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하반기는 도약하는 시기: 경계, 규제, 국내를 넘어서는 기업에 주목
- 주요 테마 및 이슈 J.U.M.P.: Jungle, UHD, Monetization, Personalization
- 미디어 업종 주가 변수 모두 우호적: 1) 정책, 2) 단기 이익, 3) 장기 성장 스토리 - 해외 사업
- 2015년 하반기는 도약하는 시기: 경계, 규제, 국내를 넘어서는 기업에 주목
- 주요 테마 및 이슈 J.U.M.P.: Jungle, UHD, Monetization, Personalization
- 미디어 업종 주가 변수 모두 우호적: 1) 정책, 2) 단기 이익, 3) 장기 성장 스토리 - 해외 사업
1.
2015 하반기
Outlook
Report
2015. 5. 29
비중확대
(Maintain)
미디어
JUMP UP!
문지현
(02)768-3615
jeehyun.moon@dwsec.com
2
4
13
21
25
48
[요약] 미디어 산업 JUMP UP!
I. 2015년 하반기 전망: 도약하는 시기
II. 주요 테마와 이슈: J.U.M.P.
III. Valuation 및 투자전략
IV. Top Picks 및 관심종목
CJ E&M, SBS
제일기획, 나스미디어
스카이라이프, CJ헬로비전
KTH, SBS콘텐츠허브, 제이콘텐트리
[결론] 회복을 넘어 도약할 수 있는 종목 추천
2.
2015 하반기 OUTLOOK 2
0
550
1,100
1,650
2,200
2,750
3,300
25
50
75
100
125
15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F 16F 17F
(십억원)(P)
방송 콘텐츠 및 광고 합산 해외 매출액 (R) 미디어 업종지수 (L)
[내수 시장 위주]
국내 경기에 민감,
제한된 광고 시장 속 계절성에 영향
[구조적 성장]
New Market, New Model
미디어 업종의 2015년 하반기는 도약하는 시기!
자료: 제일기획, 콘텐츠진흥원, Thomson Reuters,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요약] 미디어 산업 JUMP UP!
중국 매출 증가
현지법인 설립 및
M&A 실행
콘텐츠 일본 매출 감소
광고 유럽 매출 감소
일회성 비용 발생
3.
2015 하반기 OUTLOOK 3
2015년 하반기는 도약하는 시기
•JUMP UP!: 주가 회복 이후 추가 도약할 종목에 대한 관심
•국내 광고 시장 회복에 이은 규제 완화 등은 추가 모멘텀
•해외 시장성은 확인, 지속 가능한 성장 위한 전략 설정 필요
1) 경계를 넘어
•디지털 전환이 기존의 경계를 넘게 하는 주요 동인으로 작용
•광고, 콘텐츠, 유료방송 전반에서 이제는 위기보다 기회
2) 규제를 넘어
•방송광고 중심의 규제 완화 실현 예정
•광고 금지품목 완화 등은 전체 광고 시장의 성장도 자극
3) 국내를 넘어
•글로벌 시장 공략은 이제 필수 요소
•시장성 및 진출 가능성은 이미 확인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좀 더 면밀한 전략이 필요한 때
주요 테마와 이슈
•키워드 J.U.M.P.에 따라 풀이
J: Jungle - 시장 내 경쟁 구도의 변화
•시장 내 경쟁은 FTA 개방 및 기업 수 증가로 강화되어 왔음
•규제 완화 및 M&A, 계약 등으로 협업 및 통합화 가능성 관찰
U: UHD – UHD TV의 대중화, 콘텐츠 가세
•TV 화질의 고선명화는 본질에 가까운 대중적인 흐름
•지상파, 케이블PP, 위성 등 미디어 밸류체인 전반의 움직임
M: Monetization – 스토리의 수익화 시작
•신규 시장 형성/진출 이후 수익화가 중요한 시기
•사업 전략 재고찰, 과금 모델 정교화, 콘텐츠 파생 사업 등
P: Personalization – 싱글족의 미디어 소비
•1인 가구 및 개인화 시대의 미디어 콘텐츠 소비
•소비자에 따른 광고주의 이동은 광고 시장에도 영향
[요약] 미디어 산업 JUMP UP!
4.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4
주: 영업이익률 미디어 커버리지 9사 기준
자료: 각 사, Thomson Reuters,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한국 미디어 업종 영업이익률과 주가 추이
광고 규제 완화:
2015년 7~8월 중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
공포 예정
해외 매출 증가:
2014년 일본 약화로 타격,
2015년부터 중국 매출 증가
미디어 산업
도약하는 시기
•주가 회복을 넘어 도약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관심 집중
•국내 광고 시장 회복에 이어 규제 완화 실현은 추가 모멘텀으로 작용할 전망
•해외 시장성은 확인, 지속 가능한 성장 위해서 전략의 설정이 필요한 시기
I. 2015년 하반기 전망: JUMP UP!
3
4
5
6
7
8
9
60
70
80
90
100
110
120
130
2011 2012 2013 2014 2015F 2016F
(%)(P) 미디어 업종 영업이익률 (R) 미디어 업종 지수 (L)
수익성 하락의 골짜기
주가 2013년부터 횡보하다
2014년에는 큰 폭 하락
2015년 영업이익률 회복
일회성 비용 요인 제거
추가 모멘텀:
1) 국내 광고 규제 완화
2) 해외 매출 증가
TIP
5.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5
자료: 미래부, 통계청,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유료방송 디지털 전환 및 LTE 보급 추이: 후기에 진입, 기회 요인에 주목!
