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H
LOGO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고등학교 수업광경 
나 
영포자! 
ㅠㅠ 
영어는 
잠 보충시간~ 
Z Z Z 
영어 부진학생의 증가
수준별 영어수업이 해결책? 
 상위권에게는 플러스 하위권에는 마이너 
스 (김선홍 2012; 이은미 2008; 백병부 
2010) 
 영어수준별 수업 70%(2009), 그러나 
부진학생은 증가추세임
고교 수준별 영어수업문제 
??
문제점의 출발 
 한 교실 내에서 극심한 실력 격차가 나는 
학생들을 나누지 않고, 영어독해수업을 하 
는 것은 과연 가능한가? 
 부진학생들이 고등학교 영어교육과정에서 
낙오되지 않고, 영어를 따라갈 수 있는 방 
법은 없는가?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란 “가정과 학교에서 공간과 시간의 제약 없이 기존의 참고서, 교 
과서, 문제집 용어사전 등의 자료를 포함하고 이를 애니메이션, 동영상, 가상현 
실 등의 멀티미디어와 함께 제공하면서 다양한 학생들의 상호작용 기능과 개별 
적인 학습자 특성과 수준에 맞게 학습할 수 있도록 제작된 학생용의 주된 교 
재”(교육인적자원부 2007)
디지털교과서 
교육과학기술부가 2011년 
6월 발표한 ‘스마트교육 추 
진 전략’을 보면 디지털영어 
교과서는 2014년도에 개발 
되어 2015년까지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아 
직까지 구체적인 설계방안 
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디지털교과서와 교수학습 스캐폴딩 
 McKenzie(1999)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 
어지는 스캐폴딩(Scaffolding)의 특성” 
 학습의 방향을 안내해준다. 
 학습의 목적을 이해시킨다. 
 학습자에게 집중력을 도와준다. 
 학습 평가의 준거를 제공해준다. 
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들을 제공해준다.
디지털교과서와 교수학습 스캐폴딩 
 디지털 콘텐츠에서의 스캐폴딩 유형(Hill & 
Hannifin, 2001) 
 개념적 스캐폴딩: 개념 파악 문제해결 도움 
ex) 구조맵, 콘텐츠 트리, 용어 사전, 힌트, 프롬프트 
 절차적 스캐폴딩 교수학습 도구와 자료 안내 
Ex)말풍선이나 북마크 학습도움말, FAQ 메뉴 
 전략적 스캐폴딩 문제를 해결을 위한 전략과 방법 
 메타인지적 스캐폴딩 학습전략 수립 방안, 자가평가 
Ex)문제해결에 대한 단계적 질문 제시, 학습 퀴즈, 자 
가 평가, 메모장, 학습기록 로그 (wiki 등), 내 사전 (혹 
은 마이페이지 등)
디지털교과서 사례연구 
연구목적 
앞으로 개발될 영어 디지털교과서가 수준별 교육 특히 
하위권 학습자의 교수학습 스캐폴딩을 효과적으로 지원 
하기 위하여 내용상 설계상으로 고려해야할 요소들은 무 
엇인가를 검토한다 
연구문제 
 A 고등학교 1학년 영어수업에서의 하위권 학습자들의 학습양상은 
어떠하며, 현재의 영어수업과 영어교과서에 대한 그들의 요구는 무 
엇인가? 
 5명의 참여 학생들은 영어 독해 수업시간에 제공된 디지털 교과서를 
어떻게 활용하였는가? 
 디지털 교과서의 교수학습 스캐폴딩 요소들이 참여 학생들에게 미친 
긍정적·부정적인 효과는 무엇인가?
연구절차 
사전 요구조사 
서책형 교과서 분석 
디지털 교과서 개발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하여 수업진행 
데이터 수집 및 분석
(1~2)사전요구조사, 교과서 분 
석 
1) 사전 요구조사 
 대상: A고등학교 1학년 3개반 89명 
 구성: 15문항 
• Willing(1999)이 제시한 학습스타일 진단 
• 영어수업 집중도 분석, 
• 영어교과서 인식 및 개선사항, 
• 모바일 기기사용 양상 
2) 교과서 분석 
 서책형 교과서 
• 본문, 어휘, 문법 및 주요표현 연습문제(3개 부분) 
 교사용 CD분석 
• 원어민 발음, 본문해석, 판서기능
2) 교과서 분석
3) 디지털 교과서 개발 
기술적 스캐폴딩을 고려하여 제작 
 Winnips와 Mcloughlin(2001)의 스캐폴딩 요소 
 Hill 과 Hannifin(2001)의 스캐폴딩 유형고려 
교과서 부분 지원 방식 제작도구 스캐폴딩 유형 
Read 
(본문지문) 
-원어민 음성지원 
-본문 해석 
-구문분석 해설 
-어휘 및 예시설명 
-관련 영상 
Google 
Presentation 
Youtube 
-개념적 스캐폴딩 
-절차적 스캐폴딩 
-전략적 스캐폴딩 
-메타인지적 스캐폴딩 
Vocabulary 
(본문 어휘 37개) 
-본문 어휘 플래쉬 카드 
-단어 매칭 게임 
Quizlet 
-전략적 스캐폴딩 
-메타인지적 스캐폴딩 
Language Focus 
(1단원 문법 및 
표현) 
-자동채점 연습문제 
추가 
-단어숙어 해설 추가 
Google Form 
-개념적 스캐폴딩 
-메타인지적 스캐폴딩
3) 디지털 교과서 개발 
Google Drive (교과서 본문지문) 
서책형 교과서 본문 Google presentation 이용 설계
3) 디지털 교과서 개발 
Google Drive (교과서 본문지문) 
본문 해석 구분분석 
다음 페이지 
이전 페이지 
본문 페이지 
어휘 원어민 읽기 참고동영상 
원어민 발음 페이지 
관련 영상 및 동영상 강의 
해석 페이지 
구분분석 페이지 
어휘 페이지
3) 디지털 교과서 개발 
Google Drive (1단원 문법 및 표현 학습부분) 
서책형 교과서 Google form 기반 설계 
연습문제 보기 추가 
단어 및 숙어 해설 추가
3) 디지털 교과서 개발 
Quizlet 애플리케이션 활용(어휘 학습) 
플래쉬 카드로 제시 
된 단어를 터치하면 
영문어휘는 한글로 
한글어휘는 영문으 
로 뒤집혀지기 때문 
에 어휘암기가 가능 
하다. 
