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p.327~356
201325043 이슬기
1.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개발활동은 국가,지역,학교,학년,교과,학습,학생 등의
여러 가지 수준에서 이루어 질 수 있지만,교육과정 개발수준을
국가,지역,학교라는 세 가지 수준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볼 수 있다.
교과수준 교육과정은 국가의 교육목적,내용기준,학생의
성취기준,교육기관 및 교육행정 기관의 교육과정 운영기준 등
을 포함한다.
즉,교육과정  교육에 대한 국가의 의도를 담은 문서 내용을 말
한다.
1)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구체적 특성
 국가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교, 개인수준의 다양성
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과정이다.
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중
심의 교육과정이다.
 교육청과 학교, 교원, 학생, 학부모가 함께 실현해 가
는 교육과정이다.
 학교 교육체제를 교육과정중심으로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 교육의 과정과 결과의 질적 수준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2)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의 구체적 특성
 우리나라의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초·중등 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고시된 것으로 초·중등학교
의 교육목적과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며, 초·등 학교에서 편성·운영하여야 할
학교 교육과정의 공통적,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초·중등교육법 제23조 2항 : “교육부 장관은 교육과정의 기준과
내용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한다.”에 의거하여 교육부 장관이 문서로
결정, 고시한 교육내용에 관한 전국공통의 일반적인 기준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다(교육부,1999).”
교육부 교육과정 개발의 주요 역할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의 개발
교과용 도서의 개발, 보급
교육과정 시행대비 교원연수
교육과정 해설서 발간 배부
교과용 도서 실험·연구학교 운영
 교육과정 연구학교 운영
2. 지역수준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결정이 분권화로 나아가는 경향을 설명해
주는 요인들
 다원적이고 개별적인 사회에서 학생들이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이다.
 평등에 대한 해석이 동일한 교육을 제공해 주는 것에서 학생들의
개인차에 따른 적절한 자원 혹은 경험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변화
되었기 때문이다.
 학교 효율성과 학교 개선에 과한 연구결과에서 지적되었듯이 학교
와 교직원에게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권한이 주어질 때 효율성은
가장 커진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교육의 질 에 대한 대중의 관심
이 높아짐에 따라 학교는 고객에게 학교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져
야 한다는 사실도 분권화를 촉진시켰다.
1) 지역수준의 교육과정
 국가수준에서는 전국의 각급학교에서 실행해야 할 공통적, 일반적
인 기준만을 제시하고, 각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편성 ·
운영 지침은 해당 시 · 도 교육청 및 지역교육청에서 작성하도록 하
고 있다. 또한 각급학교에서는 국가기준과 시 ·도 및 지역교육청의
편성 · 운영 지침을 토대로 단위학교의 설정에 맞게 학교 교육과정
을 편성하여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 · 도 및
지역교육청은 각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편성 · 운영 지침을 설
정하고, 단위학교에서도 학교의 실정을 고려하여 학교수준의 교육
과정을 편성 · 운영 하고 있지만, 이러한 교육과정 주체들 역시 전
국 공통의 일반적인 기준인 국가교육과정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다.
 교육과정 편성 · 운영지침
- 연구진, 심의진
-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분석 검토
시·도 교육의 강조점 모색
각종 실태 조사 분석
-교육과정 편제, 교과별 교육내용 조정
- 심의회 운영
- 교원 연수, 후속 지원 대책
실무 위원회 조직
기초 조사·연구
편성·운영 지침 작성
지침안의 심의·확정
지침의 적용
지침의 평가
2) 지역 교육청의 편성·운영지침 개발 절차
지역 교육청에서는 교육과정 실천의 효율화를 위하여
교육인적자원부가 고시한 국가 교육과정 기준과 시·도
교육청이 개발한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기초
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실천 중심의
장학자료’를 작성하여 관내 초·중학교에 제시하게
된다. 시·도 교육청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기준
으로 지역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을 개발하고 시·군·구 교육청은 지역 학교에서 필요
한 장학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
다.
3) 지역수준 교육과정의 장·단점
우리나라에서 지역수준의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은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시·도 및 기·군·구 지역교육청
의 교육문제해결 능력을 신장하고 교육관련 전문성을 신장
시 킬 수 있다는 공통적인 장점을 갖는다. 반면에 시간,
인력, 비용 등의 부족으로 교육과정 자체의 질적 수준이
낮아지고, 지역 간의 교육 격차가 심화될 수 있다는 위험성
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수준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권을 확대하고,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교육자치의 실현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3.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
1)학교 교육과정의 필요성
첫째, 국가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개발자와 그것을 사
용하는 사용자(교사)의 분리로 인하여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
의 이해부족 및 전문적 지식의 결핍, 이론과 실제의 괴리 등을
초래했다는 것이다.
둘째, 획일적인 국가 교육과정으로는 21세기의 다양화된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으며, 학습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
를 수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2)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R.D & D 모형은 문서 또는 패키지 형태로 교육과정이 만들어
지고 보급되는 과정을 개념화한 것으로, R.D & D 모형은 교육
과정이 중앙기관 또는 중앙으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는 연구기관
에 의해서 마련되어 주변에 있는 학교에 보급하는 절차를 취하고
있다. 이는 교육과정에 대한 의사결정과정에 교사가 참여한다는
것뿐만 아니라 학교의 구체적, 특수적 맥락을 교육과정에 방영
시켜 이론과 실천을 연결시킨 실천적 원리에 따른다고 하는
의도가 함의되어 있다.
3) 학교의 편성 역할
단위학교의 국가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이 이루어지는 단계
제 7차 교육과정에서 보면 각 학교는 학교 교육과정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계획을 수립하여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을
위한 계획을 세운다.
 편제와 시간 배당, 수업일수, 수업시수 결정  교과, 재량활동, 특별
활동의 연간 운영계획  특별 활동의 학교별 확보시간 결정  목표,
내용, 수준, 지도 순서, 시간, 방법의 조정  교육평가 계획 수립
생활지도, 특수아 지도 및 교육자료 활용 계획의 수립  수준별 교육과
정 운영에 따른 특별 보충과정 운영계획  기타 학교 운영 전반에 필요한
계획 수립 등을 마련하게 된다.
(1)학교 교육과정위원회 조직과 편성 계획 수립
학교 교육과정위원회의 구성은 학교의 실정에 따라 별도의 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고 교직원 회의, 부장회의, 동학년 회의, 교과 협의회 등 기존의 각종
학교 조직이나 협의회를 활용 할 수도 있다.
(2)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성격
교육과정 개발의 주체 측면에서 보면, 국가 교육과정의 개발 주체가 국가
혹은 국가 위임한 연구기관의 소수전문가라고 한다면 학교 교육과정에
있어서는 교사가 교육과정의 개발의 주체가 된다.
(3)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요령
학교 교육과정 편성은 학교장을 중심으로 전교원의 참여와 협동으로
이루어질 것이 기본 전제이다. 일부 특정한 교무, 연구 주임교사 등이
편성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4)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이점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장점은 첫째, 적합성의 측면에서 볼 때, 학교수
준에서 개발된 교육과정은 지역이나 학교의 여건, 학생이나 학부모의 요구
에 적합한 교육과정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실천가능성의 측면에서
볼 때, 학교수준에서 개발된 교육과정이 실제 수업현장에서 계획대로 적용
되고 실천된 가능성도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5) 학교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의 문제점
• 행정가와 교사를 위한 지원 구조가 결여되어 있다.
• 행정가와 교사가 획일적 일치성을 강조하므로 창조성을 감소시킨다.
• 교사가 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부족하다.
• 이 교육과정 개발과정에 능숙하고 잘 훈련된 교사가 부족하다.
(6)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문제점에 대한 방안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발과 실천은 국가와 지역, 학교, 개별교사에 이르는
교육과정 주체들 간의 연결망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교육인적자원부
시·도(지역) 교육청 각급학교 개별교사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관
계를 상정해 볼 수 있으며, 국가에서 의도하고 있는 교육목적 달성을 위해
각 주체별로 담당 역할이나 기능에 따라 어떠한 일을 해야 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1 von 16

