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34
Download to read offline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DMC REPORT
본 연구보고서의 모든 저작권은 DMC미디어에 있습니다.
보고서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발췌하거나 인용, 또는 언론보도 시에는
반드시 당사의 사전 동의를 득하여야 하며,
내용과 자료의 출처가 DMC미디어임을 반드시 밝혀야 합니다.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 소셜 미디어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 / 정보활용 방법
INTRODUCTION
Research Methodology
Table of Contents
Executive Summary
I.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3
본 연구보고서의 모든 저작권은 DMC미디어에 있습니다.
보고서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발췌하거나 인용할 시에는
반드시 당사의 사전 동의를 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관련 문의: DMC미디어 마케팅팀
marketing@dmcmedia.co.kr
DMC Media
Digital Media Convergence Company
1.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 / 이용 기기
2. 주 이용 소셜 미디어
3. 소셜 미디어 이용 이유
4. 소셜 미디어 이용 활동
5. 소셜 미디어 관심 컨텐츠
6. 소셜 미디어 선호 컨텐츠 유형
7. 향후 소셜 미디어 이용 의향
5
6
7
8
9
10
12
II. 소셜 미디어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
1. 소셜 미디어 광고 선호 유형
2.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14
16
17
III.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활용 방법
1. 정보 획득 주 이용 매체
2. 매체별 정보 영향력
3. 매체별 정보 신뢰도
21
28
29
Ⅳ. 소셜 미디어 사용자 인식
1.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2.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이용자의 전반적 태도
31
32
지난 2년간 DMC미디어에서는 소셜 미디어 이용행태를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는 최근 소셜 미디
어 이용행태를 알아보고, 기존 데이터와 비교 분석을 하기 위해 기획하였다.
표본은 DMC미디어가 조사목적으로 모집하고 운영하고 있는 DMC 패널들을 대상으로 2014년 5
월 21일부터 5월 28일까지 7일간 인터넷 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조사 대상은 만 19세 이상 59세 이하의 남녀 대상의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경험자
로써 인터넷 이용자의 성별, 연령대별 인터넷 이용자 분포에 비례한 표본할당추출(Proportionate
Quota Sampling)로 전국에서 총 699명을 조사했다.
2014 브라질월드컵은 사상 최대 소셜ㆍ모바일 월드컵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소셜 미디어 중 트
위터의 초당 신기록 경신이 예상되며, 모바일 인터넷이 기존 PC 인터넷 이용률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월드컵 공식 후원사 아디다스 측은 "이번 월드컵이 명실상부한 소셜 월드컵이 될 것이
라는 데는 의심할 여지가 없으며, 역사상 가장 큰 소셜 이벤트가 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이젠 소셜 미디어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이 보편화되어 개인들은 1개 이상의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으며, 기업에서도 이런 소비자들과 직접 소통하기 위해 다양한 플랫폼을 동시에 운영하고 있
는 상황이다.
DMC미디어에서는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을 이해하기 위해, 2012년부터 소셜 미디어 이용행태
관련 DB를 수집, 분석하고 있으며, 본 보고서 또한 그와 같은 맥락에서 2014년의 이용실태 및 3
년간의 변화를 트래킹하여 분석해 보고자 기획되었다. 본 보고서가 취급하는 소셜 미디어 이용
행태,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매체별 정보획득 및 신뢰도 등의 정보들이 소셜 미디어를 운영
하는 마케터들에게 있어 효과적인 광고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립에 도움을 주길 기대한다.
EXECUTIVE SUMMARY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 / 이용 기기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DMC Digital Advertisement Index)
DMC미디어가 디지털광고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디지털광고지수(DMC
Digital Advertisement Index : DAI) 분석을 이용하여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를 분석
한 결과에 의하면, 태도지수는 65.3, 행동지수는 56.3으로 총 종합지수는 60.8로 조사되
었다.
최근 2년간 데이터를 비교 분석해 보면, 소셜 미디어 광고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이며,
실제로 구매에 까지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늘었다라고 볼 수 있다.
종합지수 태도지수 행동지수
55.0 57.5
52.655.0
60.0
50.0
60.8 65.3
56.3
2012년 2013년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경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소셜 미디어를 이
용시 스마트폰이 83.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난 2년간의 추이를 비교해보면 스
마트폰을 통해 이용하는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소셜 미디어를 주로 이용하는 이유는 친구/지인과의 연락 및 교류(58.4%) 라고 가장 많
이 응답하였으며, 작년에 비해 소셜 미디어를 통해 뉴스, 이슈 등의 정보 획득을 하기
위해서 라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1.9
이용 시간 (전체)
85.5
60.4
34.6
14.6
84.8 88 83.8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인터넷 모바 일인터넷 소셜 미디어
매체별 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단위: %, 복수응답)
41.6
66.1
18.1 13.8
8.9 9.1
21.6
5.7 8.4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밴드 링크드인 유투브 인스타그램 구글플러스
58.4
45.7
22.4
10.1 7.3 10
1.9 1.9
친구/지인과의
연락 및 교류
뉴스, 이슈
등의 정보 획득
취미/관심사
공유
일상 기록 사진/동영상
공유
기업/브랜드
정보
유명인의 글을
보거나 공유
내자신
홍보/표현
83.7% 13.7% 2.6%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은 소셜 미디어 중에서 ‘페이스북(66.1%)이 가장 신뢰성 있는 정
보를 제공한다고 응답하였다. 그 다음 순으로 블로그(41.6%), 유투브(21.6%), 트위터
(18.1%)로 나타났다. 성별로 살펴보면, 블로그의 경우 여자(45.3%)가 남자(38.4%)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20대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유투브(27.0%)와 인스타그램(11.3%)을 신뢰하는 반면, 40대
의 경우 트위터(21.6%)와 밴드(12.0%)를 다른 연령대비 상대적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이는 주로 이용하는 소셜 미디어와 동일한 패턴으로 나타나, 신뢰성 있는 정
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DMC미디어에서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를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매체별 여론 형
성에 미치는 영향도를 살펴보면, 모바일 인터넷이 88.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V(85.5%) > PC인터넷(84.8%) > 소셜 미디어(83.8%)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최근
TV뿐만 아니라 인터넷(PC/모바일)과 소셜 미디어도 여론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앞으로는 여론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통미디어 뿐만 아니라 뉴미
디어까지 살펴봐야 할 것이다.
(단위: 지수)
(단위: %, 복수응답)
(단위: Top2%)
I.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II. 소셜 미디어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
III.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활용 방법
Ⅳ. 소셜 미디어 사용자 인식
1.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 / 이용 기기
2. 주 이용 소셜 미디어
3. 소셜 미디어 이용 이유
4. 소셜 미디어 이용 활동
5. 소셜 미디어 관심 컨텐츠
6. 소셜 미디어 선호 컨텐츠 유형
7. 향후 소셜 미디어 이용 의향
1.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 / 이용 기기
스마트폰을 통해 소셜 미디어 이용률은
지속 성장세
KEY FINDINGS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 성별
66.0
81.8
83.7
30.1
13.6
13.7
3.8
4.6
2.6
2012년
2013년
2014년
스마트폰 PC/노트북 태블릿PC
소셜 미디어 이용 기기 (단위: %, 단답)
(단위: %, 단답)
소셜 미디어 이용 기기: 소비자 특성별
1.6시간 2.2시간
=
2012년 2014년
스마트폰 PC/노트북 태블릿PC 스마트폰 PC/노트북 태블릿PC
남자 65.8 27.8 6.4 82.4 15.4 2.2
여자 66.3 32.6 1.1 85.2 11.8 3.0
20대 80.2 19.0 0.9 87.4 12.1 0.5
30대 73.6 22.9 3.6 86.0 12.1 1.9
40대 이상 41.1 51.4 7.5 79.6 15.8 4.6
전체
1.9시간
DMC미디어에서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경험자를 대상으
로 조사한 결과, 소셜 미디어 이용 시 ‘스마트폰’을 이용한다는 의견이
83.7%로, 타 디바이스의 감소세에 반해 압도적으로 높은 점유율을 차
지하고 있음. 이미 2012년에도 PC/노트북보다 2배 이상 많은 이용률
을 보였지만 2년 새 6배 이상으로 격차가 벌어져, 모바일 트렌드 가속
화 환경 속에서도 소셜 미디어 영역은 모바일이 가장 최적화된 수단으
로 자리매김한 것으로 보여짐.
2012년 기준으로 40대 이상은 ‘스마트폰’ 보다 ‘PC/노트북’을 통한 소
셜 미디어 이용률이 더 높게 나타났는데, 2014년 조사에서는 PC/노트
북 이용률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타 연령대와 비슷한 스마트폰 우세 분
포를 보이고 있음. 이는 스마트폰 보급 초기 고연령층의 디바이스 사용
량 및 사용 숙련도가 낮았던 것이 2년이 경과한 시점에선 해소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태블릿PC를 통한 소셜 미디어 이용은 현저히 낮은 비율로 나타나고,
남자보단 여자가, 연령층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소셜 미디어 이용시간은 일 평균 1.9시간으로 남자보다는 여자가 좀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Base)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2. 주 이용 소셜 미디어
주 이용 소셜 미디어(2014년)
전체
소비자 특성별
남자
(n=369)
여자
(n=330)
20대
(n=181)
30대
(n=214)
40대 이상
(n=304)
블로그 29.8 29.3 30.3 35.9 35.4 22.1
페이스북 77.4 74.7 80.4 83.8 77.1 73.8
트위터 8.9 6.1 12.0 9.6 6.6 10.2
카카오스토리 29.5 26.1 33.2 16.0 36.7 32.4
밴드 22.0 25.7 17.9 4.7 17.0 35.8
핀터레스트 2.2 3.1 1.3 2.1 3.1 1.7
링크드인 2.0 1.4 2.6 1.5 1.2 2.8
유투브 15.8 21.0 10.0 21.3 14.1 13.7
인스타그램 8.0 6.4 9.8 20.4 6.6 1.7
구글플러스 2.0 3.8 0 1.2 0.7 3.4
(단위: %, 복수응답)
KEY FINDINGS
가장 많이 이용하는 소셜 미디어는 ‘페이스북’,
‘블로그’와 ‘카카오스토리’가 뒤를 이어
주 이용 소셜 미디어로는 ‘페이스북’이 77.4%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나고, ‘블로그(29.8%)’와 ‘카카오스토리(29.5%)가 뒤를 이음. 초기 소셜
미디어 트렌드를 견인했던 ‘트위터’와 ‘페이스북’이 주 이용 미디어로써
엇갈린 행로를 보이는 결과를 알 수 있음. 이는 ‘페이스북’을 비롯하여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밴드’ 등의 소셜 미디어들이 인맥을 바탕으로
한 관계지향적 특성을 보이는 것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됨.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여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이용을 보이는 반면,
‘밴드‘와 ‘유투브;는 남자가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연령대별로는
‘페이스북’, ‘블로그’, 유튜브’, ‘인스타그램’은 저연령대일수록, ‘밴드’,
‘카카오스토리’는 연령층이 높을수록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Base)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3. 소셜 미디어 이용 이유
소셜 미디어 이용 이유
2012년 2013년 2014년
친구/지인과의 연락 및 교류
뉴스, 이슈 등의 정보 획득
취미/관심사 공유
일상 기록
사진/동영상 공유
기업/브랜드 정보
(프로모션, 신상품, 할인)
유명인의 글을 보거나 공유
내자신 홍보/표현
76.2
26.2
18.7
15.4
8.4
8.1
5.0
2.8
58.4
45.7
22.4
10.1
7.3
10.0
1.9
1.9
64.2
35.9
21.0
18.0
8.0
9.9
1.6
3.5
KEY FINDINGS
최근 소셜 미디어는
뉴스, 이슈 등의 정보획득을 위한 미디어 기능을 수행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이유로 ‘친구/지인과의 연락 및 교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2012년 대비 18.8%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음. 이와 같
은 감소세는 카카오톡, 라인 등의 인스턴트 메신저들이 관계 유지를 위
한 커뮤니티 기능을 일정부분 대신하는 것이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반면, 소셜 미디어를 통해 ‘뉴스, 이슈 등의 정보 획득’
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점점 높아져, 소셜 미디어가 점차 언론 미디어
기능까지 확대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음.
