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1

Q
제 5장.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201325010 박가영
1.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
* 국가수준 교육과정이란?
- 교육에 대한 국가의 의도를 담은 문서 내용
1)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구체적 특성
- 국가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교, 개인수준의 다양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과정
- 학생중심의 교육과정
- 교육청과 학교, 교원, 학생, 학부모가 함께 실현해 가는 교육과정
- 학교 교육체제를 교육과정중심으로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정
- 교육의 과정과 결과의 질적 수준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교육과정
2) 우리나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의 구체적 특성
-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10년, 7년, 5년을 주기로 개정되어 왔음
- 최근에는 개선이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개정
- 현대 및 미래 사회는 질적, 양적인 측면에서 그 변화의 속도가 매우 빠름
2. 지역수준 교육과정 개발
* 지역수준 교육과정이란?
- 교육에 대한 지역의 의도를 담은 문서 내용
- 국가 수준의 기준과 학교의 교육과정을 연결하는 교량역할
* 지역수준의 교육과정의 목적
- 각 시・도와 지역의 특성, 필요 등 제 요인을 조사, 분석하여
전국 공통의 일반적 기준인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조정, 보완하며
그 결과를 학교 교육과정에 반영하는데 목적
* 각 시・도 교육청의 역할
- 각 시・도 교육청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해석을 통해 지역의 특성에 부합하도록 새롭게 조정해야 하는 역할
* 교육과정 개발이 중앙에서 이루어 질 때
* 지역수준의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 장점 :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
지역 교육청의 교육문제 해결능력 신장
교육과정 전문성 증진
장점 단점
- 통일된 전달체제 제공
- 교육과정 표준화
- 부족한 자원의 할당과 분배
평등
- 시작 절약
- 계속성 보장
- 전문성 강조
- 학교와 체제를 긴밀히 연결
- 교사가 주도할 기회가
거의 없음
-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 어려움
- 교육과정의 표준화와 운영의
획일화 증진
*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장단점
- 장점 : 학교의 자율성 증진
교육과정 개발의 분권화 촉진
- 단점 : 시간, 인력, 비용 등의 부족으로 질이 낮아짐
지역간의 교육 격차가 심화될 수 있는 위험이 있음
1) 우리나라 지역수준의 교육과정
- 국가수준에서는 각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편성 ・ 운영
지침은 시・도 교육청 및 지역교육청에서 작성
- 교육과정 편성 ・ 운영지침을 토대로 단위학교의 설정에 맞게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
* 교육과정 편성 ・ 운영지침을 작성하는 목적
- 적합성 측면 : 지역의 특성에 알맞은 교육과정 개발하고 운영
- 효율적 측면 :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의 효과적, 효율적 운영
* 교육과정 개발 시・도 지침의 편성 절차 단계
① 교육과정 위원회 구성・운영
② 기초 조사・연구
③ 편성・운영 지침시안 작성
④ 편성・운영 지침시안의 검토・확정
⑤ 편성・운영 지침의 운영
⑥ 자료 개발의 보급과 지침의 평가
*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① 실무 위원회 조직
② 기초 조사・연구
③ 편성・운영 지침 작성
④ 지침안의 심의・확정
⑤ 지침의 적용
⑥ 지침의 평가
2) 지역 교육청의 편성・운영지침 개발 절차
- 국가 교육과정 기준과 시・도 교육청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토대로 해당 지역의 다양한 인적, 물적, 자원을 고려하여 학교 교육과
정의 편성과 운영에 실질적인 지원과 도움 제공 필요
* 시・군・구 교육청의 가장 핵심적인 업무
- 단위 학교에서 효율적인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도모하기 위한 자원
3) 우리나라 지역수준 교육과정의 장・단점
- 장점 : ①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시・도 및
기・군・구 지역교육청의 교육문제해결 능력 신장
② 교육관련 전문성 신장
- 단점 : ① 시간, 인력, 비용 등의 부족으로 교육과정 자체 질적 수준 저하
② 지역간의 교육 격차 심화될 위험성
3.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
* 학교수준 교육과정이란?
- 학교의 실태를 반영하고 학부모와 학생들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하여
교육에 대한 학교의 의도를 담은 문서 내용
- 해당 학교의 교육목표와 교육중점 등이 치밀하게 반영되고, 그 학교의
교육내용, 방법과 운영방식이 특색있게 나타나 있어 각 학교가 다양한
교육의 모습을 보일 수 있게 편성・운영되어야 함
- 학습자의 ‘교육경험의 질’을 관리하는 구체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계획을
의미하는 실천적, 포괄적인 개념으로 보아야 함
1) 학교 교육과정의 필요성
