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paring to write: What is Writing and Why is it Difficult?.pptx

글쓰기(Writing) I
1
 들어가며
 국내 대학 글쓰기 센터 현황
 왜 글쓰기가 필요한가?
 글쓰기의 필요성
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
 글쓰기가 어려운 이유
2
경희대학교 글쓰기 센터
국내 대학 글쓰기 센터 현황
3
• KAIST 한국어교육센터
• 학생들을 21세기 리더로서 육성하기 위해 논리적 표현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
국내 대학 글쓰기 센터 현황
4
국내 대학 글쓰기 센터 현황
5
• 글쓰기 수업의 주요 요점
글쓰기의 필요성 글쓰기의 어려움
글쓰기 수업의 주요 요점
6
• 글쓰기가 왜 필요한가?
• 내면의 성장
• ‘내가 원하는 나’, ‘더 나은 나’로 성장
• 다른 사람들이 쓴 글들을 참조하면서 ‘나의 정체성’을 찾고 ‘나의 이야기’를 쓰
는 다양한 방법들을 배울 수 있음
• ‘어린 시절의 행복한 기억을 떠올리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과 사람들과 시
간과 공간에 대해 생각하며, 성장 과정의 상처와 콤플렉스를 정면으로 마
주하고, 외롭고 혼란스러웠던 시간들에 관해 돌아보는 것
• 논리적으로 체계적으로 생각하기
• 창조적으로 상상하기
• 기억과 경험을 섬세하고 구체적으로 재구성하기
• 자신의 생각을 생생하고 적확한 언어로 표현하기
글쓰기의 필요성
7
• 글쓰기가 왜 필요한가?
• 다른 사람들이 쓴 글들을 참조하면서 ‘나의 정체성’을 찾고 ‘나의 이야기’를 쓰는
다양한 방법들을 배울 수 있음
• ‘어린 시절의 행복한 기억을 떠올리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과 사람들과 시간과
공간에 대해 생각하며, 성장 과정의 상처와 콤플렉스를 정면으로 마주하고, 외롭
고 혼란스러웠던 시간들에 관해 돌아보는 것’
글쓰기의 필요성
8
나는 한국에서는 이국적이고, 미국에서는 동양적이다. 내가 아무리 네이티브 스피커보다 더 유창하게 영어를 해도
내 피부색으로는 미국인이 될 수 없다. 그렇다고 완전한 한국인이 될 수도 없다. 미국으로 건너와서 활동을 시작하
는 이때 다시 나의 정체성을 고민해야 하다니! 모든 게 싫었다. 어딜 가도 이방인 이라는 핸디캡을 벗어 버릴 수 없
다는 생각에 괴로웠다. 몇 주 뒤 <로스트>가 방영되자마자 미국 주간지에서 인터뷰 요청이 들어왔다. 이메일을 통
한 서면 인터뷰였고, 질문들이 보편적이고 평범해서 별 어려움은 없었다. 그때 마침 절친하게 지내던 고등학교 친
구 정혜에게서 전화가 왔다. “잘 있었어? 뭐하니?” “응, 주간지 서면 인터뷰가 있어서 숙제하고 있어. 이번 문항은
…… 내 장점이 뭐냐는데? 정혜 네 생각은 어때? 내 장점이 뭐라고 생각해?” 마침 잘됐다 싶어 나는 정혜에게 솔직
한 대답을 부탁했다. “무엇보다도 너는 한국과 미국을 동시에 움직일 수 있는 힘이 있고……” 순간 바로 정혜의 얘기
를 끊고 물었다. “그게 무슨 얘기야? 내가 뭘 움직인다고?” “뭐긴 뭐야. 너는 한국 관객을 울리는 동시에 미국 관객
을 울리는 유일한 사람이잖아! 그렇게 엄청난 재능이 어딨냐? 그것도 각각 그 나라 언어로.”
큰 해일이 머릿속을 덮치는 듯했다. 이런 답이 나오리라고는 상상도 못했다. 친구의 대답이 거대한 파도가 되어 단
번에 모든 것을 쓸어 버렸다. 내가 그렇게 오랜 시간 불편하게 생각했던 나의 정체성. 그 불만이 한 순간에 해소되
는 신비로운 경험이었다. 내가 20년 동안 단점이라고 생각해 왔던 문제가 친구의 눈에는 장점으로 보였던 것이다.