2012년부터 소셜 미디어 이용 이유를 비교해 보면, 최근 소셜 미디어
는 뉴스 정보뿐만 아니라 취미/관심사 정보, 기업/브랜드 정보 때문에
이용한다는 응답률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음.
초창기 소셜 미디어들이 관계유지 및 확장의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었
다면, 현재의 소셜 미디어는 각각의 이용과 목적이 세분화되어 단순한
커뮤니티 기능 외에 다양한 방면으로 정보활용성이 증가되고 있는 추
세라고 볼 수 있음.
(단위: %, 복수응답)
소셜 미디어 주 이용 활동(2014년)
4. 소셜 미디어 이용 활동
친구 글 확인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
글쓰기
사람들의 반
응보기
(댓글 보기)
댓글 달기
소셜 미디어,
개인 블로그
공유하기
(리트윗)
제작 및 편집,
가공하기
남자
(n=369)
89.4 27.8 40.2 19.0 16.8 6.7
여자
(n=330)
78.4 40.9 37.8 21.5 19.8 1.6
20대
(n=181)
84.9 32.9 44.9 14.3 17.5 5.5
30대
(n=214)
88.5 37.3 36.4 16.0 15.6 6.1
40대 이상
(n=304)
80.8 32.3 37.5 26.7 20.4 2.3
KEY FINDINGS
84.2
34.0 39.1
20.2 18.2
4.3
(단위: %, 복수응답)
주 이용활동은 ‘친구 글 확인’ 가장 많아,
직접 컨텐츠를 생산하는 것은 여자가 남자보다 적극적
소셜 미디어 이용 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 ‘친구(이웃)글 확인’이
84.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사람들의 반응(댓글) 보기
(39.1%)’가 주 활동으로 조사됨. 이와 같이 사람들의 소셜 미디어 활동
이 자발적 컨텐츠 생산보다는 열람 행위가 앞서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
입장에서는 소셜 미디어에서 전달하는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도가
높다는 것을 염두 할 필요가 있음.
여자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 글쓰기(40.9%)’ 또는 ‘댓글 달기(21.5%)’
등의 활동에 있어 남자보다(각 27.8%, 19%) 더 적극적이고, 공유활동
(공유, 리트윗 등) 또한 남자보다 높게 나타나 컨텐츠를 직접 생산하고
확산하는 주체로서 남자보다 더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
임. 반면 남자는 생산과 바이럴 측면에선 상대적으로 여자보다 저조하
지만, 컨텐츠를 편집하고 가공하는 등의 제작활동에 있어선 여자보다
훨씬 관심이 많은 것으로 보임.
연령층이 높을수록 ‘댓글 달기’ 활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특히 40대 이상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공유활동에 있어 더 활발한
것으로 조사됨.
Base)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5. 소셜 미디어 관심 컨텐츠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국제(세계이슈) IT/미디어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연예/오락)
기업/브랜드
남자 (n=369) 19.4 13.9 31.2 31.6 5.5 44.5 12.5 23.8 17.5
여자 (n=330) 20.1 5.2 32.3 50.4 5.9 28.7 1.3 34.3 21.7
20대 (n=181) 11.2 7.4 28.1 41.3 7.7 30.0 8.2 39.9 26.1
30대 (n=214) 18.8 7.2 33.9 43.3 5.7 34.9 7.7 29.7 18.9
40대 이상 (n=304) 25.5 13.1 32.4 38.0 4.5 42.6 6.3 21.6 15.9
KEY FINDINGS
19.7
9.8
31.8
40.5
5.7
37.0
7.2
28.8
19.5
(단위: %, 복수응답)
소셜 미디어 주 관심 컨텐츠 소재(2014년)
남자는 ‘IT/미디어’, 여자는 ‘생활/문화’ 컨텐츠 선호,
연령대가 높을수록 ‘IT/미디어’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
소셜 미디어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중에서 ‘생활/문화’가 40.5%로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T/미디어(37%)’, ‘사회(31.8%)’, ‘엔터테인먼트(28.8%)’ 순으로 나
타남.
남자는 ‘IT/미디어’와 ‘경제’, ‘스포츠’ 부문에 있어 여자보다 관심도가 높고, 여자는 ‘생활/문화’, ‘엔터테인먼트’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어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컨텐츠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연령대별로는 저 연령대일수록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부문에, 연령대가 높을수록 ‘IT/미디어’, ‘정치’, ‘경제’ 부문에 대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남.
‘기업/브랜드’ 부문은 남자보단 여자, 저연령층일수록 관심도가 높게 나타나 기업의 소셜 미디어 마케팅 타겟 설정 시 고려 가능할 것으로 보임.
Base)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6. 소셜 미디어 선호 컨텐츠 유형
KEY FINDINGS
소셜 미디어에서 가장 선호하는 컨텐츠 유형은
‘텍스트+이미지’ 형
텍스트형 이미지형 텍스트+이미지형 동영상형 링크형
남자
(n=369)
여자
(n=330)
20대
(n=181)
30대
(n=214)
40대 이상
(n=304)
1.1
0.3
0.5
1.4
0.7
23.6
32.8
38.5
32.6
18.1
65.3
62.3
53.8
58.6
73.4
7.9
4.3
6.0
6.0
6.3
2.2
0.3
1.1
1.4
1.6
선호하는 소셜 미디어 컨텐츠 유형(2014년)
0.9
27.8
6.2
1.3
63.9
(단위: %, 단답)
소셜 미디어 컨텐츠 유형 중 ‘텍스트+이미지형(63.9%)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시각적인 요소와 내용적인 요소가 동시에 총족될 때 가장 컨텐츠 전달력이 높
은 것을 알 수 있음. 단독 텍스트와 이미지 컨텐츠에 있어선 ‘이미지형’이 월등히 높은 선호도를 보임. 핀터레스트, 인스타그램, 플리커 등 이미지(포토) 기반의 SNS가
새로운 트렌드로 급부상하게 된 것도 같은 맥락에서 사용자의 니즈가 반영된 결과인 것으로 판단됨.
남자는 ‘동영상형’, ‘링크형’을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고, 여자는‘이미지형’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연령이 낮을수록 ‘이미지형’을 선호하며, 연령이 높을수록 ‘이미지+텍스트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Base)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KEY FINDINGS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국제 IT/미디어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기업/브랜드
텍스트형 63.7 16.9 30.1 43.3 0.0 29.1 0.0 16.9 0.0
이미지형 22.6 7.2 28.2 47.2 5.5 20.8 12.0 37.2 19.3
텍스트+이미지 18.1 11.1 34.3 40.2 4.4 43.5 5.0 24.9 18.4
동영상 13.2 3.7 25.6 15.6 22.8 42.5 10.2 28.3 38.1
링크형 41.0 23.6 14.2 25.0 0.0 44.3 5.2 46.6 0.0
선호하는 소셜 미디어 컨텐츠 유형: 소재별
(단위: %, 단답)
기업/브랜드 컨텐츠는 ‘동영상’,
정치 컨텐츠는 ‘텍스트형’이 효과적으로 정보 전달
컨텐츠 소재에 따른 컨텐츠 유형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정치는 ‘텍스트형(63.7%)’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생활/문화 컨텐츠는 ‘텍스트형(63.7%), 기업/브랜드 컨텐츠는’
동영상형(38.1%)’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컨텐츠 소재별 선호하는 컨텐츠 유형이 상이한 것을 알 수 있음. 이에 따라 컨텐츠 소재에 따라 컨텐츠 유형을 선택한다
면, 조금 더 효과적으로 소셜 미디어에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6. 소셜 미디어 선호 컨텐츠 유형: 소재별
Base)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7. 향후 소셜 미디어 이용 의향
KEY FINDINGS
향후 소셜 미디어 이용 의향
향후 소셜 미디어 이용량
2.3
8.7
89.0
전혀 없다 보통 매우 많다
5.5
52.1
42.5
매우 감소 지금과 비슷 매우 증가
전혀 없음 보통 매우 많음
남자
(n=369)
0.3 11.7 88.1
여자
(n=330)
4.5 5.5 90.0
20대
(n=181)
0.5 8.2 91.2
30대
(n=214)
0.5 11.2 88.3
40대 이상
(n=304)
4.6 7.5 87.9
매우 감소 비슷 매우 증가
남자
(n=369)
5.8 50.0 44.2
여자
(n=330)
5.0 54.4 40.6
20대
(n=181)
8.5 61.2 30.4
30대
(n=214)
5.9 52.1 42.0
40대 이상
(n=304)
3.2 46.4 50.3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향후 소셜 미디어 이용 의향은 89.0%로 나타나,
10명 중 9명은 지속적으로 이용할 것으로 밝힘.
향후 소셜 미디어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들
중에 향후 소셜 미디어 이용량을 조사한 결과, 52.1%가 ‘지금이랑 비슷
할 것이다’ 라고 응답하였으며, 42.5%가 ‘지금보다 더 많이 이용할 것
이다’라고 응답함. 따라서 기업들은 소셜 미디어를 마케팅 채널로 활용
하는 것이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다만 타켓 고
객의 특성에 맞는 소셜 미디어 마케팅 전략이 전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향후 소셜 미디어 이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 할 전망
Base)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단위: %, 단답)
(단위: %, 단답)
I.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1. 소셜 미디어 광고 선호 유형
2.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II. 소셜 미디어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
III.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활용 방법
Ⅳ. 소셜 미디어 사용자 인식
1. 선호하는 소셜 미디어 광고 유형: 전체
2013년 대비 ‘시선을 사로잡는 흥미로운 광고’,
‘관심을 갖고 있는 제품/브랜드 관련 광고’ 선호도가 증가함
KEY FINDINGS
소셜 미디어 광고 선호 유형: 전체
2012년 2013년 2014년
나의 관심사에 맞춰진 광고
시선을 사로잡는
흥미로운 광고
관심을 갖고 있는
제품/브랜드 관련 광고
짧고 재미있는 게임이나
도전이 담긴 광고
나의 생활 지역에서
진행되는 광고
시간, 시기에 맞는 광고
(점심시간 런치메뉴광고,
여름휴가철 여행광고 등)
나의 성별, 연령에
맞는 광고
(단위: %, 복수응답)
56.8
36.8
33.8
14.1
13.8
13.5
5.0
56.6
43.9
43.2
13.1
10.9
16.3
7.9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경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은 ‘나의 관심사에 맞춰진 광고(56.6%)’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관심사에 맞춰진 광고 선호도가 높은 것은 꼭
소셜 미디어에서만 해당되는 사항은 아니며, 미디어 전반에 걸쳐 리타
케팅 광고기법이 각광받고 있는 추세임.
2013년 대비 2014년 소셜 미디어 광고 선호도를 살펴보면, ‘시선을 사
로잡는 흥미로운 광고’는 8.6% 증가하였으며, ‘관심을 갖고 있는 제품/
브랜드 관련 광고’는 7.0% 증가하였음. 특히, 제품/브랜드 광고에 대한
선호도는 3년 연속 증가하고 있어 기업의 소셜 미디어 마케팅이 소비
자의 인식 속에 긍정적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51.0
35.3
36.2
10.5
10.4
12.9
5.0
소셜 미디어 광고 선호 유형: 소비자 특성별
연령대가 낮을수록 ‘흥미로운 광고’, ‘관심을 갖고 있
는 제품/브랜드 관련 광고’를 선호
(단위: %, 복수응답)
2013년 2014년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이상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이상
나의 관심사에 맞
춰진 광고
50.7 51.2 56.4 46.5 50.4 58.8 54.1 54.2 53.4 60.3
시선을 사로잡는
흥미로운 광고
37.9 32.6 38.5 38.5 28.9 46.2 41.4 48.6 44.3 40.9
관심을 갖고 있는
제품/브랜드 관련
광고
41.0 31.2 48.0 42.0 18.6 41.2 45.5 46.7 45.2 39.8
짧고 재미있는
게임이나 도전이
담긴 광고
11.9 9.0 11.0 10.9 9.6 13.8 12.3 14.8 16.6 9.7
나의 생활
지역에서
진행되는 광고
10.0 10.9 10.4 9.0 12.0 8.2 13.9 8.7 8.1 14.2
시간, 시기에 맞는
광고
10.4 15.5 11.8 10.3 16.7 15.4 17.2 14.9 14.7 18.2
나의 성별, 연령에
맞는 광고
5.3 4.2 4.0 6.1 4.1 10.1 5.5 7.7 9.6 6.9
1. 선호하는 소셜 미디어 광고 유형: 소비자 특성별
KEY FINDINGS
2013년 소셜 미디어 이용자 특성별 광고 선호 유형을 살펴보면, 연령
대가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시선을 사로잡는 흥미로운 광고’와 ‘관심을
갖고 있는 제품/브랜드 관련 광고’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2014년도 동일한 결과로 나타나, 저 연령대가 타켓인 마케팅 진행시
참고요소로 활용 가능.
여자는 ‘자신이 관심을 갖고 있는 제품/브랜드 관련 광고’를 다른 광고
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광고를 광고로 인식하기 보다는 제품/
브랜드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보임. 남자는
상대적으로 ‘시선을 사로잡는 흥미로운 광고’를 선호해 재미요소를 추
구하는 것으로 보여짐.
2.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2012년 이후 가장 높은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를 나타냄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DMC Digital Advertisement Index)
•인터넷광고, 모바일광고, 소셜 미디어 광고와 같은 디지털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광고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DMC미디어가 개발한 지표임.
•디지털 광고에 대한 수용지수와 실제 구매로 이어지는 행동지수로 구성됨. 디지털 광고
수용지수가 높을수록 소비자의 태도가 긍정적이며, 광고 제품/서비스 구매에도 더 큰
영향을 미침.
•지수구성에 대한 설명
[종합지수] 소셜미디어 광고 태도지수와 행동지수를 반영한 종합지수. 100점 만점 기준.
[태도지수] 소셜미디어 광고 인지도, 신뢰도, 관심, 호감도의 4개 항목을 5점척도로 측정
하여 긍정응답률(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을 이용함. 100점 만점 기준.
[행동지수] 클릭경험, 구매욕구 자극의 2개 항목을 5점척도로 측정하여 긍정읍답률
(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을 이용함. 100점 만점 기준.
종합지수 태도지수 행동지수
DMC 디지털광고수용지수 (Digital Advertisement Index ; DAI)
