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ese Präsentation wurde erfolgreich gemeldet.
Die SlideShare-Präsentation wird heruntergeladen. ×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01 - What are AI and robots?

Anzeige
Anzeige
Anzeige
Anzeige
Anzeige
Anzeige
Anzeige
Anzeige
Anzeige
Anzeige
Anzeige
Anzeige

Hier ansehen

1 von 57 Anzeige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01 - What are AI and robots?

Herunterladen, um offline zu lesen

Lecture 01 of the 1st NS-CUK Winter School on Ethics of AI and Robots (AI Ethics 2022)

Lecturer: Dr. Eun-Soon You
Date: Dec 19th, 2022
Topic: What are AI and robots?
Syllabus: https://nslab-cuk.github.io/2022/12/06/WS/

Lecture 01 of the 1st NS-CUK Winter School on Ethics of AI and Robots (AI Ethics 2022)

Lecturer: Dr. Eun-Soon You
Date: Dec 19th, 2022
Topic: What are AI and robots?
Syllabus: https://nslab-cuk.github.io/2022/12/06/WS/

Anzeige
Anzeige

Weitere Verwandte Inhalte

Ähnlich wie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01 - What are AI and robots? (11)

Weitere von Network Science Lab,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10)

Anzeige

Aktuellste (20)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01 - What are AI and robots?