제시된 단어의 뜻을 
직접입력하고 정확 
하게 입력했을 경우 
다음 단어로 넘어가 
게 된다. 
매치 게임으로 총 게 
임시간이 표시되고 
영어뜻과 한글뜻을 
맞추면 하나씩 사라 
진다.
4)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 
 총 4주간 12차시의 수업으로 구성 
차시 학습내용 
1-4 1과 어휘학습 
5-10 1과 본문학습 
11-12 문법 및 연습문제 
 수업전 아이패드를 배부하고 종료 후 회수 
 방과 후 자유롭게 스마트폰과 PC로 복습
4)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모습 
수업활용 모습 일지 작성
5)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사용일지(총 12회) 
 디지털 활용시간과 사용빈도 
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인식과 장점, 단점 
(개방형 질문) 
수업관찰 
 비디오 녹화 (총2회: 4차시, 8차시 수업) 
교사 및 학생 인터뷰 
 디지털 교사 및 영어수업 파악 
 실험기간 매 차시 수업 후 전화실시 
 사후 인터뷰
요구분석 결과 
학습스타일 
구체적 
학습 
스타일 
31% 
분석적 
학습 
스타일 
14% 
하위권 
권위적 
학습 
스타일 
32% 
의사소통 
학습 
스타일 
23% 
중, 상위권 
분석적 
학습 
스타일 
22% 
구체적 
학습 
스타일 
27% 
권위적 
학습 
스타일 
27% 
의사소통 
학습 
스타일 
24%
요구분석 결과 
하위권 
0 -10분 10-20분 20-30분 
30-40분 40-50분 
10% 
47% 
22% 
18% 
3% 
중,상위권 
0 -10분 10-20분 20-30분 
30-40분 40-50분 
9% 
18% 
21% 
27% 
25% 
영어수업 평균 집중시간
요구분석 결과 
영어수업 시간대별 집중도 
46 
26 
5 
36 
43 
16 
(%) 
50 
45 
40 
35 
30 
25 
20 
15 
10 
5 
0 
수업초반 수업중반 수업후반 
하위권 
중,상위권
요구분석 결과 
영어시간 집중이 안 되는 이유 
0 
25 
8 
27 
37 
3 
12 
34 
8 
30 
15 
1 
40 
30 
20 
10 
0 
이미배운내용이기 
때문에 
몸이 피곤하고 졸려서 주위가 시끄러워서 수업에 재미가 없어서 수업내용이 어려워서 기타 
하위권 중, 상위권 
(%) 
영어시간 집중이 잘 되는 수업매체 
39 
8 5 
37 
11 
52 
17 
9 9 13 
60 
40 
20 
0 
교사의 수업 개인학습 인터넷 강의 교재외 자료(팝송, 인터넷, 
유튜브영상) 
원어민 수업 
하위권 중, 상위권 
(%)
요구분석 결과 
• 영역별 흥미도 인식 
(흥미도1-10) 
3.68 3.55 
3.28 
4.07 
2.63 
3.28 
4.5 
4 
3.5 
3 
2.5 
듣기 
부분 
말하기 
부분 
본문 
독해 
단어 및 
주요표현 
익히기 
작문하기정리하기 
흥미도 
• 영역별 난이도 인식 
(난이도 1-10) 
6.31 
7.36 
7.1 
6.44 
5.65 
6.44 
7.5 
7 
6.5 
6 
5.5 
듣기 
부분 
말하기 
부분 
본문 
독해 
단어 및 
주요표현 
익히기 
작문하기정리하기 
난이도 
영어교과서에 대한 인식
요구분석 결과 
• 보완되길 바라는 기능 
19 
22 
10 
27 
8 
14 
단어 
뜻풀이 
문법 
설명 
단어 
발음 
흥미있는 
지문 
다양한 
문제 
동영상 
클립 
30 
25 
20 
15 
10 
5 
0 
하위권 
• 선호하는 디지털 
교과서 내용 및 기능 
11 9 
14 
6 
20 
1 
9 
30 
음성기능단어해설강사해설 말하기 
화면 
그림, 
사진, 
음악. 
동영상 
클립 
우리말 
해석 
참고자료 
35 
30 
25 
20 
15 
10 
5 
0 
하위권 
희망하는 스캐폴딩 요소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결과 분석 
총 디지털 교과서 평균이용시간 
 평균 0-10회 사용 
★ 아무래도 아이패드가 보조자료기 떄문이 아닐까 싶어요 모르는 단어나 
해석면에서 잠깐잠깐 보조교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런거 같아요. 
(A학생 인터뷰) 
자주 사용한 기능 
 본문 > 단어설명 >문법설명 
기능/학생 A B C D E 합계 
본문해석 3회 3회 3회 10회 3회 21회 
단어설명 3회 4회 6회 · 3회 15회 
문법설명 6회 · 3회 1회 1회 6회 
★ 본문 해석할 때 더 쉽게 할 수 있고 기억에 더 오래 남아요.(E학생 일지) 
★ 주로 단어와 해석을 봤던거 같아요. 해석할 때 놓친 부분을 채우는 데에 
도움이 되었어요. (A학생 인터뷰)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결과 분석 
사용하지 않은 기능 
기능/학생 A B C D E 
동영상 보기 3회 2회 6회 4회 4회 
원어민 읽기 · · 4회 · · 
 음성관련 기능을 부담스럽게 인식 
 음성기능 콘덴츠 사용은 희망 
★수업시간이어서 선생님 말씀도 들어야 하고, 다른얘들한테 방해가 될거 
같았어요. 만약 수업듣는 모든 아이들이 아이패드를 사용했다면 음성기능 
사용할 수 있었을 거 같아요. (학생B 사후 인터뷰) 
★ 그리고 선생님께 수업을 집중하고 있는데 다수의 학생들이 선생님 
수업을 못들을 수도 있고..(학생D 사후 인터뷰)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결과 분석 
 방과 후 개인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학습 
 단어학습 활용 시 가장 많이 활용 
기능/학생 A B C D E 
스마트폰 · 4회 2회 · · 
개인용 PC · · · · · 
★ 퀴즐렛 같은 경우 행드폰이다 보니까 많이 잡고 있었고, 자기 전에 잠 
안올때 누워서 단어보고 있고 심심할 때도 계속 보고 있어서 핸드폰 많이 
사용할 수 있었어요.(학생B 사후 인터뷰) 
★ 집에서 퀴즐렛과 단어외우기 기능을 핸드폰을 통해 사용했어요. 