광고태도 구매 영향력
인지도 신뢰도 관심 호감도 클릭경험
구매욕구
자극
2012년 60.2 56.6 56.6 56.6 51.9 55.3
2013년 70.2 56.2 58.4 55.0 51.4 48.5
2014년 74.2 58.4 67.6 61.0 56.4 56.2
55.0 57.5
52.655.0
60.0
50.0
60.8
65.3
56.3
2012년 2013년 2014년
KEY FINDINGS
DMC미디어에서 조사한 최근 3년간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2014년 소셜 미디어 광고 수용지수가 가장 높게 나타
나,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가 긍정적이고 실제로 제품/서비스 구
매에도 영향을 끼치는 정도가 높아졌을 것으로 예상됨.
광고 태도별 특성을 살펴보면, ‘인지도’ 항목이 크게 상승하였는데, 이
는 2012년 때 보다 소셜 미디어 이용이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
며, 소셜 미디어 광고에 관심도도 작년 대비 9.2% 상승한 것으로 조사
됨.
(단위: 지수)
2.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소비자 특성별(성별)
소셜 미디어의 광고태도는 ‘남자’가 더 높은 반면,
구매영향력은 ‘여자’가 더 높음
광고태도 구매 영향력
인지도 신뢰도 관심 호감도 클릭경험
구매욕구
자극
2012년
남자 63.3 56.2 56.9 58.7 50.0 50.3
여자 56.7 57.1 56.2 54.3 54.0 56.5
2013년
남자
(n=289)
73.1 56.6 59.5 56.2 52.4 49.0
여자
(n=271)
67.2 55.8 57.3 53.7 50.3 48.0
2014년
남자
(n=369)
76.0 58.6 68.0 60.6 55.8 54.2
여자
(n=330)
72.2 58.4 67.0 61.2 57.0 58.6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성별
(단위: 지수)
KEY FINDINGS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를 성별로 살펴보면, 남자가 여자보다 광고
태도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셜 미디어 광고를 통해 실제 구
매에 미치는 영향력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이에 따라 여자는 소셜 미디어 광고를 보고 구매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제품/서비스의 타켓이 여성인 기업들은 소셜 미디어 광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기업 마케팅 활동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
됨.
2.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소비자 특성별(연령별)
2012년 이후 40대 이상은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가 꾸준히 증가
광고태도 구매 영향력
인지도 신뢰도 관심 호감도 클릭경험
구매욕구
자극
2012년
20대 72.2 60.0 63.3 59.0 56.7 53.4
30대 70.6 59.0 63.3 60.7 58.1 55.3
40대 이상 51.2 54.7 51.9 52.9 47.4 54.1
2013년
20대
(n=171)
70.0 56.5 60.2 56.2 54.9 50.7
30대
(n=201)
72.5 58.2 60.4 58.2 53.6 49.6
40대 이상
(n=188)
68.0 53.9 54.8 50.4 45.7 45.3
2014년
20대
(n=181)
76.2 58.2 70.6 62.6 58.8 55.8
30대
(n=214)
75.4 58.4 66.8 60.6 57.8 56.6
40대 이상
(n=304)
72.7 58.8 66.2 60.2 54.0 56.2
KEY FINDINGS
DMC미디어에서 조사한 최근 3년간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전 연령대에 걸쳐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40대
이상의 소셜 미디어 이용 경험자들은 소셜 미디어 광고에 대한 전반적
인 태도가 호의적으로 변화하였으며, 구매 영향력 또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2012년 조사에 따르면, 40대 이상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소셜 미디어
광고 태도 및 영향력이 낮게 나타났지만, 최근 조사에서는 비슷하게 나
온 것으로 보아 40대 이상도 소셜 미디어를 많이 이용 하고 있으며, 소
셜 미디어 광고에도 호의적인 것을 알 수 있음.
(단위: 지수)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연령별
I.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1. 정보 획득 주 이용 매체
2. 매체별 정보 영향력
3. 매체별 정보 신뢰도
III.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활용 방법
II. 소셜 미디어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
Ⅳ. 소셜 미디어 사용자 인식
1. 정보 획득 주 이용 매체: 전체
취미/관심사 정보는 ‘소셜 미디어’
생활정보는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주로 정보 획득
전통미디어 뉴미디어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뉴스 28.7 9.3 5.0 3.2 55.6 61.7 36.5
브랜드/제품/
서비스 정보
13.6 7.5 3.6 11.1 65.8 65.3 33.0
취미/관심사
정보
12.4 5.7 4.5 5.8 58.2 65.9 47.6
생활정보
(날씨, 시간,
교통,지역)
30.2 8.5 7.0 4.0 51.4 80.0 18.9
학업 및 업무 11.1 11.7 7.2 13.8 77.2 55.8 23.1
공공정보
(관공서,법률)
19.4 15.4 7.3 6.8 87.8 45.0 18.4
정보 획득을 위한 주 이용 매체: 전통미디어 vs 뉴미디어
(단위: %, 복수응답)
KEY FINDINGS
DMC미디어가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정
보 획득을 위한 주 이용 매체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전통미디
어보다는 뉴미디어의 강세가 두드러짐.
‘뉴스’부문에 있어선 ‘모바일 인터넷(61.7%)’과 PC인터넷(55.6%)’에 대
한 이용률이 높게 나타남. 전통미디어 중에선 ‘TV’가 28.7%로 가장 높
은 응답을 얻었지만 뉴미디이 부문에 비해서는 PC나 모바일에 비해선
약 2배 이상 낮은 수치임.
‘모바일 인터넷’에 대한 선호도는 날씨, 시간, 교통, 지역 등의 생활정보
부문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PC인터넷’은 학업 및 업무, 공공
정보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냄. 취미/관심사 정보는 타 미디어에 비해
‘소셜 미디어’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남.
전통미디어 중에서는 ‘TV’의 영향력이 여전히 유효하고 뉴스나 생활정
보 부문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음.
이번 조사를 통해 다양한 부문의 정보 획득 시 전통 미디어 보다는 뉴
미디어를 더 선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브랜드/제품/서비스 정
보에 대한 뉴미디어 선호도 역시 이를 뒷받침하여 기업의 입장에서는
마케팅 활동 시 전통매체와 더불어 뉴미디어에 대한 활용을 필수적으
로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됨.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남자보다 여자, 연령층이 높을수록
소셜 미디어를 통해 ‘뉴스’ 정보를 획득
전통미디어 뉴미디어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남자
(n=369)
25.5 11.9 3.6 4.1 59.8 64.4 30.7
여자
(n=330)
32.3 6.4 6.7 2.2 51.0 58.6 42.9
20대
(n=181)
29.4 12.2 4.5 2.1 49.1 73.8 29.0
30대
(n=214)
31.7 8.7 4.6 4.6 61.9 61.4 27.0
40대 이상
(n=304)
26.1 8.0 5.7 2.9 55.2 54.6 47.6
정보 획득을 위한 주 이용 매체: 뉴스 정보
KEY FINDINGS
‘뉴스’ 정보 획득을 위한 주로 이용하는 매체를 소비자 특성별로 살펴
본 결과, 상대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소셜 미디어’를 통한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뉴스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20대는 ‘모바일 인터넷(73.8%)’을 가장 선호
하는 반면, 30대와 40대 이상은 ‘PC인터넷’과 ‘모바일 인터넷’을 골고
루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또한 연령층이 높을수록 소셜 미디어를 통
해 뉴스정보 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신문’과 ‘잡지’의 경우 뉴스 정보 이용시 남자가 더 이용률이 높았고,
연령대가 높을 수록 ‘라디오’의 이용률이 높게 나타남.
1. 정보 획득 주 이용 매체: 뉴스 정보
(단위: %, 복수응답)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연령대가 낮을 수록 소셜 미디어를 통해
‘브랜드/제품/서비스’ 정보 획득
전통미디어 뉴미디어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남자
(n=369)
19.1 8.7 3.8 8.2 71.9 60.3 28.0
여자
(n=330)
7.4 6.2 3.5 14.4 59.1 70.9 38.6
20대
(n=181)
11.2 5.3 4.2 12.7 64.3 65.9 36.4
30대
(n=214)
15.3 5.6 5.9 8.7 71.8 60.0 32.7
40대 이상
(n=304)
13.7 10.2 1.7 11.9 62.6 68.7 31.2
정보 획득을 위한 주 이용 매체: 브랜드/제품/서비스 정보
1. 정보 획득 주 이용 매체: 브랜드/제품/서비스 정보
KEY FINDINGS
‘브랜드/제품/서비스’ 정보 획득을 위해 주로 이용하는 매체를 살펴보
면, 남자는 ‘PC인터넷(71.9%)’, 여자는 ‘모바일 인터넷(70.9%)’을 통해
가장 많이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남. 또 ‘소셜 미디어’와 ‘잡지’ 부문에
있어서도 남자보다는 여자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소셜 미디어’ 활용에 있어 ‘뉴스’ 정보는 연령대가 높을 수록 선호도가
높았던 반면, ‘브랜드/제품/서비스’ 정보에 있어선 연령대가 낮을 수록
높은 응답을 얻음. 이는 저 연령층이 소셜 미디어 활동에 비교적 활발
하기 때문에 기업의 마케팅 활동이 저 연령대의 흥미를 자극하는 방식
또는 저 연령층에 타겟팅 된 아이템 위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일 것
으로 추측됨.
(단위: %, 복수응답)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취미/관심사’ 정보 획득 시
20대/40대는 모바일/소셜, 30대는 PC인터넷 선호
전통미디어 뉴미디어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남자
(n=369)
8.9 4.0 4.7 6.8 65.8 67.3 42.5
여자
(n=330)
16.3 7.5 4.2 4.6 49.7 64.3 53.3
20대
(n=181)
8.0 4.1 3.3 6.9 59.9 69.0 48.8
30대
(n=214)
11.1 7.0 4.6 6.6 63.5 63.1 44.1
40대 이상
(n=304)
15.8 5.7 5.1 4.6 53.5 66.0 49.4
정보 획득을 위한 주 이용 매체: 취미/관심사 정보
1. 정보 획득 주 이용 매체: 취미/관심사 정보
KEY FINDINGS
‘취미/관심사’ 정보 획득을 위해 주로 이용하는 매체를 살펴보면, 해당
정보는 전통미디어 대비 뉴미디어의 강세가 좀 더 도드라지는 결과를
보임.
연령에 따른 취미/관심사 정보를 획득하는 매체를 살펴보면, 20대와
40대는 ‘모바일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가 강세인 반면, 30대는 ‘PC인
터넷’을 통한 정보 획득이 높게 나타남.
전통미디어는 여자가 남자보다 TV를 통한 취미/관심사 정보 이용이 높
게 나타났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선호도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
(단위: %, 복수응답)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객관성 및 실시간성을 기반한 ‘생활 정보’는
접속용이가 편리한 ‘모바일 인터넷’을 선호
전통미디어 뉴미디어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남자
(n=369)
24.7 7.3 5.5 5.1 57.0 82.9 17.5
여자
(n=330)
36.3 9.8 8.8 2.8 45.1 76.8 20.4
20대
(n=181)
27.7 7.3 6.5 3.0 50.0 87.5 17.9
30대
(n=214)
29.2 7.0 7.8 6.6 53.0 80.8 15.8
40대 이상
(n=304)
32.3 10.2 6.8 2.9 51.2 75.1 21.6
정보 획득을 위한 주 이용 매체: 생활 정보
1. 정보 획득 주 이용 매체: 생활 정보
KEY FINDINGS
날씨, 시간, 교통, 지역 등 실시간 업데이트가 필요한 ‘생활정보’의 경우
소비자 특성에 상관없이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획득하는 비율이 전반
적으로 높게 나타남.
본 정보영역에 있어선 ‘소셜 미디어’의 이용률이 타 정보부문에 비해
낮게 나타남. 소셜 미디어가 실시간으로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지만 객관적이고 즉시적인 정보 활용에 있어선 선호
도가 낮게 나타나고, 이를 통해 소셜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의 전문성
과 신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 있음.
연령대가 높을수록 ‘TV’를 통해서 생활정보를 획득하는 비율이 높으며,
연령대가 낮을수록 모바일 인터넷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연
령별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임.
(단위: %, 복수응답)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학업 및 업무’ 관련 정보는
검색 환경이 용이한 ‘PC 인터넷’을 가장 선호
전통미디어 뉴미디어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남자
(n=369)
9.2 9.3 8.5 9.0 81.8 60.2 22.0
여자
(n=330)
13.3 14.4 5.8 19.1 72.1 50.9 24.4
20대
(n=181)
10.2 10.6 6.8 12.3 76.4 62.4 21.2
30대
(n=214)
10.9 11.6 6.4 12.1 81.0 55.9 22.1
40대 이상
(n=304)
11.9 12.4 8.0 15.8 75.1 51.8 25.0
정보 획득을 위한 주 이용 매체: 학업 및 업무 정보
1. 정보 획득 주 이용 매체: 학업 및 업무 정보
KEY FINDINGS
‘학업 및 업무’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주로 이용하는 매체를 살펴
본 결과, 다양하고 편리한 검색환경을 제공하는 ‘PC 인터넷’이 높은 응
답률을 보임.
여자는 남자보다 상대적으로 ‘TV’, ‘신문’, ‘잡지’의 이용률이 높고, 남자
는 소셜 미디어를 제외한 뉴미디어 부문에서 이용률이 높게 나타남. 또
연령대가 높을수록 ‘TV’, ‘신문’을, 연령대가 낮을수록 ‘모바일 인터넷’
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단위: %, 복수응답)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공공정보’ 역시 정보 탐색이 용이한
PC 인터넷을 압도적으로 선호
전통미디어 뉴미디어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남자
(n=369)
20.5 12.0 6.1 6.0 88.0 50.2 17.1
여자
(n=330)
18.2 19.2 8.7 7.7 87.4 39.1 19.8
20대
(n=181)
