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ist ein Scribd-Unternehmen logo
1 von 28
< 교육공학 - 강명희 교수님 >

하모니 오케스트라
- 서로 다른 우리들의 국악 연주 < 삼총과 >
1210005 김성지
1011202 홍지혜
1346013 서희림
1346030 장은서

목차
1.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반작업
1) 학습대상
2)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3) 본 프로그램의 취지·목적
4) 학습 원리
5) 학습 내용
6) 학습 전략
7) 교수방법

2. 프로그램 설계
3. 프로그램 진행
4. 공연 프로그램 기획
5. 평가지
6. 참고문헌자료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반작업
1. 학습대상
다문화가정은 한 가족 내에서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국적에 따
른 차별성을 내포하고 있던 국제결혼가족이라는 용어를 대신한다. 내국인과 외국인이 결혼
한 가정을 일컫는 표현은 크게 '혼혈인가족(서로 다른 인종 간 태어난 자녀)', '국제결혼
가족(국경을 넘나드는 결혼의 형태)', '다문화가족(다양한 가족의 형태 중 하나)' 등 세
가지로 압축된다. 최근에는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가족 , 한국인 여성과 결혼한 이
주남성가족, 이주민가족(이주노동자, 유학생, 탈북자 등)을 포함해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
다.
최근 저임금 외국인 노동자의 고용정책으로 외국인의 한국 이주가 증가하고, 주변
국 여성이 빈곤탈출을 위해 한국인 농촌남성과 결혼하는 사례가 빈번해지면서 미혼모의 혼
혈아동문제, 빈곤문제, 교육문제 등 여러 사회문제가 발생됨에 따라 이들을 우리 사회의
한 일원으로 포섭하고, 이들로부터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차별적 의미가 담긴 국제
결혼ㆍ이중문화가정 등으로 불리던 국제결혼가족을 새로운 개념의 '다문화가정'으로 부르
게 되었다.
본 기획안에서는 다문화가정을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가족만을 지칭하는
동시에 프로그램 학습대상자는 앞서 정의한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며 연령은 초등학교 4 학
년-6 학년으로 제한한다.
국악교육의 대상을 초등학교 고학년인 4~6 학년으로 한정지은 것은 사춘기를 겪을,
혹은 이미 사춘기를 겪고 있는 학생들에게 보다 바람직한 자아상을 제공하여 차별로부터 벗
어난 올바른 사고를 함양시키기 위해서이다 . 다문화 가정의 경우 중등학생이 초등생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낮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개입이 초등생보다 중등학생에게 더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이철원,2007) 본격적으로
예민하고 내부적으로 혼란스러운 사춘기에 접어들기 전에 자존감을 높이고 다문화가정 자녀
의 스트레스의 주된 요인인 사회적 편견과 이중문화에의 노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면, 사회적 약자라는 인식으로 자괴감에 빠지거나 탈선하는 행
위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2.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1) 국제결혼의 증가 추세와 그에 따른 다문화 가정 자녀 수의 급증
우리나라에서 국제결혼은 2005 년 전체 결혼건수의 13.6%를 차지하였으며, 이후 국
제결혼이 연간 3 만 건대로 낮아지면서 국제결혼의 비중 역시 2006 년 11.7%, 2007 년 10.
9%, 2008 년 11.0%, 2009 년 10.8% 등 하향 추세를 보이긴 하나 10%를 상회하여 지속적으
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 사회의 여성에 대한 수요 및 전 세계적인 추
세로, 국제결혼은 하나의 메커니즘이 되었다 . 이에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은 매우 빠른 속
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다문화 가족 및 다문화가족 자녀의 수 도 급증하고 있다 . 특히 다문
화가족 자녀는 06 년에는 25 천명에서 7 년에는 44 천명, 08 년에는 58 천명, 09 년은 103 천
명으로 매년 증가추세이며, 6 세 이하는 57.1%, 만 7 세~12 세가 32.2%로 영 유아가 대다수
를 차지하고 있다.

다문화 가족 자녀들은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편견과 문화적 차이의 어려움, 언어습
득 환경의 어려움, 정체성 형성의 어려움, 학교적응의 어려움, 경제적 문제에 따르는 어려
움 등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힘들게 생활하고 있다. 향후 몇 년 후에 다문화가족 자녀의
수의 57.1%를 차지하는 6 세 이하의 아이들이 학령기가 될 때, 정부에서 시행하는 여러 가
지 정책이 다문화가정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기에는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다문화 자녀들의 많은 부분이 아시아계 혼혈계통임을 고려할 때 , 다문화 자
녀들이 개발도상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팽배하는 한국사회에서 차별 없이 생활하기는 어
려운 실정이다. 다문화 자녀들은 기본적으로 자신의 주변 친구들과는 다른 외모, 어눌한
발음에 자괴감을 느끼고 스스로를 열등하게 간주한다. 이들의 다른 외모와 한글능력에 대
한 주위의 조롱과 비난 또한 다문화 자녀들이 느끼는 자괴감을 심화시킨다.
현재 한국사회는 다문화를 수용해 본 역사적 경험이 짧고, 순혈주의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특성 때문에 이주여성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증폭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과장
된 모습에는 그들을 비정상적인 가족 등 사회문제의 원천으로 보는 시각, 위장 결혼 자가
대부분이라고 보는 시각 등이 혼란스럽게 편재되어 있다. 이러한 사회적 인식은 학교사회
에도 유입되어 다문화 가정 학생들에 대한 편견 현상이 있다고 볼 수 있다.(박경동,2008)
이에 우리 사회에서 이들을 특별한 존재로 간주하거나 편견을 가지고 보는 것이 아
니라 다문화의 특성과 수용방법을 고려하여 이제는 사회적 이슈가 된 다문화가정 자녀문제
를 다루어야 한다. 다문화가족 자녀들을 문화적으로 풍부한 사고를 가진 글로벌한 인재로
육성시켜 세계화의 변화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우리 사회의 훌륭한 인적자원으로 성장시켜
야한다.
2)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이 겪는 어려움
⓵ 한글능력
중부대 한국어학과와 TJB 취재팀이 금산 제원초등학교의 다문화 학생들을 대상으
로 실시한 한글능력검사 결과, 일반학생들의 평균점수는 87.5 점, 다문화 가정 아이들은 74.
4 점으로 평균점수가 무려 13 점이나 차이가 났다. 특히 한글 연결어미와 논리력, 추리력
면에서 일반 학생들과 차이가 두드러졌다. 이와 더불어 조사결과,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학교에서 겪는 어려움으로 한글 문제가 차지하는 비율은 56%로 가장 많았다. 전문가들은
한국말을 잘 구사하는 것과 한글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당당한 한국인으로 살아가는 필수
요건이라고 한다. 영어회화능력이 부족해도 자신감을 상실하는 요즘 아이들이 모국어인 한
국어를 제대로 구사하지 못한다면 그로 인해 상당한 열등감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
언어는 일상생활과 직결된 문제이니만큼 언어능력의 부족은 자신감 상실에 결정적
인 역할을 한다. 부정확한 발음, 한정된 단어의 구사 등 언어능력부족과 그로부터 오는 자
신감 상실은 다문화 학생들의 학교에서의 사회생활에도 영향을 미쳐 이후 학습문제, 또래
문제 등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⓵ 정서불안심리 - 공격성향, 학습동기저하
TJB 취재팀의 ‘문화 희망프로젝트’가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그림을 통한 심리
검사를 한 결과 다문화 학생들의 공격성향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다문화 학생들이 그린 그림에는 칼과 총, 거꾸로 매달려 죽은 사람, 날카로운 칼을 든 사
람, 미사일, 폭탄, 사선으로 흰 종이 1 장을 온통 검게 칠한 낙서와 총싸움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조경덕 배제대 심리철학과 교수는 이러한 그림은 일반 학생들과 차이 나는 것에 대
한 배려를 못 느끼다보니 내면적으로 쌓인 분노의 표출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덧붙여 가정
에서도 부모님과 같이 보내는 시간 적다보니 결국 칼이나 폭탄 등 공격성으로 나타나고 있
다고 전했다. 아이들의 분노가 실제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공격성 검사에서는 놀
랍게도 다문화 학생 14 명 가운데 6 명이 높은 공격 성향을 보였다. 이는 일반 학생들에 비
하면 공격성 발현 비율이 4 배 이상 높은 수치였다. 조경덕 교수는 다문화 학생들이 확률적
면에서 일반 학생들보다 폭력성 높다고 해석했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 학생들 가운데 어떻
게 표현해야 할지를 몰라 그렸다가 지우기를 반복하거나, 사선을 긋듯이 그림을 그리는 모
습을 보이는 학생도 있었다.
이에 대해 월평복지관 임선경 미술심리치료사는 미술학원도 안 다니고 사선으로 스
케치를 한다는 건 불안감을 보여주는 표현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 심리검사 시간, 책상
서랍에 발을 집어넣은 채 쉴 새 없이 몸을 좌우로 흔들고 , 숨바꼭질 놀이에 하는가 하면,
아예 사물함 위에 올라가 장난을 치는 친구들도 있다. 전반적으로 아이들이 불안하고 산만
하다. 자리에서 일어나 2-3 분 이내 일어나는 게 다반사. 집에서 벗어나고 싶어 하고 집에
서 존재감도 없는 듯하다.”고 심리검사 당시의 상황을 전했다. 아이들의 산만함은 학습 의
욕을 알아보는 검사에서 고스란히 나타났다.
다문화 학생들의 공격성향과 산만함, 학습동기 저하는 소수에 대한 사회적 편견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사회적 약자로서 다른 학생들에 비해 배려를 받지 못하는 생활을
경험하면서 외부인에 대한 적대심이 증가하면서 공격적 성향이 발달하고 학습 동기가 저하
된 것이다.
⓵ 학교폭력

< 조선일보 2012 년 5 월 8 일자 보도자료 >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늘어나면서 이들에 대한 학교폭력도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
가정 학생들은 이국적인 외모와 서툰 한국어 때문에 친구들로부터 집단 따돌림이나 구타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다문화가정 학생보다 해외에서 태어나 자라
다 한국에 들어온 '중도 입국' 학생들이 더 많은 폭력을 당하고 있다. … 문재현 마을공동
체교육연구소장은 "다문화가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교폭력은 도시보다는, 외부인이나
외부문화에 대해 배타적인 군·읍·면 단위 학교에서 더 심각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위의 기사 자료에 나타나 있듯이 학교에서 이루어져야하는 다문화 교육이 지역 곳
곳에 활성화되지 않은 탓에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또래에 비해 외모로 인해 놀림을 받는 경
우가 많다. 이는 그들의 친구들과 주변인들이 외적 모습 차이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청소년(2006)의 조사에서는 외모 면에서 눈에 띄는 혼혈인 경
우 국가에 대한 소속감과 주변사람과의 친밀감이 낮고 사회적인 문제 경험을 더 많이 가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모 면에서 큰 차이가 없는 아시아계 혼혈인 경우 비교적 우리
사회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엄마가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국제결혼 가
정의 17.6%가 집단따돌림을 경험하였다고 한다.(설동훈 2005)

3. 본 프로그램의 취지·목적
본 기획은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국악교육을 실시하여 위에서 기술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여 한국인으로서의 문화정체성을 형성하고 자아
탄력성(ego-resilience)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아탄력성(ego-resilience)은 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이나 변화하는 다양한 환경에
서 융통성 있게 적응하는 능력을 일컫는 개념으로, 스트레스 상황과 역경을 극복하고 정상
적이며 건강하게 성장하는 것, 자기의 감정을 조절할 수 있으며 협동적이고 활력 있는 대
인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포괄한다. 그 하위변수로는 친구관계, 활력성, 감정조절, 호기심,
낙관성이 있다. 다문화 자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바꾸는 데에는 총체적인 방안이 필요한
상황에서 사회적 편견이 완화되는 기간 동안 다문화 자녀들이 사회의 부정적 영향을 적게
받아 자기 의지를 갖고 굳건히 일어설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이혜진,2012)
또한 본 국악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개인적으로는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자기에 대한
인식이 분명하고 자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내적 일관성을 가지고 외부환경이나 평가에
크게 흔들리지 않는 자아존중감과 타인과 다르면서 고유한 개인의 개별성과 자기존재의 동
일성과 독특성을 지속시키고 고양시켜나가는 자아의 자질인 자아정체성을 향상시키는 기회
가 되길 바란다.
사회적으로는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자신의 가치를 스스로 높이고 자신에 대한 가치
감과 가능성을 새롭게 발견함으로서 긍정적인 자아를 형성하여 우리 사회의 한 시민으로서
훌륭한 인적자원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4. 학습 원리
1) 음악 학습지도 원리에 따른 프로그램 구성
본 기획안은 아래의 음악 학습지도 원리에 따라 24 주차의 국악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국악 교육이 지닌 효과성을 제고하도록 하였다.
음악 학습지도는 대상자의 음악적, 정신적인 부분을 변화시키는 과정으로 일반적
인 절차 및 방법은 ‘준비 및 감각적 감지, 기초기능 탐색, 표현 방법 탐색, 창조적 표현,
내면화’로 구분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모형화하면 다음의 <그림 1>과 같다.

