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ist ein Scribd-Unternehmen logo
1 von 123
차 례




행/사/일/정




주/제/발/표


1. 사회화, 그리고 기업화: 사회문제 속에서의 기업가 정신

  (김병규, University of Bristol, UK) ❙ 3


2. 지역경제발전과 사회적기업

  (노한균, 국민대 경영학과 교수) ❙ 27


3. 지역사회서비스 다양화에 따른 사회적기업의 방향모색

  (김윤수, 사회서비스 관리센터 연구조사팀 팀장) ❙ 43


4.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이광우, 한국 사회서비스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73
행 사 일 정


등록 및 접수                                          13:00 ~ 13:30



개회식                                              13:30 ~ 13:50
    ○ 개회사: 문형구 (비영리학회 회장,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
    ○ 환영사: 최종태 (사회적기업연구포럼 대표, 최저임금위원회 위원장)
    ○ 축    사: 노동부



제1부     사회: 황창순 (순천향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14:00 ~ 15:40
    ○ 발표
        1. 사회화, 그리고 기업화: 사회문제 속에서의 기업가 정신
          김병규 (University of Bristol, UK)
        2. 지역경제발전과 사회적기업
          노한균 (국민대 경영학과 교수)
    ○ 토론
        진재문 (경성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곽선화 (부산대 경영학부 교수)



제2부     사회: 김용호 (부산가톨릭대 유통경영정보학부 교수)             16:00 ~ 17:40
    ○ 발표
        1. 지역사회서비스 다양화에 따른 사회적기업의 방향모색
          김윤수 (사회서비스 관리센터 연구조사팀 팀장)
        2.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이광우 (한국 사회서비스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토론
        홍현미라 (전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이용탁 (동서대 경영학부 교수)



폐   회                                                    17:40


                                      1
사회화, 그리고 기업화:

사회문제 속에서의 기업가 정신

                 김 병 규
         (University of Bristol, UK)
Byoung-Kyoo Kim & Leroy White




To Be Social and to Be an Enterprise:
Entrepreneurship into Social Concern
NPOKOREA, Pusan National University, 12 June 2009




                                       &
Contents


•   Introduction
•   Self-interest versus Altruism
•   Capitalism versus Socialism
•   Enterprise versus Community
•   To Be Social and to Be an Enterprise
•   Conclusion




                                    .
Introduction: towards what we are dreaming (1)


•   Win-win-win (Elkington, 1994)
     – Win-win strategy in the structure of competitive societies → Partnership
     – However, lots of ‘Win-lose Conflicts’ in the world
     – Emerging Win-win-win strategy: 3Ps (Three Bottom Lines: TBL)
            Profit (to Company)
            People (Customers)
            Planet (Environment)
          → More enhanced Partnership
     – The more needs for social partner → The more focusing on the 3Ps
     – Business entities do not pay attention to the social partner without social
       control & monitoring methods.




                                        b
Introduction: towards what we are dreaming (2)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 A natural duty of corporate business entities in an organic society
     – Evolution of CSR
            Going back to the 1930s and 1940s
                  The Functions of Executive (Barnard, 1938)
                  Social Control of Business (Clark, 1939)
                  Measurement of the Social Performance of Business (Kreps, 1940)
            Has reached the present day since the 1950s
            A Four-part CSR Definition (Carroll, 1991)
                  Economic, Legal, Ethical, Philanthropic
                  But, more emphasis on the ethical & philanthropic functions




                                           O
Introduction: towards what we are dreaming (3)


•   The 3Ps & CSR
    – People (Philanthropic Definition): the key element for successful business
           The second P of the 3Ps
           The last function of the four-part CSR definition
    – New Type of Organisation
           Decreasing the voices of shareholders.
           Goes toward a new poise.
           Conventional business entities were not founded on the present criteria.
           But, new organisations have to be founded under the premise, the 3Ps & CSR.




                                         ’
Self-interest versus Altruism:
amphibian organisation? (1)

•   Why Do We Have to Help Others?
•   What Is “Helping Others”?
     – Reward & Social or Economic Class
             Pure helping others does not involve any reward
             People from lower classes within the social or economic system are difficult to
             show pure helping others (because of feeling of loyalty and duty).
     – That is, helping other is ALTRUISM.
•   Altruism & Self-interest (1)
     – Altruism and self-interest (selfishness) appear together all the time.
     – People say that the former is a virtue but the latter a vice.




                                           ‘ H
Self-interest versus Altruism:
amphibian organisation? (2)

•   Altruism & Self-interest (2)
     – People in a criminal situation
            A complete altruist
            A complete egoist
            A half-altruist & half egoist
     – Depends on the context (Bester & Guth, 1998).
     – Interact on social relations & in organisations of society (Fehr &
       Fischbacher, 2003).
     – Namely, can affect into an individuals as well as interpersonal case.
            Deployable into an organisation, inter-organisations as well.




                                            H H
Self-interest versus Altruism:
amphibian organisation? (3)

•   Helping Behaviour in Organisational Studies
     – Organis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OCB) (Posdakoff et. al., 2000)
            Academics mainly focus on helping others with work-related problems.
            Organ (1988)’s Perspective on OCB
                  Altruism, Courtesy, Peacemaking and Cheerleading
            Other Perspectives
                  Altruism, Helping and Cooperating with Others, Interpersonal Facilitation,
                  Interpersonal Helping, Helping Co-workers or the like
            To sum up, altruism is synonymous with helping others.
     – Helping Behaviour & Quantitative Organisational Output → Negative
       relation (Podsakoff & MacKenzie, 1994)
     – Altruism and self-interest are coexist. → Applying to the 3Ps & the four-
       part CSR definition → Amphibian Organisation




                                           ‘ ’
Capitalism versus Socialism: distribute if you own and
own if you want to distribute (1)

•   Historical Relics
     – Repetitive constructions and destructions
     – The biggest relics in the last century: Capitalism & Socialism
     – Destruction is not extinguishing but hiding.
•   Capitalism versus Socialism
     – The Core of Capitalism: the private & market economy
     – The Difference between Capitalism & Socialism: Ownership &
       Distribution
     – A Logical Flow among Ownership, Distribution and Investment
     – Business entity’s pursuit is to attain ‘Sustainability’




                                        ‘ 3
Capitalism versus Socialism: distribute if you own and
own if you want to distribute (2)

•   Capitalism and Socialism
     – Capitalism gives rise to ownership.
     – Capitalism pursues profit as its leading value.
     – Socialism encourages equal distribution.
     – Socialism originates from community.
•   Social systems and trends are not important.
•   Need to emerge New Organisations or Business Entities with both Self-
    interest and Altruism.




                                       ‘ L
Enterprise versus Community:
profit, profit, and profit? (1)

•   Enterprise’s Characteristics are (Chell, 2007)
     – Individualism.
     – Personal achievement.
     – Ambition.
     – Striving for excellence.
     – Effort.
     – Hard work.
     – The assumption of personal responsibility for actions.
•   Community does
     – Derive from self-interest.
     – Share members’ common characteristics.




                                      ‘ &
Enterprise versus Community:
profit, profit, and profit? (2)

•   Successful business does make profits and create values.
•   By-product in the enterprising process
     – Organisational culture or environment
     – Categorisation are
            Tangible or intangible.
            Within organisation or out of organisation.
            Long term or short term.
            People and Organisation (These are what enterprise has to take into account).




                                         H .
Enterprise versus Community:
profit, profit, and profit? (3)

•   Enterprise versus Stakeholders
     – Edward Freeman (1984) coined the term ‘stakeholders’.
            Stakeholders are private owners or shareholders, government, senior
            management staff, non-managerial staff, trade unions, customer, creditors, and
            local community.
     – While society enforces enterprise to change, enterprise tries to conquer the
       whole realm included all stakeholders.
     – Shareholders’ profit versus Stakeholders’ interests.
     – Enterprise and Altruism
            Enterprise is run in the world with CSR
            Enterprise pretends to be an amphibious organisation for gaining profits.




                                         H w
Enterprise versus Community:
profit, profit, and profit? (4)

•   Community and Self-interest
     – Altruistic behaviour as self-interests.
     – Such self-interests give birth to many communities related to social
       concerns.
     – Communities play roles as stakeholders for or against some enterprises.
     – Self-interest with altruism leads our points of view from profit to social
       concern.
     – The problems communities face are sustainability and effectiveness.
             They need to own operating skills and development strategies.




                                          H O
Enterprise versus Community:
profit, profit, and profit? (5)

•   A New Circumstance: The Quirk report in the UK (2007)
     – Management by the community own hands.
     –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 Transfer of public assets to community groups form the public sector
•   Enterprise, Community and Stakeholders
     – Financial profits versus initial profits
     – The Community Interest Company (CIC)
             Works for the benefit of the community.
             1,706 CICs across the UK (May 2008).

•   Ongoing society can be constructed by ongoing sub-societies.




                                          ‘ ?
To Be Social and to Be Enterprise:
into social concern (1)

•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1)
     – The imbalance between demands and supplies…
            Exist between Self-interest and Altruism.
            Self-interest and shareholders, altruism and stakeholders.
     – The First Sector
            The business private sector
            Does touch on society and play a functional role as an economic sector.
     – The Second Sector
            The public sector.
            Does produce public goods, secure other sectors and control society.
     – The Limitation of the Two Sector
            Both all cannot embrace lots of social concerns.
            Society comes on to another sector.




                                          5 S
To Be Social and to Be Enterprise:
into social concern (2)

•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2)
     – The Third Sector
            Did position between the first sector and the second sector.
            Has performed many projects to improve society.
            Is called social economy and does includes community, voluntary and not-for-
            profit activities.
            Is regarded as tax-exempt and tax-deductible organisation.
            Has been armed more dynamic enterprise and industry rather than institution
            (Lohmanmm, 2007).
     – Social Enterprise
            The organisations in the third sector are getting more profit-oriented.
            Some changes did cause to emerge a new type of organisation.
            Does reinvest all profits back in to the own business or other social aims.




                                          5 H
To Be Social and to Be Enterprise:
into social concern (3)

•   Business Entrepreneurship versus Social Entrepreneurship
     – Entrepreneurs do create not wealth but value.
            Values are the same as the stakeholders’ interests.
            Entrepreneurs does have the ability to attract the resources needed to grow and
            activate innovation and change in the pursuance of new opportunities (Dees,
            1998)
     – Social entrepreneurs are interested in what the social mission is and what
       the social enterprises pursue initially.
     – Difficulty to measure value creation.
     – Social entrepreneurs should play the role of change agents in the social
       sector (Dees, 1998)




                                          ’ ’
To Be Social and to Be Enterprise:
into social concern (4)

•   Social Enterprise in the World (1)
     – There is no a universally approved definition of social enterprise.
     – Work Integration Social Enterprises (WISEs)
            To solve unemployment and discrimination in the employ markets.
            Is training and employing people with disadvantages and disabilities.
     – The UK: social aims
     – France: social and solidarity economy
     – Germany: social market economy
     – Italy: social co-operatives
     – Poland: association and foundation
     – The USA: business-oriented and commercial
     – South Korea: similar to the UK’s




                                         ’ 3
To Be Social and to Be Enterprise:
into social concern (4)

•   Social Enterprise in the World (2)
     – The European Research Network (EMES) ’s definition (Borzaga and
       Defourny, 2001)
            Economic Criterion
                  A continuous activity producing goods and/or selling services.
                  A high degree of autonomy.
                  A significant level of economic risk.
                  A minimum amount of paid work.
            Social Criterion
                  An initiative launched by a group of citizens.
                  A decision-making power not based on capital ownership.
                  A participatory nature, which involves the persons affected by the activity.
                  Limited profit distribution.
                  An explicit aim to benefit the community.




                                            5 R
Conclusion: beyond what we are dreaming


•   An Amphibian Organisation
     – Human attribute: altruism and self-interest
     – Social system: capitalism and socialism
     – Corporate interest: profit-oriented and social-oriented
     – Three activities for completion of social enterprise as an amphibian
       organisation
            Service delivery.
            Social inclusion.
            Civil society development and undertaken.

•   The development of the organisation would be what we are dreaming
    now.




                                        ’ &
지역경제발전과 사회적기업

          노 한 균

        (국민대 경영학과 교수)
지역경제발전과 사회적 기업
 - 경제협력개발기구 논의를 중심으로

                                                              노 한 균
                                                  (국민대 경영대학 교수)



[요약]

지역발전과 사회적 기업 육성은 최근 몇 년 사이 우리나라 정부가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추진해 온 정책이었다. 서로 다른 정책적 배경과 관심을 통해 발전되어 온
지역발전정책과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의 접점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
글에서는     OECD의   지방경제․고용발전          (Local   Economic   and   Employment
Development, LEED) 프로그램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 두 정책노력 간의 상호 연
결고리를 찾아보도록 한다. 우선 지역경제발전이론의 다양한 측면을 검토한 후,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의 관계를 살펴보고, 지역경제발전과 사회적 기업의 상
호관계에 관한 논의를 정리하여 시사점을 찾아본다. 경제적인 영역에서의 지역발
전이라도 단순한 양적 성장을 의미하지 않고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참
여적 과정으로 이해한다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은 단지 취
약계층에 대한 일자리 제공을 벗어나, 다양한 지역사회 이해관계자들이 자신의 삶
의 질을 결정할 수 있는 과정에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고 이를 통해
상호신뢰와 같은 지역사회의 무형자산을 꾸준히 축적할 수 있는 거버넌스 기반을
마련한다는 데에 더 큰 의미가 있다.


[주제어]

거버넌스 (governance), 사회적 경제 (social economy), 사회적 기업 (social
enterprise), 사회적 자본 (social capital), 지역경제발전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29
I. 들어가는 말

 지역발전과 사회적 기업 육성은 최근 몇 년 사이 우리나라 정부가 꾸준히 관심
을 가지고 추진해 온 정책이었다. 예를 들어 현 정부는 과거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한계를 보완한 지역발전정책을 [그림 1]과 같이 제시했다. 일자리와 삶의
질이 보장되는 경쟁력 있는 지역창조를 위하여 성장잠재력의 극대화, 신성장동력
발굴 및 지역특화발전, 분권강화, 수도권․지방 동반상생발전, 기존 시책의 발전․
보완과 같은 5대 전략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그림 1] 현 정부의 지역발전정책 추진체계




     출처: 지역발전위원회 (2008), 29쪽.


 2007년부터 시작된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은 2008년 향후 5년간의 사회적 기업
육성에 관한 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정책의 장기적 틀을 마련했다. 이 기본계획은
[그림 2]와 같이 사회서비스 혁신과 일자리 창출을 견인하는 제3섹터형 혁신기업
을 육성하여 활기찬 시장경제와 사회통합에 기여한다는 비전 아래 민간의 자발적
인 참여 활성화를 위한 동기 부여, 사회적기업 지원제도 선진화, 민간협의기구 구
성․운영 활성화,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 강화의 4개 추진전략과 4개
의 중점추진과제를 제시했다.



                          30
[그림 2] 현 정부의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 추진체계


                 사회서비스 혁신과 일자리 창출을 견인하는 제3섹터형 혁신기업을
  비 전
                      육성하여 활기찬 시장경제와 사회통합에 기여



                 창의적이고 시장경쟁력을 갖춘 견실한 사회적기업 성공모델 제시
  목 표
                               및 확산



                      민간의 자발적인 참여 활성화를 위한 동기 부여
   추 진                사회적기업 지원제도 선진화
   전 략                민간협의기구 구성․운영 활성화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 강화



                 1.   사회적기업 친화적 문화와 환경 조성
   중 점
                 2.   창의적 사업모델 발굴 및 신규설립 활성화
   추 진
                 3.   사회적기업 경영혁신 지원
   과 제
                 4.   사회적기업 육성시스템 구축

출처: 노동부 (2008), 18쪽.


  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 지역발전과 사회적 기업의 육성은 서로 어떤 관계
에 있을까? 이런 논의는 지역발전을 추구하는 정책목적과 사회적 기업의 지역 확
산을 추구하는 정책목적 간의 조화성과 융합의 효과를 가져오는 데에 좋은 시사
점을 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경제협력개발기구 (Organization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Co-operation, OECD)의 지방경제․고용발전 (Local Economic and Employment
Development, LEED) 프로그램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 두 정책노력 간의 상호 연
결고리를 찾아보도록 한다. OECD의 LEED 프로그램은 지방발전, 거버넌스
(governance), 사회적 경제 (social economy)에 관한 혁신적 아이디어를 찾고, 분
석․확산하기 위해 1982년에 구성되었으며, 그동안 이 분야에 많은 이론과 사례연
구를 진행시켜 왔다 (예: Davies, 1995; OECD, 1998; 1999a; 1999b; 2001a; 2001b;
2003; 2004; 2007; 2008a; 2008b; 2008c; 2008d; 2009).


                                        31
이 논의를 위해 이 글에서는 지역경제발전이론의 다양한 측면을 검토한 후, 사
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의 관계를 살펴보고, 지역경제발전과 사회적 기업의 상호
관계에 관한 논의를 정리하여 시사점을 찾아보는 순서로 진행된다.



                    Ⅱ. 지역경제발전이론

  지역경제발전에 관한 이론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없이 다양한 학문
적 접근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경제성장이론을 받아들여 지역경제발전의 문제를 접근하고 있
다. 경제성장에 관해 많이 인용되는 이론들로는 고전학파 이론, 해로드-도마
(Harrod-Domar)의 성장이론과 ‘외생적 성장모형 (exogenous growth model)’이라
고 불리는 신고전학파의 성장이론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이상훈․김은경․조성호
(2008)은 신고전학파의 성장이론의 대표적인 학자인 로버트 솔로우 (Robert
Solow)가 사용한 콥-더글라스 생산함수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를 기
초로 지역경제의 성장이 자본의 투자효율과 노동생산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했다.
이런 접근방식은 양적, 외형적 성장을 발전의 중심에 둔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지
만, 성장이 여전히 발전의 기본요건임을 강조하는 학자들에 의해 자주 사용되고
있다.
  반면 일부 연구자들은 지역혁신시스템론, 클러스터론, 세계생산네트워크론 등
지역산업과 외부의 경제적 활동 간 연계성을 중심으로 한 이론을 바탕으로 지역
경제발전을 접근하고 있다 (이용숙, 2006; 장재홍, 2008). Porter (2000)에 의하면
클러스터 (cluster)란 상호 연관된 기업들, 전문화된 부품업체들, 지원서비스 기업
들, 관련된 타 산업에 속한 기업들, 관련 기관들이 지리적으로 모여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작용을 통해 시너지를 발휘하는 특정한 지역을 만한다. 포터는 클러스터
를 통한 공간적 집적으로 인해 기술, 숙련, 정보, 마케팅과 소비자의 요구가 클러
스터 내에서 교류․공유되고, 이런 긍정적인 외부성으로 인해 생산성이 증대되고
혁신이 이루어지며, 창업을 자극하고 경쟁을 촉진시켜 지역의 경제발전이 이루어
진다고 했다 (장재홍, 2008). 실제 클러스터 이론은 참여정부 지역정책의 이론적
배경이 되었다. 반면 Ernst 외 (2001)는 기존 클러스터론이 대기업의 역할만을 강
조하는 것을 비판하면서, 대기업들과 연계된 부품업체 및 관련업체 네트워크의 중


                             32
요성을 강조하는 세계생산네트워크 (global production network)를 강조하였다
(이용숙, 2006).
  Bolzaga and Tortia (2009)는 지역경제발전을 설명하는 방식을 해외직접투자,
자본이전, 공공개입, 혁신전파, 기반시설 등으로 설명하는 외생적 발전이론과 사회
자본, 지역 수준에 존재하는 인적 자본과 다른 자원의 가치 등으로 설명하는 내생
적 발전이론으로 구분했다. Bolzaga and Tortia (2009)의 이러한 구분은 앞서 소개
한 신고전학파의 경제이론인 외생적 성장이론에서 언급한 외생성과는 차이가 있
음에 주의해야 한다. 신고전학파의 외생성이란 투입하는 생산요소의 양과 그로 인
해 생산되는 산출량의 관계를 결정짓는, 이른바 총생산함수 (aggregate production
function)의 외부에 존재하는 요소, 특히 기술혁신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Bolzaga
and Tortia (2009)가 말하는 외생성은 경제적 요소 이외에 고려할 수 있는 지역경
제발전의 요소를 말하기 때문에 신고전학파의 기술혁신은 기본적으로 내생적 요
인으로 구분되는 차이가 있다.
  Bolzaga and Tortia (2009)가 구분한 내생적 발전이론은 외생주도 지역경제발전
이론이 공공기관과 기업, 이윤추구행위에 초점을 두고 있는 점을 비판하면서 지역
발전에 있어서 비영리조직과 사회적 기업의 중간역할과 이윤추구행위 이외의 활
동을 강조하고 있다 (Sugden and Wilson, 2000; Sacchetti and Sugden 2003;
Sacchetti, 2004).
  또한 일부 연구자들은 사회복지사업의 연장선 상에서 지역사회개발을 과정, 방
법, 운동의 세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예: 고수현, 2006). 예를 들어 Battern
(1957)은 지역사회개발사업을 “지역사회주민이 먼저 그들의 현재 욕수를 충분한
토론을 거쳐 정하고, 정해진 욕구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협의를 통하여 수립하
고 실전해 나가는 과정 (13; 고수현, 2006, 119-220에서 재인용)”으로 이해하고 있
다. 반면 Ross (1955)는 정부 등 외부기관의 개입, 다방면의 전문가가 동원된 복합
적 방식, 지역사회 주민 스스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내부 지역사회자원에
의한 방식으로 나누어 보았다. 또한 Sanders (1958)은 지역사회개발을 물적 시설
의 완공이나 물량적 성장에 그치는 것이 아닌 인간사회의 관계형성과 변화를 위
해 관계된 모든 사람들이 참여해서 스스로의 행태와 태도를 개선해 가는 운동이
라고 하였다 (고수현, 2006, 122).