23.4 11.5 5.0 6.2 83.4 53.8 16.6
30대
(n=214)
21.8 11.6 6.0 6.5 90.9 48.0 15.3
40대 이상
(n=304)
15.4 20.4 9.6 7.4 88.1 37.6 21.6
정보 획득을 위한 주 이용 매체: 공공 정보
1. 정보 획득 주 이용 매체: 공공 정보
KEY FINDINGS
‘공공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주로 이용하는 매체를 살펴본 결과, PC인
터넷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학업 및 업무’ 정
보와 마찬가지고 공공정보의 특성상 원하는 정보를 탐색하기 용이 한
디바이스가 PC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임.
‘PC인터넷’에 대한 선호도는 전연령대에 걸쳐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나
고, 연령대가 낮을수록 ‘TV’와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서, 연령이 높을수
록 ‘신문’을 통해서 획득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단위: %, 복수응답)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TV와 더불어 뉴미디어가 여론 형성에 강세,
특히 소셜 미디어에 대한 여성 지지도가 높게 나타남.
2. 매체별 정보 영향력
85.5
60.4
34.6
14.6
84.8 88.0 83.8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남자 (n=369) 84.0 61.8 36.0 13.3 82.0 83.7 75.3
여자 (n=330) 87.2 58.8 33.0 16.0 87.9 92.7 93.3
20대 (n=181) 89.0 58.6 32.8 17.0 89.5 90.1 88.4
30대 (n=214) 86.0 61.2 35.0 16.4 84.7 86.0 85.0
40대 이상 (n=304) 82.9 60.9 35.2 11.8 82.5 88.2 80.6
KEY FINDINGS
DMC미디어에서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를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매체별 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모바일 인터넷’이 88.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V(85.5%)’ > ‘PC인터넷(84.8%)’ > ‘소셜 미디어(83.8%)’ 순으로 편차가 그리 크지 않게 나타남. 정보 획득에 있어선 전통미디어에 비해 뉴미디
어가 강세인 것으로 나타났던 것과 비교하면, 여론 형성 영향력에 있어서도 뉴미디어가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여전히 ‘TV’의 영향력은 높음을 알 수 있음.
전반적으로 뉴미디어 전 부문에 있어서 여자가 남자보다 여론 형성에 대한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나, 여론 형성에 대한 적극성과 매체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 비례관계
에 있음을 유추할 수 있음. 특히 소셜 미디어 부문에 있어선 여자가 남자보다 18% 높게 나타나 소셜 미디어 바이럴에 있어 여성이 더 수용도가 높음을 알 수 있음.
조사 결과를 통해 PC나 모바일 인터넷과 더불어 소셜 미디어 역시 여론을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기업 마케팅 활동 시 정보 전달 및 확산의
미디어로써 중요한 고려대상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 매체별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단위: Top2%)
PC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모두
획득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형성
3. 매체별 정보 신뢰도
29.0 28.5
22.9
17.5
35.0 36.1 34.9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남자 (n=369) 28.1 26.9 20.3 16.5 34.9 35.5 29.7
여자 (n=330) 30.0 30.3 25.8 18.5 35.2 36.7 40.6
20대 (n=181) 33.7 35.4 29.8 26.5 37.6 35.6 24.9
30대 (n=214) 32.2 30.8 26.6 20.2 33.6 33.6 31.8
40대 이상 (n=304) 23.9 22.7 15.8 10.2 34.5 38.2 43.1
KEY FINDINGS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한 경험자를 대상으로 매체별 획득 정보의 신뢰도를 조사한 결과, ‘모바일 인터넷(36.1%)’과 ‘PC인터넷(35%)’, ‘소셜 미디어(34.9%)’가
근소한 차로 우위를 점하는 것으로 나타남.
성별로 살펴보면, 여자는 남자보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남. 여자는 소셜 미디어 광고영향력도 높게 나타났으며, 여론 형성의
영향력 측면에서도 남자보다 높은 응답률을 보여 여성 타겟의 마케팅 시 소셜 미디어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한다면, 기업/브랜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됨.
연령별로는 고 연령대 일수록 ‘소셜 미디어’를, 저 연령대일수록 ‘신문’, ‘라디오’, ‘잡지’에 대한 정보 신뢰도가 높게 나타남.
(단위: Top2%)
획득한 정보의 신뢰도: 매체별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I.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1.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2.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이용자의 전반적 태도
Ⅳ. 소셜 미디어 사용자 인식
II. 소셜 미디어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
III.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활용 방법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가장 높은
소셜 미디어는 ‘페이스북’
(단위: %, 복수응답)
소비자 특성별
남자
(n=369)
여자
(n=330)
20대
(n=181)
30대
(n=214)
40대 이상
(n=304)
블로그 38.4 45.3 43.4 52.4 32.9
페이스북 67.9 64.1 60.9 63.5 71.0
트위터 17.2 19.1 16.7 14.4 21.6
카카오스토리 15.2 12.3 10.3 15.5 14.8
밴드 11.7 5.7 5.6 7.3 12.0
링크드인 9.7 8.4 8.4 7.4 10.8
유투브 21.7 21.4 27.0 19.3 19.9
인스타그램 5.0 6.5 11.3 4.2 3.4
구글플러스 7.8 9.1 8.6 7.2 9.1
1.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41.6
66.1
18.1 13.8
8.9 9.1
21.6
5.7 8.4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밴드 링크드인 유투브 인스타그램 구글플러스
KEY FINDINGS
DMC미디어에서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가장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 같은 소셜 미디어에 대하여 질문
한 결과, ‘페이스북(66.1%)’에 대한 응답률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블
로그(41.6%)’, ‘유투브(21.6%)’, ‘트위터(18.1%)’ 순으로 나타남.
성별로는 여자가 ‘블로그’와 ‘트위터’에서, 남자는 ‘카카오스토리’, ‘밴드’
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또 연령대가 높을 수록 ‘페이스북’, ‘밴드’
에, 연령대가 낮을 수록 ‘인스타그램’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남.
20대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유투브(27.0%)’와 ‘인스타그램(11.3%)’을
신뢰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40대의 경우 ‘트위터(21.6%)’와 ‘밴드
(12.0%)’를 신뢰하는 것으로 조사됨.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주 이용 소셜 미디어 vs 정보 신뢰도
소셜 미디어 이용 선호도와 정보 신뢰도가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님
(단위: %, 복수응답)
1.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계속)
KEY FINDINGS
주 이용 소셜 미디어가 ‘페이스북>블로그>카카오스토리>밴드>유투
브’ 순이었던 것에 비교하면, 정보의 신뢰도 측면에서는 ‘페이스북’과
‘블로그’를 제외한 차 순위에 차이가 발생함. 이를 통해 개인의 소셜 미
디어에 대한 이용 선호도와 소셜 미디어별 신뢰도 이미지가 반드시 일
치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고, 그 원인은 미디어를 이용하는 개개인
의 목적과 환경적인 특성에 기인할 것으로 보여짐.
이용 현황에 있어선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밴드 등 국내 소셜 미디어
의 이용률이 높게 나온 반면, 신뢰도 측면에선 페이스북, 유투브, 트위
터 등 글로벌 미디어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남. 특히 트위터 이용
률은 8.9%로 상당히 낮았던 것에 반해 정보 신뢰도 측면에선 18.1%로
급등한 결과를 보여, 미디어의 나라별 속성이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
인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을 반증하고 있음.
29.8
77.4
8.9
29.5
22
2
15.8
8
2
41.6
66.1
18.1 13.8
8.9 9.1
21.6
5.7 8.4
주이용매체
정보신뢰도
페이스북 블로그
카카오
스토리
밴드 유투브
유투브 트위터
카카오
스토리
주 이용 소셜 미디어
제공 정보 신뢰도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소셜 미디어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 소비자 특성별
소셜 미디어는 ‘가치’있고 ‘정확’하고 ‘현장감’있는
정보를 제공
(단위: Top2%)
2.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이용자의 전반적 태도
Base)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전문성 신속성 진실성 공정성 가치성 정확성 유용성 다양성 현장감
남자 32.6 16.0 14.9 11.7 81.9 76.2 41.7 59.6 73.8
여자 34.1 21.3 25.5 16.7 90.6 88.8 41.5 62.8 83.6
20대 22.1 11.6 13.2 7.7 87.3 84.5 40.3 60.8 80.8
30대 28.8 17.4 17.8 13.0 85.5 85.5 41.4 59.8 80.5
40대 이상 41.4 23.4 25.6 18.8 85.9 78.3 42.8 62.3 75.4
KEY FINDINGS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경험자들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의견을 물어본 결과, 소셜 미디어는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고 86.0%가 응답하여 가
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 순으로는 ‘정확한 정보(82.1%)’, ‘현장감 있는 정보(78.4%)’를 제공한다고 응답한 반면, ‘공정성(14.0%)’, ‘진실성(19.9%)’, ‘신속성(18.5%)’
부문에 있어선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기록함.
성별로 살펴보면, 여자가 남자보다 소셜 미디어에 대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정확성(+12.6%)’, ‘진실성(+10.6%)’ 항목에 대해 높게 평가. 또 연령대가
높을 수록 소셜 미디어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본 조사를 통해 소셜 미디어는 전통매체 및 PC/모바일 기반 미디어 외에 또 다른 정보 출처로써 기능하고 있음. 다만 소셜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는 일부 속성(가치
성, 정확성, 다양성, 현장감)에서는 지지도가 높지만 공정성, 진실성, 전문성 등의 속성에 있어선 아직 미흡한 바, 소셜 미디어가 더욱 신뢰감 있는 미디어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취급되는 정보의 깊이와 객관성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Note) 5점척도로 질문하여 ‘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에 응답한 비율임.
32.6
18.5 19.9
14.0
86.0 82.1
41.6
61.1
78.4
보고서 제목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분류 Survey Report > 서베이
S/N SU2014003
작성일자 2014.06.13
작성자 DMC MEDIA | 마케팅팀
관련 문의 marketing@dmcmedia.co.kr | 02-6230-6628
출처 DMC REPORT (www.dmcreport.co.kr)
본 내용은 ‘디지털 미디어&마케팅’의 이해 및 마케팅 가이드 정보의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보고서에 대한 모든 저작권은 DMC리포트에 있습니다.
내용의 발췌 또는 인용 시 반드시 당사의 사전 동의를 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Notice & Contact us
DMC리포트에서 더 많은 광고.마케팅.미디어 관련 전문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www.dmcreport.co.kr
Digital Media & Marketing Intelligence Center
DMC리포트는 디지털 미디어&광고마케팅 분야 연구/조사/분석 미디어입니다.
국.내외 디지털 미디어.광고.마케팅 관련 종합적 전문자료를 제공하는 지식센터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10여년간의 디지털 광고마케팅 실 집행 결과 데이터베이스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마켓, 미디어, 컨슈머, 서베이, 글로벌 이슈 및 다양한 통계자료 등을 꾸준히 생산/제공한 결과
디지털 미디어&광고마케팅 분야 전문자료로써의 가치 및 활용도, 영향력이 꾸준하게 확대되면서
해당 분야 전반을 아우르는 ‘전문지식채널’로써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시장을 통찰함과 동시에 실무에도 즉시 반영될 수 있는 ‘DMC리포트’를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DMC리포트는 디지털 미디어&마케팅 솔루션 전문기업 ‘DMC미디어’에서 제공합니다.
All About Digital Media & Marketing
AD & Marketing | Internet / Mobile / IPTV / DOOH
Solution | AD & Marketing Solution
Contents | DMC REPORT / BOXTORY
www.dmcmedia.co.kr | www.dmcreport.co.kr | www.boxtory.net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2015 국내 기업 및 기관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15 국내 기업 및 기관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2015 국내 기업 및 기관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15 국내 기업 및 기관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Yubyeol Kim
 