< 그림 1 > 음악과 지도학습 과정 모형 (변영계, 이상수,2003)

준비 및 감각적 감지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습자로 하여금 음악에 대한 강한
내재적 동기를 갖게 하는 데 있다. 기초기능 탐색 단계는 해당 제재를 중심으로 기본적인
리듬감, 음정감, 화음감을 지도하고 독보력, 청음력, 악보적기와 같은 음악학습의 기초능
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하는 단계로, 가사살피기, 제재곡 부르기를 학습한다. 표현 방법
탐색단계는 전 단계에서 습득된 기초기능을 바탕으로 음악, 즉 제재곡을 바르게 표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탐색하는 과정이다. 학습자는 부단한 시행과 연습의 과정을 거쳐
다음 단계인 창조적 표현을 접근하게 된다. 창조적 표현 단계에서는 악곡의 내용, 악상 등
을 바르게 표현하게 되는 단계이며, 나아가서 학습자들이 그들의 느낌과 생각을 악곡을 통
하여 또는 일련의 창작활동 등을 통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게 되는 단계이다. 내면화 단계
에서는 음악적 표현의 즐거움을 느끼며 감상활동을 통해 음악을 내면화함으로써 생활에 적
용할 수 있게 된다.
5. 학습 내용
1) 국악 교육
성명
(학

다중지능(160 점)

학습태도
150 점

자기효능
144 점

학습습관
294 점
학습습관
294 점

년)

언어

수학

시각

음악

신체

자연

대인

개인

1(6)

62

75

101

51

55

70

67

67

82

77

167

2(6)

93

109

123

140

94

119

86

115

93

114

182

3(6)

50

144

151

52

63

94

137

147

127

100

179

4(6)

93

119

112

141

100

108

130

109

95

84

180

5(6)

127

125

120

81

147

128

149

126

137

131

259

6(6)

68

100

95

34

95

96

79

68

89

81

127

7(5)

94

87

87

91

64

92

89

125

98

82

165

8(5)

44

67

57

46

62

82

90

76

81

49

104

9(5)

113

108

91

94

97

74

127

109

104

120

212

10(5)

96

98

103

87

98

91

99

66

105

85

173

11(5)

51

47

85

64

96

128

96

105

113

69

196

12(4)

41

64

39

23

37

28

61

72

110

78

139

13(4)

48

50

46

55

72

56

62

63

110

83

146

< 표 1 - 다문화 자녀의 분야별 부족 역량

>

<표 1>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다중지능의 경우 다른 지능에 비해 상대적으로
언어지능이 낮게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이는 집안구조나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의 언어의
구조가 자녀들에게 언어에 대한 이해와 분석에서 발달시키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
를 보여 준다.(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대처방안 연구, 한국기독교심리상담)
국악교육은 언어적 한계를 지니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 언어적 한계를 극복
하고 능동적인 창작과정을 통하여 감정과 욕구를 표출하고 해소함으로써 또래관계와 이중문
화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국악교육이 집단으로
진행될 경우 자신감과 자아존중감의 향상과 더불어 사회성과 대인관계 기술 등이 함께 향상
될 수 있다.(이혜진,2012) 집단예술교육을 통한 자아정체성 확립은 원래 집단미술치료에
주로 활용되었으나, 이를 국악(음악) 분야로 확장하여 다문화 학생들이 자아정체성 확립
과정에 악기 연주와 노래를 통해 보다 역동적으로 참여하게 하여 원하는 목표에 도달하고자
한다.
국악은 한국인의 정서를 반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음악의 한 종류이다. 구체적으로,
국악교육활동이란 노래 부르기, 감상하기, 신체 표현하기 등의 활동을 통해 우리 고유의
장단을 학습자들이 직접 느끼고 표현해보는 경험을 해보는 활동이다. 국악교육은 학습자들
로 하여금 국악을 친숙하게 하고, 국악적인 표현이나 감상에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학습
자의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 더 나아가 본

국악

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의 자녀들로 하여금 음악적, 한국적 지식을 체화하여 자신감을
얻고 당당하게 사회생활을 할 수 있게 도울 것이다.
음악은 인간의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고유한 민족 문화를
전달하고 서로 간에 공유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국악 교육은 우리 음악과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관을 확립하게 하며 우리 민족 문화를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조상들이 남긴
음악적 유산으로써 학습자들이 그대로 보고 인정하는 태도를 형성하고 문화적인 정체성과
민족적 음악정서를 심어줄 것이다.
2) 국악 오케스트라 합주
오케스트라 공연은 6 개월 동안 이어진 국악교육의 결과물을 생산해내는 과정이다.
단순한 음악적, 한국적 지식 습득을 넘어 공연을 기획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책임감을 기
르게 된다. 또한 대중 앞에서 자신을 드러내고 한국인으로서 국악을 연주함으로서 자아성
취감과 한국인으로서의 인식을 분명히 세울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교사 중심적인 평면적 교육에서 탈피하여 입체적이면서 학습자 활동을 중심으로 이
루어지는 교육의 결과로서의 아이들 공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흥미와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다. 둘째, 모든 학생이 적극적으로 악기연주와 발화, 노래에 참여
할 수 있다. 셋째, 모든 학생이 참여하면서 협동심을 기르는 동시에 자신만의 독특한 방법
으로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면서 개성을 발달시킬 수 있다. 넷째, 의사소통상황의 제공을
통해 언어 구사력과 사회성이 발달한다.(황경아,2004)
이와 더불어 대중들에게 국악 오케스트라 합주를 통해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자신
들의 능력을 선보이고 존재감을 알림으로서 다문화 자녀들에 대한 한국 사회의 편견이 완화
되고 한국 사회가 다문화를 인정하는 사회적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6. 학습 전략(차별화된 특징)
본 국악교육프로그램은 퓨전식 국악을 도입하여 전통악기를 통한 팝송 연주, 판소
리에 샤우팅 기법의 사용 등을 통해 전통 국악에 비해 역동적이고 비교적 빠른 리듬을 활용
하여 아이들의 내면에 쌓인 분노와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기회를 주고자 한다.
한국적 색채가 짙은 순수 국악을 고집하기보다는 좀 더 대중적이고 아이들이 즐겁
게 연주할 만한 멜로디를 삽입한 것은 아이들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것이기도 하
지만, 추후 오케스트라 공연에서 대중들이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끝까지 다문화 학생들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궁극적으로 열린 사고방식을 이끌어내기 위해서이다.

7. 교수방법
강사들이 다문화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할 때 가장 주의해야 할 사항은 그들을 특
수화된 객체로 이해하기보다는 다른 학생들과 다르지 않는 일반적이고 평범한 주체로 인식
하는 것이다. 특히 다문화 학생들을 지칭하는 용어에 주의해야 하는데 ‘너희’라는 호칭
보다는 ‘우리’나 ‘여러분’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여 아이들이 강사와 그들이 속한 사회로
부터 분리되는 느낌을 갖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여러 문화를 존중하고 통합하여 강의
를 진행하는 교수방법이 요구된다.

프로그램 설계 (ADDIE 모형

활용 )
프로그램 진행

<하모니 오케스트라> 프로그램은 6 개월 과정으로 일주일에 한 번씩 2 시간 과정으로 운

영된다. 총 24 차시로 진행될 이 프로그램의 대략적 구성과 내용은 다음 <표>와 같다.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
< 표 2 > 국악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차시

영역

프로그램

국악기와 친숙해지기
1~4

국악과 친해지
기
우리 소리와 민속놀이
배우기

교육내용
-악기를 직접 보고 소리를 들어보
기
- 악기 연주법을 직접 배우고, 연
습곡을 연주해보기
-우리의 소리인 판소리, 민요, 정
가(시조)에 대해 학습하기
-소리를 배우고 직접 소리내보기
-전통 민속놀이 해 보기
-아리랑에 대해 학습하기

5~8

국악(민간음악)
배워보기

아리랑 배우기

- 아리랑의 연주법을 배워보고 직
접 연주해보기
-‘민간음악’에 대해 학습하기
- 아리랑의 소리를 들어보고 직접
불러보기
-타령에 대해 학습하기
-타령을 직접 배워보고 불러보기

9~12

국악(선비음악)
배워보기

타령과 정가 배우기

13

현장학습⑴

국립국악원 방문하기

- 익숙한 판소리인 춘향전의 사랑
가 배워보기
-정가(시조) 에 대해 학습하고 불
러보기
-배웠던 악기들에 대한 역사 알아
보기
-사물놀이 체험 해보기.
-개별적으로 배웠던 수연장, 타령,

14~15

국악 함께하기

합주 및 연극하기

아리랑을 합주해보기
-창극을 창작해보기(~22 차시)

16

현장학습⑵

종묘와 한국민속촌 방
문하기

17~20

국악의 현대음
악의 만남 배워
보기

- 한국 문화를 체험해보고, 종묘
제례악 직접 감상하기
-팝송인 'Let it be'와 ‘You ra

퓨전 국악 배우기

21~24

국악 공연하기

공연하기

ise me up’ 을 국악기로 연주해보
기
-그동안 배웠던 악기와 소리를 바
탕으로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연
주를 보여주기
▶ 프로그램 영역 및 선정이유
영역
◉대풍류 감상

교육프로그램

◉소리극 감상
국악과 친해지기

◉풍물놀이 감상
◉가야금, 거문고, 해금, 피리
◉정간보
◉감상은 악기를 탐색할 수 있는 대풍류(민속음악으로 국악기 모두
출현하며 악기 특성을 살려 연주하는 음악 )를 선정하였고 소리극은
우리나라 성악음악 전반을 감상할 수 있어 선정하였다. 풍물놀이는
신명나는 국악의 멋을 느끼게 해주기 위해 선정하였다.
◉ 가야금과 거문고는 현악기, 해금과 피리는 관악기로 소리비율을
맞추기 위해 선정하였다.

선정이유

◉정간보는 조선 세종이 음의 시가를 알 수 있게 창안한 유량악보로
동양에서는 가장 오래된 유량악보이다 . 전통음악을 연주하기 위해
서는 정간보를 읽는 법은 꼭 필요하다. 국악 수업은 오선보가 아닌
정간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1 세기는 문화의 세기(박미
경 2007,5)’라고 하며 그에 따라 문화경쟁력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
다. 정간보는 문화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가장 문화 유산으로써
전승할 가치가 있다.

민속놀이 배우기
선정이유

◉대문놀이
◉강강술래
◉대문놀이는 두 사람이 양 손을 잡아 올려 문을 만들고 그 문 밑으
로 다른 사람들이 지나가면서 진행되는 아이들의 전통 민속놀이이다.
◉강강술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속놀이로 추석날 밤, 주로 여
자들이 모여 흥겨운 리듬에 맞춰 노래를 부르며 빙글빙글 돌면서 뛰
며 놀았던 것으로부터 유래되었다.
◉대문놀이, 강강술래 모두 가장 대중적이고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
이 알고 있기에 두 놀이를 선정했다.
◉아이들이 놀이의 규칙을 이해하고 즐겁게 놀이에 참여할 수 있게
하도록 한다. 오케스트라를 함께 하는 다른 친구들과 놀이를 할 때
자연스러운 스킨십을 통해 친밀감의 생성을 유도하고 그러한 과정을
통해 또래 친구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익숙해지도록 한다 . 친구
들과 협력하는 친사회적 행동, 도움과 협동심, 적극적이고 주도적
인 참여로 자신감을 얻는다.(박미조,2010)
◉놀이 중에서도 전통놀이는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발달단계와 놀
이 상황에 따라 집단의 크기, 놀이의 규칙 ,활동내용 등을 쉽게 수
정하거나 변형할 수 있어 통합교육환경에서 모두에게 적용되기 쉬운
활동이다(한진옥,김희진,2004). 뿐만 아니라 전통놀이는 특수유아
와 어울려 놀이 규칙을 만들기 위해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조절하고
규칙을 따르는 과정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기회를
좀 더 폭넓게 제공 할 수 있다(이혜리,김희규,2008). 따라서 전통
놀이는 이완된 분위기 속에서 서로의 행동을 자연스럽게 강화할 수
있고 집단 활동을 통해 상호 기대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
므로 전통놀이를 통해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고 자기 통제력을 기르
는 친사회적 행동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박미조,2010)
민간음악 배우기

◉경기아리랑, 진도아리랑
◉춘향가 中 사랑가
◉아리랑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도 등재될 만큼 자랑스러운 우
리의 문화이다. 구전민요로 밀양아리랑, 정선아리랑, 경기아리랑,

선정이유

진도아리랑, 신아리랑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처럼 세계적인 우
리의 유산을 아이들이 학습함으로써 한국인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하
게 하는 것을 아리랑의 학습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여러 가지 곡을
배우기 전에 가장 국악적이고 대중적인 아리랑을 배움으로써 좀 더
국악과 친숙해질 수 있는 . (수정해주세요.!)
◉경기아리랑은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의 가사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인들이 가장 잘 알고있는 아리
랑이다. 세마치 장단으로 서울, 경기지역에서 발생되었다.
◉진도아리랑은 남도민요로 흥겨움이 특징이다.
◉‘아리랑’이라는 모티브는 같지만 조금 다른 두 민요를 배워 아리
랑에 여러 종류가 있다는 것을 가르쳐준다.
◉수연장지곡 1 장

선비음악 배우기

◉영산회상 中 타령
◉시조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아래 뫼이로다’

선정이유

◉수연장지곡은 전통 국악 연주곡 중에서 비교적 쉬운 곡으로 정간
보를 보며 연주하기도 쉽고 아이들이 쉽게 따라할 수 있기에 선정하
였다.
◉타령은 조선후기 선비들이 주로 향유하던 음악인 ‘ 영산회상’의
여덟 번째 곡이다. 비교적 속도감이 느껴지면서 흥겨운 곡이어서
궁중무용의 반주음악, 연회에서 많이 쓰인다. 전통음악은 아이들이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교적 쉬운 곡을 선택했다.
또한, 영산회상은 선비들이 즐겼던 음악이기에 아이들이 과거 우
리나라의 선비들이 풍류를 향유했다는 것에 주목하여 한국 문화를
이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조는 우리 민족이 만든 독특한 정형시의 하나로 원래 노래의 가
사로서 문학인 동시에 음악이다. 고려 후기에 이르러 신흥사대부들
이 역사적 전환기를 맞아 경기체가만으로 감당할 수 없는 유교적 관
념과 주관적 정서를 표현하기 위해 창안되었다 . 시조를 선택한 이
유는 타령과 마찬가지로 선비들의 문화 , 풍류를 아이들이 체험할
수 있게 하기위해서이다.
‘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아래 뫼이로다 ’는 태산이 아무리 높아봤자
하늘아래의 산이란 뜻이다. 시조의 가사를 설명해주며 아이들이 옛
문화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사 중에 비교적 쉬운 노래
로 아이들도 금방 따라 할 수 있는 곡이이서 선정했다.
현장학습

◉국립국악원 방문
◉종묘와 한국민속촌 방문
◉우리나라에서 국악의 역사를 체험할 수 있고 실제로 여러 다른 국
악기를 체험할 수 있는 국립국악원을 방문하여 국악을 배워나가는
아이들이 국악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고 많은 것을 느끼며 국악에
대한 애정을 키우는 기회를 제공하게 위해 첫 번째 현장체험학습 장
소로 국립국악원을 정하였다. 이와 함께 국립국악원 앞마당에서는
사물놀이와 같은 다양한 전통 공연을 보여주고 전통 놀이를 직접 해
볼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국립국악원으로의 현장체험 학
습은 아이들이 한국의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
으며, 그를 통해 아이들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나갈 수

선정이유

있도록 한다.
◉종묘제례악은 조선의 역대 군왕의 신주를 모시는 종묘와 영녕전의
제향에 쓰이던 음악으로 엄격한 절차를 바탕으로 하고 그 음악성을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에 지정되었다. 종묘에서는 이러한
종묘제례악을 엄격한 절차와 형식에 따라 재현하는 행사를 한다.
아이들은 그러한 행사를 보면서 막연하게만 느꼈던 국악을 실제로
듣고 보는 기회를 갖는다. 또한 한국민속촌은 과거 우리나라의 생
활 양상을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아이들은 한국민속촌을 구경하면
서 국악의 주요 시대 배경이 되는 과거 한국의 생활모습을 이해하고
국악에 더욱 더 쉽게 다가갈 수 있게 된다.