① 교육의 효율성 제고
② 교육의 적합성 제고
③ 교육의 자율성과 전문성의 신장
④ 교육의 다양성 추구
⑤ 학습자중심 교육구현
2) 우리나라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① 연구단계 : 기초적 과학적 탐구, 문제조사, 자료 수집
② 개발단계 : 발명과 고안, 제작과 생산, 실험과 평가
③ 보급단계(확산・채택단계)
・확산 – 촉진, 정보를 알려줌, 전시, 훈련을 도와줌, 서비스 교육
・채택 – 인식, 관심, 평가, 시도, 장치, 채택, 제도화
- 교육과정에 대한 의사결정에 교사 참여
(1) 제 1차~제 6차 교육과정기의 책무성의 변화
교육부
시・도 교육청
학 교
* 교육과정 행정체제의 변천
국가 수준
교육과정(교육부)
학교
시・도 교육청
제 1차 제 2차 제 3차 제 4차 제 5차 제 6차 제 7차
교과
중심
(1954)
생활
중심
(1963)
학문
중심
(1973)
인간
중심
(1981)
교과
중심
(1954)
교육과정의
역할분담
(1992)
교육과정의
균형・조화
(1997)
중앙집권형 교육과정 체제
(교과서 중심 학교교육)
교육부・교육청・학교의
역할 분담 체제
(교육과정 중심 학교교육)
(2) 제 7차 교육과정의 학교 교육과정 개발
- 교육방법(기법중심) 주류의 구성주의 이론에 관한 논의를 교육내용(내용중심)의
논의로 전환할 수 있는 또 다른 시각 제공
(3) 2007년 교육과정 개정안
① 현행 제 7차 교육과정의 철학과 기본 체제를 유지함으로써
국가 교육과정의 안정성을 추구하고자 함
② 교육과정 편성・운영권 강화
지역과 단위학교의 여건과 실정에 따라 교육과정 편성・운영하도록 함
③ 교원단체, 학회 등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된 국가・사회적
요구사항 수용하여 반영하고자 함
④ 입시 위주의 편중선택을 방지하고 인성교육을 강화하고자 함
⑤ 각 교과별 교육내용의 적정화를 구현하고자 함
⑥ 주 5일 수업제, 월 2회 실시에 따라 수업시수를 일부 조정하고자 함
3) 학교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
- 지역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운영과 함께 단위학교의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지원을 위한 다양한 조치를 취하는 것
* 학교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지역 교육청의 역할
- 실천 중심 장학 자료 제시
- 학교 교육 과정의 운영 지원
4) 학교의 편성 역할
- 단위학교는 국가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이 이루어지는 최종적인 단계
- 각 학교는 학교 교육과정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계획을 수립하여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계획을 수립하여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을
위한 계획을 세움
(1) 학교 교육과정위원회 조직과 편성 계획 수립
- 기존 각종 학교 조직이나 협의회를 활용할 수 있음
- 업무 분담하여 운영할 수 있음
- 교육전문기관의 교수나 자문위원화 함께 연계하여 추진하는 방법 강구
(2)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성격
- 학교 교육과정은 보다 역동적, 적극적
(3)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요령
① 학교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조직 필요
② 기초 조사연구를 하여 그 결과를 분석 검토
③ 결과를 토대로 학교 교육과정에 반영시켜야 할 상황 추출하여 분류 정리
④ 학교교육과정 시안작성
⑤ 시안이 작성되면 시안분석 검토연구팀에 넘겨 세밀하게 심의
⑥ 심의결과 발견된 문제점과 개선점을 수정, 보완 후 최종확정 정리
⑦ 교육목표, 내용의 개선에 반영시킴
(4)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이점
① 학교의 여건, 학생, 학부모의 요구에 적합한 교육과정이 될 수 있음
②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계기 마련
③ 중앙집권적 교육과정 개발이 초래하는 획일성 문제 극복
④ 실제 수업현장에서 계획대로 적용되고 실천될 가능성이 커짐
(5)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문제점
① 행정가와 교사를 위한 지원 구조 결여
② 획일적 일치성 강조하므로 창조성 감소
③ 교사의 시간부족
④ 잘 훈련된 교사 부족
⑤ 위협적인 학교 분위기, 재정부족 등
(6)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문제점에 대한 방안
- 교육과정 관련 권한을 학교에 대폭 이양하고, 교장 및 교사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관심과 지식, 능력을 지니며, 이를 발휘할 수 있는 여건 마련
4. 국가, 지역,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 사전적 의미 : 어떤 대상의 가치나 질, 또는 값을 판단하는 행위
- 학교 교육과정의 정의, 평가의 의미와 해석에 따라 범위와 정의가 달라짐
5. 학교 교육과정의 평가
-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발과 실천은 국가와 지역, 학교, 개별교사에 이르는
교육과정 주체들 간의 연결망에 의해 이루어짐
6. 교과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제
-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것은 각과의 교과 교육과정
-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 3대 영역 중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것이 교과이기 때문
1 von 16

