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K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 학급경영의 개념과 영역 및 원리를 제시하고 ,
교사 자신이 실천할 수 있는 학급경영의 원리를 안다.
1. 학교 경영계획
1) 학교경영의 정의와 원리
2) 학교경영의 영역과 과정
3)학교경영계획 수립의 실제
4)학교경영평가
2.학급경영계획
1)학급경영의 이론
2)담임교사의 임무
3)학급경영의 실제
☞ 김종철 외 (1991:27)→ 학교경영이란 단위학교, 특히 초•중등 학교에 있어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인적•물적, 기타
지원조건을 정비•확립하며 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과 결정, 집행과 지도,
통제와 평가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봉사활동을 지칭하며 학교 조직 내에서의 집
단적 협동행위를 위하여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본질로 하는 작용.
☞ 김윤태(1986:424)→ 교육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교장과
교직원 집단이 협력하여 수행하는 조직적 활동이며 총괄적 작용.
☞ 서정화(1988:15) → 학교의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제반 자원들
을 확보하여 이를 배분하고 조정하며 평가하는 일련의 활동 내지 행위.
첫째, 교장의 주관적 이상적 관점, 전개∙운영하는 데 관한 근본적이고
배려, 객관적∙법규적 관점에서 교육의 조건 내지 상태 유지.
둘째. 경영자의 창의적 기능으로 자주적 자율적, 교육법규와 상부의
지시에 따라 의존적 타율적 제 조건과 시설을 정비∙운용
셋째, 학교운영의 최고방침을 결정, 아동을 교육하는데 필요, 인적∙물
적∙재정적 자원
넷째, 교육법규에 의한 학교의 설립운영 및 지도∙감독이 학교 관리
1) 타당성의 원리
- 학교교육 목표에 부합되는 경영활동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합목적성의
원리
2) 합법성의 원리
- 헌법 제 31조의 규정을 비롯하여 교육기본법과 초 중등교육법 들 교육관련
법률과 명령, 조례, 규칙 등에 의거하여 집행
3) 민주성의 원리
- 학교경영의 책임은 궁극적으로 교장에게 있지만, 교장 한 사람의 지시나 명
령으로 학교를 운영하는 것보다는 교직원회를 비롯한 각종위원회를 통하여
여러 사람의 아이디어와 지혜를 모아 계획하고 실천과 평가하는 것.
4) 자율성의 원리
- 자율성은 개인적 자유와 기관의 자율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규정할 수 있
으나 보다 협의로는 기관
5) 능률성의 원리
- 주장할 때 장기적 평가에 의한 능률과 단순한 경제적 능률보다는 구성원의 만
족 내지 욕구충족을 높이는 사회적 능률을 더욱 강조.
6) 과학성의 원리
- 합리적인 계획과 체계적인 운영 및 과학적인 평가가 실현되어야 함.
7) 지역성의 원리
- 지역성의 원리는 사회성의 원리라고도 할 수 있는데, 그 방법으로 사회인사의
유대강화, 교육자원의 획득, 사회 개선에의 봉사 등
☞리팜과 호에(1974:10~15) 교수 프로그램, 교직원 인사, 학생인
사. 학생인사, 재정과 시설, 학교∙지역사회 관계 제시
☞허그스와 우벤(1974:2~5) 학교∙지역사회 관계, 교직원 인사개
발, 학생인사 개발, 교수 프로그램, 사무와 건물관리
☞로우와 드렉(1970:137) 수업, 교육과정, 학생, 교직원, 지역사
회, 재정, 공간
① 교육과정 운영과 장학: 교육과정의 운영문제와 시간의 편성, 교사의 교수기술
향상과 교육과정 운영 개선, 학급 및 학년경영의 합리화, 전문적 보조 활동, 수업
장학, 임상장학.