                              33
Ⅲ. 사회적 기업의 이해

 노동부 (2008)은 사회적 기업을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재화, 서
비스의 생산․판매 등의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이라고 규정한다. (노동부는 이
런 실질적 요건 외에 ‘노동부장관의 인증’이라는 형식적 요건을 요구하고 있다.)
 노동부가 정의하는 사회적 목적의 우선적 추구란 다음 세 가지 최소요건을 갖
추는 것을 말한다. 첫째, 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에게 일자리 또는 사회서비
스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 공익 등 사회적 목적의 실현에 있어야 한다. 둘째, 서
비스 수혜자, 근로자, 지역주민 등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
를 갖추어야 한다. 셋째, 수익 또는 이윤 발생시 사회적 목적 실현에 재투자되어
야 한다. 또한 영업활동의 수행은 유급근로자를 고용하여 지속적인 영업활동을 수
행하고, 영업활동으로 얻은 수입이 노무비의 30% 이상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노
동부, 2008).
 그러나 사회적 기업의 형태와 의미는 지역이나 나라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미
국에서의 사회적 기업은 자신들의 사회적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자금을 대기 위
해 수입을 창출하는 전략 (earned income strategy)을 구사하는 비영리조직을 의
미하는 반면, 유럽에서는 기존의 영리추구형 사업조직과는 다른 방식으로 사업을
하는 조직을 일컫는다 (OECD, 2009). 노동부 (2008)도 이 두 지역의 사회적 기업
차이를 <표 1>과 같이 정리했다.


               <표 1> 미국과 유럽의 사회적 기업 비교

                          미 국             유 럽
  강조점                     수익 창출          사회적 수혜
  일반적 조직형태               비영리조직        협동조합/협회/회사
  활동의 초점                모든 비영리활동         대인서비스
  사회적기업 유형                 다수             제한적
  이해관계자 참여                제한적             일반적
  전략적 육성 주도               민간재단            정부/EU
  법적 프레임워크                 부족         개발(또는 개발중)
  이윤분배                    원천배제           제한적 인정

출처: 노동부 (2008), 7쪽.



                            34
그러나 Defurny (2001)는 서로 다른 전통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기업이 미국과 유
럽 양쪽에서 공통되게 쓰이고 있는 점을 감안해서 [그림 3]과 같이 협동조합을 중
심으로 한 유럽의 사회적 경제 전통과 미국적 비영리조직의 전통을 이어주는 교
차점으로 이해했다.


         [그림 3] 협동조합과 비영리조직 교차로서의 사회적 기업




출처: Defurny (2001), 22쪽, 신명호 (2009), 20쪽에서 재인용.


  따라서 이런 관점을 받아들인다면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경제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명호 (2009)는 사회적 경제를 협동조합들 가운데 사회적 목
적, 자율성 및 민주적 의사결정 등의 규범적 원리와 같은 기준요건들을 충족하지
못하는 소수를 제외한 대부분과 비영리 민간단체들 가운데 생산, 교환, 분배, 소비
등의   경제활동과      무관한     단체를     제외한    비정부조직      (non-government
organization, NGO)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라고 하면서, <표 2>와 같은 노대명
(2007)의 한국 사회적 경제 분류방식을 소개했다.




                               35
<표 2> 한국 사회적 경제의 구성




출처: 노대명 (2007), 63쪽, 신명호 (2009), 31쪽에서 재인용.




         Ⅳ. 사회적 기업과 지역경제발전 간의 관계

 그렇다면 사회적 기업과 지역경제발전 간에는 어떤 관계를 찾을 수 있을까?
OECD의 LEED 프로그램의 연구 결과는 사회적 기업이 지역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경제발전이 사회적 기업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살펴보았다.
 Bolzaga and Tortia (2009)는 다섯 가지 사항을 들어 사회적 기업이 지역경제발
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첫째는 기존의 기업가 역할과는 구분되는 새로
운 기업가정신이 지역발전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사회적 기업은 기존 기업보
다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가 전제되고 이들의 이해도 경제적 이득에만 한
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사회적 기업의 특성과 이에 따른 자원배분과 소득분배 측
면에서의 결과로 인해, 사회적 기업은 완전한 공공재까지는 아니더라도 적어도 준
공공재 (quasi-public goods)의 생산을 늘림으로써 지역사회 복지를 개선할 수 있
다. 둘째, 사회적 기업은 그 지역에서 활동하는 다른 기업과 마찬가지로 지역수준
에서의 신규고용을 창출한다. 그러나 사회적 기업이 창출하는 고용의 내용은 일반



                             36
기업의 고용 창출과는 다를 가능성이 크다. 다시 말해 일자리와 보다 높은 삶의
질을 찾기 위해서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을 벗어나지 쉽지 않은 여성이나 노년층
과 같은 개인들에게 특히 혜택을 주는 고용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앞서의
두 번째 논의는 자연히 지역사회의 빈곤과 불평등 해소에 도움을 주게 된다. 넷
째, 사회적 기업을 통한 사회적 자본의 촉진 등은 다른 외생적 요인을 통해 지역
경제발전을 도모할 때는 추구하기 어려운, 그러면서도 지역사회에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목적의 가치를 찾고 실현하도록 한다. 사회적 기업은 지역사회에 남아있는
환경유산이나 자원노동 (voluntary labor) 같은 인적 자본 등, 이른바 ‘이동하기
쉽지 않은 자원 (non-mobile resources)’의 가치를 찾아내고, 문화․역사유산과 같
은 지역 자산을 다시 활용하도록 한다. 이런 자산들은 순수히 상업적 목적을 위해
서만 사용되어서는 안 되는 것들이다. 끝으로 주로 증진된 사회적 신뢰관계로 나
타나는 긍정적인 외부성이 지역 수준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유지하게 한다.
  반면, Daniele 외 (2009)는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는 네 가지 클러스터로 (1) 정
체성, 문화, 대표, 질 (identity, culture, representation, quality), (2) 기업지원
(business support), (3) 사업부문발전 (trade sector development), (4) 지역발전
(local development)을 들었다. 특히 지역발전이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스웨덴의 컴패니언 (Companion)과 캐나다 퀘벡의 지역발전 협동조합의
사례를 들어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1980년대 초반에 시작된 스웨덴의 협동조
합 발전기구 (co-operative development agencies, CDAs)는 컴패니언으로 이름을
바꾸어 현재 전국적으로 24개의 지부를 가지고 있다. 이 조직은 그동안 좌우의 정
치적 이념을 달리하는 정보 모두로부터 지지를 받았으며, 20년이 넘게 협동조합과
사회적 기업의 창업을 촉진하는 네트워크로서의 기능을 하였다.



                           Ⅴ. 맺는 말

이상의 논의를 통해 우리나라에서는 서로 다른 정책적 배경과 관심을 통해 발전
되어 온 지역발전정책과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의 접점을 찾을 수 있다. 학문적으
로도 지역발전과 사회적 기업의 육성은 서로 다른 배경과 동기를 가지고 분석되
어져 왔다. 그러나 심지어는 경제적인 영역에서의 지역발전이라도 단순한 양적 성
장을 의미하지 않고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참여적 과정으로 이해한다


                                 37
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은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수
단으로 자리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사회적 기업이 단지 취약계층에 일자
리를 제공함으로써 소득을 창출해 줄 수 있다는 측면을 벗어나, 지역사회에 속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자신의 삶의 질을 결정할 수 있는 과정에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고 이를 통해 상호신뢰와 같은 지역사회의 무형자산을 꾸준
히 축적할 수 있는 거버넌스 (governance) 기반을 마련한다는 데에 더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고수현 (2006) 지역사회개발사업과 지역사회개발사업가의 역할: 계획론적인 연구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영․호남       춘계    공동학술대회,
       117-135.
노대명 (2007) 한국 ‘사회적 경제’의 현황과 과제: ‘사회적 경제’의 정착과정을 중
       심으로. 시민사회와 NGO, 5 (2), 35-71.
노동부 (2008) 사회적 기업 육성 기본계획 (2008~2012). 과천: 노동부.
신명호 (2009) 한국의 ‘사회적 경제’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동향과 전망, 75,
       11-46.
이광희 (2003) 신경제 환경에서 지역발전이론의 정합성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
       지, 6 (1), 135-154.
이상훈․김은경․조성호 (2008) 지역경제 성장과 균형발전. 응용경제, 10 (2),
       203-230.
이용숙 (2006) 세계화 시대의 지역경제 발전: 클러스터론과 세계생산네트워크론의
       비교. 경제와 사회, 69, 227-254.
장재홍 (2009) 지역경제발전을 위한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 모색. 응용경제, 10 (2),
       145-175.
지역발전위원회 (2008) 2008 이명박 정부 지역발전정책 연차보고서. 서울: 지역발
       전위원회.
Battern, T.R. (1957) Communities and their Development.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38
Blakely, E.J. and Bradshaw, T.K. (2002) Planning Local Economic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3rd edn. Thousand Oaks, CA: Sage.
Defurny, J. (2001) Introduction: from third sector to social enterprise. In:
        Bolzaga, C. and Defurny, J. (eds.)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s.
        Oxford, UK: Routledge, 1-26.
Bolzaga, C. and Tortia, E. (2009) Social enterprises and local economic
        development. In: Noya, A. (ed.) The Changing Boundaries of Social
        Enterprises. Paris: OECD, 195-228.
Daniele, D., Johnson, T. and Zandonai, F. (2009) Networks as support structure
        for social enterprises. In: Noya, A. (ed.) The Changing Boundaries of
        Social Enterprises. Paris: OECD, 139-194.
Davies, A. (1995) Local Economies and Globalization. LEED Notebook No. 20.
        Paris: OECD.
Ernst, D., Guerrieri, P., Iammarino, S. and Pietrobelli, C. (2001) New challenges
        for industrial clusters: global production networks and knowledge
        diffusion. In: Guerrieri, P. Iammarino, S. and Pietrobelli, C. (eds.) The
        Global Challenge to Industrial Districts, Cheltenham, UK: Edward Elgar,
        131-144.
OECD (1998) Local Management for More Effective Employment Policy. Paris:
        OECD.
OECD (1999a) Decentralising Employment Policy: New Trends and Challenges.
        Paris: OECD.
OECD (1999b) Best Practices in Local Economic Development. Paris: OECD.
OECD (2001a) Local Partnerships for Better Governance. Paris: OECD.
OECD (2001b) Best Practices in Local Development. Paris: OECD.
OECD (2003) Managing Decentralisation: A New Role for Labour Market
        Policy. Paris: OECD.
OECD (2004) New Forms of Governance for Economic Development. Paris:
        OECD.
OECD (2007) The Social Economy: Building Inclusive Economies. Paris: OECD.


                                        39
OECD (2008a) Local Development Benefits from Staging Global Events. Paris:
         OECD.
OECD      (2008b)   OECD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of      SME   and
         Entrepreneurship Policies and Programmes. Paris: OECD.
OECD (2008c) Making Local Strategies Work: Building the Evidence Base.
         Paris: OECD.
OECD      (2008d)    Sustainable     Development:       Linking    economy,       society,
         environment. Paris: OECD.
OECD (2009) The Changing Boundaries of Social Enterprises. Paris: OECD.
Porter, M.E. (2000) Location, compe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local
         clusters in a gobla economy.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14 (1),
         15-34.
Reese, L.A and Fasenfest, D. (1999) Key perspectives on local development
         policy evaluation.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13 (1), 3-7.
Ross, M.G. (1955) Community Organization: Theory and Practices. New York:
         Harper and Brotehrs.
Ross, D. and Friedman, R. (1990) The emerging third wave: new local
         economic development strategies. Entrepreneurial Economy Review, 90,
         3-10.
Sacchetti, S. (2004) Knowledge caps in industrial development. New Political
         Economy, 9 (3), 389-412.
Sacchetti, S. and Sugden, R. (2003) The governance of networks and economic
         power: the nature and impact of sub-contracting relationships. Journal
         of Economic Surveys, 17 (5), 669-691.
Sanders, I.T. (1958) Theories of community development. Rural Sociology, 23 (1),
         1-12.
Sugden, R. and Wilson, J. (2000) Perspectives on Development: A Strategic
         Decision-making     approach.     mimeo,       Department     of      Commerce,
         Universith of Birmingham.
United    States    Department      of   Commerce       (1999)    Evaluating     Business


                                          40
Development Incentives. Prepared for the US Department of Commerce
       EDA Project #99-07-13794.
Wong, C. (1998) Determining factors for local economic development: the
       perception of practitioners in the North West and Eastern regions of
       the UK. Regional Studies, 32 (8), 707-720.



경제협력개발기구 LEED                        http://www.oced.org

국제노동기구 국제훈련센터                        http://learning.itcilo.org

세계은행 LED                             http://www.worldbank.org

지역발전위원회                              http://www.balance.go.kr




                                       41
지역사회서비스 다양화에 따른

 사회적기업의 방향모색

              김 윤 수
        (사회서비스 관리센터 연구조사팀 팀장)
지역사회서비스 다양화에 따른 사회적 기업의 방향모색


                                         김 윤 수
                                    (사회서비스관리센터)




                         Ⅰ. 서 론

 소득불평등과 빈곤문제가 심화되고 사적안전망이 약화되는 상황에서 다양한 위
험이 발견된다. 노인․장애인․아동 등 취약계층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문
제가 사회적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인구고령화 및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증가에
따라 사회서비스 수요가 더욱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정부는 사회서비스
에 대한 국민적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사회서비스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취약계층 중심으로 저소득층의 사회서비스 욕구가 전체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어1) 정부가 재정사업을 통해 사회서비스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현재까지 우리사회는 극빈층을 대상으로 하는 낮은 수준의 현금급여 중심으로
복지서비스를 운영하여 왔다. 의료, 주거, 교육 등 현물급여는 일부 극빈층으로 제
한된 빈약한 것이었으며, 사회서비스는 시설보호를 제외하고는 거의 미개발된 상
태였다. 사회 구성원의 사회서비스는 일부 계층에게만 한정되어 보편적인 욕구를
충족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03년 노인실태조사 자료에
의하면 노인요양, 재가복지서비스 등 복지서비스에 대한 이용희망률은 높으나 이
용경험률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사회서비스는 사람들의 소득이 늘어나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경향
이 나타나지만 수요에 비해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는 한계점이 발생한다. 이 한
계의 원인이 교육, 주거, 건강 등의 구매력이 부족한 것인지 아니면 이러한 서비
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공기관이 부족한 것인지 원인을 찾아야 하다. 서비스에 대
한 요구는 이용자의 소득별 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지만 지역적 환경에
따라 사회서비스가 특성있게 제공되기도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사회서비스 제공

1)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04년 국민생활실태조사 분석결과


                             45
을 지역적 특성에 맞게 육성 전략을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서비스공급 육성의 의미는 지자체나 민간에서 사회서비스 수용대응이 보다 지
역의 사회서비스 비젼을 만들 수 있는 로직이 요구된다. 즉 지역사회서비스
(Community Social Service) 사업에 대한 전체적인 담론수준을 어느 정도로 해야
하는지, 사업운영시 무엇을 해야 하는 지, 사업별 품질기준을 어느 수준으로 해야
하는지 등의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각각의 서비스 산업별 발전전략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유효 이용규모가 필요하고 인력공급 및 양성, 관리체계들 모두 담아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부의 활동이외의 민간기업과 제3부문에서 사회적 참여가 요
구된다. 사회적 기업은 기업의 특성도 있지만 사회의 공공적인 요소도 함께 고려
하는 단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시민단체들은 1990년대 중반 생산공동체
운동을 주도하고, 외환위기 직후 공공근로 민간위탁사업에 참여하고, 2000년 자활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관심을 실제 운영사업으로 추
진하여 왔다. 이와 아울러 정부는 2003년 사회적 일자리 시범사업, 2006년 12월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 2007년 사회서비스 공급확대 등의 정책을 시행하여 사회
적 기업 지원정책을 강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적 특성에 따른 지역사회서비
스의 현황과 부합하는 사회적 기업의 쟁점과 개선안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사회적 기업의 이론적 검토

1. 사회적 기업의 의의

1) 사회적 기업의 개념

 1990년대 중반부터 사회적 기업(Social enterprise)을 사회적 경제 부분과 구분하
여 설명하고 있다. 포괄적 개념인 사회적 경제는 정부로부터 독립되어 있고, 영리
기업과 달리 사회적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며, 조직 운영이 민주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황덕순, 2004). 즉 사회적 경제는 호혜성, 자조 등의 사회적 목적을
경제활동에 연계시키는 포괄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한상진, 2006). 이러한 사회
적 경제 부문에는 사회적 기업과 비영리 조직 등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사회적 기
업과 기존의 비영리 단체와의 기본적인 차이점은 기업적 전망, 정부로부터의 독립


                          46
정도, 공공과 민간 부문이 충족시키지 못하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
공한다는 점이다(Maiello, 1997).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는 사회적 경제의 경제주체로써 사회적 서
비스를 생산하는 제반 조직 및 단체이다(홍현미라, 2008). 이는 사회적 목적을 우
선으로 하는 사업체로써, 기업의 잉여금은 주주와 소유자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
하여 운용되기보다는 그 사업체 또는 지역사회를 위해 재투자되는 기업이다(DT
I2), 2002). 사회적 기업의 정의는 기업적 방식으로 조직되는 일반 활동 및 공익 활
동을 아우르며, 주된 목적은 이윤극대화가 아니라, 특정한 경제 및 사회적 목적,
그리고 재화와 용역의 생산이나 사회적 배제 및 실업 문제에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OECD, 1999; 김신양, 2006: 81). 유럽연합(EU)의 사회적 기업의
정의는 경제 및 무역활동에 있어서 특정한 사회적 목적을 연계 추구한다. 조직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모든 초과된 이익은 기업의 경제활동을 위해 재투자하는
데, 기업의 사회적 목적을 위하여 사용된다.(Birkholzer, 2000: 52~53; 김경휘·반정
호, 2006: 38).


                  <그림 1>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간의 관계


                                      사회적 경제



                             사회적 기업               비영리 조직




                   출처 : 황덕순(2004: 74)에서 재구성.


 킹 보두인 재단(1994)에 따르면 '사회적 기업'3)이란 미숙련 근로자들을 노동 시
장에 복귀시키기 위해 시장과 비시장 자원을 모두 활용하는 기업 활동을 포함한
다. 비영리 부문의 출현은 대체로 민간이나 복지국가가 충족시키지 못하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사회적 기업의 성장요인은 복지국가의


2) 영국 통상산업부(DTI) 사회적기업과(social enterprise unit)
3) 캘리포니아 리치몬드의 “루비콘 제과”와 같은 중소기업


                                        47
변화, 특정 부분에서의 시장실패, 경제와 사회 주체들간의 고용과 협력을 위한 새
로운 인센티브제도의 등장, 그리고 사회와 공동체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대 등을
들 수 있다. 존스홉킨스 대학의 대한 연구결과에서 비영리 부문과 사회적 기업들
을 포함한 사회적 경제에 속하는 단체들의 중요성과 비중이 높아지고 있음을 강
조한다(Salomon, Anheier, 1997).


2) 사회적 기업의 특성

 사회적 기업은 1990년대 이후 유럽에서 장기 실업의 구조화로 인한 고용 창출
의 필요성에 대응하여 고안되었다. 유럽에서의 사회적 기업은 다양한 이름으로 중
앙정부의 지원 아래 지속적으로 설립되었다. 1991년 이탈리아에서는 ‘사회적 협동
조합’으로, 1995년 벨기에의 ‘사회적 목적의 회사’, 그리고 1998년 포르투갈의 ‘사
회적 연대 협동조합’ 등으로 불리기 시작했다(한상진, 2001). 사회적 기업의 특징
은 나라마다 협동조합, 협회 등 법적 형태가 다르고, 기업적 조직으로 활동하며,
이윤은 분배되지 않고 단체의 사회적 목적 달성을 위해 재투자되고, 주주가 아니
라 단체의 민주적 참여와 조직에 의해 사업운영이 결정된다.
 사회적 기업이 다양한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을 통해
충족되지 못한 사회의 복지서비스와 새로운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경영하
기 때문이다. 다음의 표와 같이 소유방식을 공동으로 할 것인지 신탁에 의해 소유
할 것인지에 따라 사회적 기업의 속성이 다르다. 운영 재원 형성을 정부의 보조와
기부금으로 할 것인지 판매수익을 통하여 형성할 것인지에 따라 기업의 속성이
다르다. 기업의 성장측면에서는 개발을 사회적 통합을 중시할 것인지 사업확장의
경영적 요소를 중시할 것인지에 따라 사회적 기업의 속성이 다르다. 또한 이용자
의 범위와 서비스 제공영역이 전국적인 수준으로 할 것인지 일부 시군구의 좁은
지역시장에 한정할 것인지에 따라 사회적 기업의 경영전략이 달라질 수 있다.