생각을 바꾸고 나니 더 큰 장점들을 놓쳐 버린 시간들이 아까웠다. 조금만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더라면 좀 더 편
안하게 지낼 수 있었던 것은 물론, 스스로의 장점을 더 많이 찾아내 마음껏 능력을 발휘할 수 있었을 텐데. 아쉬움
이 밀려왔다. 처음으로 내 힘, 내 장점을 내 눈앞에 드러내 보여준 친구가 너무 고마웠다. 나는 수화기에 대고 “고마
워! 고마워, 정혜야!”를 연발했다. 나는 이제 한국과 미국 양쪽에서 모두 활발한 연기 활동을 펼칠 수 있는 유일한
사람으로 다시 태어났다. 1.5세, 코리안 아메리칸이라는 말은 한국과 미국을 동시에 아우를 수 있는 새롭고 멋진 표
현이 되었다. 게다가 미국 드라마에서 한국말을 하는 배우라니, 얼마나 근사한가! (김윤진, 『세상이 당신의 드라마
다』, 해냄, 2007, 171~172쪽. )
글쓰기 연습
9
글쓰기 연습
• 앞의 글에서 ‘나’는 어떤 사람인가? 그녀는 무엇을 꿈꾸고, 어떤 기질과 가치관과 삶
의 태도를 갖고 있는지에 대해 요약해보자.
10
• 왜 글쓰기가 어려운가?
• 무엇을 쓸 것인가?
• 주제 선정
• 어떤 내용을 담을 것인가?
• 지식과 정보
• 세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
• 감동적인 이야기
글쓰기가 어려운 이유
11
세련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감동적인 내용을 담으면 좋은 글이 될 수 있음
글쓰기 연습
12
글쓰기 연습
• 앞의 글을 읽고 각자 느낀 점을 이야기해보자.
13
글쓰기 연습
• 앞의 글은 좋은 글이 될 수 있는가?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14
• 무엇을 쓸 것인가?
• 주제 선정
• 내가 정확히 아는 글감과 주제를 선택
• 독자가 정확히 알지 못하는 글감과 주제를 선택
• 독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글감과 주제를 선택
• 쓰고자 하는 주제에 대해 조사, 참고 자료를 찾아보는 것은 효과적
글쓰기가 어려운 이유
15
글쓰기 연습
• 각자 글쓰기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경험을 자유롭게 써보자.
• 글쓰기의 목적
• 글쓰기의 주제
• 글쓰기의 기술
16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 문해력을 키우자
• 글을 쓰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글을 읽으면서 글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
•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정리
17
강의 내용
• 텍스트 읽기와 토론
• 여러 장르의 텍스트를 읽고 그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 각자 생각과 의견을 발표하기
• 사회를 성찰하는 글쓰기(20)
• 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 글쓰기의 전략과 기술(30)
• 발상과 관찰
• 정의(대상의 본질), 요약(생각의 깊이), 분류(묶기), 논증(설득)
• 비교와 대조, 묘사, 비유
18
강의 내용
• 사회를 성찰하는 글쓰기(20)
• 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 글쓰기의 전략과 기술(30)
• 발상과 관찰
• 정의(대상의 본질), 요약(생각의 깊이), 분류(묶기), 논증(설득)
• 비교와 대조, 묘사, 비유
• 소논문 작성법(40)
• 절차와 주제 정하기
• 자료 조사 및 정리
• 개요 작성하기
• 소논문 쓰기
• 자기소개서(10)
1 von 19