② 학생관리: 입학, 재학, 퇴학, 특히 의무취학을 위한 제 문제, 생활지도, 복지 등
③ 교직원 인사: 교직원의 채용, 능력발전, 사기 양양 문제
④ 시설• 재정관리: 교지,교사,운동장 등 제 시설이나 교제, 교구 등 제 설비, 문제,
학교를 운영•관리, 경리를 교육 실정
⑤ 사무관리: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제반 기록과 장부의 작성 및 보관, 공
문서 처리
⑥ 대외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지역사회와의 관계, 교육청과의 관계
♧ 목표를 합리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경영이 어떤 절차를 거쳐서
수행, 학교교육의 계획, 실천, 평가 라는 동태적 활동과정이 순화적으로
전개
(1)계획
목적이나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달성을 위한 최적의 수단, 방
법, 절차 등을 상정하는 행위로서 미래의 행동을 예정하고 준비
하는 일련의 과정
(2) 조직
교육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분업적 협동체제인 관
리조직을 구성하고 거기에 인적 조직은 물론 자원의 배정까지
포함
(3) 지시
지휘,명령,자극,영향,동기화,지도,교사들로 하여
교수학습지도,생활지도,학급경영 자발적으로 노력을 경주
(4) 조정
교직원의 역할과 노력, 부서의 활동 제 자원을 학교교육
목표의 달성에 이바지하도록 조화하고 통합하는 것
(5) 평가
설정된 목적에 비추어 학교경영 업무의 수행과정 및 그
결과를 분석•검토,합리성과 결과의 효율성, 과정평가,
후자를 산출평가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1)학교효과의 정의와 논의
지적•정의적•신체적 발달, 긍정 학교효과 논의의 주류, 효과적인 학교의 특성과
학교 내부,표방하는 교육목표에 대해 각각의 학교들이 어느 정도 성공적 달성.
(2)효과적인 학교의 특징
비관적인 관점, 긍정하는 연구자들이 효과적인 학교 만드는 요인, 강력한 리더
십, 높은 기대, 좋은 분위기, 부가적인 노력, 교수방법, 개인차 인정, 학생의 진
보.
(3) 학교 효과성 관련 요인
결정, 실제 유효 학습시간의 극대화, 구조화 된 수업. 학교조직과 경영, 효과적
인 교수를 위한 전제조건을 보장,
첫째, 학교가 위치한 지역 그 인근의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특성.
둘째, 학교규모, 유형, 학생의 비율 등과 같은 학생인구 구성의 특징
셋째, 학교행정기구,교사장학기구,지방교육당국과 중앙정부
넷째, 지역의 산업, 중등학교들과 교육의 소비자 또는 대표
◈기관평가는 일반적 도는 기관종합적 평가로서 특정기관 전체를 총체적인
단일규모로 하여 종합적으로 평가.
◈프로그램 평가는 의도하는 기능 바람직한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진행,
☎ 학교평가 모형
1) 목표당성 모형
2) 의사결정 접근모형
3) 체제적 접근모형
4) 가치판단 접근모형
5) 참여자 만족모형
6) 인정평가 모형
→ 형성적 기능 : 질적 개선을 기하고 프로그램, 학교의 개선, 교사는 계속
교수 기능과 수업방법을 개선, 행정능력과 관리능력을 개선 .
→ 총합적 기능 : 존폐에 관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
발생한 변화, 성취, 산물 등 프로그램이 종료.
♣학교교육의 발전을 도모, 긍정적인 측면
첫째, 짧은 시간 동안 체계적으로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시간적 여유 부족.
둘째, 투입조건의 차이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지 못하는 학교평가 방법의 문제.
셋째, 교육청마다 평가영역, 기준, 절차가 달라 국가적 수준 교육의 질을 일관성
넷째, 측정하고 합산하는 과정, 분석단위가 교사인지를 구별하지 않고
단순 합산하는 방법
1) 학급경영의 이론적 기초.
- 학급경영의 개념: 교수-학습을 통하여 교육과정의 목표를 구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 인격형성과 지식 습득의 장, 학생과 교사,넓게는 가정과 학교를 연결하는 가교적.
