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ing Strategies and Skill.pptx

글쓰기(Writing) III
1
 글쓰기의 최소 원칙
 띄어쓰기와 맞춤법은 왜 중요한가?
 중의적 표현 피하기
 번역 문장 피하기
 정확한 단어 사용하기
 연습문제
 글쓰기 전략(자료 참조)
 정의
 요약
2
글쓰기의 최소 원칙
• 띄어쓰기와 맞춤법은 왜 중요한가?
• 맞춤법이 틀리면 내용이 좋지 않다?
• 맞춤법은 생각을 담는 그릇
• 한글 맞춤법을 엄격하게 반영한 사전으로 국립국어원에서 간행한 ‘표준국어
대사전‘ 참조
•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서 무료 이용 가능
• http://www.korean.go.kr
3
• 학생들 과제에서 흔히 발견되는 잘못된 단어 예시
• 가기 쉽상이다가기 십상이다
• 가던지 말던지 → 가든지 말든지
• 갓난아이/갖난아이 → 간난아이
• 강남콩 → 강낭콩
• 갸날프다 → 가냘프다
• 거칠은 → 거친
• 곰곰히 → 곰곰이
• 까탈스럽다 → 까다롭다
• 바램 → (우리의) 바람
• 안성마춤 → 안성맞춤
• 한갖→한갓
• 희노애락 →희로애락
글쓰기의 최소 원칙
4
글쓰기의 최소 원칙
• 중의적 표현 피하기
• 중의적 표현은 두 가지 이상의 뜻으로 이해될 수 있는 문장
• 문학작품 등 스토리를 갖는 텍스트에서 중의적 표현이 중요함
• 하지만 논리적인 글에서는 중의적 표현이 좋지 않음
•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간결한 문장이 좋음
5
연습문제
• 다음 문장의 두가 의미를 찾아보자
• 선생님이 보고 싶은 학생들이 많다.
• ①
• ②
• 사과와 귤 2개를 받았다.
• ①
• ②
• 이것은 할아버지의 그림이다.
• ①
• ②
6
글쓰기의 최소 원칙
• 번역 투 문장 피하기(자료 참조)
• 외국어를 번역한 것 같은 문장을 의미
• ①불필요한 접미사 ‘-들’을 사용하는 경우
• ②피동 표현을 중첩하여 사용하는 경우
• ③불필요한 사동 표현을 쓰는 경우
• ④영어의 수동태 표현을 쓰는 경우
• ②, ③은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
• ①, ④은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은 아니지만 한국어 문장으로는 어색한 표현
7
글쓰기의 최소 원칙
• 정확한 단어 사용하기(자료 참조)
• 형태의 정확성
• 어문 규정에 맞는 단어 쓰기
• 의미의 정확성
• 문장의 의미에 알맞은 단어를 쓰는 것
• 연습문제(자료 참조)
8
글쓰기 전략
• 정의 : 대상의 본질을 파악하라
• 정의(定義)란 설명 대상의 의미를 분명하게 규정하는 방법
• 대상의 속성이나 범주를 한정하는 경우에 적합한 설명 방식
• “사람 은 이성적(理性的)인 동물이다”
• 외연적 정의
• ‘A는 B이다’
• “삼각형이란 정삼각형, 이등변삼각형, 직각삼각형 등이다”
• 개념(‘삼각형’)이 가리키는 대상(‘정삼각형, 이등변삼각형, 직각삼각형……’)
들을 열거하는 정의 방식
• 주로 직관에 의존
9
글쓰기 전략
• 내포적 정의
•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안한 ‘유와 종차에 의한 정의’ 방식을 사용
• 사전적 정의
• 개념의 대상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질이나 특징을 기술하여 개념
의 본질적인 속성을 밝히는 것이 핵심
• 내포적 정의를 사용할 때 몇 가지 유의할 점
• 정의는 종의 본질적 속성을 기술해야 한다.
• 정의는 순환적이어서는 안 된다.
• 정의는 너무 넓어서도 너무 좁아서도 안 된다.
• 정의는 모호하거나 비유적인 표현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 부정적인 정의를 피한다.
10
연습문제
• 아래 추상명사들을 사전에서 찾아 그 의미를 적어보고, 예시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확대 정의해 보자.
• 사랑
• 생명
• 평화
• 아래 추상명사들을 사전에서 찾아 그 의미를 적어보고, 비유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확대 정의해 보자.
• 피그말리온 효과
• 나비 효과
• 베르테르 효과
11
글쓰기 전략
• 요약 : 생각의 깊이를 확장하라
• 요약은 왜 필요한가?
• 학술적 글에 다른 사람이 쓴 글을 요약하는 부분이 포함
• 자신이 제시한 문제의식에 새로운 의미 해석을 가능하게 함
•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먼저 타인의 글을 잘 읽어야 한다!
• 타인의 문제의식, 사유 방식,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법을 숙지
• 반복적인 요약 연습은 타인의 글을 비교하고 종합하며 비판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줄 수 있음
12
글쓰기 전략
• 요약의 유용성
• 자신이 읽은 글을 이해하는 가장 탁월한 방법
• 요약의 반복적 실행은 글쓰기 능력을 향상
• 대학 글쓰기에서 빈번하게 요구
• 독자를 설득하고 공감대를 확장하기
• 자신의 문제의식을 확장하고 강화
• 대학에서 요약이 필요한 곳
• 비판적 글쓰기
• 종합적 글쓰기
• 분석적 글쓰기
• 논쟁적 글쓰기
• 연구보고서 등
13
글쓰기 전략
• 요약의 방법
• 주의 깊게 읽기
• 주요 내용 표시, 질문 메모
• 다시 읽기
• 내용 단위로 쪼개기
• 내용 단위를 한 문장으로 요약하기
• 한두 문장으로 전체 주제 요약하기
• 전체 요약 글쓰기
• 요약문과 원문 비교하기
• 수정하기
14
연습문제
• 주어진 자료의 텍스트를 읽고 요약 순서를 따라 한 문단으로 요약해 보자.
1 von 15

