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ist ein Scribd-Unternehmen logo
1 von 22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성창모(KIST 녹색기술센터)
염성찬(KIST 녹색기술센터)
권기석(경일대학교 경영학부)
2013. 6. 19.
1. 서 론 - 연구목적
• 국내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지표개발을 통해 국내 녹색산업 기술의 경쟁력을 파
악하고, 향후 국제적으로 적용가능 한 녹색산업 경쟁력 지수 개발
•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및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의 하위 개
념을 도출한 뒤 지수 산출에 필요한 지표 선정
* 선정한 지표는 전문가 AHP 평가를 통한 가중치를 산정하고, 지수로 변환예정
• 지수산출의 목적은 기술별 경쟁력을 비교하여, 국내 녹색기술에 대한 정책적 실
효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하기 위함이며,
• 기술별 지표‧지수 평가를 통해 강, 약점을 파악하여 녹색산업 기술 역량 강화를 위
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1. 서 론 - 연구대상
• ’10년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이 수립되면서 녹색성장, 녹색산업, 녹색기술의 개념은
규범적인 정의로 명문화 되었으나, 이후에도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연구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활용 되고 있음
• 녹색성장은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기후변화와 환경훼손
을 줄이고 청정에너지와 녹색기술의 연구개발을 통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며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나가는 등 경제와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성장”으로 정의
• 녹색기술은 “온실가스 감축기술, 에너지 이용 효율화 기술, 청정생산기술, 청정에너
지 기술, 자원순환 및 친환경 기술(관련 융합기술을 포함) 등 사회·경제 활동의 전 과
정에 걸쳐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기술”로 정의
• 녹색산업은 “경제·금융·건설·교통물류·농림수산·관광 등 경제활동 전반에 걸쳐 에너
지와 자원의 효율을 높이고 환경을 개선 할 수 있는 재화의 생산 및 서비스의 제공 등
을 통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이루기 위한 모든 산업”으로 정의
1. 서 론 - 연구대상
• 한편, 녹색산업 기술의 학술적 정의는 다음과 같음
•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비전('08.8) 제시 이후 녹색산업 기술에 대한 정의는
주로 녹색연구개발 투자 확대에 따른 성과 측정을 위해 활발하게 수행되기 시작 (이
찬우, 2011; 정기철a, 2011,; 정기철b, 2011; 통계청, 2011; 행정안전부, 2011; 강희찬
외, 2010; 김종호 외, 2010; 명수정‧강민수, 2010; 임기철, 2009)
• 다양한 연구가 있었던 만큼, 다양한 녹색성장 정의를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 되어 왔
지만, 녹색성장과 녹색산업, 녹색기술에 대한 명확한 연구기준은 정하지 않고 있으
며, 정책적인 정의를 바탕으로 개별 연구의 목적에 따라 활용하고 있음
• 이들 연구의 목적과 관련해서는 녹색산업과 녹색기술에 대한 정부의 집중투자가 양
적인 확대 뿐 만 아니라, 기존의 산업기술들과 차별성을 얼마나 가지고 질적인 성과
를 나타내고 있는가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기 위한 경쟁력 측정에 관한 연구가 대
다수 임
1. 서 론 - 연구대상
•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정책의 최상위 기조는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의 탈동조화를 통
한 지속가능한 발전 추구이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적 수단은 녹색산업의
경쟁력 강화임
•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들은 녹색산업에 대한 투자로 인한 국가 원천기술 확보와 고
용창출,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려는 거시적 목적과 연계 하고 있음
• 전술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 측정을 위한 개념적
정의를 국가가 녹색산업 기술 분야의 혁신 및 개선을 통해 최종단계에서 경제적‧사
회적으로 가치가 있는 성과를 창출해 낼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고자 함
• 이러한 정의는 정부의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양적인 녹색기술 연구개발 투자확대
확대 목표를 달성한 현 시점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정부의 성과
및효과분석을위한녹색산업기술경쟁력측정지표개발하여적용하기위함임
• 그리고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 지수 평가지표를 위한 대상기술을 정부의 정책적‧당위
적 측면을 고려하여 녹색산업 기술 중 27대 중점녹색기술을 바탕으로 지수‧지표를
적용하고자 함
1. 서 론 - 연구대상
<27대 중점육성기술>
1. 기후변화 예측 및 모델링개발 기술
2.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기술
3. 실리콘계 태양전지의 고효율 저가화 기술
4.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양산 및 핵심원천 기술
5. 바이오에너지 생산요소기술 및 시스템 기술
6. 개량형 경수로 설계 및 건설 기술
7. 친환경 핵비확산성 고속로 및 순환 핵주기
시스템 개발 기술
8. 핵융합로 설계 및 건설 기술
9. 고효율 수소제조 및 수소저장 기술
10. 차세대 고효율 연료전지 시스템 기술
11. 친환경 식물성장 촉진기술
12.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기술
13. 고효율 저공해 차량 기술
14. 지능형 교통, 물류 기술
15. 생태공간 조성 및 도시재생 기술
16. 친환경 저에너지 건축 기술
17. 환경부하 및 에너지 소비 예측을 고려한
Green Process 기술
18. 조명용 LED‧ 그린 IT 기술
19. 전력 IT 및 전기기기 효율성 향상 기술
20. 고효율 2차 전지기술
21. CO2 포집, 저장, 처리기술
22. Non-CO2 (이산화탄소제외 온실가스) 처리기술
23. 수계수질평가 및 관리기술
24. 대체수자원 확보기술
25. 폐기물 저감, 재활용, 에너지화 기술
26. 유해성물질 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
27. 가상현실 기술
1. 서 론 – 녹색산업 국내시장 동향
출처 : 김갑철(2010), 녹색기술산업 진출 유망분야 시장 및 정책동향, 네오에코즈, 발표자료
1. 서 론 – 녹색산업 국내시장 동향
출처 : 김갑철(2010), 녹색기술산업 진출 유망분야 시장 및 정책동향, 네오에코즈, 발표자료
2. 경쟁력 분석을 위한 연구의 틀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을
국가혁신체제의 기본 틀에 기초하여, 투입,
활동, 성과에 이르는 녹색산업 기술의 전주기
적 활동을 포괄적으로 점검하고 이를 지수화
하여 도출하고자 함
• 1990년대 이후 OECD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논의되어 온 국가혁신체제(National
Innovation System)는 크게 5대 부문(자원,
활동, 과정, 환경, 성과)으로 재구성될 수 있
으며, 이에 대한 평가모형은 IMD, WEF,
OECD 등에서 국가경쟁력 조사, 지표개발 연
구수행 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 국내에서는 학계 및 출연연 등에서 국가과학
기술혁신역량평가, 국가혁신체계 구축을 위
한 연구, 신재생에너지 혁신체계 구축, 미래
혁신체계 구축 연구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
고 있음
녹색산업기술경쟁력 지수‧지표 적용 NIS 기본 틀
3. 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지표체계 도출
• NIS의 개념적 접근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측정 범주를 5
대 부문으로 구분
• 세부 분야의 구분은 전문가 자문 및 인터뷰를 통해 데이터의 취합 및 활용이 용
이한 12개의 개념으로 구분하였으며. 37개의 후보지표들 중 중복지표들을 제외