-학급경영의 영역: 수업과 경영을 분리하여 학급경영 파악,수업활동을 학급경영에 포함
☞ 구체적인 학급경영의 영역과 주요 활동
① 교수-학습 영역: 교과지도, 특수아지도, 가정학습 조직
②특별활동 영역: 학급활동, 클럽활동,단체 활동,학교행사 조직
③생활지도 영역: 인성지도,교우관계지도,진로상단지도,출결석지도
④교실환경 영역: 교실환경 게시, 학급시설 및 비품의 유지관리, 청소지도
⑤학급사무 영역: 학생부기록, 각종 장부관리, 성적관리
⑥대외관계 영역: 학부모 면담, 가정방문 협조 유도, 봉사활동
① 자유의 원리: 학생의 인격을 존중, 개성을 발전.
② 협동의 원리: 안전과 이익을 협동 생활 지도
③ 노작의 원리: 자기 활동.
④ 창조의 원리: 광범하고 깊은 상상력의 발.
⑤ 흥미의 원리: 원동력, 성취감.
⑥ 요구의 원리: 학생의 요구, 가정의 요구, 학생의 입장을 동시 고려.
⑦ 접근의 원리: 상호작용. 의사소통과 인격적 접근, 개인과 학급 전체 발전.
⑧ 발전의 원리: 계획된 변화.
♣학급담임의 임무 6가지
① 수업활동: 가장 큰 부분을 차지, 경험을 학습하게 할 것인가 하는 방법.
② 생활지도: 성공적인 학교생활의 전제조건.
③ 특별활동 지도: 학급 회를 포함, 학생자치활동, 소풍, 수학여행,체육대회,
수련회.
④ 학급의 교실환경 정비:쾌적하고 정돈된 교실환경과 신뢰감,
교수-학습을 안정.
⑤ 학급 사무의 처리:실질적인 학생지도보다는 학생지도기록부를 잘 작성,
행정적 전시효과, 사무적인 잡무.
⑥ 학교운영에 대한 참여: 교무회의, 교과협의회,학년회의,인사자문위원회의
구성원, 교육환경의 구성
☞ 학급운영 조직
① 총회(학급회의): 반장은 총회의 의장, 부반장은 부의장.
② 운영위원회: 의장, 부의장, 각부 부장, 자발적 지원자1~2명,결정
되고 논의된 사항은 총회에 상정.
③ 부서: 여러 활동을 영역별로 나누어 부서. 행사를 주도적으로 실
시.
① 예절지도
② 교우 관계지도
③ 3무 관계지도
④ 지각, 결석생 지도
⑤ 학교시설 이용지도
⑥ 안전사고 예방사고
⑦ 실내정숙
⑧ 바른말 고운 말 사용
⑨ 인터넷 사용지도
⑩ 유해업소 출입금지 지도
⑪ 학교 규정 지키기 지도
⑫ 일깨움 대상 학생 및 결손 가정 학생 지도
⑬ 학교 폭력 예방지도, 성희롱 성폭력 예방 지도
⑭ 흡연과 약물 오남용 예방지도, 자살예방, 가출예방 지도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1 von 22

Recomendados

제 11장 장학론 von
제 11장 장학론제 11장 장학론
제 11장 장학론혜빈 소
492 views26 Folien
Ppt forum diskusi ruang kolaborasi (1.1 filosofi pendidikan ki hadjar dewan... von
Ppt forum diskusi   ruang kolaborasi (1.1 filosofi pendidikan ki hadjar dewan...Ppt forum diskusi   ruang kolaborasi (1.1 filosofi pendidikan ki hadjar dewan...