Más contenido relacionado

Similar a Writing Strategies and Skill.pptx(20)

Más de ssuser2624f71(20)

ResNet.pptxResNet.pptx
ResNet.pptx
ssuser2624f7130 views
ResNet.pptxResNet.pptx
ResNet.pptx
ssuser2624f7114 views
Logistic Regression.pptxLogistic Regression.pptx
Logistic Regression.pptx
ssuser2624f7116 views
EfficientNet.pptxEfficientNet.pptx
EfficientNet.pptx
ssuser2624f7153 views
GoogLeNet.pptxGoogLeNet.pptx
GoogLeNet.pptx
ssuser2624f7167 views
Linear Regression.pptxLinear Regression.pptx
Linear Regression.pptx
ssuser2624f7132 views

Writing Strategies and Skill.pptx

  • 2. 1  글쓰기의 최소 원칙  띄어쓰기와 맞춤법은 왜 중요한가?  중의적 표현 피하기  번역 문장 피하기  정확한 단어 사용하기  연습문제  글쓰기 전략(자료 참조)  정의  요약
  • 3. 2 글쓰기의 최소 원칙 • 띄어쓰기와 맞춤법은 왜 중요한가? • 맞춤법이 틀리면 내용이 좋지 않다? • 맞춤법은 생각을 담는 그릇 • 한글 맞춤법을 엄격하게 반영한 사전으로 국립국어원에서 간행한 ‘표준국어 대사전‘ 참조 •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서 무료 이용 가능 • http://www.korean.go.kr
  • 4. 3 • 학생들 과제에서 흔히 발견되는 잘못된 단어 예시 • 가기 쉽상이다가기 십상이다 • 가던지 말던지 → 가든지 말든지 • 갓난아이/갖난아이 → 간난아이 • 강남콩 → 강낭콩 • 갸날프다 → 가냘프다 • 거칠은 → 거친 • 곰곰히 → 곰곰이 • 까탈스럽다 → 까다롭다 • 바램 → (우리의) 바람 • 안성마춤 → 안성맞춤 • 한갖→한갓 • 희노애락 →희로애락 글쓰기의 최소 원칙
  • 5. 4 글쓰기의 최소 원칙 • 중의적 표현 피하기 • 중의적 표현은 두 가지 이상의 뜻으로 이해될 수 있는 문장 • 문학작품 등 스토리를 갖는 텍스트에서 중의적 표현이 중요함 • 하지만 논리적인 글에서는 중의적 표현이 좋지 않음 •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간결한 문장이 좋음
  • 6. 5 연습문제 • 다음 문장의 두가 의미를 찾아보자 • 선생님이 보고 싶은 학생들이 많다. • ① • ② • 사과와 귤 2개를 받았다. • ① • ② • 이것은 할아버지의 그림이다. • ① • ②
  • 7. 6 글쓰기의 최소 원칙 • 번역 투 문장 피하기(자료 참조) • 외국어를 번역한 것 같은 문장을 의미 • ①불필요한 접미사 ‘-들’을 사용하는 경우 • ②피동 표현을 중첩하여 사용하는 경우 • ③불필요한 사동 표현을 쓰는 경우 • ④영어의 수동태 표현을 쓰는 경우 • ②, ③은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 • ①, ④은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은 아니지만 한국어 문장으로는 어색한 표현