페이스북 기업 페이지 이용형태 조사보고서
페이스북 기업 페이지 이용형태 조사보고서페이스북 기업 페이지 이용형태 조사보고서
페이스북 기업 페이지 이용형태 조사보고서SCOTOSS
 
[2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20대] 2015 타겟 인사이트[2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20대] 2015 타겟 인사이트MezzoMedia
 
[4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40대] 2015 타겟 인사이트[4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40대] 2015 타겟 인사이트MezzoMedia
 
마케터를 위한 2016 디지털 & 소셜미디어 실전팁
마케터를 위한 2016 디지털 & 소셜미디어 실전팁마케터를 위한 2016 디지털 & 소셜미디어 실전팁
마케터를 위한 2016 디지털 & 소셜미디어 실전팁Jay Cho
 
[3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30대] 2015 타겟 인사이트[3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30대] 2015 타겟 인사이트MezzoMedia
 
미디어 & 기자를 위한 디지털/소셜미디어 전략 설정법
미디어 & 기자를 위한 디지털/소셜미디어 전략 설정법미디어 & 기자를 위한 디지털/소셜미디어 전략 설정법
미디어 & 기자를 위한 디지털/소셜미디어 전략 설정법Jay Cho
 
[패션&뷰티]소비자구매동향분석 Wg 20101129
[패션&뷰티]소비자구매동향분석 Wg 20101129[패션&뷰티]소비자구매동향분석 Wg 20101129
[패션&뷰티]소비자구매동향분석 Wg 20101129webground
 
2012년 모바일 sns 시장 전망
2012년 모바일 sns 시장 전망2012년 모바일 sns 시장 전망
2012년 모바일 sns 시장 전망Taehyun Brad Kim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MezzoMedia
 
201208_한국인의 소셜미디어 라이프스타일_DMC
201208_한국인의 소셜미디어 라이프스타일_DMC201208_한국인의 소셜미디어 라이프스타일_DMC
201208_한국인의 소셜미디어 라이프스타일_DMCYOO SE KYUN
 
[메조미디어] 2017 Target Audience 분석 리포트_2039 싱글 남성
[메조미디어] 2017 Target Audience 분석 리포트_2039 싱글 남성[메조미디어] 2017 Target Audience 분석 리포트_2039 싱글 남성
[메조미디어] 2017 Target Audience 분석 리포트_2039 싱글 남성MezzoMedia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4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40대 2014.07[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4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40대 2014.07MezzoMedia
 
NGO, NPO의 현실적인 소셜미디어 활용법
NGO, NPO의 현실적인 소셜미디어 활용법NGO, NPO의 현실적인 소셜미디어 활용법
NGO, NPO의 현실적인 소셜미디어 활용법Jay Cho
 
스마트워크 시대의 SNS 방향과 대응전략
스마트워크 시대의 SNS 방향과 대응전략스마트워크 시대의 SNS 방향과 대응전략
스마트워크 시대의 SNS 방향과 대응전략Youngwoo Song
 
[메조미디어] 2017 Target Audience 분석 리포트_2039 싱글 여성
[메조미디어] 2017 Target Audience 분석 리포트_2039 싱글 여성[메조미디어] 2017 Target Audience 분석 리포트_2039 싱글 여성
[메조미디어] 2017 Target Audience 분석 리포트_2039 싱글 여성MezzoMedia
 
비즈니스에 영감을 주는 국내외 SNS 서비스들
비즈니스에 영감을 주는 국내외 SNS 서비스들비즈니스에 영감을 주는 국내외 SNS 서비스들
비즈니스에 영감을 주는 국내외 SNS 서비스들HwanJin 'David' Choi
 
2014년 6월 모바일, sns 미디어 광고 동향
2014년 6월 모바일, sns 미디어 광고 동향2014년 6월 모바일, sns 미디어 광고 동향
2014년 6월 모바일, sns 미디어 광고 동향Taboola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2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20대 2014.07[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2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20대 2014.07MezzoMedia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_10대_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_10대_2014.07[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_10대_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_10대_2014.07MezzoMedia
 

What's hot (20)

2015 국내 기업 및 기관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15 국내 기업 및 기관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2015 국내 기업 및 기관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15 국내 기업 및 기관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
 
페이스북 기업 페이지 이용형태 조사보고서
페이스북 기업 페이지 이용형태 조사보고서페이스북 기업 페이지 이용형태 조사보고서
페이스북 기업 페이지 이용형태 조사보고서
 
[2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20대] 2015 타겟 인사이트[2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2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4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40대] 2015 타겟 인사이트[4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4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마케터를 위한 2016 디지털 & 소셜미디어 실전팁
마케터를 위한 2016 디지털 & 소셜미디어 실전팁마케터를 위한 2016 디지털 & 소셜미디어 실전팁
마케터를 위한 2016 디지털 & 소셜미디어 실전팁
 
[3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30대] 2015 타겟 인사이트[3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3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미디어 & 기자를 위한 디지털/소셜미디어 전략 설정법
미디어 & 기자를 위한 디지털/소셜미디어 전략 설정법미디어 & 기자를 위한 디지털/소셜미디어 전략 설정법
미디어 & 기자를 위한 디지털/소셜미디어 전략 설정법
 
[패션&뷰티]소비자구매동향분석 Wg 20101129
[패션&뷰티]소비자구매동향분석 Wg 20101129[패션&뷰티]소비자구매동향분석 Wg 20101129
[패션&뷰티]소비자구매동향분석 Wg 20101129
 
2012년 모바일 sns 시장 전망
2012년 모바일 sns 시장 전망2012년 모바일 sns 시장 전망
2012년 모바일 sns 시장 전망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
 
201208_한국인의 소셜미디어 라이프스타일_DMC
201208_한국인의 소셜미디어 라이프스타일_DMC201208_한국인의 소셜미디어 라이프스타일_DMC
201208_한국인의 소셜미디어 라이프스타일_DMC
 
[메조미디어] 2017 Target Audience 분석 리포트_2039 싱글 남성
[메조미디어] 2017 Target Audience 분석 리포트_2039 싱글 남성[메조미디어] 2017 Target Audience 분석 리포트_2039 싱글 남성
[메조미디어] 2017 Target Audience 분석 리포트_2039 싱글 남성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4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40대 2014.07[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4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40대 2014.07
 
NGO, NPO의 현실적인 소셜미디어 활용법
NGO, NPO의 현실적인 소셜미디어 활용법NGO, NPO의 현실적인 소셜미디어 활용법
NGO, NPO의 현실적인 소셜미디어 활용법
 
스마트워크 시대의 SNS 방향과 대응전략
스마트워크 시대의 SNS 방향과 대응전략스마트워크 시대의 SNS 방향과 대응전략
스마트워크 시대의 SNS 방향과 대응전략
 
[메조미디어] 2017 Target Audience 분석 리포트_2039 싱글 여성
[메조미디어] 2017 Target Audience 분석 리포트_2039 싱글 여성[메조미디어] 2017 Target Audience 분석 리포트_2039 싱글 여성
[메조미디어] 2017 Target Audience 분석 리포트_2039 싱글 여성
 
비즈니스에 영감을 주는 국내외 SNS 서비스들
비즈니스에 영감을 주는 국내외 SNS 서비스들비즈니스에 영감을 주는 국내외 SNS 서비스들
비즈니스에 영감을 주는 국내외 SNS 서비스들
 
2014년 6월 모바일, sns 미디어 광고 동향
2014년 6월 모바일, sns 미디어 광고 동향2014년 6월 모바일, sns 미디어 광고 동향
2014년 6월 모바일, sns 미디어 광고 동향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2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20대 2014.07[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2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2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_10대_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_10대_2014.07[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_10대_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_10대_2014.07
 

Viewers also liked

[메조미디어] 2017년 미디어트렌드리포트
[메조미디어] 2017년 미디어트렌드리포트[메조미디어] 2017년 미디어트렌드리포트
[메조미디어] 2017년 미디어트렌드리포트MezzoMedia
 
정부 Sns 운영효과_분석_및_활성화_방안_최종_보고서
정부 Sns 운영효과_분석_및_활성화_방안_최종_보고서정부 Sns 운영효과_분석_및_활성화_방안_최종_보고서
정부 Sns 운영효과_분석_및_활성화_방안_최종_보고서Becky Kim
 