하고 29개의 세부지표로 압축
• NIS의 기본개념 활용은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 지표 측정 과정의 투입과정부터 산
출과정까지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바라는 결과를 산출했는지를 보
여주는 논리(logic)적인 적용이 가능하며,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짐
3. 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지표체계 도출
• 자원지표(Resources Indicator)
- 녹색산업 기술 활동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원에 대한 현황을 나타내는 지
표로 인적자원, 조직, 지식자원으로 구성
- 녹색산업 기술을 수행하는 연구주체로서 인적자원과 조직현황, 그리고 현재 까
지의 연구활동의 결과가 축적된 정도를 의미하는 논문과 특허의 Knowledge
Stock의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 임
• 활동지표(Activities Indicator)
- 활동지표는 국내 녹색산업 기술개발 활동이 얼마나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의지 및 수준이 얼마나 높은가를 파악하고자 하는 지표임
- 활동지표는 기술개발을 위한 물적자원의 규모와 배분 정도로 측정가능하며, 연
구개발 투자의 활성화 정도 및 현재 창출 된 기술별 기술수준을 지표화 함
3. 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지표체계 도출
• 네트워크지표(Network Indicator)
- 네트워크 지표는 녹색산업 기술개발 과정이 얼마나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
한 지식의 흐름과 기술확산, 협력 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산‧학‧연 협력 정도
와 기업간 협력정도로 분석
• 환경지표(Environment Indicator)
- 녹색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한 여건을 파악하기 위한 환경지표는 기술개발을 위한 제도
적인 지원과 정책적인 역할 및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지표이다. 녹색산업 기술 개발을
활성화 시키고 성과창출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
• 성과지표(Performance Indicator)
- 성과창출을 위해 투입되는 자원과 주어진 환경, 활동 주체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녹색산
업 기술 개발활동으로부터 얼마나 구체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
임
- 녹색산업 기술의 성과에 대한 측정은 경제적인 성과, 환경적인 성과, 지식창출 정도
로 측정하며, 개발된 기술이 가져올 시장전망이나 부가가치 창출에 대한 잠재적
인 경제적‧환경적 능력과 논문특허 등의 직접적인 산출결과로 측정한다.
3. 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지표체계 도출
•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 세부지표 및 자료원
상위 수준 분야구분 세부지표 자료원
자원
1.인적자원
1-1. 녹색기술별 R&D 참여 연구원 수 GTC
1-2. 기술별 고급 인력양성 지원 수 GTC,
2.조직
2-1. 녹색기술별 R&D 참여 대학 수 GTC
2-2. 녹색기술별 R&D 참여 기업 수 GTC
2-3. 녹색기술별 R&D 참여 출연연 수 GTC
3.지식자원
3-1. 타 기술과의 차별성‧혁신성에 대한 전문가 평가 설문조사
3-2. 기술별 정부 연구투자에 따른 사업화 성공가능성 설문조사
3-3. 기술별 2년간 SCI 논문수(STOCK) GTC
3-4. 기술별 2년간 국내외 특허수(STOCK) GTC
활동
4.연구개발투자
4-1. 기술별 R&D 투자금액 GTC
4-2. (전체)녹색 R&D 투자대비 기술별 투자금액 GTC
4-3. (전체)국가 R&D 투자대비 기술별 투자금액 GTC
5.연구개발수준 5-1. 기술별 기술수준 설문조사
네트워크
6.산‧학‧연 협력
6-1. 기술별 산‧학‧연 공동 연구 건수 GT
6-2. 정부연구개발비투자 대비 기술별 매칭비 비중 GTC
6-3. 기술별 산‧학‧연 공동 특허 출원‧등록 건수 GTC
7.기업간 협력
7-1. 기술별 산‧산 공동 연구 건수 GTC
7-2. 기술별 산‧산 공동 특허 출원‧등록 건수 GTC
환경
8.제도적 지원 8-1. 기술별 녹색인증 기술 수 KIAT
9.정책적 지원
9-1. 정부 정책과의 부합성 설문조사
9-2. 부처 추진 우선순위 설문조사
성과
10.경제적성과
10-1. 기술별 투자대비 부가가치 창출 인식도 설문조사
10-2. 기술별 중장기 시장전망에 대한 인식도 설문조사
10-3. 기술별 사업화 건수 GTC
11.환경적성과
11-1. 온실가스 저감 등 환경개선 효과에 대한 기여도
11-2. 에너지 효율성 향상‧에너지 절약에 대한 기여도
11-3. 기후변화 완화 및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기여도
설문조사
12.지식창출
12-1. 기술별 특허등록 건수(2011년) GTC
12-2. 기술별 SCI 논문건수(2011년) GTC
4. 지수 도출을 위한 가중치 산출
•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의 적용
- 지수 산출에 앞서 평가지표들의 상대적 중요성 측정하기 위해서 전문가 대상으로 AHP
설문방법을 통하여 각 평가요인별 지표의 우선순위와 가중치 도출
- AHP 설문은 5개 부문과 12개 부분의 범주를 평가요소로 구성하였고 선정한 평가 요
소들에 대하여 AHP(계층적 의사결정) 기법에 의거하여 이원비교 방식으로 설문
지 작성
- AHP는 오늘날 다목적, 다속성 의사결정을 다루는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분석기법 중
의 하나로 1970년대 초반 Saaty에 의해서 개발되었음
- 의사결정의 계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 간의 쌍대비교(또는 이원비교, Pairwise
Comparison)에 의한 판단을 통하여 평가자의 지식, 경험 및 직관을 포착하고자 하는
하나의 새로운 의사결정방법론으로, 이론의 단순성 및 명확성, 적용의 간편성 및 범
용성 이라는 특징을 가짐
4. 지수 도출을 위한 가중치 산출
• AHP 기법을 활용 가중치 산출 결과
- 상위수준과 중위수준에 대한 평가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종합 분석한 결과는 다음
과 같이 연구개발투자(0.196), 경제적 성
과(0.192), 기술수준(0.167), 환경적 성
과(0.147), 지식창출(0.057), 산·학·연 협
력(0.052), 지식자원(0.048), 인적자원
(0.040), 정책적 지원(0.034), 제도적 지
원(0.028), 조직(0.022), 기업간 협력
(0.018) 순으로 평가 됨
<녹색산업기술경쟁력 평가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종합분석 결과>
영역 지표
영역간
가중치
지표 가중치
자원
가. 인적자원
0.110
0.040
나. 조직 0.022
다. 지식자원 0.048
활동
가. 연구개발투자
0.363
0.196
나. 기술수준 0.167
네트워크
가. 산학연 협력
0.069
0.052
나. 기업간 협력 0.018
환경
가. 제도적 지원
0.063
0.028
나. 정책적 지원 0.034
성과 영역
가. 경제적 성과
0.395
0.192
나. 환경적 성과 0.147
다. 지식창출 0.057
가중치 합계 1.000 1.000
4. 지수 도출을 위한 가중치 산출
<녹색산업기술경쟁력 평가 지표의 우선순위 결과>
영역 지표
영역간
가중치
지표 가중치
자원
가. 인적자원
0.110
0.040
나. 조직 0.022
다. 지식자원 0.048
활동
가. 연구개발투자
0.363
0.196
나. 기술수준 0.167
네트워크
가. 산학연 협력
0.069
0.052
나. 기업간 협력 0.018
환경
가. 제도적 지원
0.063
0.028
나. 정책적 지원 0.034
성과 영역
가. 경제적 성과
0.395
0.192
나. 환경적 성과 0.147
다. 지식창출 0.057
가중치 합계 1.000 1.000
5.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산출 결과(지수산출방식)
• Z-Score 평가
- 평가지표의 실적치에 대하여 정규분포를 가정하고 평균( )과 표준편차(S)를 산출하여
지표별 실적의 난이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
- 당해 피평가기관의 과거 실적치와 현재 실적치를 대상으로 Z-score를 산출하는 방법과
당해 연도 비교대상기관을 포함한 전체 피평가기관의 실적치를 대상으로 Z-score를
산출하는 두 가지 방법을 활용할 수 있음
- 일반적으로 실적치 자료가 30개를 상회하는 경우에 정규분포를 상정함. 이를 위해서
먼저 지표별 표준점수(Z-Score)를 산정하고, 이 점수에 해당하는 표준정규분포의 확률
변수값을 지표별 득점으로 부여
5.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산출 결과(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종합결과)