Ppt forum diskusi ruang kolaborasi (1.1 filosofi pendidikan ki hadjar dewan...LidyaArdiyan1
846 views15 Folien
Pendidikan Inklusif von
Pendidikan InklusifPendidikan Inklusif
Pendidikan InklusifSiti Hardiyanti
1.1K views14 Folien
Aksi Nyata - Modul 2.1_Fery von
Aksi Nyata - Modul 2.1_FeryAksi Nyata - Modul 2.1_Fery
Aksi Nyata - Modul 2.1_Feryferypindasagi
2.1K views9 Folien
Menejemen sekolah inklusi F.pptx von
Menejemen sekolah inklusi F.pptxMenejemen sekolah inklusi F.pptx
Menejemen sekolah inklusi F.pptxRecklezzPalladsan
173 views9 Folien
Penilaian layanan klasikal von
Penilaian layanan klasikalPenilaian layanan klasikal
Penilaian layanan klasikalKomara Yusuf
1.9K views3 Folien

Más contenido relacionado

Was ist angesagt?

Struktur dan isi kurikulum 2013 von
Struktur dan isi kurikulum 2013Struktur dan isi kurikulum 2013
Struktur dan isi kurikulum 2013Rika Pertiwi
16.6K views105 Folien
Kanvas BAGJA prakarsa perubahan.pptx von
Kanvas BAGJA prakarsa perubahan.pptxKanvas BAGJA prakarsa perubahan.pptx
Kanvas BAGJA prakarsa perubahan.pptxKartinaKartina4
13.7K views6 Folien
Pengembangan Tujuan dan Materi Pembelajaran von
Pengembangan Tujuan dan Materi PembelajaranPengembangan Tujuan dan Materi Pembelajaran
Pengembangan Tujuan dan Materi PembelajaranNini Ibrahim01
1.1K views50 Folien
HAKIKAT PESERTA DIDIK.pptx von
HAKIKAT PESERTA DIDIK.pptxHAKIKAT PESERTA DIDIK.pptx
HAKIKAT PESERTA DIDIK.pptxalamanahislamicschoo
212 views14 Folien
Materi Presentasi Luring - Asesmen (1).pptx von
Materi Presentasi Luring - Asesmen (1).pptxMateri Presentasi Luring - Asesmen (1).pptx
Materi Presentasi Luring - Asesmen (1).pptxbetmenireng
202 views89 Folien
Pedoman wawancara von
Pedoman wawancaraPedoman wawancara
Pedoman wawancaraAlby Alyubi
21.4K views1 Folie

Was ist angesagt?(20)

Struktur dan isi kurikulum 2013 von Rika Pertiwi
Struktur dan isi kurikulum 2013Struktur dan isi kurikulum 2013
Struktur dan isi kurikulum 2013
Rika Pertiwi16.6K views
Kanvas BAGJA prakarsa perubahan.pptx von KartinaKartina4
Kanvas BAGJA prakarsa perubahan.pptxKanvas BAGJA prakarsa perubahan.pptx
Kanvas BAGJA prakarsa perubahan.pptx
KartinaKartina413.7K views
Pengembangan Tujuan dan Materi Pembelajaran von Nini Ibrahim01
Pengembangan Tujuan dan Materi PembelajaranPengembangan Tujuan dan Materi Pembelajaran
Pengembangan Tujuan dan Materi Pembelajaran
Nini Ibrahim011.1K views
Materi Presentasi Luring - Asesmen (1).pptx von betmenireng
Materi Presentasi Luring - Asesmen (1).pptxMateri Presentasi Luring - Asesmen (1).pptx
Materi Presentasi Luring - Asesmen (1).pptx
betmenireng202 views
Pedoman wawancara von Alby Alyubi
Pedoman wawancaraPedoman wawancara
Pedoman wawancara
Alby Alyubi21.4K views
Sosialisasi dan Persiapan IHT PSP 3.pptx von YudhaPrawira55
Sosialisasi dan Persiapan IHT PSP 3.pptxSosialisasi dan Persiapan IHT PSP 3.pptx
Sosialisasi dan Persiapan IHT PSP 3.pptx
YudhaPrawira55796 views
Demontrasi Kontekstual Modul 3.2.a.6 (1).pdf von NiaKurniati59
Demontrasi Kontekstual Modul 3.2.a.6  (1).pdfDemontrasi Kontekstual Modul 3.2.a.6  (1).pdf
Demontrasi Kontekstual Modul 3.2.a.6 (1).pdf
NiaKurniati591.2K views
KONEKSI ANTAR MATERI_TOPIK 3_PPDP.docx von satrioFajarP
KONEKSI ANTAR MATERI_TOPIK 3_PPDP.docxKONEKSI ANTAR MATERI_TOPIK 3_PPDP.docx
KONEKSI ANTAR MATERI_TOPIK 3_PPDP.docx
satrioFajarP302 views
PPT aksi nyata modul 1.4 budaya positif.pptx von SantiAprilia7
PPT aksi nyata modul 1.4 budaya  positif.pptxPPT aksi nyata modul 1.4 budaya  positif.pptx
PPT aksi nyata modul 1.4 budaya positif.pptx
SantiAprilia729.6K views
Lokakarya Orientasi.pptx von didimasyhudi1
Lokakarya Orientasi.pptxLokakarya Orientasi.pptx
Lokakarya Orientasi.pptx
didimasyhudi12.6K views