Más contenido relacionado

Similar a Preparing to write: What is Writing and Why is it Difficult?.pptx(20)

Más de ssuser2624f71(20)

ResNet.pptxResNet.pptx
ResNet.pptx
ssuser2624f7130 views
ResNet.pptxResNet.pptx
ResNet.pptx
ssuser2624f7114 views
Logistic Regression.pptxLogistic Regression.pptx
Logistic Regression.pptx
ssuser2624f7116 views
EfficientNet.pptxEfficientNet.pptx
EfficientNet.pptx
ssuser2624f7153 views
GoogLeNet.pptxGoogLeNet.pptx
GoogLeNet.pptx
ssuser2624f7167 views
Linear Regression.pptxLinear Regression.pptx
Linear Regression.pptx
ssuser2624f7132 views

Preparing to write: What is Writing and Why is it Difficult?.pptx

  • 2. 1  들어가며  국내 대학 글쓰기 센터 현황  왜 글쓰기가 필요한가?  글쓰기의 필요성 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  글쓰기가 어려운 이유
  • 3. 2 경희대학교 글쓰기 센터 국내 대학 글쓰기 센터 현황
  • 4. 3 • KAIST 한국어교육센터 • 학생들을 21세기 리더로서 육성하기 위해 논리적 표현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 국내 대학 글쓰기 센터 현황
  • 6. 5 • 글쓰기 수업의 주요 요점 글쓰기의 필요성 글쓰기의 어려움 글쓰기 수업의 주요 요점
  • 7. 6 • 글쓰기가 왜 필요한가? • 내면의 성장 • ‘내가 원하는 나’, ‘더 나은 나’로 성장 • 다른 사람들이 쓴 글들을 참조하면서 ‘나의 정체성’을 찾고 ‘나의 이야기’를 쓰 는 다양한 방법들을 배울 수 있음 • ‘어린 시절의 행복한 기억을 떠올리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과 사람들과 시 간과 공간에 대해 생각하며, 성장 과정의 상처와 콤플렉스를 정면으로 마 주하고, 외롭고 혼란스러웠던 시간들에 관해 돌아보는 것 • 논리적으로 체계적으로 생각하기 • 창조적으로 상상하기 • 기억과 경험을 섬세하고 구체적으로 재구성하기 • 자신의 생각을 생생하고 적확한 언어로 표현하기 글쓰기의 필요성
  • 8. 7 • 글쓰기가 왜 필요한가? • 다른 사람들이 쓴 글들을 참조하면서 ‘나의 정체성’을 찾고 ‘나의 이야기’를 쓰는 다양한 방법들을 배울 수 있음 • ‘어린 시절의 행복한 기억을 떠올리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과 사람들과 시간과 공간에 대해 생각하며, 성장 과정의 상처와 콤플렉스를 정면으로 마주하고, 외롭 고 혼란스러웠던 시간들에 관해 돌아보는 것’ 글쓰기의 필요성
  • 9. 8 나는 한국에서는 이국적이고, 미국에서는 동양적이다. 내가 아무리 네이티브 스피커보다 더 유창하게 영어를 해도 내 피부색으로는 미국인이 될 수 없다. 그렇다고 완전한 한국인이 될 수도 없다. 미국으로 건너와서 활동을 시작하 는 이때 다시 나의 정체성을 고민해야 하다니! 모든 게 싫었다. 어딜 가도 이방인 이라는 핸디캡을 벗어 버릴 수 없 다는 생각에 괴로웠다. 몇 주 뒤 <로스트>가 방영되자마자 미국 주간지에서 인터뷰 요청이 들어왔다. 이메일을 통 한 서면 인터뷰였고, 질문들이 보편적이고 평범해서 별 어려움은 없었다. 그때 마침 절친하게 지내던 고등학교 친 구 정혜에게서 전화가 왔다. “잘 있었어? 뭐하니?” “응, 주간지 서면 인터뷰가 있어서 숙제하고 있어. 이번 문항은 …… 내 장점이 뭐냐는데? 정혜 네 생각은 어때? 내 장점이 뭐라고 생각해?” 마침 잘됐다 싶어 나는 정혜에게 솔직 한 대답을 부탁했다. “무엇보다도 너는 한국과 미국을 동시에 움직일 수 있는 힘이 있고……” 순간 바로 정혜의 얘기 를 끊고 물었다. “그게 무슨 얘기야? 내가 뭘 움직인다고?” “뭐긴 뭐야. 너는 한국 관객을 울리는 동시에 미국 관객 을 울리는 유일한 사람이잖아! 그렇게 엄청난 재능이 어딨냐? 그것도 각각 그 나라 언어로.” 큰 해일이 머릿속을 덮치는 듯했다. 