Recomendados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von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슬기 이
2.9K views16 Folien
สรุปกิจกรรม เรื่องเล่าชาวสภา2558 โครงการประชุมสัมมนาสภานักเรียน von
สรุปกิจกรรม เรื่องเล่าชาวสภา2558 โครงการประชุมสัมมนาสภานักเรียนสรุปกิจกรรม เรื่องเล่าชาวสภา2558 โครงการประชุมสัมมนาสภานักเรียน
สรุปกิจกรรม เรื่องเล่าชาวสภา2558 โครงการประชุมสัมมนาสภานักเรียนDuangnapa Inyayot
2.1K views7 Folien
التقرير العلمي الجودة في التعلم الالكتروني von
التقرير العلمي الجودة في التعلم الالكترونيالتقرير العلمي الجودة في التعلم الالكتروني
التقرير العلمي الجودة في التعلم الالكترونيصالح المالكي
5.8K views12 Folien
تحديات مراكز مصادر التعلم von
تحديات مراكز مصادر التعلمتحديات مراكز مصادر التعلم
تحديات مراكز مصادر التعلمzakiya71
4.1K views43 Folien
أسس بناء المنهج _الاساس العقدي الفلسفي von
أسس بناء المنهج _الاساس العقدي الفلسفيأسس بناء المنهج _الاساس العقدي الفلسفي
أسس بناء المنهج _الاساس العقدي الفلسفيKhadijah Alsenani
924 views22 Folien
خطة لتطوير مراكز المصادر von
خطة لتطوير مراكز المصادرخطة لتطوير مراكز المصادر
خطة لتطوير مراكز المصادرgazibasher
3.3K views35 Folien

Más contenido relacionado

Was ist angesagt?

Woods, L. Reading between the lines: Information literacy in engineering educ... von
Woods, L. Reading between the lines: Information literacy in engineering educ...Woods, L. Reading between the lines: Information literacy in engineering educ...
Woods, L. Reading between the lines: Information literacy in engineering educ...IL Group (CILIP Information Literacy Group)
32 views15 Folien
نظرية أوزوبل von
نظرية أوزوبلنظرية أوزوبل
نظرية أوزوبلRoudaynaKhcheich
8K views34 Folien
التقويم التربوي von
التقويم التربويالتقويم التربوي
التقويم التربويEssaid Ouazzouz
20.5K views5 Folien
ملخص علوم التربية von
ملخص علوم التربيةملخص علوم التربية
ملخص علوم التربيةyoussefhalloumi75
1.8K views12 Folien
تخطيط وإعداد الدرس von
تخطيط وإعداد الدرستخطيط وإعداد الدرس
تخطيط وإعداد الدرسalaseel56
46.5K views18 Folien
عرض مقارن لمواصفة مؤشرات الاداء في المكتبات العامة von
عرض مقارن لمواصفة مؤشرات الاداء  في المكتبات العامةعرض مقارن لمواصفة مؤشرات الاداء  في المكتبات العامة
عرض مقارن لمواصفة مؤشرات الاداء في المكتبات العامةosama gharieb
1.8K views28 Folien

Was ist angesagt?(16)