                               48
<표 2> 사회적 기업들이 가지는 다양한 속성의 편차

   소유방식       신탁에 의한 소유(trustee)                     상호적(mutuals)


      재원      기부, 보조(donation, grants)               판매(sales)


  사회적 목적      사회공헌기업(social responsible business)   사회적 소유(socially owned)


  개발의 초점      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              사업의 발전(business development)


   목표시장       지역시장(local markets)                   보다 넓은 시장(Wider markets)



  출처 : understanding social enterprise, 엄형식(2005: 86)에서 재인용.



 한편 유럽연합(EU)에서 의미하는 사회적 기업 특성은 합법적인 의사결정구조를
가지고 기업의 모든 자산과 축적된 부는 어떤 개인에게 귀속되는 것이 아니라 기
업의 사회적 목적에 부합하는 개인과 지역의 자원으로 귀속한다. 사회적 기업의
조직구조는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는 구조로써 모든 구성원들의 권리에 근거하여
조합적 형태를 가진다. 사회적 기업의 핵심 특징은 사회적 기업과 광범위한 사회
및 지역경제의 다른 조직간 상호협동적인 활동을 이끌어 낸다(Birkholzer, 2000:
52~53; 김경휘·반정호, 2006: 38).
 사회적 기업을 다음 <표 2>와 같이 경제적, 사회적 기준에 따라 살펴볼 수 있
다. 사회적 기업은 경제적 사회적 목표를 가지고 경제와 사회에 노력하고, 경제적
자립을 위해 다양한 자금 조달원을 가지며, 취약계층의 근로자들이 노동 시장에
통합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사회적 기업들은 시장 자원, 비시장 자원, 자원봉사
등의 인적 자원 그리고 민간 후원을 토대로 예산의 균형을 맞춤으로써 경제적으
로 자립 가능한 조직이 된다. 비시장 자원은 정부의 보조금으로 재분배 원칙에 따
라 지원된다(CERISIS, 1998). 사회적 기업은 실업과 사회적 소외라는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사회 통합을 증진시키며 경제 발전에 기여
한다.




                                          49
<표 3>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사회적 기준에 따른 구분
  구분            내 용                                    비 고
           재화생산과 서비스의 제공             ․   Aiken(‘재화 및 용역거래’ 제시)
               높은 자율성                ․   자율성정도의 차이 존재
 경제적
               경제적 위협                ․   위협정도의 차이 존재
  기준
                유급노동                 ․   유급정도의 차이 존재
          정부로부터의 독립된 자치권             ․   Aiken의 기준
              시민사회 주도                ․   EMES네트워크/Aiken (시민사회 주도 ‘설립’ 제시)
           자본소유에 기초하지 않는
                                     ․ 공통
               의사결정권
 사회적      관련 행위자들의 참여적 성격            ․   공통
  기준
              제한적 이윤분배               ․   Aiken(‘조직 밖으로의’ 이익분배 여부 제시)
            지역사회 공헌의 목표              ․   Aiken(‘명시적으로 공동체 또는 사회적 편익’ 추가)
            일터에서의 참여주의               ․   Aiken의 기준

출처 : 심창학, 2007: 69; Defourny, 2001; 엄형식, 2005: 86 ; Mike Aiken, 2006: 27.에서 재조정



2. 사회적 기업의 자원구조

1) 인적구성

 사회적 기업들은 직간접적으로 다양한 참여자를 포함하여 상호 보완적인 운영
과정을 형성한다(Zandonai, 1997). 경영자, 중간관리자, 서비스 제공인력, 자원봉사
자 등이 각각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전형적인 사회적 기업가 유형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Cheroutre, 1997;
Fondation Roi Baudouin, 1994). 사회적 기업의 경영자들은 거의 모두 다음 두 가
지 중 한 가지 경력을 가지고 있다(Mannila, 1997). 첫째는 심리학 또는 사회복지
분야로 기업의 사회적 측면을 효과적으로 다룬다. 두 번째 부류는 경영학 전공자
및 일반 기업 경력자들로 이론적으로 “경제적 측면”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
다. 사회적 기업의 이중적 성격으로 인해 경영자들은 이 두 가지 능력을 모두 가
지고 있어야 한다. 아래 표는 중간 노동 시장에서 활동하는 프랑스 사회적 기업
경영자들의 학력과 직업 경력을 기술하고 있다. 중간 노동시장에서 활동 중인 프
랑스 사회적 기업 경영자들의 최초 학력은 사회복지 관련 전공(38.5%)으로 가장
많고, 기술 관련 전공(29%), 경영․경제 관련 전공(23%), 기타(9.5%) 순이었다. 이
들이 받은 추가교육은 경영․회계 분야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50
<표 4> 중간 노동시장에서 활동 중인 프랑스 사회적 기업 경영자들의 학력
                최초 학력                   수         %            추가 교육
특수 교육, 공동체 활동, 사회복지 활동, 상담, 심                            30명(50%)이 추가 교육을 받음
                                        60        38.5
리학, 직업 훈련                                                28명: 경영/회계   2명: 기술
                                                         20명(45%)이 추가교육을 받음
기술 자격, 육체노동(목공, 전기, 토목)                 44        29
                                                         7명: 사회복지 13명: 경영/회계
                                                         5명(14%)이 추가 교육을 받음
상업, 경영학, 경제학, 금융, 회계                    35        23
                                                         4명: 사회복지   1명: 기술
기타(건축, 언어, 인문학, 비서학, 법학)                14        9.5
총계                                      153       100



 사회적 기업 경영인들의 관리능력은 기업의 경제적 및 사회적 측면 관리 두 가
지 조건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사회적 기업내 근로자, 자원봉사자
등 여러 주체들을 어떻게 전문화할 것인가의 문제, 그들의 훈련비용을 누가 부담
할 것인가의 문제, 그리고 전문 분야나 자격 조건이 다른 구성원을 경제적, 사회
적 목적에서 조율하는 등의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다음의 표는 사회적 기업 구성
원에게 교육과 훈련을 지원하는 기관과 내용이다.


                        <표 5> 국외의 훈련기관예시
      훈련기관                                    내    용
                 사회적 경제를 위한 위원회(agences-conseil pour l'économie sociale) 또
      벨기에
                 한 사회적 기업가들을 위한 훈련 모듈을 제공
                 몇몇 대학교와 기타 고등교육 기관들이 사회적 기업가 지망생들을 위한
      프랑스
                 과정을 개설
                 몇 년간 제3 부문 활동가들, 특히 사회적 기업 경영인들과 활발하게 협
                 력함. IG는 그 지식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사회적 기업을 설립하고 발
      이탈리아
                 전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을 돕고 있음 Societ per l’imprenditorialit
                 giovanile (IG)
        런던       청년들을 대상으로 비영리기업 경영을 위한 훈련을 담당하는 사회적 기
     (이스트 엔드)    업가 학교
     미국
              현직 행정가들과 행정가 지망생들을 위한 경영 과정을 제공
(하버드케네디행정대학원)
     미국
                 “사회적 기업 이니셔티브” 과정을 개설
 (하버드 경영대학원)

※ 사회적 기업가들을 위한 훈련 과정이 증가 추세임.



                                   51
서비스 제공인력이나 자원봉사자들은 모두 지역 네트워크의 참여나 직장 생활
에서 얻은 경험과 지식으로 사회적 기업에 기여한다. 전문직의 임금은 사회적 기
업 전체 임금의 총량이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자원봉사자들을 활용함으로써 비영
리 단체들은 재원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자원봉사자들이 고문이나 관리
인으로 기업에 참여할 경우 기업의 비영리성, 사회적 목적 추구를 잘 알릴 수 있
고,   정부와       소비자들과   신뢰   관계를    쌓는데   도움이   된다(Consorzio   Gino
Mattarelli, 1997).


2) 재원 형성

 사회적 기업들은 다른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시장 제약을 받으며, 경제적 자립을
확보하여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을 통한 지속가능성과 효율성을 담보한다. 사회적
기업의 혼합된 재원형성은 시장, 비시장, 비금융, 기타자원을 통하여 재원을 마련
한다. 시장 자원은 상품과 서비스 판매의 수익이고 비시장 자원은 정부 보조금이
며 비금융 자원은 자원봉사 활동에서 나온 경제적 이익이며 기타 자원은 민간 기
부금을 의미한다.
 OECD 회원국내 사회적 기업들의 자금조달 상황은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면,
우선 재정 구조가 거의 완전히 정부기금에 기초한 단체들이 있다. 두 번째는 세금
면제, 신규 일자리에 대한 세액 공제 등 상당한 공적자금 지원을 받아 필요 경비
의 대부분을 충당하는 단체들이 있다. 세 번째는 시장경제에서 활동하면서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구직자들의 통합을 돕기 위해 일정기간 인건비에 대한 보조금을
받는 형태가 있다.
 프랑스의 노동통합 기업, 이탈리아의 노동통합 사회적 협동조합, 벨기에의 훈련
을 통한 노동기업은 그에 따른 생산성 저하로 보조금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정부의 감독을 받는다. 그리고 정부의 재정 지원유형은 각 나라의 법제에 따라 다
르다. 고용되는 근로자 마다 세금을 일부 감면해주는 신규 일자리 세액 공제, 세
금 공제와 사회보장 납부금 인하, 직원 파견을 통한 인건비 절약, 연간 총액과 재
통합된 근로자 당 총액 등이 이에 해당된다.
 사회적 유용성과 정부의 재정 지원의 근거에 의해 취약계층을 통합할 수 있다.
공익을 위한 상품과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소외와 자원 부족 등으로 고생하는 취
약계층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능력이다. 어린이 돌보기의 경우 대체로 사회 정책



                              52
과 연계되어 해당 서비스와 연계된 자금이 정부로부터 조달된다. 사회적 기업은
자체적인 내부 기술과 전문성에 대한 역량이 서로 부족한 경우가 많다. 사회적 기
업들 간 네트워크를 설립하거나 지역 주체들에게 자신감을 북돋아주어4) 지역경제
사회개발 프로젝트의 수익성과 공공성지원 기준이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3. 분석의 틀

 본 논문에서는 사회적 기업의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을 위한 역할을 중심으로 살
펴보고자 한다. 지역사회에서는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새로운 사회서비스의 요구
가 증가하고 정부는 사회적 기업과 같은 주체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림 2> 분석의 틀


         정부                                       정부
         (재원)       정책개발                사회적 협력   (정책)
                 정부보조        사회적 기업       정책결과

                              경영(생산)

                 인력제공         기획(개발)     지역경제성
        지역사회                               장     지역사회
                 서비스 요구                 서비스제공
         (인력)                                    (성과)

         Input                Process            Output



 이때 사회적 기업은 지역사회 시민들의 욕구를 적실히 파악하여 지역사회에게
공공성이 포함된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지역사회에서는 소외계층을
포함한 지역주민의 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역경제도 활성화하는 기능도
함께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사회적 기업은 새로운 사회서비스를 개발하
도록 기획하고 서비스 공급에 있어서 기업적인 영리추구를 위하여 경영의 모습을
함께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문은 다음과 같은 분석과정을 통하
여 사회적 기업의 역할과 기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4) 집단적 외부성이라고도 불림


                                53
Ⅲ.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 현황

1.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여건 및 변화과정

1) 주변 환경

 사회적 기업의 환경은 복지체제의 변화, 비영리민간단체의 성장, 전통적 사회경
제부문의 실태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정부는 2000년 자활지원사업, 2003년 사
회적 일자리사업, 2006년 사회서비스 공급확충사업 등을 통해 시민단체들을 사회
서비스 공급자로 육성5)하였다. 이러한 시민단체들이 제도적 환경변화에 따라 사
회적 기업으로 활성화되고, 사회적경제의 조직들로 성장할 것인지는 단언하기 어
려웠다.
  특히 사회적 기업을 추동할 주체세력이 취약한 상황에서 사회적 기업이 어떠
한 형태로 발전할 것인지는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노대명, 2007). 사회적 기
업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적․정신적 토대로서 사회적경제의
여건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면, 사회적 경제를 추동할 주체세력의 역량이 취약하다
는 것을 알 수 있다(장원봉, 2006).


                  <표 6> 한국 사회적경제의 여건
       구 분          주요 항목                    한국의 상황
               - 복지체제의 유형         - 자유주의체제에 가까운 혼합형
   공공복지의 수준
               - 공적 사회지출의 수준      - OECD 평균의 1/3 수준

               - 비영리부문의 성격        - ‘90년대 이후 비영리민간단체 성장
   비영리부문 발달
               - 비영리부문의 규모        - 지역기반형 조직의 저발전
                                  -   협동조합 모법(母法)의 부재
               - 사회적경제의 성격        -   협동조합의 영리화가 지배적
   협동조합의 전통
               - 협동조합의 규모         -   노동자협동조합의 저발전(10여개)
                                  -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

(노대명, 2007)




5) 사회적 기업이 보다 큰 시장을 놓고 영리부문과 경쟁하게 될 것이며, 이 과정에서 자신의 차별화된 강점
   을 제시할 수 있다면 적어도 일부 사업에서 비교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임. 이 점이 사회적 기업이 사회
   서비스 공급과 관련해서 성장잠재력이 있다고 판단하는 이유(노대명, 2007)


                             54
2) 지역사회서비스의 다양화

 지방정부는 지역사회의 실제 서비스 수요를 조사하고 지역에 적합한 사회서비
스 사업을 자체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경
우 지방자치단체별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굴하여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러
한 특징은 지방자치단체별로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 사업유형과 규모를 통해 확
인된다. 2007년부터 2008년 10월말까지 운영된 지역개발형 사업은 사업유형이 가
족기능회복부터 건강생활지원, 휠체어 대여에 이르기까지 각 지방자치단체의 특성
과 지역주민의 복지수요에 맞게 다양하게 개발·운용되고 있다.


             <표 7> 보건복지가족부 지역개발형 사업의 시도별 분포
                                                                                   (단위:개, %)

                서 부 대 인 광 대 울 경 강 충 충 전 전 경 경 제
       구 분                                                                             합계 비율
                울 산 구 천 주 전 산 기 원 북 남 북 남 북 남 주
1.가족기능회복         2   1                1         5   3   4    3   3    4   2    1       29   7.1
2.건강생활지원             1       2    1   2             1   1    1   3    6   3            21   5.2
3.경제활동지원         2   3   1   1    4   1             1        1   1        1            16   3.9
4.도서대여                                1                          1        1            3    0.7
5.사각지대돌봄         1   2                          1   3            1    1   1            10   2.5
6.장애아동재활지원       9   5   8   1    5   1   4     7   4   2    9   2    2   3    1   1   64   15.8
7.주거환경지원         9       2        5   2         5   6   3    3   10   9   7    7   1   69   17.0
8.취약계층사회참여       3   2   1   1        2         1            1        1   1        1   14   3.4
10.학습비전형성       12 15    1   3    3   1         8   5        3   6    6   9    2       74   18.2
11.현장체험          5   5   1   1    3             9   5   12   3   9    2   10           65   16.0
12.결혼이민자지원       1       1        1   1   2     4       2    1   4    1   2    8       28   6.9
13.맞춤형자활고용           1            5   1                               2                9    2.2
14.아동육아용품대여 1                                                             1            2    0.5
15.휠체어대여         1                              1                                      2    0.5
합계              46 35 15     9   27 13    6     41 28 24 25 40 34 41 19            3   406 100
(비중)            11.3 8.6 3.7 2.2 6.7 3.2 1.5 10.1 6.9 5.9 6.2 9.9 8.4 10.1 4.7 0.7 100.0

자료 : 이재원외, (2009, 59)




                                           55
<그림 3> 지역개발형 사업의 지역간 서비스 차이
                                   (단위:%, 천원)




 그런데, 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지역간 다양성은 사회서비스의 지역 차이를 확대
할 수 있다는 쟁점을 안고 있다. 지자체별 서비스 격차는 지방재정력과 지자체의
사업개발 역량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신활력지역에 대해서는 기준보조율
80%로 추가 지원하지만 재정력이 취약한 지자체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다.
 지역개발형 사업에서는 재정력 격차 보다 지자체의 사업개발 역량과 관심에 따
라 사회서비스 공급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결국 지자체의 행정
역량이 중앙정부의 이전재원 지원의 차별성을 창출한다는 것은 사회적 정의가 강
조되는 사회복지 분야에서는 적지 않은 쟁점을 창출할 가능성이 많다. <그림 3>
과 같이 서비스 격차는 이용자들의 서비스 이용능력에 따른 서비스이용률의 차이
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56
<표 8> 향후 확대 되어야 할 사회서비스에 대한 응답

 사회서비스 영역                      사 례 수     응답률(%)
 전 체                            300          100
 아동교육관련 서비스                     75           25.0
 돌봄(가사도우미, 거동 불편 노인관련)          39           13.0
 보건의료서비스                        25           8.3
 직업훈련, 영어교육                      7           2.3
 기 타                            154          51.4

출처 : 김윤수, 2007



 2007년도 보건복지부의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이용자 300명을 대상으로 서비
스 이용실태를 설문조사하였다. 300명 중 92%가 보건복지부 및 여러 기관, 단체,
기업체 등에서 제공하고 있는 사회서비스 보다 더 많은 사회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더욱 확대되어야 할 서비스로 아동교육관련 서비스가 전체의 25%를
차지하여 타 분야 보다 서비스 욕구가 더 많았고 돌봄서비스가 그 다음에 해당되
었으며 보건의료, 직업훈련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김윤수, 2007).


2. 사회적 경제의 변천과정


1) 공공근로정책 : 노동부, 행정자치부 중심 운영

 외환위기 이후 1998년 3월 정부는 '실업문제해결을 위한 종합대책' 발표하였는
데, 종합대책내 실업극복을 위한 핵심방안이 ‘공공근로정책’이다. 실업 대책을 노
동부와 행정자치부가 주도하고 공공근로정책은 실직자, 저소득층에게 단기적 일자
리를 제공하여 생계를 보호하는 정부주도형 방식이다.
 공공근로정책은 단기적인 실업률 완화에 기여하였으나 참여자의 자격기준, 노임
단가, 운영주체 등이 계속해서 변경함에 따라 안정적인 일자리로서의 기능을 발휘
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근로정책 참여자들의 사후구직활동이 저조하고 사업참
여 부적격자 문제, 이중참여자의 문제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정부 주도형 운영방
식을 개선하고, 민간단체의 실직자 지원운동인 자활사업과 공공근로사업을 연계시
켜 장기적인 실업․고용정책이 요구되었다.



                          57
2) 자활사업정책 : 복지부 중심 운영

 1999년 8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제정으로 저소득층에게 사회보장의 혜택을 제
공하고, 복지와 일자리를 연동시킨 복지체계의 제도적 기반 마련되었다. '생활보장
법'은 지역 생활공동체 중심의 ‘자활사업’ 추진근거가 되었다. 자활사업은 기존 공
공부문에서 일자리를 마련하여 저소득층의 근로능력을 향상시키고 자활공동체 육
성을 통한 창업형 자립사업이었다. 유럽의 협동조합 중심의 사회적 경제 맥락에서
시작된 것이다(한상진, 2008).
 자활사업6)은 정부의 인건비지원을 통해 경제적 자립을 유도하는 ‘자활근로’사업
과, 참여자들이 사업을 통해 일정한 수익을 내어 소득을 창출하는 ‘자활공동체’사
업으로 구분되었다. 사회서비스와 일자리의 전달체계로서 자활후견기관이 제도화
됨에 따라 이와 긴밀한 협력체제를 구축한 보건복지부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
였다. 그러나 자활사업을 통해서도 사회적 기업, 사회적 일자리, 사회서비스 등의
기반이 발전되지 못하고, 적극적인 고용창출에 한계를 발생하였다.


                        <표 9> 자활후견기관의 업종 분포
     구분                자활후견기관     노협      시민단체       전체
     봉제                  11.9%   33.3%      5.6%    14.6%
 건설업(집수리포함)              14.9%   11.1%      5.6%    12.6%
   청소용역업                 11.9%   16.7%      5.6%    11.7%
 환경관련서비스업                17.9%    0.0%     50.0%    20.4%
  간병서비스업                 22.4%    0.0%     11.1%    16.5%
     기타                  20.9%   38.9%     22.2%    24.3%
      계                 100.0%   100.0%   100.0%   100.0%

출처 : 한상진(2001: 121).


