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글쓰기 전략
• 분류 : 지식과 정보를 묶고 나누고 생각하라
• 글쓰기에서 분류는 왜 필요한가?
• 원하는 체계 정보 습득
• 각각의 지식과 정보를 일정한 기준으로 분류하고 구분하는 능력 필요
•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제시
• ‘고래’를 ‘동물 사료의 재료’로 분류?
• ‘멸종 위기에 처한 종’으로 분류?
• 분류와 구분의 공통점
• 유사한 특성을 지닌 사물이나 개념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거나 나 누어서 설
명하는 방법
• 특정 대상을 쉽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서술 방식
4. 3
글쓰기 전략
• 분류와 구분의 차이점
• 분류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비슷한 성질을 가진 것끼리 묶는 것
• 개, 돼지, 호랑이, 원숭이는 ‘동물’로 분류
• 구분은 전체를 두 개 이상의 독립된 범주로 나누는 것
• 상위 개념을 하위 개념으로 나누어 설명
• 생물은 ‘동물’과 ‘식물’로 구분되고, 동물은 다시 ‘척추 동물’과 ‘무척추 동물’로
구분
5. 4
글쓰기 전략
• 분류의 네 가지 규칙
• 분류의 기준이 명료
• 분류의 기준이 하나로 통일
• 총괄적
• 배타적
6. 5
연습 문제
• 주어진 참고 자료의 텍스트에서 허균이 제시한 항민(恒民), 원민(怨民), 호민(豪民)의
특성을 참조하여 오늘날 우리 시대의 ‘백성’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자.
7. 6
글쓰기 전략
• 논증 : 타인을 논리적으로 설득하라
• 논증이란 무엇인가?
• 이성에 호소하여 타인을 설득하는 방법
• 어떤 생각을 근거로 해서 다른 생각을 이끌어내는 사고 과정을 ‘추론
(inference)’
• 논증은 바로 이런 사고 과정을 언어로 표현한 것
• 논증이 가장 요구되는 분야는 ‘학술적 글쓰기‘
• 논문과 같은 학술적 글쓰기는 연구나 조사를 통해 얻어진 결 과나 주장을
증명하고 옹호
•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자신의 의견을 내세우고, 타인의
의견을 받아들일 수 있게 함
8. 7
글쓰기 전략
• 논증의 필수 요소
• 주장하고자 하는 명제 ‘결론‘
• 주장의 근거로 제시하는 명제 ‘전제‘
• 논증에서는 주장이 ‘참’ 혹은 ‘거짓’이 중요한 것이 주장의 타당성을 얼마나 잘 설
득하는가 하는 것이 중요
• 전제가 타당하고 전체와 결론의 관계가 참이면 그 논증은 참으로 귀결
9. 8
글쓰기 전략
• 전제를 설정할 때 유의점
• 주제의 범위 안에서 주제를 뒷받침할 수 있어야 함
• 일반성과 대표성을 지녀야 함
• 객관성
• 사실성
10. 9
글쓰기의 절차
• 글쓰기 상황 파악
• ‘어떤 글을 쓸 것인가?’
• 글쓰기 작업의 기본 조건 고려
• 주제, 활용 가능한 자료, 글의 목적, 독자, 길이와 서식 등
글의 목적 독자 상정
독창적인 발
상
브레인스토밍 마인드 매핑
11. 10
• 글의 목적을 결정
• 정보 전달
• 사실을 설명
• 독자를 설득
• 재미를 제공
• ‘지역 주민들에게 새로운 쓰레기 수거 방식을 알리는 글‘
• ‘설득’과 ‘설명’
• 글의 주된 목적에 따라 내용과 구성, 강조점, 어휘 선택 등이 결정
글쓰기의 절차
12. 11
• 독자를 상정
• 독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글의 종류, 짜임새, 표현 방식과 어조가 달라짐
• 독자는 글에서 어떤 것을 기대할 것인가를 고려
• ‘식당에서 사용되고 잇는 인공 식품첨가물’의 독자가 교수 혹은 신문사에 기고할
것인지에 따라 글의 성격이 달라짐
• 논문 혹은 기사 형식에 따라 제시되는 사례, 어휘, 문장 등이 달라짐
글쓰기의 절차
교수
논문 형식
신문사
기사 형식
13. 12
글쓰기의 절차
•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 어떤 주제에 관해 여러 사람이 각자의 생각을 한꺼번에 쏟아내는(storming) 발상
법
• 특정한 주제에 몰두하면서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의 단편들을 떠오른 순 서 그
대로 나열하는 것
• 신선하고 창의적인 생각들을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 브레인스토밍을 거쳐 나온 생각들은 두서가 없고 상호 관련성도 미미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디어들을 취사 선택하고 순서를 적절히 재조정하는 일이 필요함
15. 14
글쓰기의 절차
• 마인드 매핑
• ‘마음의 지도 그리기’
• 인간의 두뇌 활동이 주로 핵심 개념들을 상호 관련시키거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시각적 사고법
• 새로운 아이디어를 순서대로 열거하는 방식과는 달리 주제별로 묶고 선으로 관
계를 표시
• 복잡한 개념을 빠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아이디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에도 편리함
•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조직화하여 창의적인 사고 능력 증진
17. 16
글쓰기의 절차
• 주제문 작성
• 주제문이란 무엇인가?
• 브레인스토밍과 마인드 매핑을 통해 최종 아이디어를 결정
• 글의 중심 주제 결정
• 중심 주제는 한 문장을 요약
• 글 전체가 다룰 내용을 전반적으로 아우르는 일반적인 진술
• 일반적 진술은 대개 글의 첫머리(서론) 에서 제시되는 것이 원칙이며, 이
럴 경우 이 진술을 ‘주제문
18. 17
글쓰기의 절차
• 주제문이 갖추어야 할 두 가지 요건
• 글의 첫머리에 제시되는 주제문은 일반적인 진술이어야 함
• 하지만 초점이 모아지지 않을 정도로 포괄적이어서는 안됨
• 따라서 초점이 명확해야 함
• 애매하거나 모호한 주제문은 독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힘듦
• 글의 목적이 명확하고 분명해야 함
• 모호한 어구 사용은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