التقويم التربوي von Essaid Ouazzouz
التقويم التربويالتقويم التربوي
التقويم التربوي
Essaid Ouazzouz20.5K views
تخطيط وإعداد الدرس von alaseel56
تخطيط وإعداد الدرستخطيط وإعداد الدرس
تخطيط وإعداد الدرس
alaseel5646.5K views
عرض مقارن لمواصفة مؤشرات الاداء في المكتبات العامة von osama gharieb
عرض مقارن لمواصفة مؤشرات الاداء  في المكتبات العامةعرض مقارن لمواصفة مؤشرات الاداء  في المكتبات العامة
عرض مقارن لمواصفة مؤشرات الاداء في المكتبات العامة
osama gharieb1.8K views
مقارنة بين خصائص التنظيمات الأساسية للمناهج von Magdy Aly
مقارنة بين خصائص التنظيمات الأساسية للمناهجمقارنة بين خصائص التنظيمات الأساسية للمناهج
مقارنة بين خصائص التنظيمات الأساسية للمناهج
Magdy Aly9.9K views
دليل المرشد الطلابي von Schoolalkhlij
دليل المرشد الطلابيدليل المرشد الطلابي
دليل المرشد الطلابي
Schoolalkhlij32.4K views
الخرائط الذهنية في التعليم von MarwaBadr11
الخرائط الذهنية في التعليمالخرائط الذهنية في التعليم
الخرائط الذهنية في التعليم
MarwaBadr11390 views
1 تفعيل مصادر التعلم von samer saleem
 1 تفعيل مصادر التعلم 1 تفعيل مصادر التعلم
1 تفعيل مصادر التعلم
samer saleem25.6K views
نموذج تطبيقي لدرس بطريقة التعلم التعاوني von emadxman
نموذج تطبيقي لدرس بطريقة التعلم التعاونينموذج تطبيقي لدرس بطريقة التعلم التعاوني
نموذج تطبيقي لدرس بطريقة التعلم التعاوني
emadxman64.7K views
بيئة التعلم و الأنشطة التعليمية von امل العايد
بيئة التعلم و الأنشطة التعليميةبيئة التعلم و الأنشطة التعليمية
بيئة التعلم و الأنشطة التعليمية
امل العايد2.6K views
Ballér endre tantervelméletek magyarországon a xix von BCSN
Ballér endre tantervelméletek magyarországon a xixBallér endre tantervelméletek magyarországon a xix
Ballér endre tantervelméletek magyarországon a xix
BCSN2.8K views

Similar a 교육과정1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von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시진 유
823 views29 Folien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von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시진 유
356 views30 Folien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von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시진 유
200 views30 Folien
제 6장 von
제 6장제 6장
제 6장Seung Hee Lee
255 views22 Folien
제 6장 von
제 6장제 6장
제 6장Seung Hee Lee
148 views22 Folien
제 6장 von
제 6장제 6장
제 6장Seung Hee Lee
226 views22 Folien

Similar a 교육과정1(20)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von 시진 유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시진 유823 views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von 시진 유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시진 유356 views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von 시진 유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시진 유200 views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von 시진 유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시진 유275 views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von tngml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tngml921 views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von 201325025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2013250251.7K views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von 은영 장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은영 장3K views
교육과정 요약 von 201325004
교육과정 요약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
201325004935 views
교육과정 요약 von 201325004
교육과정 요약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
2013250046.6K views
교육과정Ppt von Nara Lee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
Nara Lee2K views
102~143p박선미 von 선미 박
102~143p박선미102~143p박선미
102~143p박선미
선미 박1.1K views
교육과정 von Nara Lee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Nara Lee464 views
교육과정 von Nara Lee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Nara Lee4K views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von 21ERICK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21ERICK4.6K views