6) 자활공동체는 사업의 종류에 따라 소규모 공동창업, 협동조합 방식의 자활공동체, 네트워크형 자활공동체,
   사회적기업형 공동체가 존재함
  - 소규모 공동창업 형태는 시장에서 완전경쟁이 가능한 아이템과 인력을 구성하여 집중적, 체계적인 지원
   을 통해 빠른 시간 내 자립구조를 만들 수 있는 방식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
  - 협동조합식(서비스파견형) 자활공동체는 정부의 사회서비스 확충이라는 흐름을 활용하여 사회적 서비스
   의 공급자로서의 기술과 전문성 강화, 경쟁력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초기 시장을 유리하게 이끌어 나갈
   필요가 있으며 이때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높여내고 제도적 시장의 흐름에 대응능력이 있는 전문가가 함
   께 결합하는 형태의 지원이 필요함.
  - 네트워크형 자활공동체는 지역에 제한된 소규모 단위로는 생존이 어려운 사업이 광역으로 또는 몇 단위
   의 지역이 연대하여 각단위의 부족한 전문성을 상호보완하며 공동사업권을 형성하며 풀어가는 방식인데
   이때 연합체를 사업적으로 견인해나갈 전문 집단이 함께 구성되어 판로를 개척하고 영업과 기술력을 강
   화하는 지원시스템을 만들어야 함.


                                 58
<표 10> 생활보장법상 자활의 두 차원 비교
                                                     사회적
     구분        자활의 단위        노동의 성격      강조점
                                                    기여효과
             조건부 수급자
                            도덕적 해이를    생계급여를 주기
 수동적(개인적)    중 비취업                                노동, 복지의
                            방지하기 위한    위한 조건을
   자활        대상자                                  형식적 혼합
                            강제근로       강조
             개인단위의 자활
             협동적 생산을        노동할 수 있는   탈빈곤과 공공
 능동적(사회적)                                         생산적 복지의
             통한 지역공동체       사회적 권리의    서비스 제공의
   자활                                             실질적 기초
             단위의 잫자활        보장         결합을 강조

출처 : 황미영·한상진(2001)에서 재구성.


3) 사회적 일자리 정책 : 노동부 중심

 2003년 사회적 일자리 정책에 따른 노동부의 시범사업이 시행되었다. 자활사업,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 모두 취약계층을 주 대상으로 이들에게 인건비를 지원하
는 방식으로 시행되었다(황덕순, 2004). 사회적 일자리사업 유형은 NGO단독형 사
업, 광역형 사업, 기업연계형 사업으로 구분하여 시행되었다(김은진, 2008). 사회적
일자리 사업은 기존 자활사업의 사회적 경제 원리를 확대한 것이며, 수급자 등 저
소득층 외에 일반 실업자까지도 정책 수혜자로 포함시켰다. 이 정책은 노동부, 고
용안정센터, 민간단체 간의 연계체계를 형성하여 민간위탁 방식의 운영을 원칙으
로 시행되었다.
  그러나 고용안정센터의 지나친 감독과 통제로 인해 민간단체의 자율성과 창조
성을 저해하였다는 지적이 있다. 민간기관은 기존의 지원받은 사업에 안주하여 영
리중심의 운영방식을 갖추지 못하고 정부 재정지원에 계속해서 의존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적 일자리 정책은 노동부 주도의 고용과 실업정책에
집중함으로써 사회 서비스와 일자리 연계가 원활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근로와
연계된 복지제도와 사회적 경제인 제3섹터를 실현하기 위한 발전된 형식이 요구
되었다.


4) 사회적 기업 활성화 정책 : 노동부 중심

 2007년 1월 '사회적 기업 육성법'을 제정하고, 같은 해 6월과 7월 시행령과 시행
규칙을 제정하였다. 사회적 기업 육성법은 사회적 기업의 특징, 사회적 기업 인증
및 인증요건,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내용, 사회적 기업 육성 기본 계획 수립 등


                               59
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심창학, 2007). 2007년 7월부터 사회적 기업에게 국유지
와 공유지를 임대지원하고 법인세․부가가치세 및 4대 보험료와 1인당 월77만원
의 인건비를 지원하였다(배이화, 2007: 33). 2007년 10월 36개의 사회적 기업을 1
차 인증한 이후 2008년 총 154개의 사회적 기업을 인증하고 2012년까지 1,000개의
사회적 기업으로 확대하고자 하였다.
 현실적으로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기업은 두 가지 방식으로 결성된다. 자활사업
에서 유래된 자활근로․자활공동체 또는 민간 기업이나 정부 지원에 의해 조성된
비영리 조직이다. 기존의 사회적 일자리 정책은 사회적 기업 정책으로 진행되어
사회서비스와 일자리공급을 위한 개선하고자 하였다. 정부와 지자체는 세제와 재
정지원,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일자리와 지역 사회가 요구하는 사회서비스의 제공
과정에서 유기적 관계가 중요하다. (주)컴윈은 자활사업에서 출발해 컴퓨터 해체
및 재활용사업을 주력하는 하는 기업으로 발전하였던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김
혜원, 2006).


3.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쟁점

1)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특징

 사회적 기업의 사업유형 중 공공지원형 일자리 사업은 공공근로, 자활근로사업,
사회적 일자리 사업 등 인건비와 사업비를 전적으로 정부가 부담하는 사업을 의
미한다. 공공지원형 사회적 기업은 정부가 부분적으로 재정을 지원하지만, 시장에
서의 수익을 통해 운영되는 사회적 기업을 지칭한다. 이 조직들은 2006년 말 현재
자활사업을 통해 약 4만 명, 사회적일자리사업을 통해 약 2만 명, 기타 일자리 사
업을 통해 2~3만 명을 고용하고 있다. 일자리의 대부분은 인건비 보조를 통해 유
지되며, 저임금의 임시․일용직 일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민간지원기관은 사회적 기업의 설립을 촉진하기 위해 창업자금과 창업정보를
제공하는 금융기관을 의미한다. 이들 금융기관은 정부재원에 의존하기보다 민간의
기부금을 통해 대출재원을 조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구 사회적경제의 금융조직
과 유사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금융지원기관 중 2곳 만이 일정 수준 이상의 자본
금을 갖고 있으며, 사업지원에 있어서도 체계적인 형태를 갖춘 기관이다.




                         60
<표 11> 한국 사회적 경제의 구성과 특징
성격 Ⅰ          성격 Ⅱ       유형분류        세부 설명
국가            정부의존                   장애인 보호작업장/노인생산공동체
                         공공지원형
▼             ▲                      복지부 자활근로사업단
                         일자리 사업
                                     노동부 사회적일자리사업
▼             ○
                                     자활공동체
○             ▼          공공지원형
                         사회적 기업      노동부 사회적 기업
○             자립지향
사회적경제                    민간 지원기관     대안금융기관
              비영리                    시민단체(서비스 공급형)
○
                                     노동자협동조합
○             ▲
                                     생활협동조합
▲             ○          사회적경제 조직    농협/수협/산림조합
▲             ▼
                                     신협/새마을금고
시장            영리

(노대명, 2007)



 표의 하단에서 사회적 경제조직은 시민단체, 협동조합, 공제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민단체와 협동조합은 조직의 수나 피고용자의 규모로 볼 때 일정규모 이
상이다. 기존의 협동조합 중 여전히 사회적경제의 원칙을 고수하는 노동자협동조
합과 생활협동조합은 각각 10여개와 100여개에 불과하다. 비록 시민단체 중 상당
수가 중앙조직 중심이며 대변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만, 외환위기 이후 지
역사회를 중심으로 주민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공급하는 기관들이 증가하고 있
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61
<표 12> 한국의 사회적 경제 부문 현황
    유형              구분               조직수                 자료출처
            농협                        1,326개    www.nonghyup.com
            수협                           96개    www.suhyup.co.kr
            산림조합                        144개    www.nfcf.or.kr
            중소기업협동조합                    179개    www.kfsb.or.kr
            새마을금고                     1,646개    www.kfoc.co.kr
  협동조합
            신용협동조합                    1,070개    www.cu.co.kr
                    한국생협연합회                     www.icoop.or.kr
            생활협동조합  생협중앙회               144개    www.co-op.or.kr
                    한살림생협
            노동자협동조합                        9개   총회자료집
            민간단체                     약25,000개   2003민간단체총람(지부포함)
  민간단체
            시민사회운동단체                  3,937개    2003민간단체총람(지부포함)

출처: 엄형식, 2005: 104.




2)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쟁점

 서구의 노동통합형 사회적 기업이라 할 수 있는 자활공동체와 사회서비스형 사
회적 기업이라 할 수 있는 노동부 사회적 기업은 ‘상대적으로’ 자립 가능성이 높
은 조직으로 이해된다.7) 이들 두 기업이 빠르게 성장하는 부문은 보건복지서비스
와 환경서비스 부문이다. 특히 간병사업 분야에서의 사회적 기업과 청소 및 재활
용사업 분야에서의 사회적 기업은 이미 상당순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다.
 시민단체는 비영리민간단체로서 수익활동에 매우 유보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최근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는 의료생활협동조합은 조합원들의 투자와 재원을 토
대로 하면서, 지역사회의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공적지원을 통해 그 규모를 확대
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전형적인 사회적 기업으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고 여
겨진다. 농협이나 신용협동조합 등은 사실 상 영리금융기관과 차별화되지 않는다
는 점에서 가장 영리화된 것으로 이해된다. 정영호외(2005)는 사회적 기업의 경제
적 파급효과를 아래 <표 12>와 같이 분석하였다.




7) 물론 현재 자활공동체와 사회적 기업의 상당수가 재정적으로 취약하며, 정부보조금이 중단되는 경우 자체
  적인 생존이 힘들 수 있다는 점을 부인하는 것은 아니다.


                                62
<표 13>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단위 : 백만원, 명)

                기타사업서비스    사회복지사업           위생서비스     개인서비스            계
           1)
  생산유발액           40,016      70,847         52,571    64,327        227,761
 부가가치유발액          83,012      81,927         77,585    82,933        325,457
        2)
 취업유발인원            1,766       2,414          1,887     4,225         10,292

1) 해당부문을 제외한 효과를 의미함.
2) 1일 기준
출처 : 정영호·노대명·고숙자(2005: 94).



 사회적 기업의 평가를 통해 사회서비스 공급정책, 사회서비스 시장의 여건, 사
회적 기업의 정체성과 세력정도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시민단체들이 사
회적 기업의 기반구축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매우 어려운 과정이 진행
될 것이다. 한국의 사회적 기업은 정체성을 찾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을 개연성이
있다. 사회서비스 공급확대과정에서 사회적 기업은 시장경쟁에 노출된 개연성이
크다.
 정부가 추진하는 사회서비스 공급정책은 다양한 특성을 가진 집단의 욕구에 부
응하기 위해 공급자의 다양화를 지향하며, 이들 간의 경쟁을 통한 비용절감과 품
질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한국의 사회적 기업은 영리기업에 대한 비교우위를 보이
기 위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강한 압력을 받게 될 것이다. 사회적 기업
이 사회서비스 공급과정에서 경쟁력을 갖는 순간, 공공성과 민주성 원칙에 대한
도전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많은 생산공동체들은 유망한 틈새업종을 찾아내지 못했거나 기술력과 전문성을
갖추지 못했거나 혹은 생산관리를 철저히 하지 못한 탓에 시장 진입에 실패하였
다(신명호, 2004). 강성천 한나라당 의원이 내놓은 ‘한국의 사회적 기업 시행 1년,
평가와 과제’ 정책자료집에 따르면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시행된 뒤 인증을 받은 사
회적 기업은 108개에 달하지만 사회적 기업의 고용효과가 거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혜원(2007)은 사업비를 충당하는 측면에서 과도하게 정부 의존도가 높은
지금의 한국의 비영리조직은 사회적 기업으로 발전할 충분한 경영역량이 부족하
다고 지적하였다. 정선희(2006)는 사회적 기업의 관리자 역량이 취약하며, 신용이
나 네트워크가 부족한 상황에서 초기 자본을 구하는 것이 쉽지 않고, 업종 자체의



                                       63
수익성이 낮고, 초기 자본 형성의 어려움과 시장에서 판로 개척을 위한 영업이나
마케팅 기술도 취약하다고 지적하였다. 다음의 <표 13>은 현재 우리나라의 사회
적 기업의 문제점과 쟁점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표 14> 한국 사회적 기업의 당면문제

     구 분                          주요 내용
                ․   사회적 기업 개념에 대한 이해 부족
                ․   사회적 기업에 대한 시민들의 인지도 부족
                ․   과도하게 집중화된 재원조달 방식
  외부의 장애요인
                ․   사업추진과정에서 행정구역상 제약
   (제도적 제약)
                ․   공적자금 활용에 있어 불필요한 제약
                ․   초기투자 없는 상황에서 시장과의 과열경쟁
                ․   사회적 기업 조직들에 대한 지원 인프라 부족
                ․   사회적 기업의 외연확대에 따른 정체성 약화
                ․   사회적 기업 내부의 조정기능과 제시기능 취약
                ․   사회적 기업 간의 협력체계 취약
  내부의 장애요인      ․   시장경쟁 과정에서 부족한 시장정보
   (조직상 제약)     ․   사회적 기업이 필요로 하는 노동력 연계 곤란
                ․   욕구를 수요로 간주하는데 따른 오류
                ․   성과를 도출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
                ․   잠재력 있는 소규모 사회 경제조직의 발굴 부진
                ․   효과적인 협력방식에   대한 상호 경험부족
   영리부문과의       ․   개별화되고 경쟁적인   연계 인프라
 협력에 대한 장애요인    ․   사업지역과 박탈지역   간의 공간적 불일치
                ․   민간기업과의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할 역량




                       Ⅳ. 개선방안

1. 지역과 외부기관과의 연계 강화

 사회적 기업은 정책변화와 시장의 흐름에 따라 전략목표를 설계하여야 한다. 많
은 사회적 기업들은 스스로의 네트워크를 만들고 지역사회에서 각종 서비스제공
을 통하여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은 시민사회의 복합적 요구
를 반영하여 실행하고 그것을 위한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사회적 관계망으로 발전
한다. 사회적 기업이 추구하는 복합관계속에서 이해당사자의 참여과정은 다양한
거래비용을 줄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다(장원봉, 2007). 이 때 지역사회



                           64
의 사회서비스와 관련한 이해당사자들은 서비스제공 노동자, 관리자, 이용자, 관련
시민단체, 지방정부 그리고 재정지원자 등이다. 사회적 기업들 간의 정보의 비대
칭 현상을 줄이고 협력적인 사업연계를 통하여 서비스의 중복투자 혹은 중복수혜
의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사업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역사회 네
트워크에 참여한 사람이나 조직들과 협력해야만 한다(홍현미라, 2008).
  또한 사회적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 민간기업과의 협력 또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자로서 기업의 사회공헌 또는 사회책임투자를 생
각해 볼 수 있으며, 또는 사업 파트너로서의 기업과의 전략적 협력체계가 요구된
다.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정부의 요구는 민간자원의 활용을 통한 예산 절감과 사회
서비스 공급 자원의 확보이다.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와
사회적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정선희, 2006). 하지만 그것이 사회적 기업이
지닌 애초의 목적을 훼손하거나 그들의 자율성을 억제함으로써 그들의 효율성을
제한하게 된다면, 사회적 기업의 활용정책은 실패로 돌아갈 것이다(장원봉, 2007).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은 사회적 기업을 통한 시민사회의 주도성을 확
보하고 장려하는 방식을 고려하는 속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향후 중앙정부돠 지방정부의 서비스 공급정책 변화와 조화할 필요가 있다. 경
우에 따라 사회적 기업이 정부로부터 인건비 지원을 받기보다 이용자 중심의 전
달체계를 통해 서비스공급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사회서비스
를 이용자 중심으로 제공하는 방안은 인건비를 지원하는 방식에 비해, 참여자의
고용보장, 임금의 현실화, 성과와 능력에 따른 급여의 차별화, 사회보험 가입 등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공익성이 내재된 사회서비스 시장
에서는 영리기업과 정부조직 그리고 사회적 기업이 활발하게 경쟁함으로써 양질
의 서비스가 공급되어 모든 참여자들이 윈-윈하는 게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김
혜원, 2006).


2. 제도적 기반마련과 재정적 지원확대

 사회적 기업은 기본법률, 사회서비스 지원사업, 자활사업 등의 법적 제도적 연
계가 중요하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의 자활제도, 사회적기업육성법, 주민통합서
비스실현을 위한 정부 정책이 분산되어 운영된다. 지식경제부, 행정안전부, 농림수



                      65
산부 등이 각각 수행하고 있는 지역 활성화 정책이 사회적 기업과 프로그램 연계
가 중요하다. 정부의 사회적 기업 전략에 대한 검토와 수정을 통하여 공공성 확보
를 위한 제도적 정비가 진행된다. 사회적 기업은 지역의 특성과 그 지역 주민의
요구, 지역 주민의 삶의 질 등을 기반으로 지역조직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한국사회에 출현한 사회적 기업에는 이들 모두가 결핍되어 있으며 이윤을
위한 경영 등의 담론만이 과잉되어 있는 실정이다(최준, 2005).
 사회적 기업의 정체성을 확립과정에는 사회적 기업의 정신을 구현할 수 있는
사회적 기업가를 양성해야 한다. 이는 현재 많은 사회적 기업이 경영, 인사관리,
마케팅, 회계 등의 업무를 지원하는 단체의 실무자에게 맡기고 있다는 점에서 확
인할 수 있다. 사회적 기업이 사회서비스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수익과 고용 외에
도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등 다양한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자생력 확대를 위해 사회적 기업의 향후 성장여부는 제3부문 경제와 사회적
목적 사이의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새로운 환경에 효과적인 대처, 그리고 각국의
법제, 사회 경제 상황, 정부 정책에 따라 좌우된다.
 향후 사회적 기업이 안정적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가치 창출을 할 수
있어야 한다(정선희, 2006). 양질의 사회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제공하고자 하는
사회서비스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지역사회 구
성원의 욕구를 반영해야 한다(홍현미라, 2008). 사회적 기업이 시장에서 원활하게
정착하기 위해서는 수익 창출 지원이 더 중요하다. 민간기업과의 치열한 경쟁을
통해서 안정적인 시장을 확보하는 것은 태생적으로 한계가 있으므로 공공시장의
매출을 통해서 수익 확보가 바람직하다.
 사회적 기업을 설립하고 지원하기 위한 재원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
기업을 지역기반형으로 운영함으로써 다양한 재원을 발굴이 중요하다. 대안적 금
융기관을 육성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이는 국내에 존재하는 사회연대은행이
나 신나는조합 등을 사회적 기업에 대한 창업자금을 대출할 수 있는 기관으로 육
성하는 방안을 의미한다(노대명, 2007).