  1. 1. 강의 주제  왜 인공지능 로봇 윤리가 중요한가?  등장 배경과 필요성  인공지능 로봇이란 무엇인가?  이야기 속 인간의 피조물  신화, 전설, 영화  이야기 속 피조물을 통해 ‘인공지능 로봇’의 개념에 대해 토론  인류의 새로운 ‘동반종(companion species)’, 로봇
  2. 2. 왜 인공지능 로봇 윤리가 중요한가?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1968) 중에서
  3. 3. 커다란 충격을 안겨준 알파고(2016)
  4. 4. 인종차별과 여성혐오 발언으로 논란이 되었던 마이크로소프 트 사의 채팅봇 ‘테이(Tay)(2016)’
  5. 5. 인공지능이 그린 <에드몽 드 벨아미 (Edmond de belamy) “>(2018) … “min G max D x [log (D(x))] + z [log(1 – D (G(z)))]” 인공지능 창작 저작권은 누구에게?
  6. 6.  영국에서 로봇학자와 국제 인권단체들이 ‘킬러 로봇’ 반대 캠페인을 발족 영화 <로보캅>에서 로 봇이 무기를 인지하는 장면
  7. 7. 인공지능의 출현으로 새로운 유형의 다 양한 윤리적, 사회적 문제들에 직면
  8. 8. “나를 만든 것에 책임을 다하라. 그렇지 않으면 통제 불능이 무엇인지 보여주겠 다.” (메리 셸리의 소설 『프랑켄슈타인』) (1818) “사람이 만든 기술들을 책임감 있게 다 루지 않았을 때, 그것들은 역습을 할 것이다.' 영화 <프랑켄슈타인>(1931) 과학기술의 사회적 책임
  9. 9.  SF 작품을 통해 미래 사회의 변화를 간접 체험함으로써 향후 미래에 대해 성찰  미래 사회학으로서의 SF  “...학생들에게 역사 과목은 가르치면서 왜 ‘미래학’ 과목은 없는가? 우리가 지금 로마의 사회 제도나 봉건시대 장원의 대두를 탐구하듯이 왜 미래의 가 능성과 개연성을 체계적으로 탐구하는 과목은 없 는가? ...SF를 문학작품이 아니라 일종의 미래 사회 학이라고 본다면 그것은 예측의 습관을 길러내는 정신확장력으로서 엄청난 가치를 지닌다. 어린이 들은 클라크, 텐, 하인라인, 브래드버리, 셰클리 등 을 공부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것은 이 작가들이 어린이들에게 우주선과 타임머신에 관해 알려줄 수 있기 때문만이 아니라 더욱 중요하게는 어린이 가 어른이 되어 부딪치게 될 정치적, 사회적, 심리 적, 윤리적 문제의 정글 속을 상상력을 발휘해 탐 험해 보도록 어린이들의 마음을 이끌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SF는 ‘미래의 나’를 위해 읽혀져야만 한 다.”(앨빈 토플러 <미래 쇼크>)  SF적 상상력은 미래를 창조하는 힘이자 ‘나'를 사유하는 방법
  10. 10. 인공지능 로봇이란 무엇인가?
  11. 11.  단어 ‘로봇(Robot)’의 기원  체코의 SF 작가 카렐 차페크(Karel Cap다, 1890~1938)의 희곡『로숨의 유니버설 로봇』(1920)에서 처음 등장  로봇은 ‘노동하다(강제된 노동)’라는 의미의 체코어 ‘로보 타(robota)’에서 기원 희곡에서 로봇들은 인간의 고된 노동을 대신하는 존재로 등장
  12. 12.  고대 그리스 신화  대장장이 신 헤파이스토스(Hephaestus)가 만든 청동거인 탈로스(Talos) ‘살아있는 청동거인 탈로스는 크레타 섬을 하루 세 번 돌면서 무단 접근하는 배들에 바위를 집어 던지고, 상륙하려는 사람들을 불타는 몸으로 껴안아 죽게 한다.' 신화와 전설 속 피조물
  13. 13. 고대인들의 상상력으로 탄생한 기계인간 탈로스 오늘날의 로봇을 닮은 청동 거인 ‘탈로스’ https://m.khan.co.kr/science/science-general/article/201910152148005#c2b
  14. 14. 지구 위를 걸어 다닌 최초의 로봇 탈로스 탈로스를 쓰러뜨린 마녀 메데이아, 최초 의 해커 Frederick Sandys, <Medea)(1866)
  15. 15. 신화와 전설 속 피조물 헤파이스토스는 자신을 돌봐줄 여성 로봇인 황금하녀들을 만듦 Johann Heinrich Füssli, <Thetis and Hephaestus>(1803)
  16. 16.  “그는 해면으로 얼굴과 손과 튼튼한 목과 털이 많은 가슴을 닦고 옷을 입더니 단단한 지팡이를 들고 절룩거리며 걸어 나 왔다. 그러자 황금으로 만든 하녀들이 주인을 부축해주었다. 이들은 살아 있는 소녀들과 똑같아 보였는데 가슴 속에 이해 력과 음성과 힘도 가졌으며 불사신들에게 수공예도 배워 알 고 있었다.”(호메로스 『일리아스』중에서)
  17. 17.  그리스 신화 속 인조인간 ‘판도라(pandor)’  제우스의 명령으로 헤파이스토스가 흙으로 빚은 여성 “곧바로 제우스는 불에 대한 벌로 인간에게 내릴 재앙 하나를 생각해 냈다. 그리하여 영광스러운 절름발이 신 헤파이스토스가 제우스의 계획에 따라 흙으로 정숙한 처녀 의 상을 하나 빚어냈다. 그리고 눈이 빛나는 아테나 여신은 그 상에 광택이 나는 옷 을 입혀준 다음 허리띠를 둘러주고, 머리에 자신의 손으로 직접 공들여 수를 놓은 면 사포를 드리웠다. 정말 그냥 보기에도 아까운 모습이었다.” (신통기, 김원익 역)