Recomendados

cours de consolidation en ifrs von
cours de consolidation en ifrscours de consolidation en ifrs
cours de consolidation en ifrsMohamed Amine Sansar
16.2K views163 Folien
Présentation PowerPoint opérationnalisation du NEXUS au Niger - MAH GC - revi... von
Présentation PowerPoint opérationnalisation du NEXUS au Niger - MAH GC - revi...Présentation PowerPoint opérationnalisation du NEXUS au Niger - MAH GC - revi...
Présentation PowerPoint opérationnalisation du NEXUS au Niger - MAH GC - revi...Réseau de prévention des crises alimentaires (RPCA)
346 views14 Folien
NIGER_HDP_Présentation MAHGC Nexus HDP 2023 Principales acancées Niger.pptx von
NIGER_HDP_Présentation MAHGC Nexus HDP 2023 Principales acancées Niger.pptxNIGER_HDP_Présentation MAHGC Nexus HDP 2023 Principales acancées Niger.pptx
NIGER_HDP_Présentation MAHGC Nexus HDP 2023 Principales acancées Niger.pptxRéseau de prévention des crises alimentaires (RPCA)
116 views9 Folien
Reverse Factoring: source alternative de financement von
Reverse Factoring: source alternative de financementReverse Factoring: source alternative de financement
Reverse Factoring: source alternative de financementb-process
940 views36 Folien
La Conception de la comptabilité analytique von
La Conception de la comptabilité analytiqueLa Conception de la comptabilité analytique
La Conception de la comptabilité analytiquepowerpointrice
12.9K views35 Folien
커머셜Ir 국문 von
커머셜Ir 국문커머셜Ir 국문
커머셜Ir 국문Hyundai Finance
956 views10 Folien