3. 고부가가치의 사업 발굴

 사회적 기업의 서비스 생산을 위해 참여하는 제공인력이 대부분 저소득 취약계



                           66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Weitere ähnliche Inhalte

Andere mochten auch

oneok 2001 Annual Report
oneok 2001 Annual Reportoneok 2001 Annual Report
oneok 2001 Annual Report
finance20
 
gpn_ar14_eng_09.06.2015.compressed-min
gpn_ar14_eng_09.06.2015.compressed-mingpn_ar14_eng_09.06.2015.compressed-min
gpn_ar14_eng_09.06.2015.compressed-min
Oleg Sibiryakov
 
oneok 2000 Annual Report
oneok 2000 Annual Reportoneok 2000 Annual Report
oneok 2000 Annual Report
finance20
 
Convocation Booklet Sp 14
Convocation Booklet Sp 14 Convocation Booklet Sp 14
Convocation Booklet Sp 14
Cindy Ta
 
PVAmerica-2013-Presentation-FINAL
PVAmerica-2013-Presentation-FINALPVAmerica-2013-Presentation-FINAL
PVAmerica-2013-Presentation-FINAL
Robert Potter
 

Andere mochten auch (9)

2014 town of griffith façade guidelines update
2014 town of griffith façade guidelines update2014 town of griffith façade guidelines update
2014 town of griffith façade guidelines update
 
Путеводитель инвестора. Челябинская область
Путеводитель инвестора. Челябинская областьПутеводитель инвестора. Челябинская область
Путеводитель инвестора. Челябинская область
 
oneok 2001 Annual Report
oneok 2001 Annual Reportoneok 2001 Annual Report
oneok 2001 Annual Report
 
gpn_ar14_eng_09.06.2015.compressed-min
gpn_ar14_eng_09.06.2015.compressed-mingpn_ar14_eng_09.06.2015.compressed-min
gpn_ar14_eng_09.06.2015.compressed-min
 
oneok 2000 Annual Report
oneok 2000 Annual Reportoneok 2000 Annual Report
oneok 2000 Annual Report
 
Convocation Booklet Sp 14
Convocation Booklet Sp 14 Convocation Booklet Sp 14
Convocation Booklet Sp 14
 
Corporate Identities and Logos
Corporate Identities and LogosCorporate Identities and Logos
Corporate Identities and Logos
 
It Trends 2015-2H-totoro4
It Trends 2015-2H-totoro4It Trends 2015-2H-totoro4
It Trends 2015-2H-totoro4
 
PVAmerica-2013-Presentation-FINAL
PVAmerica-2013-Presentation-FINALPVAmerica-2013-Presentation-FINAL
PVAmerica-2013-Presentation-FINAL
 

Ähnlich wie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사회혁신기업이란
사회혁신기업이란사회혁신기업이란
사회혁신기업이란
sopoong
 
1107협동조합사회적기업 세미나발표자료
1107협동조합사회적기업 세미나발표자료1107협동조합사회적기업 세미나발표자료
1107협동조합사회적기업 세미나발표자료
seekly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7강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문화기업- 이은애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7강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문화기업- 이은애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7강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문화기업- 이은애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7강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문화기업- 이은애
seed:s corporation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seekly
 
'12년 기술인문융합포럼 세션3(기술인문융합 미래가치를 말하다) 경제 거시환경 변화 관점에서 본 미래가치, 박병원센터장(stepi)
'12년 기술인문융합포럼 세션3(기술인문융합 미래가치를 말하다)   경제 거시환경 변화 관점에서 본 미래가치, 박병원센터장(stepi)'12년 기술인문융합포럼 세션3(기술인문융합 미래가치를 말하다)   경제 거시환경 변화 관점에서 본 미래가치, 박병원센터장(stepi)
'12년 기술인문융합포럼 세션3(기술인문융합 미래가치를 말하다) 경제 거시환경 변화 관점에서 본 미래가치, 박병원센터장(stepi)
atelier t*h
 
카이스트대전 사회적 기업 특강 이은애
카이스트대전 사회적 기업 특강   이은애카이스트대전 사회적 기업 특강   이은애
카이스트대전 사회적 기업 특강 이은애
seekly
 
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
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
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
Gori Communication
 

Ähnlich wie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20)

사회혁신기업이란
사회혁신기업이란사회혁신기업이란
사회혁신기업이란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유스바람개비 "진로워크북"
 
[오픈컨텐츠랩] 사회적 경제의 이해_boc
[오픈컨텐츠랩] 사회적 경제의 이해_boc [오픈컨텐츠랩] 사회적 경제의 이해_boc
[오픈컨텐츠랩] 사회적 경제의 이해_boc
 
1107협동조합사회적기업 세미나발표자료
1107협동조합사회적기업 세미나발표자료1107협동조합사회적기업 세미나발표자료
1107협동조합사회적기업 세미나발표자료
 
사회적기업가정신
사회적기업가정신사회적기업가정신
사회적기업가정신
 
소셜미디어와 PR
소셜미디어와 PR소셜미디어와 PR
소셜미디어와 PR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7강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문화기업- 이은애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7강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문화기업- 이은애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7강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문화기업- 이은애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7강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문화기업- 이은애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12년 기술인문융합포럼 세션3(기술인문융합 미래가치를 말하다) 경제 거시환경 변화 관점에서 본 미래가치, 박병원센터장(stepi)
'12년 기술인문융합포럼 세션3(기술인문융합 미래가치를 말하다)   경제 거시환경 변화 관점에서 본 미래가치, 박병원센터장(stepi)'12년 기술인문융합포럼 세션3(기술인문융합 미래가치를 말하다)   경제 거시환경 변화 관점에서 본 미래가치, 박병원센터장(stepi)
'12년 기술인문융합포럼 세션3(기술인문융합 미래가치를 말하다) 경제 거시환경 변화 관점에서 본 미래가치, 박병원센터장(stepi)
 
카이스트대전 사회적 기업 특강 이은애
카이스트대전 사회적 기업 특강   이은애카이스트대전 사회적 기업 특강   이은애
카이스트대전 사회적 기업 특강 이은애
 
Social Media Communicatioins for Social Enterprise
Social Media Communicatioins for Social EnterpriseSocial Media Communicatioins for Social Enterprise
Social Media Communicatioins for Social Enterprise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사회적기업 이해
 
[강의]Co and grassroots 나효우
[강의]Co and grassroots 나효우[강의]Co and grassroots 나효우
[강의]Co and grassroots 나효우
 
영국의 사회적기업
영국의 사회적기업영국의 사회적기업
영국의 사회적기업
 
5강 라준영
5강 라준영5강 라준영
5강 라준영
 
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
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
제1차 연구정책 세미나 자료집
 
소셜미디어와 PR이론
소셜미디어와 PR이론소셜미디어와 PR이론
소셜미디어와 PR이론
 
소셜미디어와 PR이론
소셜미디어와 PR이론소셜미디어와 PR이론
소셜미디어와 PR이론
 

Mehr von Gori Communication

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
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
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
Gori Communication
 
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Gori Communication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Gori Communication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Gori Communication
 
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
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
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
Gori Communication
 
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
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
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
Gori Communication
 

Mehr von Gori Communication (20)

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
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
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
 
2015년 유통백서
2015년 유통백서2015년 유통백서
2015년 유통백서
 
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
 
정책가이드북
정책가이드북 정책가이드북
정책가이드북
 
독도문화예술제 Ppt
독도문화예술제 Ppt독도문화예술제 Ppt
독도문화예술제 Ppt
 
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
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
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
 
보증보험 종류 (1)
보증보험 종류 (1)보증보험 종류 (1)
보증보험 종류 (1)
 
2013 중소기업지원제도
2013 중소기업지원제도2013 중소기업지원제도
2013 중소기업지원제도
 
2012 m&a 핸드북
2012 m&a 핸드북2012 m&a 핸드북
2012 m&a 핸드북
 
Open mba
Open mbaOpen mba
Open mba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2013soa
2013soa2013soa
2013soa
 
2013smba
2013smba2013smba
2013smba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
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
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
 
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
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
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
 