60% 보급까지 소요된 시간:
유료방송 디지털 전환 약 10년
이동통신 LTE 전환 3년
도약 1) 경계를 넘어 •디지털 전환이 기존의 사업 경계를 넘게 하는 동인(Trigger)으로 작용
•가계 단위로는 TV 유료방송의 디지털 전환, 개인 단위로는 모바일의 LTE 보급으로 진행
•디지털 전환의 후기로 접어들면서 투자 및 비용 등 위기 요인보다 기회 요인에 주목할 시기
I. 2015년 하반기 전망: JUMP UP!
62%
74%
2%
63%
0%
20%
40%
60%
80%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디지털/ 전체 유료방송 LTE/ 이동통신
TIP
6.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6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디지털 시대의 방송 밸류체인의 발달
방송의 디지털 전환으로
비즈니스 기회는 확장 중
1) 기존의 방송 밸류체인:
수평적인 흐름의 지속
2) 디지털 전환 이후:
밸류체인의 확대.
VOD 광고, T커머스 등
신규 매출의 발생 시작
도약 1) 경계를 넘어 •방송 밸류체인 내 유료방송 플랫폼 주변으로 신규 파생 시장 형성
•플랫폼: VOD 유통수수료, T커머스 송출수수료 시장 형성
•콘텐츠: VOD 시장의 외연 확대 및 월정액/패키지/모바일 클립 등 형태 다양화
•광고: VOD 프리로딩 타겟 광고, PPL 등 프로그램 내 광고 시장
I. 2015년 하반기 전망: JUMP UP!
TIP
제작 / 편성 서비스 제공 / 유통 단말
가입자
방송콘텐츠 제공자
- 지상파 방송사
- 방송채널사업자
(PP)
유료방송
-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 위성방송사업자
- IPTV 방송사업자(통신사)
- OTT 사업자
프로그램
사용료
서비스
사용료
광고주
홈쇼핑 사업자
T커머스 사업자
광고비
송출
수수료
광고비
7.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7
주: 2015년 4월 24일 의결된 사항,
자료: 방통위,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광고 총량제, 가상광고 및 간접광고 완화 내용 (방송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
규제 완화 중 지상파 관련
1) 중간광고 허용은 미포함
(운동경기, 문화/예술행사
한해 허용 중)
2) 가상/간접광고 시간은
현행 5/100 유지
3) 다만 협찬고지는
품목 및 광고주 종류 확대
적용
도약 2) 규제를 넘어 •광고 규제 완화 실현 임박, 방송광고 중심으로 진행될 전망
•킬러 콘텐츠를 생산하는 방송사의 재원 조성 및 매체 간 형평성 조정 차원
•광고 총량제: 유형 규제 철폐, 지상파 중심 수혜 전망
•가상광고 완화: 허용장르 확대로 프로그램 내 광고 기회 확대
•간접광고 및 협찬고지 완화: 금지품목 완화로 대상 광고주 저변 확대
I. 2015년 하반기 전망: JUMP UP!
구분 주요 내용
광고시간
★ 광고총량제 도입 및 방송프로그램 편성시간당 총량제 채택
- 지상파 등 : 편성시간당 평균 15/100, 최대 18/100
(시간당 평균 9분, 최대 10분 48초) 기존 시간당 최대 10/100에서 확대
- 유료방송 등 : 편성시간당 평균 17/100, 최대 20/100
(시간당 평균 10분 12초, 최대 12분)
가상광고
★ 허용장르 확대 - 운동경기 중계 운동경기 중계, 오락, 스포츠보도
★ 허용시간 확대(유료방송 등) - 프로그램시간의 5/100 7/100
간접광고 ★ 허용시간 확대(유료방송 등) - 프로그램시간의 5/100 7/100
협찬고지
★ 금지 완화
- 방송광고 금지품목을 일부 제공하는 자도 방송광고 가능품목에 대해 그 품목명의 협찬고지
허용
★ 종류 확대
- 공공기관/공익법인의 방송광고 금지품목에 대한 공익성 캠페인 협찬만 허용
공익성 캠페인 협찬, 공익 행사 협찬 허용
TIP
8.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8
자료: 광고연감, 제일기획, PwC,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광고 시장의 성장 추이 및 전망