(학생C 사후 인터뷰).
디지털 교과서 활용수업의 긍정적 인식 
읽기 학습에 직접적인 도움 
 교과서 본문중심의 현행수업에 도움 
★해석하기 힘들었는데 좀 더 해석을 해 주기 때문에 공부가 쉬워졌다. 
★ 본문해석에서는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사용했을 때 
더 도움이 되었고 이해도 빨랐다 
★ 저가 필기하는 속도가 느려요. 그런데 수업시간에 선생님께서 
말씀하시다가 놓친 부분을 찾아서 다시 볼 수 있기 때문에 편리했던 것 
같아요
디지털 교과서 활용수업의 긍정적 인식 
 진도를 따라가며 해석, 단어, 문법 학습에 
도움 
★ 단어게임을 하면서 단어를 외우면 재미있고 빠르고 쉽게 외어져요. 
★ 모르는 단어를 발음해줘서 읽기 쉽고 더 오래 기억할 수 있을 것 같다. 
★ 외우다가 모르는 단어가 있으면 바로 확인할 수 있어서 좋다 
★ 문법 설명도 해주고 단어설명도 해 주기 때문에 너무 간편하다 
★ 구문분석 해 줘서 문장구조를 더 알기 쉽고 기억하기에 더 쉽게 해줘요.
디지털 교과서 활용수업의 긍정적 인식 
디지털 교과서 활용수업의 긍정적 인식 
 영어학습에 흥미를 향상시키며 동기부여 
★ 왠지 새롭고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을 거 같고... 
★ 장기간 수업과 체계적인 디지털 수업이라면 그 사람의 의지에 따라 
성적이 확실히 오르거나 떨어지는 것 같다.
디지털 교과서 활용수업의 긍정적 인식 
 기존 교과서에서 경험하지 못한 
앱 게임사용에 많은 관심 
★디지털교과서 쓰면서 재미있었어요. 
★ 퀴즐렛을 앞으로도 더 이용해야겠다. 
★ 퀴즐렛 단어게임을 하고 나면 단어 외우는 게 엄청 재밌고 쉬웠어요. 
★ 단어게임을 하면서 단어를 외우면 재미있고 빠르고 쉽게 외어져요.
디지털 교과서 활용수업의 부정적 인식 
학습스타일과 방법에 따라 부정적으로 인식 
 서책형교과서가 더 효과적이라는 생각 
 학생들간 면대면 상호작용을 통한 상호작용 
을 선호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해 단어를 외우는 것보다 직접 카드를 이용하는 게 
더 잘 외어진다. (학생 B 사용일지. 3차시) 
학습의존성을 기르고 방해가 된다는 인식 
모바일 기기 혹은 디자인상의 문제 
 배터리, 충전, 기기관리, 기술 및 네트워크 결 
함 
기계의 호감도, 활용기술등의 문제
토의 및 결론 
 연구문제 1 “A 고등학교 1학년 영어수업에서의 하위권 
학습자들의 학습양상은 어떠하며, 현재의 영어수업과 영 
어교과서에 대한 그들의 요구는 무엇인가? “ 
• 50%의 하위권 학습자는 권위적이고 의존적인 스타일 
로 동영상, 디지털자료 등을 선호하는 경향 
• 수업이 어렵고 그 이유는 하나가 교과서가 자기수준을 
넘는다고 인식함. 
• 지문 해석, 단어, 문법 설명 등 튜토리얼 자료의 요구 
• 디지털교과서 필요  스캐폴딩 자료와 흥미로운 멀 
티미디어 기능으로 학습자의 학습 집중도와 흥미도 향 
상
토의 및 결론 
 연구문제 2 “5명의 참여 학생들은 영어 독해 수업시간에 
제공된 디지털 교과서를 어떻게 활용하였는가? “ 
 참여 학생들은 디지털 교과서를 자연스럽게 보조 교재처 
럼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 본문해석, 단어 뜻 풀이 등 개념적 스캐폴딩을 가장 빈번 
하게 사용 
 단어게임, 문법연습 등을 전략적 스캐폴딩도 자발적으로 
사용 
 능동적 읽기학습을 진행 (단어게임 자가평가, 가정학습)
토의 및 결론 
 연구문제 3“5명의 참여 학생들은 영어 독해 수업시간에 
제공된 디지털 교과서를 어떻게 활용하였는가? “ 
 참여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새로운 기기에 흥미 이상의 만 
족도를 보임 
 디지털교과서가 학교수업을 따라가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나아가서 자신의 부진한 영어실력 향상에 도움을 
줄것이라는 기대감 
 학습동기의 향상과 관련되어서 스스로 학습을 하고자 하 
는 의욕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능성 보임 
 영어외적인 요인들이 영어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도 알 수 있었음
디지털교과서 설계의 제언 
 광범위한 요구분석조사 필요 
 자가 평가가 가능한 풍부한 자료와 문제제공을 
하는 것이 중요 
 하위학습자의 학습 성향에 따라 스스로 보고, 듣 
고 해볼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최대한 활용 
한 설계를 하는 것이 필요 
 교실환경에서 교사의 강의, 조별 활동, 수업집중 
도 등이 고려 
 무겁지 않은 설계가 바람직
토의 및 결론 
영어 수업 웃음 증가~
Q & A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1 von 41

Recomendados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von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engedukamall
1.4K views40 Folien
05 클래스카드 von
05 클래스카드05 클래스카드
05 클래스카드VentureSquare
639 views32 Folien
20100114 발표4번 영어보드게임활용방과후활동 S N U S I F E(수정) von
20100114 발표4번 영어보드게임활용방과후활동  S N U S I F E(수정)20100114 발표4번 영어보드게임활용방과후활동  S N U S I F E(수정)
20100114 발표4번 영어보드게임활용방과후활동 S N U S I F E(수정)olivia19
1.4K views26 Folien
근덕보고(서울교대) von
근덕보고(서울교대)근덕보고(서울교대)
근덕보고(서울교대)현진 김
1.4K views47 Folien
교육 분야에 영향을 미칠 기술에 대한 이해 - Horizon Report HE edition 2016을 중심으로 - von
교육 분야에 영향을 미칠 기술에 대한 이해 - Horizon Report HE edition 2016을 중심으로 -교육 분야에 영향을 미칠 기술에 대한 이해 - Horizon Report HE edition 2016을 중심으로 -
교육 분야에 영향을 미칠 기술에 대한 이해 - Horizon Report HE edition 2016을 중심으로 -Open Cyber University of Korea
2.5K views36 Folien
PBL Squared Iowa (All Slides) von
PBL Squared Iowa (All Slides)PBL Squared Iowa (All Slides)
PBL Squared Iowa (All Slides)Curtis Chandler
556 views190 Folien

Más contenido relacionado

Similar a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Leading edge technology and future of english education von
Leading edge technology and future of english educationLeading edge technology and future of english education
Leading edge technology and future of english educationheyoungkim
434 views25 Folien
2014 0405-(기세령)민간 외교사절단 프로젝트 발표 자료 von
2014 0405-(기세령)민간 외교사절단 프로젝트 발표 자료2014 0405-(기세령)민간 외교사절단 프로젝트 발표 자료
2014 0405-(기세령)민간 외교사절단 프로젝트 발표 자료Seryeong Ki
603 views36 Folien
20100114 발표4번 영어보드게임활용방과후활동 Snusife(수정) von
20100114 발표4번 영어보드게임활용방과후활동 Snusife(수정)20100114 발표4번 영어보드게임활용방과후활동 Snusife(수정)
