍을 뚫을 때는 기본 몸체 윗 부분에 해당하 는 (C)와 (A)를 클램프로 서로 고정하고 두 부재를 관통하여 같은 자리에 드릴로 구멍을 뚫는다. 이때 구멍의 직경은 1/8”이다. 이 구멍은 나중에 실을 거는 3개의 고리를 끼울 자리다.
  • 2. 실을 걸을 회전 고리는 철사 옷걸이를 재활용해서 만든다. 대략 8” 길이로 세 가닥을 준비한다. 철사는 두번 'L' 형태로 꺾는다. 끝에서 1-1/2” 위치에서 한번, 다시 꺽인 부분에서 1-1/2” 더 나간 위치에서 한번 더 꺾는 다. 나중에 손잡이와 몸체(C) 구멍에 끼운 후 고리 모양으로 반대쪽 끝을 만든다. 갈래 주걱은 실을 꼬아 밧줄을 만들 때 세 가닥의 실을 분리(갈라) 해주는 장치다. 갈래주걱은 앞서 설명한 손 잡이와 만드는 방법이 동일하다. 즉 전체적인 모양, 크기, 표시하는 원과 구멍의 위치가 같다. 단, 갈래 주걱에 는 구멍 대신에 실을 끼울 홈을 같은 위치에 판다. 반대쪽 끝단 고리는 재단한 부재 (E)를 이용한다. 부재의 정 중앙에 3” 길이의 문고리용 나사못 고리를 박는다. 밧줄 권선기 사용법 우선 완성된 기본 몸체(B)(C)를 클램프로 탁자에 고정한다. 약 180cm 정도 길이의 밧줄을 만들기 위해서는 18m 정도의 실이 필요하다. 실 한쪽 끝을 권선기 몸체에 부착된 3개의 회전 고리 중 한 개에 묶는다. 180Cm 정도 거리에 놓인 끝단 고리에 실을 끌어가 건다. 다시 실은 반복해서 남은 회전고리와 끝단 고리에 걸고 마지 막으로 묶어 고정한다. 끝단 고리는 벽이나 기둥에 박아서 고정되어 있거나 누군가 잡고 있어야 한다.
  • 3. 세 가닥 실의 중간에 갈래 주걱을 끼워 넣는다. 몸체의 손잡이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 실을 꼰다. 이때 갈래주걱 으로 세 가닥의 실이 엉키지 않도록 이동한다. 처음 세 가닥을 따로 꼬고, 다시 이 세 가닥을 하나로 모아서 반 대방향으로 꼬아 밧줄을 만든다. 갈래주걱을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밧줄이 촘촘해지거나 느슨해진다. 기 본적으로 밧줄을 만들거나 여러 가닥의 실을 합쳐 두껍게 만드는 합사 방식은 같다. 다른 형태의 권선기 사례들을 소개한다. 크게 만들면 밧줄을, 작게 만들면 합사기로 사용할 수 있다.
  • 4. (끝단 고리 대신 추를 달아 밧줄의 인장력을 조절하면서 고정하는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