국내 광고 시장
2014년에 9.6조원 기록,
전년비 0.6%로 성장 미미
2015년에는 약 10조원,
전년비 3.9% 성장 예상
도약 2) 규제를 넘어 •매체 간 형평성을 넘어, 전체 광고 시장의 성장을 자극하기 위한 정책도 준비 중
•광고 금지품목 완화: 정부는 주류, 조제분유/우유, 의료광고, 전문 의약품 등에 대한 완화 추진 중
•신유형 광고: 정부는 스마트 미디어에 기반한 광고 활성화도 추진
스마트광고 제작 기반, 표준화, 효과 측정 및 통계, 기술, 인력 양성 등 전반에 대한 고려 중
I. 2015년 하반기 전망: JUMP UP!
-40
-20
0
20
40
0
3
6
9
12
91 93 95 97 99 01 03 05 07 09 11 13 15F 17F
(YoY,%)(조원) 국내 광고 시장 규모 (L)
성장률 (R)
아시아
금융위기
한일 월드컵
경기 회복
남아공 월드컵
세월호 참사
삼성 부진
시장 회복
규제 완화
TIP
9.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9
자료: 제일기획, 콘텐츠진흥원, Thomson Reuters,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미디어 업종의 해외 매출액과 주가 간의 상관성 강해지는 경향
2014년
해외 매출액 성장 주춤
방송 콘텐츠는 일본 매출 감소
광고는 유럽 매출 감소가 원인
2015년에는
콘텐츠와 광고 모두
중국 매출 증가세 예상
M&A 및 해외법인 설립도
비자연적인 성장 견인 효과
도약 3) 국내를 넘어 •내수 규제를 벗어나는 획기적인 방법은 해외로 나가는 것
•미디어 업종, 해외 매출과 주가 간의 상관성 2010년 이후 높아져
•매크로 환경 및 계절성으로 인한 실적 및 주가 변동성을 해외 매출이 완화시켜주는 작용
I. 2015년 하반기 전망: JUMP UP!
0
550
1,100
1,650
2,200
2,750
25
50
75
100
125
15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F
(십억원)(P)
방송 콘텐츠 및 광고 합산 해외 매출액 (R)
미디어 업종지수 (L)
2010년대 들어
해외 매출과 미디어 주가
상관성 높아지는 경향
TIP
10.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10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한류의 진화: 현재 3차 단계, 중국 시장에 진입
중국 한류 콘텐츠 시장
- 온라인:
Youku 등 전송권
- 오프라인:
절강위성 등 TV 방송국,
완다 등 영화 박스오피스
도약 3) 국내를 넘어 •한류(韓流)의 진화: 문화적 현상에서 매출 가능성이 있는 산업으로 진전
•글로벌 시장 중에서도 일본은 오프라인의 드라마, 미국/유럽은 온라인 음악 위주로 각광
•현재 온/오프라인 동시 진출이 가능한 ‘중국’ 콘텐츠/광고 시장에 관심 집중되는 중
I. 2015년 하반기 전망: JUMP UP!
중국
‘별그대’, ‘런닝맨’
온/오프라인
미국/유럽
‘강남스타일’
온라인
일본
‘욘사마’
오프라인
1차 2차 3차
문화적 현상
(유행, 일시성)
매출 가능성
(산업, 지속성)
TIP
11.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11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일회적인 프로젝트 성격의 매출? 현지화된 지속 발생 가능한 사업 라인업이 필요!
프로젝트 성격의
사업 성과가 좋더라도
일시적이고 예측 불가성이 높아
기업가치에 반영 어려움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해
사업의 규모가 결정되고
일정한 사업 라인업이 형성되면
기업가치에
반영할 수 있음
도약 3) 국내를 넘어 •해외 시장에 대한 프로젝트 단위의 시장성 확인과 진출 가능성 타진은 이미 진행됨
•프로젝트 단위의 사업에 대한 성과에 대한 예측은 후행적인 지표에 의존
•해외에서의 지속 가능한 사업 및 성장을 위해 좀 더 면밀한 전략이 필요한 시기
•사업의 일정한 라인업이 필요, 꾸준한 계획에 따라 진행되는 로드맵이 요구되는 때
I. 2015년 하반기 전망: JUMP UP!
TIP
12.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12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해외 사업의 Two-Track 전략: 합작 + 자체 사업
합작을 통해서는 단기에 성과를
만들어낼 수는 있음
그러나 해당 합작 관계로 인한
지분 제한, 비유연성 등은
성장의 한계로 작용할 수 있음
자체 사업의 경우
Risk는 클 수 있으나,
사업의 지속성,
계약에 의한 일부 분배가 아닌
현지의 전체 매출 인식 등은
더욱 매력적일 수 있음
도약 3) 국내를 넘어 •Two-Track 전략 필요: 합작 + 자체 사업을 동시에 전개하는 것
•합작을 통해 단기적으로 수익화 및 시행착오 축소 가능
•자체 사업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사업의 지속성 및 계약 관계를 넘어선 성장도 담보
I. 2015년 하반기 전망: JUMP UP!
KEEP
CALM
AND
START
OWN
BUSINESS
TIP
13.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13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미디어 산업 하반기 주요 테마 키워드
II. 주요 테마와 이슈: J.U.M.P
미디어 산업 테마 키워드
J.U.M.P.
•2015년 하반기 미디어 산업 키워드: J.U.M.P.