창작음악 배우기
선정이유

◉Let it be
◉You raise me up
◉Let it be 는 메카트니(비틀즈) 가 14 살 때 유방암으로 돌아가신
어머니가 꿈에 나와 자신에게 용기를 준다는 내용이다 . 이 곡을 선
정한 이유는 아이들에게 용기를 주기 위해서이다 . 가사의 내용을
이해하고 조금이라도 아이들의 마음이 치유됐으면 한다 . 또한 멜로
디 라인도 매우 익숙하고 반복구가 많아서 아이들이 악기로 연주하
기 좋을 것 같아 선정했다.
가사 일부분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내가 근심의 시기에 처해 있을 때
어머니 메리가 다가와
지혜로운 말씀을 해주셨어
"그냥 그대로 둬"
암흑의 시간 중에도
지혜의 말씀을 속삭여 주셨어
그냥 그대로 두라고
세상의 모든 상심한 사람들마저도
그냥 그대로 두라는 말에
해답이 있다는 것에 동의를 하지
헤어진다 할지라도
(다시) 만날 기회는 있어
모든 게 풀릴 거야
구름 덮힌 밤일지라도
다음날이 밝을 때까지
여전히 날 밝혀줄 등불은 있어
◉You raise me up 을 선정한 이유도 Let it be 와 같다.
You raise me up 의 가사 일부분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내 영혼 힘들고 지칠 때
괴로움 밀려와
나의 마음 무겁게 할 때
나는 여기에서
고요히 당신을 기다립니다
당신이 내 곁에 오실 때까지
당신이 날 일으켜 주시기에
정상에 우뚝 서 있을 수 있고
당신이 날 일으켜 주시기에
폭풍의 바다도 건널 수 있습니다
당신이 날 떠받쳐 줄 때
나는 강해집니다
당신은 날 일으켜
나보다 더 나은 내가 되게 합니다.
국악 함께하기

◉창극<놀부흥부>
◉<놀부흥부>라는 한국 설화를 선정한 이유는 한국 설화를 공부하는
것은 그 속에 녹아 있는 한국인의 정신 , 생활, 관습, 심성을 이해

선정이유

하는 지름길이 되기 때문이다 . 설화에는 한국인의 전통적인 관습
및 가치관 등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 한국인들이 중시
했던 관습과 미덕, 예의범절을 이해할 수 있다. 설화의 내용을 이
해한 후 속담, 수수께끼 등 다른 구비문학도 적절하게 학습한다면

▶ 차시별 프로그램
위에서 제시한 대략적 구성과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한 구체적 학습주제, 학습내용
그리고 학습목표는 다음 <표>들과 같다.

< 표 3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1 차시
차시
학습주제

학습내용

학습목표

1 차시

참석인원

국악감상 및 국악기탐색 - 악기
정하기
국악에 대한 친밀감을 높이기
위해 국악감상을 실시하고 국악
기를 탐색한 후( 세부적인 이론

15 명

민요, 판소리, 정가(시조) 보
고 듣기 - 샤우팅 배우기

포함) 자신에게 맞는 악기를 정

민요, 판소리, 정가(시조)에 대
하여 배우고 소리를 내지르는
샤우팅 기법을 배워본다.

해본다.
국악에 대한 감상과 국악기정하
기를 통해 국악에 대해 익숙해
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악소리에 대해 학습하고 직접
해봄으로써 스트레스를 해소하
고 자신감을 높이는 것을 목표
로 한다.
1 차시는 국악에 대한 감상과 국악기정하기를 통해 국악에 대해 익숙해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악에 대해 이질감을 가진 아이들에게 국악연주를 보여줌으로써 친밀감을 높인다.
강사들이 직접 악기를 연주하며 악기에 대한 세부내용을 가르친다. 아이들은 자신이 마음
에 드는 악기를 정하고 악기에 대한 친밀감을 높이기 위해 악기를 마음대로 연주해 보게 한
다. 가야금 4 명, 거문고 4 명, 해금 4 명, 피리 3 명으로 인원을 제한하여 국악 오케스트라를
구성한다.
민요, 판소리, 정가(시조)에 대한 영상을 보여주고 강사가 직접 소리를 들려주며 아이들
이 소리에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한다. 판소리에서 중요한 창법인 ‘샤우팅’을 배
움으로써 아이들이 소리를 내지르며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게 하며 자신감을 높일 수 있
도록 한다. 강사가 먼저 소리를 지르면 아이들도 따라 소리를 지르게 하는 방식으로 수업
을 진행한다. 어색함 없이 모두 참여할 수 있도록 자유로운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
하다.

< 표 4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2 차시
차시
학습주제
학습내용

학습목표

2 차시

참석인원

한국음악의 음계, 정간보 알기
- 음계, 정간보 연습하기
한국음악의 특수성인 음계와 정
간보읽는 법을 배우고 소리내
본다.
국악 연주를 위한 음계와 정간
보를 학습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실제 연주에 활용할 수 있는 것
을 목표로 한다.

15 명

복식호흡 및 샤우팅
복식호흡으로 이루어진 샤우팅
을 배워보고 어색하지 않게 계
속 반복 연습한다.
국악 소리 낼 때 필요한 기법에
대해 배워보고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국악의 음계인 黃-太-仲-林-南을 익히고 국악의 악보인 정간보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과
정간보를 보는 방법을 학습힌다. 정간보는 조선 세종이 음의 시가를 알 수 있게 창안한 유
량악보로 프로그램 전반에 이루어질 국악기 연주를 위해 꼭 필요하다. 우선 강사는 개별적
으로 각각의 악기에 대해 소리내는 법을 가르친다 . 그 후 음계를 알맞게 연주하는 법과 정
간보를 보는 방법을 직접 악기 연주를 하며 연습할 수 있도록 한다 . 아이들이 악기 연주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반복하여 학습시킨다.
복식호흡은 심신의 안정을 도모하고 발성을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 강사는 아이들에게
복식호흡을 이용한 샤우팅을 연습시킨다. 이때도 아이들이 익숙해질 수 있도록 반복학습이
필요하다. 이러한 샤우팅 창법은 아이들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더 나아가 자신감을 회복
하는데 도움을 준다.
< 표 5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3 차시
차시
학습주제
학습내용

학습목표

3 차시

참석인원

악기 및 정간보 읽기 연습
악기를 직접 소리내보고 음계를
순차적으로 연습하며 정간보를
읽어본다.
악기 소리 내는 법을 배워 익숙
해지고 정간보를 바탕으로 음악
을 연주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5 명

민속놀이 배우기 - 대문놀이
대문놀이의 노래를 배우며 놀이
도 같이 배우며 학습한다.
한국의
하면서
께하는
향상을

전통 놀이인 대문놀이를
한국 문화의 학습과 함
참가자들 간의 친밀도
목표로 한다.

2 차시의 배운 내용을 복습하여 학생들이 이전에 배웠던 내용을 상기할 수 있게 도와준다.
3 차시에는 정간보의 음계 뿐 아니라 음가 (음의 길이=박자)에 대한 학습도 같이 이루어진다.
정간보를 보며 악기를 연주하는 것에 익숙해지게 하여 이후에 이루어질 곡의 연주에 도움
이 될 수 있게 한다.
이전 시간에 배웠던 ‘샤우팅 창법’에 대한 복습을 한다 . 그 후, 한국의 민속놀이인 대
문놀이를 배우는 시간을 갖는다. 먼저, 강사가 대문놀이를 할 때 부르는 노래를 알려준다 .
아이들은 이 노래를 따라하며 익숙해지는 시간을 갖고, 이 후 강사는 대문놀이의 놀이 방
법을 알려주고 아이들이 놀이를 같이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대문놀이에서는 스킨십을 통
해 아이들 간의 친밀감을 높여주고 우리 민속놀이를 알아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민속놀이인 대문놀이를 해봄으로써 한국 문화에 대해 배우고 그를 통해 한국인으로서의 정
체성을 확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표 6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4 차시
차시
학습주제
학습내용

학습목표

4 차시

참석인원

15 명

악기 및 수연장 1 장 연습
민속놀이 배우기 - 강강술래
정간보 읽기를 바탕으로 쉬운 강강술래의 노래를 배우며 놀이
수연장지곡 1 장을 연주해 본다. 도 같이 배우며 학습한다.
한국의 민속놀이인 강강술래를
학습자들이 정간보를 보면서
함께 하면서 한국 문화의 학습
‘ 수연장지곡 1 장 ’ 을 연주할
과 참가자들 간의 친밀도 향상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을 목표로 한다.

앞서 배운 정간보 읽기를 바탕으로 수연장지곡 1 장에 대해 전반적인 학습을 하고 곡을 연
주해 보는 시간을 갖는다. 수연장지곡은 궁중음악으로 ‘밑도드리 ’라고도 불린다. ‘도드
리’는 ‘되돌아든다, 계속 돈다’라는 뜻으로 같은 음계, 음가로 진행되는 곡이다. 그렇
기 때문에 수연장지곡은 국악 곡 중 비교적 쉬운 곡으로 국악 입문자들의 대표적 연습곡이
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수연장지곡 1 장을 연주해봄으로써 아이들이 본격적으로 국악기
연주에 흥미를 붙일 수 있게 한다.
이전 시간에 배웠던 민속놀이인 대문놀이의 학습 순서와 같이 강강술래에 대한 학습을 진
행한다. 민속놀이인 강강술래를 할 때 부르는 노래로 먼저 배운 뒤 강강술래의 놀이 방법
을 가르쳐 준 후 아이들이 서로 손을 맞잡고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 강강술래 역시 대
문놀이와 같이 아이들 간의 스킨십을 통해 서로 친해질 수 있도록 한다.
< 그림 2 > 수연장지곡 정간보
< 표 7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5~8 차시
차시

5~8 차시

참석인원

학습주제

민속음악 배우기 - 아리랑 탐색
및 직접 연주하기

학습내용

아리랑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과
영상을 감상하며 경기아리랑과
진도아리랑을 연주해본다.

학습목표

한국의 전통 민속음악인 아리랑
에 대한 전반적인 학습과 국악
기를 활용한 아리랑 연주를 목
표로 한다.

15 명

민속음악 배우기 - 민간음악에
대한 이해 및 소리 배우기
민요, 판소리 등의 민간음악 풍
류에 대하여 배우고 경기아리랑
과 진도아리랑을 소리로 배워본
다.
민간음악에 대한 학습과 아리랑
의 소리를 직접 들어보고 해보
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민속음악을 배우는 차시로 서민의 음악 , 풍류에 대하여 학습하는 시간을 갖는다 . 서민의
옷차림, 그들의 문화, 풍습을 영상으로 제시해 학습하고 그를 바탕으로 ‘민속음악’을 이
해할 수 있게 한다. 강사는 민요와 판소리의 음악적인 차이점을 알려주고 직접 불러주어
그 차이점을 학습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리랑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을 학습하고 그에 대한 영상을 감상한다. 아리랑의 종류인
경기아리랑과 진도아리랑의 차이점을 설명해준 뒤 5~6 차시는 경기아리랑을, 7~8 차시는 진
도아리랑을 배우는 시간을 갖는다. 강사는 아리랑을 배우기 전 아리랑에 사용되는 장구장
단을 무릎장단으로 가르쳐준다. 경기아리랑, 진도아리랑 모두 세마치장단을 사용하여 아이
들이 쉽게 따라 할 수 있다. 노래를 먼저 배우고 악기연주법은 노래를 배운 뒤 학습한다 .
강사가 부르면 아이들은 따라하는 형식으로 노래에 대한 학습을 진행하고 악기는 악기의 종
류에 따라 개별 선생님에게 정간보를 통해 배운다. 노래와 악기를 병행해서 배운 뒤 2 개의
조로 나누어 한 조는 노래를, 다른 한 조는 악기를 연주하며 흥을 돋운다 . 강사는 장구를
쳐주어 아이들이 박자를 잘 따라할 수 있도록 한다.
< 그림 3 > 아리랑 정간보
< 표 8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9~10 차시
차시

9~10 차시

참석인원

15 명

학습주제

선비음악 배우기 - 타령 배우기

선비음악 배우기 - 정가 배우기

학습내용

영산회상 중 타령 1,2 장 탐색
및 직접 연주해보기

학습목표

한국의 선비음악인 타령에 대하
여 배우고 그 선율을 바탕으로
자신이 선택한 악기로 연주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조탐색 및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배우기
춘향전의 내용을 학습한 후 판
소리 춘향가 내에 나오는 소리
를 배워 파트너와 소리를 연습
해보며 소리에 대해 익숙해지고
친구와 친해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선비음악을 배우는 차시로 선비음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그에 대한 영상을 보고 그
와 함께 이론적인 내용을 학습하는 시간을 갖는다 . 민속음악과 마찬가지로 선비들의 문화,
옷차림 등을 제시해 주어 선비음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도록 한다 . 영산회상 中 타령의
음원을 들려주고 이 곡이 활용되는 양상을 설명해준다. 정간보로 음계, 음가를 알려주고
그 다음 악기로 연주할 수 있도록 연주 방법을 가르쳐준다 . 강사가 직접 연주해 주고 아이
들이 그것을 따라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되, 강사는 아이들의 운지법 등을 고쳐주며
진행하도록 한다. 아이들이 학습에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9 차시는 1 장을, 10 차시는 2 장
을 알려준다.
선비음악의 종류인 시조 중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줄여서 “태산이” )’를
학습하는 시간을 갖는다. 시조의 시김새는 어려우므로 시김새보다는 가사의 뜻과 선비들의
생활이나 풍류에 초점을 두고 가르쳐준다 . ‘태산이~’ 를 끝까지 가르쳐 주는 것이 아니고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 부분만 가르쳐 준다. 강사가 먼저 선창하면 아이
들이 후창하는 형식으로 진행한다. 계속 반복하여 아이들이 쉽게 외울 수 있도록 한다.