TABEL RANCANGAN AKSI NYATA MODUL 1.4 (3) (1) (1).docx von setiamay
TABEL RANCANGAN AKSI NYATA MODUL 1.4 (3) (1) (1).docxTABEL RANCANGAN AKSI NYATA MODUL 1.4 (3) (1) (1).docx
TABEL RANCANGAN AKSI NYATA MODUL 1.4 (3) (1) (1).docx
setiamay559 views
Jurnal Refleksi Dwi Mingguan Modul 1.1 Ayu Selvia Oke.pdf von ernisuryani3
Jurnal Refleksi Dwi Mingguan Modul 1.1 Ayu Selvia Oke.pdfJurnal Refleksi Dwi Mingguan Modul 1.1 Ayu Selvia Oke.pdf
Jurnal Refleksi Dwi Mingguan Modul 1.1 Ayu Selvia Oke.pdf
ernisuryani31.8K views
Kanvas BAGJA prakarsa perubahan (1).pptx von ACHMADHIDAYAT57
Kanvas BAGJA prakarsa perubahan (1).pptxKanvas BAGJA prakarsa perubahan (1).pptx
Kanvas BAGJA prakarsa perubahan (1).pptx
ACHMADHIDAYAT571.7K views
Lembar penilaian afektif von Risou Kun
Lembar penilaian afektifLembar penilaian afektif
Lembar penilaian afektif
Risou Kun4.5K views
RUANG KOLABORASI 3.3_SESI 2.pptx von AhmadAminollah
RUANG KOLABORASI 3.3_SESI 2.pptxRUANG KOLABORASI 3.3_SESI 2.pptx
RUANG KOLABORASI 3.3_SESI 2.pptx
AhmadAminollah551 views

Similar a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제 13장 von
제 13장제 13장
제 13장Gwakhyeonjung
479 views17 Folien
최부열 von
최부열최부열
최부열6K5XKC
585 views30 Folien
교육과정 260-292 ppt von
교육과정 260-292 ppt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parkhyemi
3.9K views27 Folien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von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201325025
1.7K views24 Folien
201225043 하은진 교육행정 11장 von
201225043 하은진 교육행정 11장201225043 하은진 교육행정 11장
201225043 하은진 교육행정 11장Songee Yang
817 views33 Folien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von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은영 장
3K views25 Folien

Similar a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20)

최부열 von 6K5XKC
최부열최부열
최부열
6K5XKC585 views
교육과정 260-292 ppt von parkhyemi
교육과정 260-292 ppt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
parkhyemi3.9K views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von 201325025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2013250251.7K views
201225043 하은진 교육행정 11장 von Songee Yang
201225043 하은진 교육행정 11장201225043 하은진 교육행정 11장
201225043 하은진 교육행정 11장
Songee Yang817 views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von 은영 장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은영 장3K views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von 21ERICK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21ERICK4.6K views
제13장 교장론 201225024 유지영 von yoojeeyoung
제13장 교장론 201225024 유지영제13장 교장론 201225024 유지영
제13장 교장론 201225024 유지영
yoojeeyoung1.4K views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von tngml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tngml921 views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von 시진 유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시진 유275 views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von 시진 유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시진 유823 views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von 시진 유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시진 유200 views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von 시진 유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시진 유356 views
교육과정Ppt von alskdmfmxk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
alskdmfmxk3.1K views
제 11장 장학론 von 혜빈 소
제 11장 장학론제 11장 장학론
제 11장 장학론
혜빈 소2.7K views
교육과정1 von qkrrkdud2
교육과정1교육과정1
교육과정1
qkrrkdud23.1K views
교육과정 von Nara Lee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Nara Lee464 views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 3. ◈ 학급경영의 개념과 영역 및 원리를 제시하고 , 교사 자신이 실천할 수 있는 학급경영의 원리를 안다.