•J: Jungle - 시장 내 경쟁 구도의 변화 시작
•U: UHD – TV 화질의 고선명화 흐름 대중화 초기에 진입
•M: Monetization – 시장 형성 및 진출 이후 수익화가 중요한 시기
•P: Personalization – 1인 가구 시대가 바꾸는 콘텐츠 광고 시장
U
M
Jungle
: 경쟁 구도의 변화
UHD
고선명화의 대중화 초입 :
Monetization
: 스토리 수익화
Personalization
1인 가구의 미디어 :
J
P
경쟁, 그리고 이익
고선명화 & 개인화 트렌드
TIP
14.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14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하반기부터 시장 내 경쟁 구도의 변화 관찰될 것으로 예상
II. 주요 테마와 이슈: 1) J - Jungle
테마 1) Jungle
: “먹고 먹히는 시장”
•Jungle: 시장 내 경쟁 양상의 변화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
•방송 콘텐츠 시장: 한미FTA 방송 부문 발효로 PP 시장 개방, 중국 시장의 개화
•유료 방송 시장: 통신사 진입 등 기업 수 증가 및 디지털 전환이 경쟁 변수
•규제 완화 및 M&A, 계약 등으로 협업 및 통합화 가능성 관찰
시장 통합화
불확실성 해소
국내 플랫폼 전략 진화
중국 진출 확대
해외 서비스 국내 진입
새로운 영역의 형성
새로운 진입
OTT
Netflix
콘텐츠-플랫폼
융합
국내
콘텐츠 독점
중국
방송, 영화
유료방송
C&M
영화관
메가박스
콘텐츠 계약
시장의 경쟁 구도 변화를 통해
방송 콘텐츠의 ARPU가
향상될 가능성 존재
한국의 방송 ARPU는
세계 최저 수준
Netflix는 내년 한국 시장
진입 가능성 보도 중
TIP
M&A
15.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15
자료: 방송산업실태조사, KCTA,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유료방송 시장의 통합화: 케이블 개별 SO 위주로 M&A 진행 중이나 아직도 사업자 수 19개
II. 주요 테마와 이슈: 1) J - Jungle
테마 1) Jungle
: 경쟁의 후반전은 통합화
•특히 국내 유료방송 시장은 경쟁으로 인해 고통이 심한 곳
•디지털 전환으로 투자 및 비용은 증가, ARPU(인당 매출액)는 경쟁 할인 압력으로 상승 정체
•정부는 이미 소유 규제 완화를 시행, 씨앤앰 등 M&A 매물로 나오면서 시장 통합 가능성 대두
•통합화 주인공은 기업가치 향상의 기회를 맞이할 전망
유료방송 역사의 키워드,
“Consolidation(통합화)”
21
20
25 23
23
21
18 19
11 10
0
10
20
30
40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개)
IPTV 위성방송 케이블 개별 SO 케이블 MSO
TIP
16.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16
자료: Display Search, LG디스플레이,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UHD TV 침투율 올해 10% 상회할 전망, 하반기 콘텐츠 진영도 가세하기 시작
II. 주요 테마와 이슈: 2) U - UHD
테마 2) UHD
: “옆집도
UHD TV를 샀다”
•UHD: TV 화질의 고선명화 흐름 대중화 초기에 진입
•TV 화질의 고선명화는 화면이라는 ‘본질’에 가까움, 과거 오버스펙 트렌드와는 달리 좀 더 대중적
•UHD TV 시장은 기존까지 하드웨어가 주도하던 시장, 올해 보급률 10% 상회 전망
•하반기부터 지상파, 케이블PP(CJ E&M), 위성(스카이라이프) 등 밸류체인 전반의 움직임 본격화
5%
13%
21%
28%
32%
0
10
20
30
40
210
220
230
240
250
260
2014 2015F 2016F 2017F 2018F
(%)(백만대) 글로벌 TV 출하량 (L) UHD TV 침투율 (R)
SBS 하반기부터 UHD 편성 시작
CJ E&M 6월 UHD 채널 UXN 개국
스카이라이프TV UHD 채널 2개 개국
콘텐츠 진영의 굵직한 움직임
- 지상파의 UHD 제작 편성
- 케이블PP 1위 CJ E&M의
UHD 전용채널 UXN 개국
- 위성PP 스카이라이프TV의
UHD 전용채널 2개 개국
TIP
17.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17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스토리 형성 이후 수익화가 시작되는 때
II. 주요 테마와 이슈: 3) M - Monetization
테마 3) Monetization
: “돈을 벌어야 진짜다”
•Monetization: 스토리 이후 실제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
•신규 시장의 형성 및 진출 이후 수익화가 중요한 시기
•사업의 지속가능성 보강을 위해 전략에 대한 재고찰 진행 중
•과금 모델 정교화, 콘텐츠 파생 사업 등 비즈니스 모델 다양화도 필요
2014 2015 2016
스토리 형성
- 중국 시장성 확인
- 규제 완화 제기
수익화 시작
- 중국 사업 전략
- 규제 완화 실현
- 비즈니스모델 다각화
사업 라인업
- 현지화 사업 본격화
- 시장 성장성 회복
- 신규매출 비중 상승
콘텐츠 주식의 ‘꿈’과 ‘희망’도
‘이익’이 받쳐줘야 가속화 가능
TIP
18.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18
자료: CJ E&M, Thomson Reuters,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CJ E&M의 주가 상승 배경: 영업이익이 2개 분기 연속으로 흑자를 기록하며 이익에 대한 신뢰감 형성
II. 주요 테마와 이슈: 3) M - Monetization
테마 3) Monetization
: 주가는 이익에 수렴
•주가 수준은 장기적으로 이익에 수렴하기 마련
•대표적으로 최근의 CJ E&M 주가 사례 제시 가능
•CJ E&M은 콘텐츠의 체감 경쟁력은 상승해왔으나, 과거 2년간 2개 분기 연속 이익 낸 적 없었음