이런 답이 나오리라고는 상상도 못했다. 친구의 대답이 거대한 파도가 되어 단 번에 모든 것을 쓸어 버렸다. 내가 그렇게 오랜 시간 불편하게 생각했던 나의 정체성. 그 불만이 한 순간에 해소되 는 신비로운 경험이었다. 내가 20년 동안 단점이라고 생각해 왔던 문제가 친구의 눈에는 장점으로 보였던 것이다. 생각을 바꾸고 나니 더 큰 장점들을 놓쳐 버린 시간들이 아까웠다. 조금만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더라면 좀 더 편 안하게 지낼 수 있었던 것은 물론, 스스로의 장점을 더 많이 찾아내 마음껏 능력을 발휘할 수 있었을 텐데. 아쉬움 이 밀려왔다. 처음으로 내 힘, 내 장점을 내 눈앞에 드러내 보여준 친구가 너무 고마웠다. 나는 수화기에 대고 “고마 워! 고마워, 정혜야!”를 연발했다. 나는 이제 한국과 미국 양쪽에서 모두 활발한 연기 활동을 펼칠 수 있는 유일한 사람으로 다시 태어났다. 1.5세, 코리안 아메리칸이라는 말은 한국과 미국을 동시에 아우를 수 있는 새롭고 멋진 표 현이 되었다. 게다가 미국 드라마에서 한국말을 하는 배우라니, 얼마나 근사한가! (김윤진, 『세상이 당신의 드라마 다』, 해냄, 2007, 171~172쪽. ) 글쓰기 연습
  • 10. 9 글쓰기 연습 • 앞의 글에서 ‘나’는 어떤 사람인가? 그녀는 무엇을 꿈꾸고, 어떤 기질과 가치관과 삶 의 태도를 갖고 있는지에 대해 요약해보자.
  • 11. 10 • 왜 글쓰기가 어려운가? • 무엇을 쓸 것인가? • 주제 선정 • 어떤 내용을 담을 것인가? • 지식과 정보 • 세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 • 감동적인 이야기 글쓰기가 어려운 이유
  • 12. 11 세련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감동적인 내용을 담으면 좋은 글이 될 수 있음 글쓰기 연습
  • 13. 12 글쓰기 연습 • 앞의 글을 읽고 각자 느낀 점을 이야기해보자.
  • 14. 13 글쓰기 연습 • 앞의 글은 좋은 글이 될 수 있는가?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 15. 14 • 무엇을 쓸 것인가? • 주제 선정 • 내가 정확히 아는 글감과 주제를 선택 • 독자가 정확히 알지 못하는 글감과 주제를 선택 • 독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글감과 주제를 선택 • 쓰고자 하는 주제에 대해 조사, 참고 자료를 찾아보는 것은 효과적 글쓰기가 어려운 이유
  • 16. 15 글쓰기 연습 • 각자 글쓰기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경험을 자유롭게 써보자. • 글쓰기의 목적 • 글쓰기의 주제 • 글쓰기의 기술
  • 17. 16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 문해력을 키우자 • 글을 쓰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글을 읽으면서 글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 •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정리
  • 18. 17 강의 내용 • 텍스트 읽기와 토론 • 여러 장르의 텍스트를 읽고 그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 각자 생각과 의견을 발표하기 • 사회를 성찰하는 글쓰기(20) • 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 글쓰기의 전략과 기술(30) • 발상과 관찰 • 정의(대상의 본질), 요약(생각의 깊이), 분류(묶기), 논증(설득) • 비교와 대조, 묘사, 비유
  • 19. 18 강의 내용 • 사회를 성찰하는 글쓰기(20) • 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 글쓰기의 전략과 기술(30) • 발상과 관찰 • 정의(대상의 본질), 요약(생각의 깊이), 분류(묶기), 논증(설득) • 비교와 대조, 묘사, 비유 • 소논문 작성법(40) • 절차와 주제 정하기 • 자료 조사 및 정리 • 개요 작성하기 • 소논문 쓰기 • 자기소개서(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