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ese Präsentation wurde erfolgreich gemeldet.
Die SlideShare-Präsentation wird heruntergeladen. ×

2017 상반기 미디어 이슈

Anzeige
Anzeige
Anzeige
Anzeige
Anzeige
Anzeige
Anzeige
Anzeige
Anzeige
Anzeige
Anzeige
Anzeige
Nächste SlideShare
나스리포트 270호 total
나스리포트 270호 total
Wird geladen in …3
×

Hier ansehen

1 von 26 Anzeige

Weitere Verwandte Inhalte

Diashows für Sie (20)

Anzeige

Ähnlich wie 2017 상반기 미디어 이슈 (20)

Weitere von Nasmedia (20)

Anzeige

Aktuellste (20)

2017 상반기 미디어 이슈

  1. 1. 2014 2015 2016 2017(E  2017년디지털 동영상 광고시장은 전년대비약22% 성장한5,500억원전망, 디지털동영상 소비증가로 높은성장률 유지  전체광고 시장내디지털 동영상광고 비중상승하며 지상파TV의 1/3수준으로 성장했으며, 프리미엄 효과가 점차약해지는 지상파TV와 대비 광고시장내영향력확대하는디지털동영상광고 디지털동영상(PC+Mobile)광고시장규모 [단위:억원] 1,878 4,512 2,794 *출처:광고시장과방송광고시장의5가지이슈(제일기획) 전체광고시장내지상파TVvs.디지털동영상비중 1.9 2.6 4.1 4.9 19.5 18.4 15.2 15.1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E) 지상파TV 디지털 동영상 [단위:%]
  2. 2. 디지털동영상 커버리지 Mobile76% PC50% 디지털동영상커버리지 유튜브 네이버 페이스북 카카오톡 다음 인스타그램 아프리카TV 모바일내동영상서비스 이용시간비중 디지털동영상시청채널 2013.3 2015.3 2017.3 8.2% 5.6% 2.9% 디지털동영상커버리지90%,모바일중심으로이용증가  디지털 동영상은 보편적인 서비스로 높은커버리지를 확보하고 있으며, 특히모바일 동영상 서비스이용 시간은지속적으로 증가  동영상 시청시이용하는 채널은 유튜브가 압도적인 우위를나타냈으며, 포털(네이버, 카카오)과 SNS(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에서동영상을 주로시청 *출처:2017NPR,Remix커스텀데이터(나스미디어),닐슨코리안클릭 81.3 60.2 39.0 32.0 20.8 18.4 13.7 [N=1,753,중복응답,단위:%] (인터넷이용자타깃모집단기준)
  3. 3. WEB APP WEB/APP 포털다음 카카오톡 PC,모바일,메신저 네이버와카카오,동영상경쟁력강화를위한플랫폼통합으로모바일최적화  네이버와 카카오는 PC,모바일 및메신저기반 동영상서비스를 각각 ‘네이버TV’와‘카카오TV’로 개편, 모바일 동영상사용성 개선에 중점을두고 서비스 통합  네이버TV는 이용편의성 강화와프리미엄 콘텐츠 제공, 카카오TV는 카카오톡을 통한소통과 인기크리에이터 콘텐츠, 실시간 방송에 집중하며 차별화 *출처:관련기사 네이버TV&카카오TV
  4. 4. 실시간동영상서비스의성장과수익화가능성:창작자후원제와중간광고 이용자 크리에이터 플랫폼 유튜브,카카오TV라이브–창작자후원제  유튜브와 카카오는 창작자와 이용자의 실시간 소통과팬덤을 활용한 후원제를 도입, 인기창작자의 콘텐츠를 확보함으로써 이용자 충성도강화 유도  안정적인 이용자를 확보한 페이스북 라이브는 영상제작자와 광고 수익을 쉐어하는 중간광고를 테스트, 기존뉴스피드 광고 외새로운수익 모델도입으로 매출확대 예상  실시간 동영상서비스에 창작자 후원시스템과 중간광고 등을 도입함으로써 플랫폼 안정화와 수수료 및광고를통한 수익다양화 기대 후원제 유튜브슈퍼챗 카카오TV라이브-쿠키 개당금액 1,000원~5만원 100원 수수료 비공개(업계추정30%) 등급제(10~30%) 라이브동영상 중간광고 라이브동영상 페이스북–라이브동영상내중간광고 조 건 팔로우2,000명이상,동시시청자300명이상확보 방 식 라이브방송시작후4분이후부터매5분마다10~15초광고 수수료 영상게시자에게55%지급 *출처:관련기사 (작년대비)