Más contenido relacionado

Destacado

교육과정 von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dlqhfk5327
784 views38 Folien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von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시진 유
823 views29 Folien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VIETMAN_탐방 계획서 von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VIETMAN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VIETMAN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VIETMAN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4K views43 Folien
제 11장 장학론 von
제 11장 장학론제 11장 장학론
제 11장 장학론혜빈 소
2.7K views26 Folien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von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tngml
921 views34 Folien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von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선화 전
2.3K views27 Folien

Destacado(20)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von 시진 유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시진 유823 views
제 11장 장학론 von 혜빈 소
제 11장 장학론제 11장 장학론
제 11장 장학론
혜빈 소2.7K views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von tngml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tngml921 views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von 선화 전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선화 전2.3K views
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 von eunji-kim
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
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
eunji-kim2.8K views
교육과정 Ppt von tnekfdl77
교육과정 Ppt교육과정 Ppt
교육과정 Ppt
tnekfdl773.7K views
교육과정 von Nara Lee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Nara Lee4K views
교육과정 260-292 ppt von parkhyemi
교육과정 260-292 ppt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
parkhyemi3.9K views
17 보고서 정리스킬 von humana12
17 보고서 정리스킬17 보고서 정리스킬
17 보고서 정리스킬
humana121.1K views
액션러닝 체크리스트 von humana12
액션러닝 체크리스트액션러닝 체크리스트
액션러닝 체크리스트
humana121.8K views
1-Page Revolutionary HR Solution von Rocco Sannelli
1-Page Revolutionary HR Solution1-Page Revolutionary HR Solution
1-Page Revolutionary HR Solution
Rocco Sannelli856 views
전략관련 강의 | 이건호 전략/혁신 연구소 von libbonkorea
전략관련 강의 | 이건호 전략/혁신 연구소전략관련 강의 | 이건호 전략/혁신 연구소
전략관련 강의 | 이건호 전략/혁신 연구소
libbonkorea944 views
商業簡報網 X matter lab x 501 Free Picture Layouts-5/5 von 明文 韓
商業簡報網 X matter lab x 501 Free Picture Layouts-5/5商業簡報網 X matter lab x 501 Free Picture Layouts-5/5
商業簡報網 X matter lab x 501 Free Picture Layouts-5/5
明文 韓279 views
Yammer Tips & Tricks at Korea SharPoint Conference von Byeongguk Ku
Yammer Tips & Tricks at Korea SharPoint ConferenceYammer Tips & Tricks at Korea SharPoint Conference
Yammer Tips & Tricks at Korea SharPoint Conference
Byeongguk Ku1.7K views
Facilitating STEM Gamification & Business Model Gamification Projects: Some V... von Rod King, Ph.D.
Facilitating STEM Gamification & Business Model Gamification Projects: Some V...Facilitating STEM Gamification & Business Model Gamification Projects: Some V...
Facilitating STEM Gamification & Business Model Gamification Projects: Some V...
Rod King, Ph.D.479 views

Similar a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제 6장 von
제 6장제 6장
제 6장Seung Hee Lee
183 views22 Folien
제 6장 von
제 6장제 6장
제 6장Seung Hee Lee
255 views22 Folien
제 6장 von
제 6장제 6장
제 6장Seung Hee Lee
148 views22 Folien
제 6장 von
제 6장제 6장
제 6장Seung Hee Lee
226 views22 Folien
교육과정1 von
교육과정1교육과정1
교육과정1qkrrkdud2
3.1K views16 Folien
102~143p박선미 von
102~143p박선미102~143p박선미
102~143p박선미선미 박
1.1K views20 Folien

Similar a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20)