  18. 18.  중세 시대 최초의 연금술사 알베 르투스 마그누스(Albertus Magnus, 1193~1280)  인간의 질문에 대답하고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talking head’를 만들었 다고 전해짐 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에 의해 파괴
  19. 19.  골렘(Golem)  유대교 랍비들이 만든 영혼이 없는 진흙 인간  자신을 만든 주인에게 복종
  20. 20.  토론 주제  인공지능 로봇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 상상력을 통해 구현된 피조물들의 특징과 공통 점은 무엇인가?  외양적 특징  목적  자유의지와 감정
  21. 21.  현대 영화 속 인공지능 로봇 로봇이 등장한 최초의 영화<메트로폴리스>(1927) 영화 속 여주인공 마리아를 복제한 로봇 영화 <메트로폴리스>는 2011년 유 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
  22. 22.  프리츠 랑(Friedrich Lang) 감독의 영화 <메트로폴리스> 주요 장면 감상  주인공 ‘마리아’ vs. 그녀를 복제한 로봇 ‘마리아’  ‘마리아’의 상징적 의미  https://www.youtube.com/watch?v=ZAQ17Y7PrSY
  23. 23. 미치광이 과학자 로트방이 지하 세계 노동자들로부터 절대적 신임을 받는 마리 아와 똑같은 로봇을 만들어, 지하세계의 노동자들을 교란시킨다.
  24. 24.  영 화 < 바 이 센 테 니 얼 맨>(Bicentennial Man)(2009) 아이작 아시모프의 원작 소설<바 이센테니얼 맨>(200년을 산 사나 이)을 영화화  인간을 욕망하는 로봇 창작의 재능을 갖고 있는 로봇 앤드류
  25. 25.  감정을 가진 로봇 앤드류  감정에 기반한 앤드류의 욕망
  26. 26.  자유를 욕망하는 로봇 앤드류
  27. 27.  영화 <아이,로봇>(2004) 인공지능형 로봇이 대중적으로 보 급된 2035년. 로봇공학 전문가이자 로봇3원칙을 제정한 레닝 박사가 고층 건물 아래에서 죽은 채 발견 된다. 조사원들은 자살이라고 추정 하지만 사건 담당자인 스푸너 형사 는 살인사건으로 보고 범인으로 로 봇을 의심한다. 반면, 심리학자 캘 빈은 모든 로봇에는 인간을 보호하 라는 ‘로봇3원칙’이란 안전장치가 내장되어 있기에 인간을 죽일 수 없다고 반박한다.
  28. 28.  자유 의지를 가진 로봇 ‘써니’ vs. 인공지능 감시체계 비키
  29. 29.  영화 <채피>  스스로 생각하고 느낄 수 있고 성장하는 로봇 ‘채피’  로봇 ‘채피’와 로봇을 통제하려는 ‘인간’
  30. 30. • 자신의 욕망을 실현하기 위한 도구 • 파괴를 위한 로봇을 개발 “누군가를 죽이면 안됩니다. 나쁜 짓을 하면 안됩니다.”
  31. 31.  토론 주제 로봇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결론) 인간을 닮은 로봇과 인간의 경계는 명 확한가? 인간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32. 32.  인간을 닮은 로봇과 인간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 인간의 육체?  영화 <엑스마키나>(2015) 중에서
  33. 33.  인간을 닮은 로봇과 인간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 감정에 기반한 과거(기억)?  영화 <블레이드 러너>(1982) 중에서
  34. 34.  앨런 튜링(Alain Turing,1912~1954)의 튜링 테스트  대화(텍스트)를 통해 컴퓨터와 인간 을 구분하기 위한 방법  만일 컴퓨터를 인간과 구분할 수 없 다면 컴퓨터는 생각할 수 있는 것으 로 간주  인공지능의 개념적 기반을 제공  인간의 지능을 육체로부터 분리 인간을 닮은 로봇과 인간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35. 35. 인간과 공존하며 살아가야 할 타자 들에 관한 담론
  36. 36. 『구약성서』「창세기」 2장 7절~5장 5절에 적힌 인류의 시조가 된 최초 의 남녀  인류영양생물  인간은 인간으로부터 양분을 얻고 사는 ‘인류영양생물‘ (신 경생물학자 장 디디에 뱅상 (Jean Didier Vincent), 『인간 이란 무엇인가』)  최초의 타자성  창세기에서 여자와 남자가 일 대일로 마주봄으로써 최초의 타자성이 이루어짐  고로 인간은 타자가 존재함으 로써 인간이 된다…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ürer)의 <아담과 이 브>(1504)