  5. 5. 오리지널콘텐츠확보/제작 동영상콘텐츠유통 유료(구독료,콘텐츠이용료등) 무료(광고기반간접과금) VLIVE+ 채널플러스스티커 유료구독형서비스 월7,900원 월35달러 유료TV스트리밍서비스 유료멤버십프리미엄콘텐츠 스티커댓글아이템 YG엔터와협업으로‘달려라빅뱅단’공개 봉준호감독‘옥자’,김은희작가‘킹덤’,천계영작가‘좋아하면울리는’ 스노우의 ‘플레이스튜디오’ 등을 통해 영상 콘텐츠 제작 로엔엔터테인먼트‘크리스피스튜디오’설립으로스낵콘텐츠제작 오리지널콘텐츠기반유료비즈니스모델도입확대 ‘애타는로맨스’,‘지숙이의혼밥연구소’등자체제작콘텐츠확대 *출처:관련기사  유튜브는 유료멤버십 서비스인 ‘유튜브 레드’국내출시, 광고없는 영상 시청과전용 콘텐츠제공으로 유료 가입자확대 유도  유명연예인의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네이버 V는콘텐츠 판매및유료 멤버십서비스를 도입하며 수익 모델확대, 국내외 동영상 시장적극공략  동영상 시장의주도권 확보와 수익화수단으로 오리지널 콘텐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독점콘텐츠 확보및제작을 위한동영상 플랫폼 경쟁이더욱 치열해질 전망 오리지널콘텐츠제작과유료모델도입
  6. 6. 글로벌인공지능시장전망 국내인공지능시장전망  PC와스마트폰에 이은차세대 플랫폼으로 주목 받고있는 인공지능(ArtificialIntelligence)은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급부상하며 시장 규모도 급성장  국내 인공지능 시장은 음성인식 및 통번역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미디어, 교육, 의료, 자동차 등다양한 영역으로 확장중 차세대플랫폼으로부상한인공지능시장성장 음성인식 및통번역 영상처리 및영상인식 소프트웨어 및알고리즘 2014년 2020년 1.4조 3.5조 4.2조 3.4조 1.4조1.3조 [단위:원] *출처:BBC리서치,KT경제경영연구소보고서
  7. 7. 2016년12월 2017년1월 2017년2월 2017년3월 2017년4월 2017년5월 3만 4만 5만 6만 5만 8만 2만 1만 네이버인공지능서비스이용자 인공지능비서스피커판매량 *출처:닐슨코리안클릭데이터및관련기사 2016년8월 2017년5월 5월8일주 6월12일주  인공지능 기술은 초기개발단계를 넘어다양한 형태의 제품및서비스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미생활속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음  인공지능이 적용된 번역앱과 음성인식 비서스피커 등음성인식과 통번역 분야에서 이용자가 빠르게증가 실생활로들어온인공지능,다양한서비스로소비자접점확대
  8. 8. 네이버vs.카카오인공지능콘텐츠추천서비스 포털,인공지능기술도입으로개인맞춤형콘텐츠추천서비스고도화  네이버는 학습을 통해고도화되는 AiRS와 딥러닝기술을 통해여행지를 추천하는 ConA,콘텐츠에 대한피드백에 인공지능을 적용해 콘텐츠를 추천하는 디스코 앱을공개  카카오는 개인의 콘텐츠소비 패턴을분석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하는 루빅스 알고리즘을 플랫폼에 확대적용, 이용자특성에 따라각기 다른콘텐츠를 노출  포털은 인공지능을 적용한 개인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여 플랫폼 내이용자와 트래픽을 증대시키고, 축적된데이터를 기반으로 타깃팅 광고고도화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 *출처:관련기사
  9. 9. 인공지능플랫폼선점을위한음성인식비서서비스경쟁  차세대 플랫폼으로 부각한 인공지능 플랫폼의 주도권확보를 위해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인터페이스인 음성을 활용한 인공지능 비서서비스 경쟁본격화  국내인공지능 비서 시장은통신사를 중심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통신사는 인공지능 스피커를 구심점으로 IoT(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시장까지 확대 진출할 것으로 예상  네이버와 카카오는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범용성높은 인공지능 비서플랫폼을 구축하며 기존서비스 강화와 인공지능 생태계구축을 모색  출시일 : 2016년9월  판매량 : 약 10만대(2017년5월 기준)  특징 : 스피커형  출시일 : 2017년1월  판매량 : 약 10만대(2017년5월 기준)  특징 : IPTV셋톱박스형  출시일 : 2017년5월  판매량 : 약 60만대(2017년4월 기준)  특징 : 갤럭시 S8 선탑재  출시일 : 2017년9-10월출시 예정  특징 : 네이버 인공지능 서비스 클로바 탑재 음성기반으로 일정관리 및 콘텐츠 연동  출시일 : 2017년5월  특징 : 음성인식 기반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션 검색, 콘텐츠, 번역, 일정관리 기능 제공 국내인공지능비서서비스현황 *출처:관련기사