< 표 9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11~12 차시
차시

11~12 차시

참석인원

학습주제

선비음악 배우기 - 타령배우기

학습내용

영산회상 중 타령 3,4 장 탐색
및 직접 연주해보기

학습목표

앞서 배운 타령에 대해 복습한
후 그에 이어서 타령의 다른 장
을 자신이 선택한 악기로 연주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5 명

민속음악 배우기 - 판소리 춘향
가 中 사랑가 배우기
사랑가의 소리와 아니리를 배운
뒤 짝을 지어 연습해 보기
한국의 선비 음악인 정가에 대
한 전반적인 학습을 하여 익숙
해지고 정가인 ‘테산이 높다하
되 하늘아래 뫼이로다’를 배우
고 직접 소리내어 부를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9~10 차시의 학습형식과 동일하게 진행한다. 11 차시는 타령 3 장을, 12 차시는 타령 4 장을
학습한다.
판소리 춘향가 중 사랑가를 배운다 . 판소리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사랑가에 대한 내용적
설명을 해주고 강사가 직접 곡을 불러 학생들에게 들려준다 . 가사집(가사가 적힌 종이)을
나누어 주어 아이들이 강사의 지도에 잘 따라올 수 있게 한다 . 강사는 아니리(말 하는 부
분) 부분과 소리(노래)부분을 나누어 가르친다. 아니리 부분은 아이들이 직접 가사를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흥미를 유발한다 .(예를 들어, "애고 여보 도련님은 기운 세어서
업었거니와 나는 기운 없어 못 업겠소." "나도 너를 업고 좋은 말을 하였으니, 너도 나를
업고 좋은 말 하여라." "그러면 업히시요. 좋은 말 하오리다." 이 부분을 “ 애고 어머니
오라버니는 기운 세어서 공부했거니와 나는 기운 없어 못 하겠소 .” “ 나는 너를 낳고 좋은
말만 해줬으니, 너도 나를 위해 좋은 일만 하여라” “에이... 그러면 하겠소. 공부 하오
리다” 이렇게 바꿀 수도 있다). 소리부분은 가사에 맞게 반복하여 학습한다. 강사가 선창
하면 아이들이 후창하는 형식으로 학습을 진행한다. 한 장단씩 가르치며 2 차시에 나누어
학습한다.

< 표 10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13 차시
차시
학습주제
학습내용
학습목표

13 차시

참석인원

15 명

현장학습⑴ - 국립국악원 방문
국립국악원을 방문하여 국악기 박물관을 관람 한 후, 사물놀이를
체험한다.
실내에서 영상자료와 학습으로만 접했던 국악기와 한국의 전통
문화에 대해 실제로 체험하는 시간을 가지며 한국 문화에 대해
친숙하고 익숙해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13 차시에서는 현재까지 실내에서 이루어졌던 학습의 연장선으로 현장체험학습을 진행한다.
총 두 번의 현장학습을 계획하고 있는데 그 중 첫 번째 현장학습 장소로 국립국악원을 선
정하였다. 학생들이 각자 자신이 연주하고 있는 국악기 외에 다른 여러 국악기들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국악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국립국악원에서
행해지는 사물놀이 공연을 감상하고 여러 민속놀이를 체험해 보면서 한국문화에 대해 친숙
해지고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기회를 만들어준다.

< 그림 4 > 국립국악원 전경
< 표 11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14~15 차시
차시

14~15 차시

참석인원

15 명

창극 만들기 <창극‘놀부흥부’
학습주제

복습하기 - 수연장지곡, 타령,
아리랑 합주하기

학습내용

복습하기 - 수연장지곡, 타령,
아리랑을 복습하고 합주를 해본
다.

학습목표

현재까지 배웠던 수연장, 타령,
아리랑의 연주법과 음계에 대해
점검하고 친구들과 합주하며 자
신감과 자존감을 느끼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및 소리 복습하기 - 자신의
경험 이야기하기 및 창극배역
정하기
소리를 복습한 후 자신의 경험
이 들어간 창극을 만들기 위해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고 배역
을 정해본다.
학생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할
창극의 창작을 위해 서로의 이
야기를 공유하고 공감할 수 있
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까지 학습한 수연장지곡, 타령, 아리랑을 복습하고 점검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학생
들은 개인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강사에게 각자 지도받고 마지막 20 분은 다같이 합주를 해
보는 시간을 갖는다. 합주를 지휘하는 강사는 학생들의 박자를 잡아주기 위해 장구를 쳐주
고 개별 악기를 지도하는 강사들은 아이들이 곡의 박자에 따라올 수 있게 같이 연주를 해준
다. 14, 15 차시 모두 복습을 하고 합주를 해보면서 나의 음악과 다른 사람들의 음악을 맞
춰보는 시간을 갖는다.
창극 ‘놀부흥부’를 만들어 본다. 14 차시는 설화 흥부와 놀부의 내용을 알려주어 아이들
의 이해를 돕는다. 설화의 내용과 비슷하게 창극 대본을 만들어 배부한다.(강사들이 전에
있던 대본을 아이들의 수준에 맞추어 고친다 ) 창극의 내용을 바탕으로 15 명이 각자의 배역
을 정한다. 배역을 정할 시에는 강사의 지도하에 자율적이고 공정하게 정한다 . 강사는 아
이들에게 연극의 장르적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연기하는 방법과 주의할 점에 대해 가르쳐
준다. 15 차시는 본격적으로 연습에 들어간다. 1 막을 위주로 연습하며 강사들은 아이들이
대본을 외울 수 있게 도와준다.

< 표 12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16 차시
차시
학습주제
학습내용
학습목표

16 차시

참석인원

15 명

현장학습⑵ - 종묘와 한국민속촌 방문
종묘에서 종묘제례를 감상하고 한국민속촌을 방문하여 민속놀이
를 체험한다.
실내에서 영상자료와 학습으로만 접했던 한국의 전통 음악인 종
묘 제례를 실제로 들어보고 한국의 민속놀이를 체험해보면서 한
국 문화에 더 가까워지고 친숙해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립국악원으로의 첫 번째 현장학습에 이어 두 번째 현장학습의 장소는 종묘와 한국민속
촌으로 정하였다. 종묘에서는 한국의 궁중 음악인 종묘 제례악을 옛날 방식으로 그대로 재
현한 것을 학생들이 직접 보면서 생소한 궁중 음악을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또한 한국민속촌에서는 과거 한국의 생활 모습을 직접 재현해 놓은 장소를 보면서 한국인
의 문화를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한다. 이렇게 현장학습을 통
해 학생들이 한국의 문화를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배울 수 있게 하면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
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그림 5 > 종묘제례악

< 그림 6 > 한국 민속촌 전경

< 표 13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17~20 차시
차시
학습주제

17~20 차시

참석인원

창작곡 배우기 - Let it be 와
You raise me up 배우기

15 명

창극 만들기 -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창극 만들기
학습내용

학습목표

Let it be 와 You raise me up
을 한글가사로 설명한 뒤 악기
로 연주해보기
학생들에게 국악의 새로운 모습
을 보여주고 연주시켜 체험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이 국악에 더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한다.

자신의 이야기를 극의 투입하여
<창극‘놀부흥부’>를 만든다.
앞 시간에 나누었던 이야기를
바탕으로 창의적으로 창극을 창
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17~20 차시는 국악과 팝송이 만난 퓨전 창작곡을 배우는 시간이다. 강사는 팝송인 Let it
be 와 You raise me up 의 노래를 들려주고 한글로 번역된 가사를 알려주어 같이 부르게 하
여 가사의 뜻을 학생들이 이해하도록 돕는다. 노래의 전체를 연주하는 것이 아닌 후렴구만
을 연주하도록 하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편집된 정간보 악보를 준다. 공연 때 후렴구를 3 번
반복 연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7~18 시는 Let it be 를, 19~20 차시는 You raise me u
p 의 연주법에 대해 학습하도록 한다.
14~15 차시의 내용을 이어서 연습하도록 한다 . 17 차시는 2 막을, 18 차시는 3 막을, 19 차
시는 4 막을 연습한다. 20 차시는 총 정리 시간으로 강사는 아이들이 대본을 확실하게 외웠
는지 점검하도록 한다.

< 표 14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21~22 차시
차시
학습주제
학습내용 및 목표

참석인원
21~22 차시
15 명
연습 및 복습하기
현재까지 배웠던 내용을 복습하여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고 공연
을 준비하는 시간을 갖는다.

21~22 차시는 연습 및 복습하는 시간이다. 공연에 앞서 무대매너를 아이들에게 알려준다 .
(인사법, 입장 퇴장 시 유의사항, 동선, 자리배치 등) 그 다음 수연장, 타령, 아리랑 2 곡,
창작곡 2 곡을 다 같이 합주하며 맞춰본다. 부족한 아이들은 강사가 개인지도하며 합주의
형태로 연습한다. 강사는 공연 시 아이들의 자리배치를 정해준다. 22 차시는 실제 공연을
하는 것처럼 배운 곡들을 쭉 이어서 합주하는 형태로 수업을 진행한다. 강사는 장구장단과
구음(말, 노래)으로 아이들을 지도한다.
21~22 차시 모두 아리랑과 태산이, 사랑가를 연습하고 창극을 복습 후 연습한다.

< 표 15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23~24 차시
차시
학습주제
학습내용 및 목표

참석인원
23~24 차시
15 명
리허설 및 공연
공연을 통해 아이들이 자존감과 자신감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
다.
23 차시에는 아이들과 공연장에 가본다. 아이들은 무대 의상을 입고 실제 공연처럼 연습을
한다. 강사는 마이크의 위치와 아이들이 옷을 갈아입을 수 있는 시간을 체크하고 공연 시
필요한 물품(물, 간식, 마이크, 메이크업, 공연복 등)등을 체크한다. 무대 인사, 입장, 퇴
장 모두 실제 공연과 같이 진행하며 강사들은 아이들의 동선을 교정해준다. 창극을 할 때
장마다 바뀌는 무대 배경도 체크한다.
24 차시는 공연을 진행한다. 공연에는 학교 친구들과 부모님을 초청한다. 관객들 앞에서
여태까지 준비한 멋진 공연을 보여준다. 공연을 하면서 자신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기
르고, 자존감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연프로그램 기획
1 부 입 퇴장 인사 포함 (30 분)

인터미션 15 분 (쉬는시간)

수연장 1 장
타령 (7 분)
태산이~
사랑가 (5 분)
경기아리랑 진도아리랑 (7 분)

2 부 놀부흥부 창극 (45 분)
- 암전 속, 아이들은 무대 위에 앉아있고 막이 오르고 불이 켜진 뒤 단체로 수연장과 타령
을 연주한다.
- 연주가 끝난 후 아이들은 인사를 한 뒤 무대뒤에 악기를 두고 다시 재입장 한다 . 강사들
의 반주로 아이들은 태산이와 사랑가를 노래한다. 노래 후 아리랑을 진행한다. 아리랑은
악기 7 명과 노래 8 명으로 공연한다.
- 1 부가 끝나고 막이 쳐진 후 인터미션 15 분을 갖는다. 이 시간동안 무대배경은 창극으로
바뀌며 아이들은 창극의상으로 갈아입고 마이크를 설치한 후 대기한다. 2 부의 막이 오르고
창극공연을 진행한다.
- 모든 공연이 종료되고 무대에 출연한 아이들 모두 무대 위에서 인사를 한다 . 막이 내려
오고 공연이 끝난다.

[평 가 지 ]
1.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동기는 무엇입니까?
① 주변의 권유 ② 필요해서 ③ 관심 있어서 ④ 모른다
2. 프로그램의 교육시간은 적절 하였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3. 프로그램은 흥미로웠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4. 프로그램의 학습내용에 만족합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5. 프로그램의 난이도는 어려웠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6. 프로그램이 한국문화 이해에 도움 되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7. 프로그램을 통해 국악에 대해 이해하였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8. 가장 재미있었던 강습은 어느 것 입니까?
① 악기

② 성악

③ 한국 문화

④ 전래놀이

⑤ 없다

④ 전래놀이

⑤ 없다

④ 전래놀이

⑤ 없다

9. 더 배우고 싶은 강습은 어느 것 입니까?
① 악기

② 성악

③ 한국 문화

10. 가장 어려웠었던 강습은 어느 것 입니까?
① 악기

② 성악

③ 한국 문화

11. 프로그램에 다시 참여할 의향이 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12. 프로그램이 자신감 회복에 도움 되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13. 프로그램을 다른 지인들에게 권유할 의향이 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참고문헌자료
문진숙(2004), 개념접근법에 의한 국악감상 체험활동이 국악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추

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박경동(2008), 다문화가족 형성과 갈등에 대한 연구 : 한국의 광주·전남지역 사례를 중심
으로.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변영계,이상수(2003), 수업설계, 학지사
서원준(2010) 다문화가정 자녀의 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
원
신은식(2010),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국악 장단 학습 방안 : 초등학교 4 학년을
중

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이정진(2011), 존 듀이의 교육철학으로 접근한 '창의적 국악교육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
교

5.6 학년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철원(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프로그램 구안 및 활용방안 : 자아존중감과 대인관
계능

력 향상을 중심으로. 국제문화대학원대, 사회복지학

이혜진(2012),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

과.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한지화(2011), 유아국악교육 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 연구.우석대학교
황경아(2004), 교육연극이 초등영어 말하기 능력과 흥미도·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
육
대학교 교육대학원
연합뉴스, 2011/07/31, 국제결혼 증가세 주춤…지방은 여전히 높아
http://blog.naver.com/snpostkim?Redirect=Log&logNo=100165382873
http://blog.naver.com/jgb_mania?Redirect=Log&logNo=40041319247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066814&categoryId=20000183
3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61058&mobile&categoryId=2
00000428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92&contents_id=4239

Weitere ähnliche Inhalte

Ähnlich wie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혜원 정
 
et_studio_2_20110926_v5
et_studio_2_20110926_v5et_studio_2_20110926_v5
et_studio_2_20110926_v5
Soyoung Lee
 
et_studio_2_20110926_v5
et_studio_2_20110926_v5et_studio_2_20110926_v5
et_studio_2_20110926_v5
Soyoung Lee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혜원 정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혜원 정
 
2007영어교사 심화연수(culture acquisition)
2007영어교사 심화연수(culture acquisition)2007영어교사 심화연수(culture acquisition)
2007영어교사 심화연수(culture acquisition)
Vivian Chang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혜원 정
 
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
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
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
혜원 정
 
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
ki544
 

Ähnlich wie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20)

Edu46 2
Edu46 2Edu46 2
Edu46 2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호그와트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호그와트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호그와트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호그와트_탐방 계획서
 
et_studio_2_20110926_v5
et_studio_2_20110926_v5et_studio_2_20110926_v5
et_studio_2_20110926_v5
 
et_studio_2_20110926_v5
et_studio_2_20110926_v5et_studio_2_20110926_v5
et_studio_2_20110926_v5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꽃다운친구들 소개 (Introduction of Kochin)
꽃다운친구들 소개 (Introduction of Kochin)꽃다운친구들 소개 (Introduction of Kochin)
꽃다운친구들 소개 (Introduction of Kochin)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감성忠만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감성忠만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감성忠만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감성忠만_탐방 계획서
 
