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76
기후위기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형평성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2022년 10월 | 결과보고서
Image: Urban Institute(2019), 「Investing in Equitable Urban Park Systems」
한국조경학회
2022년 3월 11일 - 10월 31일
주관 | 서울그린트러스트, 한국조경학회
책임연구원 | 조경진(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 서울그린트러스트 이사)
공동연구원 | 서영애(기술사사무소 이수 대표 | 서울그린트러스트 이사)
심주영(퍼블릭 어라운드 대표 | 서울그린트러스트 이사)
연구원 | 정은하(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과정)
정경화(기술사사무소 이수 차장)
박윤주(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과정)
유다연(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과정)
연구 기간
연구진
노후 생활권공원 재생모델 사업개발 연구
과업명
본 연구는 2022년도 유한킴벌리 후원 사업으로 시행하였습니다.
연구 내용
연구 결과물
◎ 연구보고서
◎ 연구성과 공론화를 위한 심포지엄
‘숲으로 도시혁명 4 서울그린 비전 2040’ (2022. 12. 05.)
◎ 공원녹지에 관한 인식 및 위상 변화 분석
◎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운동 및 사업 성과 분석(유한킴벌리 협력사업 중심으로)
◎ 서울그린비전 2040 기본 방향 및 목표 수립
◎ 서울그린비전 2040 실행계획 및 추진과제, 핵심사업 발굴
목 차 1. 연구 개요 01 연구 배경
02 연구 목적
03 연구 범위 및 주요 내용
2. 현황 및 여건 분석 01 서울시 도시공원 기본계획
02 SGT 도시숲 운동 성과 분석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4. 실행계획 및 사업 01 실행 계획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3 사업 추진 전략
3. 서울 그린 비전 2040
:형평성과 지속가능성 플랜
01 글로벌 그린 정책 경향
02 서울그린비전 2040
03 추진방식
4
1
연구 개요
01 연구 배경
02 연구 목적
03 연구 범위 및 내용
6
탄소중립에 대응하는 녹색전환으로 숲, 정원, 공원, 녹지의 역할 증대
몸과 마음의 건강을 치유하는 녹색 공간에 대한 요구
COVID-19 팬데믹 이후 도시공원과 생활권 녹지의 중요성 증대
01 연구 배경
(사례: 거리두기 속 도시공원) (사례: 명동 타임워크 옥상정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녹녹‘)
6
팬데믹 이후 세계적으로 공원과 야외공간 이용 확대
[출처:https://www.bennettinstitute.cam.ac.uk/blog/value-public-parks]
01 연구 배경
Covid-19 이전과 비교하여 공원, 국립공원, 공공해변, 광장 등 야외공간 이용이 증가
Covid-19 이전에 비해 영국 각 지역과 도시의 공원 이용률이 현격히 증가
코로나 시기의 커뮤니티 이동 경향 코로나 시기 전후, 지역의 도시공원 이용률 변화
7
8
모든 사람을 위한 깨끗한 공기와 녹지 공간과의 근접성의 중요성
이것을 위한 적절한 기술에 대한 충분한 지역 사회 투자의 필요성
회복탄력성을 위한 충분한 완충재의 중요성
자연 자본의 중요성 증대
[자료:
https://www.bennettinstitute.cam.ac.uk/wpcontent/uploads/2020/12
/WER_Building_Forward_Investing_in_a_resilient_recovery.pdf]
"Without adequate buffer
stocks, whether that is
proximity to clean air and
green space for all, or
sufficient communities
investment in skills that people
can adapt, or where neighbors
want to help others, there is no
resilience."
01 연구 배경 8
동네 공원 접근성 중요
모든 공원은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줌
나무그늘을 제공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인근 지역의 온도를 낮춤
COVID-19 확산 및 이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의 시행이 공원 이용자 수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박인권 외 2인(2021))
생활권 공원과 접근성의 중요성 증대
Your local park has a hidden talent: helping fight climate change
[출처;https://www.npr.org/2022/08/31/1118786411/city-parks-global-warming-heat-wave]
- 주거지역 내 위치한 소규모 근린공원은 이전에 비해 평균적으로 3~6% 정도
이용자 수가 증가
- 잠실 롯데월드 일대 이용자 수가 평균적으로 38%가량 감소
- 올림픽공원의 경우에는 COVID-19 확산에 따라 평균적으로 1.9% 정도 이용
자 수가 감소 (올림픽공원의 원거리 이용자를 나타내는 차량 이용자 수가 평
균적으로 23%가량 감소)
- COVID-19와 같은 전염병 재난 시 도시공원, 특히 주거지역 내 근린공원은 도
시인들에게 주요한 피난처이자 여가공간으로서 역할을 수행
- 적절한 공급과 유지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
[박인권 외3인(2021), COVID-19 확산에 따른 도시공원 이용자 수의 변화 – 시계열 빅
데이터 분석]
01 연구 배경 9
10
생활 밀착형 공원녹지에 대한 형평성 이슈
01 연구 배경
동네공원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형평성 문제 제기
생활권 공원의 73%가 보행접근성 불량
(자료: 환경운동연합)
[출처]
https://www.khan.co.kr/local
/Seoul/article/202206081613
001
[출처]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2060716200001190
11
샹젤리제 프로젝트의 Extraodinary Garden
전 세계 도시는 기후 위기 대응 도시로 전환 중임, 파리시는 시장의 리더십을 통해 대규모 도시숲 프로젝트 추진 중
오염되고 혼잡한 소비지역을 친환경적이고 생태적인 지역으로 탈바꿈
도로를 보행자 전용 녹지로 전환,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해 나무터널을 조성
기후위기 대응으로 도시 정책 전환
[출처:https://www.designboom.com/architecture/champs-elysees-plan-pca-stream-01-11-2021]
01 연구 배경
12
미국 중앙정부, 기후변화 대응 관련 입법과 투자 조치
[출처;IFLAWorldCongress2022]
01 연구 배경
인플레이션 감축법안(IRA) 통과, 법인세와 부자 증세를 통해 재원을 확보하고 기후변화 대응 등에 투자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2005년 대비 40% 줄이기 위해 3690억달러(약 493조원)를 투자
국립공원서비스(NPS),
토지관리청(BLM) 사업
5억달러지원,
유지보수, 생태계 기후변
화대응하도록 조성 추가
14억 지원
삼림유산프로그램(FLP)
만들어 7억달러를 지원,
개인 숲 보존 프로그램
지방 등 소외된 지역사회
나무심기 15억달러 지원
국립해양대기청(NOAA)
해안과 해양서식처를 보존
하는데 26억달러,
어류및야생동물보호국
(FWS)가 멸종위기종
복원 약 3억달러 지원
13
런던 국립공원도시 운동은 세계 최초로 국립공원도시를 선언(2019년 6월)
런던을 더 푸르고 건강한 야생의 공간으로 (프론트 가든 사업 Front Gardens)
누구든 참여할 수 있는 협력의 가이드(Park City Wiki) 체계 구축, 녹지와 공원 공간을 넘어 전체 범위로 확장
공원 거버넌스의 담론 형성과 참여 확대를 촉구
자발적 시민운동으로 녹색도시 전환, 런던의 국립공원도시 운동
01 연구 배경
14
해남 솔라시도, 정부 예산 400억 투입해 2027년까지 세계적인 생태정원도시 조성 추진
바다, 호수 등 주변 경관과 어우러진 최초의 해안가로 정원
남부지역 특화 수종으로 구성된 도시정원가도 등을 조성해 정원도시의 기반을 구축
국내 정원도시 지정 그리고 도심 내 공공정원 확산
01 연구 배경
사례_좌: 해남 솔라시도 정원도시 사업, 사례_오른쪽 위: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사례_오른쪽 아래: 태화강 국가정원의 피에트 오돌프(정원가) 공공정원
도시숲 운동 20주년을 맞아 그동안의 성과와 한계를 짚어보고 서울그린비전 2040 수립
지속가능한 도시숲 운동(23년~)을 위한 생활권 단위 전략과 사업유형 제시
서울시 자치구 중 적용 가능한 대상지 발굴 및 지속가능한 민관협치 방안 도출
도시숲 운동 확산을 위한 방향성 제고, 팬데믹 이후의 새로운 방향 제시
02 연구 목적 15
[출처] City of Perth, Urban Forest Plan
기후위기와 팬데믹으로
실천 가능한
비전수립의 필요성 대두
서울그린비전 2020
서울그린비전 2030
서울그린비전 2040
2005년
2014년
2022년
도보권에서 공평하게 누릴 수 있는 생활권 공원녹지의 중요성
공공이 주도하는 공원의 리모델링은 시설의 재구조화에 치중하는 상황
02 연구 목적
연구의 관점: “생활권 공원의 재발견”
16
[출처] 서울특별시
법적인 공원을 벗어나
생활권에서 접할 수 있는
공원녹지의 가치를
발견해야 함
명동, 성수동 공개공지 신림동 관천로 수변녹지 통의동 마을마당
03 연구 범위 및 주요 내용
 국내외 도시숲 운동 및 공원녹지 확충 전략, 실행 사례 연구
 양적, 질적 도시숲 운동 확산을 위한 생활권 노후공원 실태 파악 및 개선 여건 진단
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관리운영을 위한 사업 유형 및 모델 제시
기후위기와 팬데믹 이후
사회 여건 변화에 따른
공원 정책 변화
지역밀착형, 주민참여 가능한
사업 유형 및 모델 발굴
서울그린비전 2040
비전 및 목표, 전략 설정
SGT-YK 사업 진단
방향 설정
SGT 도시숲 운동의 방향성 및
실천 전략 제시
장기적, 지속가능한
파트너십 사업 유형 및 모델 발굴
글로벌 공원녹지 정책 진단 기존 사업 리뷰 사례연구와 목표 설정 실행계획 및 사업모델 발굴
17
Ⅱ
현황 및
여건 분석
01 서울시 도시공원 계획 경향
02 SGT 도시숲 운동 성과 분석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
01 서울시 도시공원 계획 경향
계획의 목적
도시환경발전정책
공원녹지확충,관리,
이용방향제시
노후한시설물정비
공공기관이전시
공원확보파악
공원녹지구조적인
틀제시
개정된‘도시공원및녹지
등에관한법률’에따라
관리체계의정비
친환경적인자원의
현황파악및
데이터베이스구축
훼손된공원녹지
복원
공원녹지축 완성으로
생태적 기능 향상
훼손된 생태계복원
19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과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서울시 공원녹지 비전을 제시하는 역할
상위계획으로서 자치구별 세부 지표 및 현황 데이터 제시(조감의 틀 제시): 공원녹지 양적 확보와 물리적 공간 중심의 계획
생활권 공원녹지 공급 및 불균형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 및 지표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미시 스케일 현황 부재)
▶ 생활권 공원녹지 전략계획(안)의 제시가 필요함
2030 서울시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지위
01 서울시 도시공원 계획 경향
204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
20
2030 공원녹지 기본계획의 한계 보완, 기후변화와 코로나 이후의 사회 변화상 반영 예정
시민의 실제 이용을 고려한 입체적인 공원녹지 계획 수립, 하천-생활권-공원 연결하는 그린 인프라 네트워크 강화 수립 예정
수변 중심
도시공간 혁신
----------------
지천 활용한
도시 자연성 회복 및
여가공간 확충
팬데믹 시대의
공원녹지 정책
----------------
둘레길, 산책로 정비
비대면
공원 프로그램
움직이는
공원
----------------
이동형 한뼘공원
(24개소 -> 40개소
사업 추진)
도시숲
프로젝트
----------------
숲 자연성 회복 사업
(1개소 -> 4개소)
빈집 활용
도시재생 사업
----------------
생활정원 조성사업
(5개소 -> 21개소
사업 추진)
02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운동 분석
서울그린트러스트의 서울그린비전 2020 ~ 2030
21
서울그린비전 2020 (2005) 서울그린비전 2030 (2014)
도시녹지 총량 확대
녹지 보전과 네트워크화
공원 문화화
시민참여 활성화
생활문화 공간화
민간 참여 운영(조직, 제
도 개선)
Beyond Green “녹색을 넘어”
Green Right “녹색은 시민의 권리”
Trust Green “녹색공유”
• 주민참여 우리동네숲 조성사업
• 우리동네푸르게푸르게 나무심기
• 성수동 녹색공유센터 운영
• 도시 녹색 커뮤니티 지원사업(나꿈커)
• 도시숲 환경사회경제적 가치 지표 개발
• 서울숲공원 전면 수탁운영(서울숲컨서번시)
• 전국 공원의친구들 캠페인 전개
• 한강공원입양을 통한 기업 참여 한강숲 가꾸기
2003~2006 2013~2015 2019~
2007~ 2013 2016~
• 서울숲 헌수 운동/ 시민과 기업 참여 나무심기
• 서울숲공원 개장/ 시민참여 공원운영(서울숲사랑모임)
• 시민과 기업 모금통해 4개 대형공원 조성에 기여
• 숲으로 도시혁명 심포지엄 개최
• 탄소저감 도시공원 재생(인덱스가든, 에코존)
• 그린라이프스타일 공유 그린맵 캠페인 전개
2020~
• 코로나19 시대, 공원 사용법 캠페인
• 그린맵 발굴 녹지소외지역 숲조성
• 녹색 소외계층 초록키트 지원사업
02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운동 분석
2003 ~ 2022 도시숲 사업의 흐름
22
23
• 초기 도시숲 조성형 사업에서 다양한 형태의 도시숲 사업으로 발전, 다변화되었으며 총 4가지의 유형으로 구분 됨
• 서울그린비전 2030 핵심 과제였던 그린 리더 양성을 위한 ‘도시숲 커뮤니티 지원형’ 사업은 유한킴벌리 외 다른 기업의 공감을 얻지 못하였
으며, 지속가능한 사업 재원 확보에 실패함
• 2030 UN SDGs, ESG 시대 이후, 글로벌 목표인 탄소중립 중 직관적 성과가 될 수 있는 나무심기형 도시숲 조성사업 기업후원 문의 급증
58%
23%
10%
9%
02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운동 분석
1위 | 도시숲 조성형
: 정부 또는 지방정부와 협력하여 조성하려는 도시숲
에 대해 조성사업 비용을 후원
- 서울숲, 우리동네숲, 인덱스가든(종다양성), 어린이정원,
꿀벌정원 등
2위 | 도시숲 조성+기업 자원봉사형
: 도시숲 조성 후, 최소 3년 이상 조성한 도시숲
가꾸기 자원봉사 참여와 비용을 후원
- 한강공원입양, 공원의친구들 등
3위 | 온라인 캠페인+도시숲 조성형
: 기업이 캠페인 관련 상품 개발 또는 SNS로
도시숲 캠페인 동참을 유도하고 시민참여형
도시숲 조성 사업 비용을 후원
- 미세먼지 FREE! 도시숲 캠페인, Cup a Tree 캠페
인, 그린컨슈머 친환경 공원 에코존 캠페인 등
4위 | 도시숲 커뮤니티 지원형
: 도시숲을 만들고 가꾸는 다양한 시민 커뮤니티를 지원하는
공모사업 비용을 후원
- 나꿈커 지원사업, 작은숲 지원사업 등
기업이 선호하는 도시숲 사업 유형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사업과 기업 사회공헌 (2007-2021)
’03-’05 ‘07-’10
■서울숲 조성/보전 (도시숲 조성)
• 서울숲 총 6,000평 시민의숲 조성
• 개장 후 서울숲사랑모임 운영 Main
Sponsor(약 11억원 후원)
• 교목 5,888주, 관목 98,833주 식재
• 기업 사우가족, 여고생 그린캠프 봉사활동
■우리동네숲 (도시숲 조성)
• 서울시, 자치구와 협력 사업(대상지 제공)
• 주민참여형 동네숲 5,537㎡ 조성, 8,234주 식재
• 주민 워크숍 수행, 나무심기 프로그램 운영
• 총 7개소 사업지 조성(석관동, 개화동 3개소, 쌍문
동, 휘경동, 우면동)
• 휘경동 경우, 재개발로 인해 마을과 숲이 사라짐
‘14-’16, ‘17-’18
■나꿈커 기금 지원 (그린리더 양성, 공모형)
• 나누는, 꿈꾸는, 커가는 기금
• 도시 곳곳에 녹색공간 조성 시민활동 17개 팀 선정
• 공원녹지(정원형)조성과 녹색커뮤니티 활동 지원
• 주로 양성교육과 활동 씨드머니 지급
• 전문가-선정팀 멘토링 시스템 운영
• 1팀당 1천만원 내외 지원(9개월 사업 기간)
’16-’21
■ 도시공원 재생 인덱스가든
• 도시공원 내 유휴공간 18,531 ㎡ 재생
• 도시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식물 수종
에 특별한 테마로 색인한 종다양성 정원
• 총 6개소 조성(뚝섬한강공원 3개소,
서울숲 3개소)
• 나무 3,365주, 초본 5145본 식재
• 인덱스 가든 4와 5(서울숲 설렘정원,
겨울정원) 경우 각 컨셉에 부합하는
이벤트 사업 후원 병행: 웨딩가든 컨셉
부합하는 결혼식 지원, 겨울철 공원
이벤트 진행
■작은숲 지원(어린이집 대상, 공모형)
• 어린이를 위한 숲 조성 공간 개선 사업
• 어린이집 마당, 어린이공원 등 2개 팀 선정
• 공원녹지 개선과 워크숍 사업비 지원
• 성동구 내 국공립어린이집 대상
• 1팀당 1천 2백만원 지원
• 선정 이후, 워크숍 프로세스 지원 및 청년 정원가 대상
으로 설계 공모전 실시하여 정원 조성 사업비 지원
우리 강산 푸르게 푸르게
작은숲 모여 더 큰숲으로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유한킴벌리와 함께한 도시숲 사업
02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운동 분석 24
02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운동 성과 분석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사업 추진 방식과 거버넌스
사업 기획 및 운영
기부금 운용
홍보 커뮤니케이션
서울그린트러스트 정부 지자체 지역사회/시민 기업 전문가
도시숲 토지 제공,
재정, 행정 협력
숲조성 과정 의견개
진,유지관리 자원봉
사, 교육 참여 등
사업 전략, 숲조성 방
향 자문, 조경 설계 재
능기부 등
사업비 기부, 숲조성
관리 자원봉사 참여,
사업 홍보
거버넌스 성과 거버넌스 한계
도시숲 관련, 제도의 실효성과 실질적인 참여 미흡
•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제시한 녹지활용계약, 녹화계약 등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사유공간 녹화 유도가 목적이지만 실질적인 참여 미흡
• `15년 제정된 「 서울특별시 도시녹화 등에 관한 조례 」의 경우, 제정된 지 얼
마 되지 않아 제도의 인식도가 낮음. 제도 활성화 위한 행정 절차의 편리성, 정
책결정자의 적극적인 의지, 예산확보, 시민을 선도하는 행정을 펼칠 필요 있음
• 도시숲 사업은 특히 조성 이후가 중요하지만, 조성 녹지의 변화 파악을 위한
장기 모니터링, 민간 유지관리 참여 제도의 실천의 한계, 공원녹지의 시민자치,
자발적인 행정 지원 등 다수의 한계 발생
공유자산인 도시숲의 가치를 민간자본 투입하여 향상, 정부,지방정
부는 예산 절감
• 서울그린트러스트는 거버넌스 조직으로 설립됐으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받는 도시숲을 효과적인 그린 인프라스트럭처로써 발전
시키기 위한 전략, 연구, 제도화 등이 활성화, 고도화 됨
• 초기 공공주도-민간참여형 거버넌스에서 1)민관 파트너쉽, 2)민간위탁, 3)민
간주도형으로 다변화 됨. 민간자본의 투입을 통한 지자체의 예산 절감, 전문가
의 공익사업 기여, 서울시 외 지방으로 도시숲 거버넌스 확산, 네트워크 활성
화에 기여함
• 시민들은 도시숲 사업을 통해 교류, 성장하며 사회에서 역량 있는 주체로 성장
하고 지역사회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힘을 얻음
거버넌스 원칙
절차: 대상지 모집 및 선정 → 전문가 참여 주민 워크숍 → 주민참여 설계 워크숍 → 파트너간 업무협약 체결 → 실시설계 및 시공 → 주민참여 나무심기
→ 유지관리 자원봉사 → 주민참여 프로그램 운영 → 모니터링(서울그린트러스트)
25
성과
도시 공원녹지
총량 확대
(식생 증가,
녹화 면적 증대)
도시숲 거버넌스
강화와 확산
(도시녹화 관련 제
도, 네트워크, 조직
의 확산)
필요에 맞는 도
시 근린공원
유휴부지 재생
(인덱스가든, 어린
이정원, 에코존 등)
공공녹지 매개
사회적가치 창출
(그린리더 양성, 녹
색커뮤니티 지원,
공간활용방안 제시)
나무 2,116,320 그루
초본 314,363 본
면적 423,270㎡ 그린트러스트 지방 3개 발족
4개 지역
도시숲정원 유형 10개
19개소 공원
12개소 사업지 발굴
숲 콘텐츠 97개 개발
영상 콘텐츠 6개, 3,873회
시민참여144,194명
자원봉사329,416시간
660명 그린 리더 양성
관련 분야 녹색 일자리 창출
도시숲 민간자
본 투자-지방정
부 예산절감
(전문가 참여, 시
민 봉사, 기업 사
회공헌)
68개 기업
4,900,151,233원
02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운동 분석 26
녹지 지속성
유지관리
(도시 개발, 관리 부
재에 의한 멸실, 관
련 제도 실효성)
사업지 발굴의
접근방식, 어려움
(코로나후 시대 변화,
거버넌스 약화, 선정
기준, 구체적 DB 부재)
나무심기 성과 중
심 임팩트 수요
(녹지 총량 외
가치의 다양성 지향,
지표개발 필요)
한계
“도시숲 조성 이후, 개발, 유지관리 부재로 인한 한계”
-도시숲 및 공원녹지 확충, 재생 효과 상실
(특히 주거지, 공동체 사업지 경우)
“사업 대상지 발굴의 한계, 선정 기준, 당위성의 어려움 존재“
“도시숲 관련, 제도의 실효성과 실질적인 참여 미흡”
“사업 효과성 환경분야 외 성과 검증 가능한 명확한 지표, 임팩트 부재“