  10. 10. 국내주요ICT업체의인공지능서비스영역확장 다양한영역으로확장하며발전하는인공지능생태계  이용자 데이터를 확보한포털 사업자와 구축된인프라를 기반으로 이용자 확대가 용이한통신사업자 간치열한인공지능 플랫폼 경쟁예상 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이용편의성 강화와 기존서비스 고도화뿐만 아니라자율주행차, 홈IoT,로봇 등신규사업영역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하며 인공지능 생태계확산에 주력  인공지능 시장은 업체간경쟁과 협력을통해 지속적인 규모의확장과 질적성장이 이뤄질 것으로보임
  11. 11. 14.9 24.5 34.7 42.8 30.4 29.4 30.2 30  국내온라인 쇼핑시장은 매년두자릿수 성장률을 유지하며 지속성장, 전체유통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꾸준히 증가  2017년온라인 쇼핑시장은 작년대비 11%성장한 72.8조원예상, 모바일 쇼핑시장은 작년처음으로 PC를넘어서며 온라인 쇼핑시장 성장의견인차 역할 모바일커머스시대,온라인쇼핑시장의성장을주도하는모바일쇼핑 국내유통시장규모및온라인쇼핑시장비중 [단위:조원] PC 쇼핑 거래액 모바일 쇼핑 거래액 2014 2015 2016 2017(E PC쇼핑거래액vs모바일쇼핑거래액 [단위:조원] 361.2 369.2 384.9 2014 2015 2016 *출처:통계청
  12. 12. [N=1,825,단위:%] 상품검색/탐색및결제인터넷유형 온라인/모바일쇼핑채널 [N=1,825,중복응답,단위:%]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포털 종합쇼핑몰 기타 79.2 67.5 43.7 41 4.3  인터넷 이용자대부분은 온라인 쇼핑경험이 있으며, 상품탐색과 검색, 결제등쇼핑의 전과정에서 모바일 중심의쇼핑 이용패턴을 보임  단일플랫폼에서 원스톱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커머스’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각, 최적의쇼핑 경험제공으로 쇼핑시장 내매출확대하려는 업체들의 경쟁 치열 상품검색부터결제까지모바일중심의쇼핑이용행태보편화 모바일만 모바일 위주 비슷한 수준 PC 위주 PC만 *출처:2017NPR(나스미디어)
  13. 13.  압도적인 검색점유율을 확보한 네이버는 검색-쇼핑-결제 기능연계로 플랫폼 내이용자락인과 검색광고 매출및쇼핑몰 입점수수료 등의수익 확대모색  카카오는 카카오톡의 접근성을 기반으로 장보기와 주문하기 서비스를 도입하며 커머스 기능강화, 플러스친구 중심의 기능통합으로 온라인 쇼핑플랫폼으로서 역량확대  인지-탐색-구매-결제까지 쇼핑의 전과정을 플랫폼내에서 구현하고, 축적된 이용자데이터를 활용한 개인화된 맞춤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온라인쇼핑 시장내지배력 강화에주력 네이버-‘검색’,카카오-‘메신저’를기반으로커머스기능강화 네이버커머스기능강화 카카오커머스기능강화 *출처:관련기사
  14. 14.  IT기업이커머스 기능을 강화함에 따라기존유통 사업자는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IT 기술접목으로 고객경험 차별화전략 구사  인공지능 기반대화형 챗봇으로 개인맞춤 상품추천, 문의 응대, 주문확인과 배송조회 등이가능하며, 개인화 마케팅으로 소비자의 구매활성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  가상·증강현실 기술과 서비스의 결합은 소비자에게 간접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새로운쇼핑 경험제시, 온오프라인 연계로옴니채널 확장 토대마련 온·오프라인쇼핑사업자,인공지능과가상현실등기술도입으로서비스고도화 쇼핑업계의IT기술도입사례 롯데닷컴–스타일추천 네이버-쇼핑카메라 현대백화점–VR스토어 리복-VR스토어 롯데백화점-3D가상피팅 MEH–스마트스토어 한샘–증강현실앱 롯데하이마트–증강현실쇼룸 11번가–바로 신세계백화점–S마인드 *출처:관련기사