2007영어교사 심화연수(culture acquisition)
2007영어교사 심화연수(culture acquisition)2007영어교사 심화연수(culture acquisition)
2007영어교사 심화연수(culture acquisition)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jy2
jy2jy2
jy2
 
학생언어표준화
학생언어표준화학생언어표준화
학생언어표준화
 
교사언어표준화
교사언어표준화교사언어표준화
교사언어표준화
 
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
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
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한 베 문화 교류 센터 소개2
한 베 문화 교류 센터 소개2한 베 문화 교류 센터 소개2
한 베 문화 교류 센터 소개2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 1. < 교육공학 - 강명희 교수님 > 하모니 오케스트라 - 서로 다른 우리들의 국악 연주 < 삼총과 > 1210005 김성지 1011202 홍지혜 1346013 서희림 1346030 장은서 목차 1.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반작업 1) 학습대상 2)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3) 본 프로그램의 취지·목적 4) 학습 원리 5) 학습 내용 6) 학습 전략 7) 교수방법 2. 프로그램 설계 3. 프로그램 진행 4. 공연 프로그램 기획 5. 평가지 6. 참고문헌자료
  • 2.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반작업 1. 학습대상 다문화가정은 한 가족 내에서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국적에 따 른 차별성을 내포하고 있던 국제결혼가족이라는 용어를 대신한다. 내국인과 외국인이 결혼 한 가정을 일컫는 표현은 크게 '혼혈인가족(서로 다른 인종 간 태어난 자녀)', '국제결혼 가족(국경을 넘나드는 결혼의 형태)', '다문화가족(다양한 가족의 형태 중 하나)' 등 세 가지로 압축된다. 최근에는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가족 , 한국인 여성과 결혼한 이 주남성가족, 이주민가족(이주노동자, 유학생, 탈북자 등)을 포함해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 다. 최근 저임금 외국인 노동자의 고용정책으로 외국인의 한국 이주가 증가하고, 주변 국 여성이 빈곤탈출을 위해 한국인 농촌남성과 결혼하는 사례가 빈번해지면서 미혼모의 혼 혈아동문제, 빈곤문제, 교육문제 등 여러 사회문제가 발생됨에 따라 이들을 우리 사회의 한 일원으로 포섭하고, 이들로부터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차별적 의미가 담긴 국제 결혼ㆍ이중문화가정 등으로 불리던 국제결혼가족을 새로운 개념의 '다문화가정'으로 부르 게 되었다. 본 기획안에서는 다문화가정을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가족만을 지칭하는 동시에 프로그램 학습대상자는 앞서 정의한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며 연령은 초등학교 4 학 년-6 학년으로 제한한다. 국악교육의 대상을 초등학교 고학년인 4~6 학년으로 한정지은 것은 사춘기를 겪을, 혹은 이미 사춘기를 겪고 있는 학생들에게 보다 바람직한 자아상을 제공하여 차별로부터 벗 어난 올바른 사고를 함양시키기 위해서이다 . 다문화 가정의 경우 중등학생이 초등생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낮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개입이 초등생보다 중등학생에게 더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이철원,2007) 본격적으로 예민하고 내부적으로 혼란스러운 사춘기에 접어들기 전에 자존감을 높이고 다문화가정 자녀 의 스트레스의 주된 요인인 사회적 편견과 이중문화에의 노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면, 사회적 약자라는 인식으로 자괴감에 빠지거나 탈선하는 행 위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2.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1) 국제결혼의 증가 추세와 그에 따른 다문화 가정 자녀 수의 급증 우리나라에서 국제결혼은 2005 년 전체 결혼건수의 13.6%를 차지하였으며, 이후 국 제결혼이 연간 3 만 건대로 낮아지면서 국제결혼의 비중 역시 2006 년 11.7%, 2007 년 10. 9%, 2008 년 11.0%, 2009 년 10.8% 등 하향 추세를 보이긴 하나 10%를 상회하여 지속적으
  • 3. 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 사회의 여성에 대한 수요 및 전 세계적인 추 세로, 국제결혼은 하나의 메커니즘이 되었다 . 이에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은 매우 빠른 속 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다문화 가족 및 다문화가족 자녀의 수 도 급증하고 있다 . 특히 다문 화가족 자녀는 06 년에는 25 천명에서 7 년에는 44 천명, 08 년에는 58 천명, 09 년은 103 천 명으로 매년 증가추세이며, 6 세 이하는 57.1%, 만 7 세~12 세가 32.2%로 영 유아가 대다수 를 차지하고 있다. 다문화 가족 자녀들은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편견과 문화적 차이의 어려움, 언어습 득 환경의 어려움, 정체성 형성의 어려움, 학교적응의 어려움, 경제적 문제에 따르는 어려 움 등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힘들게 생활하고 있다. 향후 몇 년 후에 다문화가족 자녀의 수의 57.1%를 차지하는 6 세 이하의 아이들이 학령기가 될 때, 정부에서 시행하는 여러 가 지 정책이 다문화가정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기에는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다문화 자녀들의 많은 부분이 아시아계 혼혈계통임을 고려할 때 , 다문화 자 녀들이 개발도상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팽배하는 한국사회에서 차별 없이 생활하기는 어 려운 실정이다. 다문화 자녀들은 기본적으로 자신의 주변 친구들과는 다른 외모, 어눌한 발음에 자괴감을 느끼고 스스로를 열등하게 간주한다. 이들의 다른 외모와 한글능력에 대 한 주위의 조롱과 비난 또한 다문화 자녀들이 느끼는 자괴감을 심화시킨다. 현재 한국사회는 다문화를 수용해 본 역사적 경험이 짧고, 순혈주의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특성 때문에 이주여성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증폭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과장 된 모습에는 그들을 비정상적인 가족 등 사회문제의 원천으로 보는 시각, 위장 결혼 자가 대부분이라고 보는 시각 등이 혼란스럽게 편재되어 있다. 이러한 사회적 인식은 학교사회 에도 유입되어 다문화 가정 학생들에 대한 편견 현상이 있다고 볼 수 있다.(박경동,2008) 이에 우리 사회에서 이들을 특별한 존재로 간주하거나 편견을 가지고 보는 것이 아 니라 다문화의 특성과 수용방법을 고려하여 이제는 사회적 이슈가 된 다문화가정 자녀문제 를 다루어야 한다. 다문화가족 자녀들을 문화적으로 풍부한 사고를 가진 글로벌한 인재로 육성시켜 세계화의 변화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우리 사회의 훌륭한 인적자원으로 성장시켜 야한다.
  • 4. 2)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이 겪는 어려움 ⓵ 한글능력 중부대 한국어학과와 TJB 취재팀이 금산 제원초등학교의 다문화 학생들을 대상으 로 실시한 한글능력검사 결과, 일반학생들의 평균점수는 87.5 점, 다문화 가정 아이들은 74. 4 점으로 평균점수가 무려 13 점이나 차이가 났다. 특히 한글 연결어미와 논리력, 추리력 면에서 일반 학생들과 차이가 두드러졌다. 이와 더불어 조사결과,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학교에서 겪는 어려움으로 한글 문제가 차지하는 비율은 56%로 가장 많았다. 전문가들은 한국말을 잘 구사하는 것과 한글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당당한 한국인으로 살아가는 필수 요건이라고 한다. 영어회화능력이 부족해도 자신감을 상실하는 요즘 아이들이 모국어인 한 국어를 제대로 구사하지 못한다면 그로 인해 상당한 열등감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 언어는 일상생활과 직결된 문제이니만큼 언어능력의 부족은 자신감 상실에 결정적 인 역할을 한다. 부정확한 발음, 한정된 단어의 구사 등 언어능력부족과 그로부터 오는 자 신감 상실은 다문화 학생들의 학교에서의 사회생활에도 영향을 미쳐 이후 학습문제, 또래 문제 등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⓵ 정서불안심리 - 공격성향, 학습동기저하 TJB 취재팀의 ‘문화 희망프로젝트’가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그림을 통한 심리 검사를 한 결과 다문화 학생들의 공격성향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다문화 학생들이 그린 그림에는 칼과 총, 거꾸로 매달려 죽은 사람, 날카로운 칼을 든 사 람, 미사일, 폭탄, 사선으로 흰 종이 1 장을 온통 검게 칠한 낙서와 총싸움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 5. 조경덕 배제대 심리철학과 교수는 이러한 그림은 일반 학생들과 차이 나는 것에 대 한 배려를 못 느끼다보니 내면적으로 쌓인 분노의 표출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덧붙여 가정 에서도 부모님과 같이 보내는 시간 적다보니 결국 칼이나 폭탄 등 공격성으로 나타나고 있 다고 전했다. 아이들의 분노가 실제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공격성 검사에서는 놀 랍게도 다문화 학생 14 명 가운데 6 명이 높은 공격 성향을 보였다. 이는 일반 학생들에 비 하면 공격성 발현 비율이 4 배 이상 높은 수치였다. 조경덕 교수는 다문화 학생들이 확률적 면에서 일반 학생들보다 폭력성 높다고 해석했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 학생들 가운데 어떻 게 표현해야 할지를 몰라 그렸다가 지우기를 반복하거나, 사선을 긋듯이 그림을 그리는 모 습을 보이는 학생도 있었다. 이에 대해 월평복지관 임선경 미술심리치료사는 미술학원도 안 다니고 사선으로 스 케치를 한다는 건 불안감을 보여주는 표현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 심리검사 시간, 책상 서랍에 발을 집어넣은 채 쉴 새 없이 몸을 좌우로 흔들고 , 숨바꼭질 놀이에 하는가 하면, 아예 사물함 위에 올라가 장난을 치는 친구들도 있다. 전반적으로 아이들이 불안하고 산만 하다. 자리에서 일어나 2-3 분 이내 일어나는 게 다반사. 집에서 벗어나고 싶어 하고 집에 서 존재감도 없는 듯하다.”고 심리검사 당시의 상황을 전했다. 아이들의 산만함은 학습 의 욕을 알아보는 검사에서 고스란히 나타났다. 다문화 학생들의 공격성향과 산만함, 학습동기 저하는 소수에 대한 사회적 편견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사회적 약자로서 다른 학생들에 비해 배려를 받지 못하는 생활을 경험하면서 외부인에 대한 적대심이 증가하면서 공격적 성향이 발달하고 학습 동기가 저하 된 것이다.
  • 6. ⓵ 학교폭력 < 조선일보 2012 년 5 월 8 일자 보도자료 >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늘어나면서 이들에 대한 학교폭력도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 가정 학생들은 이국적인 외모와 서툰 한국어 때문에 친구들로부터 집단 따돌림이나 구타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다문화가정 학생보다 해외에서 태어나 자라 다 한국에 들어온 '중도 입국' 학생들이 더 많은 폭력을 당하고 있다. … 문재현 마을공동 체교육연구소장은 "다문화가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교폭력은 도시보다는, 외부인이나 외부문화에 대해 배타적인 군·읍·면 단위 학교에서 더 심각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위의 기사 자료에 나타나 있듯이 학교에서 이루어져야하는 다문화 교육이 지역 곳 곳에 활성화되지 않은 탓에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또래에 비해 외모로 인해 놀림을 받는 경 우가 많다. 이는 그들의 친구들과 주변인들이 외적 모습 차이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청소년(2006)의 조사에서는 외모 면에서 눈에 띄는 혼혈인 경 우 국가에 대한 소속감과 주변사람과의 친밀감이 낮고 사회적인 문제 경험을 더 많이 가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모 면에서 큰 차이가 없는 아시아계 혼혈인 경우 비교적 우리 사회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엄마가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국제결혼 가 정의 17.6%가 집단따돌림을 경험하였다고 한다.(설동훈 2005) 3. 본 프로그램의 취지·목적 본 기획은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국악교육을 실시하여 위에서 기술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여 한국인으로서의 문화정체성을 형성하고 자아
  • 7. 탄력성(ego-resilience)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아탄력성(ego-resilience)은 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이나 변화하는 다양한 환경에 서 융통성 있게 적응하는 능력을 일컫는 개념으로, 스트레스 상황과 역경을 극복하고 정상 적이며 건강하게 성장하는 것, 자기의 감정을 조절할 수 있으며 협동적이고 활력 있는 대 인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포괄한다. 그 하위변수로는 친구관계, 활력성, 감정조절, 호기심, 낙관성이 있다. 다문화 자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바꾸는 데에는 총체적인 방안이 필요한 상황에서 사회적 편견이 완화되는 기간 동안 다문화 자녀들이 사회의 부정적 영향을 적게 받아 자기 의지를 갖고 굳건히 일어설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이혜진,2012) 또한 본 국악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개인적으로는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자기에 대한 인식이 분명하고 자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내적 일관성을 가지고 외부환경이나 평가에 크게 흔들리지 않는 자아존중감과 타인과 다르면서 고유한 개인의 개별성과 자기존재의 동 일성과 독특성을 지속시키고 고양시켜나가는 자아의 자질인 자아정체성을 향상시키는 기회 가 되길 바란다. 사회적으로는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자신의 가치를 스스로 높이고 자신에 대한 가치 감과 가능성을 새롭게 발견함으로서 긍정적인 자아를 형성하여 우리 사회의 한 시민으로서 훌륭한 인적자원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4. 학습 원리 1) 음악 학습지도 원리에 따른 프로그램 구성 본 기획안은 아래의 음악 학습지도 원리에 따라 24 주차의 국악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국악 교육이 지닌 효과성을 제고하도록 하였다. 음악 학습지도는 대상자의 음악적, 정신적인 부분을 변화시키는 과정으로 일반적 인 절차 및 방법은 ‘준비 및 감각적 감지, 기초기능 탐색, 표현 방법 탐색, 창조적 표현, 내면화’로 구분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모형화하면 다음의 <그림 1>과 같다. < 그림 1 > 음악과 지도학습 과정 모형 (변영계, 이상수,2003) 준비 및 감각적 감지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습자로 하여금 음악에 대한 강한 내재적 동기를 갖게 하는 데 있다. 기초기능 탐색 단계는 해당 제재를 중심으로 기본적인 리듬감, 음정감, 화음감을 지도하고 독보력, 청음력, 악보적기와 같은 음악학습의 기초능 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하는 단계로, 가사살피기, 제재곡 부르기를 학습한다. 표현 방법 탐색단계는 전 단계에서 습득된 기초기능을 바탕으로 음악, 즉 제재곡을 바르게 표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탐색하는 과정이다. 학습자는 부단한 시행과 연습의 과정을 거쳐 다음 단계인 창조적 표현을 접근하게 된다. 창조적 표현 단계에서는 악곡의 내용, 악상 등 을 바르게 표현하게 되는 단계이며, 나아가서 학습자들이 그들의 느낌과 생각을 악곡을 통 하여 또는 일련의 창작활동 등을 통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게 되는 단계이다. 내면화 단계 에서는 음악적 표현의 즐거움을 느끼며 감상활동을 통해 음악을 내면화함으로써 생활에 적 용할 수 있게 된다.