2016년 소셜미디어 기상도, 뜨는 sns 지는 sns
2016년 소셜미디어 기상도, 뜨는 sns 지는 sns2016년 소셜미디어 기상도, 뜨는 sns 지는 sns
2016년 소셜미디어 기상도, 뜨는 sns 지는 snsJay Cho
 
2016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 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16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 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2016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 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16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 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KPR
 
인스타그램 이용행태 분석 자료 :: Instagram for Business
인스타그램 이용행태 분석 자료 :: Instagram for Business인스타그램 이용행태 분석 자료 :: Instagram for Business
인스타그램 이용행태 분석 자료 :: Instagram for BusinessInnobirds Media
 
국내외 소셜미디어/SNS 시장 현황 및 마케팅 사례 살펴보기
국내외 소셜미디어/SNS 시장 현황 및 마케팅 사례 살펴보기국내외 소셜미디어/SNS 시장 현황 및 마케팅 사례 살펴보기
국내외 소셜미디어/SNS 시장 현황 및 마케팅 사례 살펴보기마킨드(makiind)
 
기업 소셜 미디어(SNS) 운영 전략
기업 소셜 미디어(SNS) 운영 전략기업 소셜 미디어(SNS) 운영 전략
기업 소셜 미디어(SNS) 운영 전략Plan2F
 
2017전망보고서 미디어이슈 1215
2017전망보고서 미디어이슈 12152017전망보고서 미디어이슈 1215
2017전망보고서 미디어이슈 1215Nasmedia
 
2014 소셜미디어 & 소셜마케팅 전망
2014 소셜미디어 & 소셜마케팅 전망2014 소셜미디어 & 소셜마케팅 전망
2014 소셜미디어 & 소셜마케팅 전망선영 박
 
201208_소셜미디어 이용자의 광고 태도 보고서_DMC
201208_소셜미디어 이용자의 광고 태도 보고서_DMC201208_소셜미디어 이용자의 광고 태도 보고서_DMC
201208_소셜미디어 이용자의 광고 태도 보고서_DMCYOO SE KYUN
 
프로그램 계획 Ppt
프로그램 계획 Ppt프로그램 계획 Ppt
프로그램 계획 Pptjejuzip
 
국내 No 1. 동영상 광고 '다윈'의 신상품 '다윈 SNS' 출시 및 동영상 광고에서 ADID 이용을 통한 퍼포먼스 부분까지 고려한 동영...
국내 No 1. 동영상 광고 '다윈'의 신상품 '다윈 SNS' 출시 및 동영상 광고에서 ADID 이용을 통한 퍼포먼스 부분까지 고려한 동영...국내 No 1. 동영상 광고 '다윈'의 신상품 '다윈 SNS' 출시 및 동영상 광고에서 ADID 이용을 통한 퍼포먼스 부분까지 고려한 동영...
국내 No 1. 동영상 광고 '다윈'의 신상품 '다윈 SNS' 출시 및 동영상 광고에서 ADID 이용을 통한 퍼포먼스 부분까지 고려한 동영...성헌 제
 
[대학내일20대연구소]201210 대학생들이sns를그만두려고하는이유는(20121018)
[대학내일20대연구소]201210 대학생들이sns를그만두려고하는이유는(20121018)[대학내일20대연구소]201210 대학생들이sns를그만두려고하는이유는(20121018)
[대학내일20대연구소]201210 대학생들이sns를그만두려고하는이유는(20121018)UnivTomorrow
 
LINE, How Do Japanese Brands Use this Social Media Platform?
LINE, How Do Japanese Brands Use this Social Media Platform?LINE, How Do Japanese Brands Use this Social Media Platform?
LINE, How Do Japanese Brands Use this Social Media Platform?Adam Acar
 
[대학내일20대연구소]201212 대학생들이누리고싶은여가생활과현실의차이(20121227)
[대학내일20대연구소]201212 대학생들이누리고싶은여가생활과현실의차이(20121227)[대학내일20대연구소]201212 대학생들이누리고싶은여가생활과현실의차이(20121227)
[대학내일20대연구소]201212 대학생들이누리고싶은여가생활과현실의차이(20121227)UnivTomorrow
 
모바일광고 광고주 인식 조사
모바일광고 광고주 인식 조사모바일광고 광고주 인식 조사
모바일광고 광고주 인식 조사WOOSUNG HAN
 

Viewers also liked (16)

[메조미디어] 2017년 미디어트렌드리포트
[메조미디어] 2017년 미디어트렌드리포트[메조미디어] 2017년 미디어트렌드리포트
[메조미디어] 2017년 미디어트렌드리포트
 
정부 Sns 운영효과_분석_및_활성화_방안_최종_보고서
정부 Sns 운영효과_분석_및_활성화_방안_최종_보고서정부 Sns 운영효과_분석_및_활성화_방안_최종_보고서
정부 Sns 운영효과_분석_및_활성화_방안_최종_보고서
 
2016년 소셜미디어 기상도, 뜨는 sns 지는 sns
2016년 소셜미디어 기상도, 뜨는 sns 지는 sns2016년 소셜미디어 기상도, 뜨는 sns 지는 sns
2016년 소셜미디어 기상도, 뜨는 sns 지는 sns
 
2016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 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16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 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2016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 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16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 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
 
인스타그램 이용행태 분석 자료 :: Instagram for Business
인스타그램 이용행태 분석 자료 :: Instagram for Business인스타그램 이용행태 분석 자료 :: Instagram for Business
인스타그램 이용행태 분석 자료 :: Instagram for Business
 
국내외 소셜미디어/SNS 시장 현황 및 마케팅 사례 살펴보기
국내외 소셜미디어/SNS 시장 현황 및 마케팅 사례 살펴보기국내외 소셜미디어/SNS 시장 현황 및 마케팅 사례 살펴보기
국내외 소셜미디어/SNS 시장 현황 및 마케팅 사례 살펴보기
 
기업 소셜 미디어(SNS) 운영 전략
기업 소셜 미디어(SNS) 운영 전략기업 소셜 미디어(SNS) 운영 전략
기업 소셜 미디어(SNS) 운영 전략
 
2017전망보고서 미디어이슈 1215
2017전망보고서 미디어이슈 12152017전망보고서 미디어이슈 1215
2017전망보고서 미디어이슈 1215
 
2014 소셜미디어 & 소셜마케팅 전망
2014 소셜미디어 & 소셜마케팅 전망2014 소셜미디어 & 소셜마케팅 전망
2014 소셜미디어 & 소셜마케팅 전망
 
201208_소셜미디어 이용자의 광고 태도 보고서_DMC
201208_소셜미디어 이용자의 광고 태도 보고서_DMC201208_소셜미디어 이용자의 광고 태도 보고서_DMC
201208_소셜미디어 이용자의 광고 태도 보고서_DMC
 
프로그램 계획 Ppt
프로그램 계획 Ppt프로그램 계획 Ppt
프로그램 계획 Ppt
 
국내 No 1. 동영상 광고 '다윈'의 신상품 '다윈 SNS' 출시 및 동영상 광고에서 ADID 이용을 통한 퍼포먼스 부분까지 고려한 동영...
국내 No 1. 동영상 광고 '다윈'의 신상품 '다윈 SNS' 출시 및 동영상 광고에서 ADID 이용을 통한 퍼포먼스 부분까지 고려한 동영...국내 No 1. 동영상 광고 '다윈'의 신상품 '다윈 SNS' 출시 및 동영상 광고에서 ADID 이용을 통한 퍼포먼스 부분까지 고려한 동영...
국내 No 1. 동영상 광고 '다윈'의 신상품 '다윈 SNS' 출시 및 동영상 광고에서 ADID 이용을 통한 퍼포먼스 부분까지 고려한 동영...
 
[대학내일20대연구소]201210 대학생들이sns를그만두려고하는이유는(20121018)
[대학내일20대연구소]201210 대학생들이sns를그만두려고하는이유는(20121018)[대학내일20대연구소]201210 대학생들이sns를그만두려고하는이유는(20121018)
[대학내일20대연구소]201210 대학생들이sns를그만두려고하는이유는(20121018)
 
LINE, How Do Japanese Brands Use this Social Media Platform?
LINE, How Do Japanese Brands Use this Social Media Platform?LINE, How Do Japanese Brands Use this Social Media Platform?
LINE, How Do Japanese Brands Use this Social Media Platform?
 
[대학내일20대연구소]201212 대학생들이누리고싶은여가생활과현실의차이(20121227)
[대학내일20대연구소]201212 대학생들이누리고싶은여가생활과현실의차이(20121227)[대학내일20대연구소]201212 대학생들이누리고싶은여가생활과현실의차이(20121227)
[대학내일20대연구소]201212 대학생들이누리고싶은여가생활과현실의차이(20121227)
 
모바일광고 광고주 인식 조사
모바일광고 광고주 인식 조사모바일광고 광고주 인식 조사
모바일광고 광고주 인식 조사
 

Similar to 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

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
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
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Chulho Choi
 
201007_SNS에 대한 사용자 의식조사 보고서_DMC
201007_SNS에 대한 사용자 의식조사 보고서_DMC201007_SNS에 대한 사용자 의식조사 보고서_DMC
201007_SNS에 대한 사용자 의식조사 보고서_DMCYOO SE KYUN
 
2009180910강연웅
2009180910강연웅2009180910강연웅
2009180910강연웅연웅 강
 
이코노믹리뷰 소셜네트워킹 생존지수
이코노믹리뷰 소셜네트워킹 생존지수이코노믹리뷰 소셜네트워킹 생존지수
이코노믹리뷰 소셜네트워킹 생존지수Juny Lee
 
이코노믹리뷰 소셜네트워킹 생존지수
이코노믹리뷰 소셜네트워킹 생존지수이코노믹리뷰 소셜네트워킹 생존지수
이코노믹리뷰 소셜네트워킹 생존지수Social-Link
 
Kisdi stat report(13 12)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 추이 분석
Kisdi stat report(13 12)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 추이 분석Kisdi stat report(13 12)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 추이 분석
Kisdi stat report(13 12)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 추이 분석태헌 김
 
SNS시장동향보고서(소셜미디어데이터포럼)
SNS시장동향보고서(소셜미디어데이터포럼)SNS시장동향보고서(소셜미디어데이터포럼)
SNS시장동향보고서(소셜미디어데이터포럼)Sung-ho Moon
 
[메조미디어] 2023 타겟 분석 리포트_20대
[메조미디어] 2023 타겟 분석 리포트_20대[메조미디어] 2023 타겟 분석 리포트_20대
[메조미디어] 2023 타겟 분석 리포트_20대MezzoMedia
 
소셜미디어와 미디어의 미래
소셜미디어와 미디어의 미래소셜미디어와 미디어의 미래
소셜미디어와 미디어의 미래Sungkyu Lee
 
소셜미디어와 미디어의 미래
소셜미디어와 미디어의 미래소셜미디어와 미디어의 미래
소셜미디어와 미디어의 미래Sungkyu Lee
 
[메조미디어] 타겟 분석 리포트_10대
[메조미디어] 타겟 분석 리포트_10대[메조미디어] 타겟 분석 리포트_10대
[메조미디어] 타겟 분석 리포트_10대MezzoMedia
 
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
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
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Taboola
 
[BLUE Line] 저승사자 캠페인 Media Plan
[BLUE Line] 저승사자 캠페인 Media Plan[BLUE Line] 저승사자 캠페인 Media Plan
[BLUE Line] 저승사자 캠페인 Media PlanDREAMTERMINAL0110
 
오픈앱스관련 뉴스 20090622
오픈앱스관련 뉴스 20090622오픈앱스관련 뉴스 20090622
오픈앱스관련 뉴스 20090622Gi Hwan Lee
 
SNS, 그 효과적 활용방안은?
SNS, 그 효과적 활용방안은?SNS, 그 효과적 활용방안은?
SNS, 그 효과적 활용방안은?Hanjoo Kim
 
소셜 분석 전문 서비스 '펄스-K' OBT 진행
소셜 분석 전문 서비스 '펄스-K' OBT 진행소셜 분석 전문 서비스 '펄스-K' OBT 진행
소셜 분석 전문 서비스 '펄스-K' OBT 진행Konan Pulse-k
 