(사회적기업 연구포럼)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심포지엄 자료집

  • 1.
  • 2.
  • 3. 차 례 행/사/일/정 주/제/발/표 1. 사회화, 그리고 기업화: 사회문제 속에서의 기업가 정신 (김병규, University of Bristol, UK) ❙ 3 2. 지역경제발전과 사회적기업 (노한균, 국민대 경영학과 교수) ❙ 27 3. 지역사회서비스 다양화에 따른 사회적기업의 방향모색 (김윤수, 사회서비스 관리센터 연구조사팀 팀장) ❙ 43 4.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이광우, 한국 사회서비스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73
  • 4.
  • 5. 행 사 일 정 등록 및 접수 13:00 ~ 13:30 개회식 13:30 ~ 13:50 ○ 개회사: 문형구 (비영리학회 회장,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 ○ 환영사: 최종태 (사회적기업연구포럼 대표, 최저임금위원회 위원장) ○ 축 사: 노동부 제1부 사회: 황창순 (순천향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14:00 ~ 15:40 ○ 발표 1. 사회화, 그리고 기업화: 사회문제 속에서의 기업가 정신 김병규 (University of Bristol, UK) 2. 지역경제발전과 사회적기업 노한균 (국민대 경영학과 교수) ○ 토론 진재문 (경성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곽선화 (부산대 경영학부 교수) 제2부 사회: 김용호 (부산가톨릭대 유통경영정보학부 교수) 16:00 ~ 17:40 ○ 발표 1. 지역사회서비스 다양화에 따른 사회적기업의 방향모색 김윤수 (사회서비스 관리센터 연구조사팀 팀장) 2.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이광우 (한국 사회서비스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토론 홍현미라 (전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이용탁 (동서대 경영학부 교수) 폐 회 17:40 1
  • 6.
  • 7. 사회화, 그리고 기업화: 사회문제 속에서의 기업가 정신 김 병 규 (University of Bristol, UK)
  • 8.
  • 9. Byoung-Kyoo Kim & Leroy White To Be Social and to Be an Enterprise: Entrepreneurship into Social Concern NPOKOREA, Pusan National University, 12 June 2009 &
  • 10. Contents • Introduction • Self-interest versus Altruism • Capitalism versus Socialism • Enterprise versus Community • To Be Social and to Be an Enterprise • Conclusion .
  • 11. Introduction: towards what we are dreaming (1) • Win-win-win (Elkington, 1994) – Win-win strategy in the structure of competitive societies → Partnership – However, lots of ‘Win-lose Conflicts’ in the world – Emerging Win-win-win strategy: 3Ps (Three Bottom Lines: TBL) Profit (to Company) People (Customers) Planet (Environment) → More enhanced Partnership – The more needs for social partner → The more focusing on the 3Ps – Business entities do not pay attention to the social partner without social control & monitoring methods. b
  • 12. Introduction: towards what we are dreaming (2)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 A natural duty of corporate business entities in an organic society – Evolution of CSR Going back to the 1930s and 1940s The Functions of Executive (Barnard, 1938) Social Control of Business (Clark, 1939) Measurement of the Social Performance of Business (Kreps, 1940) Has reached the present day since the 1950s A Four-part CSR Definition (Carroll, 1991) Economic, Legal, Ethical, Philanthropic But, more emphasis on the ethical & philanthropic functions O
  • 13. Introduction: towards what we are dreaming (3) • The 3Ps & CSR – People (Philanthropic Definition): the key element for successful business The second P of the 3Ps The last function of the four-part CSR definition – New Type of Organisation Decreasing the voices of shareholders. Goes toward a new poise. Conventional business entities were not founded on the present criteria. But, new organisations have to be founded under the premise, the 3Ps & CSR. ’
  • 14. Self-interest versus Altruism: amphibian organisation? (1) • Why Do We Have to Help Others? • What Is “Helping Others”? – Reward & Social or Economic Class Pure helping others does not involve any reward People from lower classes within the social or economic system are difficult to show pure helping others (because of feeling of loyalty and duty). – That is, helping other is ALTRUISM. • Altruism & Self-interest (1) – Altruism and self-interest (selfishness) appear together all the time. – People say that the former is a virtue but the latter a vice. ‘ H
  • 15. Self-interest versus Altruism: amphibian organisation? (2) • Altruism & Self-interest (2) – People in a criminal situation A complete altruist A complete egoist A half-altruist & half egoist – Depends on the context (Bester & Guth, 1998). – Interact on social relations & in organisations of society (Fehr & Fischbacher, 2003). – Namely, can affect into an individuals as well as interpersonal case. Deployable into an organisation, inter-organisations as well. H H
  • 16. Self-interest versus Altruism: amphibian organisation? (3) • Helping Behaviour in Organisational Studies – Organis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OCB) (Posdakoff et. al., 2000) Academics mainly focus on helping others with work-related problems. Organ (1988)’s Perspective on OCB Altruism, Courtesy, Peacemaking and Cheerleading Other Perspectives Altruism, Helping and Cooperating with Others, Interpersonal Facilitation, Interpersonal Helping, Helping Co-workers or the like To sum up, altruism is synonymous with helping others. – Helping Behaviour & Quantitative Organisational Output → Negative relation (Podsakoff & MacKenzie, 1994) – Altruism and self-interest are coexist. → Applying to the 3Ps & the four- part CSR definition → Amphibian Organisation ‘ ’
  • 17. Capitalism versus Socialism: distribute if you own and own if you want to distribute (1) • Historical Relics – Repetitive constructions and destructions – The biggest relics in the last century: Capitalism & Socialism – Destruction is not extinguishing but hiding. • Capitalism versus Socialism – The Core of Capitalism: the private & market economy – The Difference between Capitalism & Socialism: Ownership & Distribution – A Logical Flow among Ownership, Distribution and Investment – Business entity’s pursuit is to attain ‘Sustainability’ ‘ 3
  • 18. Capitalism versus Socialism: distribute if you own and own if you want to distribute (2) • Capitalism and Socialism – Capitalism gives rise to ownership. – Capitalism pursues profit as its leading value. – Socialism encourages equal distribution. – Socialism originates from community. • Social systems and trends are not important. • Need to emerge New Organisations or Business Entities with both Self- interest and Altruism. ‘ L
  • 19. Enterprise versus Community: profit, profit, and profit? (1) • Enterprise’s Characteristics are (Chell, 2007) – Individualism. – Personal achievement. – Ambition. – Striving for excellence. – Effort. – Hard work. – The assumption of personal responsibility for actions. • Community does – Derive from self-interest. – Share members’ common characteristics. ‘ &
  • 20. Enterprise versus Community: profit, profit, and profit? (2) • Successful business does make profits and create values. • By-product in the enterprising process – Organisational culture or environment – Categorisation are Tangible or intangible. Within organisation or out of organisation. Long term or short term. People and Organisation (These are what enterprise has to take into account). H .
  • 21. Enterprise versus Community: profit, profit, and profit? (3) • Enterprise versus Stakeholders – Edward Freeman (1984) coined the term ‘stakeholders’. Stakeholders are private owners or shareholders, government, senior management staff, non-managerial staff, trade unions, customer, creditors, and local community. – While society enforces enterprise to change, enterprise tries to conquer the whole realm included all stakeholders. – Shareholders’ profit versus Stakeholders’ interests. – Enterprise and Altruism Enterprise is run in the world with CSR Enterprise pretends to be an amphibious organisation for gaining profits. H w
  • 22. Enterprise versus Community: profit, profit, and profit? (4) • Community and Self-interest – Altruistic behaviour as self-interests. – Such self-interests give birth to many communities related to social concerns. – Communities play roles as stakeholders for or against some enterprises. – Self-interest with altruism leads our points of view from profit to social concern. – The problems communities face are sustainability and effectiveness. They need to own operating skills and development strategies. H O
  • 23. Enterprise versus Community: profit, profit, and profit? (5) • A New Circumstance: The Quirk report in the UK (2007) – Management by the community own hands. –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 Transfer of public assets to community groups form the public sector • Enterprise, Community and Stakeholders – Financial profits versus initial profits – The Community Interest Company (CIC) Works for the benefit of the community. 1,706 CICs across the UK (May 2008). • Ongoing society can be constructed by ongoing sub-societies. ‘ ?
  • 24. To Be Social and to Be Enterprise: into social concern (1) •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1) – The imbalance between demands and supplies… Exist between Self-interest and Altruism. Self-interest and shareholders, altruism and stakeholders. – The First Sector The business private sector Does touch on society and play a functional role as an economic sector. – The Second Sector The public sector. Does produce public goods, secure other sectors and control society. – The Limitation of the Two Sector Both all cannot embrace lots of social concerns. Society comes on to another sector. 5 S
  • 25. To Be Social and to Be Enterprise: into social concern (2) •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2) – The Third Sector Did position between the first sector and the second sector. Has performed many projects to improve society. Is called social economy and does includes community, voluntary and not-for- profit activities. Is regarded as tax-exempt and tax-deductible organisation. Has been armed more dynamic enterprise and industry rather than institution (Lohmanmm, 2007). – Social Enterprise The organisations in the third sector are getting more profit-oriented. Some changes did cause to emerge a new type of organisation. Does reinvest all profits back in to the own business or other social aims. 5 H
  • 26. To Be Social and to Be Enterprise: into social concern (3) • Business Entrepreneurship versus Social Entrepreneurship – Entrepreneurs do create not wealth but value. Values are the same as the stakeholders’ interests. Entrepreneurs does have the ability to attract the resources needed to grow and activate innovation and change in the pursuance of new opportunities (Dees, 1998) – Social entrepreneurs are interested in what the social mission is and what the social enterprises pursue initially. – Difficulty to measure value creation. – Social entrepreneurs should play the role of change agents in the social sector (Dees, 1998) ’ ’
  • 27. To Be Social and to Be Enterprise: into social concern (4) • Social Enterprise in the World (1) – There is no a universally approved definition of social enterprise. – Work Integration Social Enterprises (WISEs) To solve unemployment and discrimination in the employ markets. Is training and employing people with disadvantages and disabilities. – The UK: social aims – France: social and solidarity economy – Germany: social market economy – Italy: social co-operatives – Poland: association and foundation – The USA: business-oriented and commercial – South Korea: similar to the UK’s ’ 3
  • 28. To Be Social and to Be Enterprise: into social concern (4) • Social Enterprise in the World (2) – The European Research Network (EMES) ’s definition (Borzaga and Defourny, 2001) Economic Criterion A continuous activity producing goods and/or selling services. A high degree of autonomy. A significant level of economic risk. A minimum amount of paid work. Social Criterion An initiative launched by a group of citizens. A decision-making power not based on capital ownership. A participatory nature, which involves the persons affected by the activity. Limited profit distribution. An explicit aim to benefit the community. 5 R
  • 29. Conclusion: beyond what we are dreaming • An Amphibian Organisation – Human attribute: altruism and self-interest – Social system: capitalism and socialism – Corporate interest: profit-oriented and social-oriented – Three activities for completion of social enterprise as an amphibian organisation Service delivery. Social inclusion. Civil society development and undertaken. • The development of the organisation would be what we are dreaming now. ’ &
  • 30.
  • 31. 지역경제발전과 사회적기업 노 한 균 (국민대 경영학과 교수)
  • 32.
  • 33. 지역경제발전과 사회적 기업 - 경제협력개발기구 논의를 중심으로 노 한 균 (국민대 경영대학 교수) [요약] 지역발전과 사회적 기업 육성은 최근 몇 년 사이 우리나라 정부가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추진해 온 정책이었다. 서로 다른 정책적 배경과 관심을 통해 발전되어 온 지역발전정책과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의 접점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 글에서는 OECD의 지방경제․고용발전 (Local Economic and Employment Development, LEED) 프로그램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 두 정책노력 간의 상호 연 결고리를 찾아보도록 한다. 우선 지역경제발전이론의 다양한 측면을 검토한 후,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의 관계를 살펴보고, 지역경제발전과 사회적 기업의 상 호관계에 관한 논의를 정리하여 시사점을 찾아본다. 경제적인 영역에서의 지역발 전이라도 단순한 양적 성장을 의미하지 않고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참 여적 과정으로 이해한다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은 단지 취 약계층에 대한 일자리 제공을 벗어나, 다양한 지역사회 이해관계자들이 자신의 삶 의 질을 결정할 수 있는 과정에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고 이를 통해 상호신뢰와 같은 지역사회의 무형자산을 꾸준히 축적할 수 있는 거버넌스 기반을 마련한다는 데에 더 큰 의미가 있다. [주제어] 거버넌스 (governance), 사회적 경제 (social economy), 사회적 기업 (social enterprise), 사회적 자본 (social capital), 지역경제발전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29
  • 34. I. 들어가는 말 지역발전과 사회적 기업 육성은 최근 몇 년 사이 우리나라 정부가 꾸준히 관심 을 가지고 추진해 온 정책이었다. 예를 들어 현 정부는 과거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한계를 보완한 지역발전정책을 [그림 1]과 같이 제시했다. 일자리와 삶의 질이 보장되는 경쟁력 있는 지역창조를 위하여 성장잠재력의 극대화, 신성장동력 발굴 및 지역특화발전, 분권강화, 수도권․지방 동반상생발전, 기존 시책의 발전․ 보완과 같은 5대 전략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그림 1] 현 정부의 지역발전정책 추진체계 출처: 지역발전위원회 (2008), 29쪽. 2007년부터 시작된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은 2008년 향후 5년간의 사회적 기업 육성에 관한 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정책의 장기적 틀을 마련했다. 이 기본계획은 [그림 2]와 같이 사회서비스 혁신과 일자리 창출을 견인하는 제3섹터형 혁신기업 을 육성하여 활기찬 시장경제와 사회통합에 기여한다는 비전 아래 민간의 자발적 인 참여 활성화를 위한 동기 부여, 사회적기업 지원제도 선진화, 민간협의기구 구 성․운영 활성화,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 강화의 4개 추진전략과 4개 의 중점추진과제를 제시했다. 30
  • 35. [그림 2] 현 정부의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 추진체계 사회서비스 혁신과 일자리 창출을 견인하는 제3섹터형 혁신기업을 비 전 육성하여 활기찬 시장경제와 사회통합에 기여 창의적이고 시장경쟁력을 갖춘 견실한 사회적기업 성공모델 제시 목 표 및 확산 민간의 자발적인 참여 활성화를 위한 동기 부여 추 진 사회적기업 지원제도 선진화 전 략 민간협의기구 구성․운영 활성화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 강화 1. 사회적기업 친화적 문화와 환경 조성 중 점 2. 창의적 사업모델 발굴 및 신규설립 활성화 추 진 3. 사회적기업 경영혁신 지원 과 제 4. 사회적기업 육성시스템 구축 출처: 노동부 (2008), 18쪽. 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 지역발전과 사회적 기업의 육성은 서로 어떤 관계 에 있을까? 이런 논의는 지역발전을 추구하는 정책목적과 사회적 기업의 지역 확 산을 추구하는 정책목적 간의 조화성과 융합의 효과를 가져오는 데에 좋은 시사 점을 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경제협력개발기구 (Organization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Co-operation, OECD)의 지방경제․고용발전 (Local Economic and Employment Development, LEED) 프로그램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 두 정책노력 간의 상호 연 결고리를 찾아보도록 한다. OECD의 LEED 프로그램은 지방발전, 거버넌스 (governance), 사회적 경제 (social economy)에 관한 혁신적 아이디어를 찾고, 분 석․확산하기 위해 1982년에 구성되었으며, 그동안 이 분야에 많은 이론과 사례연 구를 진행시켜 왔다 (예: Davies, 1995; OECD, 1998; 1999a; 1999b; 2001a; 2001b; 2003; 2004; 2007; 2008a; 2008b; 2008c; 2008d; 2009). 31
  • 36. 이 논의를 위해 이 글에서는 지역경제발전이론의 다양한 측면을 검토한 후, 사 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의 관계를 살펴보고, 지역경제발전과 사회적 기업의 상호 관계에 관한 논의를 정리하여 시사점을 찾아보는 순서로 진행된다. Ⅱ. 지역경제발전이론 지역경제발전에 관한 이론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없이 다양한 학문 적 접근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경제성장이론을 받아들여 지역경제발전의 문제를 접근하고 있 다. 경제성장에 관해 많이 인용되는 이론들로는 고전학파 이론, 해로드-도마 (Harrod-Domar)의 성장이론과 ‘외생적 성장모형 (exogenous growth model)’이라 고 불리는 신고전학파의 성장이론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이상훈․김은경․조성호 (2008)은 신고전학파의 성장이론의 대표적인 학자인 로버트 솔로우 (Robert Solow)가 사용한 콥-더글라스 생산함수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를 기 초로 지역경제의 성장이 자본의 투자효율과 노동생산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했다. 이런 접근방식은 양적, 외형적 성장을 발전의 중심에 둔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지 만, 성장이 여전히 발전의 기본요건임을 강조하는 학자들에 의해 자주 사용되고 있다. 반면 일부 연구자들은 지역혁신시스템론, 클러스터론, 세계생산네트워크론 등 지역산업과 외부의 경제적 활동 간 연계성을 중심으로 한 이론을 바탕으로 지역 경제발전을 접근하고 있다 (이용숙, 2006; 장재홍, 2008). Porter (2000)에 의하면 클러스터 (cluster)란 상호 연관된 기업들, 전문화된 부품업체들, 지원서비스 기업 들, 관련된 타 산업에 속한 기업들, 관련 기관들이 지리적으로 모여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작용을 통해 시너지를 발휘하는 특정한 지역을 만한다. 포터는 클러스터 를 통한 공간적 집적으로 인해 기술, 숙련, 정보, 마케팅과 소비자의 요구가 클러 스터 내에서 교류․공유되고, 이런 긍정적인 외부성으로 인해 생산성이 증대되고 혁신이 이루어지며, 창업을 자극하고 경쟁을 촉진시켜 지역의 경제발전이 이루어 진다고 했다 (장재홍, 2008). 실제 클러스터 이론은 참여정부 지역정책의 이론적 배경이 되었다. 반면 Ernst 외 (2001)는 기존 클러스터론이 대기업의 역할만을 강 조하는 것을 비판하면서, 대기업들과 연계된 부품업체 및 관련업체 네트워크의 중 32
  • 37. 요성을 강조하는 세계생산네트워크 (global production network)를 강조하였다 (이용숙, 2006). Bolzaga and Tortia (2009)는 지역경제발전을 설명하는 방식을 해외직접투자, 자본이전, 공공개입, 혁신전파, 기반시설 등으로 설명하는 외생적 발전이론과 사회 자본, 지역 수준에 존재하는 인적 자본과 다른 자원의 가치 등으로 설명하는 내생 적 발전이론으로 구분했다. Bolzaga and Tortia (2009)의 이러한 구분은 앞서 소개 한 신고전학파의 경제이론인 외생적 성장이론에서 언급한 외생성과는 차이가 있 음에 주의해야 한다. 신고전학파의 외생성이란 투입하는 생산요소의 양과 그로 인 해 생산되는 산출량의 관계를 결정짓는, 이른바 총생산함수 (aggregate production function)의 외부에 존재하는 요소, 특히 기술혁신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Bolzaga and Tortia (2009)가 말하는 외생성은 경제적 요소 이외에 고려할 수 있는 지역경 제발전의 요소를 말하기 때문에 신고전학파의 기술혁신은 기본적으로 내생적 요 인으로 구분되는 차이가 있다. Bolzaga and Tortia (2009)가 구분한 내생적 발전이론은 외생주도 지역경제발전 이론이 공공기관과 기업, 이윤추구행위에 초점을 두고 있는 점을 비판하면서 지역 발전에 있어서 비영리조직과 사회적 기업의 중간역할과 이윤추구행위 이외의 활 동을 강조하고 있다 (Sugden and Wilson, 2000; Sacchetti and Sugden 2003; Sacchetti, 2004). 또한 일부 연구자들은 사회복지사업의 연장선 상에서 지역사회개발을 과정, 방 법, 운동의 세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예: 고수현, 2006). 예를 들어 Battern (1957)은 지역사회개발사업을 “지역사회주민이 먼저 그들의 현재 욕수를 충분한 토론을 거쳐 정하고, 정해진 욕구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협의를 통하여 수립하 고 실전해 나가는 과정 (13; 고수현, 2006, 119-220에서 재인용)”으로 이해하고 있 다. 반면 Ross (1955)는 정부 등 외부기관의 개입, 다방면의 전문가가 동원된 복합 적 방식, 지역사회 주민 스스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내부 지역사회자원에 의한 방식으로 나누어 보았다. 또한 Sanders (1958)은 지역사회개발을 물적 시설 의 완공이나 물량적 성장에 그치는 것이 아닌 인간사회의 관계형성과 변화를 위 해 관계된 모든 사람들이 참여해서 스스로의 행태와 태도를 개선해 가는 운동이 라고 하였다 (고수현, 2006, 122). 33