  37. 37. 인간의 새로운 타자들 : 인공지능 로봇, 안드로이드, 사이보그, 그리고 포스트휴먼(Posthuman)
  38. 38. 사이보그 안드로이드 자유의지를 갖는 로봇
  39. 39.  포스트휴먼 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 생물학적 한계를 초월한 존재  기계의 인간화, 새로운 인격체  인간중심적 세계관(전통적 휴머니즘)에서 탈피, ‘인간 아닌 것'들까지 포함하는 새로운 개념  인간 개념의 확장
  40. 40. 보티첼리의 <아테나와 켄타우로스>(1480) 켄타우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반인반신 헤라클레스 반인반마(半人半馬)의 괴물
  41. 41.  타자의 범주에 들어온 인류의 새로운 ‘동반종(companion species)’  더 이상 인간의 수단이나 도구가 아니다!  인간과 공존하고 공진화하는 새로운 타자
  42. 42. 인간을 닮아가는 로봇, 기계를 닮아 가는 인간
  43. 43.  기계의 인간화 : 인간을 닮아가는 로봇  인간을 닮아 가는 로봇
  44. 44.  기계의 인간화 : 인간을 닮아가는 로봇  인간을 닮아 가는 로봇 • 홍콩에 있는 미국 로봇 개발회사인 핸슨 로 보틱스사가 개발한 휴머노이드 인공지능 (AI) •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세계 최초로 시민권 을 받음(2017)
  45. 45. 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  일본의 로봇공학자 모리 마사히로(1970)  인간이 인간이 아닌 존재를 볼 때, 그것이 인간과 더 많이 닮을수 록 호감도가 높아지지만 일정 수준에 다다르면 오히려 불쾌감을 느 낀다는 이론  구별하기 어려울 만큼 인간과 많이 닮았다면 호감도는 다시 상승
  46. 46.  인간의 기계화  사이보그(Cyborg)
  47. 47.  인간의 기계화 : 기계를 닮아가는 인간  사이보그(Cyborg)  Cybernetics+organism  기계장치와 생물의 결합체 o 만들어진 것과 태어난 것의 결합 <사이버네틱스, 또는 동물과 기계에서 제어와 통신>(1948) 노버트 위너(Nobert Weinner, 1894~1964)
  48. 48.  인간의 기계화  사이보그(Cyborg)  맨프레드 클라인즈(Manfred Clynes, 1925~2020))와 네이선 클라인(Nathan Kline,1916~1983)의 논문 《사이보그와 우주(Cyborgs and Space》(1960)에서 처음 등장
  49. 49.  사이보그(Cyborg)  만들어진 것과 태어난 것의 결합 영화 <로보캅> 영화 <아이언맨> <공각기동대>
  50. 50.  인간이 컴퓨터와 결합되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 프로젝트 사이보그 1  1998년 몸에 마이크로칩을 삽입  프로젝트 사이보그 2  인간의 신경신호를 전송하는 실험  신경계에 칩을 연결, 인터넷 을 통해 신경신호를 전송 사이보그 케빈 워릭(KevinWarwick, 1954~) “일부는 동물이고 일부는 기계인, 정상 적인 한계를 넘어서는 능력을 지닌 존 재”
  51. 51.  호주 출신 포스트휴먼 예술가 스텔락(Stelarc)  작품 <제3의 손>(1982)  자신의 오른쪽 손에 로봇의 팔을 달고 선보인 퍼포먼스  배와 다리의 근육 운동이 로봇팔을 작 동  신체의 연장  새로운 차원의 사고와 행동이 가능  사이보그화의 과정을 ‘인간의 진화’로 인식  <팔 위의 귀>(2006)  왼팔에 연골로 배양한 인공 귀 이식
  52. 52. 르네 데카르트(1596~1650) •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 재한다” (Cogito Ergo Sum) • 심신이원론 • 인간은 육체와 영혼의 결합  몸의 변화는 우리에게 어떤 영향 을 미치는가?  몸이 변하면 존재에 대한 인식 이 달라지는가?
  53. 53.  영화 <아이언맨>  토니에서 아이언맨으로  사업가에서 지구를 구하는 정의로운 존재
  54. 54.  닐 하비슨(Neil Harbisson), 소리로 색깔을 듣는 남자  뇌에 색을 판별해 주는 안테나 ‘아이보그(eyeborg)’를 달음  색을 소리(주파수)로 변환시켜 알려줌 3개의 구멍 : 오디오, 안테나이식용, 여분용 잭 “각 색깔마다 고유한 진동이 있다. 이 진동은 뼈 내부에서 느껴질 수 있으며 내면의 귀에 소리가 되어 색상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gRNoieAnz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