교육과정1 von qkrrkdud2
교육과정1교육과정1
교육과정1
qkrrkdud23.1K views
102~143p박선미 von 선미 박
102~143p박선미102~143p박선미
102~143p박선미
선미 박1.1K views
201325037 최다인ppt von 인이 다
201325037 최다인ppt201325037 최다인ppt
201325037 최다인ppt
인이 다1.2K views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von 시진 유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시진 유275 views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von 시진 유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시진 유200 views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von 시진 유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시진 유356 views
교육과정Ppt von alskdmfmxk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
alskdmfmxk3.1K views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von parkds2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parkds21.4K views
News von swu
NewsNews
News
swu96 views
2015개정교육과정질의 응답자료 von 봉조 김
2015개정교육과정질의 응답자료2015개정교육과정질의 응답자료
2015개정교육과정질의 응답자료
봉조 김2.4K views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von 21ERICK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21ERICK4.6K views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von Minsoo Jung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Minsoo Jung2.1K views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von khseon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khseon2.5K views
교육과정Ppt von Nara Lee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
Nara Lee2K views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 2. 1.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개발활동은 국가,지역,학교,학년,교과,학습,학생 등의 여러 가지 수준에서 이루어 질 수 있지만,교육과정 개발수준을 국가,지역,학교라는 세 가지 수준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볼 수 있다. 교과수준 교육과정은 국가의 교육목적,내용기준,학생의 성취기준,교육기관 및 교육행정 기관의 교육과정 운영기준 등 을 포함한다. 즉,교육과정  교육에 대한 국가의 의도를 담은 문서 내용을 말 한다.
  • 3. 1)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구체적 특성  국가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교, 개인수준의 다양성 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과정이다. 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중 심의 교육과정이다.  교육청과 학교, 교원, 학생, 학부모가 함께 실현해 가 는 교육과정이다.  학교 교육체제를 교육과정중심으로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 교육의 과정과 결과의 질적 수준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 4. 2)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의 구체적 특성  우리나라의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초·중등 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고시된 것으로 초·중등학교 의 교육목적과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며, 초·등 학교에서 편성·운영하여야 할 학교 교육과정의 공통적,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초·중등교육법 제23조 2항 : “교육부 장관은 교육과정의 기준과 내용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한다.”에 의거하여 교육부 장관이 문서로 결정, 고시한 교육내용에 관한 전국공통의 일반적인 기준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다(교육부,1999).”
  • 5. 교육부 교육과정 개발의 주요 역할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의 개발 교과용 도서의 개발, 보급 교육과정 시행대비 교원연수 교육과정 해설서 발간 배부 교과용 도서 실험·연구학교 운영  교육과정 연구학교 운영
  • 6. 2. 지역수준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결정이 분권화로 나아가는 경향을 설명해 주는 요인들  다원적이고 개별적인 사회에서 학생들이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이다.  평등에 대한 해석이 동일한 교육을 제공해 주는 것에서 학생들의 개인차에 따른 적절한 자원 혹은 경험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변화 되었기 때문이다.  학교 효율성과 학교 개선에 과한 연구결과에서 지적되었듯이 학교 와 교직원에게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권한이 주어질 때 효율성은 가장 커진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교육의 질 에 대한 대중의 관심 이 높아짐에 따라 학교는 고객에게 학교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져 야 한다는 사실도 분권화를 촉진시켰다.
  • 7. 1) 지역수준의 교육과정  국가수준에서는 전국의 각급학교에서 실행해야 할 공통적, 일반적 인 기준만을 제시하고, 각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편성 · 운영 지침은 해당 시 · 도 교육청 및 지역교육청에서 작성하도록 하 고 있다. 또한 각급학교에서는 국가기준과 시 ·도 및 지역교육청의 편성 · 운영 지침을 토대로 단위학교의 설정에 맞게 학교 교육과정 을 편성하여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 · 도 및 지역교육청은 각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편성 · 운영 지침을 설 정하고, 단위학교에서도 학교의 실정을 고려하여 학교수준의 교육 과정을 편성 · 운영 하고 있지만, 이러한 교육과정 주체들 역시 전 국 공통의 일반적인 기준인 국가교육과정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다.