* Z-Score 변환 및 AHP 가중치 적용
• 녹색산업 전체 기술경쟁력지수(GTPIS)
- 국내 녹색산업 기술별 경쟁력 지수를 분석한 결과 평균 75.05점의 수치를 보이며, 전
력IT 및 전기기기 효율성향상 기술이 가장 높은 80.60점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유해
성물질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이 70.49점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경쟁력이 낮은 것
으로 나타났음 평균이상 기술 평균이하 기술
실리콘계 태양전지의 고효율 저가화 기술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양산 및 핵심원천 기술
차세대 고효율 연료전지 시스템 기술
친환경 식물성장 촉진 기술
고효율 저공해 차량 기술
지능형 교통‧물류 기술
친환경저에너지건축 기술
GreenProcess 기술
조명용 LED 그린 IT 기술
전력IT 및 전기기기 효율성향상 기술
고효율 2차 전지 기술
CO2포집, 저장, 처리 기술
폐기물저감, 재활용, 에너지화 기술
기후변화 예측 및 모델링 개발 기술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기술
바이오에너지 생산요소기술 및 시스템 기술
개량형 경수로설계 및 건설 기술
친환경 핵비확산성 고속로 및 순환핵주기 시
스템 기술
핵융합로 설계 및 건설 기술
고효율 수소제조 및 수소저장 기술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기술
생태공간조성 및 도시재생 기술
Non-CO2처리 기술
수계수질 평가 및 관리 기술
대체수자원확보 기술
유해성물질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
가상현실 기술
5.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산출 결과(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종합결과)
* Z-Score 변환 및 AHP 가중치 적용
<표 > 기술별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 지수(GTPI)
종합 순위
No 기술명 종합지수 기술별 Rank
[1] 기후변화 예측 및 모델링 개발 기술 73.44 19
[2]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기술 74.28 15
[3] 실리콘계 태양전지의 고효율 저가화 기술 76.68 8
[4]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양산 및 핵심원천 기술 76.09 10
[5] 바이오에너지 생산요소기술 및 시스템 기술 74.23 16
[6] 개량형 경수로설계 및 건설 기술 73.42 20
[7] 친환경 핵비확산성 고속로 및 순환핵주기 시스템 기술 72.63 23
[8] 핵융합로 설계 및 건설 기술 73.09 21
[9] 고효율 수소제조 및 수소저장 기술 72.57 24
[10] 차세대 고효율 연료전지 시스템 기술 77.31 5
[11] 친환경 식물성장 촉진 기술 75.06 13
[12]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기술 72.75 22
[13] 고효율 저공해 차량 기술 79.95 2
[14] 지능형 교통‧물류 기술 76.78 7
[15] 생태공간조성 및 도시재생 기술 73.44 18
[16] 친환경저에너지건축 기술 75.12 12
[17] GreenProcess 기술 79.25 3
[18] 조명용 LED 그린 IT 기술 77.25 6
[19] 전력IT 및 전기기기 효율성향상 기술 80.60 1
[20] 고효율 2차 전지 기술 75.77 11
[21] CO2포집, 저장, 처리 기술 76.18 9
[22] Non-CO2처리 기술 72.51 25
[23] 수계수질 평가 및 관리 기술 71.95 26
[24] 대체수자원확보 기술 74.31 14
[25] 폐기물저감, 재활용, 에너지화 기술 77.53 4
[26] 유해성물질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 70.49 27
[27] 가상현실 기술 73.60 17
5.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산출 결과(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종합결과)
* Z-Score 변환 및 AHP 가중치 적용
•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부문별 지수(GTPIS) 측정결과
- 자원지수 : 자원 부문에서 경쟁력 지수를 분석한 결과 평균 75.00점의 수치를 보이며, Green Process기술
이 가장 높은 84.79점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Non-CO2 처리 기술이 70.44점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경쟁력
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 활동지수 : 활동 부문에서 경쟁력 지수는 평균 75.00점의 수치를 보이며, 전력 IT 및 전기기기 효율성 향상
기술이 가장 높은 82.26점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Non-CO2처리 기술이 71.45점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낮
은 경쟁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남
- 네트워크지수 : 네트워크 부문의 지수 평균은 76.09점이며, Green Process기술이 가장 높은 87.42점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친환경 핵비확산성 고속로 및 순환핵주기 시스템 기술이 71.30점으로 상대적으로 가
장 낮은 경쟁력을 보임
- 환경지수 : 환경부문의 경쟁력 지수를 분석한 결과 평균 73.38점으로 확인 되었으며, 폐기물저감, 재활
용, 모니터링 기술이 85.52점으로 가장 높은 경쟁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상현실 기술이 61.43
점으로 가장 낮은 경쟁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 성과지수 : 국내 녹색산업 기술별 경쟁력의 성과부문을 분석한 결과 평균 75.19점의 수치를 보이며, 고효율
저공해 차량기술이 81.22점으로 가장 높은 경쟁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고, 유해성물질 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이 67.76점으로 가장 낮은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6. 요약 및 결론
• 본 연구에서 우리는 녹색산업의 기술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한 지수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음
• 이를 위해 먼저 국가혁신체제의 관점에서 자원, 활동, 과정, 환경, 성과의 다섯 가지
관점에서 29개의 측정지표를 선정하였음
• 다음으로 이러한 지표의 범주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평가지표에 대한 상대적 중
요성을 측정하였음
• 그 결과 연구개발 투자, 경제적 성과, 기술 수준 등의 순서로 순위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녹색산업 기술별로 경쟁력 지수를 분석하였음
• 결과에 따르면, “전력IT 및 전기기기 효율성향상 기술”이 가장 높은 경쟁력을 가지는
반면, “유해성물질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이 가장 낮은 경쟁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음
참고문헌
• 강희찬 외(2010) 녹색생활혁명: 기후변화 대응의 신 해법. 삼성경제연구소. GEI
information. 제768호.
• 김종호 외(2010) 녹색성장 평가를 위한 지표체계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녹생성장연
구. 2010-02. KEI.
• 명수정, 강민수(2010) 녹색생활 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정책보고서 2010-03. KEI.
• 이찬우(2011) 녹색경영과 녹색경영 평가지표의 이해. INEPA녹색경영추진본부 2011년
지역순회교육(2011.01.27~2.25).
• 임기철 외(2009) 지역 녹색혁신역량 지수의 개발과 시사점. 정책자료 2009-02. STEPI.
• 정기철 외(2011a) 글로벌 녹색혁신역량 평가 및 활성화 전략.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
색성장 종합연구 총서 11-02-03. STEPI.
• 정기철 외(2011b) 녹색혁신지수를 활용한 녹색기술 유형별 혁신전략. STEPI insight
제65호.
• 통계청(2011) 2011 녹색성장지표 작성결과. 보도자료 2011.11.24.
• 행정안전부(2011) 지역 녹색경쟁력 지표.