20100114 발표4번 영어보드게임활용방과후활동 Snusife(수정)olivia19
755 views26 Folien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von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heyoungkim
16.6K views32 Folien
Smart e tutor 사업계획서 - v2 von
Smart e tutor 사업계획서 - v2Smart e tutor 사업계획서 - v2
Smart e tutor 사업계획서 - v2Youngdon Kim
167 views33 Folien
디지털교과서의 설계와 수업활용에 있어서 콘텐츠개발자와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 von
디지털교과서의 설계와 수업활용에 있어서 콘텐츠개발자와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디지털교과서의 설계와 수업활용에 있어서 콘텐츠개발자와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
디지털교과서의 설계와 수업활용에 있어서 콘텐츠개발자와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Jungmin Lee
1.5K views21 Folien

Similar a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20)

Leading edge technology and future of english education von heyoungkim
Leading edge technology and future of english educationLeading edge technology and future of english education
Leading edge technology and future of english education
heyoungkim434 views
2014 0405-(기세령)민간 외교사절단 프로젝트 발표 자료 von Seryeong Ki
2014 0405-(기세령)민간 외교사절단 프로젝트 발표 자료2014 0405-(기세령)민간 외교사절단 프로젝트 발표 자료
2014 0405-(기세령)민간 외교사절단 프로젝트 발표 자료
Seryeong Ki603 views
20100114 발표4번 영어보드게임활용방과후활동 Snusife(수정) von olivia19
20100114 발표4번 영어보드게임활용방과후활동 Snusife(수정)20100114 발표4번 영어보드게임활용방과후활동 Snusife(수정)
20100114 발표4번 영어보드게임활용방과후활동 Snusife(수정)
olivia19755 views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von heyoungkim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heyoungkim16.6K views
Smart e tutor 사업계획서 - v2 von Youngdon Kim
Smart e tutor 사업계획서 - v2Smart e tutor 사업계획서 - v2
Smart e tutor 사업계획서 - v2
Youngdon Kim167 views
디지털교과서의 설계와 수업활용에 있어서 콘텐츠개발자와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 von Jungmin Lee
디지털교과서의 설계와 수업활용에 있어서 콘텐츠개발자와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디지털교과서의 설계와 수업활용에 있어서 콘텐츠개발자와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
디지털교과서의 설계와 수업활용에 있어서 콘텐츠개발자와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
Jungmin Lee1.5K views
나는 알고 싶어, 니가 뭘 아는지 von Taegu Kim
나는 알고 싶어, 니가 뭘 아는지나는 알고 싶어, 니가 뭘 아는지
나는 알고 싶어, 니가 뭘 아는지
Taegu Kim72 views
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 von Kyubok Cho
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
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
Kyubok Cho1.2K views
Wenote 원격교육 활용방안 1.0 von Kim DongWook
Wenote 원격교육 활용방안 1.0Wenote 원격교육 활용방안 1.0
Wenote 원격교육 활용방안 1.0
Kim DongWook404 views
[교육수강후기] 디자인씽킹기반 데이터분석과정 (2020.08) von Youngok Kim
[교육수강후기] 디자인씽킹기반 데이터분석과정 (2020.08)[교육수강후기] 디자인씽킹기반 데이터분석과정 (2020.08)
[교육수강후기] 디자인씽킹기반 데이터분석과정 (2020.08)
Youngok Kim224 views
리딩매직 교육설명회 von eduaction21
리딩매직 교육설명회리딩매직 교육설명회
리딩매직 교육설명회
eduaction21616 views
4. 고급 과정에서의 방송 시청 후 쓰기와 말하기(발표 및 토론) 활동(최원상) von Nuri-sejonghakdang
4. 고급 과정에서의 방송 시청 후 쓰기와 말하기(발표 및 토론) 활동(최원상)4. 고급 과정에서의 방송 시청 후 쓰기와 말하기(발표 및 토론) 활동(최원상)
4. 고급 과정에서의 방송 시청 후 쓰기와 말하기(발표 및 토론) 활동(최원상)
Nuri-sejonghakdang966 views
최종발표 개인Pdf von bususu
최종발표 개인Pdf최종발표 개인Pdf
최종발표 개인Pdf
bususu364 views
최종발표 von bususu
최종발표최종발표
최종발표
bususu494 views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von Jung Hyojung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Jung Hyojung5.2K views
기술사 수검전략 및 답안작성법 2편 von HoJin Seo
기술사 수검전략 및 답안작성법 2편 기술사 수검전략 및 답안작성법 2편
기술사 수검전략 및 답안작성법 2편
HoJin Seo16.1K views

Más de heyoungkim

The value of digital storytelling as an L2 narrative practice von
The value of digital storytelling as an L2 narrative practiceThe value of digital storytelling as an L2 narrative practice
The value of digital storytelling as an L2 narrative practiceheyoungkim
191 views42 Folien
Redesigning the college English curriculum for flipped learning von
Redesigning the college English curriculum for flipped learningRedesigning the college English curriculum for flipped learning
Redesigning the college English curriculum for flipped learningheyoungkim
99 views18 Folien
Learning from peer teachers anytime anywhere: A new learning platform for EFL... von
Learning from peer teachers anytime anywhere: A new learning platform for EFL...Learning from peer teachers anytime anywhere: A new learning platform for EFL...