  • 8. 5. 학습 내용 1) 국악 교육 성명 (학 다중지능(160 점) 학습태도 150 점 자기효능 144 점 학습습관 294 점 학습습관 294 점 년) 언어 수학 시각 음악 신체 자연 대인 개인 1(6) 62 75 101 51 55 70 67 67 82 77 167 2(6) 93 109 123 140 94 119 86 115 93 114 182 3(6) 50 144 151 52 63 94 137 147 127 100 179 4(6) 93 119 112 141 100 108 130 109 95 84 180 5(6) 127 125 120 81 147 128 149 126 137 131 259 6(6) 68 100 95 34 95 96 79 68 89 81 127 7(5) 94 87 87 91 64 92 89 125 98 82 165 8(5) 44 67 57 46 62 82 90 76 81 49 104 9(5) 113 108 91 94 97 74 127 109 104 120 212 10(5) 96 98 103 87 98 91 99 66 105 85 173 11(5) 51 47 85 64 96 128 96 105 113 69 196 12(4) 41 64 39 23 37 28 61 72 110 78 139 13(4) 48 50 46 55 72 56 62 63 110 83 146 < 표 1 - 다문화 자녀의 분야별 부족 역량 > <표 1>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다중지능의 경우 다른 지능에 비해 상대적으로 언어지능이 낮게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이는 집안구조나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의 언어의 구조가 자녀들에게 언어에 대한 이해와 분석에서 발달시키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 를 보여 준다.(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대처방안 연구, 한국기독교심리상담) 국악교육은 언어적 한계를 지니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 언어적 한계를 극복 하고 능동적인 창작과정을 통하여 감정과 욕구를 표출하고 해소함으로써 또래관계와 이중문 화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국악교육이 집단으로 진행될 경우 자신감과 자아존중감의 향상과 더불어 사회성과 대인관계 기술 등이 함께 향상 될 수 있다.(이혜진,2012) 집단예술교육을 통한 자아정체성 확립은 원래 집단미술치료에 주로 활용되었으나, 이를 국악(음악) 분야로 확장하여 다문화 학생들이 자아정체성 확립 과정에 악기 연주와 노래를 통해 보다 역동적으로 참여하게 하여 원하는 목표에 도달하고자 한다. 국악은 한국인의 정서를 반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음악의 한 종류이다. 구체적으로, 국악교육활동이란 노래 부르기, 감상하기, 신체 표현하기 등의 활동을 통해 우리 고유의 장단을 학습자들이 직접 느끼고 표현해보는 경험을 해보는 활동이다. 국악교육은 학습자들 로 하여금 국악을 친숙하게 하고, 국악적인 표현이나 감상에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학습 자의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 더 나아가 본 국악 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의 자녀들로 하여금 음악적, 한국적 지식을 체화하여 자신감을 얻고 당당하게 사회생활을 할 수 있게 도울 것이다.
  • 9. 음악은 인간의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고유한 민족 문화를 전달하고 서로 간에 공유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국악 교육은 우리 음악과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관을 확립하게 하며 우리 민족 문화를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조상들이 남긴 음악적 유산으로써 학습자들이 그대로 보고 인정하는 태도를 형성하고 문화적인 정체성과 민족적 음악정서를 심어줄 것이다. 2) 국악 오케스트라 합주 오케스트라 공연은 6 개월 동안 이어진 국악교육의 결과물을 생산해내는 과정이다. 단순한 음악적, 한국적 지식 습득을 넘어 공연을 기획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책임감을 기 르게 된다. 또한 대중 앞에서 자신을 드러내고 한국인으로서 국악을 연주함으로서 자아성 취감과 한국인으로서의 인식을 분명히 세울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교사 중심적인 평면적 교육에서 탈피하여 입체적이면서 학습자 활동을 중심으로 이 루어지는 교육의 결과로서의 아이들 공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흥미와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다. 둘째, 모든 학생이 적극적으로 악기연주와 발화, 노래에 참여 할 수 있다. 셋째, 모든 학생이 참여하면서 협동심을 기르는 동시에 자신만의 독특한 방법 으로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면서 개성을 발달시킬 수 있다. 넷째, 의사소통상황의 제공을 통해 언어 구사력과 사회성이 발달한다.(황경아,2004) 이와 더불어 대중들에게 국악 오케스트라 합주를 통해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자신 들의 능력을 선보이고 존재감을 알림으로서 다문화 자녀들에 대한 한국 사회의 편견이 완화 되고 한국 사회가 다문화를 인정하는 사회적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6. 학습 전략(차별화된 특징) 본 국악교육프로그램은 퓨전식 국악을 도입하여 전통악기를 통한 팝송 연주, 판소 리에 샤우팅 기법의 사용 등을 통해 전통 국악에 비해 역동적이고 비교적 빠른 리듬을 활용 하여 아이들의 내면에 쌓인 분노와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기회를 주고자 한다. 한국적 색채가 짙은 순수 국악을 고집하기보다는 좀 더 대중적이고 아이들이 즐겁 게 연주할 만한 멜로디를 삽입한 것은 아이들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것이기도 하 지만, 추후 오케스트라 공연에서 대중들이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끝까지 다문화 학생들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궁극적으로 열린 사고방식을 이끌어내기 위해서이다. 7. 교수방법 강사들이 다문화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할 때 가장 주의해야 할 사항은 그들을 특 수화된 객체로 이해하기보다는 다른 학생들과 다르지 않는 일반적이고 평범한 주체로 인식 하는 것이다. 특히 다문화 학생들을 지칭하는 용어에 주의해야 하는데 ‘너희’라는 호칭 보다는 ‘우리’나 ‘여러분’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여 아이들이 강사와 그들이 속한 사회로 부터 분리되는 느낌을 갖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여러 문화를 존중하고 통합하여 강의 를 진행하는 교수방법이 요구된다. 프로그램 설계 (ADDIE 모형 활용 )
  • 10. 프로그램 진행 <하모니 오케스트라> 프로그램은 6 개월 과정으로 일주일에 한 번씩 2 시간 과정으로 운 영된다. 총 24 차시로 진행될 이 프로그램의 대략적 구성과 내용은 다음 <표>와 같다.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 < 표 2 > 국악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차시 영역 프로그램 국악기와 친숙해지기 1~4 국악과 친해지 기 우리 소리와 민속놀이 배우기 교육내용 -악기를 직접 보고 소리를 들어보 기 - 악기 연주법을 직접 배우고, 연 습곡을 연주해보기 -우리의 소리인 판소리, 민요, 정 가(시조)에 대해 학습하기 -소리를 배우고 직접 소리내보기 -전통 민속놀이 해 보기 -아리랑에 대해 학습하기 5~8 국악(민간음악) 배워보기 아리랑 배우기 - 아리랑의 연주법을 배워보고 직 접 연주해보기 -‘민간음악’에 대해 학습하기 - 아리랑의 소리를 들어보고 직접 불러보기 -타령에 대해 학습하기 -타령을 직접 배워보고 불러보기 9~12 국악(선비음악) 배워보기 타령과 정가 배우기 13 현장학습⑴ 국립국악원 방문하기 - 익숙한 판소리인 춘향전의 사랑 가 배워보기 -정가(시조) 에 대해 학습하고 불 러보기 -배웠던 악기들에 대한 역사 알아 보기 -사물놀이 체험 해보기. -개별적으로 배웠던 수연장, 타령, 14~15 국악 함께하기 합주 및 연극하기 아리랑을 합주해보기 -창극을 창작해보기(~22 차시) 16 현장학습⑵ 종묘와 한국민속촌 방 문하기 17~20 국악의 현대음 악의 만남 배워 보기 - 한국 문화를 체험해보고, 종묘 제례악 직접 감상하기 -팝송인 'Let it be'와 ‘You ra 퓨전 국악 배우기 21~24 국악 공연하기 공연하기 ise me up’ 을 국악기로 연주해보 기 -그동안 배웠던 악기와 소리를 바
  • 11. 탕으로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연 주를 보여주기 ▶ 프로그램 영역 및 선정이유 영역 ◉대풍류 감상 교육프로그램 ◉소리극 감상 국악과 친해지기 ◉풍물놀이 감상 ◉가야금, 거문고, 해금, 피리 ◉정간보 ◉감상은 악기를 탐색할 수 있는 대풍류(민속음악으로 국악기 모두 출현하며 악기 특성을 살려 연주하는 음악 )를 선정하였고 소리극은 우리나라 성악음악 전반을 감상할 수 있어 선정하였다. 풍물놀이는 신명나는 국악의 멋을 느끼게 해주기 위해 선정하였다. ◉ 가야금과 거문고는 현악기, 해금과 피리는 관악기로 소리비율을 맞추기 위해 선정하였다. 선정이유 ◉정간보는 조선 세종이 음의 시가를 알 수 있게 창안한 유량악보로 동양에서는 가장 오래된 유량악보이다 . 전통음악을 연주하기 위해 서는 정간보를 읽는 법은 꼭 필요하다. 국악 수업은 오선보가 아닌 정간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1 세기는 문화의 세기(박미 경 2007,5)’라고 하며 그에 따라 문화경쟁력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 다. 정간보는 문화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가장 문화 유산으로써 전승할 가치가 있다. 민속놀이 배우기 선정이유 ◉대문놀이 ◉강강술래 ◉대문놀이는 두 사람이 양 손을 잡아 올려 문을 만들고 그 문 밑으 로 다른 사람들이 지나가면서 진행되는 아이들의 전통 민속놀이이다. ◉강강술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속놀이로 추석날 밤, 주로 여 자들이 모여 흥겨운 리듬에 맞춰 노래를 부르며 빙글빙글 돌면서 뛰 며 놀았던 것으로부터 유래되었다. ◉대문놀이, 강강술래 모두 가장 대중적이고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 이 알고 있기에 두 놀이를 선정했다. ◉아이들이 놀이의 규칙을 이해하고 즐겁게 놀이에 참여할 수 있게 하도록 한다. 오케스트라를 함께 하는 다른 친구들과 놀이를 할 때 자연스러운 스킨십을 통해 친밀감의 생성을 유도하고 그러한 과정을 통해 또래 친구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익숙해지도록 한다 . 친구 들과 협력하는 친사회적 행동, 도움과 협동심, 적극적이고 주도적 인 참여로 자신감을 얻는다.(박미조,2010) ◉놀이 중에서도 전통놀이는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발달단계와 놀 이 상황에 따라 집단의 크기, 놀이의 규칙 ,활동내용 등을 쉽게 수 정하거나 변형할 수 있어 통합교육환경에서 모두에게 적용되기 쉬운 활동이다(한진옥,김희진,2004). 뿐만 아니라 전통놀이는 특수유아
  • 12. 와 어울려 놀이 규칙을 만들기 위해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조절하고 규칙을 따르는 과정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기회를 좀 더 폭넓게 제공 할 수 있다(이혜리,김희규,2008). 따라서 전통 놀이는 이완된 분위기 속에서 서로의 행동을 자연스럽게 강화할 수 있고 집단 활동을 통해 상호 기대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 므로 전통놀이를 통해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고 자기 통제력을 기르 는 친사회적 행동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박미조,2010) 민간음악 배우기 ◉경기아리랑, 진도아리랑 ◉춘향가 中 사랑가 ◉아리랑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도 등재될 만큼 자랑스러운 우 리의 문화이다. 구전민요로 밀양아리랑, 정선아리랑, 경기아리랑, 선정이유 진도아리랑, 신아리랑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처럼 세계적인 우 리의 유산을 아이들이 학습함으로써 한국인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하 게 하는 것을 아리랑의 학습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여러 가지 곡을 배우기 전에 가장 국악적이고 대중적인 아리랑을 배움으로써 좀 더 국악과 친숙해질 수 있는 . (수정해주세요.!) ◉경기아리랑은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의 가사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인들이 가장 잘 알고있는 아리 랑이다. 세마치 장단으로 서울, 경기지역에서 발생되었다. ◉진도아리랑은 남도민요로 흥겨움이 특징이다. ◉‘아리랑’이라는 모티브는 같지만 조금 다른 두 민요를 배워 아리 랑에 여러 종류가 있다는 것을 가르쳐준다. ◉수연장지곡 1 장 선비음악 배우기 ◉영산회상 中 타령 ◉시조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아래 뫼이로다’ 선정이유 ◉수연장지곡은 전통 국악 연주곡 중에서 비교적 쉬운 곡으로 정간 보를 보며 연주하기도 쉽고 아이들이 쉽게 따라할 수 있기에 선정하 였다. ◉타령은 조선후기 선비들이 주로 향유하던 음악인 ‘ 영산회상’의 여덟 번째 곡이다. 비교적 속도감이 느껴지면서 흥겨운 곡이어서 궁중무용의 반주음악, 연회에서 많이 쓰인다. 전통음악은 아이들이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교적 쉬운 곡을 선택했다. 또한, 영산회상은 선비들이 즐겼던 음악이기에 아이들이 과거 우 리나라의 선비들이 풍류를 향유했다는 것에 주목하여 한국 문화를 이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조는 우리 민족이 만든 독특한 정형시의 하나로 원래 노래의 가 사로서 문학인 동시에 음악이다. 고려 후기에 이르러 신흥사대부들 이 역사적 전환기를 맞아 경기체가만으로 감당할 수 없는 유교적 관 념과 주관적 정서를 표현하기 위해 창안되었다 . 시조를 선택한 이 유는 타령과 마찬가지로 선비들의 문화 , 풍류를 아이들이 체험할 수 있게 하기위해서이다. ‘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아래 뫼이로다 ’는 태산이 아무리 높아봤자 하늘아래의 산이란 뜻이다. 시조의 가사를 설명해주며 아이들이 옛