교육과정1

  • 1. 제 5장.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201325010 박가영
  • 2. 1.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 * 국가수준 교육과정이란? - 교육에 대한 국가의 의도를 담은 문서 내용 1)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구체적 특성 - 국가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교, 개인수준의 다양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과정 - 학생중심의 교육과정 - 교육청과 학교, 교원, 학생, 학부모가 함께 실현해 가는 교육과정 - 학교 교육체제를 교육과정중심으로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정 - 교육의 과정과 결과의 질적 수준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교육과정
  • 3. 2) 우리나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의 구체적 특성 -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10년, 7년, 5년을 주기로 개정되어 왔음 - 최근에는 개선이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개정 - 현대 및 미래 사회는 질적, 양적인 측면에서 그 변화의 속도가 매우 빠름
  • 4. 2. 지역수준 교육과정 개발 * 지역수준 교육과정이란? - 교육에 대한 지역의 의도를 담은 문서 내용 - 국가 수준의 기준과 학교의 교육과정을 연결하는 교량역할 * 지역수준의 교육과정의 목적 - 각 시・도와 지역의 특성, 필요 등 제 요인을 조사, 분석하여 전국 공통의 일반적 기준인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조정, 보완하며 그 결과를 학교 교육과정에 반영하는데 목적 * 각 시・도 교육청의 역할 - 각 시・도 교육청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해석을 통해 지역의 특성에 부합하도록 새롭게 조정해야 하는 역할
  • 5. * 교육과정 개발이 중앙에서 이루어 질 때 * 지역수준의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 장점 :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 지역 교육청의 교육문제 해결능력 신장 교육과정 전문성 증진 장점 단점 - 통일된 전달체제 제공 - 교육과정 표준화 - 부족한 자원의 할당과 분배 평등 - 시작 절약 - 계속성 보장 - 전문성 강조 - 학교와 체제를 긴밀히 연결 - 교사가 주도할 기회가 거의 없음 -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 어려움 - 교육과정의 표준화와 운영의 획일화 증진
  • 6. *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장단점 - 장점 : 학교의 자율성 증진 교육과정 개발의 분권화 촉진 - 단점 : 시간, 인력, 비용 등의 부족으로 질이 낮아짐 지역간의 교육 격차가 심화될 수 있는 위험이 있음 1) 우리나라 지역수준의 교육과정 - 국가수준에서는 각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편성 ・ 운영 지침은 시・도 교육청 및 지역교육청에서 작성 - 교육과정 편성 ・ 운영지침을 토대로 단위학교의 설정에 맞게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 * 교육과정 편성 ・ 운영지침을 작성하는 목적 - 적합성 측면 : 지역의 특성에 알맞은 교육과정 개발하고 운영 - 효율적 측면 :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의 효과적, 효율적 운영
  • 7. * 교육과정 개발 시・도 지침의 편성 절차 단계 ① 교육과정 위원회 구성・운영 ② 기초 조사・연구 ③ 편성・운영 지침시안 작성 ④ 편성・운영 지침시안의 검토・확정 ⑤ 편성・운영 지침의 운영 ⑥ 자료 개발의 보급과 지침의 평가 *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① 실무 위원회 조직 ② 기초 조사・연구 ③ 편성・운영 지침 작성 ④ 지침안의 심의・확정 ⑤ 지침의 적용 ⑥ 지침의 평가
  • 8. 2) 지역 교육청의 편성・운영지침 개발 절차 - 국가 교육과정 기준과 시・도 교육청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토대로 해당 지역의 다양한 인적, 물적, 자원을 고려하여 학교 교육과 정의 편성과 운영에 실질적인 지원과 도움 제공 필요 * 시・군・구 교육청의 가장 핵심적인 업무 - 단위 학교에서 효율적인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도모하기 위한 자원 3) 우리나라 지역수준 교육과정의 장・단점 - 장점 : ①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시・도 및 기・군・구 지역교육청의 교육문제해결 능력 신장 ② 교육관련 전문성 신장 - 단점 : ① 시간, 인력, 비용 등의 부족으로 교육과정 자체 질적 수준 저하 ② 지역간의 교육 격차 심화될 위험성
  • 9. 3.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 * 학교수준 교육과정이란? - 학교의 실태를 반영하고 학부모와 학생들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하여 교육에 대한 학교의 의도를 담은 문서 내용 - 해당 학교의 교육목표와 교육중점 등이 치밀하게 반영되고, 그 학교의 교육내용, 방법과 운영방식이 특색있게 나타나 있어 각 학교가 다양한 교육의 모습을 보일 수 있게 편성・운영되어야 함 - 학습자의 ‘교육경험의 질’을 관리하는 구체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계획을 의미하는 실천적, 포괄적인 개념으로 보아야 함