•그러나 올해 비수기인 1분기에도 이익을 기록하며 주가는 상승으로 화답
체감 경쟁력이
이익으로 돌아오는 시기
1,000
1,500
2,000
2,500
3,000
-8
-4
0
4
8
1Q13 3Q13 1Q14 3Q14 1Q15 3Q15F
(십억원)(%)
CJ E&M 영업이익률 (L)
CJ E&M 시가총액 (R)
TIP
19.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19
주: 2015년 혼자 사는 성인 남녀 308명 대상 조사, 각 질문에 대한 1위 답변 및 비중
자료: 잡코리아, 비주얼다이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싱글족,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 “미디어 시청”
II. 주요 테마와 이슈: 4) P - Personalization
테마 4) Personalization
: 싱글族의 미디어 소비
•P: Personalization – 싱글족의 미디어 소비
•1인 가구 및 개인화 시대, 미디어 콘텐츠 소비 시장도 바뀐다
•소비자를 따라 광고주도 이동하면서, 광고 시장의 진화 및 외연 확대에도 영향
63.6%
현재 생활에
만족한다
56.5%
1인 가구로
생활하는데
대체로 만족한다
83.7%
그러나 나홀로
생활에 외로움을
느낀다
29.9%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TV/영화
시청을 한다
1인 가구의 대표 동반자는
바로 미디어, 콘텐츠
TIP
20.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20
자료: KISDI, 나스미디어, 케이블TV VOD,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VOD 시장 성장, 더불어 파생된 VOD 월정액 및 IPTV 광고 시장까지 성장세
II. 주요 테마와 이슈: 4) P - Personalization
테마 4) Personalization
: 싱글族의 미디어 소비
•개인화된 미디어 소비의 대표적인 시장 지표는 ‘VOD’
•VOD 시장 자체는 유료방송의 디지털 전환에 지상파 방송 중심의 단가 상승까지 성장 견인
•최근 VOD 월정액 패키지 매출과 VOD 프리로딩 시 노출되는 IPTV 광고 시장까지 더불어 성장
0
40
80
120
160
0
200
400
600
800
2011 2012 2013 2014 2015F
(십억원)(십억원)
케이블 VOD 매출액 (L)
IPTV VOD 매출액 (L)
IPTV 월정액 수익 (R)
IPTV 광고 취급고 (R)
VOD: Video on Demand
IPTV 광고는
2014년 7월부터 완판 중
TIP
21.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21
0
5
10
15
20
25
30
35
60
70
80
90
100
110
120
130
2011 2012 2013 2014 2015F 2016F
(%)(P) 미디어 업종 지수 (L)
미디어 업종 영업이익률 (R)
미디어 업종 해외 매출 성장률 (R)
2014년
수익성 하락 속
해외 매출 성장도 꺾임
주가 큰 폭 하락
2015년
수익성 회복과 더불어
해외 매출 성장률도 상승 기대
주: 영업이익률 미디어 커버리지 9사 기준
자료: 각 사, 콘텐츠진흥원, Thomson Reuters,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2015년 미디어 업종 수익성과 해외 매출 성장률의 동반 상승세, 주가 모멘텀 강화 추세
III. Valuation 및 투자전략
수익성 상승과
해외 매출 성장의
동시 파도를 타라!
•미디어 업종 주가 함수 F=(정책, 단기 이익, 장기 성장 스토리)
•아직 절대적인 매출 비중은 국내 시장, 규제 완화 등 정책 변수가 중요
•단기적으로 이익이 담보되지 못한다면 주가는 상승 탄력 제한적
•장기적으로 성장에 대한 희망이 없다면 리레이팅은 어려움
•2015년은 ‘3박자’가 맞다: 국내 규제 완화, 수익성 회복, 해외 사업을 통해 확인될 장기 스토리
2015년 미디어 업종은
영업이익률 상승
해외 매출 성장률도 상승
동시 전개 예상
TIP
25.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25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IV. Top Picks 및 관심종목
Top Pick
매수
매수
Trading Buy
[콘텐츠] CJ E&M SBS
[광고] 제일기획 나스미디어
[플랫폼] 스카이라이프 CJ헬로비전 KTH
SBS콘텐츠허브 제이콘텐트리
26.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26
CJ E&M (130960)
도약의 주인공
투자포인트
•국내 시장에서는 콘텐츠 경쟁력을 기반으로 수익성 향상
•해외 시장에서는 중국 및 베트남 등에서 연내 현지법인 설립하며 현지화 사업 본격화 예상
•사업 대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자회사 모바일 게임 실적의 성장은 든든한 버팀목
•각 사업부문의 경쟁력 강화로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가 실적 변동성을 보완해주기 시작
Risk 요인
•사업 부문의 복잡성으로 인해 실적 추정 불확실성 발생
•중국 및 베트남 등 해외 시장에서의 규제 관련 불확실성 상존
•콘텐츠 사업자로서 흥행 관련 실적 변동성 존재
Top Pick
(Maintain) 매수
목표주가(원,12M) 80,000
현재주가(15/05/27,원) 64,300
상승여력 24%
영업이익(15F,십억원) 41
Consensus 영업이익(15F,십억원) 54
EPS 성장률(15F,%) -50.5
MKT EPS 성장률(15F,%) 38.9
P/E(15F,x) 22.4
MKT P/E(15F,x) 11.0
KOSDAQ 699.19
시가총액(십억원) 2,490
발행주식수(백만주) 39
유동주식비율(%) 56.7
외국인 보유비중(%) 12.7
베타(12M) 일간수익률 1.94
52주 최저가(원) 32,300
52주 최고가(원) 68,500
주가상승률(%) 1개월 6개월 12개월