“조성 후, 녹지의 변화 파악을 위한 장기 모니터링 한계”
조성비 중심의
예산 편성
(조성비:유지보수:
프로그램=5:2:3)
앞으로의 도시숲 운동은 보다 지역사회 밀착형으로,
새로운 부지 발굴 보다는 재생이 필요한 생활권 노후 공
원녹지 개선으로 전환해보자는 문제 의식과 공감대 형성
[ ] 생활권 노후
공원녹지 진단
02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운동 분석 27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국 도시공원 결정 개소 현황(2021)
[출처] 전국도시공원정보표준데이터 | 공공데이터포털 (data.go.kr)
서울시 구별 1인당 공원면적
[출처] http://parks.seoul.go.kr
-
20.00
40.00
60.00
80.00
계 종로구 중 구 용산구성동구광진구동대문중랑구성북구강북구도봉구노원구은평구서대문마포구양천구강서구구로구금천구영등포동작구관악구서초구강남구송파구강동구
공원율(%) 1인당 공원면적(㎡) 1 인 당 도보 생활권 공원면적(㎡)
지자체에 따라 공급되고 있는 공원의 개소 및 면적 격차가 심함
서울시 내에서도 구별 공원 면적 차이가 존재
공원 녹지 공급의 불균형
공원율과 1인당 공원
면적이 모두 높음
공원율과 1인당 공원
면적이 모두 낮은 편
다른 수치는 높으나
1인당 도보 생활권 공원
면적이 현저히 낮음
공원녹지 공급 현황
공원률, 1인당 공원면적, 도보생활권 공원
모두 가장 낮음
28
노후 생활권 공원 증가: 20년 이상 경과 34% (서울시 경우 전체의 69%)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소공원
경과 연도별 생활권공원 개소 현황
34% 2018년 기준
20년 넘은 공원의 수 (면적 기준 33%)
66% 2018년 기준
10년 넘은 공원 수
69% 91% 특히 서울시 경우 노후 공원의 비율이 높음
20년 이상 경과 공원수 전체의 69%, 10년 이상은 91%
5년 이내 5~10년 10~20년 20~30년 30년 이상
경과 연도별 생활권공원 개소 현황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29
법정 생활권공원 중 어린이공원/비법정 생활권 녹지 중 마을마당 현황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 어린이공원 공급, 자치구별 격차 크게 발생 (주거지, 신도시 개발지인 강서구 122개소, 도심 중구-종로는 16, 20개로 6배 이상 차이)
• 마을마당은 서울시에서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지정하였으나 사후 관리 미비인 곳이 많음(구로구의 경우 예산 부족으로 방치)
구로구 개봉1동 마을마당(155㎡ / 구유지)
구로구 고척1동 마을마당(103㎡ / 구유지)
서울시 어린이공원 현황 [출처]서울기록원 카탈로그북 Vol.2 2021
30
비법정 생활권 녹지 중 공개공지 현황
• 도심 생활권 공원녹지 가운데 가장 밀접한 장소
공개공지는 “공공공간이 부족한 도심지에서 공공에게 쾌적한 도시 환경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법, 제도적으로 지정, 설치하는 공간 (건축법 제43조)
• 1991년 제도 도입 이후, 전국적으로 4,671개(2020) 공개공지 설치 (건축물 생애이력 관리 시스템 참조)
• 주로 수도권(특히 서울시), 업무시설, 근린생활시설 연계하여 입지
• 도입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불법 점거, 상행위, 용도 불명 등 민원 다수 발생
• 대지안의 조경, 가로녹지와 통합하는 접근 필요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31
32
공원 수요의 변화로 생활권공원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저하, 재정비 수요 발생
(출처:https://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29556)
• 인구 및 가족 구성의 변화(1인 가구-소규모 가족 증가, 반려 동물 수요 증가 등)에 따른 공원 이용 행태 변화
(다양한 여가활동 및 교육, 복지의 장소)
• 코로나 이후, 도심 녹지공간 이용률 51% 증가. 도시민의 여가 및 야외활동 장소 이용 증대(국립산림과학원, 2021)
• 도시 인프라의 변화, 지역사회와 인구집단의 특성, 공원 이용객의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공원 재정비 및 이용 서비스 개선 필요
(출처:https://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29556)
코로나 발생 전후, 대표 공원녹지의 이용 행태 변화
문화 이벤트 활동형에서 자연녹지 감상-체험형으로
동적 활동에서 정적 활동으로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33
노후 도시공원 리모델링 관련 연구 및 지자체 노후공원 리모델링 사업 증가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 정부/지자체 노후공원 리모델링 관련 연구 활성화
발행처 제목
국토해양부(2011) 미래지향적 저탄소 녹색성장형 도시공원 리모델링 연구
조경두(2012) 구도심권 노후공원의 활성화를 위한 주제공원 조성방안
연구
김용국 외(2019) 포용적 근린재생을 위한 공원 정책 개선방안 연구
정수진(2020) 수원시 노후 도시공원 재생방안 연구
김용국 외(2020) 민관협력을 통한 노후 공원 재정비 및 관리운영 방안 연
구
명우성 외(2021) 근린공원 노후도 진단체계 구축 연구(서울시를 중심으로)
• 지자체별 공원 리모델링 사례(리모델링 사유와 내용 중심)
(출처: 명우성 외, 2019, 근린공원 노후도 진단체계 구축 연구(서울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서울시 양천구 5대 공원 재생사업 추진 사례 (2019년~)
34
공원명 양천공원 파리공원 오목공원 신트리공원 목마공원
기존 배치도
계획안
배치도
면적 (m2) 33,797.9 29,619.3 21,470.4 16,409.3 12,816.8
업체명 구청 문의 ㈜바이런 스튜디오 loci ㈜바이런+Studio201 ㈜바이런+Studio201
핵심목표
- 크고 작은 잔디 원형 셀
조성 (이용 규모와 목적
따라 구분)
- 복합 건축물 설치 – 공간
활용도 증가
- 구민 의견 반영 프로그램
구성
- 조형물/프랑스식 자수화
단 유지 – 상징성 계승
- 순환산책로 재정비
- 친수공간 보완
- 스카트 퍼걸라 설치
- 주민 커뮤니티 공간 설치
- 아카이빙전 진행
- 중앙부 회랑 도입
- 기존 흔적 보존 – 중앙부
입체적 ‘회랑'도입
- 회랑 상부 (이동통로+전
망공간)
- 가설공간 설치 (팝업스
토어, 마을 장터 등)
- 현재의 공원 골격/중요
프로그램 존중
- 시설 재배치
- 공원 중심 시설 배치
- 잔디바당 확방 및 개방성
확보
- 현재 공원 골격/중요프
로그램 존중
- 공원 중심 시설 배치
- 잔디마당 확장 및 개방성
확보
- 공공성 강화
민선 7기 대표 구정사업으로 <양천구 정원도시> 추진. 주요 5대 대형공원 재생사업 시행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양천구 5대 공원 재생사업 추진(2019년~)
35
목동 중심축 5대 공원 리모델링(파리공원/양천공원)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생활권 노후공원의 재정비를 위한 공공만의 노력 한계
36
서울시 도시공원 관련 예산은 2.01% (시 예산 대비 푸른도시국 예산, 참조:고하정(2020))
지자체별 재정자주도(19년, 74.2%) 및 재정자립도(19년, 51.4%)는 하락 추세
생활권공원 재정비를 위한 재원 투입 규모 축소, 정책 우선 순위에서도 하락
<기간별 예산 추이>
0
5000000
10000000
15000000
20000000
25000000
30000000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1995~1998 1999~2002 2003~2006 2007~2011 2012~2018
푸른도시국 예산(누계) 도시공원 조성 예산2 서울시 예산
백만원
외부 재원 투입을 통한 재정비 필요
3
서울그린비전
2040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02 서울그린비전 2040
03 추진방식
38
뉴욕, 미국
• 그린뉴딜, OneNYC 2050
- 8개의 비전목표 : 활기찬 민주주의, 포용 경제, 번성하는 지역사회,
건강한 삶, 교육의 평등 및 우수성, 살기 좋은 기후, 효율적인 이동성,
현대적인 인프라
-건강 불평등 해소되고 모든 거주자들이 번영할 수 있는 동등한 기회부여
-모든 시민들에게 접근성 및 합리적인 양질의 의료서비스 보장, 건강 및 정
신 건강문제 해결로 형평성 개선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도시정책으로서 포용, 회복탄력성, 건강에 중점
OneNYC 2050
[출처]
https://onenyc.cityofn
ewyork.us/
유럽연합(EU)
• Urban planning for resilience and health, 2022
-도시, 회복력, 환경 및 건강: COVID-19 대유행은 정부와 시민에게 건강,
도시환경, 주택, 공공기관, 기본 서비스 , 기반시설, 교통 간의 연결 강조
-도시회복력과 건강을 위한 정책결정에 관한 핵심 메시지
Conceptual diagram categorizing the three interconnected Action areas
[출처]Urban planning for resiliencs and health:key messages
39
캔버라, 호주 빅토리아, 캐나다
• Urban Forest STRATEGY, Canberra 2020
-탄력적이고 지속가능하며 변화하는 기후에서 건강한 지역사회에
기여
-2023년 까지 25,000그루의 나무 식재
-2045년까지 캐노피 30% 달성
-뛰어난 수목 및 생물 다양성 또는 생태문화가치가 높은 수목 보호
• Tree and Urban Forest
-도시숲의 약75%는 사유지, 25%는 시유지로 도시숲을 구성,
29%의 도시 전체의 캐노피 제공
-도시 캐노피 대상을 개발하고 생태계 서비스 데이터 구축
- 나무심기와 보존 이니셔티브가 필요한 지역의 우선순위 정함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https://www.victoria.ca/EN/main/
residents/parks/urban-
forest.html
Tree Canopy 2013 and 2019
지속가능한 도시숲 계획 수립_도시 캐노피 증진에 중점
40
런던, 영국 멜버른, 호주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생활권 주변의 녹지범위와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도시숲 계획
• London Urban Forest Plan / NOVEMBER 2020
-도시숲을 보호, 관리 및 확장하는데 필요한 목표와 우선 순위 설정
-캐노피 늘리기: 거리, 공원, 녹지지역을 총괄한 계획
• Urban Forest Strategy 2012-2032
-22% 공공영역 캐노피, 2040년까지 40%로 증가
-도시숲 다양성 증가, 5%에서 20%로 수목 종 다양화
41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캠브리지, 영국
• City of Cambridge, Urban Forest Master Plan(UFMP),
2020
-도시숲의 가치
1) 형평성 : 현재 부족한 공간의 캐노피 설치
(소수민족, 노약자, 비영어권자 및 저소득층 밀집 지역)
2) 회복력:공공영역에서 캐노피커버 개선, 열섬을 줄이는 “쿨 코리더” 조성
3) 공동책임 : 토지소유자에게 인센티브 제공
형평성,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배려를 강조한 도시숲 계획
보스턴, 미국
• BOSTON URBAN FOREST PLAN / March 14, 2022
-Equity First _ 캐노피 부족, 역사적 배제, 사회적 취약 지역에 집
중 투자 및 개선
: 역사적으로 배제된 지역사회, 사회적으로 취약한 사람들이 집중된
장소, 상대적으로 캐노피가 낮은 지역에 우선순위
: 사회적으로 취약한 주민들이 나무를 보호하고 돌볼수 있도록 지원
Healthy
City
Healthy
Forest
42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불평등 해소를 위한 관심증대와 전략 수립
로스앤젤레스, 미국
• Los Angeles Urban Forest Equity Streets Guidebook,
2021
-저소득, 유색인종 커뮤니티의 녹지공간 부족
:폭염, 악화된 공기질, 홍수를 포함한 환경 모욕에 대한 불균형적인 노출
-도시 캐노피 불평등 해소 목적: 50% 향상 목표
뉴욕, 미국
• Park Equity plan for New York City (by Trust for Public
Land)
- 뉴욕시 100% 거주지로부터 보행 거리 10분 안에 공원 위치(현재 99%)
- 불투수 학교 마당을 녹지 커뮤니티 놀이터로 리모델링(100개 선정,시행)
- 녹지 불평등 갭 줄이기 ▶녹지 접근성 맵핑 후 공원 조성 우선 순위 제안
43
시민 참여와 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통한 실천
필라델피아: 나무심기 실천 프로세스 펜실베니아 원예협회: 종다양성 가이드라인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 Value of Tree Programs, Philadelphia
- 매년 2,000그루 이상의 나무를 심는 자원 봉사자 6,000명 이상 교육
- 최적의 수목캐노피 적용 범위는 토지 면적의 30%임, 필라델피아시는
20%에 불과하고 일부지역은 2.5%에 불과함
- 녹음이 우거진 부지 근처 주민들은 우울감이 40% 감소, 총기폭력이
29% 감소
1. Trees provide more than
just shade.
2. Tree Tenders help communities
build social connections,
3. Tree improve health and
well-being.
4. Working together to increase
the region’s tree canopy.
• Pollinator Gardens_PHS(Philadelphia Horticultural Society)
- 꽃가루 매개자 중요성: 야생동물 정원은 나비, 새, 벌 같은 수분 매개체 지원
▶ 꽃가루 매개자 정원 혜택
- 음식, 물, 쉼터 및 새끼를 키울 장소를 제공하여 야생 동물 서식지 확장
- 더 적은 물로 장기간 유지 관리
- 꽃가루 매개자 개체군에 피해를 주는 살충제나 비료 불필요
- 공기질 개선
- 이웃과 지역사회를 미적기능 향상
- 잔디 제거로 인한 물 침투 증가 및 범람 감소 및 기타 압축된 표면적 축소
44
크라이스트처치, 뉴질랜드 안데르나흐, 독일
• 먹을 수 있는 정원 도시, Edible Christchurch
-재배된 음식을 접할 수 있는 세계 최고 먹을 수 있는 정원도시 목표
- 식용 및 지속가능한 정원 어워드(Edible and Sustainable Garden Awards)
- 캔터베리 원예협회(Canturbury Horticulture Society)와 파트너십
- 집에서 재배 가능한 음식 및 재배 가이드 제공, 커뮤니티 가든 운영
- 도시 식량지도, 식용공원, 파머스마켓, 학교정원 등 프로그램 운영
- 식품 탄력성 지원
:건강과 웰빙, 긴밀하고 자립적인 커뮤니티, 평생학습, 번성하는 지역 식
품 경제, 탄력있고 지속 가능한 식품 시스템, 공공녹지공간관리
• Eatable City
-다기능적 접근: 생태적, 경제적, 미적 기능 동등하게 지원 목표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채소밭과 기타 유용한 식물구역
- 식용도시의 긍정적인 영향 : 유용한 식물 간의 다양한 촉진, 농생물 다양성
입증, 새로운 서식지 생성, 다기능 녹지개발, 도시기후 개선, 경제 녹지 유지,
시민들의 도시 개발 활성화
-고용된 장기 실업자들은 소중한 일을 하고 녹지 관리와 유지에 참여
-지속가능성, 퍼머컬쳐 및 건강한 영양 소개 등 교육적 동기도 포함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먹거리와 연계_ 다기능적 접근
식품 탄력성
[출처] https://ccc.govt.nz
식용 및 지속가능한 정원 어워드
[출처] https://ccc.govt.nz
먹을 수 있는 도시
[출처] https://www.connective-cities.net/gute-praktiken-details/gutepraktik/andernach-die-essbare-stadt
45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도시숲 운동의 확산_도시간 정책적 협약 프로그램 < Trees in Cities Challenge>
• 2019년 유엔 유럽 경제 위원회(UNCE)에서 도시와 도시 주변의 나무, 숲 복원-확충을 위한 이니셔티브 시작
• 전 세계 도시(도시 대표인 시장)에게 식재 서약을 하고, 이를 정책 목표에 반영하도록 요청
• 서약에 참여하는 도시 간의 연대를 독려하고, 도시간 정책 및 사업을 공유하며, 실질적인 혜택을 검증하는 역할
• 도시숲 운동의 다방면 성과, 혜택을 공유하고 실천 성과를 모니터링
• 유네스코 2030 SDGs 목표에 부합하는 지표 제시
50개 이상의 도시 참여
약 1,120만그루 식재 서약
(2022년 1월 기준)
전체 목표의 74.1% 인
810만 그루 신규 식재 확충 달성
(2021년 1월 기준)
•Tree-Tracker 어플을 개발
•실시간 업데이트
•시민들은 나무의 수종, 위치, 사
진을 이메일로 정보 제공
•도시숲 활동 모니터링 리포트 발
간(2020년)
•나무심기 이니셔티브 참여를 독
려하는 전용 웹사이트 개설
•도시의 자연 회복을 위한 녹색 도전
인 RetoVerde 캠페인 추진
Best Practice (https://treesincities.unece.org/about-trees-cities#sthash.dbiWW6Yr.dpbs)
46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소결 _ 주요 키워드
도시 나무 캐노피
형평성
접근성 건강
나무량 늘리기
안전
연계 먹거리
종 다양성 증진
기후변화
탄소저감
다기능
회복탄력성
취약계층
What Does Green Infrastructure Do for Us?
Connectivity
Access to Nature
Multi-functionality
Ian Mell( 2019 ) Concise guides to planning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도시 나무 캐노피 개념과 측정 방법
- UTC(Urban Tree Canopy) _미 산림청
: 도시 나무 캐노피는 위에서 볼 때 나무의 잎, 가지 및 줄기 층을 측정
Public Street Tree Inventory [출처] https://www.boston.gov
- 하향식 방법
: 위성, 비행기, 드록을 활용한 이미지
: 양적 변화 파악에 유리
2009년과 2014년의 도시 캐노피 변화 [출처] Tree Canopy in Cambridge, MA:2009-2014
- 상향식 방법
: 지상에서 수집한 현장데이터 기반
: 수종. 상태 파악 가능
47
02 서울그린비전 2040
도시 나무 캐노피 측정의 기대효과
한국의 캐노피 관심과 연구
-Canopy: 수관층 (2019년 신규사업(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조성·관리지침, 국립산립과학원)
수관피복 (도시숲 조성·관리연구, 산림청, 김민지)
임관, 많은 수관이 서로 붙어 있거나 겹쳐져 있을 때 전체를 말함. 숲 지붕 이라고도 함(산림청 산림임업용어사전)
- Canopy cover: 임관피복도, 수관의 수직 투영에 의해 덮히는 산림지면의 비율 (산림청 산림임업용어사전)
- 연구사례: 가로수의 생태학적 평가를 위한 i-Tree Eco 적용(나영린 외, 2022)
i-Tree Eco와Google Map을 활용한 수원지역 위성사진
[출처] 나영린외(2022) 가로수의 생태학적 평가를 위한 i-Tree
Eco 적용
48
도시 나무 캐노피 접근의 차별점
법정/비법정, 공적/사적 구분 없이 분포도 파악
취약지역 및 우선순위 판단
시기별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요인과 문제점 분석
단, 비용(하향식), 인력과 시간(상향식)이 수반됨
02 서울그린비전 2040
녹지량의 증대
서울그린비전 2040 수립의 필요성
서울그린비전 2020 서울그린비전 2040
펜데믹과 기후위기로 인해
실천력이 수반되는
새로운 비전 수립 필요
02 서울그린비전 2040 49
생애주기별
녹색 서비스
강화
서울그린비전 2030
50
02 서울그린비전 2040
형평성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도시를 살리는
가까운 숲, 풍성한 숲
모두에게 공평한
공원녹지 서비스 제고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그린인프라구축
생물다양성을 위한
녹지 질 개선
리모델링 발굴 연계
구-동 단위 대상지 적용 검토
공원/그린인프라 리모델링
(개념, 시설, 식물, 기능)
법적 공원을 넘어서는
생활밀착형 그린 대상지 발굴
공원/그린인프라 자원의 연계
미션
목표
전략
추진
방식
리서치/상세계획/전술적 실행의 순환체계
03 추진방식
실천을 위한
상세 계획 수립(P)
시민협력 모델의
다각적 실행
(T)
민관 협력의
리서치
(R)
형평성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추진 구조
(RPT strategy)
지속성 있는 그린 비전 실천을 위한 구조로 접근: 리서치(R)-계획(P)-전술(T) 패키지 실행
리모델링/발굴/연계
파트너쉽과 공모
구/동 단위의
도시숲전략계획
51
공원녹지 부족한 지역을 대상으로
공원녹지 정책 기본 계획 수립
기존 공원녹지 인프라
문화역사자원
생활 SOC
도시계획 관련
접근성 등의 분석
다양한 유형의 리모델링
생활밀착형 대상지 발굴
자원간의 연계 계획
로드맵을 통한 우선순위 선정
유형에 따른 적합한 전술(T) 적용
형평성을 고려한 도시숲 비전 실천
민간협력의 리서치 (R) 상세 계획 수립 (P) 기대 효과
03 추진방식
방법 및 기대효과
52
-
20.00
40.00
60.00
80.00
계 종로구 중 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 마포구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공원율(%) 1인당 공원면적(㎡) 1 인 당 도보 생활권 공원면적(㎡)
서울시 구별 1인당 공원면적
- 산업단지에서 주거지로의 전환 과도기; 구로구 전체 면적의 34.6%(6.97㎢)가
준공업 지역, 서울의 대표적인 공업 도시