  • 38. Ⅲ. 사회적 기업의 이해 노동부 (2008)은 사회적 기업을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재화, 서 비스의 생산․판매 등의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이라고 규정한다. (노동부는 이 런 실질적 요건 외에 ‘노동부장관의 인증’이라는 형식적 요건을 요구하고 있다.) 노동부가 정의하는 사회적 목적의 우선적 추구란 다음 세 가지 최소요건을 갖 추는 것을 말한다. 첫째, 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에게 일자리 또는 사회서비 스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 공익 등 사회적 목적의 실현에 있어야 한다. 둘째, 서 비스 수혜자, 근로자, 지역주민 등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 를 갖추어야 한다. 셋째, 수익 또는 이윤 발생시 사회적 목적 실현에 재투자되어 야 한다. 또한 영업활동의 수행은 유급근로자를 고용하여 지속적인 영업활동을 수 행하고, 영업활동으로 얻은 수입이 노무비의 30% 이상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노 동부, 2008). 그러나 사회적 기업의 형태와 의미는 지역이나 나라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미 국에서의 사회적 기업은 자신들의 사회적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자금을 대기 위 해 수입을 창출하는 전략 (earned income strategy)을 구사하는 비영리조직을 의 미하는 반면, 유럽에서는 기존의 영리추구형 사업조직과는 다른 방식으로 사업을 하는 조직을 일컫는다 (OECD, 2009). 노동부 (2008)도 이 두 지역의 사회적 기업 차이를 <표 1>과 같이 정리했다. <표 1> 미국과 유럽의 사회적 기업 비교 미 국 유 럽 강조점 수익 창출 사회적 수혜 일반적 조직형태 비영리조직 협동조합/협회/회사 활동의 초점 모든 비영리활동 대인서비스 사회적기업 유형 다수 제한적 이해관계자 참여 제한적 일반적 전략적 육성 주도 민간재단 정부/EU 법적 프레임워크 부족 개발(또는 개발중) 이윤분배 원천배제 제한적 인정 출처: 노동부 (2008), 7쪽. 34
  • 39. 그러나 Defurny (2001)는 서로 다른 전통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기업이 미국과 유 럽 양쪽에서 공통되게 쓰이고 있는 점을 감안해서 [그림 3]과 같이 협동조합을 중 심으로 한 유럽의 사회적 경제 전통과 미국적 비영리조직의 전통을 이어주는 교 차점으로 이해했다. [그림 3] 협동조합과 비영리조직 교차로서의 사회적 기업 출처: Defurny (2001), 22쪽, 신명호 (2009), 20쪽에서 재인용. 따라서 이런 관점을 받아들인다면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경제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명호 (2009)는 사회적 경제를 협동조합들 가운데 사회적 목 적, 자율성 및 민주적 의사결정 등의 규범적 원리와 같은 기준요건들을 충족하지 못하는 소수를 제외한 대부분과 비영리 민간단체들 가운데 생산, 교환, 분배, 소비 등의 경제활동과 무관한 단체를 제외한 비정부조직 (non-government organization, NGO)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라고 하면서, <표 2>와 같은 노대명 (2007)의 한국 사회적 경제 분류방식을 소개했다. 35
  • 40. <표 2> 한국 사회적 경제의 구성 출처: 노대명 (2007), 63쪽, 신명호 (2009), 31쪽에서 재인용. Ⅳ. 사회적 기업과 지역경제발전 간의 관계 그렇다면 사회적 기업과 지역경제발전 간에는 어떤 관계를 찾을 수 있을까? OECD의 LEED 프로그램의 연구 결과는 사회적 기업이 지역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경제발전이 사회적 기업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살펴보았다. Bolzaga and Tortia (2009)는 다섯 가지 사항을 들어 사회적 기업이 지역경제발 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첫째는 기존의 기업가 역할과는 구분되는 새로 운 기업가정신이 지역발전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사회적 기업은 기존 기업보 다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가 전제되고 이들의 이해도 경제적 이득에만 한 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사회적 기업의 특성과 이에 따른 자원배분과 소득분배 측 면에서의 결과로 인해, 사회적 기업은 완전한 공공재까지는 아니더라도 적어도 준 공공재 (quasi-public goods)의 생산을 늘림으로써 지역사회 복지를 개선할 수 있 다. 둘째, 사회적 기업은 그 지역에서 활동하는 다른 기업과 마찬가지로 지역수준 에서의 신규고용을 창출한다. 그러나 사회적 기업이 창출하는 고용의 내용은 일반 36
  • 41. 기업의 고용 창출과는 다를 가능성이 크다. 다시 말해 일자리와 보다 높은 삶의 질을 찾기 위해서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을 벗어나지 쉽지 않은 여성이나 노년층 과 같은 개인들에게 특히 혜택을 주는 고용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앞서의 두 번째 논의는 자연히 지역사회의 빈곤과 불평등 해소에 도움을 주게 된다. 넷 째, 사회적 기업을 통한 사회적 자본의 촉진 등은 다른 외생적 요인을 통해 지역 경제발전을 도모할 때는 추구하기 어려운, 그러면서도 지역사회에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목적의 가치를 찾고 실현하도록 한다. 사회적 기업은 지역사회에 남아있는 환경유산이나 자원노동 (voluntary labor) 같은 인적 자본 등, 이른바 ‘이동하기 쉽지 않은 자원 (non-mobile resources)’의 가치를 찾아내고, 문화․역사유산과 같 은 지역 자산을 다시 활용하도록 한다. 이런 자산들은 순수히 상업적 목적을 위해 서만 사용되어서는 안 되는 것들이다. 끝으로 주로 증진된 사회적 신뢰관계로 나 타나는 긍정적인 외부성이 지역 수준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유지하게 한다. 반면, Daniele 외 (2009)는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는 네 가지 클러스터로 (1) 정 체성, 문화, 대표, 질 (identity, culture, representation, quality), (2) 기업지원 (business support), (3) 사업부문발전 (trade sector development), (4) 지역발전 (local development)을 들었다. 특히 지역발전이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스웨덴의 컴패니언 (Companion)과 캐나다 퀘벡의 지역발전 협동조합의 사례를 들어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1980년대 초반에 시작된 스웨덴의 협동조 합 발전기구 (co-operative development agencies, CDAs)는 컴패니언으로 이름을 바꾸어 현재 전국적으로 24개의 지부를 가지고 있다. 이 조직은 그동안 좌우의 정 치적 이념을 달리하는 정보 모두로부터 지지를 받았으며, 20년이 넘게 협동조합과 사회적 기업의 창업을 촉진하는 네트워크로서의 기능을 하였다. Ⅴ. 맺는 말 이상의 논의를 통해 우리나라에서는 서로 다른 정책적 배경과 관심을 통해 발전 되어 온 지역발전정책과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의 접점을 찾을 수 있다. 학문적으 로도 지역발전과 사회적 기업의 육성은 서로 다른 배경과 동기를 가지고 분석되 어져 왔다. 그러나 심지어는 경제적인 영역에서의 지역발전이라도 단순한 양적 성 장을 의미하지 않고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참여적 과정으로 이해한다 37
  • 42. 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은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수 단으로 자리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사회적 기업이 단지 취약계층에 일자 리를 제공함으로써 소득을 창출해 줄 수 있다는 측면을 벗어나, 지역사회에 속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자신의 삶의 질을 결정할 수 있는 과정에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고 이를 통해 상호신뢰와 같은 지역사회의 무형자산을 꾸준 히 축적할 수 있는 거버넌스 (governance) 기반을 마련한다는 데에 더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고수현 (2006) 지역사회개발사업과 지역사회개발사업가의 역할: 계획론적인 연구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영․호남 춘계 공동학술대회, 117-135. 노대명 (2007) 한국 ‘사회적 경제’의 현황과 과제: ‘사회적 경제’의 정착과정을 중 심으로. 시민사회와 NGO, 5 (2), 35-71. 노동부 (2008) 사회적 기업 육성 기본계획 (2008~2012). 과천: 노동부. 신명호 (2009) 한국의 ‘사회적 경제’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동향과 전망, 75, 11-46. 이광희 (2003) 신경제 환경에서 지역발전이론의 정합성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 지, 6 (1), 135-154. 이상훈․김은경․조성호 (2008) 지역경제 성장과 균형발전. 응용경제, 10 (2), 203-230. 이용숙 (2006) 세계화 시대의 지역경제 발전: 클러스터론과 세계생산네트워크론의 비교. 경제와 사회, 69, 227-254. 장재홍 (2009) 지역경제발전을 위한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 모색. 응용경제, 10 (2), 145-175. 지역발전위원회 (2008) 2008 이명박 정부 지역발전정책 연차보고서. 서울: 지역발 전위원회. Battern, T.R. (1957) Communities and their Development.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38
  • 43. Blakely, E.J. and Bradshaw, T.K. (2002) Planning Local Economic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3rd edn. Thousand Oaks, CA: Sage. Defurny, J. (2001) Introduction: from third sector to social enterprise. In: Bolzaga, C. and Defurny, J. (eds.)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s. Oxford, UK: Routledge, 1-26. Bolzaga, C. and Tortia, E. (2009) Social enterprises and local economic development. In: Noya, A. (ed.) The Changing Boundaries of Social Enterprises. Paris: OECD, 195-228. Daniele, D., Johnson, T. and Zandonai, F. (2009) Networks as support structure for social enterprises. In: Noya, A. (ed.) The Changing Boundaries of Social Enterprises. Paris: OECD, 139-194. Davies, A. (1995) Local Economies and Globalization. LEED Notebook No. 20. Paris: OECD. Ernst, D., Guerrieri, P., Iammarino, S. and Pietrobelli, C. (2001) New challenges for industrial clusters: global production networks and knowledge diffusion. In: Guerrieri, P. Iammarino, S. and Pietrobelli, C. (eds.) The Global Challenge to Industrial Districts, Cheltenham, UK: Edward Elgar, 131-144. OECD (1998) Local Management for More Effective Employment Policy. Paris: OECD. OECD (1999a) Decentralising Employment Policy: New Trends and Challenges. Paris: OECD. OECD (1999b) Best Practices in Local Economic Development. Paris: OECD. OECD (2001a) Local Partnerships for Better Governance. Paris: OECD. OECD (2001b) Best Practices in Local Development. Paris: OECD. OECD (2003) Managing Decentralisation: A New Role for Labour Market Policy. Paris: OECD. OECD (2004) New Forms of Governance for Economic Development. Paris: OECD. OECD (2007) The Social Economy: Building Inclusive Economies. Paris: OECD. 39
  • 44. OECD (2008a) Local Development Benefits from Staging Global Events. Paris: OECD. OECD (2008b) OECD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of SME and Entrepreneurship Policies and Programmes. Paris: OECD. OECD (2008c) Making Local Strategies Work: Building the Evidence Base. Paris: OECD. OECD (2008d) Sustainable Development: Linking economy, society, environment. Paris: OECD. OECD (2009) The Changing Boundaries of Social Enterprises. Paris: OECD. Porter, M.E. (2000) Location, compe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local clusters in a gobla economy.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14 (1), 15-34. Reese, L.A and Fasenfest, D. (1999) Key perspectives on local development policy evaluation.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13 (1), 3-7. Ross, M.G. (1955) Community Organization: Theory and Practices. New York: Harper and Brotehrs. Ross, D. and Friedman, R. (1990) The emerging third wave: new local economic development strategies. Entrepreneurial Economy Review, 90, 3-10. Sacchetti, S. (2004) Knowledge caps in industrial development. New Political Economy, 9 (3), 389-412. Sacchetti, S. and Sugden, R. (2003) The governance of networks and economic power: the nature and impact of sub-contracting relationships. Journal of Economic Surveys, 17 (5), 669-691. Sanders, I.T. (1958) Theories of community development. Rural Sociology, 23 (1), 1-12. Sugden, R. and Wilson, J. (2000) Perspectives on Development: A Strategic Decision-making approach. mimeo, Department of Commerce, Universith of Birmingham. United States Department of Commerce (1999) Evaluating Business 40
  • 45. Development Incentives. Prepared for the US Department of Commerce EDA Project #99-07-13794. Wong, C. (1998) Determining factors for local economic development: the perception of practitioners in the North West and Eastern regions of the UK. Regional Studies, 32 (8), 707-720. 경제협력개발기구 LEED http://www.oced.org 국제노동기구 국제훈련센터 http://learning.itcilo.org 세계은행 LED http://www.worldbank.org 지역발전위원회 http://www.balance.go.kr 41
  • 46.
  • 47. 지역사회서비스 다양화에 따른 사회적기업의 방향모색 김 윤 수 (사회서비스 관리센터 연구조사팀 팀장)
  • 48.
  • 49. 지역사회서비스 다양화에 따른 사회적 기업의 방향모색 김 윤 수 (사회서비스관리센터) Ⅰ. 서 론 소득불평등과 빈곤문제가 심화되고 사적안전망이 약화되는 상황에서 다양한 위 험이 발견된다. 노인․장애인․아동 등 취약계층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문 제가 사회적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인구고령화 및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증가에 따라 사회서비스 수요가 더욱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정부는 사회서비스 에 대한 국민적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사회서비스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취약계층 중심으로 저소득층의 사회서비스 욕구가 전체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어1) 정부가 재정사업을 통해 사회서비스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현재까지 우리사회는 극빈층을 대상으로 하는 낮은 수준의 현금급여 중심으로 복지서비스를 운영하여 왔다. 의료, 주거, 교육 등 현물급여는 일부 극빈층으로 제 한된 빈약한 것이었으며, 사회서비스는 시설보호를 제외하고는 거의 미개발된 상 태였다. 사회 구성원의 사회서비스는 일부 계층에게만 한정되어 보편적인 욕구를 충족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03년 노인실태조사 자료에 의하면 노인요양, 재가복지서비스 등 복지서비스에 대한 이용희망률은 높으나 이 용경험률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사회서비스는 사람들의 소득이 늘어나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경향 이 나타나지만 수요에 비해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는 한계점이 발생한다. 이 한 계의 원인이 교육, 주거, 건강 등의 구매력이 부족한 것인지 아니면 이러한 서비 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공기관이 부족한 것인지 원인을 찾아야 하다. 서비스에 대 한 요구는 이용자의 소득별 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지만 지역적 환경에 따라 사회서비스가 특성있게 제공되기도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사회서비스 제공 1)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04년 국민생활실태조사 분석결과 45
  • 50. 을 지역적 특성에 맞게 육성 전략을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서비스공급 육성의 의미는 지자체나 민간에서 사회서비스 수용대응이 보다 지 역의 사회서비스 비젼을 만들 수 있는 로직이 요구된다. 즉 지역사회서비스 (Community Social Service) 사업에 대한 전체적인 담론수준을 어느 정도로 해야 하는지, 사업운영시 무엇을 해야 하는 지, 사업별 품질기준을 어느 수준으로 해야 하는지 등의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각각의 서비스 산업별 발전전략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유효 이용규모가 필요하고 인력공급 및 양성, 관리체계들 모두 담아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부의 활동이외의 민간기업과 제3부문에서 사회적 참여가 요 구된다. 사회적 기업은 기업의 특성도 있지만 사회의 공공적인 요소도 함께 고려 하는 단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시민단체들은 1990년대 중반 생산공동체 운동을 주도하고, 외환위기 직후 공공근로 민간위탁사업에 참여하고, 2000년 자활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관심을 실제 운영사업으로 추 진하여 왔다. 이와 아울러 정부는 2003년 사회적 일자리 시범사업, 2006년 12월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 2007년 사회서비스 공급확대 등의 정책을 시행하여 사회 적 기업 지원정책을 강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적 특성에 따른 지역사회서비 스의 현황과 부합하는 사회적 기업의 쟁점과 개선안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사회적 기업의 이론적 검토 1. 사회적 기업의 의의 1) 사회적 기업의 개념 1990년대 중반부터 사회적 기업(Social enterprise)을 사회적 경제 부분과 구분하 여 설명하고 있다. 포괄적 개념인 사회적 경제는 정부로부터 독립되어 있고, 영리 기업과 달리 사회적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며, 조직 운영이 민주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황덕순, 2004). 즉 사회적 경제는 호혜성, 자조 등의 사회적 목적을 경제활동에 연계시키는 포괄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한상진, 2006). 이러한 사회 적 경제 부문에는 사회적 기업과 비영리 조직 등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사회적 기 업과 기존의 비영리 단체와의 기본적인 차이점은 기업적 전망, 정부로부터의 독립 46
  • 51. 정도, 공공과 민간 부문이 충족시키지 못하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 공한다는 점이다(Maiello, 1997).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는 사회적 경제의 경제주체로써 사회적 서 비스를 생산하는 제반 조직 및 단체이다(홍현미라, 2008). 이는 사회적 목적을 우 선으로 하는 사업체로써, 기업의 잉여금은 주주와 소유자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 하여 운용되기보다는 그 사업체 또는 지역사회를 위해 재투자되는 기업이다(DT I2), 2002). 사회적 기업의 정의는 기업적 방식으로 조직되는 일반 활동 및 공익 활 동을 아우르며, 주된 목적은 이윤극대화가 아니라, 특정한 경제 및 사회적 목적, 그리고 재화와 용역의 생산이나 사회적 배제 및 실업 문제에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OECD, 1999; 김신양, 2006: 81). 유럽연합(EU)의 사회적 기업의 정의는 경제 및 무역활동에 있어서 특정한 사회적 목적을 연계 추구한다. 조직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모든 초과된 이익은 기업의 경제활동을 위해 재투자하는 데, 기업의 사회적 목적을 위하여 사용된다.(Birkholzer, 2000: 52~53; 김경휘·반정 호, 2006: 38). <그림 1>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간의 관계 사회적 경제 사회적 기업 비영리 조직 출처 : 황덕순(2004: 74)에서 재구성. 킹 보두인 재단(1994)에 따르면 '사회적 기업'3)이란 미숙련 근로자들을 노동 시 장에 복귀시키기 위해 시장과 비시장 자원을 모두 활용하는 기업 활동을 포함한 다. 비영리 부문의 출현은 대체로 민간이나 복지국가가 충족시키지 못하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사회적 기업의 성장요인은 복지국가의 2) 영국 통상산업부(DTI) 사회적기업과(social enterprise unit) 3) 캘리포니아 리치몬드의 “루비콘 제과”와 같은 중소기업 47
  • 52. 변화, 특정 부분에서의 시장실패, 경제와 사회 주체들간의 고용과 협력을 위한 새 로운 인센티브제도의 등장, 그리고 사회와 공동체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대 등을 들 수 있다. 존스홉킨스 대학의 대한 연구결과에서 비영리 부문과 사회적 기업들 을 포함한 사회적 경제에 속하는 단체들의 중요성과 비중이 높아지고 있음을 강 조한다(Salomon, Anheier, 1997). 2) 사회적 기업의 특성 사회적 기업은 1990년대 이후 유럽에서 장기 실업의 구조화로 인한 고용 창출 의 필요성에 대응하여 고안되었다. 유럽에서의 사회적 기업은 다양한 이름으로 중 앙정부의 지원 아래 지속적으로 설립되었다. 1991년 이탈리아에서는 ‘사회적 협동 조합’으로, 1995년 벨기에의 ‘사회적 목적의 회사’, 그리고 1998년 포르투갈의 ‘사 회적 연대 협동조합’ 등으로 불리기 시작했다(한상진, 2001). 사회적 기업의 특징 은 나라마다 협동조합, 협회 등 법적 형태가 다르고, 기업적 조직으로 활동하며, 이윤은 분배되지 않고 단체의 사회적 목적 달성을 위해 재투자되고, 주주가 아니 라 단체의 민주적 참여와 조직에 의해 사업운영이 결정된다. 사회적 기업이 다양한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을 통해 충족되지 못한 사회의 복지서비스와 새로운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경영하 기 때문이다. 다음의 표와 같이 소유방식을 공동으로 할 것인지 신탁에 의해 소유 할 것인지에 따라 사회적 기업의 속성이 다르다. 운영 재원 형성을 정부의 보조와 기부금으로 할 것인지 판매수익을 통하여 형성할 것인지에 따라 기업의 속성이 다르다. 기업의 성장측면에서는 개발을 사회적 통합을 중시할 것인지 사업확장의 경영적 요소를 중시할 것인지에 따라 사회적 기업의 속성이 다르다. 또한 이용자 의 범위와 서비스 제공영역이 전국적인 수준으로 할 것인지 일부 시군구의 좁은 지역시장에 한정할 것인지에 따라 사회적 기업의 경영전략이 달라질 수 있다. 48
  • 53. <표 2> 사회적 기업들이 가지는 다양한 속성의 편차 소유방식 신탁에 의한 소유(trustee) 상호적(mutuals) 재원 기부, 보조(donation, grants) 판매(sales) 사회적 목적 사회공헌기업(social responsible business) 사회적 소유(socially owned) 개발의 초점 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 사업의 발전(business development) 목표시장 지역시장(local markets) 보다 넓은 시장(Wider markets) 출처 : understanding social enterprise, 엄형식(2005: 86)에서 재인용. 한편 유럽연합(EU)에서 의미하는 사회적 기업 특성은 합법적인 의사결정구조를 가지고 기업의 모든 자산과 축적된 부는 어떤 개인에게 귀속되는 것이 아니라 기 업의 사회적 목적에 부합하는 개인과 지역의 자원으로 귀속한다. 사회적 기업의 조직구조는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는 구조로써 모든 구성원들의 권리에 근거하여 조합적 형태를 가진다. 사회적 기업의 핵심 특징은 사회적 기업과 광범위한 사회 및 지역경제의 다른 조직간 상호협동적인 활동을 이끌어 낸다(Birkholzer, 2000: 52~53; 김경휘·반정호, 2006: 38). 사회적 기업을 다음 <표 2>와 같이 경제적, 사회적 기준에 따라 살펴볼 수 있 다. 사회적 기업은 경제적 사회적 목표를 가지고 경제와 사회에 노력하고, 경제적 자립을 위해 다양한 자금 조달원을 가지며, 취약계층의 근로자들이 노동 시장에 통합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사회적 기업들은 시장 자원, 비시장 자원, 자원봉사 등의 인적 자원 그리고 민간 후원을 토대로 예산의 균형을 맞춤으로써 경제적으 로 자립 가능한 조직이 된다. 비시장 자원은 정부의 보조금으로 재분배 원칙에 따 라 지원된다(CERISIS, 1998). 사회적 기업은 실업과 사회적 소외라는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사회 통합을 증진시키며 경제 발전에 기여 한다. 49
  • 54. <표 3>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사회적 기준에 따른 구분 구분 내 용 비 고 재화생산과 서비스의 제공 ․ Aiken(‘재화 및 용역거래’ 제시) 높은 자율성 ․ 자율성정도의 차이 존재 경제적 경제적 위협 ․ 위협정도의 차이 존재 기준 유급노동 ․ 유급정도의 차이 존재 정부로부터의 독립된 자치권 ․ Aiken의 기준 시민사회 주도 ․ EMES네트워크/Aiken (시민사회 주도 ‘설립’ 제시) 자본소유에 기초하지 않는 ․ 공통 의사결정권 사회적 관련 행위자들의 참여적 성격 ․ 공통 기준 제한적 이윤분배 ․ Aiken(‘조직 밖으로의’ 이익분배 여부 제시) 지역사회 공헌의 목표 ․ Aiken(‘명시적으로 공동체 또는 사회적 편익’ 추가) 일터에서의 참여주의 ․ Aiken의 기준 출처 : 심창학, 2007: 69; Defourny, 2001; 엄형식, 2005: 86 ; Mike Aiken, 2006: 27.에서 재조정 2. 사회적 기업의 자원구조 1) 인적구성 사회적 기업들은 직간접적으로 다양한 참여자를 포함하여 상호 보완적인 운영 과정을 형성한다(Zandonai, 1997). 경영자, 중간관리자, 서비스 제공인력, 자원봉사 자 등이 각각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전형적인 사회적 기업가 유형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Cheroutre, 1997; Fondation Roi Baudouin, 1994). 사회적 기업의 경영자들은 거의 모두 다음 두 가 지 중 한 가지 경력을 가지고 있다(Mannila, 1997). 첫째는 심리학 또는 사회복지 분야로 기업의 사회적 측면을 효과적으로 다룬다. 두 번째 부류는 경영학 전공자 및 일반 기업 경력자들로 이론적으로 “경제적 측면”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 다. 사회적 기업의 이중적 성격으로 인해 경영자들은 이 두 가지 능력을 모두 가 지고 있어야 한다. 아래 표는 중간 노동 시장에서 활동하는 프랑스 사회적 기업 경영자들의 학력과 직업 경력을 기술하고 있다. 중간 노동시장에서 활동 중인 프 랑스 사회적 기업 경영자들의 최초 학력은 사회복지 관련 전공(38.5%)으로 가장 많고, 기술 관련 전공(29%), 경영․경제 관련 전공(23%), 기타(9.5%) 순이었다. 이 들이 받은 추가교육은 경영․회계 분야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50
  • 55. <표 4> 중간 노동시장에서 활동 중인 프랑스 사회적 기업 경영자들의 학력 최초 학력 수 % 추가 교육 특수 교육, 공동체 활동, 사회복지 활동, 상담, 심 30명(50%)이 추가 교육을 받음 60 38.5 리학, 직업 훈련 28명: 경영/회계 2명: 기술 20명(45%)이 추가교육을 받음 기술 자격, 육체노동(목공, 전기, 토목) 44 29 7명: 사회복지 13명: 경영/회계 5명(14%)이 추가 교육을 받음 상업, 경영학, 경제학, 금융, 회계 35 23 4명: 사회복지 1명: 기술 기타(건축, 언어, 인문학, 비서학, 법학) 14 9.5 총계 153 100 사회적 기업 경영인들의 관리능력은 기업의 경제적 및 사회적 측면 관리 두 가 지 조건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사회적 기업내 근로자, 자원봉사자 등 여러 주체들을 어떻게 전문화할 것인가의 문제, 그들의 훈련비용을 누가 부담 할 것인가의 문제, 그리고 전문 분야나 자격 조건이 다른 구성원을 경제적, 사회 적 목적에서 조율하는 등의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다음의 표는 사회적 기업 구성 원에게 교육과 훈련을 지원하는 기관과 내용이다. <표 5> 국외의 훈련기관예시 훈련기관 내 용 사회적 경제를 위한 위원회(agences-conseil pour l'économie sociale) 또 벨기에 한 사회적 기업가들을 위한 훈련 모듈을 제공 몇몇 대학교와 기타 고등교육 기관들이 사회적 기업가 지망생들을 위한 프랑스 과정을 개설 몇 년간 제3 부문 활동가들, 특히 사회적 기업 경영인들과 활발하게 협 력함. IG는 그 지식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사회적 기업을 설립하고 발 이탈리아 전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을 돕고 있음 Societ per l’imprenditorialit giovanile (IG) 런던 청년들을 대상으로 비영리기업 경영을 위한 훈련을 담당하는 사회적 기 (이스트 엔드) 업가 학교 미국 현직 행정가들과 행정가 지망생들을 위한 경영 과정을 제공 (하버드케네디행정대학원) 미국 “사회적 기업 이니셔티브” 과정을 개설 (하버드 경영대학원) ※ 사회적 기업가들을 위한 훈련 과정이 증가 추세임. 51
