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글쓰기의 최소 원칙
띄어쓰기와 맞춤법은 왜 중요한가?
중의적 표현 피하기
번역 문장 피하기
정확한 단어 사용하기
연습문제
글쓰기 전략(자료 참조)
정의
요약
3. 2
글쓰기의 최소 원칙
• 띄어쓰기와 맞춤법은 왜 중요한가?
• 맞춤법이 틀리면 내용이 좋지 않다?
• 맞춤법은 생각을 담는 그릇
• 한글 맞춤법을 엄격하게 반영한 사전으로 국립국어원에서 간행한 ‘표준국어
대사전‘ 참조
•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서 무료 이용 가능
• http://www.korean.go.kr
4. 3
• 학생들 과제에서 흔히 발견되는 잘못된 단어 예시
• 가기 쉽상이다가기 십상이다
• 가던지 말던지 → 가든지 말든지
• 갓난아이/갖난아이 → 간난아이
• 강남콩 → 강낭콩
• 갸날프다 → 가냘프다
• 거칠은 → 거친
• 곰곰히 → 곰곰이
• 까탈스럽다 → 까다롭다
• 바램 → (우리의) 바람
• 안성마춤 → 안성맞춤
• 한갖→한갓
• 희노애락 →희로애락
글쓰기의 최소 원칙
5. 4
글쓰기의 최소 원칙
• 중의적 표현 피하기
• 중의적 표현은 두 가지 이상의 뜻으로 이해될 수 있는 문장
• 문학작품 등 스토리를 갖는 텍스트에서 중의적 표현이 중요함
• 하지만 논리적인 글에서는 중의적 표현이 좋지 않음
•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간결한 문장이 좋음
6. 5
연습문제
• 다음 문장의 두가 의미를 찾아보자
• 선생님이 보고 싶은 학생들이 많다.
• ①
• ②
• 사과와 귤 2개를 받았다.
• ①
• ②
• 이것은 할아버지의 그림이다.
• ①
• ②
7. 6
글쓰기의 최소 원칙
• 번역 투 문장 피하기(자료 참조)
• 외국어를 번역한 것 같은 문장을 의미
• ①불필요한 접미사 ‘-들’을 사용하는 경우
• ②피동 표현을 중첩하여 사용하는 경우
• ③불필요한 사동 표현을 쓰는 경우
• ④영어의 수동태 표현을 쓰는 경우
• ②, ③은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
• ①, ④은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은 아니지만 한국어 문장으로는 어색한 표현
8. 7
글쓰기의 최소 원칙
• 정확한 단어 사용하기(자료 참조)
• 형태의 정확성
• 어문 규정에 맞는 단어 쓰기
• 의미의 정확성
• 문장의 의미에 알맞은 단어를 쓰는 것
• 연습문제(자료 참조)
9. 8
글쓰기 전략
• 정의 : 대상의 본질을 파악하라
• 정의(定義)란 설명 대상의 의미를 분명하게 규정하는 방법
• 대상의 속성이나 범주를 한정하는 경우에 적합한 설명 방식
• “사람 은 이성적(理性的)인 동물이다”
• 외연적 정의
• ‘A는 B이다’
• “삼각형이란 정삼각형, 이등변삼각형, 직각삼각형 등이다”
• 개념(‘삼각형’)이 가리키는 대상(‘정삼각형, 이등변삼각형, 직각삼각형……’)
들을 열거하는 정의 방식
• 주로 직관에 의존
10. 9
글쓰기 전략
• 내포적 정의
•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안한 ‘유와 종차에 의한 정의’ 방식을 사용
• 사전적 정의
• 개념의 대상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질이나 특징을 기술하여 개념
의 본질적인 속성을 밝히는 것이 핵심
• 내포적 정의를 사용할 때 몇 가지 유의할 점
• 정의는 종의 본질적 속성을 기술해야 한다.
• 정의는 순환적이어서는 안 된다.
• 정의는 너무 넓어서도 너무 좁아서도 안 된다.
• 정의는 모호하거나 비유적인 표현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 부정적인 정의를 피한다.
11. 10
연습문제
• 아래 추상명사들을 사전에서 찾아 그 의미를 적어보고, 예시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확대 정의해 보자.
• 사랑
• 생명
• 평화
• 아래 추상명사들을 사전에서 찾아 그 의미를 적어보고, 비유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확대 정의해 보자.
• 피그말리온 효과
• 나비 효과
• 베르테르 효과
12. 11
글쓰기 전략
• 요약 : 생각의 깊이를 확장하라
• 요약은 왜 필요한가?
• 학술적 글에 다른 사람이 쓴 글을 요약하는 부분이 포함
• 자신이 제시한 문제의식에 새로운 의미 해석을 가능하게 함
•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먼저 타인의 글을 잘 읽어야 한다!
• 타인의 문제의식, 사유 방식,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법을 숙지
• 반복적인 요약 연습은 타인의 글을 비교하고 종합하며 비판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줄 수 있음
13. 12
글쓰기 전략
• 요약의 유용성
• 자신이 읽은 글을 이해하는 가장 탁월한 방법
• 요약의 반복적 실행은 글쓰기 능력을 향상
• 대학 글쓰기에서 빈번하게 요구
• 독자를 설득하고 공감대를 확장하기
• 자신의 문제의식을 확장하고 강화
• 대학에서 요약이 필요한 곳
• 비판적 글쓰기
• 종합적 글쓰기
• 분석적 글쓰기
• 논쟁적 글쓰기
• 연구보고서 등
14. 13
글쓰기 전략
• 요약의 방법
• 주의 깊게 읽기
• 주요 내용 표시, 질문 메모
• 다시 읽기
• 내용 단위로 쪼개기
• 내용 단위를 한 문장으로 요약하기
• 한두 문장으로 전체 주제 요약하기
• 전체 요약 글쓰기
• 요약문과 원문 비교하기
• 수정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