- 개발지역과 미개발지역의 격차가 큼; 오류동, 궁동 지역 개발제한 구역
(4.96 ㎢, 구면적의 24.6%)
- 영등포 교도소 구치소 등 도심부적격시설이 위치
- 안양천을 경계로 동서로 생활권이 나누어져 있어 지역간 연계 체계가 미흡
- 개발지역(신도림역 주변)과 기존 주거지역과의 격차 심함
03 추진방식
파일럿 대상지 _ 서울시 구로구
[출처] http://parks.seoul.go.kr
53
동서 분리,
생활환경
격차
문화예술
인프라
부족
공원 녹지
분포
불균형
예산, 지원
부족
03 추진방식
구로구 생활권 공원녹지 현황: 리서치(R)
54
파일럿 대상지 _ 서울시 구로구
1
2
7
3
4
5
6
03 추진방식
구로구 생활권 공원녹지: 리서치(R)
55
연결보도 가로정원
교통섬 : 지속적 관리가
능한 정원으로 조성
분리된 거리공원과 도림천 연계
② 근린공원: 종다양성 증진
① 도림천: 그늘식재
03 추진방식
구로구 생활권 공원녹지: 계획(P)
56
파일럿 대상지 _ 서울시 구로구
가로정원 연계
공개공지&가로정원 연계
보행환경개선:
가로수식재 등
보행환경개선:
가로수식재 등
③ 구로리어린이공원공원
:캐노피 증진
④ 도림로: 가로정원
⑥ 공개공지
: 가로녹지와 연계
⑤ 구로사회복지관
:주변 보행로 개선
03 추진방식 57
파일럿 대상지 _ 서울시 구로구
구로구 생활권 공원녹지: 계획(P)
- 마을마당 현황: 좁은 골목과 주거지 사이의 105㎡ 의 공간으로 자전거 보관공간으로 활용 중
- 정원형으로 조성하여 마을 주민의 관리를 유도하고 어린이집 프로그램과 연계
현황 현황
조성 예시 조성 예시
어린이집과 프로그램공유
⑦ 마을마당 : 정원조성
03 추진방식 58
파일럿 대상지 _ 서울시 구로구
구로구 생활권 공원녹지: 계획(P)
파일럿 대상지_서울시 동대문구
-
20.00
40.00
60.00
80.00
계 종로구 중 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 마포구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공원율(%) 1인당 공원면적(㎡) 1 인 당 도보 생활권 공원면적(㎡) [출처] http://parks.seoul.go.kr
출처 |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2060716200001190
<2022년 촬영한 서초구 양재시민의 숲과 동대문구 제기동 전경>
• 서울시 구별 1인당 공원 면적
출처 | https://urban.seoul.go.kr/view/map/main.html?sggCd=11230
• 동대문구 토지이용 현황도
03 추진방식 59
[출처] 동대문구청 제공자료
• 연령별 인구 분포
• 동대문구 도시공간구조 구상(안)
• 동대문구 공원 현황도
[출처] 동대문구 2035 장기발전 종합계획(2018)
[출처] https://www.ddm.go.kr/ddmmap/contents.do?key=1628
파일럿 대상지_서울시 동대문구
03 추진방식 60
파일럿 대상지_서울시 동대문구
장안근린공원 리모델링
중앙녹지 및 가로정원조성
중랑천 둑방길
도시캐노피 증진
주변학교와 연계
둘레정원 조성
배봉산-중랑천-장안근린공원을 연계하는 그린 네트워크(가제)
03 추진방식
서울시립대와 연계
정원지원센터 건립
61
4
서울그린비전
2040
실행계획
01 실행계획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3 실행전략
01 서울그린비전 2040 실행계획
서울그린비전 2040
도시를 살리는
가까운 숲, 풍성한 숲
비전
3대
목표
3대
전략
서울그린비전 2040 실행계획
(도시)나무지붕 프로젝트
추진과제 1
추진과제 2
추진과제 3
3개 추진과제 및 10개 핵심사업 발굴
모두공평한공원녹지서비스제고
공원-그린인프라리모델링
기후위기대응그린인프라구축
생물다양성위한녹지질개선
생활밀착형그린대상지발굴
공원-그린인프라자원연결
지속가능한 공원 프로젝트
공원 사업 ESG 성과지표 개발 연구
63
추진과제 1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도시)나무지붕 프로젝트 Urban Tree Canopy Project
목표
추진 전략
폭염으로부터 안전한 도시, 새가 날아드는 가로와 광장
수량에서 면적으로
위기 지역의 발굴
연결과 다양성 추구
도시숲 운동과 사업의 그간 성과는 나무심기 총량으로 측정해왔으나, 나무심기 양적 확대에서
질적 확대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SGT는 기존의 나무심기 운동을 유지하되 수목 밀도와 대형
교목을 늘리는 토지피복도를 사업의 새로운 성과 지표로 삼아 가로수 관리 및 도시의 교목층
식생 확충에 주력한다
기후변화가 야기한 극심한 폭염은 도시 빈민, 사회취약계층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SGT는
누구에게나 공평한 녹색 서비스 확대를 위해 쪽방촌 등 녹지 불균형 지역의 나무심기를 시작하
고, 저소득층 아동청소년-한부모 가정에게 녹색 키트를 지원하는 사업을 지속한다.
학교, 공원, 공원 등 거점 장소 중심으로 진행하였던 나무심기를 선형-연결 전략으로 치환한다.
도시 그린 인프라를 연결하고 이동과 녹색 서비스를 연결하는 (게릴라) 나무심기 운동을 전개
한다. 또한, 광장과 가로에서 단일 수종으로 경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녹지를 다양한 교목-초화
식재 전환을 통해 풍성한 녹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파트너십 사업을 전개한다.
64
조사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정책제안
[사례] Million Trees NYC 캠페인
핵심 사업 (신규 사업 발굴 중심으로)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1 | 나무심기 2.0(Tree Planting)
도시의 그린 인프라 네트워크, 그린 코리더 관점에서 빈 곳을 채우는 나무심기 사업 추진
사업 내용
• 생활권 공원녹지 기본계획 또는 전략계획에 근거한 열섬 완화 필요 지역(지점) 발굴 (데이터 수집 및
계획 수립은 공공 협력 추진)
• 기업 후원 사업, 자체 크라우드 펀딩 등 파트너십 나무심기 수행
• 시민과학자, 자원봉사자와 함께 심는 나무의 그린맵 구축(온라인 위치 표시, 관리 태그 부착, 확대 총
량/토지피복도 면적 제시 등)
• 나무 관리 가이드라인 게시 및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 1차년도 _ 지역 생활권 데이터(열섬지도, 녹지 빈곤 지도) 구축 또는 데이터 구축 지원
• 2차년도 _ 사업 대상지 발굴 및 실행 사업 + 수목 관리 가이드라인 구축 및 /온라인 교육 워크샵 수행
• 3차년도 _ 그린맵 서비스 모니터링 지속
사업 추진 방식/주요 사업지
기본계획
전략계획
검토
대상지
발굴
(후보지 상시
리스트업)
나무심기
실행
관리
서비스
지원
모니터링
(온라인 그린맵
연동)
교육 프로그램, 워크샵 운영
공간 조성 및 수목 식재
시민과학자/자원봉사자
모집
지역 주체(관리자)
연계, 선정
교육 프로그램, 워크샵 운영
시민과학자/ 자원봉사자
모집
가로, 광장, 마을마당 등
65
#그린코리더 연결, #도시열섬 취약지 개선, #그린맵(웹앱) 관리, #지역나무입양 협약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핵심 사업 (신규 사업 발굴 중심으로)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2 | 취약지 쿨링 쉼터 조성 사업
녹색 서비스 빈곤 지역(대표적 쪽방촌, 저소득층 밀집 주거지)에 쿨링 쉼터(이동형 플랜터) 조성 사업
사업 내용
• 사회복지지원조직(센터, 비영리단체 등) 대상 공모사업 대상지 발굴
• 지역사회 관리 주체 선발 및 관리 지원 교육 서비스 운영(수목 관리 및 데이터 모니터링 등)
• 지역 구성원과 함께 심는 나무의 그린맵 구축(온라인 위치 표시, 관리 태그 부착, 확대 총량/토지피복
도 면적 제시 등)
사회복지 서비스와 녹색 서비스를 결합하는 거버넌스형 파트너십 사업 추진
기관형 공모사업 수행
사업 추진 방식- 협력 주체
공공기관
(자치구,
지원센터)
X
사회복지
지원
조직
X SGT X 민간기업
(후원사업)
서울시에서 19-20년도 수행한 장소 제약 없는 새로운 형태의 공원 서비스 ‘움직이는 공원’(Mobile Planter)’ 사업. 광장, 버스정류장,
지하철역 앞 등 유동인구 많지만 나무심기 어려운 공간 위주로 설치. 총 16개 장소, 주로 공공공간 중심. 그늘쉼터 제공, 도심 열섬현상
완화, 미세먼지 감소, 도시경관 개선 등 효과 기대
[보도자료] 폭염에도 집과 거리에서 모두, 쉴 곳이 없는 쪽방촌 주민들
(2018.08.20 서울신문)
[사례] 서울시 움직이는 공원 사업 (2020.10.19 서울시)
공모 및 교육 운영
그린맵 구축
대상지 발굴
지역 주체 지원
사업비 후원
부지 사용 및 관리
지원(협조)
66
#쪽방촌-위기지역 발굴, #폭염 대비, #마을 쉼터, #마을 가드너(아보리스트) 양성
마켓팅 정책제안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핵심 사업 (신규 사업 발굴 중심으로)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3 | (게릴라) 도시숲 캠페인
[사례] NYC Plaza Program
도시의 광장, 도로를 (일시적으로) 녹색 쉼터, 소공원으로 바꾸는 전술적인 캠페인 추진
사업 내용
• 공개공지, 소광장, 마을마당, 도로 등 녹색 서비스가 필요한 장소에 (일시적) 쉼터와 플랜터 설치
• 주말 또는 일정 기간에 도심 광장 프로그램 및 이벤트 진행
• 지역 사회-이용자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공간 리모델링 수요 파악
• 상설 설치를 위한 제반 여건 마련 및 관련 행정 서비스 수행
자치구 – 기업 – SGT 민관 파트너십 실행 (유사 사례: 자치구 타운매니지먼트 사업(영등포, 중구) 등)
사업 추진 방식- 협력 주체
[사례] 무교다동 무교테라스 (2019년 조성 및 운영중 ~ )
공공기관
(자치구,공사)
SGT
민간기업
(후원/협력)
부지 사용
및 관리
지원(협조)
사업비 후원
행사 지원
사업
실행
MOU
체결
및
사업
기획
물리적
공간 기획
프로그램,
이벤트 개최
전술적
녹색쉼터
조성
및
운영
물리적
공간 조성
(쉼터, 벤치,
플랜터 등)
이벤트,
프로그램 운영
(장터, 전시, 공연,
교육 등)
이용자
모니터링
(설문조사, 상설
설치 의향 조사 등)
공간 운영
제안
(상설 설치 제안,
계획 수립 등)
67
#도시 오프 스페이스 조성, #소광장-마을마당, #이용자 경험 기반, #경험이 장소로
[사례] 뉴욕 플라자 프로그램
마켓팅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핵심 사업 (신규 사업 발굴 중심으로)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4 | 공개공지 개선 사업
[사례] 일반적인 도심 공개공지의 모습(그늘 없는 통행로에 불과)
민간/공공 건축물 부지 전면 공개공지의 식생 및 가로수 수종을 개선하는 공간 리모델링 사업 추진
사업 내용
• 민간 건물주/공공기관(청사, 사회복지기관 등) 대상지 발굴 (사업 주체 발굴 등)
• 기존 공개공지 이용자 모니터링 수행 (리모델링 방향성 제시)
• 도심 종다양성(및 열섬 완화) 식물 식재 가이드라인 및 관리 방안 제시
민간 건물주/기업 – SGT 파트너십 협력 사업 추진
* 협력의 형태는 기업 사옥 전면 공개공지 부지 제공, 사업비 지원. 각각 개별 사업 후원 가능
사업 추진 방식- 협력 주체
공개공지 리모델링의 경제적, 사회적 편익 측정 중요!
ESG 경영의 사회적 가치 창출, 간접 이익(가로 활성화,
야간 보행량 증가, 기업 홍보 등) 발생 예상
68
[사례] 다층 교목과 초화류 식생이 조화로운 공개공지(우란문화재단,
성수동)
#도시숲-쉼터, #민관(Private-Public Partnership), #기업-건물주, #도시 생물종다양성
추진과제 2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지속가능한 공원 프로젝트 Sustainable Park Project
목표
추진 전략
식생자생력을높이고,에너지소비를줄이고,폭우에대응하는공원
야생 정원 Wild Garden
식용 정원 Edible Garden
스펀지 공원, 빗물 정원 Sponge Park, Rain Garden
도시숲은 하나의 생태계이다. 그러나 대중 유행과 경관에 치중한 외래 수목과 품종은 고관리를
요하며 자생 식물의 서식지를 밀어낸다. SGT는 토착 품종과 이 땅의 기후대에서 자생력이 강
한 야생정원의 확산 운동을 전개한다. 특히 생활권 노후공원의 식재 개선과 리모델링을 통한
저관리 및 자연기반의 지속가능한 공원 개선을 도모한다.
건강한 먹거리의 관심은 건강과 웰빙에서 더 나아가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탄소발자국 저감으
로 이어지고 있다. 도심텃밭과 플랜터의 확산이 공원에서도 가능하다. 대안 환경운동가들의
실천에서 청소년, MZ청년들의 핫 플레이스로 자리하고 있는 식용정원의 가치, 사회적 임팩트
확산을 위하여 SGT는 다양한 주체들과 연대하여 ‘팜투테이블’ 운동을 전개한다.
폭우로 인한 재해, 침수 빈도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공원을 물 저장고로 활용하는 지혜로운
해법과 적극적인 실천이 중요하다. 우기에 물을 머금고 건기에 물을 배출하는 스펀지 공원, 빗
물을 머금는 빗물 정원은 전통적인 생태환경기법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섬세하고 세밀한 접근
과 광역적 접근이 요구된다. SGT는 작은 실천부터 큰 연대까지를 아우르며 변화를 모색한다.
69
마켓팅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조사
핵심 사업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5 | 야생정원 조성 사업
노후 생활권 공원의 식생 개선 및 지형 리모델링 사업 추진. 도심 기후
변화 대응과 생태계 고려한 지형의 변화, 식생 다양성 목표
사업 내용
• 기존 공간의 이용자 및 식생 모니터링 수행
• 수체계 – 식생 천이 환경 – 경관 요소 검토, 제반 지형 개선 등
• 자생종 및 기존 식생 천이, 동식물 생태계 고려한 식생 개선
• 조성 이후, 정원 관리운영 주체 발굴 및 관리 지원 교육 운영
• (옵션) 식재 중심의 정원 공모전 연계, 수행
[사례] 대모산 야생정원 조성 [사례] 수원시 지속가능한 공원을 위한 다층 식생 도시숲 조성 [사례] 오산시 맑음터공원 리모델링
(2022 경기정원문화 박람회 개최, 작가 정원 조성)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소공원 등 생활권 공원
마을마당, 정원 등 소규모 녹지
주요 사업 대상지
민간 기업 – SGT – (공공 /자치구)
파트너십 협력 사업 추진
사업 추진 방식- 협력 주체
70
#자생식물 서식지, #저관리 정원, #자연기반 공원
마켓팅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핵심 사업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6 | 식용정원 조성 사업
생활권 공원을 사회적 가치 창출의 공간으로 재편하는 임팩트 사업을
전개. 단순히 식용정원(도심 텃밭, 키친 가든)이 건강한 먹거리 창출의
장소로 인식됨을 지양하고 함께 “모이고” – “기르고” – “마시고 먹는“
일련의 행위 속에서 형성되는 공동체, 지역사회, 사회적 약자의 회복과
성장 목표
사업 내용
• 사업 대상지 발굴
• 사회적 약자 등 지원/참여 대상자 선별
• 물리적 공간 계획 및 정원 조성 프로세스 운영
• 참여 대상자 교육 워크샵 진행(이벤트 및 프로그램 연계)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소공원 등 생활권 공원
마을마당, 정원 등 소규모 녹지
주요 사업 대상지
민간 기업 – SGT – (공공 /자치구 또는 치매지원센터 등)
파트너십 협력 사업 추진
사업 추진 방식- 협력 주체
[사례] SGT가 자치구 치매센터와 함께 실행한 느슨한 가느닝 사업(21, 22년)
71
#건강안전 먹거리, #탄소발자국 저감, #공동체 돌봄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조사
핵심 사업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7 | 빗물정원 조성 사업
08 | 침수 대비 스펀지공원 조성 사업
공원녹지 공급 불균형 지역 가운데 침수 위험도 높은 대상지 발굴, 빗물정원 조성 사업 지원
특히 불투수율 높은 저층주거지 가운데 사회취약계층 주거 안전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사업지 발굴
사업 내용
• 지역 침수 위험도 데이터 검토 (공공 협조)
• 사회취약계층 대상 사업지 및 지원 대상 발굴
• 지역사회 자원봉사자 모집, 빗물정원 조성 실행 및 관리 교육 실시 (사후 모니터링 수행)
폭우시 침수 대비하여 도심 하천 및 공원녹지를 우수 저장고 및 침투지로 조성, 리모델링 사업 추진
사업 내용
• 지역 광역 수순환 체계 데이터 검토 (공공 협조, 관련 전문가 지원)
• 침수 대비 저류지 및 침투지, 우수길 계획 마련
• 침수에 강한 식물종 가이드라인 마련, 식재 반영
• 자원봉사자 함께 침수 대비 도시숲 조성 실행, 관리 교육 실시
민간 기업 – SGT – 공공(자치구 또는 지원센터 등) 파트너십 협력 사업 추진
사업 추진 방식- 협력 주체
민간 기업 – SGT – (공공 /자치구) 협력 사업 추진
사업 추진 방식- 협력 주체
[사례] 저류지 조성, 침수 강한 수종 중심의 식재
[사례] 공원의 물길과 빗물정원 [사례] 가로의 빗물정원
[사례] 종로구-KT 조성한 중학천 도시숲
72
#폭우 침수 대비, #도심 물저장고, #투수-침투지
추진과제 3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공원 사업 ESG 성과지표 연구 개발 Park project ESG KPI R&D
목표
데이터 기반, 사회적 임팩트를 높이는 연대와 협력 모색
도시공원은 기후 위기와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더욱 중요한 그린 인프라이다. SGT는 지속가능성과 형평성을 과제로 하는
다양한 녹색 서비스 확산과 도시숲 운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공원 사업에 대한 성과 측정과 가치 평가를 시도하고자 한다.
최근 AI를 비롯한 빅데이터 솔루션 접목과 사회적 가치 확산은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공원의 다양한 가능성과 효과를 검증
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다. 시민사회, 민간 기업, 공공 기관 등 다양한 주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도시숲 운동을 전개해
온 SGT는 ESG 대전환 시대를 맞아 효과성 있는 실천을 담보하는 기초 연구와 협력 주체 발굴을 강화해 나간다.
<뉴욕시 도시숲 총량 확대를 위한 데이터 기반 실천, 연구 사례들>
[사례]
뉴옥시 가로수 데이터 목록화 사업
[사례]
뉴옥 브르클린 지역의 그린 코리더 열섬 완화 측정 지도
73
핵심 사업 (신규 사업 발굴 중심으로)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9 | ESG 전략 성과관리 지표 개발
도시공원녹지 조성 및 운영관리 전반의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부문 실행, 성과 관리 지표 수립
[사례] 파타고니아 ESG 경영 전략
E | 환경
S | 사회
G | 지배구조
환경경영 온실가스 원부자재 에너지
물/
수순환
폐기물 오염 종다양성
사회통합
포용성
건강 안전 지역상생
소통
네트워크
투명
경영
고용창출
사업 내용
• 시민 참여(시민과학자 협력 등) 기반의 데이터 수집 기초
• 기업-공공기관 ESG 경영 전략 및 지표 연계 가능한 KPI 도출(지역사회 공헌, 인력 육성 등 사회적 가치 창출)
• 연계 가능한 협력 주체 발굴 및 파트너십 모색
(예시) 지표 구성 및 핵심 아젠다
민관 협력형 기초연구과제 수행 (지원사업 공모, 후원사업 펀드 마련 등)
사업 추진 방식- 협력 주체
(사례) YK 지속가능보고서
마켓팅
정책제안
조사
74
핵심 사업 (신규 사업 발굴 중심으로)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10 | 데이터 기반 매칭-협력 사업
녹지 공급 부족 지역의 데이터 구축(자원봉사, 시민과학자 협력 – 그린맵 캠페인 연계), 사회 취약계층 수요 데이터 구축을 통해 기업 니즈가 있는 후원 사업 매칭
사업 내용
(사례) 구글 제공하는 ‘트리 캐노피 랩‘ (AI와 위성지도로 미 도시의 토지피복도
데이터를 제공)
(사례) SK재단이 시행하는 2022 ‘생물다양성 데이
터 분석 및 아이디어 제안 경영‘
• 녹지 공급 부족 지역의 데이터 구축(자원봉사, 시민과학자 협력 – 그린맵 캠페인 연계)
• 사회 취약계층 수요 데이터 구축을 통해 기업 니즈가 있는 후원 사업 매칭
민관 협력형 기초연구과제 수행 (지원사업 공모, 후원사업 펀드 마련 등)
사업 추진 방식- 협력 주체
마켓팅
정책제안
조사
75
서울그린트러스트와 함께 도시공원의 친구가 되어주세요!
76
서울그린트러스트와 함께 도시공원의 친구가 되어주세요!
서울그린트러스트는 시민참여를 바탕으로 서울시 생활권녹지를 확대 및 보존하고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드는 비영리 재단법인입니다.
2003년 (사)생명의숲국민운동과 서울시 간에 서울그린트러스트 협약을 체결하여 ‘서울그린비전 2020’을 바탕에 두고 출범하였습니다.
같은 해 5월, 국내 최초로 시민들이 기금을 모으고 나무를 심어 서울숲공원 만들기에 참여함으로써 시민참여형 공원조성 사례를 실현하였습니다.
현재는 시민과 기업의 자원봉사를 통한 도시숲과 도시공원가꾸기를 진행하며, 다양한 학술행사를 진행하는 등 도시공원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개선과
도시의 녹색 가치를 실현하는 다양한 활동을 지속해가고 있습니다. 천만 시민 모두 초록의 기쁨을 누릴 수 있도록 서울그린트러스트가 함께 합니다.
www.greentrust.or.kr
서울특별시 성동구 서울숲길 53(심오피스), 3층 | T. 02-498-7432 | E. hello@greentrust.or.kr
도시공원 운영 녹색공간 조성· 관리 녹색커뮤니티 지원 녹색문화 확산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프로젝트 초안 발표 - Battle AI (한양대 오픈소스동아리)
프로젝트 초안 발표 - Battle AI  (한양대 오픈소스동아리)프로젝트 초안 발표 - Battle AI  (한양대 오픈소스동아리)
프로젝트 초안 발표 - Battle AI (한양대 오픈소스동아리)Osori Hanyang
 