Weitere ähnliche Inhalte

Ähnlich wie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 정책 구조 및 방향성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 정책 구조 및 방향성
두원 차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SANGHEE SHIN
 
새로운 기회, 녹색제품
새로운 기회, 녹색제품새로운 기회, 녹색제품
새로운 기회, 녹색제품
juni988
 
행안부발표자료(클라우드컴퓨팅)20080227 final[1]
행안부발표자료(클라우드컴퓨팅)20080227 final[1]행안부발표자료(클라우드컴퓨팅)20080227 final[1]
행안부발표자료(클라우드컴퓨팅)20080227 final[1]
Jungwoo Lee
 
수요자 중심의 R&D를 실현하는 디자인
수요자 중심의 R&D를 실현하는 디자인수요자 중심의 R&D를 실현하는 디자인
수요자 중심의 R&D를 실현하는 디자인
USABLE 윤
 
Keit 13-03-특집2-산업별 산업융합원천 r&d전략(2013-2017)
Keit 13-03-특집2-산업별 산업융합원천 r&d전략(2013-2017)Keit 13-03-특집2-산업별 산업융합원천 r&d전략(2013-2017)
Keit 13-03-특집2-산업별 산업융합원천 r&d전략(2013-2017)
atelier t*h
 

Ähnlich wie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20)

[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
[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
[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
 
Koreainternetdatacenter-mke20090715
Koreainternetdatacenter-mke20090715Koreainternetdatacenter-mke20090715
Koreainternetdatacenter-mke20090715
 
20151112 HYDROBANK BUSINESS DRAFT
20151112 HYDROBANK BUSINESS DRAFT20151112 HYDROBANK BUSINESS DRAFT
20151112 HYDROBANK BUSINESS DRAFT
 
제주 IT산업의 현주소는?
제주 IT산업의 현주소는?제주 IT산업의 현주소는?
제주 IT산업의 현주소는?
 
지자체 지속가능보고서(SR) 발간 안내 (UN 국제기준에 따른)
지자체 지속가능보고서(SR) 발간 안내 (UN 국제기준에 따른)지자체 지속가능보고서(SR) 발간 안내 (UN 국제기준에 따른)
지자체 지속가능보고서(SR) 발간 안내 (UN 국제기준에 따른)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 정책 구조 및 방향성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 정책 구조 및 방향성
 
Green IT-2009-4-14
Green IT-2009-4-14Green IT-2009-4-14
Green IT-2009-4-14
 
녹색성장과 기업의 역할
녹색성장과 기업의 역할녹색성장과 기업의 역할
녹색성장과 기업의 역할
 
서비스 R&d 개념과특성및사례(인제대_배성윤,20130819)
서비스 R&d 개념과특성및사례(인제대_배성윤,20130819)서비스 R&d 개념과특성및사례(인제대_배성윤,20130819)
서비스 R&d 개념과특성및사례(인제대_배성윤,20130819)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새로운 기회, 녹색제품
새로운 기회, 녹색제품새로운 기회, 녹색제품
새로운 기회, 녹색제품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CES 2014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CES 2014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CES 2014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CES 2014
 
2022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계획서 작성 실무(지역주력사업을 중심으로).pdf
2022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계획서 작성 실무(지역주력사업을 중심으로).pdf2022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계획서 작성 실무(지역주력사업을 중심으로).pdf
2022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계획서 작성 실무(지역주력사업을 중심으로).pdf
 
행안부발표자료(클라우드컴퓨팅)20080227 final[1]
행안부발표자료(클라우드컴퓨팅)20080227 final[1]행안부발표자료(클라우드컴퓨팅)20080227 final[1]
행안부발표자료(클라우드컴퓨팅)20080227 final[1]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R&D-IP와 IP-R&D의 차이
R&D-IP와 IP-R&D의 차이R&D-IP와 IP-R&D의 차이
R&D-IP와 IP-R&D의 차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슈퍼스마트K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슈퍼스마트K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슈퍼스마트K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슈퍼스마트K_탐방 계획서
 
수요자 중심의 R&D를 실현하는 디자인
수요자 중심의 R&D를 실현하는 디자인수요자 중심의 R&D를 실현하는 디자인
수요자 중심의 R&D를 실현하는 디자인
 