  • 4. 1. 학교 경영계획 1) 학교경영의 정의와 원리 2) 학교경영의 영역과 과정 3)학교경영계획 수립의 실제 4)학교경영평가 2.학급경영계획 1)학급경영의 이론 2)담임교사의 임무 3)학급경영의 실제
  • 5. ☞ 김종철 외 (1991:27)→ 학교경영이란 단위학교, 특히 초•중등 학교에 있어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인적•물적, 기타 지원조건을 정비•확립하며 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과 결정, 집행과 지도, 통제와 평가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봉사활동을 지칭하며 학교 조직 내에서의 집 단적 협동행위를 위하여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본질로 하는 작용. ☞ 김윤태(1986:424)→ 교육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교장과 교직원 집단이 협력하여 수행하는 조직적 활동이며 총괄적 작용. ☞ 서정화(1988:15) → 학교의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제반 자원들 을 확보하여 이를 배분하고 조정하며 평가하는 일련의 활동 내지 행위.
  • 6. 첫째, 교장의 주관적 이상적 관점, 전개∙운영하는 데 관한 근본적이고 배려, 객관적∙법규적 관점에서 교육의 조건 내지 상태 유지. 둘째. 경영자의 창의적 기능으로 자주적 자율적, 교육법규와 상부의 지시에 따라 의존적 타율적 제 조건과 시설을 정비∙운용 셋째, 학교운영의 최고방침을 결정, 아동을 교육하는데 필요, 인적∙물 적∙재정적 자원 넷째, 교육법규에 의한 학교의 설립운영 및 지도∙감독이 학교 관리
  • 7. 1) 타당성의 원리 - 학교교육 목표에 부합되는 경영활동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합목적성의 원리 2) 합법성의 원리 - 헌법 제 31조의 규정을 비롯하여 교육기본법과 초 중등교육법 들 교육관련 법률과 명령, 조례, 규칙 등에 의거하여 집행 3) 민주성의 원리 - 학교경영의 책임은 궁극적으로 교장에게 있지만, 교장 한 사람의 지시나 명 령으로 학교를 운영하는 것보다는 교직원회를 비롯한 각종위원회를 통하여 여러 사람의 아이디어와 지혜를 모아 계획하고 실천과 평가하는 것.