  • 56. 서비스 제공인력이나 자원봉사자들은 모두 지역 네트워크의 참여나 직장 생활 에서 얻은 경험과 지식으로 사회적 기업에 기여한다. 전문직의 임금은 사회적 기 업 전체 임금의 총량이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자원봉사자들을 활용함으로써 비영 리 단체들은 재원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자원봉사자들이 고문이나 관리 인으로 기업에 참여할 경우 기업의 비영리성, 사회적 목적 추구를 잘 알릴 수 있 고, 정부와 소비자들과 신뢰 관계를 쌓는데 도움이 된다(Consorzio Gino Mattarelli, 1997). 2) 재원 형성 사회적 기업들은 다른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시장 제약을 받으며, 경제적 자립을 확보하여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을 통한 지속가능성과 효율성을 담보한다. 사회적 기업의 혼합된 재원형성은 시장, 비시장, 비금융, 기타자원을 통하여 재원을 마련 한다. 시장 자원은 상품과 서비스 판매의 수익이고 비시장 자원은 정부 보조금이 며 비금융 자원은 자원봉사 활동에서 나온 경제적 이익이며 기타 자원은 민간 기 부금을 의미한다. OECD 회원국내 사회적 기업들의 자금조달 상황은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면, 우선 재정 구조가 거의 완전히 정부기금에 기초한 단체들이 있다. 두 번째는 세금 면제, 신규 일자리에 대한 세액 공제 등 상당한 공적자금 지원을 받아 필요 경비 의 대부분을 충당하는 단체들이 있다. 세 번째는 시장경제에서 활동하면서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구직자들의 통합을 돕기 위해 일정기간 인건비에 대한 보조금을 받는 형태가 있다. 프랑스의 노동통합 기업, 이탈리아의 노동통합 사회적 협동조합, 벨기에의 훈련 을 통한 노동기업은 그에 따른 생산성 저하로 보조금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정부의 감독을 받는다. 그리고 정부의 재정 지원유형은 각 나라의 법제에 따라 다 르다. 고용되는 근로자 마다 세금을 일부 감면해주는 신규 일자리 세액 공제, 세 금 공제와 사회보장 납부금 인하, 직원 파견을 통한 인건비 절약, 연간 총액과 재 통합된 근로자 당 총액 등이 이에 해당된다. 사회적 유용성과 정부의 재정 지원의 근거에 의해 취약계층을 통합할 수 있다. 공익을 위한 상품과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소외와 자원 부족 등으로 고생하는 취 약계층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능력이다. 어린이 돌보기의 경우 대체로 사회 정책 52
  • 57. 과 연계되어 해당 서비스와 연계된 자금이 정부로부터 조달된다. 사회적 기업은 자체적인 내부 기술과 전문성에 대한 역량이 서로 부족한 경우가 많다. 사회적 기 업들 간 네트워크를 설립하거나 지역 주체들에게 자신감을 북돋아주어4) 지역경제 사회개발 프로젝트의 수익성과 공공성지원 기준이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3. 분석의 틀 본 논문에서는 사회적 기업의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을 위한 역할을 중심으로 살 펴보고자 한다. 지역사회에서는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새로운 사회서비스의 요구 가 증가하고 정부는 사회적 기업과 같은 주체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림 2> 분석의 틀 정부 정부 (재원) 정책개발 사회적 협력 (정책) 정부보조 사회적 기업 정책결과 경영(생산) 인력제공 기획(개발) 지역경제성 지역사회 장 지역사회 서비스 요구 서비스제공 (인력) (성과) Input Process Output 이때 사회적 기업은 지역사회 시민들의 욕구를 적실히 파악하여 지역사회에게 공공성이 포함된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지역사회에서는 소외계층을 포함한 지역주민의 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역경제도 활성화하는 기능도 함께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사회적 기업은 새로운 사회서비스를 개발하 도록 기획하고 서비스 공급에 있어서 기업적인 영리추구를 위하여 경영의 모습을 함께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문은 다음과 같은 분석과정을 통하 여 사회적 기업의 역할과 기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4) 집단적 외부성이라고도 불림 53
  • 58. Ⅲ.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 현황 1.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여건 및 변화과정 1) 주변 환경 사회적 기업의 환경은 복지체제의 변화, 비영리민간단체의 성장, 전통적 사회경 제부문의 실태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정부는 2000년 자활지원사업, 2003년 사 회적 일자리사업, 2006년 사회서비스 공급확충사업 등을 통해 시민단체들을 사회 서비스 공급자로 육성5)하였다. 이러한 시민단체들이 제도적 환경변화에 따라 사 회적 기업으로 활성화되고, 사회적경제의 조직들로 성장할 것인지는 단언하기 어 려웠다. 특히 사회적 기업을 추동할 주체세력이 취약한 상황에서 사회적 기업이 어떠 한 형태로 발전할 것인지는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노대명, 2007). 사회적 기 업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적․정신적 토대로서 사회적경제의 여건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면, 사회적 경제를 추동할 주체세력의 역량이 취약하다 는 것을 알 수 있다(장원봉, 2006). <표 6> 한국 사회적경제의 여건 구 분 주요 항목 한국의 상황 - 복지체제의 유형 - 자유주의체제에 가까운 혼합형 공공복지의 수준 - 공적 사회지출의 수준 - OECD 평균의 1/3 수준 - 비영리부문의 성격 - ‘90년대 이후 비영리민간단체 성장 비영리부문 발달 - 비영리부문의 규모 - 지역기반형 조직의 저발전 - 협동조합 모법(母法)의 부재 - 사회적경제의 성격 - 협동조합의 영리화가 지배적 협동조합의 전통 - 협동조합의 규모 - 노동자협동조합의 저발전(10여개) -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 (노대명, 2007) 5) 사회적 기업이 보다 큰 시장을 놓고 영리부문과 경쟁하게 될 것이며, 이 과정에서 자신의 차별화된 강점 을 제시할 수 있다면 적어도 일부 사업에서 비교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임. 이 점이 사회적 기업이 사회 서비스 공급과 관련해서 성장잠재력이 있다고 판단하는 이유(노대명, 2007) 54
  • 59. 2) 지역사회서비스의 다양화 지방정부는 지역사회의 실제 서비스 수요를 조사하고 지역에 적합한 사회서비 스 사업을 자체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경 우 지방자치단체별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굴하여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러 한 특징은 지방자치단체별로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 사업유형과 규모를 통해 확 인된다. 2007년부터 2008년 10월말까지 운영된 지역개발형 사업은 사업유형이 가 족기능회복부터 건강생활지원, 휠체어 대여에 이르기까지 각 지방자치단체의 특성 과 지역주민의 복지수요에 맞게 다양하게 개발·운용되고 있다. <표 7> 보건복지가족부 지역개발형 사업의 시도별 분포 (단위:개, %) 서 부 대 인 광 대 울 경 강 충 충 전 전 경 경 제 구 분 합계 비율 울 산 구 천 주 전 산 기 원 북 남 북 남 북 남 주 1.가족기능회복 2 1 1 5 3 4 3 3 4 2 1 29 7.1 2.건강생활지원 1 2 1 2 1 1 1 3 6 3 21 5.2 3.경제활동지원 2 3 1 1 4 1 1 1 1 1 16 3.9 4.도서대여 1 1 1 3 0.7 5.사각지대돌봄 1 2 1 3 1 1 1 10 2.5 6.장애아동재활지원 9 5 8 1 5 1 4 7 4 2 9 2 2 3 1 1 64 15.8 7.주거환경지원 9 2 5 2 5 6 3 3 10 9 7 7 1 69 17.0 8.취약계층사회참여 3 2 1 1 2 1 1 1 1 1 14 3.4 10.학습비전형성 12 15 1 3 3 1 8 5 3 6 6 9 2 74 18.2 11.현장체험 5 5 1 1 3 9 5 12 3 9 2 10 65 16.0 12.결혼이민자지원 1 1 1 1 2 4 2 1 4 1 2 8 28 6.9 13.맞춤형자활고용 1 5 1 2 9 2.2 14.아동육아용품대여 1 1 2 0.5 15.휠체어대여 1 1 2 0.5 합계 46 35 15 9 27 13 6 41 28 24 25 40 34 41 19 3 406 100 (비중) 11.3 8.6 3.7 2.2 6.7 3.2 1.5 10.1 6.9 5.9 6.2 9.9 8.4 10.1 4.7 0.7 100.0 자료 : 이재원외, (2009, 59) 55
  • 60. <그림 3> 지역개발형 사업의 지역간 서비스 차이 (단위:%, 천원) 그런데, 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지역간 다양성은 사회서비스의 지역 차이를 확대 할 수 있다는 쟁점을 안고 있다. 지자체별 서비스 격차는 지방재정력과 지자체의 사업개발 역량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신활력지역에 대해서는 기준보조율 80%로 추가 지원하지만 재정력이 취약한 지자체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다. 지역개발형 사업에서는 재정력 격차 보다 지자체의 사업개발 역량과 관심에 따 라 사회서비스 공급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결국 지자체의 행정 역량이 중앙정부의 이전재원 지원의 차별성을 창출한다는 것은 사회적 정의가 강 조되는 사회복지 분야에서는 적지 않은 쟁점을 창출할 가능성이 많다. <그림 3> 과 같이 서비스 격차는 이용자들의 서비스 이용능력에 따른 서비스이용률의 차이 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56
  • 61. <표 8> 향후 확대 되어야 할 사회서비스에 대한 응답 사회서비스 영역 사 례 수 응답률(%) 전 체 300 100 아동교육관련 서비스 75 25.0 돌봄(가사도우미, 거동 불편 노인관련) 39 13.0 보건의료서비스 25 8.3 직업훈련, 영어교육 7 2.3 기 타 154 51.4 출처 : 김윤수, 2007 2007년도 보건복지부의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이용자 300명을 대상으로 서비 스 이용실태를 설문조사하였다. 300명 중 92%가 보건복지부 및 여러 기관, 단체, 기업체 등에서 제공하고 있는 사회서비스 보다 더 많은 사회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더욱 확대되어야 할 서비스로 아동교육관련 서비스가 전체의 25%를 차지하여 타 분야 보다 서비스 욕구가 더 많았고 돌봄서비스가 그 다음에 해당되 었으며 보건의료, 직업훈련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김윤수, 2007). 2. 사회적 경제의 변천과정 1) 공공근로정책 : 노동부, 행정자치부 중심 운영 외환위기 이후 1998년 3월 정부는 '실업문제해결을 위한 종합대책' 발표하였는 데, 종합대책내 실업극복을 위한 핵심방안이 ‘공공근로정책’이다. 실업 대책을 노 동부와 행정자치부가 주도하고 공공근로정책은 실직자, 저소득층에게 단기적 일자 리를 제공하여 생계를 보호하는 정부주도형 방식이다. 공공근로정책은 단기적인 실업률 완화에 기여하였으나 참여자의 자격기준, 노임 단가, 운영주체 등이 계속해서 변경함에 따라 안정적인 일자리로서의 기능을 발휘 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근로정책 참여자들의 사후구직활동이 저조하고 사업참 여 부적격자 문제, 이중참여자의 문제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정부 주도형 운영방 식을 개선하고, 민간단체의 실직자 지원운동인 자활사업과 공공근로사업을 연계시 켜 장기적인 실업․고용정책이 요구되었다. 57
  • 62. 2) 자활사업정책 : 복지부 중심 운영 1999년 8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제정으로 저소득층에게 사회보장의 혜택을 제 공하고, 복지와 일자리를 연동시킨 복지체계의 제도적 기반 마련되었다. '생활보장 법'은 지역 생활공동체 중심의 ‘자활사업’ 추진근거가 되었다. 자활사업은 기존 공 공부문에서 일자리를 마련하여 저소득층의 근로능력을 향상시키고 자활공동체 육 성을 통한 창업형 자립사업이었다. 유럽의 협동조합 중심의 사회적 경제 맥락에서 시작된 것이다(한상진, 2008). 자활사업6)은 정부의 인건비지원을 통해 경제적 자립을 유도하는 ‘자활근로’사업 과, 참여자들이 사업을 통해 일정한 수익을 내어 소득을 창출하는 ‘자활공동체’사 업으로 구분되었다. 사회서비스와 일자리의 전달체계로서 자활후견기관이 제도화 됨에 따라 이와 긴밀한 협력체제를 구축한 보건복지부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 였다. 그러나 자활사업을 통해서도 사회적 기업, 사회적 일자리, 사회서비스 등의 기반이 발전되지 못하고, 적극적인 고용창출에 한계를 발생하였다. <표 9> 자활후견기관의 업종 분포 구분 자활후견기관 노협 시민단체 전체 봉제 11.9% 33.3% 5.6% 14.6% 건설업(집수리포함) 14.9% 11.1% 5.6% 12.6% 청소용역업 11.9% 16.7% 5.6% 11.7% 환경관련서비스업 17.9% 0.0% 50.0% 20.4% 간병서비스업 22.4% 0.0% 11.1% 16.5% 기타 20.9% 38.9% 22.2% 24.3% 계 100.0% 100.0% 100.0% 100.0% 출처 : 한상진(2001: 121). 6) 자활공동체는 사업의 종류에 따라 소규모 공동창업, 협동조합 방식의 자활공동체, 네트워크형 자활공동체, 사회적기업형 공동체가 존재함 - 소규모 공동창업 형태는 시장에서 완전경쟁이 가능한 아이템과 인력을 구성하여 집중적, 체계적인 지원 을 통해 빠른 시간 내 자립구조를 만들 수 있는 방식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 - 협동조합식(서비스파견형) 자활공동체는 정부의 사회서비스 확충이라는 흐름을 활용하여 사회적 서비스 의 공급자로서의 기술과 전문성 강화, 경쟁력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초기 시장을 유리하게 이끌어 나갈 필요가 있으며 이때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높여내고 제도적 시장의 흐름에 대응능력이 있는 전문가가 함 께 결합하는 형태의 지원이 필요함. - 네트워크형 자활공동체는 지역에 제한된 소규모 단위로는 생존이 어려운 사업이 광역으로 또는 몇 단위 의 지역이 연대하여 각단위의 부족한 전문성을 상호보완하며 공동사업권을 형성하며 풀어가는 방식인데 이때 연합체를 사업적으로 견인해나갈 전문 집단이 함께 구성되어 판로를 개척하고 영업과 기술력을 강 화하는 지원시스템을 만들어야 함. 58
  • 63. <표 10> 생활보장법상 자활의 두 차원 비교 사회적 구분 자활의 단위 노동의 성격 강조점 기여효과 조건부 수급자 도덕적 해이를 생계급여를 주기 수동적(개인적) 중 비취업 노동, 복지의 방지하기 위한 위한 조건을 자활 대상자 형식적 혼합 강제근로 강조 개인단위의 자활 협동적 생산을 노동할 수 있는 탈빈곤과 공공 능동적(사회적) 생산적 복지의 통한 지역공동체 사회적 권리의 서비스 제공의 자활 실질적 기초 단위의 잫자활 보장 결합을 강조 출처 : 황미영·한상진(2001)에서 재구성. 3) 사회적 일자리 정책 : 노동부 중심 2003년 사회적 일자리 정책에 따른 노동부의 시범사업이 시행되었다. 자활사업,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 모두 취약계층을 주 대상으로 이들에게 인건비를 지원하 는 방식으로 시행되었다(황덕순, 2004). 사회적 일자리사업 유형은 NGO단독형 사 업, 광역형 사업, 기업연계형 사업으로 구분하여 시행되었다(김은진, 2008). 사회적 일자리 사업은 기존 자활사업의 사회적 경제 원리를 확대한 것이며, 수급자 등 저 소득층 외에 일반 실업자까지도 정책 수혜자로 포함시켰다. 이 정책은 노동부, 고 용안정센터, 민간단체 간의 연계체계를 형성하여 민간위탁 방식의 운영을 원칙으 로 시행되었다. 그러나 고용안정센터의 지나친 감독과 통제로 인해 민간단체의 자율성과 창조 성을 저해하였다는 지적이 있다. 민간기관은 기존의 지원받은 사업에 안주하여 영 리중심의 운영방식을 갖추지 못하고 정부 재정지원에 계속해서 의존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적 일자리 정책은 노동부 주도의 고용과 실업정책에 집중함으로써 사회 서비스와 일자리 연계가 원활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근로와 연계된 복지제도와 사회적 경제인 제3섹터를 실현하기 위한 발전된 형식이 요구 되었다. 4) 사회적 기업 활성화 정책 : 노동부 중심 2007년 1월 '사회적 기업 육성법'을 제정하고, 같은 해 6월과 7월 시행령과 시행 규칙을 제정하였다. 사회적 기업 육성법은 사회적 기업의 특징, 사회적 기업 인증 및 인증요건,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내용, 사회적 기업 육성 기본 계획 수립 등 59
  • 64. 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심창학, 2007). 2007년 7월부터 사회적 기업에게 국유지 와 공유지를 임대지원하고 법인세․부가가치세 및 4대 보험료와 1인당 월77만원 의 인건비를 지원하였다(배이화, 2007: 33). 2007년 10월 36개의 사회적 기업을 1 차 인증한 이후 2008년 총 154개의 사회적 기업을 인증하고 2012년까지 1,000개의 사회적 기업으로 확대하고자 하였다. 현실적으로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기업은 두 가지 방식으로 결성된다. 자활사업 에서 유래된 자활근로․자활공동체 또는 민간 기업이나 정부 지원에 의해 조성된 비영리 조직이다. 기존의 사회적 일자리 정책은 사회적 기업 정책으로 진행되어 사회서비스와 일자리공급을 위한 개선하고자 하였다. 정부와 지자체는 세제와 재 정지원,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일자리와 지역 사회가 요구하는 사회서비스의 제공 과정에서 유기적 관계가 중요하다. (주)컴윈은 자활사업에서 출발해 컴퓨터 해체 및 재활용사업을 주력하는 하는 기업으로 발전하였던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김 혜원, 2006). 3.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쟁점 1)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특징 사회적 기업의 사업유형 중 공공지원형 일자리 사업은 공공근로, 자활근로사업, 사회적 일자리 사업 등 인건비와 사업비를 전적으로 정부가 부담하는 사업을 의 미한다. 공공지원형 사회적 기업은 정부가 부분적으로 재정을 지원하지만, 시장에 서의 수익을 통해 운영되는 사회적 기업을 지칭한다. 이 조직들은 2006년 말 현재 자활사업을 통해 약 4만 명, 사회적일자리사업을 통해 약 2만 명, 기타 일자리 사 업을 통해 2~3만 명을 고용하고 있다. 일자리의 대부분은 인건비 보조를 통해 유 지되며, 저임금의 임시․일용직 일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민간지원기관은 사회적 기업의 설립을 촉진하기 위해 창업자금과 창업정보를 제공하는 금융기관을 의미한다. 이들 금융기관은 정부재원에 의존하기보다 민간의 기부금을 통해 대출재원을 조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구 사회적경제의 금융조직 과 유사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금융지원기관 중 2곳 만이 일정 수준 이상의 자본 금을 갖고 있으며, 사업지원에 있어서도 체계적인 형태를 갖춘 기관이다. 60
  • 65. <표 11> 한국 사회적 경제의 구성과 특징 성격 Ⅰ 성격 Ⅱ 유형분류 세부 설명 국가 정부의존 장애인 보호작업장/노인생산공동체 공공지원형 ▼ ▲ 복지부 자활근로사업단 일자리 사업 노동부 사회적일자리사업 ▼ ○ 자활공동체 ○ ▼ 공공지원형 사회적 기업 노동부 사회적 기업 ○ 자립지향 사회적경제 민간 지원기관 대안금융기관 비영리 시민단체(서비스 공급형) ○ 노동자협동조합 ○ ▲ 생활협동조합 ▲ ○ 사회적경제 조직 농협/수협/산림조합 ▲ ▼ 신협/새마을금고 시장 영리 (노대명, 2007) 표의 하단에서 사회적 경제조직은 시민단체, 협동조합, 공제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민단체와 협동조합은 조직의 수나 피고용자의 규모로 볼 때 일정규모 이 상이다. 기존의 협동조합 중 여전히 사회적경제의 원칙을 고수하는 노동자협동조 합과 생활협동조합은 각각 10여개와 100여개에 불과하다. 비록 시민단체 중 상당 수가 중앙조직 중심이며 대변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만, 외환위기 이후 지 역사회를 중심으로 주민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공급하는 기관들이 증가하고 있 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61
  • 66. <표 12> 한국의 사회적 경제 부문 현황 유형 구분 조직수 자료출처 농협 1,326개 www.nonghyup.com 수협 96개 www.suhyup.co.kr 산림조합 144개 www.nfcf.or.kr 중소기업협동조합 179개 www.kfsb.or.kr 새마을금고 1,646개 www.kfoc.co.kr 협동조합 신용협동조합 1,070개 www.cu.co.kr 한국생협연합회 www.icoop.or.kr 생활협동조합 생협중앙회 144개 www.co-op.or.kr 한살림생협 노동자협동조합 9개 총회자료집 민간단체 약25,000개 2003민간단체총람(지부포함) 민간단체 시민사회운동단체 3,937개 2003민간단체총람(지부포함) 출처: 엄형식, 2005: 104. 2)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쟁점 서구의 노동통합형 사회적 기업이라 할 수 있는 자활공동체와 사회서비스형 사 회적 기업이라 할 수 있는 노동부 사회적 기업은 ‘상대적으로’ 자립 가능성이 높 은 조직으로 이해된다.7) 이들 두 기업이 빠르게 성장하는 부문은 보건복지서비스 와 환경서비스 부문이다. 특히 간병사업 분야에서의 사회적 기업과 청소 및 재활 용사업 분야에서의 사회적 기업은 이미 상당순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다. 시민단체는 비영리민간단체로서 수익활동에 매우 유보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최근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는 의료생활협동조합은 조합원들의 투자와 재원을 토 대로 하면서, 지역사회의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공적지원을 통해 그 규모를 확대 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전형적인 사회적 기업으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고 여 겨진다. 농협이나 신용협동조합 등은 사실 상 영리금융기관과 차별화되지 않는다 는 점에서 가장 영리화된 것으로 이해된다. 정영호외(2005)는 사회적 기업의 경제 적 파급효과를 아래 <표 12>와 같이 분석하였다. 7) 물론 현재 자활공동체와 사회적 기업의 상당수가 재정적으로 취약하며, 정부보조금이 중단되는 경우 자체 적인 생존이 힘들 수 있다는 점을 부인하는 것은 아니다. 62
  • 67. <표 13>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단위 : 백만원, 명) 기타사업서비스 사회복지사업 위생서비스 개인서비스 계 1) 생산유발액 40,016 70,847 52,571 64,327 227,761 부가가치유발액 83,012 81,927 77,585 82,933 325,457 2) 취업유발인원 1,766 2,414 1,887 4,225 10,292 1) 해당부문을 제외한 효과를 의미함. 2) 1일 기준 출처 : 정영호·노대명·고숙자(2005: 94). 사회적 기업의 평가를 통해 사회서비스 공급정책, 사회서비스 시장의 여건, 사 회적 기업의 정체성과 세력정도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시민단체들이 사 회적 기업의 기반구축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매우 어려운 과정이 진행 될 것이다. 한국의 사회적 기업은 정체성을 찾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을 개연성이 있다. 사회서비스 공급확대과정에서 사회적 기업은 시장경쟁에 노출된 개연성이 크다. 정부가 추진하는 사회서비스 공급정책은 다양한 특성을 가진 집단의 욕구에 부 응하기 위해 공급자의 다양화를 지향하며, 이들 간의 경쟁을 통한 비용절감과 품 질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한국의 사회적 기업은 영리기업에 대한 비교우위를 보이 기 위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강한 압력을 받게 될 것이다. 사회적 기업 이 사회서비스 공급과정에서 경쟁력을 갖는 순간, 공공성과 민주성 원칙에 대한 도전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많은 생산공동체들은 유망한 틈새업종을 찾아내지 못했거나 기술력과 전문성을 갖추지 못했거나 혹은 생산관리를 철저히 하지 못한 탓에 시장 진입에 실패하였 다(신명호, 2004). 강성천 한나라당 의원이 내놓은 ‘한국의 사회적 기업 시행 1년, 평가와 과제’ 정책자료집에 따르면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시행된 뒤 인증을 받은 사 회적 기업은 108개에 달하지만 사회적 기업의 고용효과가 거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혜원(2007)은 사업비를 충당하는 측면에서 과도하게 정부 의존도가 높은 지금의 한국의 비영리조직은 사회적 기업으로 발전할 충분한 경영역량이 부족하 다고 지적하였다. 정선희(2006)는 사회적 기업의 관리자 역량이 취약하며, 신용이 나 네트워크가 부족한 상황에서 초기 자본을 구하는 것이 쉽지 않고, 업종 자체의 63
  • 68. 수익성이 낮고, 초기 자본 형성의 어려움과 시장에서 판로 개척을 위한 영업이나 마케팅 기술도 취약하다고 지적하였다. 다음의 <표 13>은 현재 우리나라의 사회 적 기업의 문제점과 쟁점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표 14> 한국 사회적 기업의 당면문제 구 분 주요 내용 ․ 사회적 기업 개념에 대한 이해 부족 ․ 사회적 기업에 대한 시민들의 인지도 부족 ․ 과도하게 집중화된 재원조달 방식 외부의 장애요인 ․ 사업추진과정에서 행정구역상 제약 (제도적 제약) ․ 공적자금 활용에 있어 불필요한 제약 ․ 초기투자 없는 상황에서 시장과의 과열경쟁 ․ 사회적 기업 조직들에 대한 지원 인프라 부족 ․ 사회적 기업의 외연확대에 따른 정체성 약화 ․ 사회적 기업 내부의 조정기능과 제시기능 취약 ․ 사회적 기업 간의 협력체계 취약 내부의 장애요인 ․ 시장경쟁 과정에서 부족한 시장정보 (조직상 제약) ․ 사회적 기업이 필요로 하는 노동력 연계 곤란 ․ 욕구를 수요로 간주하는데 따른 오류 ․ 성과를 도출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 ․ 잠재력 있는 소규모 사회 경제조직의 발굴 부진 ․ 효과적인 협력방식에 대한 상호 경험부족 영리부문과의 ․ 개별화되고 경쟁적인 연계 인프라 협력에 대한 장애요인 ․ 사업지역과 박탈지역 간의 공간적 불일치 ․ 민간기업과의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할 역량 Ⅳ. 개선방안 1. 지역과 외부기관과의 연계 강화 사회적 기업은 정책변화와 시장의 흐름에 따라 전략목표를 설계하여야 한다. 많 은 사회적 기업들은 스스로의 네트워크를 만들고 지역사회에서 각종 서비스제공 을 통하여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은 시민사회의 복합적 요구 를 반영하여 실행하고 그것을 위한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사회적 관계망으로 발전 한다. 사회적 기업이 추구하는 복합관계속에서 이해당사자의 참여과정은 다양한 거래비용을 줄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다(장원봉, 2007). 이 때 지역사회 64
  • 69. 의 사회서비스와 관련한 이해당사자들은 서비스제공 노동자, 관리자, 이용자, 관련 시민단체, 지방정부 그리고 재정지원자 등이다. 사회적 기업들 간의 정보의 비대 칭 현상을 줄이고 협력적인 사업연계를 통하여 서비스의 중복투자 혹은 중복수혜 의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사업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역사회 네 트워크에 참여한 사람이나 조직들과 협력해야만 한다(홍현미라, 2008). 또한 사회적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 민간기업과의 협력 또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자로서 기업의 사회공헌 또는 사회책임투자를 생 각해 볼 수 있으며, 또는 사업 파트너로서의 기업과의 전략적 협력체계가 요구된 다.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정부의 요구는 민간자원의 활용을 통한 예산 절감과 사회 서비스 공급 자원의 확보이다.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와 사회적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정선희, 2006). 하지만 그것이 사회적 기업이 지닌 애초의 목적을 훼손하거나 그들의 자율성을 억제함으로써 그들의 효율성을 제한하게 된다면, 사회적 기업의 활용정책은 실패로 돌아갈 것이다(장원봉, 2007).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은 사회적 기업을 통한 시민사회의 주도성을 확 보하고 장려하는 방식을 고려하는 속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향후 중앙정부돠 지방정부의 서비스 공급정책 변화와 조화할 필요가 있다. 경 우에 따라 사회적 기업이 정부로부터 인건비 지원을 받기보다 이용자 중심의 전 달체계를 통해 서비스공급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사회서비스 를 이용자 중심으로 제공하는 방안은 인건비를 지원하는 방식에 비해, 참여자의 고용보장, 임금의 현실화, 성과와 능력에 따른 급여의 차별화, 사회보험 가입 등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공익성이 내재된 사회서비스 시장 에서는 영리기업과 정부조직 그리고 사회적 기업이 활발하게 경쟁함으로써 양질 의 서비스가 공급되어 모든 참여자들이 윈-윈하는 게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김 혜원, 2006). 2. 제도적 기반마련과 재정적 지원확대 사회적 기업은 기본법률, 사회서비스 지원사업, 자활사업 등의 법적 제도적 연 계가 중요하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의 자활제도, 사회적기업육성법, 주민통합서 비스실현을 위한 정부 정책이 분산되어 운영된다. 지식경제부, 행정안전부, 농림수 65
  • 70. 산부 등이 각각 수행하고 있는 지역 활성화 정책이 사회적 기업과 프로그램 연계 가 중요하다. 정부의 사회적 기업 전략에 대한 검토와 수정을 통하여 공공성 확보 를 위한 제도적 정비가 진행된다. 사회적 기업은 지역의 특성과 그 지역 주민의 요구, 지역 주민의 삶의 질 등을 기반으로 지역조직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한국사회에 출현한 사회적 기업에는 이들 모두가 결핍되어 있으며 이윤을 위한 경영 등의 담론만이 과잉되어 있는 실정이다(최준, 2005). 사회적 기업의 정체성을 확립과정에는 사회적 기업의 정신을 구현할 수 있는 사회적 기업가를 양성해야 한다. 이는 현재 많은 사회적 기업이 경영, 인사관리, 마케팅, 회계 등의 업무를 지원하는 단체의 실무자에게 맡기고 있다는 점에서 확 인할 수 있다. 사회적 기업이 사회서비스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수익과 고용 외에 도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등 다양한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자생력 확대를 위해 사회적 기업의 향후 성장여부는 제3부문 경제와 사회적 목적 사이의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새로운 환경에 효과적인 대처, 그리고 각국의 법제, 사회 경제 상황, 정부 정책에 따라 좌우된다. 향후 사회적 기업이 안정적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가치 창출을 할 수 있어야 한다(정선희, 2006). 양질의 사회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제공하고자 하는 사회서비스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지역사회 구 성원의 욕구를 반영해야 한다(홍현미라, 2008). 사회적 기업이 시장에서 원활하게 정착하기 위해서는 수익 창출 지원이 더 중요하다. 민간기업과의 치열한 경쟁을 통해서 안정적인 시장을 확보하는 것은 태생적으로 한계가 있으므로 공공시장의 매출을 통해서 수익 확보가 바람직하다. 사회적 기업을 설립하고 지원하기 위한 재원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 기업을 지역기반형으로 운영함으로써 다양한 재원을 발굴이 중요하다. 대안적 금 융기관을 육성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이는 국내에 존재하는 사회연대은행이 나 신나는조합 등을 사회적 기업에 대한 창업자금을 대출할 수 있는 기관으로 육 성하는 방안을 의미한다(노대명, 2007). 3. 고부가가치의 사업 발굴 사회적 기업의 서비스 생산을 위해 참여하는 제공인력이 대부분 저소득 취약계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