[서울시마을공동체지원센터]커뮤니티 공간 안내서 Community Space Guidebook
[서울시마을공동체지원센터]커뮤니티 공간 안내서 Community Space Guidebook[서울시마을공동체지원센터]커뮤니티 공간 안내서 Community Space Guidebook
[서울시마을공동체지원센터]커뮤니티 공간 안내서 Community Space GuidebookSang Hyun Park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Seongwon Kim
 
(개정) 알면 알수록 어려운 서비스 기획 뽀개기!
(개정) 알면 알수록 어려운 서비스 기획 뽀개기!(개정) 알면 알수록 어려운 서비스 기획 뽀개기!
(개정) 알면 알수록 어려운 서비스 기획 뽀개기!YOO SE KYUN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Sang Hyun Park
 
밑으로부터 도시계획 (Bottom Up Urbanism)
밑으로부터 도시계획 (Bottom Up Urbanism)밑으로부터 도시계획 (Bottom Up Urbanism)
밑으로부터 도시계획 (Bottom Up Urbanism)Seongwon Kim
 
Ge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사례와 전략적 시사점
Ge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사례와 전략적 시사점Ge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사례와 전략적 시사점
Ge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사례와 전략적 시사점ROA Invention LAB Inc. CEO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Seongwon Kim
 
인디언 티피 제작 방법 20150718
인디언 티피 제작 방법 20150718인디언 티피 제작 방법 20150718
인디언 티피 제작 방법 20150718Seongwon Kim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Seongwon Kim
 
사회혁신이란무엇이며,왜 필요하며,어떻게 추진하는가-재프 멀건(2011)
사회혁신이란무엇이며,왜 필요하며,어떻게 추진하는가-재프 멀건(2011)사회혁신이란무엇이며,왜 필요하며,어떻게 추진하는가-재프 멀건(2011)
사회혁신이란무엇이며,왜 필요하며,어떻게 추진하는가-재프 멀건(2011)JINI-JUNG
 
3시간 만에 만드는 다목적 스타돔 제작
3시간 만에 만드는 다목적 스타돔 제작 3시간 만에 만드는 다목적 스타돔 제작
3시간 만에 만드는 다목적 스타돔 제작 Seongwon Kim
 
눈비소프트 중장기 로드맵 20170410
눈비소프트 중장기 로드맵 20170410눈비소프트 중장기 로드맵 20170410
눈비소프트 중장기 로드맵 20170410종범 김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Seongwon Kim
 
젠트리피케이션 대응방안으로서 자산화전략
젠트리피케이션 대응방안으로서 자산화전략젠트리피케이션 대응방안으로서 자산화전략
젠트리피케이션 대응방안으로서 자산화전략Eunho Chun
 
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
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
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Seongwon Kim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Seongwon Kim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Seongwon Kim
 

What's hot (20)

프로젝트 초안 발표 - Battle AI (한양대 오픈소스동아리)
프로젝트 초안 발표 - Battle AI  (한양대 오픈소스동아리)프로젝트 초안 발표 - Battle AI  (한양대 오픈소스동아리)
프로젝트 초안 발표 - Battle AI (한양대 오픈소스동아리)
 
[서울시마을공동체지원센터]커뮤니티 공간 안내서 Community Space Guidebook
[서울시마을공동체지원센터]커뮤니티 공간 안내서 Community Space Guidebook[서울시마을공동체지원센터]커뮤니티 공간 안내서 Community Space Guidebook
[서울시마을공동체지원센터]커뮤니티 공간 안내서 Community Space Guidebook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개정) 알면 알수록 어려운 서비스 기획 뽀개기!
(개정) 알면 알수록 어려운 서비스 기획 뽀개기!(개정) 알면 알수록 어려운 서비스 기획 뽀개기!
(개정) 알면 알수록 어려운 서비스 기획 뽀개기!
 
