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창의적 사고와 혁신 도구 창의성 연구의 최고 권위자인 미국 하버드대 테레사 아마빌 교수는 창의성을 만드는 요소로 전문 지식 , 창의적인 사고 능력 , 내적 동기 등 세 가지를 꼽는다 . 1. 내가 하는 일에 대한 풍부한 전문 지식 더 좋은 아이디어를 만들 수 있다 . 더 좋은 생각을 하는 유일한 방법은 더 많은 생각을 하는 것이다 . 자신의 일과 관련한 분야의 지식과 경험을 더 많이 적극적으로 쌓는 것이 나의 창의성을 키우는 첫 번째 단계이다 . 2. 창의적 사고 능력 이것은 새롭게 생각하는 사고 방식으로 , 새로운 스타일의 옷을 입는 것과 같다 . 전문지식이 많고 관련 경험이 많아도 항상 똑같은 방식으로만 일을 처리하고 같은 방식으로만 생각한다면 결코 새로운 아이디어를 할 수 없다 . 이를 다양성이라는 단어로 생각하면 효과적이다 . 창의적 사고 능력을 갖춘다는 것은 어떤 특별한 능력을 습득하는 것이라기보다 내 생각의 방식을 좀 더 다양화하고 내 생활의 다양성을 높이는 것이다 . 항상 입던 스타일의 옷이 아니라 새로운 스타일의 옷을 입어 보고 , 항상 먹는 메뉴가 아닌 새로운 메뉴를 먹어 보는 것이 바로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 나와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들과 만나서 그들의 입장에서 세상을 바라보고 , 불확실함을 감수하며 하지 않았던 방식으로 가끔 일해 볼 필요가 있다 . 창의적인 사고력을 증가시키는 매우 강력하며 단순한 방법이 바로 다양성이다 . 나의 다양성을 높이면 나의 창의적인 사고력은 자연스럽게 증가한다 . 3. 강한 내적 동기 재능이 있는 사람보다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 더 좋은 성과를 내고 , 열심히 하는 사람보다 그 일을 즐기며 하는 사람이 더 큰 성과를 낸다고 한다 . 창의성도 마찬가지다 . 하고 싶고 재미있으며 즐거운 일에는 당연히 더 새롭고 신선한 아이디어가 생겨나게 마련이다 . 성공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좋아하고 잘하는 일을 해야 성공한다고 말한다 . 창의성도 비슷하다 . 강한 내적 동기가 없다면 창의성은 기대하기 어렵다 . 특히 조직의 리더는 강한 내적 동기가 창의성을 만든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 아무리 전문성을 갖추고 창의적 기질이 있는 사람이라도 그에게 강한 내적 동기를 불어넣지 못한다면 그는 자신의 조직에서 창의성을 발휘하지 않는다 . 그래서 창의적인 조직을 위해서는 근무 환경과 조건 등 조직 차원의 문화가 중요하다 .