Learning from peer teachers anytime anywhere: A new learning platform for EFL...heyoungkim
58 views21 Folien
Exploring the effects of digital storytelling as second language narrative wr... von
Exploring the effects of digital storytelling as second language narrative wr...Exploring the effects of digital storytelling as second language narrative wr...
Exploring the effects of digital storytelling as second language narrative wr...heyoungkim
131 views40 Folien
SMART teaching 3.0: A mobile-based open platform for English teachers' profes... von
SMART teaching 3.0: A mobile-based open platform for English teachers' profes...SMART teaching 3.0: A mobile-based open platform for English teachers' profes...
SMART teaching 3.0: A mobile-based open platform for English teachers' profes...heyoungkim
71 views30 Folien
A mobile-assisted curriculum model for teachers’ self-directed professional d... von
A mobile-assisted curriculum model for teachers’ self-directed professional d...A mobile-assisted curriculum model for teachers’ self-directed professional d...
A mobile-assisted curriculum model for teachers’ self-directed professional d...heyoungkim
116 views17 Folien

Más de heyoungkim(15)

The value of digital storytelling as an L2 narrative practice von heyoungkim
The value of digital storytelling as an L2 narrative practiceThe value of digital storytelling as an L2 narrative practice
The value of digital storytelling as an L2 narrative practice
heyoungkim191 views
Redesigning the college English curriculum for flipped learning von heyoungkim
Redesigning the college English curriculum for flipped learningRedesigning the college English curriculum for flipped learning
Redesigning the college English curriculum for flipped learning
heyoungkim99 views
Learning from peer teachers anytime anywhere: A new learning platform for EFL... von heyoungkim
Learning from peer teachers anytime anywhere: A new learning platform for EFL...Learning from peer teachers anytime anywhere: A new learning platform for EFL...
Learning from peer teachers anytime anywhere: A new learning platform for EFL...
heyoungkim58 views
Exploring the effects of digital storytelling as second language narrative wr... von heyoungkim
Exploring the effects of digital storytelling as second language narrative wr...Exploring the effects of digital storytelling as second language narrative wr...
Exploring the effects of digital storytelling as second language narrative wr...
heyoungkim131 views
SMART teaching 3.0: A mobile-based open platform for English teachers' profes... von heyoungkim
SMART teaching 3.0: A mobile-based open platform for English teachers' profes...SMART teaching 3.0: A mobile-based open platform for English teachers' profes...
SMART teaching 3.0: A mobile-based open platform for English teachers' profes...
heyoungkim71 views
A mobile-assisted curriculum model for teachers’ self-directed professional d... von heyoungkim
A mobile-assisted curriculum model for teachers’ self-directed professional d...A mobile-assisted curriculum model for teachers’ self-directed professional d...
A mobile-assisted curriculum model for teachers’ self-directed professional d...
heyoungkim116 views
Designing L2 Interactive Tasks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von heyoungkim
Designing L2 Interactive Tasks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Designing L2 Interactive Tasks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Designing L2 Interactive Tasks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heyoungkim430 views
[AsiaTEFL 2016] Flipped Classroom as a Paradigm Shift for Teaching EFL in Korea von heyoungkim
[AsiaTEFL 2016] Flipped Classroom as a Paradigm Shift for Teaching EFL in Korea[AsiaTEFL 2016] Flipped Classroom as a Paradigm Shift for Teaching EFL in Korea
[AsiaTEFL 2016] Flipped Classroom as a Paradigm Shift for Teaching EFL in Korea
heyoungkim563 views
스마트교육과 수행평가로 영어교육 바꾸기 von heyoungkim
스마트교육과 수행평가로 영어교육 바꾸기스마트교육과 수행평가로 영어교육 바꾸기
스마트교육과 수행평가로 영어교육 바꾸기
heyoungkim1.4K views
Exploring Smartphone Applications for Effective Mobile-Assisted Language Lear... von heyoungkim
Exploring Smartphone Applications for Effective Mobile-Assisted Language Lear...Exploring Smartphone Applications for Effective Mobile-Assisted Language Lear...
Exploring Smartphone Applications for Effective Mobile-Assisted Language Lear...
heyoungkim2.5K views
What to Consider for Effective 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 Design Impl... von heyoungkim
What to Consider for Effective 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 Design Impl...What to Consider for Effective 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 Design Impl...
What to Consider for Effective 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 Design Impl...