Sns 콘텐츠 유통전략
Sns 콘텐츠 유통전략Sns 콘텐츠 유통전략
Sns 콘텐츠 유통전략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밑으로부터 도시계획 (Bottom Up Urbanism)
밑으로부터 도시계획 (Bottom Up Urbanism)밑으로부터 도시계획 (Bottom Up Urbanism)
밑으로부터 도시계획 (Bottom Up Urbanism)
 
Ge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사례와 전략적 시사점
Ge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사례와 전략적 시사점Ge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사례와 전략적 시사점
Ge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사례와 전략적 시사점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인디언 티피 제작 방법 20150718
인디언 티피 제작 방법 20150718인디언 티피 제작 방법 20150718
인디언 티피 제작 방법 20150718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사회혁신이란무엇이며,왜 필요하며,어떻게 추진하는가-재프 멀건(2011)
사회혁신이란무엇이며,왜 필요하며,어떻게 추진하는가-재프 멀건(2011)사회혁신이란무엇이며,왜 필요하며,어떻게 추진하는가-재프 멀건(2011)
사회혁신이란무엇이며,왜 필요하며,어떻게 추진하는가-재프 멀건(2011)
 
3시간 만에 만드는 다목적 스타돔 제작
3시간 만에 만드는 다목적 스타돔 제작 3시간 만에 만드는 다목적 스타돔 제작
3시간 만에 만드는 다목적 스타돔 제작
 
눈비소프트 중장기 로드맵 20170410
눈비소프트 중장기 로드맵 20170410눈비소프트 중장기 로드맵 20170410
눈비소프트 중장기 로드맵 20170410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젠트리피케이션 대응방안으로서 자산화전략
젠트리피케이션 대응방안으로서 자산화전략젠트리피케이션 대응방안으로서 자산화전략
젠트리피케이션 대응방안으로서 자산화전략
 
회사소개서2015
회사소개서2015회사소개서2015
회사소개서2015
 
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
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
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Similar to [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

함께그린다음지도 2013녹색선언
함께그린다음지도 2013녹색선언함께그린다음지도 2013녹색선언
함께그린다음지도 2013녹색선언choi wi hwan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thebutton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seekly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백년숲 100yearforest 20200225
백년숲 100yearforest 20200225백년숲 100yearforest 20200225
백년숲 100yearforest 20200225hundredyearforest
 
생명의숲 15년 이야기
생명의숲 15년 이야기생명의숲 15년 이야기
생명의숲 15년 이야기Hyuna Leean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Kyunghyun Kim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Jaejung Lee
 
기업가정신과 사회봉사 기말최종발표_1조.pdf
기업가정신과 사회봉사 기말최종발표_1조.pdf기업가정신과 사회봉사 기말최종발표_1조.pdf
기업가정신과 사회봉사 기말최종발표_1조.pdfssuserd971ae
 
10. 신촌전환마을_2015 에너지자립마을 성과발표자료
10. 신촌전환마을_2015 에너지자립마을 성과발표자료10. 신촌전환마을_2015 에너지자립마을 성과발표자료
10. 신촌전환마을_2015 에너지자립마을 성과발표자료Seoul Energy Self-sufficient Villages
 
환경논총 제53권
환경논총 제53권환경논총 제53권
환경논총 제53권EPISNU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전문
[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전문[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전문
[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전문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thebutton
 
[환경회의]지구의날 논평, 초록이고 싶은 도시를 위한 시민정책제안
[환경회의]지구의날 논평, 초록이고 싶은 도시를 위한 시민정책제안[환경회의]지구의날 논평, 초록이고 싶은 도시를 위한 시민정책제안
[환경회의]지구의날 논평, 초록이고 싶은 도시를 위한 시민정책제안여성환경연대
 
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
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
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혜영 신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홍길 김
 

Similar to [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 (20)

함께그린다음지도 2013녹색선언
함께그린다음지도 2013녹색선언함께그린다음지도 2013녹색선언
함께그린다음지도 2013녹색선언
 
20. 금호대우_2015 에너지자립마을 성과발표자료
20. 금호대우_2015 에너지자립마을 성과발표자료20. 금호대우_2015 에너지자립마을 성과발표자료
20. 금호대우_2015 에너지자립마을 성과발표자료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백년숲 100yearforest 20200225
백년숲 100yearforest 20200225백년숲 100yearforest 20200225
백년숲 100yearforest 20200225
 
생명의숲 15년 이야기
생명의숲 15년 이야기생명의숲 15년 이야기
생명의숲 15년 이야기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기업가정신과 사회봉사 기말최종발표_1조.pdf
기업가정신과 사회봉사 기말최종발표_1조.pdf기업가정신과 사회봉사 기말최종발표_1조.pdf
기업가정신과 사회봉사 기말최종발표_1조.pdf
 
10. 신촌전환마을_2015 에너지자립마을 성과발표자료
10. 신촌전환마을_2015 에너지자립마을 성과발표자료10. 신촌전환마을_2015 에너지자립마을 성과발표자료
10. 신촌전환마을_2015 에너지자립마을 성과발표자료
 
환경논총 제53권
환경논총 제53권환경논총 제53권
환경논총 제53권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전문
[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전문[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전문
[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전문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환경회의]지구의날 논평, 초록이고 싶은 도시를 위한 시민정책제안
[환경회의]지구의날 논평, 초록이고 싶은 도시를 위한 시민정책제안[환경회의]지구의날 논평, 초록이고 싶은 도시를 위한 시민정책제안
[환경회의]지구의날 논평, 초록이고 싶은 도시를 위한 시민정책제안
 
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
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
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2017 환경활동가 정책 워크숍
2017 환경활동가 정책 워크숍2017 환경활동가 정책 워크숍
2017 환경활동가 정책 워크숍
 

More from seoulgreentrust

공원봉사활동가이드북2
공원봉사활동가이드북2공원봉사활동가이드북2
공원봉사활동가이드북2seoulgreentrust
 
공원의친구들 5개년 임팩트리포트
공원의친구들 5개년 임팩트리포트공원의친구들 5개년 임팩트리포트
공원의친구들 5개년 임팩트리포트seoulgreentrust
 
2019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2019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2019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2019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seoulgreentrust
 
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seoulgreentrust
 
[서울그린트러스트] 하나투어 한강공원입양 임팩트리포트(2014~2018)
[서울그린트러스트] 하나투어 한강공원입양 임팩트리포트(2014~2018)[서울그린트러스트] 하나투어 한강공원입양 임팩트리포트(2014~2018)
[서울그린트러스트] 하나투어 한강공원입양 임팩트리포트(2014~2018)seoulgreentrust
 
2016 공원의친구들 결과보고서_서울그린트러스트
2016 공원의친구들 결과보고서_서울그린트러스트2016 공원의친구들 결과보고서_서울그린트러스트
2016 공원의친구들 결과보고서_서울그린트러스트seoulgreentrust
 

More from seoulgreentrust (6)

공원봉사활동가이드북2
공원봉사활동가이드북2공원봉사활동가이드북2
공원봉사활동가이드북2
 
공원의친구들 5개년 임팩트리포트
공원의친구들 5개년 임팩트리포트공원의친구들 5개년 임팩트리포트
공원의친구들 5개년 임팩트리포트
 
2019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2019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2019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2019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서울그린트러스트] 하나투어 한강공원입양 임팩트리포트(2014~2018)
[서울그린트러스트] 하나투어 한강공원입양 임팩트리포트(2014~2018)[서울그린트러스트] 하나투어 한강공원입양 임팩트리포트(2014~2018)
[서울그린트러스트] 하나투어 한강공원입양 임팩트리포트(2014~2018)
 
2016 공원의친구들 결과보고서_서울그린트러스트
2016 공원의친구들 결과보고서_서울그린트러스트2016 공원의친구들 결과보고서_서울그린트러스트
2016 공원의친구들 결과보고서_서울그린트러스트
 