절대주가 11.6 72.4 38.4
상대주가 11.7 34.6 8.5
주: K-IFRS 연결 재무제표 기준, 순이익은 지배주주 귀속순이익. 2015년 5월 27일 종가 기준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결산기 (12월) 12/12 12/13 12/14 12/15F 12/16F 12/17F
매출액 (십억원) 1,395 1,246 1,233 1,306 1,370 1,429
영업이익 (십억원) 39 -9 -13 41 49 56
영업이익률 (%) 2.8 -0.7 -1.1 3.1 3.6 3.9
순이익 (십억원) 37 5 225 111 66 78
EPS (원) 975 133 5,796 2,869 1,695 2,026
ROE (%) 3.1 0.4 16.4 7.1 4.0 4.5
P/E (배) 27.2 229.0 6.6 22.4 37.9 31.7
P/B (배) 0.8 1.0 1.0 1.5 1.5 1.4
60
80
100
120
140
160
14.5 14.9 15.1 15.5
CJ E&M KOSDAQ
27.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27
CJ E&M (130960)Top Pick
주: 2015~2016년은 대우 추정치
자료: CJ E&M,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2~3분기 모바일 대작 게임 효과 집중 예상최대매출 비중 차지하는 방송 사업의 수익성 향상 중
주: 상단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레이븐(3월), 마블퓨처파이트(4월), 크로노 블레이드(6월), 이데아(7월)
자료: 넷마블,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방송 본사는 뛰고
게임 자회사도 나는 시기
•방송 사업의 변화: 영업이익 2년 만에 회복세 예상
제작비 및 인건비 등 비용 통제 속에서 콘텐츠 경쟁력 증가로 인한 매출 증가가 주 원인
•게임 사업의 변화: 복잡한 장르 및 독립 퍼블리싱으로 진화
캐주얼 게임에서 RPG 등으로 장르 확대, 카카오톡에서 네이버, 글로벌 원빌드로 탈 플랫폼 전략
0
10
20
30
40
50
60
0
200
400
600
800
1,000
11 12 13 14 15F 16F
(십억원)(십억원) 방송 매출액 (L)
방송 영업이익 (R)
28.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28
CJ E&M (130960)Top Pick
해외 현지 사업의
본격화 임박
•CJ E&M은 2015년 내 베트남, 중국 등지에서 현지법인 설립 예정
•베트남, 중국 시장에 2004년 최초 진출, 프로젝트 성격으로 경험 및 관계 쌓아오던 지역
•합작은 이미 진행 중, 올해 중국과 동남아 지역의 해외 현지화된 내수용 영화 라인업 총 8편
•Viacom, 중국 현지화 사업이 본격화되던 시기에 주가 큰 폭 상승했던 사례 참조
자료:Viacom, Thomson Reuters, Yahoo Finance,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사업 본격화와 주가의 상관성: 미국 미디어 그룹 Viacom의 사례
0
1
2
3
4
5
6
7
0
20
40
60
80
91 94 97 00 03 06 09 12 15F
(달러)(십억달러)
Viacom 시가총액 (L)
Viacom EPS (R)
95년
중국 진출 시작
MTV 중국어 채널
05년
CBS와 분리,
케이블PP와
영화 사업에 집중
99-00년
중국 CCTV-MTV
음악성전 개최
14년
중국에서의
영화 흥행으로
매출 증가01년
Nickeladeon
어린이 채널
중국 방송 시작
영화 사업도 진출
현지화 사업
다각도로 본격화되던
시기 주가 큰 폭 상승
Viacom의 사업 부문
- 음악: MTV 등
- 방송: Nickeladeon 등
- 영화: Paramount 배급
CJ E&M의 사업 부문
- 음악: Mnet 등
- 방송: tvN, OCN, 투니버스 등
- 영화: CJ엔터테인먼트 배급
Viacom의
중국 사업 진출 순서:
투자 규모가 작은
음악부터 방송, 영화 순
CJ E&M도 이와 유사한 패턴
TIP
30.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30
SBS (034120)
계속 달리는 런닝맨
투자포인트
•중국 ‘런닝맨’, ‘정글의 법칙’ 등 예능 포맷수출 관련 매출 흐름은 가시적이며 연장되는 모습
•국내 방송광고 규제 완화가 지상파에 집중되면서 대표 수혜주로 부각될 전망
•국내 콘텐츠 매출도 유료방송사와의 재송신료 재협상과 VOD 단가 상향을 통해 증대 가능
•작년 대규모 적자 이후 턴어라운드 되는 해인 점에 주목
Risk 요인
•광고 비수기 적자는 만성적
•중국 방송 콘텐츠 시장 규제 환경의 불확실성
•내년 스포츠 이벤트 (하계 올림픽) 관련 비용 증가 우려
Top Pick
(Maintain) 매수
목표주가(원,12M) 55,000
현재주가(15/05/27,원) 41,600
상승여력 32%
영업이익(15F,십억원) 49
Consensus 영업이익(15F,십억원) 43
EPS 성장률(15F,%) -
MKT EPS 성장률(15F,%) 38.9
P/E(15F,x) 18.2
MKT P/E(15F,x) 11.0
KOSPI 2,107.50
시가총액(십억원) 759
발행주식수(백만주) 18
유동주식비율(%) 64.3
외국인 보유비중(%) 0.0
베타(12M) 일간수익률 0.67
52주 최저가(원) 25,850
52주 최고가(원) 45,000
주가상승률(%) 1개월 6개월 12개월
절대주가 2.2 51.5 29.0
상대주가 4.6 42.5 22.3
주: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2015년 5월 27일 종가 기준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결산기 (12월) 12/12 12/13 12/14 12/15F 12/16F 12/17F
매출액 (십억원) 757 708 796 798 865 838
영업이익 (십억원) 41 28 -13 49 37 46
영업이익률 (%) 5.4 4.0 -1.6 6.1 4.3 5.5
순이익 (십억원) 29 27 -3 42 33 39
