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놀잇감으로 자연물, 실물모형 등을 제공하여 놀이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함 -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유아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연간, 주간, 일일 교육 계획안이 계획됨 - 책자 및 지역 퍼즐을 놀이에 활용하여 지역사회와 협력하였고 전시회 및 캠페인 활동을 통해 유아들이 숲 놀이터에서 만든 작품을 공개하여 가정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함 - 유아의 흥미와 놀이 맥락에 따른 교재.교구, 공간이 확보되어 있어 유아의 놀이를 촉진함 포트폴리오, 관찰기록법 등 다양한 유아 평가를 통해 유아의 놀이와 발달 과정을 기록하여 유아의 발달 지원 자료 및 학부모 상담 자료로 활용함 - 매일 유아의 흥미를 고려한 주제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며 일일 교육 계획안의 작성하여 교육과정 운영 자료로 활용함 - 업무 협의회, 교직원 간담회를 통해 교육과정을 평가하여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고자 함 - 놀이 상황 속에서 유아를 평가하여 적절한 지원 및 교육과정을 계획하고자 노력함 - 주기적인 컨설팅, 교직원 협의회, 수업 나눔, 프로그램 연수 등을 통해 교원의 전문적 역량 함양을 지원함 - 교원 연구 활동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전문성 신장을 위한 놀이 지원,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가 공유됨 - 교직원들은 환경제공, 유아 평가, 상호작용 등에 대한 토론에 협력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음 자유 선택 활동을 통해 유아의 발달, 정서적 안정감 등 개별적 요구를 고려함 - 돌봄과 쉼이 있는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만 3세 유아 여 교육과정에 대해 소통하고 일관성 있는 교육을 도모함 - 가정통신문, e-알리미, 밴드 등을 통하여 가정과 연계함 - 강당의 실내놀이터, 실외 놀이시설(모래놀이 시설, 물놀이 시설, 텃밭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연 2회 업체를 통해 정기 소독을 실시함 - 유치원 실내 소독(장난감 소독, 감염병 예방 소독, 코로나 소독)을 매일 실시하며, 유치원 정기 소독은 1개월에 1회 실시함 - 놀이기구 안전 점검은 매일 오전에 실시하고 전문 업체에 의한 점검은 연 1회 실시함 -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 시스템에 놀이시설 안전 점검표를 제출하여 관리함 - 손 끼임 방지 장치와 모서리 마감처리 장치를 설치하여 안전사고가 없도록 관리함 - 매일 실내 환기를 수시로 하며, 미세먼지 간이측정기로 공기질을 측정함 - 매년 전문업체를 통해 실내 공기질 검사를 실시함 - 수질 검사기관을 통해 수질 점검표를 관리하고, 안전 일일 점검표, 도시가스 점검표 등을 작성함 - 전기안전 점검표를 작성하며, 전기 콘센트는 안전 커버로 차단하여 관리함 - 이동식 시설설비에는 안전장치가 있음 - 각 교실에 소화기를 배치하였으며, 전문 업체에서 소방시설 점검을 연 1회 이상 실시함 - 비상 대응 교직원 업무분장 계획을 수립하고, 교직원들은 자신의 역할을 숙지함 - 실내에 유아의 개인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