[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

  • 1. 기후위기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형평성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2022년 10월 | 결과보고서 Image: Urban Institute(2019), 「Investing in Equitable Urban Park Systems」 한국조경학회
  • 2. 2022년 3월 11일 - 10월 31일 주관 | 서울그린트러스트, 한국조경학회 책임연구원 | 조경진(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 서울그린트러스트 이사) 공동연구원 | 서영애(기술사사무소 이수 대표 | 서울그린트러스트 이사) 심주영(퍼블릭 어라운드 대표 | 서울그린트러스트 이사) 연구원 | 정은하(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과정) 정경화(기술사사무소 이수 차장) 박윤주(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과정) 유다연(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과정) 연구 기간 연구진 노후 생활권공원 재생모델 사업개발 연구 과업명 본 연구는 2022년도 유한킴벌리 후원 사업으로 시행하였습니다.
  • 3. 연구 내용 연구 결과물 ◎ 연구보고서 ◎ 연구성과 공론화를 위한 심포지엄 ‘숲으로 도시혁명 4 서울그린 비전 2040’ (2022. 12. 05.) ◎ 공원녹지에 관한 인식 및 위상 변화 분석 ◎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운동 및 사업 성과 분석(유한킴벌리 협력사업 중심으로) ◎ 서울그린비전 2040 기본 방향 및 목표 수립 ◎ 서울그린비전 2040 실행계획 및 추진과제, 핵심사업 발굴
  • 4. 목 차 1. 연구 개요 01 연구 배경 02 연구 목적 03 연구 범위 및 주요 내용 2. 현황 및 여건 분석 01 서울시 도시공원 기본계획 02 SGT 도시숲 운동 성과 분석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4. 실행계획 및 사업 01 실행 계획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3 사업 추진 전략 3. 서울 그린 비전 2040 :형평성과 지속가능성 플랜 01 글로벌 그린 정책 경향 02 서울그린비전 2040 03 추진방식 4
  • 5. 1 연구 개요 01 연구 배경 02 연구 목적 03 연구 범위 및 내용
  • 6. 6 탄소중립에 대응하는 녹색전환으로 숲, 정원, 공원, 녹지의 역할 증대 몸과 마음의 건강을 치유하는 녹색 공간에 대한 요구 COVID-19 팬데믹 이후 도시공원과 생활권 녹지의 중요성 증대 01 연구 배경 (사례: 거리두기 속 도시공원) (사례: 명동 타임워크 옥상정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녹녹‘) 6
  • 7. 팬데믹 이후 세계적으로 공원과 야외공간 이용 확대 [출처:https://www.bennettinstitute.cam.ac.uk/blog/value-public-parks] 01 연구 배경 Covid-19 이전과 비교하여 공원, 국립공원, 공공해변, 광장 등 야외공간 이용이 증가 Covid-19 이전에 비해 영국 각 지역과 도시의 공원 이용률이 현격히 증가 코로나 시기의 커뮤니티 이동 경향 코로나 시기 전후, 지역의 도시공원 이용률 변화 7
  • 8. 8 모든 사람을 위한 깨끗한 공기와 녹지 공간과의 근접성의 중요성 이것을 위한 적절한 기술에 대한 충분한 지역 사회 투자의 필요성 회복탄력성을 위한 충분한 완충재의 중요성 자연 자본의 중요성 증대 [자료: https://www.bennettinstitute.cam.ac.uk/wpcontent/uploads/2020/12 /WER_Building_Forward_Investing_in_a_resilient_recovery.pdf] "Without adequate buffer stocks, whether that is proximity to clean air and green space for all, or sufficient communities investment in skills that people can adapt, or where neighbors want to help others, there is no resilience." 01 연구 배경 8
  • 9. 동네 공원 접근성 중요 모든 공원은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줌 나무그늘을 제공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인근 지역의 온도를 낮춤 COVID-19 확산 및 이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의 시행이 공원 이용자 수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박인권 외 2인(2021)) 생활권 공원과 접근성의 중요성 증대 Your local park has a hidden talent: helping fight climate change [출처;https://www.npr.org/2022/08/31/1118786411/city-parks-global-warming-heat-wave] - 주거지역 내 위치한 소규모 근린공원은 이전에 비해 평균적으로 3~6% 정도 이용자 수가 증가 - 잠실 롯데월드 일대 이용자 수가 평균적으로 38%가량 감소 - 올림픽공원의 경우에는 COVID-19 확산에 따라 평균적으로 1.9% 정도 이용 자 수가 감소 (올림픽공원의 원거리 이용자를 나타내는 차량 이용자 수가 평 균적으로 23%가량 감소) - COVID-19와 같은 전염병 재난 시 도시공원, 특히 주거지역 내 근린공원은 도 시인들에게 주요한 피난처이자 여가공간으로서 역할을 수행 - 적절한 공급과 유지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 [박인권 외3인(2021), COVID-19 확산에 따른 도시공원 이용자 수의 변화 – 시계열 빅 데이터 분석] 01 연구 배경 9
  • 10. 10 생활 밀착형 공원녹지에 대한 형평성 이슈 01 연구 배경 동네공원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형평성 문제 제기 생활권 공원의 73%가 보행접근성 불량 (자료: 환경운동연합) [출처] https://www.khan.co.kr/local /Seoul/article/202206081613 001 [출처]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2060716200001190
  • 11. 11 샹젤리제 프로젝트의 Extraodinary Garden 전 세계 도시는 기후 위기 대응 도시로 전환 중임, 파리시는 시장의 리더십을 통해 대규모 도시숲 프로젝트 추진 중 오염되고 혼잡한 소비지역을 친환경적이고 생태적인 지역으로 탈바꿈 도로를 보행자 전용 녹지로 전환,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해 나무터널을 조성 기후위기 대응으로 도시 정책 전환 [출처:https://www.designboom.com/architecture/champs-elysees-plan-pca-stream-01-11-2021] 01 연구 배경
  • 12. 12 미국 중앙정부, 기후변화 대응 관련 입법과 투자 조치 [출처;IFLAWorldCongress2022] 01 연구 배경 인플레이션 감축법안(IRA) 통과, 법인세와 부자 증세를 통해 재원을 확보하고 기후변화 대응 등에 투자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2005년 대비 40% 줄이기 위해 3690억달러(약 493조원)를 투자 국립공원서비스(NPS), 토지관리청(BLM) 사업 5억달러지원, 유지보수, 생태계 기후변 화대응하도록 조성 추가 14억 지원 삼림유산프로그램(FLP) 만들어 7억달러를 지원, 개인 숲 보존 프로그램 지방 등 소외된 지역사회 나무심기 15억달러 지원 국립해양대기청(NOAA) 해안과 해양서식처를 보존 하는데 26억달러, 어류및야생동물보호국 (FWS)가 멸종위기종 복원 약 3억달러 지원
  • 13. 13 런던 국립공원도시 운동은 세계 최초로 국립공원도시를 선언(2019년 6월) 런던을 더 푸르고 건강한 야생의 공간으로 (프론트 가든 사업 Front Gardens) 누구든 참여할 수 있는 협력의 가이드(Park City Wiki) 체계 구축, 녹지와 공원 공간을 넘어 전체 범위로 확장 공원 거버넌스의 담론 형성과 참여 확대를 촉구 자발적 시민운동으로 녹색도시 전환, 런던의 국립공원도시 운동 01 연구 배경
  • 14. 14 해남 솔라시도, 정부 예산 400억 투입해 2027년까지 세계적인 생태정원도시 조성 추진 바다, 호수 등 주변 경관과 어우러진 최초의 해안가로 정원 남부지역 특화 수종으로 구성된 도시정원가도 등을 조성해 정원도시의 기반을 구축 국내 정원도시 지정 그리고 도심 내 공공정원 확산 01 연구 배경 사례_좌: 해남 솔라시도 정원도시 사업, 사례_오른쪽 위: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사례_오른쪽 아래: 태화강 국가정원의 피에트 오돌프(정원가) 공공정원
  • 15. 도시숲 운동 20주년을 맞아 그동안의 성과와 한계를 짚어보고 서울그린비전 2040 수립 지속가능한 도시숲 운동(23년~)을 위한 생활권 단위 전략과 사업유형 제시 서울시 자치구 중 적용 가능한 대상지 발굴 및 지속가능한 민관협치 방안 도출 도시숲 운동 확산을 위한 방향성 제고, 팬데믹 이후의 새로운 방향 제시 02 연구 목적 15 [출처] City of Perth, Urban Forest Plan 기후위기와 팬데믹으로 실천 가능한 비전수립의 필요성 대두 서울그린비전 2020 서울그린비전 2030 서울그린비전 2040 2005년 2014년 2022년
  • 16. 도보권에서 공평하게 누릴 수 있는 생활권 공원녹지의 중요성 공공이 주도하는 공원의 리모델링은 시설의 재구조화에 치중하는 상황 02 연구 목적 연구의 관점: “생활권 공원의 재발견” 16 [출처] 서울특별시 법적인 공원을 벗어나 생활권에서 접할 수 있는 공원녹지의 가치를 발견해야 함 명동, 성수동 공개공지 신림동 관천로 수변녹지 통의동 마을마당
  • 17. 03 연구 범위 및 주요 내용  국내외 도시숲 운동 및 공원녹지 확충 전략, 실행 사례 연구  양적, 질적 도시숲 운동 확산을 위한 생활권 노후공원 실태 파악 및 개선 여건 진단 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관리운영을 위한 사업 유형 및 모델 제시 기후위기와 팬데믹 이후 사회 여건 변화에 따른 공원 정책 변화 지역밀착형, 주민참여 가능한 사업 유형 및 모델 발굴 서울그린비전 2040 비전 및 목표, 전략 설정 SGT-YK 사업 진단 방향 설정 SGT 도시숲 운동의 방향성 및 실천 전략 제시 장기적, 지속가능한 파트너십 사업 유형 및 모델 발굴 글로벌 공원녹지 정책 진단 기존 사업 리뷰 사례연구와 목표 설정 실행계획 및 사업모델 발굴 17
  • 18. Ⅱ 현황 및 여건 분석 01 서울시 도시공원 계획 경향 02 SGT 도시숲 운동 성과 분석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 19.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 01 서울시 도시공원 계획 경향 계획의 목적 도시환경발전정책 공원녹지확충,관리, 이용방향제시 노후한시설물정비 공공기관이전시 공원확보파악 공원녹지구조적인 틀제시 개정된‘도시공원및녹지 등에관한법률’에따라 관리체계의정비 친환경적인자원의 현황파악및 데이터베이스구축 훼손된공원녹지 복원 공원녹지축 완성으로 생태적 기능 향상 훼손된 생태계복원 19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과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서울시 공원녹지 비전을 제시하는 역할 상위계획으로서 자치구별 세부 지표 및 현황 데이터 제시(조감의 틀 제시): 공원녹지 양적 확보와 물리적 공간 중심의 계획 생활권 공원녹지 공급 및 불균형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 및 지표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미시 스케일 현황 부재) ▶ 생활권 공원녹지 전략계획(안)의 제시가 필요함 2030 서울시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지위
  • 20. 01 서울시 도시공원 계획 경향 204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 20 2030 공원녹지 기본계획의 한계 보완, 기후변화와 코로나 이후의 사회 변화상 반영 예정 시민의 실제 이용을 고려한 입체적인 공원녹지 계획 수립, 하천-생활권-공원 연결하는 그린 인프라 네트워크 강화 수립 예정 수변 중심 도시공간 혁신 ---------------- 지천 활용한 도시 자연성 회복 및 여가공간 확충 팬데믹 시대의 공원녹지 정책 ---------------- 둘레길, 산책로 정비 비대면 공원 프로그램 움직이는 공원 ---------------- 이동형 한뼘공원 (24개소 -> 40개소 사업 추진) 도시숲 프로젝트 ---------------- 숲 자연성 회복 사업 (1개소 -> 4개소) 빈집 활용 도시재생 사업 ---------------- 생활정원 조성사업 (5개소 -> 21개소 사업 추진)
  • 21. 02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운동 분석 서울그린트러스트의 서울그린비전 2020 ~ 2030 21 서울그린비전 2020 (2005) 서울그린비전 2030 (2014) 도시녹지 총량 확대 녹지 보전과 네트워크화 공원 문화화 시민참여 활성화 생활문화 공간화 민간 참여 운영(조직, 제 도 개선) Beyond Green “녹색을 넘어” Green Right “녹색은 시민의 권리” Trust Green “녹색공유”
  • 22. • 주민참여 우리동네숲 조성사업 • 우리동네푸르게푸르게 나무심기 • 성수동 녹색공유센터 운영 • 도시 녹색 커뮤니티 지원사업(나꿈커) • 도시숲 환경사회경제적 가치 지표 개발 • 서울숲공원 전면 수탁운영(서울숲컨서번시) • 전국 공원의친구들 캠페인 전개 • 한강공원입양을 통한 기업 참여 한강숲 가꾸기 2003~2006 2013~2015 2019~ 2007~ 2013 2016~ • 서울숲 헌수 운동/ 시민과 기업 참여 나무심기 • 서울숲공원 개장/ 시민참여 공원운영(서울숲사랑모임) • 시민과 기업 모금통해 4개 대형공원 조성에 기여 • 숲으로 도시혁명 심포지엄 개최 • 탄소저감 도시공원 재생(인덱스가든, 에코존) • 그린라이프스타일 공유 그린맵 캠페인 전개 2020~ • 코로나19 시대, 공원 사용법 캠페인 • 그린맵 발굴 녹지소외지역 숲조성 • 녹색 소외계층 초록키트 지원사업 02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운동 분석 2003 ~ 2022 도시숲 사업의 흐름 22
  • 23. 23 • 초기 도시숲 조성형 사업에서 다양한 형태의 도시숲 사업으로 발전, 다변화되었으며 총 4가지의 유형으로 구분 됨 • 서울그린비전 2030 핵심 과제였던 그린 리더 양성을 위한 ‘도시숲 커뮤니티 지원형’ 사업은 유한킴벌리 외 다른 기업의 공감을 얻지 못하였 으며, 지속가능한 사업 재원 확보에 실패함 • 2030 UN SDGs, ESG 시대 이후, 글로벌 목표인 탄소중립 중 직관적 성과가 될 수 있는 나무심기형 도시숲 조성사업 기업후원 문의 급증 58% 23% 10% 9% 02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운동 분석 1위 | 도시숲 조성형 : 정부 또는 지방정부와 협력하여 조성하려는 도시숲 에 대해 조성사업 비용을 후원 - 서울숲, 우리동네숲, 인덱스가든(종다양성), 어린이정원, 꿀벌정원 등 2위 | 도시숲 조성+기업 자원봉사형 : 도시숲 조성 후, 최소 3년 이상 조성한 도시숲 가꾸기 자원봉사 참여와 비용을 후원 - 한강공원입양, 공원의친구들 등 3위 | 온라인 캠페인+도시숲 조성형 : 기업이 캠페인 관련 상품 개발 또는 SNS로 도시숲 캠페인 동참을 유도하고 시민참여형 도시숲 조성 사업 비용을 후원 - 미세먼지 FREE! 도시숲 캠페인, Cup a Tree 캠페 인, 그린컨슈머 친환경 공원 에코존 캠페인 등 4위 | 도시숲 커뮤니티 지원형 : 도시숲을 만들고 가꾸는 다양한 시민 커뮤니티를 지원하는 공모사업 비용을 후원 - 나꿈커 지원사업, 작은숲 지원사업 등 기업이 선호하는 도시숲 사업 유형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사업과 기업 사회공헌 (2007-2021)
  • 24. ’03-’05 ‘07-’10 ■서울숲 조성/보전 (도시숲 조성) • 서울숲 총 6,000평 시민의숲 조성 • 개장 후 서울숲사랑모임 운영 Main Sponsor(약 11억원 후원) • 교목 5,888주, 관목 98,833주 식재 • 기업 사우가족, 여고생 그린캠프 봉사활동 ■우리동네숲 (도시숲 조성) • 서울시, 자치구와 협력 사업(대상지 제공) • 주민참여형 동네숲 5,537㎡ 조성, 8,234주 식재 • 주민 워크숍 수행, 나무심기 프로그램 운영 • 총 7개소 사업지 조성(석관동, 개화동 3개소, 쌍문 동, 휘경동, 우면동) • 휘경동 경우, 재개발로 인해 마을과 숲이 사라짐 ‘14-’16, ‘17-’18 ■나꿈커 기금 지원 (그린리더 양성, 공모형) • 나누는, 꿈꾸는, 커가는 기금 • 도시 곳곳에 녹색공간 조성 시민활동 17개 팀 선정 • 공원녹지(정원형)조성과 녹색커뮤니티 활동 지원 • 주로 양성교육과 활동 씨드머니 지급 • 전문가-선정팀 멘토링 시스템 운영 • 1팀당 1천만원 내외 지원(9개월 사업 기간) ’16-’21 ■ 도시공원 재생 인덱스가든 • 도시공원 내 유휴공간 18,531 ㎡ 재생 • 도시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식물 수종 에 특별한 테마로 색인한 종다양성 정원 • 총 6개소 조성(뚝섬한강공원 3개소, 서울숲 3개소) • 나무 3,365주, 초본 5145본 식재 • 인덱스 가든 4와 5(서울숲 설렘정원, 겨울정원) 경우 각 컨셉에 부합하는 이벤트 사업 후원 병행: 웨딩가든 컨셉 부합하는 결혼식 지원, 겨울철 공원 이벤트 진행 ■작은숲 지원(어린이집 대상, 공모형) • 어린이를 위한 숲 조성 공간 개선 사업 • 어린이집 마당, 어린이공원 등 2개 팀 선정 • 공원녹지 개선과 워크숍 사업비 지원 • 성동구 내 국공립어린이집 대상 • 1팀당 1천 2백만원 지원 • 선정 이후, 워크숍 프로세스 지원 및 청년 정원가 대상 으로 설계 공모전 실시하여 정원 조성 사업비 지원 우리 강산 푸르게 푸르게 작은숲 모여 더 큰숲으로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유한킴벌리와 함께한 도시숲 사업 02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운동 분석 24
  • 25. 02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운동 성과 분석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사업 추진 방식과 거버넌스 사업 기획 및 운영 기부금 운용 홍보 커뮤니케이션 서울그린트러스트 정부 지자체 지역사회/시민 기업 전문가 도시숲 토지 제공, 재정, 행정 협력 숲조성 과정 의견개 진,유지관리 자원봉 사, 교육 참여 등 사업 전략, 숲조성 방 향 자문, 조경 설계 재 능기부 등 사업비 기부, 숲조성 관리 자원봉사 참여, 사업 홍보 거버넌스 성과 거버넌스 한계 도시숲 관련, 제도의 실효성과 실질적인 참여 미흡 •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제시한 녹지활용계약, 녹화계약 등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사유공간 녹화 유도가 목적이지만 실질적인 참여 미흡 • `15년 제정된 「 서울특별시 도시녹화 등에 관한 조례 」의 경우, 제정된 지 얼 마 되지 않아 제도의 인식도가 낮음. 제도 활성화 위한 행정 절차의 편리성, 정 책결정자의 적극적인 의지, 예산확보, 시민을 선도하는 행정을 펼칠 필요 있음 • 도시숲 사업은 특히 조성 이후가 중요하지만, 조성 녹지의 변화 파악을 위한 장기 모니터링, 민간 유지관리 참여 제도의 실천의 한계, 공원녹지의 시민자치, 자발적인 행정 지원 등 다수의 한계 발생 공유자산인 도시숲의 가치를 민간자본 투입하여 향상, 정부,지방정 부는 예산 절감 • 서울그린트러스트는 거버넌스 조직으로 설립됐으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받는 도시숲을 효과적인 그린 인프라스트럭처로써 발전 시키기 위한 전략, 연구, 제도화 등이 활성화, 고도화 됨 • 초기 공공주도-민간참여형 거버넌스에서 1)민관 파트너쉽, 2)민간위탁, 3)민 간주도형으로 다변화 됨. 민간자본의 투입을 통한 지자체의 예산 절감, 전문가 의 공익사업 기여, 서울시 외 지방으로 도시숲 거버넌스 확산, 네트워크 활성 화에 기여함 • 시민들은 도시숲 사업을 통해 교류, 성장하며 사회에서 역량 있는 주체로 성장 하고 지역사회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힘을 얻음 거버넌스 원칙 절차: 대상지 모집 및 선정 → 전문가 참여 주민 워크숍 → 주민참여 설계 워크숍 → 파트너간 업무협약 체결 → 실시설계 및 시공 → 주민참여 나무심기 → 유지관리 자원봉사 → 주민참여 프로그램 운영 → 모니터링(서울그린트러스트) 25
  • 26. 성과 도시 공원녹지 총량 확대 (식생 증가, 녹화 면적 증대) 도시숲 거버넌스 강화와 확산 (도시녹화 관련 제 도, 네트워크, 조직 의 확산) 필요에 맞는 도 시 근린공원 유휴부지 재생 (인덱스가든, 어린 이정원, 에코존 등) 공공녹지 매개 사회적가치 창출 (그린리더 양성, 녹 색커뮤니티 지원, 공간활용방안 제시) 나무 2,116,320 그루 초본 314,363 본 면적 423,270㎡ 그린트러스트 지방 3개 발족 4개 지역 도시숲정원 유형 10개 19개소 공원 12개소 사업지 발굴 숲 콘텐츠 97개 개발 영상 콘텐츠 6개, 3,873회 시민참여144,194명 자원봉사329,416시간 660명 그린 리더 양성 관련 분야 녹색 일자리 창출 도시숲 민간자 본 투자-지방정 부 예산절감 (전문가 참여, 시 민 봉사, 기업 사 회공헌) 68개 기업 4,900,151,233원 02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운동 분석 26