EPS (원) 1,583 1,460 -184 2,289 1,783 2,147
ROE (%) 5.3 4.8 -0.6 7.4 5.5 6.3
P/E (배) 26.8 28.5 - 18.2 23.3 19.4
P/B (배) 1.4 1.3 1.0 1.3 1.2 1.2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4.5 14.9 15.1 15.5
SBS KOSPI
31.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31
SBS (034120)Top Pick
자료: 각 사, KISDI,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런닝맨’ 중국판, ‘달려라 형제 2’ 자체 최고 시청률 경신 중지상파 VOD 2015년 5월부터 인상, 사업수익 증가에 긍정적
자료: SINA,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및 해외
콘텐츠 매출의
구조적 증가
•SBS의 콘텐츠 매출이 포함된 사업수익은 올해 전체 매출의 29% 비중으로 전망
•국내 및 해외에서의 콘텐츠 매출 증가는 구조적
•국내는 지상파 VOD 가격이 5월에 인상되었고, 유료방송사와의 재송신료 재협상도 진행 중
•해외는 중국 ‘런닝맨’ 등 예능 포맷 수요가 높고, 콘텐츠 관련 비즈니스 모델 다각화 추세
0
5
10
15
20
25
30
0
200
400
600
800
2011 2012 2013 2014 2015F
(%)(십억원)
케이블 VOD 매출액 (L)
IPTV VOD 매출액 (L)
VOD 이용률 (R)
2015년 5월
지상파 VOD
인기 5개 및 SD
단가 인상
33.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33
성장 엔진은 장착되었다
관심종목
제일기획 (030000)
(Maintain) 매수
목표주가(원,12M) 30,000
현재주가(15/05/27,원) 20,950
상승여력 43%
영업이익(15F,십억원) 157
Consensus 영업이익(15F,십억원) 152
EPS 성장률(15F,%) 21.3
MKT EPS 성장률(15F,%) 38.9
P/E(15F,x) 19.6
MKT P/E(15F,x) 11.0
KOSPI 2,107.50
시가총액(십억원) 2,410
발행주식수(백만주) 115
유동주식비율(%) 59.7
외국인 보유비중(%) 28.1
베타(12M) 일간수익률 1.16
52주 최저가(원) 15,600
52주 최고가(원) 25,000
주가상승률(%) 1개월 6개월 12개월
절대주가 -12.3 8.3 -13.6
상대주가 -10.3 1.8 -18.1
주: K-IFRS 연결 재무제표 기준, 순이익은 지배주주 귀속순이익. 2015년 5월 27일 종가 기준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결산기 (12월) 12/12 12/13 12/14 12/15F 12/16F 12/17F
매출액 (십억원) 2,365 2,709 2,666 2,673 2,863 3,071
영업이익 (십억원) 126 130 127 157 174 193
영업이익률 (%) 5.3 4.8 4.8 5.9 6.1 6.3
순이익 (십억원) 94 99 102 123 135 149
EPS (원) 817 857 883 1,072 1,172 1,297
ROE (%) 13.6 14.7 13.2 13.1 12.6 12.3
P/E (배) 26.4 32.1 19.5 19.6 17.9 16.2
P/B (배) 3.1 3.5 2.0 2.1 1.9 1.7
투자포인트
•올해 유럽과 중국이 쌍두마차로 견인하며 성장성 회복될 전망
•국내 광고시장 회복, 광고금지 품목 규제 완화 등은 긍정적
•해외에서 인수한 기업의 비계열 광고주 수주 성과 지속적, 추가 M&A 이벤트도 기대
•중국의 디지털 마케팅 자회사 펑타이(Pengtai)의 기업가치 반영 가능성에 주목
Risk 요인
•주요 광고주 삼성전자 및 삼성그룹 지배구조 관련 주가 변동성
•해외 매출비중이 높아 실적의 비가시성 존재
•국내 2위 광고기업 이노션의 상장 이벤트 관련 수급 영향 가능성
50
60
70
80
90
100
110
120
14.5 14.9 15.1 15.5
제일기획 KOSPI
34.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34
관심종목
제일기획 (030000)
주: 광고기업은 매출액보다 영업총이익이 외형을 더욱 잘 반영, 2015년은 대우 추정치
자료: 제일기획,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디지털 마케팅 자회사 펑타이(Pengtai)의 사업 가치에 주목올해 영업총이익 성장성 가속 및 순이익 개선될 전망
자료: 제일기획, Pengtai,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기업가치의 함수는
성장성과 중국
•제일기획은 올해 영업총이익(외형)의 성장이 M&A 효과 등으로 재가속
판관비 제한적 증가 등으로 순이익도 개선될 전망
•중국 디지털 마케팅 자회사 펑타이(Pengtai), 중국 내 업계 3위 랭크 중
중국 인터넷 주요 매체와의 파트너쉽, 대형 현지 광고주 보유한 사업의 가치에 주목
0
20
40
60
80
100
120
1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1 12 13 14 15F
(십억원)(십억원)
영업총이익 (L)
순이익 (R)
중국 현지 광고주 중 Fortune 100대 기업 4개 보유
중국 동영상, 포털, 쇼핑몰 등 180여개 파트너사와 협력 관계 유지
48.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48
미디어 업종 JUMP UP!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결론] 회복을 넘어 도약할 수 있는 종목 추천
Top Pick
글로벌 시장 진출,
국내 수익성 상승으로
도약할 수 있는 콘텐츠 기업
CJ E&M, SBS
관심 종목
1) 광고 시장 회복 및 성장
제일기획, 나스미디어
2) 유료방송 시장의 변화
스카이라이프, CJ헬로비전
3) 신규 시장 효과: KTH
4) 불확실성 해소
제이콘텐트리, SBS콘텐츠허브
소외 종목
전략 설정 못하고
아직 헤매고 있는 기업
50.