Keit 13-03-특집2-산업별 산업융합원천 r&d전략(2013-2017)
Keit 13-03-특집2-산업별 산업융합원천 r&d전략(2013-2017)Keit 13-03-특집2-산업별 산업융합원천 r&d전략(2013-2017)
Keit 13-03-특집2-산업별 산업융합원천 r&d전략(2013-2017)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Mehr von Hanbat National Univerisity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제과학기술협력 전략에 대한 연구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제과학기술협력 전략에 대한 연구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제과학기술협력 전략에 대한 연구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제과학기술협력 전략에 대한 연구
Hanbat National Univerisity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Hanbat National Univerisity
 

Mehr von Hanbat National Univerisity (20)

권기석 과학기술 씽크탱크 정부학회
권기석 과학기술 씽크탱크 정부학회권기석 과학기술 씽크탱크 정부학회
권기석 과학기술 씽크탱크 정부학회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in South Korea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in South Korea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in South Korea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in South Korea
 
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
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
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
 
과학기술정책 연구와 사회, 정부
과학기술정책 연구와 사회, 정부과학기술정책 연구와 사회, 정부
과학기술정책 연구와 사회, 정부
 
00 출연(연) 발전방안 (2017년 12월)
00 출연(연) 발전방안 (2017년 12월)00 출연(연) 발전방안 (2017년 12월)
00 출연(연) 발전방안 (2017년 12월)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과학은 왜 이식되기 어려운가
과학은 왜 이식되기 어려운가과학은 왜 이식되기 어려운가
과학은 왜 이식되기 어려운가
 
과학리더십 공간과 연구 자율성
과학리더십 공간과 연구 자율성과학리더십 공간과 연구 자율성
과학리더십 공간과 연구 자율성
 
Kwon 트리플헬릭스 양적방법론
Kwon   트리플헬릭스 양적방법론Kwon   트리플헬릭스 양적방법론
Kwon 트리플헬릭스 양적방법론
 
시스템 불확실성을 활용한 기술에측
시스템 불확실성을 활용한 기술에측시스템 불확실성을 활용한 기술에측
시스템 불확실성을 활용한 기술에측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제과학기술협력 전략에 대한 연구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제과학기술협력 전략에 대한 연구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제과학기술협력 전략에 대한 연구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제과학기술협력 전략에 대한 연구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비이공계 산학협력에 대한 연구 권기석
비이공계 산학협력에 대한 연구 권기석비이공계 산학협력에 대한 연구 권기석
비이공계 산학협력에 대한 연구 권기석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and scientific productivity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and scientific productivity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and scientific productivity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and scientific productivity
 
Do graduate students affect their supervisors’ research
Do graduate students affect their supervisors’ researchDo graduate students affect their supervisors’ research
Do graduate students affect their supervisors’ research
 
권기석 대경 행정학 네트워크 (정부학회 제출버전)
권기석   대경 행정학 네트워크 (정부학회 제출버전)권기석   대경 행정학 네트워크 (정부학회 제출버전)
권기석 대경 행정학 네트워크 (정부학회 제출버전)
 
권기석 행정학 네트워크 - 정책학회발표본
권기석   행정학 네트워크 - 정책학회발표본권기석   행정학 네트워크 - 정책학회발표본
권기석 행정학 네트워크 - 정책학회발표본
 