  • 27. 녹지 지속성 유지관리 (도시 개발, 관리 부 재에 의한 멸실, 관 련 제도 실효성) 사업지 발굴의 접근방식, 어려움 (코로나후 시대 변화, 거버넌스 약화, 선정 기준, 구체적 DB 부재) 나무심기 성과 중 심 임팩트 수요 (녹지 총량 외 가치의 다양성 지향, 지표개발 필요) 한계 “도시숲 조성 이후, 개발, 유지관리 부재로 인한 한계” -도시숲 및 공원녹지 확충, 재생 효과 상실 (특히 주거지, 공동체 사업지 경우) “사업 대상지 발굴의 한계, 선정 기준, 당위성의 어려움 존재“ “도시숲 관련, 제도의 실효성과 실질적인 참여 미흡” “사업 효과성 환경분야 외 성과 검증 가능한 명확한 지표, 임팩트 부재“ “조성 후, 녹지의 변화 파악을 위한 장기 모니터링 한계” 조성비 중심의 예산 편성 (조성비:유지보수: 프로그램=5:2:3) 앞으로의 도시숲 운동은 보다 지역사회 밀착형으로, 새로운 부지 발굴 보다는 재생이 필요한 생활권 노후 공 원녹지 개선으로 전환해보자는 문제 의식과 공감대 형성 [ ] 생활권 노후 공원녹지 진단 02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운동 분석 27
  • 28.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국 도시공원 결정 개소 현황(2021) [출처] 전국도시공원정보표준데이터 | 공공데이터포털 (data.go.kr) 서울시 구별 1인당 공원면적 [출처] http://parks.seoul.go.kr - 20.00 40.00 60.00 80.00 계 종로구 중 구 용산구성동구광진구동대문중랑구성북구강북구도봉구노원구은평구서대문마포구양천구강서구구로구금천구영등포동작구관악구서초구강남구송파구강동구 공원율(%) 1인당 공원면적(㎡) 1 인 당 도보 생활권 공원면적(㎡) 지자체에 따라 공급되고 있는 공원의 개소 및 면적 격차가 심함 서울시 내에서도 구별 공원 면적 차이가 존재 공원 녹지 공급의 불균형 공원율과 1인당 공원 면적이 모두 높음 공원율과 1인당 공원 면적이 모두 낮은 편 다른 수치는 높으나 1인당 도보 생활권 공원 면적이 현저히 낮음 공원녹지 공급 현황 공원률, 1인당 공원면적, 도보생활권 공원 모두 가장 낮음 28
  • 29. 노후 생활권 공원 증가: 20년 이상 경과 34% (서울시 경우 전체의 69%)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소공원 경과 연도별 생활권공원 개소 현황 34% 2018년 기준 20년 넘은 공원의 수 (면적 기준 33%) 66% 2018년 기준 10년 넘은 공원 수 69% 91% 특히 서울시 경우 노후 공원의 비율이 높음 20년 이상 경과 공원수 전체의 69%, 10년 이상은 91% 5년 이내 5~10년 10~20년 20~30년 30년 이상 경과 연도별 생활권공원 개소 현황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29
  • 30. 법정 생활권공원 중 어린이공원/비법정 생활권 녹지 중 마을마당 현황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 어린이공원 공급, 자치구별 격차 크게 발생 (주거지, 신도시 개발지인 강서구 122개소, 도심 중구-종로는 16, 20개로 6배 이상 차이) • 마을마당은 서울시에서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지정하였으나 사후 관리 미비인 곳이 많음(구로구의 경우 예산 부족으로 방치) 구로구 개봉1동 마을마당(155㎡ / 구유지) 구로구 고척1동 마을마당(103㎡ / 구유지) 서울시 어린이공원 현황 [출처]서울기록원 카탈로그북 Vol.2 2021 30
  • 31. 비법정 생활권 녹지 중 공개공지 현황 • 도심 생활권 공원녹지 가운데 가장 밀접한 장소 공개공지는 “공공공간이 부족한 도심지에서 공공에게 쾌적한 도시 환경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법, 제도적으로 지정, 설치하는 공간 (건축법 제43조) • 1991년 제도 도입 이후, 전국적으로 4,671개(2020) 공개공지 설치 (건축물 생애이력 관리 시스템 참조) • 주로 수도권(특히 서울시), 업무시설, 근린생활시설 연계하여 입지 • 도입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불법 점거, 상행위, 용도 불명 등 민원 다수 발생 • 대지안의 조경, 가로녹지와 통합하는 접근 필요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31
  • 32. 32 공원 수요의 변화로 생활권공원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저하, 재정비 수요 발생 (출처:https://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29556) • 인구 및 가족 구성의 변화(1인 가구-소규모 가족 증가, 반려 동물 수요 증가 등)에 따른 공원 이용 행태 변화 (다양한 여가활동 및 교육, 복지의 장소) • 코로나 이후, 도심 녹지공간 이용률 51% 증가. 도시민의 여가 및 야외활동 장소 이용 증대(국립산림과학원, 2021) • 도시 인프라의 변화, 지역사회와 인구집단의 특성, 공원 이용객의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공원 재정비 및 이용 서비스 개선 필요 (출처:https://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29556) 코로나 발생 전후, 대표 공원녹지의 이용 행태 변화 문화 이벤트 활동형에서 자연녹지 감상-체험형으로 동적 활동에서 정적 활동으로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 33. 33 노후 도시공원 리모델링 관련 연구 및 지자체 노후공원 리모델링 사업 증가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 정부/지자체 노후공원 리모델링 관련 연구 활성화 발행처 제목 국토해양부(2011) 미래지향적 저탄소 녹색성장형 도시공원 리모델링 연구 조경두(2012) 구도심권 노후공원의 활성화를 위한 주제공원 조성방안 연구 김용국 외(2019) 포용적 근린재생을 위한 공원 정책 개선방안 연구 정수진(2020) 수원시 노후 도시공원 재생방안 연구 김용국 외(2020) 민관협력을 통한 노후 공원 재정비 및 관리운영 방안 연 구 명우성 외(2021) 근린공원 노후도 진단체계 구축 연구(서울시를 중심으로) • 지자체별 공원 리모델링 사례(리모델링 사유와 내용 중심) (출처: 명우성 외, 2019, 근린공원 노후도 진단체계 구축 연구(서울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34. 서울시 양천구 5대 공원 재생사업 추진 사례 (2019년~) 34 공원명 양천공원 파리공원 오목공원 신트리공원 목마공원 기존 배치도 계획안 배치도 면적 (m2) 33,797.9 29,619.3 21,470.4 16,409.3 12,816.8 업체명 구청 문의 ㈜바이런 스튜디오 loci ㈜바이런+Studio201 ㈜바이런+Studio201 핵심목표 - 크고 작은 잔디 원형 셀 조성 (이용 규모와 목적 따라 구분) - 복합 건축물 설치 – 공간 활용도 증가 - 구민 의견 반영 프로그램 구성 - 조형물/프랑스식 자수화 단 유지 – 상징성 계승 - 순환산책로 재정비 - 친수공간 보완 - 스카트 퍼걸라 설치 - 주민 커뮤니티 공간 설치 - 아카이빙전 진행 - 중앙부 회랑 도입 - 기존 흔적 보존 – 중앙부 입체적 ‘회랑'도입 - 회랑 상부 (이동통로+전 망공간) - 가설공간 설치 (팝업스 토어, 마을 장터 등) - 현재의 공원 골격/중요 프로그램 존중 - 시설 재배치 - 공원 중심 시설 배치 - 잔디바당 확방 및 개방성 확보 - 현재 공원 골격/중요프 로그램 존중 - 공원 중심 시설 배치 - 잔디마당 확장 및 개방성 확보 - 공공성 강화 민선 7기 대표 구정사업으로 <양천구 정원도시> 추진. 주요 5대 대형공원 재생사업 시행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 35.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양천구 5대 공원 재생사업 추진(2019년~) 35 목동 중심축 5대 공원 리모델링(파리공원/양천공원)
  • 36. 03 생활권 노후공원 현황 생활권 노후공원의 재정비를 위한 공공만의 노력 한계 36 서울시 도시공원 관련 예산은 2.01% (시 예산 대비 푸른도시국 예산, 참조:고하정(2020)) 지자체별 재정자주도(19년, 74.2%) 및 재정자립도(19년, 51.4%)는 하락 추세 생활권공원 재정비를 위한 재원 투입 규모 축소, 정책 우선 순위에서도 하락 <기간별 예산 추이> 0 5000000 10000000 15000000 20000000 25000000 30000000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1995~1998 1999~2002 2003~2006 2007~2011 2012~2018 푸른도시국 예산(누계) 도시공원 조성 예산2 서울시 예산 백만원 외부 재원 투입을 통한 재정비 필요
  • 37. 3 서울그린비전 2040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02 서울그린비전 2040 03 추진방식
  • 38. 38 뉴욕, 미국 • 그린뉴딜, OneNYC 2050 - 8개의 비전목표 : 활기찬 민주주의, 포용 경제, 번성하는 지역사회, 건강한 삶, 교육의 평등 및 우수성, 살기 좋은 기후, 효율적인 이동성, 현대적인 인프라 -건강 불평등 해소되고 모든 거주자들이 번영할 수 있는 동등한 기회부여 -모든 시민들에게 접근성 및 합리적인 양질의 의료서비스 보장, 건강 및 정 신 건강문제 해결로 형평성 개선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도시정책으로서 포용, 회복탄력성, 건강에 중점 OneNYC 2050 [출처] https://onenyc.cityofn ewyork.us/ 유럽연합(EU) • Urban planning for resilience and health, 2022 -도시, 회복력, 환경 및 건강: COVID-19 대유행은 정부와 시민에게 건강, 도시환경, 주택, 공공기관, 기본 서비스 , 기반시설, 교통 간의 연결 강조 -도시회복력과 건강을 위한 정책결정에 관한 핵심 메시지 Conceptual diagram categorizing the three interconnected Action areas [출처]Urban planning for resiliencs and health:key messages
  • 39. 39 캔버라, 호주 빅토리아, 캐나다 • Urban Forest STRATEGY, Canberra 2020 -탄력적이고 지속가능하며 변화하는 기후에서 건강한 지역사회에 기여 -2023년 까지 25,000그루의 나무 식재 -2045년까지 캐노피 30% 달성 -뛰어난 수목 및 생물 다양성 또는 생태문화가치가 높은 수목 보호 • Tree and Urban Forest -도시숲의 약75%는 사유지, 25%는 시유지로 도시숲을 구성, 29%의 도시 전체의 캐노피 제공 -도시 캐노피 대상을 개발하고 생태계 서비스 데이터 구축 - 나무심기와 보존 이니셔티브가 필요한 지역의 우선순위 정함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https://www.victoria.ca/EN/main/ residents/parks/urban- forest.html Tree Canopy 2013 and 2019 지속가능한 도시숲 계획 수립_도시 캐노피 증진에 중점
  • 40. 40 런던, 영국 멜버른, 호주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생활권 주변의 녹지범위와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도시숲 계획 • London Urban Forest Plan / NOVEMBER 2020 -도시숲을 보호, 관리 및 확장하는데 필요한 목표와 우선 순위 설정 -캐노피 늘리기: 거리, 공원, 녹지지역을 총괄한 계획 • Urban Forest Strategy 2012-2032 -22% 공공영역 캐노피, 2040년까지 40%로 증가 -도시숲 다양성 증가, 5%에서 20%로 수목 종 다양화
  • 41. 41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캠브리지, 영국 • City of Cambridge, Urban Forest Master Plan(UFMP), 2020 -도시숲의 가치 1) 형평성 : 현재 부족한 공간의 캐노피 설치 (소수민족, 노약자, 비영어권자 및 저소득층 밀집 지역) 2) 회복력:공공영역에서 캐노피커버 개선, 열섬을 줄이는 “쿨 코리더” 조성 3) 공동책임 : 토지소유자에게 인센티브 제공 형평성,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배려를 강조한 도시숲 계획 보스턴, 미국 • BOSTON URBAN FOREST PLAN / March 14, 2022 -Equity First _ 캐노피 부족, 역사적 배제, 사회적 취약 지역에 집 중 투자 및 개선 : 역사적으로 배제된 지역사회, 사회적으로 취약한 사람들이 집중된 장소, 상대적으로 캐노피가 낮은 지역에 우선순위 : 사회적으로 취약한 주민들이 나무를 보호하고 돌볼수 있도록 지원 Healthy City Healthy Forest
  • 42. 42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불평등 해소를 위한 관심증대와 전략 수립 로스앤젤레스, 미국 • Los Angeles Urban Forest Equity Streets Guidebook, 2021 -저소득, 유색인종 커뮤니티의 녹지공간 부족 :폭염, 악화된 공기질, 홍수를 포함한 환경 모욕에 대한 불균형적인 노출 -도시 캐노피 불평등 해소 목적: 50% 향상 목표 뉴욕, 미국 • Park Equity plan for New York City (by Trust for Public Land) - 뉴욕시 100% 거주지로부터 보행 거리 10분 안에 공원 위치(현재 99%) - 불투수 학교 마당을 녹지 커뮤니티 놀이터로 리모델링(100개 선정,시행) - 녹지 불평등 갭 줄이기 ▶녹지 접근성 맵핑 후 공원 조성 우선 순위 제안
  • 43. 43 시민 참여와 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통한 실천 필라델피아: 나무심기 실천 프로세스 펜실베니아 원예협회: 종다양성 가이드라인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 Value of Tree Programs, Philadelphia - 매년 2,000그루 이상의 나무를 심는 자원 봉사자 6,000명 이상 교육 - 최적의 수목캐노피 적용 범위는 토지 면적의 30%임, 필라델피아시는 20%에 불과하고 일부지역은 2.5%에 불과함 - 녹음이 우거진 부지 근처 주민들은 우울감이 40% 감소, 총기폭력이 29% 감소 1. Trees provide more than just shade. 2. Tree Tenders help communities build social connections, 3. Tree improve health and well-being. 4. Working together to increase the region’s tree canopy. • Pollinator Gardens_PHS(Philadelphia Horticultural Society) - 꽃가루 매개자 중요성: 야생동물 정원은 나비, 새, 벌 같은 수분 매개체 지원 ▶ 꽃가루 매개자 정원 혜택 - 음식, 물, 쉼터 및 새끼를 키울 장소를 제공하여 야생 동물 서식지 확장 - 더 적은 물로 장기간 유지 관리 - 꽃가루 매개자 개체군에 피해를 주는 살충제나 비료 불필요 - 공기질 개선 - 이웃과 지역사회를 미적기능 향상 - 잔디 제거로 인한 물 침투 증가 및 범람 감소 및 기타 압축된 표면적 축소
  • 44. 44 크라이스트처치, 뉴질랜드 안데르나흐, 독일 • 먹을 수 있는 정원 도시, Edible Christchurch -재배된 음식을 접할 수 있는 세계 최고 먹을 수 있는 정원도시 목표 - 식용 및 지속가능한 정원 어워드(Edible and Sustainable Garden Awards) - 캔터베리 원예협회(Canturbury Horticulture Society)와 파트너십 - 집에서 재배 가능한 음식 및 재배 가이드 제공, 커뮤니티 가든 운영 - 도시 식량지도, 식용공원, 파머스마켓, 학교정원 등 프로그램 운영 - 식품 탄력성 지원 :건강과 웰빙, 긴밀하고 자립적인 커뮤니티, 평생학습, 번성하는 지역 식 품 경제, 탄력있고 지속 가능한 식품 시스템, 공공녹지공간관리 • Eatable City -다기능적 접근: 생태적, 경제적, 미적 기능 동등하게 지원 목표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채소밭과 기타 유용한 식물구역 - 식용도시의 긍정적인 영향 : 유용한 식물 간의 다양한 촉진, 농생물 다양성 입증, 새로운 서식지 생성, 다기능 녹지개발, 도시기후 개선, 경제 녹지 유지, 시민들의 도시 개발 활성화 -고용된 장기 실업자들은 소중한 일을 하고 녹지 관리와 유지에 참여 -지속가능성, 퍼머컬쳐 및 건강한 영양 소개 등 교육적 동기도 포함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먹거리와 연계_ 다기능적 접근 식품 탄력성 [출처] https://ccc.govt.nz 식용 및 지속가능한 정원 어워드 [출처] https://ccc.govt.nz 먹을 수 있는 도시 [출처] https://www.connective-cities.net/gute-praktiken-details/gutepraktik/andernach-die-essbare-stadt
  • 45. 45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도시숲 운동의 확산_도시간 정책적 협약 프로그램 < Trees in Cities Challenge> • 2019년 유엔 유럽 경제 위원회(UNCE)에서 도시와 도시 주변의 나무, 숲 복원-확충을 위한 이니셔티브 시작 • 전 세계 도시(도시 대표인 시장)에게 식재 서약을 하고, 이를 정책 목표에 반영하도록 요청 • 서약에 참여하는 도시 간의 연대를 독려하고, 도시간 정책 및 사업을 공유하며, 실질적인 혜택을 검증하는 역할 • 도시숲 운동의 다방면 성과, 혜택을 공유하고 실천 성과를 모니터링 • 유네스코 2030 SDGs 목표에 부합하는 지표 제시 50개 이상의 도시 참여 약 1,120만그루 식재 서약 (2022년 1월 기준) 전체 목표의 74.1% 인 810만 그루 신규 식재 확충 달성 (2021년 1월 기준) •Tree-Tracker 어플을 개발 •실시간 업데이트 •시민들은 나무의 수종, 위치, 사 진을 이메일로 정보 제공 •도시숲 활동 모니터링 리포트 발 간(2020년) •나무심기 이니셔티브 참여를 독 려하는 전용 웹사이트 개설 •도시의 자연 회복을 위한 녹색 도전 인 RetoVerde 캠페인 추진 Best Practice (https://treesincities.unece.org/about-trees-cities#sthash.dbiWW6Yr.dpbs)
  • 46. 46 01 글로벌 그린 정책 동향 소결 _ 주요 키워드 도시 나무 캐노피 형평성 접근성 건강 나무량 늘리기 안전 연계 먹거리 종 다양성 증진 기후변화 탄소저감 다기능 회복탄력성 취약계층 What Does Green Infrastructure Do for Us? Connectivity Access to Nature Multi-functionality Ian Mell( 2019 ) Concise guides to planning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 47. 도시 나무 캐노피 개념과 측정 방법 - UTC(Urban Tree Canopy) _미 산림청 : 도시 나무 캐노피는 위에서 볼 때 나무의 잎, 가지 및 줄기 층을 측정 Public Street Tree Inventory [출처] https://www.boston.gov - 하향식 방법 : 위성, 비행기, 드록을 활용한 이미지 : 양적 변화 파악에 유리 2009년과 2014년의 도시 캐노피 변화 [출처] Tree Canopy in Cambridge, MA:2009-2014 - 상향식 방법 : 지상에서 수집한 현장데이터 기반 : 수종. 상태 파악 가능 47 02 서울그린비전 2040
  • 48. 도시 나무 캐노피 측정의 기대효과 한국의 캐노피 관심과 연구 -Canopy: 수관층 (2019년 신규사업(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조성·관리지침, 국립산립과학원) 수관피복 (도시숲 조성·관리연구, 산림청, 김민지) 임관, 많은 수관이 서로 붙어 있거나 겹쳐져 있을 때 전체를 말함. 숲 지붕 이라고도 함(산림청 산림임업용어사전) - Canopy cover: 임관피복도, 수관의 수직 투영에 의해 덮히는 산림지면의 비율 (산림청 산림임업용어사전) - 연구사례: 가로수의 생태학적 평가를 위한 i-Tree Eco 적용(나영린 외, 2022) i-Tree Eco와Google Map을 활용한 수원지역 위성사진 [출처] 나영린외(2022) 가로수의 생태학적 평가를 위한 i-Tree Eco 적용 48 도시 나무 캐노피 접근의 차별점 법정/비법정, 공적/사적 구분 없이 분포도 파악 취약지역 및 우선순위 판단 시기별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요인과 문제점 분석 단, 비용(하향식), 인력과 시간(상향식)이 수반됨 02 서울그린비전 2040
  • 49. 녹지량의 증대 서울그린비전 2040 수립의 필요성 서울그린비전 2020 서울그린비전 2040 펜데믹과 기후위기로 인해 실천력이 수반되는 새로운 비전 수립 필요 02 서울그린비전 2040 49 생애주기별 녹색 서비스 강화 서울그린비전 2030
  • 50. 50 02 서울그린비전 2040 형평성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도시를 살리는 가까운 숲, 풍성한 숲 모두에게 공평한 공원녹지 서비스 제고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그린인프라구축 생물다양성을 위한 녹지 질 개선 리모델링 발굴 연계 구-동 단위 대상지 적용 검토 공원/그린인프라 리모델링 (개념, 시설, 식물, 기능) 법적 공원을 넘어서는 생활밀착형 그린 대상지 발굴 공원/그린인프라 자원의 연계 미션 목표 전략 추진 방식 리서치/상세계획/전술적 실행의 순환체계
  • 51. 03 추진방식 실천을 위한 상세 계획 수립(P) 시민협력 모델의 다각적 실행 (T) 민관 협력의 리서치 (R) 형평성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추진 구조 (RPT strategy) 지속성 있는 그린 비전 실천을 위한 구조로 접근: 리서치(R)-계획(P)-전술(T) 패키지 실행 리모델링/발굴/연계 파트너쉽과 공모 구/동 단위의 도시숲전략계획 51
  • 52. 공원녹지 부족한 지역을 대상으로 공원녹지 정책 기본 계획 수립 기존 공원녹지 인프라 문화역사자원 생활 SOC 도시계획 관련 접근성 등의 분석 다양한 유형의 리모델링 생활밀착형 대상지 발굴 자원간의 연계 계획 로드맵을 통한 우선순위 선정 유형에 따른 적합한 전술(T) 적용 형평성을 고려한 도시숲 비전 실천 민간협력의 리서치 (R) 상세 계획 수립 (P) 기대 효과 03 추진방식 방법 및 기대효과 52