  • 10. 1) 학교 교육과정의 필요성 ① 교육의 효율성 제고 ② 교육의 적합성 제고 ③ 교육의 자율성과 전문성의 신장 ④ 교육의 다양성 추구 ⑤ 학습자중심 교육구현 2) 우리나라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① 연구단계 : 기초적 과학적 탐구, 문제조사, 자료 수집 ② 개발단계 : 발명과 고안, 제작과 생산, 실험과 평가 ③ 보급단계(확산・채택단계) ・확산 – 촉진, 정보를 알려줌, 전시, 훈련을 도와줌, 서비스 교육 ・채택 – 인식, 관심, 평가, 시도, 장치, 채택, 제도화 - 교육과정에 대한 의사결정에 교사 참여
  • 11. (1) 제 1차~제 6차 교육과정기의 책무성의 변화 교육부 시・도 교육청 학 교 * 교육과정 행정체제의 변천 국가 수준 교육과정(교육부) 학교 시・도 교육청 제 1차 제 2차 제 3차 제 4차 제 5차 제 6차 제 7차 교과 중심 (1954) 생활 중심 (1963) 학문 중심 (1973) 인간 중심 (1981) 교과 중심 (1954) 교육과정의 역할분담 (1992) 교육과정의 균형・조화 (1997) 중앙집권형 교육과정 체제 (교과서 중심 학교교육) 교육부・교육청・학교의 역할 분담 체제 (교육과정 중심 학교교육)
  • 12. (2) 제 7차 교육과정의 학교 교육과정 개발 - 교육방법(기법중심) 주류의 구성주의 이론에 관한 논의를 교육내용(내용중심)의 논의로 전환할 수 있는 또 다른 시각 제공 (3) 2007년 교육과정 개정안 ① 현행 제 7차 교육과정의 철학과 기본 체제를 유지함으로써 국가 교육과정의 안정성을 추구하고자 함 ② 교육과정 편성・운영권 강화 지역과 단위학교의 여건과 실정에 따라 교육과정 편성・운영하도록 함 ③ 교원단체, 학회 등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된 국가・사회적 요구사항 수용하여 반영하고자 함 ④ 입시 위주의 편중선택을 방지하고 인성교육을 강화하고자 함 ⑤ 각 교과별 교육내용의 적정화를 구현하고자 함 ⑥ 주 5일 수업제, 월 2회 실시에 따라 수업시수를 일부 조정하고자 함
  • 13. 3) 학교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 - 지역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운영과 함께 단위학교의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지원을 위한 다양한 조치를 취하는 것 * 학교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지역 교육청의 역할 - 실천 중심 장학 자료 제시 - 학교 교육 과정의 운영 지원 4) 학교의 편성 역할 - 단위학교는 국가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이 이루어지는 최종적인 단계 - 각 학교는 학교 교육과정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계획을 수립하여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계획을 수립하여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을 위한 계획을 세움
  • 14. (1) 학교 교육과정위원회 조직과 편성 계획 수립 - 기존 각종 학교 조직이나 협의회를 활용할 수 있음 - 업무 분담하여 운영할 수 있음 - 교육전문기관의 교수나 자문위원화 함께 연계하여 추진하는 방법 강구 (2)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성격 - 학교 교육과정은 보다 역동적, 적극적 (3)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요령 ① 학교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조직 필요 ② 기초 조사연구를 하여 그 결과를 분석 검토 ③ 결과를 토대로 학교 교육과정에 반영시켜야 할 상황 추출하여 분류 정리 ④ 학교교육과정 시안작성 ⑤ 시안이 작성되면 시안분석 검토연구팀에 넘겨 세밀하게 심의 ⑥ 심의결과 발견된 문제점과 개선점을 수정, 보완 후 최종확정 정리 ⑦ 교육목표, 내용의 개선에 반영시킴
  • 15. (4)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이점 ① 학교의 여건, 학생, 학부모의 요구에 적합한 교육과정이 될 수 있음 ②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계기 마련 ③ 중앙집권적 교육과정 개발이 초래하는 획일성 문제 극복 ④ 실제 수업현장에서 계획대로 적용되고 실천될 가능성이 커짐 (5)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문제점 ① 행정가와 교사를 위한 지원 구조 결여 ② 획일적 일치성 강조하므로 창조성 감소 ③ 교사의 시간부족 ④ 잘 훈련된 교사 부족 ⑤ 위협적인 학교 분위기, 재정부족 등
  • 16. (6)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문제점에 대한 방안 - 교육과정 관련 권한을 학교에 대폭 이양하고, 교장 및 교사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관심과 지식, 능력을 지니며, 이를 발휘할 수 있는 여건 마련 4. 국가, 지역,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 사전적 의미 : 어떤 대상의 가치나 질, 또는 값을 판단하는 행위 - 학교 교육과정의 정의, 평가의 의미와 해석에 따라 범위와 정의가 달라짐 5. 학교 교육과정의 평가 -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발과 실천은 국가와 지역, 학교, 개별교사에 이르는 교육과정 주체들 간의 연결망에 의해 이루어짐 6. 교과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제 -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것은 각과의 교과 교육과정 -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 3대 영역 중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것이 교과이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