  • 8.  교육과정 편성 · 운영지침 - 연구진, 심의진 -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분석 검토 시·도 교육의 강조점 모색 각종 실태 조사 분석 -교육과정 편제, 교과별 교육내용 조정 - 심의회 운영 - 교원 연수, 후속 지원 대책 실무 위원회 조직 기초 조사·연구 편성·운영 지침 작성 지침안의 심의·확정 지침의 적용 지침의 평가
  • 9. 2) 지역 교육청의 편성·운영지침 개발 절차 지역 교육청에서는 교육과정 실천의 효율화를 위하여 교육인적자원부가 고시한 국가 교육과정 기준과 시·도 교육청이 개발한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기초 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실천 중심의 장학자료’를 작성하여 관내 초·중학교에 제시하게 된다. 시·도 교육청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기준 으로 지역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을 개발하고 시·군·구 교육청은 지역 학교에서 필요 한 장학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 다.
  • 10. 3) 지역수준 교육과정의 장·단점 우리나라에서 지역수준의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은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시·도 및 기·군·구 지역교육청 의 교육문제해결 능력을 신장하고 교육관련 전문성을 신장 시 킬 수 있다는 공통적인 장점을 갖는다. 반면에 시간, 인력, 비용 등의 부족으로 교육과정 자체의 질적 수준이 낮아지고, 지역 간의 교육 격차가 심화될 수 있다는 위험성 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수준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권을 확대하고,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교육자치의 실현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 11. 3.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 1)학교 교육과정의 필요성 첫째, 국가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개발자와 그것을 사 용하는 사용자(교사)의 분리로 인하여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 의 이해부족 및 전문적 지식의 결핍, 이론과 실제의 괴리 등을 초래했다는 것이다. 둘째, 획일적인 국가 교육과정으로는 21세기의 다양화된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으며, 학습자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 를 수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 12. 2)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R.D & D 모형은 문서 또는 패키지 형태로 교육과정이 만들어 지고 보급되는 과정을 개념화한 것으로, R.D & D 모형은 교육 과정이 중앙기관 또는 중앙으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는 연구기관 에 의해서 마련되어 주변에 있는 학교에 보급하는 절차를 취하고 있다. 이는 교육과정에 대한 의사결정과정에 교사가 참여한다는 것뿐만 아니라 학교의 구체적, 특수적 맥락을 교육과정에 방영 시켜 이론과 실천을 연결시킨 실천적 원리에 따른다고 하는 의도가 함의되어 있다.
  • 13. 3) 학교의 편성 역할 단위학교의 국가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이 이루어지는 단계 제 7차 교육과정에서 보면 각 학교는 학교 교육과정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계획을 수립하여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을 위한 계획을 세운다.  편제와 시간 배당, 수업일수, 수업시수 결정  교과, 재량활동, 특별 활동의 연간 운영계획  특별 활동의 학교별 확보시간 결정  목표, 내용, 수준, 지도 순서, 시간, 방법의 조정  교육평가 계획 수립 생활지도, 특수아 지도 및 교육자료 활용 계획의 수립  수준별 교육과 정 운영에 따른 특별 보충과정 운영계획  기타 학교 운영 전반에 필요한 계획 수립 등을 마련하게 된다.
  • 14. (1)학교 교육과정위원회 조직과 편성 계획 수립 학교 교육과정위원회의 구성은 학교의 실정에 따라 별도의 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고 교직원 회의, 부장회의, 동학년 회의, 교과 협의회 등 기존의 각종 학교 조직이나 협의회를 활용 할 수도 있다. (2)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성격 교육과정 개발의 주체 측면에서 보면, 국가 교육과정의 개발 주체가 국가 혹은 국가 위임한 연구기관의 소수전문가라고 한다면 학교 교육과정에 있어서는 교사가 교육과정의 개발의 주체가 된다.
  • 15. (3)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요령 학교 교육과정 편성은 학교장을 중심으로 전교원의 참여와 협동으로 이루어질 것이 기본 전제이다. 일부 특정한 교무, 연구 주임교사 등이 편성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4)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이점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장점은 첫째, 적합성의 측면에서 볼 때, 학교수 준에서 개발된 교육과정은 지역이나 학교의 여건, 학생이나 학부모의 요구 에 적합한 교육과정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실천가능성의 측면에서 볼 때, 학교수준에서 개발된 교육과정이 실제 수업현장에서 계획대로 적용 되고 실천된 가능성도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 16. (5) 학교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의 문제점 • 행정가와 교사를 위한 지원 구조가 결여되어 있다. • 행정가와 교사가 획일적 일치성을 강조하므로 창조성을 감소시킨다. • 교사가 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부족하다. • 이 교육과정 개발과정에 능숙하고 잘 훈련된 교사가 부족하다. (6)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문제점에 대한 방안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발과 실천은 국가와 지역, 학교, 개별교사에 이르는 교육과정 주체들 간의 연결망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교육인적자원부 시·도(지역) 교육청 각급학교 개별교사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관 계를 상정해 볼 수 있으며, 국가에서 의도하고 있는 교육목적 달성을 위해 각 주체별로 담당 역할이나 기능에 따라 어떠한 일을 해야 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