  15. 15.  텍스트나 이미지보다 높은 전달력과 몰입감을 제공하는 동영상콘텐츠의 장점을 활용하여 구매까지 연결하는 쇼핑트렌드 확산  상세한 제품설명과 흥미있는영상은 간접체험의 기회와 구매욕구를 증대시켜 브랜딩뿐만 아니라실제 구매까지 유도하는 효과를나타냄  주소비층인 2030세대와 모바일영상을 보고구매하는 소비자를 공략하고자 온라인쇼핑 사업자뿐만 아니라SNS, 동영상플랫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추세 동영상과쇼핑을결합한비디오커머스,다양한플랫폼에서도입확산 출처:페이스북블로그,관련기사 동영상과커머스의결합 BUY VIDEO 페이스북 ‘샵 섹션’ 티켓몬스터 ‘TVON’ 피키캐스트‘지름유발쇼’ 동영상과커머스를결합한플랫폼
  16. 16. APAC국가별프로그래매틱광고비중및평균성장률 인도네시아 베트남 대한민국 홍콩 대만 중국 일본 프로그래매틱광고비중 평균성장률 20% 40% 60% 80% 100% *출처:ProgrammaticForecast,MAGNAGLOBAL(2015)  한국의 디지털 광고 시장내프로그래매틱 광고시장 점유율은 낮은 수준이나, 성장률 면에서는 타국가대비 비교적 높게 나타남  프로그래매틱 광고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증대와 국내상황에 맞춘 기술 적용으로 국내 프로그래매틱 광고시장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 국내프로그래매틱광고시장의성장잠재력
  17. 17. Q. 유해한콘텐츠에노출되는것을 사전에차단할수없을까? Q. 잠재고객을대상으로효율적인 캠페인진행이가능할까? Q. 지면퀄리티를확보하여 메시지를전달할수없을까?  사전구분된라벨에따라노출콘텐츠제어  유해콘텐츠를사전차단하여안정성확보  실제유저에게보여진노출만인정되도록제어  ADFraud를차단하고비용효율성확보  인벤토리제어가어려운RTB방식의대안  프리미엄지면에대한선택적구매가능 일반 아동 청소년 성인 Content Labeling Sensitive Category Filtering 성인/도박/혐오/민감한정치적이슈/불법다운로드 해킹/주류/마약등유해한카테고리필터링가능 Viewable Impression Report 제공 Viewability % 비중 제어 가능 AD Position(상단/하단)사전 제어 가능 전문 Verification Service 활용 가능 공개 입찰 (Open Auction) 비공개 입찰 (Private Auction) 우선 거래 (Preferred Deal) 보장형 거래 (Programmatic Guaranteed) 프로그래매틱광고,변화하는광고시장에최적화된플랫폼환경구축  최근유해 콘텐츠내광고 노출방지, 핵심 오디언스 확보와선호 매체중심의 메시지전달 등캠페인고도화와 관련된 다양한 요구증가  프로그래매틱 광고는기존 매체구매/집행 방식의장점과 기술적 대안을통해 광고주의 브랜드보호는 물론다양한 목적에 맞는선제적인 대응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음 캠페인고도화를위한선제적대응기술
  18. 18. Demand-Side Platform 캠페인 설계/최적화 등 전문화된 운영 서비스 제공 Data Management Platform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해 유의미한 고객 탐색 AD Exchange 다양한 형태의 인벤토리에 대한 선제적 제어/관리 Supply(Sell)-Side Platform 광고주 필요에 맞는 효율적인 지면 선정 트레이딩데스크의역할 다양한캠페인목표달성을위한‘트레이딩데스크(TradingDesk)’중요성부각  트레이딩 데스크(TradingDesk)는데이터 수집, 목적에 맞는오디언스 설계와 집행, 캠페인 최적화에 이르는 제반과정을 총괄하는 전문조직을 의미  프로그래매틱 바잉시장의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활용하고 다양한 광고주의 니즈에부합하는 캠페인을 운영할 수있는트레이딩 데스크(TradingDesk)의역할과필요성이 국내광고 시장에서 점차중요해지고 있음
  19. 19. NTD(NasmediaTradingDesk)특장점 나스미디어,프로그래매틱바잉전문트레이딩데스크‘NTD’런칭  나스미디어는 다변화하는 광고시장 환경에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축적된 프로그래매틱 바잉 역량을기반으로 ‘NTD(NasmediaTradingDesk)’공개  NTD는구글 DBM,MediaMath,TURN등검증된 글로벌DSP를활용하여 효율적인 통합 바잉을제공하는 전문적인 트레이딩 데스크 서비스로 다양한 오디언스 타깃팅, BrandSafety,Viewability,프로그래매틱 다이렉트 등을적용하여 캠페인 효율극대화가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