미디어
2015 하반기 OUTLOOK 50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변동추이
종목명(코드번호) 제시일자 투자의견 목표주가(원) 종목명(코드번호) 제시일자 투자의견 목표주가(원)
CJ헬로비전(037560) 2015.05.28 매수 16,000원 2015.03.10 Trading Buy 14,000원
2015.05.07 매수 15,000원 2014.11.26 Trading Buy 10,000원
2015.04.24 매수 16,000원 분석 대상 제외
2014.11.06 매수 13,000원 SBS콘텐츠허브(046140) 2015.05.28 Trading Buy 20,000원
2014.08.12 매수 20,000원 2014.11.26 매수 20,000원
2013.11.08 매수 22,000원 분석 대상 제외
2013.07.22 매수 23,000원 제이콘텐트리(036420) 2015.05.28 Trading Buy 4,700원
KTH(036030) 2015.04.24 매수 17,000원 2014.11.26 매수 4,700원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13.5 14.5 15.5
(원) CJ헬로비전
0
5,000
10,000
15,000
20,000
13.5 14.5 15.5
(원) KTH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13.5 14.5 15.5
(원) SBS콘텐츠허브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13.5 14.5 15.5
(원) 제이콘텐트리
투자의견 분류 및 적용기준
기업 산업
매수 : 향후 12개월 기준 절대수익률 20% 이상의 초과수익 예상 비중확대 : 향후 12개월 기준 업종지수상승률이 시장수익률 대비 높거나 상승
Trading Buy : 향후 12개월 기준 절대수익률 10% 이상의 초과수익 예상 중립 : 향후 12개월 기준 업종지수상승률이 시장수익률 수준
중립 : 향후 12개월 기준 절대수익률 -10~10% 이내의 등락이 예상 비중축소 : 향후 12개월 기준 업종지수상승률이 시장수익률 대비 낮거나 악화
비중축소 : 향후 12개월 절대수익률 -10% 이상의 주가하락이 예상
매수(▲), Trading Buy(■), 중립(●), 비중축소(◆), 주가(─), 목표주가(▬), Not covered(■)
Compliance Notice
- 당사는 자료 작성일 현재 제일기획(으)로부터 자기주식 직접취득 위탁을 받아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본 자료를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 본 자료를 작성한 애널리스트는 자료작성일 현재 조사분석 대상법인의 금융투자상품 및 권리를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본 자료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애널리스트의 의견이 정확하게 반영되었음을 확인합니다.
본 조사분석자료는 당사의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종목 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조사분석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조사분석자료의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허락 없이 무단 복
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Sie haben diese Folie bereits ins Clipboard „“ geclippt.
Clipboard erstellen
Sie haben Ihre erste Folie geclippt!
Durch Clippen können Sie wichtige Folien sammeln, die Sie später noch einmal ansehen möchten. Passen Sie den Namen des Clipboards an, um Ihre Clips zu speichern.
Clipboard erstellen
SlideShare teilen
Sie hassen Werbung?
Holen Sie sich SlideShare ganz ohne Werbung
Genießen Sie den werbefreien Zugang zu Millionen von Präsentationen, Dokumenten, E-Books, Hörbüchern, Zeitschriften und mehr
Sonderangebot für SlideShare-Leser
Nur für Sie: KOSTENLOSE 60-tägige Testversion für die weltgrößte digitale Bibliothek.
Die SlideShare-Familie hat sich gerade vergrößert. Genießen Sie nun Zugriff auf Millionen eBooks, Bücher, Hörbücher, Zeitschriften und mehr von Scribd.
Offenbar haben Sie einen Ad-Blocker installiert. Wenn Sie SlideShare auf die Whitelist für Ihren Werbeblocker setzen, helfen Sie unserer Gemeinschaft von Inhaltserstellern.
Sie hassen Werbung?
Wir haben unsere Datenschutzbestimmungen aktualisiert.
Wir haben unsere Datenschutzbestimmungen aktualisiert, um den neuen globalen Regeln zum Thema Datenschutzbestimmungen gerecht zu werden und dir einen Einblick in die begrenzten Möglichkeiten zu geben, wie wir deine Daten nutzen.
Die Einzelheiten findest du unten. Indem du sie akzeptierst, erklärst du dich mit den aktualisierten Datenschutzbestimmungen einverstan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