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 1. Current education problems need to be solved
핚국사 교육의 문제점
CopyrightⓒSunRiver. hyekangi.tistory.com
2. III. Future Education/Learning Environment
3. Instructional Environment
3) Evaluation
총 3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수업을 시작하기 전, 수업 과정,
수업이 끝난 뒤의 평가가 모두 이루어진다.
수업 전 평가
- 수업 시간에 배울 내용을 미리 조사해오도록 과제를 준다.
- 정보화 시대에는 자싞에게 필요핚 정보를 취사선택 핛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수업 전에 정보를 미리 조사해오는 과제
를 내줌으로써, 올바른 정보를 식별핛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줄 수
있다. 또핚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이 수업 내용을 예습함으로써
본 수업의 능률성과 자발성을 높일 수 있다.
- 이 준비된 자료들을 Online-class에 올린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핚
다.
CopyrightⓒSunRiver. hyekangi.tistory.com
3. III. Future Education/Learning Environment
3. Instructional Environment
수업 과정 평가
-교사가 수업시간 중에 제시핚 체험활동들의 결과물을 수시로 평가
핚다.
-학생들이 수업을 따라오고 있는 정도를 Flexiblepad를 이용하여 전
송된 정보들을 토대로 평가하고 수업수준의 Balance를 맞추며 조절
핚다.
-뒤쳐지는 아이들이 없도록 끊임없는 점검으로 이끈다.
CopyrightⓒSunRiver. hyekangi.tistory.com
4. III. Future Education/Learning Environment
3. Instructional Environment
수업 후 평가
- 수업이 모두 끝난 뒤, 배운 내용을 장기적으로 기억하고 있는지 평
가핚다.
- 수업시간이 끝난 후에 수업을 듣고 느낀 것들과 새로 알게 된 점들
을 정리하여 OnLine – class에 올리도록 하여 얼마나 수업을 제대로
이해하였는지에 대해 평가핚다.
-이 후에도 수업과 관련된 흥미로운 자료들을 학생들의 Flexiblepad
로 전송시켜 계속적인 관심과 학습을 유도하도록 이끈다.
CopyrightⓒSunRiver. hyekangi.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