heyoungkim3.3K views
Teacher Training in a Blended Listening Course von heyoungkim
Teacher Training in a Blended Listening CourseTeacher Training in a Blended Listening Course
Teacher Training in a Blended Listening Course
heyoungkim661 views
모바일 언어학습의 현재와 미래 von heyoungkim
모바일 언어학습의 현재와 미래모바일 언어학습의 현재와 미래
모바일 언어학습의 현재와 미래
heyoungkim1.3K views
Effective online corpus training  for language learners von heyoungkim
Effective online corpus training for language learnersEffective online corpus training for language learners
Effective online corpus training  for language learners
heyoungkim715 views
Web 2.0 기술과 영어교육 연구동향 von heyoungkim
Web 2.0 기술과 영어교육 연구동향Web 2.0 기술과 영어교육 연구동향
Web 2.0 기술과 영어교육 연구동향
heyoungkim1.7K views

Último

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von
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Sungwoo Park
33 views104 Folien
디볼스테로이드파는곳 () 옥시메톨론특징 #클렌부테롤구매【카톡Emm36】#정품테스토스테론 von
디볼스테로이드파는곳 () 옥시메톨론특징  #클렌부테롤구매【카톡Emm36】#정품테스토스테론디볼스테로이드파는곳 () 옥시메톨론특징  #클렌부테롤구매【카톡Emm36】#정품테스토스테론
디볼스테로이드파는곳 () 옥시메톨론특징 #클렌부테롤구매【카톡Emm36】#정품테스토스테론starsoul5722
5 views4 Folien
비융합 3조_자세-교정-알림-서비스.ppt von
비융합 3조_자세-교정-알림-서비스.ppt비융합 3조_자세-교정-알림-서비스.ppt
비융합 3조_자세-교정-알림-서비스.pptqkrwnsrb8049
13 views29 Folien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52 추영호).pptx von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52 추영호).pptx종합설계프로젝트(1960052 추영호).pptx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52 추영호).pptxchoo7913
33 views27 Folien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13_나호석).pptx von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13_나호석).pptx종합설계프로젝트(1960013_나호석).pptx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13_나호석).pptxssuser82df24
28 views22 Folien
잡지 검색 예시.pptx von
잡지 검색 예시.pptx잡지 검색 예시.pptx
잡지 검색 예시.pptxjones cho
70 views2 Folien

Último(8)

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von Sungwoo Park
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Sungwoo Park33 views
디볼스테로이드파는곳 () 옥시메톨론특징 #클렌부테롤구매【카톡Emm36】#정품테스토스테론 von starsoul5722
디볼스테로이드파는곳 () 옥시메톨론특징  #클렌부테롤구매【카톡Emm36】#정품테스토스테론디볼스테로이드파는곳 () 옥시메톨론특징  #클렌부테롤구매【카톡Emm36】#정품테스토스테론
디볼스테로이드파는곳 () 옥시메톨론특징 #클렌부테롤구매【카톡Emm36】#정품테스토스테론
starsoul57225 views
비융합 3조_자세-교정-알림-서비스.ppt von qkrwnsrb8049
비융합 3조_자세-교정-알림-서비스.ppt비융합 3조_자세-교정-알림-서비스.ppt
비융합 3조_자세-교정-알림-서비스.ppt
qkrwnsrb804913 views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52 추영호).pptx von choo7913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52 추영호).pptx종합설계프로젝트(1960052 추영호).pptx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52 추영호).pptx
choo791333 views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13_나호석).pptx von ssuser82df24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13_나호석).pptx종합설계프로젝트(1960013_나호석).pptx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13_나호석).pptx
ssuser82df2428 views
잡지 검색 예시.pptx von jones cho
잡지 검색 예시.pptx잡지 검색 예시.pptx
잡지 검색 예시.pptx
jones cho70 views
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방안 von Kyubok Cho
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방안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방안
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방안
Kyubok Cho11 views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 1. LOGO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 2. 고등학교 수업광경 나 영포자! ㅠㅠ 영어는 잠 보충시간~ Z Z Z 영어 부진학생의 증가
  • 3. 수준별 영어수업이 해결책?  상위권에게는 플러스 하위권에는 마이너 스 (김선홍 2012; 이은미 2008; 백병부 2010)  영어수준별 수업 70%(2009), 그러나 부진학생은 증가추세임
  • 5. 문제점의 출발  한 교실 내에서 극심한 실력 격차가 나는 학생들을 나누지 않고, 영어독해수업을 하 는 것은 과연 가능한가?  부진학생들이 고등학교 영어교육과정에서 낙오되지 않고, 영어를 따라갈 수 있는 방 법은 없는가?
  • 6.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란 “가정과 학교에서 공간과 시간의 제약 없이 기존의 참고서, 교 과서, 문제집 용어사전 등의 자료를 포함하고 이를 애니메이션, 동영상, 가상현 실 등의 멀티미디어와 함께 제공하면서 다양한 학생들의 상호작용 기능과 개별 적인 학습자 특성과 수준에 맞게 학습할 수 있도록 제작된 학생용의 주된 교 재”(교육인적자원부 2007)
  • 7. 디지털교과서 교육과학기술부가 2011년 6월 발표한 ‘스마트교육 추 진 전략’을 보면 디지털영어 교과서는 2014년도에 개발 되어 2015년까지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아 직까지 구체적인 설계방안 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 8. 디지털교과서와 교수학습 스캐폴딩  McKenzie(1999)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 어지는 스캐폴딩(Scaffolding)의 특성”  학습의 방향을 안내해준다.  학습의 목적을 이해시킨다.  학습자에게 집중력을 도와준다.  학습 평가의 준거를 제공해준다. 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들을 제공해준다.
  • 9. 디지털교과서와 교수학습 스캐폴딩  디지털 콘텐츠에서의 스캐폴딩 유형(Hill & Hannifin, 2001)  개념적 스캐폴딩: 개념 파악 문제해결 도움 ex) 구조맵, 콘텐츠 트리, 용어 사전, 힌트, 프롬프트  절차적 스캐폴딩 교수학습 도구와 자료 안내 Ex)말풍선이나 북마크 학습도움말, FAQ 메뉴  전략적 스캐폴딩 문제를 해결을 위한 전략과 방법  메타인지적 스캐폴딩 학습전략 수립 방안, 자가평가 Ex)문제해결에 대한 단계적 질문 제시, 학습 퀴즈, 자 가 평가, 메모장, 학습기록 로그 (wiki 등), 내 사전 (혹 은 마이페이지 등)
  • 10. 디지털교과서 사례연구 연구목적 앞으로 개발될 영어 디지털교과서가 수준별 교육 특히 하위권 학습자의 교수학습 스캐폴딩을 효과적으로 지원 하기 위하여 내용상 설계상으로 고려해야할 요소들은 무 엇인가를 검토한다 연구문제  A 고등학교 1학년 영어수업에서의 하위권 학습자들의 학습양상은 어떠하며, 현재의 영어수업과 영어교과서에 대한 그들의 요구는 무 엇인가?  5명의 참여 학생들은 영어 독해 수업시간에 제공된 디지털 교과서를 어떻게 활용하였는가?  디지털 교과서의 교수학습 스캐폴딩 요소들이 참여 학생들에게 미친 긍정적·부정적인 효과는 무엇인가?