  • 8. 4) 자율성의 원리 - 자율성은 개인적 자유와 기관의 자율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규정할 수 있 으나 보다 협의로는 기관 5) 능률성의 원리 - 주장할 때 장기적 평가에 의한 능률과 단순한 경제적 능률보다는 구성원의 만 족 내지 욕구충족을 높이는 사회적 능률을 더욱 강조. 6) 과학성의 원리 - 합리적인 계획과 체계적인 운영 및 과학적인 평가가 실현되어야 함. 7) 지역성의 원리 - 지역성의 원리는 사회성의 원리라고도 할 수 있는데, 그 방법으로 사회인사의 유대강화, 교육자원의 획득, 사회 개선에의 봉사 등
  • 9. ☞리팜과 호에(1974:10~15) 교수 프로그램, 교직원 인사, 학생인 사. 학생인사, 재정과 시설, 학교∙지역사회 관계 제시 ☞허그스와 우벤(1974:2~5) 학교∙지역사회 관계, 교직원 인사개 발, 학생인사 개발, 교수 프로그램, 사무와 건물관리 ☞로우와 드렉(1970:137) 수업, 교육과정, 학생, 교직원, 지역사 회, 재정, 공간
  • 10. ① 교육과정 운영과 장학: 교육과정의 운영문제와 시간의 편성, 교사의 교수기술 향상과 교육과정 운영 개선, 학급 및 학년경영의 합리화, 전문적 보조 활동, 수업 장학, 임상장학. ② 학생관리: 입학, 재학, 퇴학, 특히 의무취학을 위한 제 문제, 생활지도, 복지 등 ③ 교직원 인사: 교직원의 채용, 능력발전, 사기 양양 문제 ④ 시설• 재정관리: 교지,교사,운동장 등 제 시설이나 교제, 교구 등 제 설비, 문제, 학교를 운영•관리, 경리를 교육 실정 ⑤ 사무관리: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제반 기록과 장부의 작성 및 보관, 공 문서 처리 ⑥ 대외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지역사회와의 관계, 교육청과의 관계
  • 11. ♧ 목표를 합리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경영이 어떤 절차를 거쳐서 수행, 학교교육의 계획, 실천, 평가 라는 동태적 활동과정이 순화적으로 전개 (1)계획 목적이나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달성을 위한 최적의 수단, 방 법, 절차 등을 상정하는 행위로서 미래의 행동을 예정하고 준비 하는 일련의 과정 (2) 조직 교육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분업적 협동체제인 관 리조직을 구성하고 거기에 인적 조직은 물론 자원의 배정까지 포함
  • 12. (3) 지시 지휘,명령,자극,영향,동기화,지도,교사들로 하여 교수학습지도,생활지도,학급경영 자발적으로 노력을 경주 (4) 조정 교직원의 역할과 노력, 부서의 활동 제 자원을 학교교육 목표의 달성에 이바지하도록 조화하고 통합하는 것 (5) 평가 설정된 목적에 비추어 학교경영 업무의 수행과정 및 그 결과를 분석•검토,합리성과 결과의 효율성, 과정평가, 후자를 산출평가
  • 14. (1)학교효과의 정의와 논의 지적•정의적•신체적 발달, 긍정 학교효과 논의의 주류, 효과적인 학교의 특성과 학교 내부,표방하는 교육목표에 대해 각각의 학교들이 어느 정도 성공적 달성. (2)효과적인 학교의 특징 비관적인 관점, 긍정하는 연구자들이 효과적인 학교 만드는 요인, 강력한 리더 십, 높은 기대, 좋은 분위기, 부가적인 노력, 교수방법, 개인차 인정, 학생의 진 보. (3) 학교 효과성 관련 요인 결정, 실제 유효 학습시간의 극대화, 구조화 된 수업. 학교조직과 경영, 효과적 인 교수를 위한 전제조건을 보장, 첫째, 학교가 위치한 지역 그 인근의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특성. 둘째, 학교규모, 유형, 학생의 비율 등과 같은 학생인구 구성의 특징 셋째, 학교행정기구,교사장학기구,지방교육당국과 중앙정부 넷째, 지역의 산업, 중등학교들과 교육의 소비자 또는 대표