권기석 과학정책의 개념틀과 이슈
권기석 과학정책의 개념틀과 이슈권기석 과학정책의 개념틀과 이슈
권기석 과학정책의 개념틀과 이슈
 
Kapa 발표 한국 이공계 대학교수의 특성과 산학협력의 방식
Kapa 발표   한국 이공계 대학교수의 특성과 산학협력의 방식Kapa 발표   한국 이공계 대학교수의 특성과 산학협력의 방식
Kapa 발표 한국 이공계 대학교수의 특성과 산학협력의 방식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 1.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성창모(KIST 녹색기술센터) 염성찬(KIST 녹색기술센터) 권기석(경일대학교 경영학부) 2013. 6. 19.
  • 2. 1. 서 론 - 연구목적 • 국내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지표개발을 통해 국내 녹색산업 기술의 경쟁력을 파 악하고, 향후 국제적으로 적용가능 한 녹색산업 경쟁력 지수 개발 •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및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의 하위 개 념을 도출한 뒤 지수 산출에 필요한 지표 선정 * 선정한 지표는 전문가 AHP 평가를 통한 가중치를 산정하고, 지수로 변환예정 • 지수산출의 목적은 기술별 경쟁력을 비교하여, 국내 녹색기술에 대한 정책적 실 효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하기 위함이며, • 기술별 지표‧지수 평가를 통해 강, 약점을 파악하여 녹색산업 기술 역량 강화를 위 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 3. 1. 서 론 - 연구대상 • ’10년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이 수립되면서 녹색성장, 녹색산업, 녹색기술의 개념은 규범적인 정의로 명문화 되었으나, 이후에도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연구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활용 되고 있음 • 녹색성장은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기후변화와 환경훼손 을 줄이고 청정에너지와 녹색기술의 연구개발을 통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며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나가는 등 경제와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성장”으로 정의 • 녹색기술은 “온실가스 감축기술, 에너지 이용 효율화 기술, 청정생산기술, 청정에너 지 기술, 자원순환 및 친환경 기술(관련 융합기술을 포함) 등 사회·경제 활동의 전 과 정에 걸쳐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기술”로 정의 • 녹색산업은 “경제·금융·건설·교통물류·농림수산·관광 등 경제활동 전반에 걸쳐 에너 지와 자원의 효율을 높이고 환경을 개선 할 수 있는 재화의 생산 및 서비스의 제공 등 을 통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이루기 위한 모든 산업”으로 정의
  • 4. 1. 서 론 - 연구대상 • 한편, 녹색산업 기술의 학술적 정의는 다음과 같음 •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비전('08.8) 제시 이후 녹색산업 기술에 대한 정의는 주로 녹색연구개발 투자 확대에 따른 성과 측정을 위해 활발하게 수행되기 시작 (이 찬우, 2011; 정기철a, 2011,; 정기철b, 2011; 통계청, 2011; 행정안전부, 2011; 강희찬 외, 2010; 김종호 외, 2010; 명수정‧강민수, 2010; 임기철, 2009) • 다양한 연구가 있었던 만큼, 다양한 녹색성장 정의를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 되어 왔 지만, 녹색성장과 녹색산업, 녹색기술에 대한 명확한 연구기준은 정하지 않고 있으 며, 정책적인 정의를 바탕으로 개별 연구의 목적에 따라 활용하고 있음 • 이들 연구의 목적과 관련해서는 녹색산업과 녹색기술에 대한 정부의 집중투자가 양 적인 확대 뿐 만 아니라, 기존의 산업기술들과 차별성을 얼마나 가지고 질적인 성과 를 나타내고 있는가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기 위한 경쟁력 측정에 관한 연구가 대 다수 임
  • 5. 1. 서 론 - 연구대상 •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정책의 최상위 기조는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의 탈동조화를 통 한 지속가능한 발전 추구이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적 수단은 녹색산업의 경쟁력 강화임 •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들은 녹색산업에 대한 투자로 인한 국가 원천기술 확보와 고 용창출,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려는 거시적 목적과 연계 하고 있음 • 전술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 측정을 위한 개념적 정의를 국가가 녹색산업 기술 분야의 혁신 및 개선을 통해 최종단계에서 경제적‧사 회적으로 가치가 있는 성과를 창출해 낼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고자 함 • 이러한 정의는 정부의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양적인 녹색기술 연구개발 투자확대 확대 목표를 달성한 현 시점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정부의 성과 및효과분석을위한녹색산업기술경쟁력측정지표개발하여적용하기위함임 • 그리고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 지수 평가지표를 위한 대상기술을 정부의 정책적‧당위 적 측면을 고려하여 녹색산업 기술 중 27대 중점녹색기술을 바탕으로 지수‧지표를 적용하고자 함
  • 6. 1. 서 론 - 연구대상 <27대 중점육성기술> 1. 기후변화 예측 및 모델링개발 기술 2.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기술 3. 실리콘계 태양전지의 고효율 저가화 기술 4.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양산 및 핵심원천 기술 5. 바이오에너지 생산요소기술 및 시스템 기술 6. 개량형 경수로 설계 및 건설 기술 7. 친환경 핵비확산성 고속로 및 순환 핵주기 시스템 개발 기술 8. 핵융합로 설계 및 건설 기술 9. 고효율 수소제조 및 수소저장 기술 10. 차세대 고효율 연료전지 시스템 기술 11. 친환경 식물성장 촉진기술 12.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기술 13. 고효율 저공해 차량 기술 14. 지능형 교통, 물류 기술 15. 생태공간 조성 및 도시재생 기술 16. 친환경 저에너지 건축 기술 17. 환경부하 및 에너지 소비 예측을 고려한 Green Process 기술 18. 조명용 LED‧ 그린 IT 기술 19. 전력 IT 및 전기기기 효율성 향상 기술 20. 고효율 2차 전지기술 21. CO2 포집, 저장, 처리기술 22. Non-CO2 (이산화탄소제외 온실가스) 처리기술 23. 수계수질평가 및 관리기술 24. 대체수자원 확보기술 25. 폐기물 저감, 재활용, 에너지화 기술 26. 유해성물질 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 27. 가상현실 기술
  • 7. 1. 서 론 – 녹색산업 국내시장 동향 출처 : 김갑철(2010), 녹색기술산업 진출 유망분야 시장 및 정책동향, 네오에코즈, 발표자료
  • 8. 1. 서 론 – 녹색산업 국내시장 동향 출처 : 김갑철(2010), 녹색기술산업 진출 유망분야 시장 및 정책동향, 네오에코즈, 발표자료
  • 9. 2. 경쟁력 분석을 위한 연구의 틀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을 국가혁신체제의 기본 틀에 기초하여, 투입, 활동, 성과에 이르는 녹색산업 기술의 전주기 적 활동을 포괄적으로 점검하고 이를 지수화 하여 도출하고자 함 • 1990년대 이후 OECD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논의되어 온 국가혁신체제(National Innovation System)는 크게 5대 부문(자원, 활동, 과정, 환경, 성과)으로 재구성될 수 있 으며, 이에 대한 평가모형은 IMD, WEF, OECD 등에서 국가경쟁력 조사, 지표개발 연 구수행 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 국내에서는 학계 및 출연연 등에서 국가과학 기술혁신역량평가, 국가혁신체계 구축을 위 한 연구, 신재생에너지 혁신체계 구축, 미래 혁신체계 구축 연구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 고 있음 녹색산업기술경쟁력 지수‧지표 적용 NIS 기본 틀