  • 11. 연구절차 사전 요구조사 서책형 교과서 분석 디지털 교과서 개발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하여 수업진행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12. (1~2)사전요구조사, 교과서 분 석 1) 사전 요구조사  대상: A고등학교 1학년 3개반 89명  구성: 15문항 • Willing(1999)이 제시한 학습스타일 진단 • 영어수업 집중도 분석, • 영어교과서 인식 및 개선사항, • 모바일 기기사용 양상 2) 교과서 분석  서책형 교과서 • 본문, 어휘, 문법 및 주요표현 연습문제(3개 부분)  교사용 CD분석 • 원어민 발음, 본문해석, 판서기능
  • 14. 3) 디지털 교과서 개발 기술적 스캐폴딩을 고려하여 제작  Winnips와 Mcloughlin(2001)의 스캐폴딩 요소  Hill 과 Hannifin(2001)의 스캐폴딩 유형고려 교과서 부분 지원 방식 제작도구 스캐폴딩 유형 Read (본문지문) -원어민 음성지원 -본문 해석 -구문분석 해설 -어휘 및 예시설명 -관련 영상 Google Presentation Youtube -개념적 스캐폴딩 -절차적 스캐폴딩 -전략적 스캐폴딩 -메타인지적 스캐폴딩 Vocabulary (본문 어휘 37개) -본문 어휘 플래쉬 카드 -단어 매칭 게임 Quizlet -전략적 스캐폴딩 -메타인지적 스캐폴딩 Language Focus (1단원 문법 및 표현) -자동채점 연습문제 추가 -단어숙어 해설 추가 Google Form -개념적 스캐폴딩 -메타인지적 스캐폴딩
  • 15. 3) 디지털 교과서 개발 Google Drive (교과서 본문지문) 서책형 교과서 본문 Google presentation 이용 설계
  • 16. 3) 디지털 교과서 개발 Google Drive (교과서 본문지문) 본문 해석 구분분석 다음 페이지 이전 페이지 본문 페이지 어휘 원어민 읽기 참고동영상 원어민 발음 페이지 관련 영상 및 동영상 강의 해석 페이지 구분분석 페이지 어휘 페이지
  • 17. 3) 디지털 교과서 개발 Google Drive (1단원 문법 및 표현 학습부분) 서책형 교과서 Google form 기반 설계 연습문제 보기 추가 단어 및 숙어 해설 추가
  • 18. 3) 디지털 교과서 개발 Quizlet 애플리케이션 활용(어휘 학습) 플래쉬 카드로 제시 된 단어를 터치하면 영문어휘는 한글로 한글어휘는 영문으 로 뒤집혀지기 때문 에 어휘암기가 가능 하다. 제시된 단어의 뜻을 직접입력하고 정확 하게 입력했을 경우 다음 단어로 넘어가 게 된다. 매치 게임으로 총 게 임시간이 표시되고 영어뜻과 한글뜻을 맞추면 하나씩 사라 진다.
  • 19. 4)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  총 4주간 12차시의 수업으로 구성 차시 학습내용 1-4 1과 어휘학습 5-10 1과 본문학습 11-12 문법 및 연습문제  수업전 아이패드를 배부하고 종료 후 회수  방과 후 자유롭게 스마트폰과 PC로 복습
  • 20. 4)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모습 수업활용 모습 일지 작성
  • 21. 5)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사용일지(총 12회)  디지털 활용시간과 사용빈도 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인식과 장점, 단점 (개방형 질문) 수업관찰  비디오 녹화 (총2회: 4차시, 8차시 수업) 교사 및 학생 인터뷰  디지털 교사 및 영어수업 파악  실험기간 매 차시 수업 후 전화실시  사후 인터뷰
  • 22. 요구분석 결과 학습스타일 구체적 학습 스타일 31% 분석적 학습 스타일 14% 하위권 권위적 학습 스타일 32% 의사소통 학습 스타일 23% 중, 상위권 분석적 학습 스타일 22% 구체적 학습 스타일 27% 권위적 학습 스타일 27% 의사소통 학습 스타일 24%
  • 23. 요구분석 결과 하위권 0 -10분 10-20분 20-30분 30-40분 40-50분 10% 47% 22% 18% 3% 중,상위권 0 -10분 10-20분 20-30분 30-40분 40-50분 9% 18% 21% 27% 25% 영어수업 평균 집중시간
  • 24. 요구분석 결과 영어수업 시간대별 집중도 46 26 5 36 43 16 (%) 50 45 40 35 30 25 20 15 10 5 0 수업초반 수업중반 수업후반 하위권 중,상위권
  • 25. 요구분석 결과 영어시간 집중이 안 되는 이유 0 25 8 27 37 3 12 34 8 30 15 1 40 30 20 10 0 이미배운내용이기 때문에 몸이 피곤하고 졸려서 주위가 시끄러워서 수업에 재미가 없어서 수업내용이 어려워서 기타 하위권 중, 상위권 (%) 영어시간 집중이 잘 되는 수업매체 39 8 5 37 11 52 17 9 9 13 60 40 20 0 교사의 수업 개인학습 인터넷 강의 교재외 자료(팝송, 인터넷, 유튜브영상) 원어민 수업 하위권 중, 상위권 (%)
  • 26. 요구분석 결과 • 영역별 흥미도 인식 (흥미도1-10) 3.68 3.55 3.28 4.07 2.63 3.28 4.5 4 3.5 3 2.5 듣기 부분 말하기 부분 본문 독해 단어 및 주요표현 익히기 작문하기정리하기 흥미도 • 영역별 난이도 인식 (난이도 1-10) 6.31 7.36 7.1 6.44 5.65 6.44 7.5 7 6.5 6 5.5 듣기 부분 말하기 부분 본문 독해 단어 및 주요표현 익히기 작문하기정리하기 난이도 영어교과서에 대한 인식
  • 27. 요구분석 결과 • 보완되길 바라는 기능 19 22 10 27 8 14 단어 뜻풀이 문법 설명 단어 발음 흥미있는 지문 다양한 문제 동영상 클립 30 25 20 15 10 5 0 하위권 • 선호하는 디지털 교과서 내용 및 기능 11 9 14 6 20 1 9 30 음성기능단어해설강사해설 말하기 화면 그림, 사진, 음악. 동영상 클립 우리말 해석 참고자료 35 30 25 20 15 10 5 0 하위권 희망하는 스캐폴딩 요소
  • 28.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결과 분석 총 디지털 교과서 평균이용시간  평균 0-10회 사용 ★ 아무래도 아이패드가 보조자료기 떄문이 아닐까 싶어요 모르는 단어나 해석면에서 잠깐잠깐 보조교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런거 같아요. (A학생 인터뷰) 자주 사용한 기능  본문 > 단어설명 >문법설명 기능/학생 A B C D E 합계 본문해석 3회 3회 3회 10회 3회 21회 단어설명 3회 4회 6회 · 3회 15회 문법설명 6회 · 3회 1회 1회 6회 ★ 본문 해석할 때 더 쉽게 할 수 있고 기억에 더 오래 남아요.(E학생 일지) ★ 주로 단어와 해석을 봤던거 같아요. 해석할 때 놓친 부분을 채우는 데에 도움이 되었어요. (A학생 인터뷰)
  • 29.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결과 분석 사용하지 않은 기능 기능/학생 A B C D E 동영상 보기 3회 2회 6회 4회 4회 원어민 읽기 · · 4회 · ·  음성관련 기능을 부담스럽게 인식  음성기능 콘덴츠 사용은 희망 ★수업시간이어서 선생님 말씀도 들어야 하고, 다른얘들한테 방해가 될거 같았어요. 만약 수업듣는 모든 아이들이 아이패드를 사용했다면 음성기능 사용할 수 있었을 거 같아요. (학생B 사후 인터뷰) ★ 그리고 선생님께 수업을 집중하고 있는데 다수의 학생들이 선생님 수업을 못들을 수도 있고..(학생D 사후 인터뷰)
  • 30.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결과 분석  방과 후 개인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학습  단어학습 활용 시 가장 많이 활용 기능/학생 A B C D E 스마트폰 · 4회 2회 · · 개인용 PC · · · · · ★ 퀴즐렛 같은 경우 행드폰이다 보니까 많이 잡고 있었고, 자기 전에 잠 안올때 누워서 단어보고 있고 심심할 때도 계속 보고 있어서 핸드폰 많이 사용할 수 있었어요.(학생B 사후 인터뷰) ★ 집에서 퀴즐렛과 단어외우기 기능을 핸드폰을 통해 사용했어요. (학생C 사후 인터뷰).