  • 8. 7 글쓰기의 최소 원칙 • 정확한 단어 사용하기(자료 참조) • 형태의 정확성 • 어문 규정에 맞는 단어 쓰기 • 의미의 정확성 • 문장의 의미에 알맞은 단어를 쓰는 것 • 연습문제(자료 참조)
  • 9. 8 글쓰기 전략 • 정의 : 대상의 본질을 파악하라 • 정의(定義)란 설명 대상의 의미를 분명하게 규정하는 방법 • 대상의 속성이나 범주를 한정하는 경우에 적합한 설명 방식 • “사람 은 이성적(理性的)인 동물이다” • 외연적 정의 • ‘A는 B이다’ • “삼각형이란 정삼각형, 이등변삼각형, 직각삼각형 등이다” • 개념(‘삼각형’)이 가리키는 대상(‘정삼각형, 이등변삼각형, 직각삼각형……’) 들을 열거하는 정의 방식 • 주로 직관에 의존
  • 10. 9 글쓰기 전략 • 내포적 정의 •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안한 ‘유와 종차에 의한 정의’ 방식을 사용 • 사전적 정의 • 개념의 대상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질이나 특징을 기술하여 개념 의 본질적인 속성을 밝히는 것이 핵심 • 내포적 정의를 사용할 때 몇 가지 유의할 점 • 정의는 종의 본질적 속성을 기술해야 한다. • 정의는 순환적이어서는 안 된다. • 정의는 너무 넓어서도 너무 좁아서도 안 된다. • 정의는 모호하거나 비유적인 표현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 부정적인 정의를 피한다.
  • 11. 10 연습문제 • 아래 추상명사들을 사전에서 찾아 그 의미를 적어보고, 예시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확대 정의해 보자. • 사랑 • 생명 • 평화 • 아래 추상명사들을 사전에서 찾아 그 의미를 적어보고, 비유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확대 정의해 보자. • 피그말리온 효과 • 나비 효과 • 베르테르 효과
  • 12. 11 글쓰기 전략 • 요약 : 생각의 깊이를 확장하라 • 요약은 왜 필요한가? • 학술적 글에 다른 사람이 쓴 글을 요약하는 부분이 포함 • 자신이 제시한 문제의식에 새로운 의미 해석을 가능하게 함 •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먼저 타인의 글을 잘 읽어야 한다! • 타인의 문제의식, 사유 방식,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법을 숙지 • 반복적인 요약 연습은 타인의 글을 비교하고 종합하며 비판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줄 수 있음
  • 13. 12 글쓰기 전략 • 요약의 유용성 • 자신이 읽은 글을 이해하는 가장 탁월한 방법 • 요약의 반복적 실행은 글쓰기 능력을 향상 • 대학 글쓰기에서 빈번하게 요구 • 독자를 설득하고 공감대를 확장하기 • 자신의 문제의식을 확장하고 강화 • 대학에서 요약이 필요한 곳 • 비판적 글쓰기 • 종합적 글쓰기 • 분석적 글쓰기 • 논쟁적 글쓰기 • 연구보고서 등
  • 14. 13 글쓰기 전략 • 요약의 방법 • 주의 깊게 읽기 • 주요 내용 표시, 질문 메모 • 다시 읽기 • 내용 단위로 쪼개기 • 내용 단위를 한 문장으로 요약하기 • 한두 문장으로 전체 주제 요약하기 • 전체 요약 글쓰기 • 요약문과 원문 비교하기 • 수정하기
  • 15. 14 연습문제 • 주어진 자료의 텍스트를 읽고 요약 순서를 따라 한 문단으로 요약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