Sns 마케팅 참고 자료
Sns 마케팅 참고 자료Sns 마케팅 참고 자료
Sns 마케팅 참고 자료Yun-Ho Chang
 
20110416 kisdi 소셜미디어_광고의_확산과_전망[1]
20110416 kisdi 소셜미디어_광고의_확산과_전망[1]20110416 kisdi 소셜미디어_광고의_확산과_전망[1]
20110416 kisdi 소셜미디어_광고의_확산과_전망[1]Jung Kyu Kim
 

Similar to 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 (20)

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
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
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
 
201007_SNS에 대한 사용자 의식조사 보고서_DMC
201007_SNS에 대한 사용자 의식조사 보고서_DMC201007_SNS에 대한 사용자 의식조사 보고서_DMC
201007_SNS에 대한 사용자 의식조사 보고서_DMC
 
2009180910강연웅
2009180910강연웅2009180910강연웅
2009180910강연웅
 
최민빈
최민빈최민빈
최민빈
 
이코노믹리뷰 소셜네트워킹 생존지수
이코노믹리뷰 소셜네트워킹 생존지수이코노믹리뷰 소셜네트워킹 생존지수
이코노믹리뷰 소셜네트워킹 생존지수
 
이코노믹리뷰 소셜네트워킹 생존지수
이코노믹리뷰 소셜네트워킹 생존지수이코노믹리뷰 소셜네트워킹 생존지수
이코노믹리뷰 소셜네트워킹 생존지수
 
Kisdi stat report(13 12)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 추이 분석
Kisdi stat report(13 12)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 추이 분석Kisdi stat report(13 12)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 추이 분석
Kisdi stat report(13 12)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 추이 분석
 
SNS시장동향보고서(소셜미디어데이터포럼)
SNS시장동향보고서(소셜미디어데이터포럼)SNS시장동향보고서(소셜미디어데이터포럼)
SNS시장동향보고서(소셜미디어데이터포럼)
 
[메조미디어] 2023 타겟 분석 리포트_20대
[메조미디어] 2023 타겟 분석 리포트_20대[메조미디어] 2023 타겟 분석 리포트_20대
[메조미디어] 2023 타겟 분석 리포트_20대
 
소셜미디어와 미디어의 미래
소셜미디어와 미디어의 미래소셜미디어와 미디어의 미래
소셜미디어와 미디어의 미래
 
소셜미디어와 미디어의 미래
소셜미디어와 미디어의 미래소셜미디어와 미디어의 미래
소셜미디어와 미디어의 미래
 
과제
과제과제
과제
 
[메조미디어] 타겟 분석 리포트_10대
[메조미디어] 타겟 분석 리포트_10대[메조미디어] 타겟 분석 리포트_10대
[메조미디어] 타겟 분석 리포트_10대
 
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
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
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
 
[BLUE Line] 저승사자 캠페인 Media Plan
[BLUE Line] 저승사자 캠페인 Media Plan[BLUE Line] 저승사자 캠페인 Media Plan
[BLUE Line] 저승사자 캠페인 Media Plan
 
오픈앱스관련 뉴스 20090622
오픈앱스관련 뉴스 20090622오픈앱스관련 뉴스 20090622
오픈앱스관련 뉴스 20090622
 
SNS, 그 효과적 활용방안은?
SNS, 그 효과적 활용방안은?SNS, 그 효과적 활용방안은?
SNS, 그 효과적 활용방안은?
 
소셜 분석 전문 서비스 '펄스-K' OBT 진행
소셜 분석 전문 서비스 '펄스-K' OBT 진행소셜 분석 전문 서비스 '펄스-K' OBT 진행
소셜 분석 전문 서비스 '펄스-K' OBT 진행
 
Sns 마케팅 참고 자료
Sns 마케팅 참고 자료Sns 마케팅 참고 자료
Sns 마케팅 참고 자료
 
20110416 kisdi 소셜미디어_광고의_확산과_전망[1]
20110416 kisdi 소셜미디어_광고의_확산과_전망[1]20110416 kisdi 소셜미디어_광고의_확산과_전망[1]
20110416 kisdi 소셜미디어_광고의_확산과_전망[1]
 

More from Yubyeol Kim

페이스북 동영상 광고 업데이트
페이스북 동영상 광고 업데이트페이스북 동영상 광고 업데이트
페이스북 동영상 광고 업데이트Yubyeol Kim
 
페이스북 유사타겟 2015
페이스북 유사타겟 2015페이스북 유사타겟 2015
페이스북 유사타겟 2015Yubyeol Kim
 
온라인 환경변화에 따른 소통방안 최종본 2014 문체부
온라인 환경변화에 따른 소통방안 최종본 2014 문체부온라인 환경변화에 따른 소통방안 최종본 2014 문체부
온라인 환경변화에 따른 소통방안 최종본 2014 문체부Yubyeol Kim
 
소셜관점에서 바라본 2014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소셜관점에서 바라본 2014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소셜관점에서 바라본 2014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소셜관점에서 바라본 2014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Yubyeol Kim
 
의미분석망 분석 통계청 논문
의미분석망 분석 통계청 논문의미분석망 분석 통계청 논문
의미분석망 분석 통계청 논문Yubyeol Kim
 
The definitive guide to engaging content marketing 141111
The definitive guide to engaging content marketing 141111The definitive guide to engaging content marketing 141111
The definitive guide to engaging content marketing 141111Yubyeol Kim
 
Instagram study2014q3 simplymeasured
Instagram study2014q3 simplymeasuredInstagram study2014q3 simplymeasured
Instagram study2014q3 simplymeasuredYubyeol Kim
 
Brandreport icebucket 140829
Brandreport icebucket 140829Brandreport icebucket 140829
Brandreport icebucket 140829Yubyeol Kim
 
언론홍보 성과의 평가 기준 개발 Kais tmba
언론홍보 성과의 평가 기준 개발 Kais tmba언론홍보 성과의 평가 기준 개발 Kais tmba
언론홍보 성과의 평가 기준 개발 Kais tmbaYubyeol Kim
 
홍보와Pr의단어의의미차이 한국언론학회 박종민
홍보와Pr의단어의의미차이 한국언론학회 박종민홍보와Pr의단어의의미차이 한국언론학회 박종민
홍보와Pr의단어의의미차이 한국언론학회 박종민Yubyeol Kim
 

More from Yubyeol Kim (12)

페이스북 동영상 광고 업데이트
페이스북 동영상 광고 업데이트페이스북 동영상 광고 업데이트
페이스북 동영상 광고 업데이트
 
페이스북 유사타겟 2015
페이스북 유사타겟 2015페이스북 유사타겟 2015
페이스북 유사타겟 2015
 
온라인 환경변화에 따른 소통방안 최종본 2014 문체부
온라인 환경변화에 따른 소통방안 최종본 2014 문체부온라인 환경변화에 따른 소통방안 최종본 2014 문체부
온라인 환경변화에 따른 소통방안 최종본 2014 문체부
 
소셜관점에서 바라본 2014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소셜관점에서 바라본 2014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소셜관점에서 바라본 2014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소셜관점에서 바라본 2014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읨Krkwic
읨Krkwic읨Krkwic
읨Krkwic
 
읨Krkwic.intro
읨Krkwic.intro읨Krkwic.intro
읨Krkwic.intro
 
의미분석망 분석 통계청 논문
의미분석망 분석 통계청 논문의미분석망 분석 통계청 논문
의미분석망 분석 통계청 논문
 
The definitive guide to engaging content marketing 141111
The definitive guide to engaging content marketing 141111The definitive guide to engaging content marketing 141111
The definitive guide to engaging content marketing 141111
 
Instagram study2014q3 simplymeasured
Instagram study2014q3 simplymeasuredInstagram study2014q3 simplymeasured
Instagram study2014q3 simplymeasured
 
Brandreport icebucket 140829
Brandreport icebucket 140829Brandreport icebucket 140829
Brandreport icebucket 140829
 
언론홍보 성과의 평가 기준 개발 Kais tmba
언론홍보 성과의 평가 기준 개발 Kais tmba언론홍보 성과의 평가 기준 개발 Kais tmba
언론홍보 성과의 평가 기준 개발 Kais tmba
 
홍보와Pr의단어의의미차이 한국언론학회 박종민
홍보와Pr의단어의의미차이 한국언론학회 박종민홍보와Pr의단어의의미차이 한국언론학회 박종민
홍보와Pr의단어의의미차이 한국언론학회 박종민
 