  • 13. 문화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사 중에 비교적 쉬운 노래 로 아이들도 금방 따라 할 수 있는 곡이이서 선정했다. 현장학습 ◉국립국악원 방문 ◉종묘와 한국민속촌 방문 ◉우리나라에서 국악의 역사를 체험할 수 있고 실제로 여러 다른 국 악기를 체험할 수 있는 국립국악원을 방문하여 국악을 배워나가는 아이들이 국악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고 많은 것을 느끼며 국악에 대한 애정을 키우는 기회를 제공하게 위해 첫 번째 현장체험학습 장 소로 국립국악원을 정하였다. 이와 함께 국립국악원 앞마당에서는 사물놀이와 같은 다양한 전통 공연을 보여주고 전통 놀이를 직접 해 볼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국립국악원으로의 현장체험 학 습은 아이들이 한국의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 으며, 그를 통해 아이들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나갈 수 선정이유 있도록 한다. ◉종묘제례악은 조선의 역대 군왕의 신주를 모시는 종묘와 영녕전의 제향에 쓰이던 음악으로 엄격한 절차를 바탕으로 하고 그 음악성을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에 지정되었다. 종묘에서는 이러한 종묘제례악을 엄격한 절차와 형식에 따라 재현하는 행사를 한다. 아이들은 그러한 행사를 보면서 막연하게만 느꼈던 국악을 실제로 듣고 보는 기회를 갖는다. 또한 한국민속촌은 과거 우리나라의 생 활 양상을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아이들은 한국민속촌을 구경하면 서 국악의 주요 시대 배경이 되는 과거 한국의 생활모습을 이해하고 국악에 더욱 더 쉽게 다가갈 수 있게 된다. 창작음악 배우기 선정이유 ◉Let it be ◉You raise me up ◉Let it be 는 메카트니(비틀즈) 가 14 살 때 유방암으로 돌아가신 어머니가 꿈에 나와 자신에게 용기를 준다는 내용이다 . 이 곡을 선 정한 이유는 아이들에게 용기를 주기 위해서이다 . 가사의 내용을 이해하고 조금이라도 아이들의 마음이 치유됐으면 한다 . 또한 멜로 디 라인도 매우 익숙하고 반복구가 많아서 아이들이 악기로 연주하 기 좋을 것 같아 선정했다. 가사 일부분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내가 근심의 시기에 처해 있을 때 어머니 메리가 다가와 지혜로운 말씀을 해주셨어 "그냥 그대로 둬" 암흑의 시간 중에도 지혜의 말씀을 속삭여 주셨어 그냥 그대로 두라고 세상의 모든 상심한 사람들마저도 그냥 그대로 두라는 말에 해답이 있다는 것에 동의를 하지 헤어진다 할지라도 (다시) 만날 기회는 있어 모든 게 풀릴 거야
  • 14. 구름 덮힌 밤일지라도 다음날이 밝을 때까지 여전히 날 밝혀줄 등불은 있어 ◉You raise me up 을 선정한 이유도 Let it be 와 같다. You raise me up 의 가사 일부분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내 영혼 힘들고 지칠 때 괴로움 밀려와 나의 마음 무겁게 할 때 나는 여기에서 고요히 당신을 기다립니다 당신이 내 곁에 오실 때까지 당신이 날 일으켜 주시기에 정상에 우뚝 서 있을 수 있고 당신이 날 일으켜 주시기에 폭풍의 바다도 건널 수 있습니다 당신이 날 떠받쳐 줄 때 나는 강해집니다 당신은 날 일으켜 나보다 더 나은 내가 되게 합니다. 국악 함께하기 ◉창극<놀부흥부> ◉<놀부흥부>라는 한국 설화를 선정한 이유는 한국 설화를 공부하는 것은 그 속에 녹아 있는 한국인의 정신 , 생활, 관습, 심성을 이해 선정이유 하는 지름길이 되기 때문이다 . 설화에는 한국인의 전통적인 관습 및 가치관 등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 한국인들이 중시 했던 관습과 미덕, 예의범절을 이해할 수 있다. 설화의 내용을 이 해한 후 속담, 수수께끼 등 다른 구비문학도 적절하게 학습한다면 ▶ 차시별 프로그램 위에서 제시한 대략적 구성과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한 구체적 학습주제, 학습내용 그리고 학습목표는 다음 <표>들과 같다. < 표 3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1 차시 차시 학습주제 학습내용 학습목표 1 차시 참석인원 국악감상 및 국악기탐색 - 악기 정하기 국악에 대한 친밀감을 높이기 위해 국악감상을 실시하고 국악 기를 탐색한 후( 세부적인 이론 15 명 민요, 판소리, 정가(시조) 보 고 듣기 - 샤우팅 배우기 포함) 자신에게 맞는 악기를 정 민요, 판소리, 정가(시조)에 대 하여 배우고 소리를 내지르는 샤우팅 기법을 배워본다. 해본다. 국악에 대한 감상과 국악기정하 기를 통해 국악에 대해 익숙해 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악소리에 대해 학습하고 직접 해봄으로써 스트레스를 해소하 고 자신감을 높이는 것을 목표
  • 15. 로 한다. 1 차시는 국악에 대한 감상과 국악기정하기를 통해 국악에 대해 익숙해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악에 대해 이질감을 가진 아이들에게 국악연주를 보여줌으로써 친밀감을 높인다. 강사들이 직접 악기를 연주하며 악기에 대한 세부내용을 가르친다. 아이들은 자신이 마음 에 드는 악기를 정하고 악기에 대한 친밀감을 높이기 위해 악기를 마음대로 연주해 보게 한 다. 가야금 4 명, 거문고 4 명, 해금 4 명, 피리 3 명으로 인원을 제한하여 국악 오케스트라를 구성한다. 민요, 판소리, 정가(시조)에 대한 영상을 보여주고 강사가 직접 소리를 들려주며 아이들 이 소리에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한다. 판소리에서 중요한 창법인 ‘샤우팅’을 배 움으로써 아이들이 소리를 내지르며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게 하며 자신감을 높일 수 있 도록 한다. 강사가 먼저 소리를 지르면 아이들도 따라 소리를 지르게 하는 방식으로 수업 을 진행한다. 어색함 없이 모두 참여할 수 있도록 자유로운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 하다. < 표 4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2 차시 차시 학습주제 학습내용 학습목표 2 차시 참석인원 한국음악의 음계, 정간보 알기 - 음계, 정간보 연습하기 한국음악의 특수성인 음계와 정 간보읽는 법을 배우고 소리내 본다. 국악 연주를 위한 음계와 정간 보를 학습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실제 연주에 활용할 수 있는 것 을 목표로 한다. 15 명 복식호흡 및 샤우팅 복식호흡으로 이루어진 샤우팅 을 배워보고 어색하지 않게 계 속 반복 연습한다. 국악 소리 낼 때 필요한 기법에 대해 배워보고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국악의 음계인 黃-太-仲-林-南을 익히고 국악의 악보인 정간보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과 정간보를 보는 방법을 학습힌다. 정간보는 조선 세종이 음의 시가를 알 수 있게 창안한 유 량악보로 프로그램 전반에 이루어질 국악기 연주를 위해 꼭 필요하다. 우선 강사는 개별적 으로 각각의 악기에 대해 소리내는 법을 가르친다 . 그 후 음계를 알맞게 연주하는 법과 정 간보를 보는 방법을 직접 악기 연주를 하며 연습할 수 있도록 한다 . 아이들이 악기 연주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반복하여 학습시킨다. 복식호흡은 심신의 안정을 도모하고 발성을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 강사는 아이들에게 복식호흡을 이용한 샤우팅을 연습시킨다. 이때도 아이들이 익숙해질 수 있도록 반복학습이 필요하다. 이러한 샤우팅 창법은 아이들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더 나아가 자신감을 회복 하는데 도움을 준다.
  • 16. < 표 5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3 차시 차시 학습주제 학습내용 학습목표 3 차시 참석인원 악기 및 정간보 읽기 연습 악기를 직접 소리내보고 음계를 순차적으로 연습하며 정간보를 읽어본다. 악기 소리 내는 법을 배워 익숙 해지고 정간보를 바탕으로 음악 을 연주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5 명 민속놀이 배우기 - 대문놀이 대문놀이의 노래를 배우며 놀이 도 같이 배우며 학습한다. 한국의 하면서 께하는 향상을 전통 놀이인 대문놀이를 한국 문화의 학습과 함 참가자들 간의 친밀도 목표로 한다. 2 차시의 배운 내용을 복습하여 학생들이 이전에 배웠던 내용을 상기할 수 있게 도와준다. 3 차시에는 정간보의 음계 뿐 아니라 음가 (음의 길이=박자)에 대한 학습도 같이 이루어진다. 정간보를 보며 악기를 연주하는 것에 익숙해지게 하여 이후에 이루어질 곡의 연주에 도움 이 될 수 있게 한다. 이전 시간에 배웠던 ‘샤우팅 창법’에 대한 복습을 한다 . 그 후, 한국의 민속놀이인 대 문놀이를 배우는 시간을 갖는다. 먼저, 강사가 대문놀이를 할 때 부르는 노래를 알려준다 . 아이들은 이 노래를 따라하며 익숙해지는 시간을 갖고, 이 후 강사는 대문놀이의 놀이 방 법을 알려주고 아이들이 놀이를 같이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대문놀이에서는 스킨십을 통 해 아이들 간의 친밀감을 높여주고 우리 민속놀이를 알아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민속놀이인 대문놀이를 해봄으로써 한국 문화에 대해 배우고 그를 통해 한국인으로서의 정 체성을 확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표 6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4 차시 차시 학습주제 학습내용 학습목표 4 차시 참석인원 15 명 악기 및 수연장 1 장 연습 민속놀이 배우기 - 강강술래 정간보 읽기를 바탕으로 쉬운 강강술래의 노래를 배우며 놀이 수연장지곡 1 장을 연주해 본다. 도 같이 배우며 학습한다. 한국의 민속놀이인 강강술래를 학습자들이 정간보를 보면서 함께 하면서 한국 문화의 학습 ‘ 수연장지곡 1 장 ’ 을 연주할 과 참가자들 간의 친밀도 향상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을 목표로 한다. 앞서 배운 정간보 읽기를 바탕으로 수연장지곡 1 장에 대해 전반적인 학습을 하고 곡을 연 주해 보는 시간을 갖는다. 수연장지곡은 궁중음악으로 ‘밑도드리 ’라고도 불린다. ‘도드 리’는 ‘되돌아든다, 계속 돈다’라는 뜻으로 같은 음계, 음가로 진행되는 곡이다. 그렇 기 때문에 수연장지곡은 국악 곡 중 비교적 쉬운 곡으로 국악 입문자들의 대표적 연습곡이 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수연장지곡 1 장을 연주해봄으로써 아이들이 본격적으로 국악기 연주에 흥미를 붙일 수 있게 한다. 이전 시간에 배웠던 민속놀이인 대문놀이의 학습 순서와 같이 강강술래에 대한 학습을 진
  • 17. 행한다. 민속놀이인 강강술래를 할 때 부르는 노래로 먼저 배운 뒤 강강술래의 놀이 방법 을 가르쳐 준 후 아이들이 서로 손을 맞잡고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 강강술래 역시 대 문놀이와 같이 아이들 간의 스킨십을 통해 서로 친해질 수 있도록 한다.
  • 18. < 그림 2 > 수연장지곡 정간보 < 표 7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5~8 차시 차시 5~8 차시 참석인원 학습주제 민속음악 배우기 - 아리랑 탐색 및 직접 연주하기 학습내용 아리랑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과 영상을 감상하며 경기아리랑과 진도아리랑을 연주해본다. 학습목표 한국의 전통 민속음악인 아리랑 에 대한 전반적인 학습과 국악 기를 활용한 아리랑 연주를 목 표로 한다. 15 명 민속음악 배우기 - 민간음악에 대한 이해 및 소리 배우기 민요, 판소리 등의 민간음악 풍 류에 대하여 배우고 경기아리랑 과 진도아리랑을 소리로 배워본 다. 민간음악에 대한 학습과 아리랑 의 소리를 직접 들어보고 해보 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민속음악을 배우는 차시로 서민의 음악 , 풍류에 대하여 학습하는 시간을 갖는다 . 서민의 옷차림, 그들의 문화, 풍습을 영상으로 제시해 학습하고 그를 바탕으로 ‘민속음악’을 이 해할 수 있게 한다. 강사는 민요와 판소리의 음악적인 차이점을 알려주고 직접 불러주어 그 차이점을 학습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리랑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을 학습하고 그에 대한 영상을 감상한다. 아리랑의 종류인 경기아리랑과 진도아리랑의 차이점을 설명해준 뒤 5~6 차시는 경기아리랑을, 7~8 차시는 진 도아리랑을 배우는 시간을 갖는다. 강사는 아리랑을 배우기 전 아리랑에 사용되는 장구장 단을 무릎장단으로 가르쳐준다. 경기아리랑, 진도아리랑 모두 세마치장단을 사용하여 아이 들이 쉽게 따라 할 수 있다. 노래를 먼저 배우고 악기연주법은 노래를 배운 뒤 학습한다 . 강사가 부르면 아이들은 따라하는 형식으로 노래에 대한 학습을 진행하고 악기는 악기의 종 류에 따라 개별 선생님에게 정간보를 통해 배운다. 노래와 악기를 병행해서 배운 뒤 2 개의 조로 나누어 한 조는 노래를, 다른 한 조는 악기를 연주하며 흥을 돋운다 . 강사는 장구를 쳐주어 아이들이 박자를 잘 따라할 수 있도록 한다.
  • 19. < 그림 3 > 아리랑 정간보
  • 20. < 표 8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9~10 차시 차시 9~10 차시 참석인원 15 명 학습주제 선비음악 배우기 - 타령 배우기 선비음악 배우기 - 정가 배우기 학습내용 영산회상 중 타령 1,2 장 탐색 및 직접 연주해보기 학습목표 한국의 선비음악인 타령에 대하 여 배우고 그 선율을 바탕으로 자신이 선택한 악기로 연주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조탐색 및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배우기 춘향전의 내용을 학습한 후 판 소리 춘향가 내에 나오는 소리 를 배워 파트너와 소리를 연습 해보며 소리에 대해 익숙해지고 친구와 친해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선비음악을 배우는 차시로 선비음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그에 대한 영상을 보고 그 와 함께 이론적인 내용을 학습하는 시간을 갖는다 . 민속음악과 마찬가지로 선비들의 문화, 옷차림 등을 제시해 주어 선비음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도록 한다 . 영산회상 中 타령의 음원을 들려주고 이 곡이 활용되는 양상을 설명해준다. 정간보로 음계, 음가를 알려주고 그 다음 악기로 연주할 수 있도록 연주 방법을 가르쳐준다 . 강사가 직접 연주해 주고 아이 들이 그것을 따라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되, 강사는 아이들의 운지법 등을 고쳐주며 진행하도록 한다. 아이들이 학습에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9 차시는 1 장을, 10 차시는 2 장 을 알려준다. 선비음악의 종류인 시조 중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줄여서 “태산이” )’를 학습하는 시간을 갖는다. 시조의 시김새는 어려우므로 시김새보다는 가사의 뜻과 선비들의 생활이나 풍류에 초점을 두고 가르쳐준다 . ‘태산이~’ 를 끝까지 가르쳐 주는 것이 아니고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 부분만 가르쳐 준다. 강사가 먼저 선창하면 아이 들이 후창하는 형식으로 진행한다. 계속 반복하여 아이들이 쉽게 외울 수 있도록 한다. < 표 9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11~12 차시 차시 11~12 차시 참석인원 학습주제 선비음악 배우기 - 타령배우기 학습내용 영산회상 중 타령 3,4 장 탐색 및 직접 연주해보기 학습목표 앞서 배운 타령에 대해 복습한 후 그에 이어서 타령의 다른 장 을 자신이 선택한 악기로 연주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5 명 민속음악 배우기 - 판소리 춘향 가 中 사랑가 배우기 사랑가의 소리와 아니리를 배운 뒤 짝을 지어 연습해 보기 한국의 선비 음악인 정가에 대 한 전반적인 학습을 하여 익숙 해지고 정가인 ‘테산이 높다하 되 하늘아래 뫼이로다’를 배우 고 직접 소리내어 부를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9~10 차시의 학습형식과 동일하게 진행한다. 11 차시는 타령 3 장을, 12 차시는 타령 4 장을