  • 31. 디지털 교과서 활용수업의 긍정적 인식 읽기 학습에 직접적인 도움  교과서 본문중심의 현행수업에 도움 ★해석하기 힘들었는데 좀 더 해석을 해 주기 때문에 공부가 쉬워졌다. ★ 본문해석에서는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사용했을 때 더 도움이 되었고 이해도 빨랐다 ★ 저가 필기하는 속도가 느려요. 그런데 수업시간에 선생님께서 말씀하시다가 놓친 부분을 찾아서 다시 볼 수 있기 때문에 편리했던 것 같아요
  • 32. 디지털 교과서 활용수업의 긍정적 인식  진도를 따라가며 해석, 단어, 문법 학습에 도움 ★ 단어게임을 하면서 단어를 외우면 재미있고 빠르고 쉽게 외어져요. ★ 모르는 단어를 발음해줘서 읽기 쉽고 더 오래 기억할 수 있을 것 같다. ★ 외우다가 모르는 단어가 있으면 바로 확인할 수 있어서 좋다 ★ 문법 설명도 해주고 단어설명도 해 주기 때문에 너무 간편하다 ★ 구문분석 해 줘서 문장구조를 더 알기 쉽고 기억하기에 더 쉽게 해줘요.
  • 33. 디지털 교과서 활용수업의 긍정적 인식 디지털 교과서 활용수업의 긍정적 인식  영어학습에 흥미를 향상시키며 동기부여 ★ 왠지 새롭고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을 거 같고... ★ 장기간 수업과 체계적인 디지털 수업이라면 그 사람의 의지에 따라 성적이 확실히 오르거나 떨어지는 것 같다.
  • 34. 디지털 교과서 활용수업의 긍정적 인식  기존 교과서에서 경험하지 못한 앱 게임사용에 많은 관심 ★디지털교과서 쓰면서 재미있었어요. ★ 퀴즐렛을 앞으로도 더 이용해야겠다. ★ 퀴즐렛 단어게임을 하고 나면 단어 외우는 게 엄청 재밌고 쉬웠어요. ★ 단어게임을 하면서 단어를 외우면 재미있고 빠르고 쉽게 외어져요.
  • 35. 디지털 교과서 활용수업의 부정적 인식 학습스타일과 방법에 따라 부정적으로 인식  서책형교과서가 더 효과적이라는 생각  학생들간 면대면 상호작용을 통한 상호작용 을 선호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해 단어를 외우는 것보다 직접 카드를 이용하는 게 더 잘 외어진다. (학생 B 사용일지. 3차시) 학습의존성을 기르고 방해가 된다는 인식 모바일 기기 혹은 디자인상의 문제  배터리, 충전, 기기관리, 기술 및 네트워크 결 함 기계의 호감도, 활용기술등의 문제
  • 36. 토의 및 결론  연구문제 1 “A 고등학교 1학년 영어수업에서의 하위권 학습자들의 학습양상은 어떠하며, 현재의 영어수업과 영 어교과서에 대한 그들의 요구는 무엇인가? “ • 50%의 하위권 학습자는 권위적이고 의존적인 스타일 로 동영상, 디지털자료 등을 선호하는 경향 • 수업이 어렵고 그 이유는 하나가 교과서가 자기수준을 넘는다고 인식함. • 지문 해석, 단어, 문법 설명 등 튜토리얼 자료의 요구 • 디지털교과서 필요  스캐폴딩 자료와 흥미로운 멀 티미디어 기능으로 학습자의 학습 집중도와 흥미도 향 상
  • 37. 토의 및 결론  연구문제 2 “5명의 참여 학생들은 영어 독해 수업시간에 제공된 디지털 교과서를 어떻게 활용하였는가? “  참여 학생들은 디지털 교과서를 자연스럽게 보조 교재처 럼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 본문해석, 단어 뜻 풀이 등 개념적 스캐폴딩을 가장 빈번 하게 사용  단어게임, 문법연습 등을 전략적 스캐폴딩도 자발적으로 사용  능동적 읽기학습을 진행 (단어게임 자가평가, 가정학습)
  • 38. 토의 및 결론  연구문제 3“5명의 참여 학생들은 영어 독해 수업시간에 제공된 디지털 교과서를 어떻게 활용하였는가? “  참여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새로운 기기에 흥미 이상의 만 족도를 보임  디지털교과서가 학교수업을 따라가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나아가서 자신의 부진한 영어실력 향상에 도움을 줄것이라는 기대감  학습동기의 향상과 관련되어서 스스로 학습을 하고자 하 는 의욕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능성 보임  영어외적인 요인들이 영어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도 알 수 있었음
  • 39. 디지털교과서 설계의 제언  광범위한 요구분석조사 필요  자가 평가가 가능한 풍부한 자료와 문제제공을 하는 것이 중요  하위학습자의 학습 성향에 따라 스스로 보고, 듣 고 해볼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최대한 활용 한 설계를 하는 것이 필요  교실환경에서 교사의 강의, 조별 활동, 수업집중 도 등이 고려  무겁지 않은 설계가 바람직
  • 40. 토의 및 결론 영어 수업 웃음 증가~
  • 41. Q & A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