3. 사선의 길이는 ? 현재 나에게 보이는 것이 다는 아니다 . 폭넓은 시각과 생각 창의적 사고와 혁신 도구
12. 역발상 GAME 어느 날 공원에 놀러간 장난꾸러기 철수가 영희에게 “나는 어떤 나무든지 10 초 안에 나뭇잎 수를 정확히 셀 수 있다”며 허풍을 떨었다 . 한술 더 떠 “내가 나뭇잎 수를 맞히면 네가 오늘 저녁을 사고 , 맞히지 못하면 내가 너에게 한 달 동안 매일 저녁을 사겠다”며 내기를 걸었다 . 영희는 잠깐 생각하다가 내기에 응했다 . 영희는 나무 하나를 선택해 나뭇잎을 세어보라고 철수에게 요구했다 . 철수는 그 나무를 쳐다보며 잠시 중얼거리다가 “ 5000 개”라고 대답했다 . 그 말을 들은 영희는 “말도 안 되는 소리 하지 마라”고 받아쳤다 . 그러나 철수는 정색을 하며 미리 준비한 말을 했다 . “ 저 나무의 나뭇잎은 5000 개가 분명하다 . 그러니 오늘 저녁은 네가 사라 . 네가 5000 개가 아님을 증명하면 내가 한 달 동안 저녁을 사겠다 .” 철수의 사고 방법은 ‘역사고’의 전형이다 . 철수는 자신이 나뭇잎을 셀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 실제로 세어보지도 않았다 . 그러나 영희에게 나뭇잎을 세도록 책임을 떠넘겨 원하는 바를 얻어낸 것이다 . 그렇다면 영희는 이대로 당할 수밖에 없을까 ? 곰곰이 생각하던 영희는 철수에게 잠깐만 뒤돌아서 있으라고 말한 뒤 그 나무로 가서 나뭇잎 20 개를 떼어 주머니에 넣은 채 돌아왔다 . 그리고 철수에게 다음과 같이 일격을 가했다 . “ 네가 10 초 안에 저 많은 나뭇잎 수를 세다니 정말 감탄했다 . 그런데 나는 방금 전에 그 나무로 가서 나뭇잎 몇 개를 떼어 왔다 . 미안하지만 몇 개 떼어왔는지는 말해줄 수 없다 . 한 번만 더 세어 봐라 . 지금 나뭇잎이 몇 개 남았는지 !” 철수가 진짜로 나뭇잎을 셀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 4980 개 (5000-20)’ 라고 대답해야 한다 . 물론 영희가 몇 개를 떼어왔는지 모르기 때문에 철수는 말문이 막혔다 . 결국 철수는 한 달 동안 매일 저녁을 사야 했다 . 혁신 도구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혁신 도구 9 : ASIT 발명 원리 아시트는 삼성 ·LG 등 많은 한국 기업들이 도입한 트리즈 (TRIZ·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론 ) 에서 출발한 사고기법이다 . 트리즈의 40 가지 원리 중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을 다섯 가지로 정리해 누구나 쉽게 최적의 문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만들었다 . 여기에서 다섯 가지 원리는 용도변경 , 복제 , 분할 , 제거 대칭파괴를 말한다 . 아시트의 다섯 가지 기법이 용어만 다를 뿐 트리즈의 40 가지 해결책에도 존재한다 . 이스라엘의 로니 호로위츠 박사의 연구팀은 쉽고 단순한 아시트의 프로세스를 따라가다 보면 ‘문장’이 만들어진다 . ‘ 문장’은 종종 엉뚱할 때가 있다 . 하지만 바로 이 ‘문장’ 이 고정관념의 벽을 넘게 해 준다 . 스스로 주어와 목적어를 명확하게 만든 ‘문장’을 놓고 주어대신에 주변 사물들을 대입하면서 “어떻게 실행에 옮길 수 있을까 ?”, “ 어떻게 하면 이것을 가능하도록 만들 수 있을까 ?” 라고 사고하는 과정에서 독특한 아이디어가 생겨나는 것이다 .
25. ASIT 활용 사례 주제 : 남자들이 소변을 볼때 오줌이 소변기 밖으로 튀지않게 한다 . ( 스웨덴 공항 사례 ) 주변의 사물들 : 벽 , 거울 , 휴지 , 타일 , 곤충 ( 파리 ), 청소기 , 걸레 ,,, 주제 : 여자들이 화장실 거울에 립스틱 입술 도장을 못 찍게 한다 . 주변의 사물들 : 선반 , 벽 , 휴지 , 타일 , 청소기 , 걸레 , 전기 , , 주제 : 자동차 가 무료주차 구역에서 빨리 빠저 나가게 한다 . 주변의 사물들 : 안내판 , 나무 , 보도블럭 , 시공장치 , 헤드라이트 , ,,, ( ? ) 를 한 후 아무도 거울에 립스틱 입술 도장을 찍지 않았다 ( ? ) 라는 경고 문구를 본 사람들은 주차장에서 최대한 빨리 차를 빼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