  • 15. ◈기관평가는 일반적 도는 기관종합적 평가로서 특정기관 전체를 총체적인 단일규모로 하여 종합적으로 평가. ◈프로그램 평가는 의도하는 기능 바람직한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진행, ☎ 학교평가 모형 1) 목표당성 모형 2) 의사결정 접근모형 3) 체제적 접근모형 4) 가치판단 접근모형 5) 참여자 만족모형 6) 인정평가 모형
  • 16. → 형성적 기능 : 질적 개선을 기하고 프로그램, 학교의 개선, 교사는 계속 교수 기능과 수업방법을 개선, 행정능력과 관리능력을 개선 . → 총합적 기능 : 존폐에 관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 발생한 변화, 성취, 산물 등 프로그램이 종료. ♣학교교육의 발전을 도모, 긍정적인 측면 첫째, 짧은 시간 동안 체계적으로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시간적 여유 부족. 둘째, 투입조건의 차이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지 못하는 학교평가 방법의 문제. 셋째, 교육청마다 평가영역, 기준, 절차가 달라 국가적 수준 교육의 질을 일관성 넷째, 측정하고 합산하는 과정, 분석단위가 교사인지를 구별하지 않고 단순 합산하는 방법
  • 17. 1) 학급경영의 이론적 기초. - 학급경영의 개념: 교수-학습을 통하여 교육과정의 목표를 구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 인격형성과 지식 습득의 장, 학생과 교사,넓게는 가정과 학교를 연결하는 가교적. -학급경영의 영역: 수업과 경영을 분리하여 학급경영 파악,수업활동을 학급경영에 포함 ☞ 구체적인 학급경영의 영역과 주요 활동 ① 교수-학습 영역: 교과지도, 특수아지도, 가정학습 조직 ②특별활동 영역: 학급활동, 클럽활동,단체 활동,학교행사 조직 ③생활지도 영역: 인성지도,교우관계지도,진로상단지도,출결석지도 ④교실환경 영역: 교실환경 게시, 학급시설 및 비품의 유지관리, 청소지도 ⑤학급사무 영역: 학생부기록, 각종 장부관리, 성적관리 ⑥대외관계 영역: 학부모 면담, 가정방문 협조 유도, 봉사활동
  • 18. ① 자유의 원리: 학생의 인격을 존중, 개성을 발전. ② 협동의 원리: 안전과 이익을 협동 생활 지도 ③ 노작의 원리: 자기 활동. ④ 창조의 원리: 광범하고 깊은 상상력의 발. ⑤ 흥미의 원리: 원동력, 성취감. ⑥ 요구의 원리: 학생의 요구, 가정의 요구, 학생의 입장을 동시 고려. ⑦ 접근의 원리: 상호작용. 의사소통과 인격적 접근, 개인과 학급 전체 발전. ⑧ 발전의 원리: 계획된 변화.
  • 19. ♣학급담임의 임무 6가지 ① 수업활동: 가장 큰 부분을 차지, 경험을 학습하게 할 것인가 하는 방법. ② 생활지도: 성공적인 학교생활의 전제조건. ③ 특별활동 지도: 학급 회를 포함, 학생자치활동, 소풍, 수학여행,체육대회, 수련회. ④ 학급의 교실환경 정비:쾌적하고 정돈된 교실환경과 신뢰감, 교수-학습을 안정. ⑤ 학급 사무의 처리:실질적인 학생지도보다는 학생지도기록부를 잘 작성, 행정적 전시효과, 사무적인 잡무. ⑥ 학교운영에 대한 참여: 교무회의, 교과협의회,학년회의,인사자문위원회의 구성원, 교육환경의 구성
  • 20. ☞ 학급운영 조직 ① 총회(학급회의): 반장은 총회의 의장, 부반장은 부의장. ② 운영위원회: 의장, 부의장, 각부 부장, 자발적 지원자1~2명,결정 되고 논의된 사항은 총회에 상정. ③ 부서: 여러 활동을 영역별로 나누어 부서. 행사를 주도적으로 실 시.
  • 21. ① 예절지도 ② 교우 관계지도 ③ 3무 관계지도 ④ 지각, 결석생 지도 ⑤ 학교시설 이용지도 ⑥ 안전사고 예방사고 ⑦ 실내정숙 ⑧ 바른말 고운 말 사용 ⑨ 인터넷 사용지도 ⑩ 유해업소 출입금지 지도 ⑪ 학교 규정 지키기 지도 ⑫ 일깨움 대상 학생 및 결손 가정 학생 지도 ⑬ 학교 폭력 예방지도, 성희롱 성폭력 예방 지도 ⑭ 흡연과 약물 오남용 예방지도, 자살예방, 가출예방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