  • 21. 학습한다. 판소리 춘향가 중 사랑가를 배운다 . 판소리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사랑가에 대한 내용적 설명을 해주고 강사가 직접 곡을 불러 학생들에게 들려준다 . 가사집(가사가 적힌 종이)을 나누어 주어 아이들이 강사의 지도에 잘 따라올 수 있게 한다 . 강사는 아니리(말 하는 부 분) 부분과 소리(노래)부분을 나누어 가르친다. 아니리 부분은 아이들이 직접 가사를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흥미를 유발한다 .(예를 들어, "애고 여보 도련님은 기운 세어서 업었거니와 나는 기운 없어 못 업겠소." "나도 너를 업고 좋은 말을 하였으니, 너도 나를 업고 좋은 말 하여라." "그러면 업히시요. 좋은 말 하오리다." 이 부분을 “ 애고 어머니 오라버니는 기운 세어서 공부했거니와 나는 기운 없어 못 하겠소 .” “ 나는 너를 낳고 좋은 말만 해줬으니, 너도 나를 위해 좋은 일만 하여라” “에이... 그러면 하겠소. 공부 하오 리다” 이렇게 바꿀 수도 있다). 소리부분은 가사에 맞게 반복하여 학습한다. 강사가 선창 하면 아이들이 후창하는 형식으로 학습을 진행한다. 한 장단씩 가르치며 2 차시에 나누어 학습한다. < 표 10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13 차시 차시 학습주제 학습내용 학습목표 13 차시 참석인원 15 명 현장학습⑴ - 국립국악원 방문 국립국악원을 방문하여 국악기 박물관을 관람 한 후, 사물놀이를 체험한다. 실내에서 영상자료와 학습으로만 접했던 국악기와 한국의 전통 문화에 대해 실제로 체험하는 시간을 가지며 한국 문화에 대해 친숙하고 익숙해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13 차시에서는 현재까지 실내에서 이루어졌던 학습의 연장선으로 현장체험학습을 진행한다. 총 두 번의 현장학습을 계획하고 있는데 그 중 첫 번째 현장학습 장소로 국립국악원을 선 정하였다. 학생들이 각자 자신이 연주하고 있는 국악기 외에 다른 여러 국악기들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국악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국립국악원에서 행해지는 사물놀이 공연을 감상하고 여러 민속놀이를 체험해 보면서 한국문화에 대해 친숙 해지고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기회를 만들어준다. < 그림 4 > 국립국악원 전경
  • 22. < 표 11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14~15 차시 차시 14~15 차시 참석인원 15 명 창극 만들기 <창극‘놀부흥부’ 학습주제 복습하기 - 수연장지곡, 타령, 아리랑 합주하기 학습내용 복습하기 - 수연장지곡, 타령, 아리랑을 복습하고 합주를 해본 다. 학습목표 현재까지 배웠던 수연장, 타령, 아리랑의 연주법과 음계에 대해 점검하고 친구들과 합주하며 자 신감과 자존감을 느끼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및 소리 복습하기 - 자신의 경험 이야기하기 및 창극배역 정하기 소리를 복습한 후 자신의 경험 이 들어간 창극을 만들기 위해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고 배역 을 정해본다. 학생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할 창극의 창작을 위해 서로의 이 야기를 공유하고 공감할 수 있 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까지 학습한 수연장지곡, 타령, 아리랑을 복습하고 점검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학생 들은 개인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강사에게 각자 지도받고 마지막 20 분은 다같이 합주를 해 보는 시간을 갖는다. 합주를 지휘하는 강사는 학생들의 박자를 잡아주기 위해 장구를 쳐주 고 개별 악기를 지도하는 강사들은 아이들이 곡의 박자에 따라올 수 있게 같이 연주를 해준 다. 14, 15 차시 모두 복습을 하고 합주를 해보면서 나의 음악과 다른 사람들의 음악을 맞 춰보는 시간을 갖는다. 창극 ‘놀부흥부’를 만들어 본다. 14 차시는 설화 흥부와 놀부의 내용을 알려주어 아이들 의 이해를 돕는다. 설화의 내용과 비슷하게 창극 대본을 만들어 배부한다.(강사들이 전에 있던 대본을 아이들의 수준에 맞추어 고친다 ) 창극의 내용을 바탕으로 15 명이 각자의 배역 을 정한다. 배역을 정할 시에는 강사의 지도하에 자율적이고 공정하게 정한다 . 강사는 아 이들에게 연극의 장르적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연기하는 방법과 주의할 점에 대해 가르쳐 준다. 15 차시는 본격적으로 연습에 들어간다. 1 막을 위주로 연습하며 강사들은 아이들이 대본을 외울 수 있게 도와준다. < 표 12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16 차시 차시 학습주제 학습내용 학습목표 16 차시 참석인원 15 명 현장학습⑵ - 종묘와 한국민속촌 방문 종묘에서 종묘제례를 감상하고 한국민속촌을 방문하여 민속놀이 를 체험한다. 실내에서 영상자료와 학습으로만 접했던 한국의 전통 음악인 종 묘 제례를 실제로 들어보고 한국의 민속놀이를 체험해보면서 한 국 문화에 더 가까워지고 친숙해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립국악원으로의 첫 번째 현장학습에 이어 두 번째 현장학습의 장소는 종묘와 한국민속 촌으로 정하였다. 종묘에서는 한국의 궁중 음악인 종묘 제례악을 옛날 방식으로 그대로 재 현한 것을 학생들이 직접 보면서 생소한 궁중 음악을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 23. 또한 한국민속촌에서는 과거 한국의 생활 모습을 직접 재현해 놓은 장소를 보면서 한국인 의 문화를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한다. 이렇게 현장학습을 통 해 학생들이 한국의 문화를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배울 수 있게 하면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 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그림 5 > 종묘제례악 < 그림 6 > 한국 민속촌 전경 < 표 13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17~20 차시 차시 학습주제 17~20 차시 참석인원 창작곡 배우기 - Let it be 와 You raise me up 배우기 15 명 창극 만들기 -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창극 만들기
  • 24. 학습내용 학습목표 Let it be 와 You raise me up 을 한글가사로 설명한 뒤 악기 로 연주해보기 학생들에게 국악의 새로운 모습 을 보여주고 연주시켜 체험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이 국악에 더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한다. 자신의 이야기를 극의 투입하여 <창극‘놀부흥부’>를 만든다. 앞 시간에 나누었던 이야기를 바탕으로 창의적으로 창극을 창 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17~20 차시는 국악과 팝송이 만난 퓨전 창작곡을 배우는 시간이다. 강사는 팝송인 Let it be 와 You raise me up 의 노래를 들려주고 한글로 번역된 가사를 알려주어 같이 부르게 하 여 가사의 뜻을 학생들이 이해하도록 돕는다. 노래의 전체를 연주하는 것이 아닌 후렴구만 을 연주하도록 하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편집된 정간보 악보를 준다. 공연 때 후렴구를 3 번 반복 연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7~18 시는 Let it be 를, 19~20 차시는 You raise me u p 의 연주법에 대해 학습하도록 한다. 14~15 차시의 내용을 이어서 연습하도록 한다 . 17 차시는 2 막을, 18 차시는 3 막을, 19 차 시는 4 막을 연습한다. 20 차시는 총 정리 시간으로 강사는 아이들이 대본을 확실하게 외웠 는지 점검하도록 한다. < 표 14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21~22 차시 차시 학습주제 학습내용 및 목표 참석인원 21~22 차시 15 명 연습 및 복습하기 현재까지 배웠던 내용을 복습하여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고 공연 을 준비하는 시간을 갖는다. 21~22 차시는 연습 및 복습하는 시간이다. 공연에 앞서 무대매너를 아이들에게 알려준다 . (인사법, 입장 퇴장 시 유의사항, 동선, 자리배치 등) 그 다음 수연장, 타령, 아리랑 2 곡, 창작곡 2 곡을 다 같이 합주하며 맞춰본다. 부족한 아이들은 강사가 개인지도하며 합주의 형태로 연습한다. 강사는 공연 시 아이들의 자리배치를 정해준다. 22 차시는 실제 공연을 하는 것처럼 배운 곡들을 쭉 이어서 합주하는 형태로 수업을 진행한다. 강사는 장구장단과 구음(말, 노래)으로 아이들을 지도한다. 21~22 차시 모두 아리랑과 태산이, 사랑가를 연습하고 창극을 복습 후 연습한다. < 표 15 > 차시별 국악프로그램 - 23~24 차시 차시 학습주제 학습내용 및 목표 참석인원 23~24 차시 15 명 리허설 및 공연 공연을 통해 아이들이 자존감과 자신감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 다.
  • 25. 23 차시에는 아이들과 공연장에 가본다. 아이들은 무대 의상을 입고 실제 공연처럼 연습을 한다. 강사는 마이크의 위치와 아이들이 옷을 갈아입을 수 있는 시간을 체크하고 공연 시 필요한 물품(물, 간식, 마이크, 메이크업, 공연복 등)등을 체크한다. 무대 인사, 입장, 퇴 장 모두 실제 공연과 같이 진행하며 강사들은 아이들의 동선을 교정해준다. 창극을 할 때 장마다 바뀌는 무대 배경도 체크한다. 24 차시는 공연을 진행한다. 공연에는 학교 친구들과 부모님을 초청한다. 관객들 앞에서 여태까지 준비한 멋진 공연을 보여준다. 공연을 하면서 자신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기 르고, 자존감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연프로그램 기획 1 부 입 퇴장 인사 포함 (30 분) 인터미션 15 분 (쉬는시간) 수연장 1 장 타령 (7 분) 태산이~ 사랑가 (5 분) 경기아리랑 진도아리랑 (7 분) 2 부 놀부흥부 창극 (45 분)
  • 26. - 암전 속, 아이들은 무대 위에 앉아있고 막이 오르고 불이 켜진 뒤 단체로 수연장과 타령 을 연주한다. - 연주가 끝난 후 아이들은 인사를 한 뒤 무대뒤에 악기를 두고 다시 재입장 한다 . 강사들 의 반주로 아이들은 태산이와 사랑가를 노래한다. 노래 후 아리랑을 진행한다. 아리랑은 악기 7 명과 노래 8 명으로 공연한다. - 1 부가 끝나고 막이 쳐진 후 인터미션 15 분을 갖는다. 이 시간동안 무대배경은 창극으로 바뀌며 아이들은 창극의상으로 갈아입고 마이크를 설치한 후 대기한다. 2 부의 막이 오르고 창극공연을 진행한다. - 모든 공연이 종료되고 무대에 출연한 아이들 모두 무대 위에서 인사를 한다 . 막이 내려 오고 공연이 끝난다. [평 가 지 ] 1.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동기는 무엇입니까? ① 주변의 권유 ② 필요해서 ③ 관심 있어서 ④ 모른다 2. 프로그램의 교육시간은 적절 하였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3. 프로그램은 흥미로웠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4. 프로그램의 학습내용에 만족합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5. 프로그램의 난이도는 어려웠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 27. 6. 프로그램이 한국문화 이해에 도움 되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7. 프로그램을 통해 국악에 대해 이해하였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8. 가장 재미있었던 강습은 어느 것 입니까? ① 악기 ② 성악 ③ 한국 문화 ④ 전래놀이 ⑤ 없다 ④ 전래놀이 ⑤ 없다 ④ 전래놀이 ⑤ 없다 9. 더 배우고 싶은 강습은 어느 것 입니까? ① 악기 ② 성악 ③ 한국 문화 10. 가장 어려웠었던 강습은 어느 것 입니까? ① 악기 ② 성악 ③ 한국 문화 11. 프로그램에 다시 참여할 의향이 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12. 프로그램이 자신감 회복에 도움 되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13. 프로그램을 다른 지인들에게 권유할 의향이 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참고문헌자료 문진숙(2004), 개념접근법에 의한 국악감상 체험활동이 국악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추 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박경동(2008), 다문화가족 형성과 갈등에 대한 연구 : 한국의 광주·전남지역 사례를 중심 으로.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변영계,이상수(2003), 수업설계, 학지사 서원준(2010) 다문화가정 자녀의 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 원 신은식(2010),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국악 장단 학습 방안 : 초등학교 4 학년을 중 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이정진(2011), 존 듀이의 교육철학으로 접근한 '창의적 국악교육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 교 5.6 학년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철원(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프로그램 구안 및 활용방안 : 자아존중감과 대인관 계능 력 향상을 중심으로. 국제문화대학원대, 사회복지학 이혜진(2012),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 28. 효 과.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한지화(2011), 유아국악교육 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 연구.우석대학교 황경아(2004), 교육연극이 초등영어 말하기 능력과 흥미도·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 육 대학교 교육대학원 연합뉴스, 2011/07/31, 국제결혼 증가세 주춤…지방은 여전히 높아 http://blog.naver.com/snpostkim?Redirect=Log&logNo=100165382873 http://blog.naver.com/jgb_mania?Redirect=Log&logNo=40041319247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066814&categoryId=20000183 3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61058&mobile&categoryId=2 00000428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92&contents_id=4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