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5
• 글쓰기 수업의 주요 요점
글쓰기의 필요성 글쓰기의 어려움
글쓰기 수업의 주요 요점
7. 6
• 글쓰기가 왜 필요한가?
• 내면의 성장
• ‘내가 원하는 나’, ‘더 나은 나’로 성장
• 다른 사람들이 쓴 글들을 참조하면서 ‘나의 정체성’을 찾고 ‘나의 이야기’를 쓰
는 다양한 방법들을 배울 수 있음
• ‘어린 시절의 행복한 기억을 떠올리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과 사람들과 시
간과 공간에 대해 생각하며, 성장 과정의 상처와 콤플렉스를 정면으로 마
주하고, 외롭고 혼란스러웠던 시간들에 관해 돌아보는 것
• 논리적으로 체계적으로 생각하기
• 창조적으로 상상하기
• 기억과 경험을 섬세하고 구체적으로 재구성하기
• 자신의 생각을 생생하고 적확한 언어로 표현하기
글쓰기의 필요성
8. 7
• 글쓰기가 왜 필요한가?
• 다른 사람들이 쓴 글들을 참조하면서 ‘나의 정체성’을 찾고 ‘나의 이야기’를 쓰는
다양한 방법들을 배울 수 있음
• ‘어린 시절의 행복한 기억을 떠올리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과 사람들과 시간과
공간에 대해 생각하며, 성장 과정의 상처와 콤플렉스를 정면으로 마주하고, 외롭
고 혼란스러웠던 시간들에 관해 돌아보는 것’
글쓰기의 필요성
9. 8
나는 한국에서는 이국적이고, 미국에서는 동양적이다. 내가 아무리 네이티브 스피커보다 더 유창하게 영어를 해도
내 피부색으로는 미국인이 될 수 없다. 그렇다고 완전한 한국인이 될 수도 없다. 미국으로 건너와서 활동을 시작하
는 이때 다시 나의 정체성을 고민해야 하다니! 모든 게 싫었다. 어딜 가도 이방인 이라는 핸디캡을 벗어 버릴 수 없
다는 생각에 괴로웠다. 몇 주 뒤 <로스트>가 방영되자마자 미국 주간지에서 인터뷰 요청이 들어왔다. 이메일을 통
한 서면 인터뷰였고, 질문들이 보편적이고 평범해서 별 어려움은 없었다. 그때 마침 절친하게 지내던 고등학교 친
구 정혜에게서 전화가 왔다. “잘 있었어? 뭐하니?” “응, 주간지 서면 인터뷰가 있어서 숙제하고 있어. 이번 문항은
…… 내 장점이 뭐냐는데? 정혜 네 생각은 어때? 내 장점이 뭐라고 생각해?” 마침 잘됐다 싶어 나는 정혜에게 솔직
한 대답을 부탁했다. “무엇보다도 너는 한국과 미국을 동시에 움직일 수 있는 힘이 있고……” 순간 바로 정혜의 얘기
를 끊고 물었다. “그게 무슨 얘기야? 내가 뭘 움직인다고?” “뭐긴 뭐야. 너는 한국 관객을 울리는 동시에 미국 관객
을 울리는 유일한 사람이잖아! 그렇게 엄청난 재능이 어딨냐? 그것도 각각 그 나라 언어로.”
큰 해일이 머릿속을 덮치는 듯했다. 이런 답이 나오리라고는 상상도 못했다. 친구의 대답이 거대한 파도가 되어 단
번에 모든 것을 쓸어 버렸다. 내가 그렇게 오랜 시간 불편하게 생각했던 나의 정체성. 그 불만이 한 순간에 해소되
는 신비로운 경험이었다. 내가 20년 동안 단점이라고 생각해 왔던 문제가 친구의 눈에는 장점으로 보였던 것이다.
생각을 바꾸고 나니 더 큰 장점들을 놓쳐 버린 시간들이 아까웠다. 조금만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더라면 좀 더 편
안하게 지낼 수 있었던 것은 물론, 스스로의 장점을 더 많이 찾아내 마음껏 능력을 발휘할 수 있었을 텐데. 아쉬움
이 밀려왔다. 처음으로 내 힘, 내 장점을 내 눈앞에 드러내 보여준 친구가 너무 고마웠다. 나는 수화기에 대고 “고마
워! 고마워, 정혜야!”를 연발했다. 나는 이제 한국과 미국 양쪽에서 모두 활발한 연기 활동을 펼칠 수 있는 유일한
사람으로 다시 태어났다. 1.5세, 코리안 아메리칸이라는 말은 한국과 미국을 동시에 아우를 수 있는 새롭고 멋진 표
현이 되었다. 게다가 미국 드라마에서 한국말을 하는 배우라니, 얼마나 근사한가! (김윤진, 『세상이 당신의 드라마
다』, 해냄, 2007, 171~172쪽. )
글쓰기 연습
10. 9
글쓰기 연습
• 앞의 글에서 ‘나’는 어떤 사람인가? 그녀는 무엇을 꿈꾸고, 어떤 기질과 가치관과 삶
의 태도를 갖고 있는지에 대해 요약해보자.
11. 10
• 왜 글쓰기가 어려운가?
• 무엇을 쓸 것인가?
• 주제 선정
• 어떤 내용을 담을 것인가?
• 지식과 정보
• 세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
• 감동적인 이야기
글쓰기가 어려운 이유
15. 14
• 무엇을 쓸 것인가?
• 주제 선정
• 내가 정확히 아는 글감과 주제를 선택
• 독자가 정확히 알지 못하는 글감과 주제를 선택
• 독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글감과 주제를 선택
• 쓰고자 하는 주제에 대해 조사, 참고 자료를 찾아보는 것은 효과적
글쓰기가 어려운 이유
16. 15
글쓰기 연습
• 각자 글쓰기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경험을 자유롭게 써보자.
• 글쓰기의 목적
• 글쓰기의 주제
• 글쓰기의 기술
17. 16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 문해력을 키우자
• 글을 쓰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글을 읽으면서 글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
•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정리
18. 17
강의 내용
• 텍스트 읽기와 토론
• 여러 장르의 텍스트를 읽고 그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 각자 생각과 의견을 발표하기
• 사회를 성찰하는 글쓰기(20)
• 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 글쓰기의 전략과 기술(30)
• 발상과 관찰
• 정의(대상의 본질), 요약(생각의 깊이), 분류(묶기), 논증(설득)
• 비교와 대조, 묘사, 비유
19. 18
강의 내용
• 사회를 성찰하는 글쓰기(20)
• 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 글쓰기의 전략과 기술(30)
• 발상과 관찰
• 정의(대상의 본질), 요약(생각의 깊이), 분류(묶기), 논증(설득)
• 비교와 대조, 묘사, 비유
• 소논문 작성법(40)
• 절차와 주제 정하기
• 자료 조사 및 정리
• 개요 작성하기
• 소논문 쓰기
• 자기소개서(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