  • 10. 3. 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지표체계 도출 • NIS의 개념적 접근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측정 범주를 5 대 부문으로 구분 • 세부 분야의 구분은 전문가 자문 및 인터뷰를 통해 데이터의 취합 및 활용이 용 이한 12개의 개념으로 구분하였으며. 37개의 후보지표들 중 중복지표들을 제외 하고 29개의 세부지표로 압축 • NIS의 기본개념 활용은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 지표 측정 과정의 투입과정부터 산 출과정까지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바라는 결과를 산출했는지를 보 여주는 논리(logic)적인 적용이 가능하며,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짐
  • 11. 3. 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지표체계 도출 • 자원지표(Resources Indicator) - 녹색산업 기술 활동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원에 대한 현황을 나타내는 지 표로 인적자원, 조직, 지식자원으로 구성 - 녹색산업 기술을 수행하는 연구주체로서 인적자원과 조직현황, 그리고 현재 까 지의 연구활동의 결과가 축적된 정도를 의미하는 논문과 특허의 Knowledge Stock의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 임 • 활동지표(Activities Indicator) - 활동지표는 국내 녹색산업 기술개발 활동이 얼마나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의지 및 수준이 얼마나 높은가를 파악하고자 하는 지표임 - 활동지표는 기술개발을 위한 물적자원의 규모와 배분 정도로 측정가능하며, 연 구개발 투자의 활성화 정도 및 현재 창출 된 기술별 기술수준을 지표화 함
  • 12. 3. 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지표체계 도출 • 네트워크지표(Network Indicator) - 네트워크 지표는 녹색산업 기술개발 과정이 얼마나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 한 지식의 흐름과 기술확산, 협력 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산‧학‧연 협력 정도 와 기업간 협력정도로 분석 • 환경지표(Environment Indicator) - 녹색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한 여건을 파악하기 위한 환경지표는 기술개발을 위한 제도 적인 지원과 정책적인 역할 및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지표이다. 녹색산업 기술 개발을 활성화 시키고 성과창출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 • 성과지표(Performance Indicator) - 성과창출을 위해 투입되는 자원과 주어진 환경, 활동 주체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녹색산 업 기술 개발활동으로부터 얼마나 구체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 임 - 녹색산업 기술의 성과에 대한 측정은 경제적인 성과, 환경적인 성과, 지식창출 정도 로 측정하며, 개발된 기술이 가져올 시장전망이나 부가가치 창출에 대한 잠재적 인 경제적‧환경적 능력과 논문특허 등의 직접적인 산출결과로 측정한다.
  • 13. 3. 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지표체계 도출 •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 세부지표 및 자료원 상위 수준 분야구분 세부지표 자료원 자원 1.인적자원 1-1. 녹색기술별 R&D 참여 연구원 수 GTC 1-2. 기술별 고급 인력양성 지원 수 GTC, 2.조직 2-1. 녹색기술별 R&D 참여 대학 수 GTC 2-2. 녹색기술별 R&D 참여 기업 수 GTC 2-3. 녹색기술별 R&D 참여 출연연 수 GTC 3.지식자원 3-1. 타 기술과의 차별성‧혁신성에 대한 전문가 평가 설문조사 3-2. 기술별 정부 연구투자에 따른 사업화 성공가능성 설문조사 3-3. 기술별 2년간 SCI 논문수(STOCK) GTC 3-4. 기술별 2년간 국내외 특허수(STOCK) GTC 활동 4.연구개발투자 4-1. 기술별 R&D 투자금액 GTC 4-2. (전체)녹색 R&D 투자대비 기술별 투자금액 GTC 4-3. (전체)국가 R&D 투자대비 기술별 투자금액 GTC 5.연구개발수준 5-1. 기술별 기술수준 설문조사 네트워크 6.산‧학‧연 협력 6-1. 기술별 산‧학‧연 공동 연구 건수 GT 6-2. 정부연구개발비투자 대비 기술별 매칭비 비중 GTC 6-3. 기술별 산‧학‧연 공동 특허 출원‧등록 건수 GTC 7.기업간 협력 7-1. 기술별 산‧산 공동 연구 건수 GTC 7-2. 기술별 산‧산 공동 특허 출원‧등록 건수 GTC 환경 8.제도적 지원 8-1. 기술별 녹색인증 기술 수 KIAT 9.정책적 지원 9-1. 정부 정책과의 부합성 설문조사 9-2. 부처 추진 우선순위 설문조사 성과 10.경제적성과 10-1. 기술별 투자대비 부가가치 창출 인식도 설문조사 10-2. 기술별 중장기 시장전망에 대한 인식도 설문조사 10-3. 기술별 사업화 건수 GTC 11.환경적성과 11-1. 온실가스 저감 등 환경개선 효과에 대한 기여도 11-2. 에너지 효율성 향상‧에너지 절약에 대한 기여도 11-3. 기후변화 완화 및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기여도 설문조사 12.지식창출 12-1. 기술별 특허등록 건수(2011년) GTC 12-2. 기술별 SCI 논문건수(2011년) GTC
  • 14. 4. 지수 도출을 위한 가중치 산출 •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의 적용 - 지수 산출에 앞서 평가지표들의 상대적 중요성 측정하기 위해서 전문가 대상으로 AHP 설문방법을 통하여 각 평가요인별 지표의 우선순위와 가중치 도출 - AHP 설문은 5개 부문과 12개 부분의 범주를 평가요소로 구성하였고 선정한 평가 요 소들에 대하여 AHP(계층적 의사결정) 기법에 의거하여 이원비교 방식으로 설문 지 작성 - AHP는 오늘날 다목적, 다속성 의사결정을 다루는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분석기법 중 의 하나로 1970년대 초반 Saaty에 의해서 개발되었음 - 의사결정의 계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 간의 쌍대비교(또는 이원비교, Pairwise Comparison)에 의한 판단을 통하여 평가자의 지식, 경험 및 직관을 포착하고자 하는 하나의 새로운 의사결정방법론으로, 이론의 단순성 및 명확성, 적용의 간편성 및 범 용성 이라는 특징을 가짐
  • 15. 4. 지수 도출을 위한 가중치 산출 • AHP 기법을 활용 가중치 산출 결과 - 상위수준과 중위수준에 대한 평가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종합 분석한 결과는 다음 과 같이 연구개발투자(0.196), 경제적 성 과(0.192), 기술수준(0.167), 환경적 성 과(0.147), 지식창출(0.057), 산·학·연 협 력(0.052), 지식자원(0.048), 인적자원 (0.040), 정책적 지원(0.034), 제도적 지 원(0.028), 조직(0.022), 기업간 협력 (0.018) 순으로 평가 됨 <녹색산업기술경쟁력 평가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종합분석 결과> 영역 지표 영역간 가중치 지표 가중치 자원 가. 인적자원 0.110 0.040 나. 조직 0.022 다. 지식자원 0.048 활동 가. 연구개발투자 0.363 0.196 나. 기술수준 0.167 네트워크 가. 산학연 협력 0.069 0.052 나. 기업간 협력 0.018 환경 가. 제도적 지원 0.063 0.028 나. 정책적 지원 0.034 성과 영역 가. 경제적 성과 0.395 0.192 나. 환경적 성과 0.147 다. 지식창출 0.057 가중치 합계 1.000 1.000
  • 16. 4. 지수 도출을 위한 가중치 산출 <녹색산업기술경쟁력 평가 지표의 우선순위 결과> 영역 지표 영역간 가중치 지표 가중치 자원 가. 인적자원 0.110 0.040 나. 조직 0.022 다. 지식자원 0.048 활동 가. 연구개발투자 0.363 0.196 나. 기술수준 0.167 네트워크 가. 산학연 협력 0.069 0.052 나. 기업간 협력 0.018 환경 가. 제도적 지원 0.063 0.028 나. 정책적 지원 0.034 성과 영역 가. 경제적 성과 0.395 0.192 나. 환경적 성과 0.147 다. 지식창출 0.057 가중치 합계 1.000 1.000
  • 17. 5.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산출 결과(지수산출방식) • Z-Score 평가 - 평가지표의 실적치에 대하여 정규분포를 가정하고 평균( )과 표준편차(S)를 산출하여 지표별 실적의 난이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 - 당해 피평가기관의 과거 실적치와 현재 실적치를 대상으로 Z-score를 산출하는 방법과 당해 연도 비교대상기관을 포함한 전체 피평가기관의 실적치를 대상으로 Z-score를 산출하는 두 가지 방법을 활용할 수 있음 - 일반적으로 실적치 자료가 30개를 상회하는 경우에 정규분포를 상정함. 이를 위해서 먼저 지표별 표준점수(Z-Score)를 산정하고, 이 점수에 해당하는 표준정규분포의 확률 변수값을 지표별 득점으로 부여