  • 53. - 20.00 40.00 60.00 80.00 계 종로구 중 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 마포구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공원율(%) 1인당 공원면적(㎡) 1 인 당 도보 생활권 공원면적(㎡) 서울시 구별 1인당 공원면적 - 산업단지에서 주거지로의 전환 과도기; 구로구 전체 면적의 34.6%(6.97㎢)가 준공업 지역, 서울의 대표적인 공업 도시 - 개발지역과 미개발지역의 격차가 큼; 오류동, 궁동 지역 개발제한 구역 (4.96 ㎢, 구면적의 24.6%) - 영등포 교도소 구치소 등 도심부적격시설이 위치 - 안양천을 경계로 동서로 생활권이 나누어져 있어 지역간 연계 체계가 미흡 - 개발지역(신도림역 주변)과 기존 주거지역과의 격차 심함 03 추진방식 파일럿 대상지 _ 서울시 구로구 [출처] http://parks.seoul.go.kr 53
  • 54. 동서 분리, 생활환경 격차 문화예술 인프라 부족 공원 녹지 분포 불균형 예산, 지원 부족 03 추진방식 구로구 생활권 공원녹지 현황: 리서치(R) 54 파일럿 대상지 _ 서울시 구로구
  • 55. 1 2 7 3 4 5 6 03 추진방식 구로구 생활권 공원녹지: 리서치(R) 55
  • 56. 연결보도 가로정원 교통섬 : 지속적 관리가 능한 정원으로 조성 분리된 거리공원과 도림천 연계 ② 근린공원: 종다양성 증진 ① 도림천: 그늘식재 03 추진방식 구로구 생활권 공원녹지: 계획(P) 56 파일럿 대상지 _ 서울시 구로구
  • 57. 가로정원 연계 공개공지&가로정원 연계 보행환경개선: 가로수식재 등 보행환경개선: 가로수식재 등 ③ 구로리어린이공원공원 :캐노피 증진 ④ 도림로: 가로정원 ⑥ 공개공지 : 가로녹지와 연계 ⑤ 구로사회복지관 :주변 보행로 개선 03 추진방식 57 파일럿 대상지 _ 서울시 구로구 구로구 생활권 공원녹지: 계획(P)
  • 58. - 마을마당 현황: 좁은 골목과 주거지 사이의 105㎡ 의 공간으로 자전거 보관공간으로 활용 중 - 정원형으로 조성하여 마을 주민의 관리를 유도하고 어린이집 프로그램과 연계 현황 현황 조성 예시 조성 예시 어린이집과 프로그램공유 ⑦ 마을마당 : 정원조성 03 추진방식 58 파일럿 대상지 _ 서울시 구로구 구로구 생활권 공원녹지: 계획(P)
  • 59. 파일럿 대상지_서울시 동대문구 - 20.00 40.00 60.00 80.00 계 종로구 중 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 마포구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공원율(%) 1인당 공원면적(㎡) 1 인 당 도보 생활권 공원면적(㎡) [출처] http://parks.seoul.go.kr 출처 |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2060716200001190 <2022년 촬영한 서초구 양재시민의 숲과 동대문구 제기동 전경> • 서울시 구별 1인당 공원 면적 출처 | https://urban.seoul.go.kr/view/map/main.html?sggCd=11230 • 동대문구 토지이용 현황도 03 추진방식 59
  • 60. [출처] 동대문구청 제공자료 • 연령별 인구 분포 • 동대문구 도시공간구조 구상(안) • 동대문구 공원 현황도 [출처] 동대문구 2035 장기발전 종합계획(2018) [출처] https://www.ddm.go.kr/ddmmap/contents.do?key=1628 파일럿 대상지_서울시 동대문구 03 추진방식 60
  • 61. 파일럿 대상지_서울시 동대문구 장안근린공원 리모델링 중앙녹지 및 가로정원조성 중랑천 둑방길 도시캐노피 증진 주변학교와 연계 둘레정원 조성 배봉산-중랑천-장안근린공원을 연계하는 그린 네트워크(가제) 03 추진방식 서울시립대와 연계 정원지원센터 건립 61
  • 63. 01 서울그린비전 2040 실행계획 서울그린비전 2040 도시를 살리는 가까운 숲, 풍성한 숲 비전 3대 목표 3대 전략 서울그린비전 2040 실행계획 (도시)나무지붕 프로젝트 추진과제 1 추진과제 2 추진과제 3 3개 추진과제 및 10개 핵심사업 발굴 모두공평한공원녹지서비스제고 공원-그린인프라리모델링 기후위기대응그린인프라구축 생물다양성위한녹지질개선 생활밀착형그린대상지발굴 공원-그린인프라자원연결 지속가능한 공원 프로젝트 공원 사업 ESG 성과지표 개발 연구 63
  • 64. 추진과제 1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도시)나무지붕 프로젝트 Urban Tree Canopy Project 목표 추진 전략 폭염으로부터 안전한 도시, 새가 날아드는 가로와 광장 수량에서 면적으로 위기 지역의 발굴 연결과 다양성 추구 도시숲 운동과 사업의 그간 성과는 나무심기 총량으로 측정해왔으나, 나무심기 양적 확대에서 질적 확대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SGT는 기존의 나무심기 운동을 유지하되 수목 밀도와 대형 교목을 늘리는 토지피복도를 사업의 새로운 성과 지표로 삼아 가로수 관리 및 도시의 교목층 식생 확충에 주력한다 기후변화가 야기한 극심한 폭염은 도시 빈민, 사회취약계층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SGT는 누구에게나 공평한 녹색 서비스 확대를 위해 쪽방촌 등 녹지 불균형 지역의 나무심기를 시작하 고, 저소득층 아동청소년-한부모 가정에게 녹색 키트를 지원하는 사업을 지속한다. 학교, 공원, 공원 등 거점 장소 중심으로 진행하였던 나무심기를 선형-연결 전략으로 치환한다. 도시 그린 인프라를 연결하고 이동과 녹색 서비스를 연결하는 (게릴라) 나무심기 운동을 전개 한다. 또한, 광장과 가로에서 단일 수종으로 경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녹지를 다양한 교목-초화 식재 전환을 통해 풍성한 녹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파트너십 사업을 전개한다. 64
  • 65. 조사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정책제안 [사례] Million Trees NYC 캠페인 핵심 사업 (신규 사업 발굴 중심으로)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1 | 나무심기 2.0(Tree Planting) 도시의 그린 인프라 네트워크, 그린 코리더 관점에서 빈 곳을 채우는 나무심기 사업 추진 사업 내용 • 생활권 공원녹지 기본계획 또는 전략계획에 근거한 열섬 완화 필요 지역(지점) 발굴 (데이터 수집 및 계획 수립은 공공 협력 추진) • 기업 후원 사업, 자체 크라우드 펀딩 등 파트너십 나무심기 수행 • 시민과학자, 자원봉사자와 함께 심는 나무의 그린맵 구축(온라인 위치 표시, 관리 태그 부착, 확대 총 량/토지피복도 면적 제시 등) • 나무 관리 가이드라인 게시 및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 1차년도 _ 지역 생활권 데이터(열섬지도, 녹지 빈곤 지도) 구축 또는 데이터 구축 지원 • 2차년도 _ 사업 대상지 발굴 및 실행 사업 + 수목 관리 가이드라인 구축 및 /온라인 교육 워크샵 수행 • 3차년도 _ 그린맵 서비스 모니터링 지속 사업 추진 방식/주요 사업지 기본계획 전략계획 검토 대상지 발굴 (후보지 상시 리스트업) 나무심기 실행 관리 서비스 지원 모니터링 (온라인 그린맵 연동) 교육 프로그램, 워크샵 운영 공간 조성 및 수목 식재 시민과학자/자원봉사자 모집 지역 주체(관리자) 연계, 선정 교육 프로그램, 워크샵 운영 시민과학자/ 자원봉사자 모집 가로, 광장, 마을마당 등 65 #그린코리더 연결, #도시열섬 취약지 개선, #그린맵(웹앱) 관리, #지역나무입양 협약
  • 66.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핵심 사업 (신규 사업 발굴 중심으로)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2 | 취약지 쿨링 쉼터 조성 사업 녹색 서비스 빈곤 지역(대표적 쪽방촌, 저소득층 밀집 주거지)에 쿨링 쉼터(이동형 플랜터) 조성 사업 사업 내용 • 사회복지지원조직(센터, 비영리단체 등) 대상 공모사업 대상지 발굴 • 지역사회 관리 주체 선발 및 관리 지원 교육 서비스 운영(수목 관리 및 데이터 모니터링 등) • 지역 구성원과 함께 심는 나무의 그린맵 구축(온라인 위치 표시, 관리 태그 부착, 확대 총량/토지피복 도 면적 제시 등) 사회복지 서비스와 녹색 서비스를 결합하는 거버넌스형 파트너십 사업 추진 기관형 공모사업 수행 사업 추진 방식- 협력 주체 공공기관 (자치구, 지원센터) X 사회복지 지원 조직 X SGT X 민간기업 (후원사업) 서울시에서 19-20년도 수행한 장소 제약 없는 새로운 형태의 공원 서비스 ‘움직이는 공원’(Mobile Planter)’ 사업. 광장, 버스정류장, 지하철역 앞 등 유동인구 많지만 나무심기 어려운 공간 위주로 설치. 총 16개 장소, 주로 공공공간 중심. 그늘쉼터 제공, 도심 열섬현상 완화, 미세먼지 감소, 도시경관 개선 등 효과 기대 [보도자료] 폭염에도 집과 거리에서 모두, 쉴 곳이 없는 쪽방촌 주민들 (2018.08.20 서울신문) [사례] 서울시 움직이는 공원 사업 (2020.10.19 서울시) 공모 및 교육 운영 그린맵 구축 대상지 발굴 지역 주체 지원 사업비 후원 부지 사용 및 관리 지원(협조) 66 #쪽방촌-위기지역 발굴, #폭염 대비, #마을 쉼터, #마을 가드너(아보리스트) 양성
  • 67. 마켓팅 정책제안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핵심 사업 (신규 사업 발굴 중심으로)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3 | (게릴라) 도시숲 캠페인 [사례] NYC Plaza Program 도시의 광장, 도로를 (일시적으로) 녹색 쉼터, 소공원으로 바꾸는 전술적인 캠페인 추진 사업 내용 • 공개공지, 소광장, 마을마당, 도로 등 녹색 서비스가 필요한 장소에 (일시적) 쉼터와 플랜터 설치 • 주말 또는 일정 기간에 도심 광장 프로그램 및 이벤트 진행 • 지역 사회-이용자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공간 리모델링 수요 파악 • 상설 설치를 위한 제반 여건 마련 및 관련 행정 서비스 수행 자치구 – 기업 – SGT 민관 파트너십 실행 (유사 사례: 자치구 타운매니지먼트 사업(영등포, 중구) 등) 사업 추진 방식- 협력 주체 [사례] 무교다동 무교테라스 (2019년 조성 및 운영중 ~ ) 공공기관 (자치구,공사) SGT 민간기업 (후원/협력) 부지 사용 및 관리 지원(협조) 사업비 후원 행사 지원 사업 실행 MOU 체결 및 사업 기획 물리적 공간 기획 프로그램, 이벤트 개최 전술적 녹색쉼터 조성 및 운영 물리적 공간 조성 (쉼터, 벤치, 플랜터 등) 이벤트, 프로그램 운영 (장터, 전시, 공연, 교육 등) 이용자 모니터링 (설문조사, 상설 설치 의향 조사 등) 공간 운영 제안 (상설 설치 제안, 계획 수립 등) 67 #도시 오프 스페이스 조성, #소광장-마을마당, #이용자 경험 기반, #경험이 장소로
  • 68. [사례] 뉴욕 플라자 프로그램 마켓팅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핵심 사업 (신규 사업 발굴 중심으로)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4 | 공개공지 개선 사업 [사례] 일반적인 도심 공개공지의 모습(그늘 없는 통행로에 불과) 민간/공공 건축물 부지 전면 공개공지의 식생 및 가로수 수종을 개선하는 공간 리모델링 사업 추진 사업 내용 • 민간 건물주/공공기관(청사, 사회복지기관 등) 대상지 발굴 (사업 주체 발굴 등) • 기존 공개공지 이용자 모니터링 수행 (리모델링 방향성 제시) • 도심 종다양성(및 열섬 완화) 식물 식재 가이드라인 및 관리 방안 제시 민간 건물주/기업 – SGT 파트너십 협력 사업 추진 * 협력의 형태는 기업 사옥 전면 공개공지 부지 제공, 사업비 지원. 각각 개별 사업 후원 가능 사업 추진 방식- 협력 주체 공개공지 리모델링의 경제적, 사회적 편익 측정 중요! ESG 경영의 사회적 가치 창출, 간접 이익(가로 활성화, 야간 보행량 증가, 기업 홍보 등) 발생 예상 68 [사례] 다층 교목과 초화류 식생이 조화로운 공개공지(우란문화재단, 성수동) #도시숲-쉼터, #민관(Private-Public Partnership), #기업-건물주, #도시 생물종다양성
  • 69. 추진과제 2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지속가능한 공원 프로젝트 Sustainable Park Project 목표 추진 전략 식생자생력을높이고,에너지소비를줄이고,폭우에대응하는공원 야생 정원 Wild Garden 식용 정원 Edible Garden 스펀지 공원, 빗물 정원 Sponge Park, Rain Garden 도시숲은 하나의 생태계이다. 그러나 대중 유행과 경관에 치중한 외래 수목과 품종은 고관리를 요하며 자생 식물의 서식지를 밀어낸다. SGT는 토착 품종과 이 땅의 기후대에서 자생력이 강 한 야생정원의 확산 운동을 전개한다. 특히 생활권 노후공원의 식재 개선과 리모델링을 통한 저관리 및 자연기반의 지속가능한 공원 개선을 도모한다. 건강한 먹거리의 관심은 건강과 웰빙에서 더 나아가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탄소발자국 저감으 로 이어지고 있다. 도심텃밭과 플랜터의 확산이 공원에서도 가능하다. 대안 환경운동가들의 실천에서 청소년, MZ청년들의 핫 플레이스로 자리하고 있는 식용정원의 가치, 사회적 임팩트 확산을 위하여 SGT는 다양한 주체들과 연대하여 ‘팜투테이블’ 운동을 전개한다. 폭우로 인한 재해, 침수 빈도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공원을 물 저장고로 활용하는 지혜로운 해법과 적극적인 실천이 중요하다. 우기에 물을 머금고 건기에 물을 배출하는 스펀지 공원, 빗 물을 머금는 빗물 정원은 전통적인 생태환경기법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섬세하고 세밀한 접근 과 광역적 접근이 요구된다. SGT는 작은 실천부터 큰 연대까지를 아우르며 변화를 모색한다. 69
  • 70. 마켓팅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조사 핵심 사업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5 | 야생정원 조성 사업 노후 생활권 공원의 식생 개선 및 지형 리모델링 사업 추진. 도심 기후 변화 대응과 생태계 고려한 지형의 변화, 식생 다양성 목표 사업 내용 • 기존 공간의 이용자 및 식생 모니터링 수행 • 수체계 – 식생 천이 환경 – 경관 요소 검토, 제반 지형 개선 등 • 자생종 및 기존 식생 천이, 동식물 생태계 고려한 식생 개선 • 조성 이후, 정원 관리운영 주체 발굴 및 관리 지원 교육 운영 • (옵션) 식재 중심의 정원 공모전 연계, 수행 [사례] 대모산 야생정원 조성 [사례] 수원시 지속가능한 공원을 위한 다층 식생 도시숲 조성 [사례] 오산시 맑음터공원 리모델링 (2022 경기정원문화 박람회 개최, 작가 정원 조성)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소공원 등 생활권 공원 마을마당, 정원 등 소규모 녹지 주요 사업 대상지 민간 기업 – SGT – (공공 /자치구) 파트너십 협력 사업 추진 사업 추진 방식- 협력 주체 70 #자생식물 서식지, #저관리 정원, #자연기반 공원
  • 71. 마켓팅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핵심 사업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6 | 식용정원 조성 사업 생활권 공원을 사회적 가치 창출의 공간으로 재편하는 임팩트 사업을 전개. 단순히 식용정원(도심 텃밭, 키친 가든)이 건강한 먹거리 창출의 장소로 인식됨을 지양하고 함께 “모이고” – “기르고” – “마시고 먹는“ 일련의 행위 속에서 형성되는 공동체, 지역사회, 사회적 약자의 회복과 성장 목표 사업 내용 • 사업 대상지 발굴 • 사회적 약자 등 지원/참여 대상자 선별 • 물리적 공간 계획 및 정원 조성 프로세스 운영 • 참여 대상자 교육 워크샵 진행(이벤트 및 프로그램 연계)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소공원 등 생활권 공원 마을마당, 정원 등 소규모 녹지 주요 사업 대상지 민간 기업 – SGT – (공공 /자치구 또는 치매지원센터 등) 파트너십 협력 사업 추진 사업 추진 방식- 협력 주체 [사례] SGT가 자치구 치매센터와 함께 실행한 느슨한 가느닝 사업(21, 22년) 71 #건강안전 먹거리, #탄소발자국 저감, #공동체 돌봄
  • 72.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조사 핵심 사업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7 | 빗물정원 조성 사업 08 | 침수 대비 스펀지공원 조성 사업 공원녹지 공급 불균형 지역 가운데 침수 위험도 높은 대상지 발굴, 빗물정원 조성 사업 지원 특히 불투수율 높은 저층주거지 가운데 사회취약계층 주거 안전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사업지 발굴 사업 내용 • 지역 침수 위험도 데이터 검토 (공공 협조) • 사회취약계층 대상 사업지 및 지원 대상 발굴 • 지역사회 자원봉사자 모집, 빗물정원 조성 실행 및 관리 교육 실시 (사후 모니터링 수행) 폭우시 침수 대비하여 도심 하천 및 공원녹지를 우수 저장고 및 침투지로 조성, 리모델링 사업 추진 사업 내용 • 지역 광역 수순환 체계 데이터 검토 (공공 협조, 관련 전문가 지원) • 침수 대비 저류지 및 침투지, 우수길 계획 마련 • 침수에 강한 식물종 가이드라인 마련, 식재 반영 • 자원봉사자 함께 침수 대비 도시숲 조성 실행, 관리 교육 실시 민간 기업 – SGT – 공공(자치구 또는 지원센터 등) 파트너십 협력 사업 추진 사업 추진 방식- 협력 주체 민간 기업 – SGT – (공공 /자치구) 협력 사업 추진 사업 추진 방식- 협력 주체 [사례] 저류지 조성, 침수 강한 수종 중심의 식재 [사례] 공원의 물길과 빗물정원 [사례] 가로의 빗물정원 [사례] 종로구-KT 조성한 중학천 도시숲 72 #폭우 침수 대비, #도심 물저장고, #투수-침투지
  • 73. 추진과제 3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공원 사업 ESG 성과지표 연구 개발 Park project ESG KPI R&D 목표 데이터 기반, 사회적 임팩트를 높이는 연대와 협력 모색 도시공원은 기후 위기와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더욱 중요한 그린 인프라이다. SGT는 지속가능성과 형평성을 과제로 하는 다양한 녹색 서비스 확산과 도시숲 운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공원 사업에 대한 성과 측정과 가치 평가를 시도하고자 한다. 최근 AI를 비롯한 빅데이터 솔루션 접목과 사회적 가치 확산은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공원의 다양한 가능성과 효과를 검증 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다. 시민사회, 민간 기업, 공공 기관 등 다양한 주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도시숲 운동을 전개해 온 SGT는 ESG 대전환 시대를 맞아 효과성 있는 실천을 담보하는 기초 연구와 협력 주체 발굴을 강화해 나간다. <뉴욕시 도시숲 총량 확대를 위한 데이터 기반 실천, 연구 사례들> [사례] 뉴옥시 가로수 데이터 목록화 사업 [사례] 뉴옥 브르클린 지역의 그린 코리더 열섬 완화 측정 지도 73
  • 74. 핵심 사업 (신규 사업 발굴 중심으로)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9 | ESG 전략 성과관리 지표 개발 도시공원녹지 조성 및 운영관리 전반의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부문 실행, 성과 관리 지표 수립 [사례] 파타고니아 ESG 경영 전략 E | 환경 S | 사회 G | 지배구조 환경경영 온실가스 원부자재 에너지 물/ 수순환 폐기물 오염 종다양성 사회통합 포용성 건강 안전 지역상생 소통 네트워크 투명 경영 고용창출 사업 내용 • 시민 참여(시민과학자 협력 등) 기반의 데이터 수집 기초 • 기업-공공기관 ESG 경영 전략 및 지표 연계 가능한 KPI 도출(지역사회 공헌, 인력 육성 등 사회적 가치 창출) • 연계 가능한 협력 주체 발굴 및 파트너십 모색 (예시) 지표 구성 및 핵심 아젠다 민관 협력형 기초연구과제 수행 (지원사업 공모, 후원사업 펀드 마련 등) 사업 추진 방식- 협력 주체 (사례) YK 지속가능보고서 마켓팅 정책제안 조사 74
  • 75. 핵심 사업 (신규 사업 발굴 중심으로)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10 | 데이터 기반 매칭-협력 사업 녹지 공급 부족 지역의 데이터 구축(자원봉사, 시민과학자 협력 – 그린맵 캠페인 연계), 사회 취약계층 수요 데이터 구축을 통해 기업 니즈가 있는 후원 사업 매칭 사업 내용 (사례) 구글 제공하는 ‘트리 캐노피 랩‘ (AI와 위성지도로 미 도시의 토지피복도 데이터를 제공) (사례) SK재단이 시행하는 2022 ‘생물다양성 데이 터 분석 및 아이디어 제안 경영‘ • 녹지 공급 부족 지역의 데이터 구축(자원봉사, 시민과학자 협력 – 그린맵 캠페인 연계) • 사회 취약계층 수요 데이터 구축을 통해 기업 니즈가 있는 후원 사업 매칭 민관 협력형 기초연구과제 수행 (지원사업 공모, 후원사업 펀드 마련 등) 사업 추진 방식- 협력 주체 마켓팅 정책제안 조사 75 서울그린트러스트와 함께 도시공원의 친구가 되어주세요!
  • 76. 76 서울그린트러스트와 함께 도시공원의 친구가 되어주세요! 서울그린트러스트는 시민참여를 바탕으로 서울시 생활권녹지를 확대 및 보존하고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드는 비영리 재단법인입니다. 2003년 (사)생명의숲국민운동과 서울시 간에 서울그린트러스트 협약을 체결하여 ‘서울그린비전 2020’을 바탕에 두고 출범하였습니다. 같은 해 5월, 국내 최초로 시민들이 기금을 모으고 나무를 심어 서울숲공원 만들기에 참여함으로써 시민참여형 공원조성 사례를 실현하였습니다. 현재는 시민과 기업의 자원봉사를 통한 도시숲과 도시공원가꾸기를 진행하며, 다양한 학술행사를 진행하는 등 도시공원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개선과 도시의 녹색 가치를 실현하는 다양한 활동을 지속해가고 있습니다. 천만 시민 모두 초록의 기쁨을 누릴 수 있도록 서울그린트러스트가 함께 합니다. www.greentrust.or.kr 서울특별시 성동구 서울숲길 53(심오피스), 3층 | T. 02-498-7432 | E. hello@greentrust.or.kr 도시공원 운영 녹색공간 조성· 관리 녹색커뮤니티 지원 녹색문화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