  • 18. 5.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산출 결과(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종합결과) * Z-Score 변환 및 AHP 가중치 적용 • 녹색산업 전체 기술경쟁력지수(GTPIS) - 국내 녹색산업 기술별 경쟁력 지수를 분석한 결과 평균 75.05점의 수치를 보이며, 전 력IT 및 전기기기 효율성향상 기술이 가장 높은 80.60점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유해 성물질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이 70.49점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경쟁력이 낮은 것 으로 나타났음 평균이상 기술 평균이하 기술 실리콘계 태양전지의 고효율 저가화 기술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양산 및 핵심원천 기술 차세대 고효율 연료전지 시스템 기술 친환경 식물성장 촉진 기술 고효율 저공해 차량 기술 지능형 교통‧물류 기술 친환경저에너지건축 기술 GreenProcess 기술 조명용 LED 그린 IT 기술 전력IT 및 전기기기 효율성향상 기술 고효율 2차 전지 기술 CO2포집, 저장, 처리 기술 폐기물저감, 재활용, 에너지화 기술 기후변화 예측 및 모델링 개발 기술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기술 바이오에너지 생산요소기술 및 시스템 기술 개량형 경수로설계 및 건설 기술 친환경 핵비확산성 고속로 및 순환핵주기 시 스템 기술 핵융합로 설계 및 건설 기술 고효율 수소제조 및 수소저장 기술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기술 생태공간조성 및 도시재생 기술 Non-CO2처리 기술 수계수질 평가 및 관리 기술 대체수자원확보 기술 유해성물질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 가상현실 기술
  • 19. 5.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산출 결과(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종합결과) * Z-Score 변환 및 AHP 가중치 적용 <표 > 기술별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 지수(GTPI) 종합 순위 No 기술명 종합지수 기술별 Rank [1] 기후변화 예측 및 모델링 개발 기술 73.44 19 [2]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기술 74.28 15 [3] 실리콘계 태양전지의 고효율 저가화 기술 76.68 8 [4]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양산 및 핵심원천 기술 76.09 10 [5] 바이오에너지 생산요소기술 및 시스템 기술 74.23 16 [6] 개량형 경수로설계 및 건설 기술 73.42 20 [7] 친환경 핵비확산성 고속로 및 순환핵주기 시스템 기술 72.63 23 [8] 핵융합로 설계 및 건설 기술 73.09 21 [9] 고효율 수소제조 및 수소저장 기술 72.57 24 [10] 차세대 고효율 연료전지 시스템 기술 77.31 5 [11] 친환경 식물성장 촉진 기술 75.06 13 [12]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기술 72.75 22 [13] 고효율 저공해 차량 기술 79.95 2 [14] 지능형 교통‧물류 기술 76.78 7 [15] 생태공간조성 및 도시재생 기술 73.44 18 [16] 친환경저에너지건축 기술 75.12 12 [17] GreenProcess 기술 79.25 3 [18] 조명용 LED 그린 IT 기술 77.25 6 [19] 전력IT 및 전기기기 효율성향상 기술 80.60 1 [20] 고효율 2차 전지 기술 75.77 11 [21] CO2포집, 저장, 처리 기술 76.18 9 [22] Non-CO2처리 기술 72.51 25 [23] 수계수질 평가 및 관리 기술 71.95 26 [24] 대체수자원확보 기술 74.31 14 [25] 폐기물저감, 재활용, 에너지화 기술 77.53 4 [26] 유해성물질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 70.49 27 [27] 가상현실 기술 73.60 17
  • 20. 5.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산출 결과(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종합결과) * Z-Score 변환 및 AHP 가중치 적용 •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부문별 지수(GTPIS) 측정결과 - 자원지수 : 자원 부문에서 경쟁력 지수를 분석한 결과 평균 75.00점의 수치를 보이며, Green Process기술 이 가장 높은 84.79점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Non-CO2 처리 기술이 70.44점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경쟁력 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 활동지수 : 활동 부문에서 경쟁력 지수는 평균 75.00점의 수치를 보이며, 전력 IT 및 전기기기 효율성 향상 기술이 가장 높은 82.26점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Non-CO2처리 기술이 71.45점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낮 은 경쟁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남 - 네트워크지수 : 네트워크 부문의 지수 평균은 76.09점이며, Green Process기술이 가장 높은 87.42점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친환경 핵비확산성 고속로 및 순환핵주기 시스템 기술이 71.30점으로 상대적으로 가 장 낮은 경쟁력을 보임 - 환경지수 : 환경부문의 경쟁력 지수를 분석한 결과 평균 73.38점으로 확인 되었으며, 폐기물저감, 재활 용, 모니터링 기술이 85.52점으로 가장 높은 경쟁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상현실 기술이 61.43 점으로 가장 낮은 경쟁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 성과지수 : 국내 녹색산업 기술별 경쟁력의 성과부문을 분석한 결과 평균 75.19점의 수치를 보이며, 고효율 저공해 차량기술이 81.22점으로 가장 높은 경쟁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고, 유해성물질 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이 67.76점으로 가장 낮은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 21. 6. 요약 및 결론 • 본 연구에서 우리는 녹색산업의 기술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한 지수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음 • 이를 위해 먼저 국가혁신체제의 관점에서 자원, 활동, 과정, 환경, 성과의 다섯 가지 관점에서 29개의 측정지표를 선정하였음 • 다음으로 이러한 지표의 범주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평가지표에 대한 상대적 중 요성을 측정하였음 • 그 결과 연구개발 투자, 경제적 성과, 기술 수준 등의 순서로 순위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녹색산업 기술별로 경쟁력 지수를 분석하였음 • 결과에 따르면, “전력IT 및 전기기기 효율성향상 기술”이 가장 높은 경쟁력을 가지는 반면, “유해성물질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이 가장 낮은 경쟁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음
  • 22. 참고문헌 • 강희찬 외(2010) 녹색생활혁명: 기후변화 대응의 신 해법. 삼성경제연구소. GEI information. 제768호. • 김종호 외(2010) 녹색성장 평가를 위한 지표체계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녹생성장연 구. 2010-02. KEI. • 명수정, 강민수(2010) 녹색생활 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정책보고서 2010-03. KEI. • 이찬우(2011) 녹색경영과 녹색경영 평가지표의 이해. INEPA녹색경영추진본부 2011년 지역순회교육(2011.01.27~2.25). • 임기철 외(2009) 지역 녹색혁신역량 지수의 개발과 시사점. 정책자료 2009-02. STEPI. • 정기철 외(2011a) 글로벌 녹색혁신역량 평가 및 활성화 전략.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 색성장 종합연구 총서 11-02-03. STEPI. • 정기철 외(2011b) 녹색혁신지수를 활용한 녹색기술 유형별 혁신전략. STEPI insight 제65호. • 통계청(2011) 2011 녹색성장지표 작성결과. 보도자료 2011.11.24. • 행정안전부(2011) 지역 녹색경쟁력 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