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

  • 1.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DMC REPORT 본 연구보고서의 모든 저작권은 DMC미디어에 있습니다. 보고서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발췌하거나 인용, 또는 언론보도 시에는 반드시 당사의 사전 동의를 득하여야 하며, 내용과 자료의 출처가 DMC미디어임을 반드시 밝혀야 합니다.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 소셜 미디어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 / 정보활용 방법
  • 2. INTRODUCTION Research Methodology Table of Contents Executive Summary I.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3 본 연구보고서의 모든 저작권은 DMC미디어에 있습니다. 보고서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발췌하거나 인용할 시에는 반드시 당사의 사전 동의를 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관련 문의: DMC미디어 마케팅팀 marketing@dmcmedia.co.kr DMC Media Digital Media Convergence Company 1.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 / 이용 기기 2. 주 이용 소셜 미디어 3. 소셜 미디어 이용 이유 4. 소셜 미디어 이용 활동 5. 소셜 미디어 관심 컨텐츠 6. 소셜 미디어 선호 컨텐츠 유형 7. 향후 소셜 미디어 이용 의향 5 6 7 8 9 10 12 II. 소셜 미디어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 1. 소셜 미디어 광고 선호 유형 2.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14 16 17 III.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활용 방법 1. 정보 획득 주 이용 매체 2. 매체별 정보 영향력 3. 매체별 정보 신뢰도 21 28 29 Ⅳ. 소셜 미디어 사용자 인식 1.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2.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이용자의 전반적 태도 31 32 지난 2년간 DMC미디어에서는 소셜 미디어 이용행태를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는 최근 소셜 미디 어 이용행태를 알아보고, 기존 데이터와 비교 분석을 하기 위해 기획하였다. 표본은 DMC미디어가 조사목적으로 모집하고 운영하고 있는 DMC 패널들을 대상으로 2014년 5 월 21일부터 5월 28일까지 7일간 인터넷 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조사 대상은 만 19세 이상 59세 이하의 남녀 대상의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경험자 로써 인터넷 이용자의 성별, 연령대별 인터넷 이용자 분포에 비례한 표본할당추출(Proportionate Quota Sampling)로 전국에서 총 699명을 조사했다. 2014 브라질월드컵은 사상 최대 소셜ㆍ모바일 월드컵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소셜 미디어 중 트 위터의 초당 신기록 경신이 예상되며, 모바일 인터넷이 기존 PC 인터넷 이용률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월드컵 공식 후원사 아디다스 측은 "이번 월드컵이 명실상부한 소셜 월드컵이 될 것이 라는 데는 의심할 여지가 없으며, 역사상 가장 큰 소셜 이벤트가 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이젠 소셜 미디어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이 보편화되어 개인들은 1개 이상의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으며, 기업에서도 이런 소비자들과 직접 소통하기 위해 다양한 플랫폼을 동시에 운영하고 있 는 상황이다. DMC미디어에서는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을 이해하기 위해, 2012년부터 소셜 미디어 이용행태 관련 DB를 수집, 분석하고 있으며, 본 보고서 또한 그와 같은 맥락에서 2014년의 이용실태 및 3 년간의 변화를 트래킹하여 분석해 보고자 기획되었다. 본 보고서가 취급하는 소셜 미디어 이용 행태,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매체별 정보획득 및 신뢰도 등의 정보들이 소셜 미디어를 운영 하는 마케터들에게 있어 효과적인 광고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립에 도움을 주길 기대한다.
  • 3. EXECUTIVE SUMMARY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 / 이용 기기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DMC Digital Advertisement Index) DMC미디어가 디지털광고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디지털광고지수(DMC Digital Advertisement Index : DAI) 분석을 이용하여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를 분석 한 결과에 의하면, 태도지수는 65.3, 행동지수는 56.3으로 총 종합지수는 60.8로 조사되 었다. 최근 2년간 데이터를 비교 분석해 보면, 소셜 미디어 광고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이며, 실제로 구매에 까지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늘었다라고 볼 수 있다. 종합지수 태도지수 행동지수 55.0 57.5 52.655.0 60.0 50.0 60.8 65.3 56.3 2012년 2013년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경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소셜 미디어를 이 용시 스마트폰이 83.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난 2년간의 추이를 비교해보면 스 마트폰을 통해 이용하는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소셜 미디어를 주로 이용하는 이유는 친구/지인과의 연락 및 교류(58.4%) 라고 가장 많 이 응답하였으며, 작년에 비해 소셜 미디어를 통해 뉴스, 이슈 등의 정보 획득을 하기 위해서 라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1.9 이용 시간 (전체) 85.5 60.4 34.6 14.6 84.8 88 83.8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인터넷 모바 일인터넷 소셜 미디어 매체별 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단위: %, 복수응답) 41.6 66.1 18.1 13.8 8.9 9.1 21.6 5.7 8.4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밴드 링크드인 유투브 인스타그램 구글플러스 58.4 45.7 22.4 10.1 7.3 10 1.9 1.9 친구/지인과의 연락 및 교류 뉴스, 이슈 등의 정보 획득 취미/관심사 공유 일상 기록 사진/동영상 공유 기업/브랜드 정보 유명인의 글을 보거나 공유 내자신 홍보/표현 83.7% 13.7% 2.6%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은 소셜 미디어 중에서 ‘페이스북(66.1%)이 가장 신뢰성 있는 정 보를 제공한다고 응답하였다. 그 다음 순으로 블로그(41.6%), 유투브(21.6%), 트위터 (18.1%)로 나타났다. 성별로 살펴보면, 블로그의 경우 여자(45.3%)가 남자(38.4%)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20대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유투브(27.0%)와 인스타그램(11.3%)을 신뢰하는 반면, 40대 의 경우 트위터(21.6%)와 밴드(12.0%)를 다른 연령대비 상대적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이는 주로 이용하는 소셜 미디어와 동일한 패턴으로 나타나, 신뢰성 있는 정 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DMC미디어에서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를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매체별 여론 형 성에 미치는 영향도를 살펴보면, 모바일 인터넷이 88.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V(85.5%) > PC인터넷(84.8%) > 소셜 미디어(83.8%)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최근 TV뿐만 아니라 인터넷(PC/모바일)과 소셜 미디어도 여론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앞으로는 여론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통미디어 뿐만 아니라 뉴미 디어까지 살펴봐야 할 것이다. (단위: 지수) (단위: %, 복수응답) (단위: Top2%)
  • 4. I.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II. 소셜 미디어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 III.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활용 방법 Ⅳ. 소셜 미디어 사용자 인식 1.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 / 이용 기기 2. 주 이용 소셜 미디어 3. 소셜 미디어 이용 이유 4. 소셜 미디어 이용 활동 5. 소셜 미디어 관심 컨텐츠 6. 소셜 미디어 선호 컨텐츠 유형 7. 향후 소셜 미디어 이용 의향
  • 5. 1.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 / 이용 기기 스마트폰을 통해 소셜 미디어 이용률은 지속 성장세 KEY FINDINGS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 성별 66.0 81.8 83.7 30.1 13.6 13.7 3.8 4.6 2.6 2012년 2013년 2014년 스마트폰 PC/노트북 태블릿PC 소셜 미디어 이용 기기 (단위: %, 단답) (단위: %, 단답) 소셜 미디어 이용 기기: 소비자 특성별 1.6시간 2.2시간 = 2012년 2014년 스마트폰 PC/노트북 태블릿PC 스마트폰 PC/노트북 태블릿PC 남자 65.8 27.8 6.4 82.4 15.4 2.2 여자 66.3 32.6 1.1 85.2 11.8 3.0 20대 80.2 19.0 0.9 87.4 12.1 0.5 30대 73.6 22.9 3.6 86.0 12.1 1.9 40대 이상 41.1 51.4 7.5 79.6 15.8 4.6 전체 1.9시간 DMC미디어에서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경험자를 대상으 로 조사한 결과, 소셜 미디어 이용 시 ‘스마트폰’을 이용한다는 의견이 83.7%로, 타 디바이스의 감소세에 반해 압도적으로 높은 점유율을 차 지하고 있음. 이미 2012년에도 PC/노트북보다 2배 이상 많은 이용률 을 보였지만 2년 새 6배 이상으로 격차가 벌어져, 모바일 트렌드 가속 화 환경 속에서도 소셜 미디어 영역은 모바일이 가장 최적화된 수단으 로 자리매김한 것으로 보여짐. 2012년 기준으로 40대 이상은 ‘스마트폰’ 보다 ‘PC/노트북’을 통한 소 셜 미디어 이용률이 더 높게 나타났는데, 2014년 조사에서는 PC/노트 북 이용률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타 연령대와 비슷한 스마트폰 우세 분 포를 보이고 있음. 이는 스마트폰 보급 초기 고연령층의 디바이스 사용 량 및 사용 숙련도가 낮았던 것이 2년이 경과한 시점에선 해소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태블릿PC를 통한 소셜 미디어 이용은 현저히 낮은 비율로 나타나고, 남자보단 여자가, 연령층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소셜 미디어 이용시간은 일 평균 1.9시간으로 남자보다는 여자가 좀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Base)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 6. 2. 주 이용 소셜 미디어 주 이용 소셜 미디어(2014년) 전체 소비자 특성별 남자 (n=369) 여자 (n=330) 20대 (n=181) 30대 (n=214) 40대 이상 (n=304) 블로그 29.8 29.3 30.3 35.9 35.4 22.1 페이스북 77.4 74.7 80.4 83.8 77.1 73.8 트위터 8.9 6.1 12.0 9.6 6.6 10.2 카카오스토리 29.5 26.1 33.2 16.0 36.7 32.4 밴드 22.0 25.7 17.9 4.7 17.0 35.8 핀터레스트 2.2 3.1 1.3 2.1 3.1 1.7 링크드인 2.0 1.4 2.6 1.5 1.2 2.8 유투브 15.8 21.0 10.0 21.3 14.1 13.7 인스타그램 8.0 6.4 9.8 20.4 6.6 1.7 구글플러스 2.0 3.8 0 1.2 0.7 3.4 (단위: %, 복수응답) KEY FINDINGS 가장 많이 이용하는 소셜 미디어는 ‘페이스북’, ‘블로그’와 ‘카카오스토리’가 뒤를 이어 주 이용 소셜 미디어로는 ‘페이스북’이 77.4%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나고, ‘블로그(29.8%)’와 ‘카카오스토리(29.5%)가 뒤를 이음. 초기 소셜 미디어 트렌드를 견인했던 ‘트위터’와 ‘페이스북’이 주 이용 미디어로써 엇갈린 행로를 보이는 결과를 알 수 있음. 이는 ‘페이스북’을 비롯하여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밴드’ 등의 소셜 미디어들이 인맥을 바탕으로 한 관계지향적 특성을 보이는 것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됨.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여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이용을 보이는 반면, ‘밴드‘와 ‘유투브;는 남자가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연령대별로는 ‘페이스북’, ‘블로그’, 유튜브’, ‘인스타그램’은 저연령대일수록, ‘밴드’, ‘카카오스토리’는 연령층이 높을수록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Base)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 7. 3. 소셜 미디어 이용 이유 소셜 미디어 이용 이유 2012년 2013년 2014년 친구/지인과의 연락 및 교류 뉴스, 이슈 등의 정보 획득 취미/관심사 공유 일상 기록 사진/동영상 공유 기업/브랜드 정보 (프로모션, 신상품, 할인) 유명인의 글을 보거나 공유 내자신 홍보/표현 76.2 26.2 18.7 15.4 8.4 8.1 5.0 2.8 58.4 45.7 22.4 10.1 7.3 10.0 1.9 1.9 64.2 35.9 21.0 18.0 8.0 9.9 1.6 3.5 KEY FINDINGS 최근 소셜 미디어는 뉴스, 이슈 등의 정보획득을 위한 미디어 기능을 수행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이유로 ‘친구/지인과의 연락 및 교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2012년 대비 18.8%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음. 이와 같 은 감소세는 카카오톡, 라인 등의 인스턴트 메신저들이 관계 유지를 위 한 커뮤니티 기능을 일정부분 대신하는 것이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반면, 소셜 미디어를 통해 ‘뉴스, 이슈 등의 정보 획득’ 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점점 높아져, 소셜 미디어가 점차 언론 미디어 기능까지 확대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음. 2012년부터 소셜 미디어 이용 이유를 비교해 보면, 최근 소셜 미디어 는 뉴스 정보뿐만 아니라 취미/관심사 정보, 기업/브랜드 정보 때문에 이용한다는 응답률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음. 초창기 소셜 미디어들이 관계유지 및 확장의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었 다면, 현재의 소셜 미디어는 각각의 이용과 목적이 세분화되어 단순한 커뮤니티 기능 외에 다양한 방면으로 정보활용성이 증가되고 있는 추 세라고 볼 수 있음. (단위: %, 복수응답)
  • 8. 소셜 미디어 주 이용 활동(2014년) 4. 소셜 미디어 이용 활동 친구 글 확인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 글쓰기 사람들의 반 응보기 (댓글 보기) 댓글 달기 소셜 미디어, 개인 블로그 공유하기 (리트윗) 제작 및 편집, 가공하기 남자 (n=369) 89.4 27.8 40.2 19.0 16.8 6.7 여자 (n=330) 78.4 40.9 37.8 21.5 19.8 1.6 20대 (n=181) 84.9 32.9 44.9 14.3 17.5 5.5 30대 (n=214) 88.5 37.3 36.4 16.0 15.6 6.1 40대 이상 (n=304) 80.8 32.3 37.5 26.7 20.4 2.3 KEY FINDINGS 84.2 34.0 39.1 20.2 18.2 4.3 (단위: %, 복수응답) 주 이용활동은 ‘친구 글 확인’ 가장 많아, 직접 컨텐츠를 생산하는 것은 여자가 남자보다 적극적 소셜 미디어 이용 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 ‘친구(이웃)글 확인’이 84.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사람들의 반응(댓글) 보기 (39.1%)’가 주 활동으로 조사됨. 이와 같이 사람들의 소셜 미디어 활동 이 자발적 컨텐츠 생산보다는 열람 행위가 앞서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 입장에서는 소셜 미디어에서 전달하는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도가 높다는 것을 염두 할 필요가 있음. 여자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 글쓰기(40.9%)’ 또는 ‘댓글 달기(21.5%)’ 등의 활동에 있어 남자보다(각 27.8%, 19%) 더 적극적이고, 공유활동 (공유, 리트윗 등) 또한 남자보다 높게 나타나 컨텐츠를 직접 생산하고 확산하는 주체로서 남자보다 더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 임. 반면 남자는 생산과 바이럴 측면에선 상대적으로 여자보다 저조하 지만, 컨텐츠를 편집하고 가공하는 등의 제작활동에 있어선 여자보다 훨씬 관심이 많은 것으로 보임. 연령층이 높을수록 ‘댓글 달기’ 활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특히 40대 이상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공유활동에 있어 더 활발한 것으로 조사됨. Base)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 9. 5. 소셜 미디어 관심 컨텐츠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국제(세계이슈) IT/미디어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연예/오락) 기업/브랜드 남자 (n=369) 19.4 13.9 31.2 31.6 5.5 44.5 12.5 23.8 17.5 여자 (n=330) 20.1 5.2 32.3 50.4 5.9 28.7 1.3 34.3 21.7 20대 (n=181) 11.2 7.4 28.1 41.3 7.7 30.0 8.2 39.9 26.1 30대 (n=214) 18.8 7.2 33.9 43.3 5.7 34.9 7.7 29.7 18.9 40대 이상 (n=304) 25.5 13.1 32.4 38.0 4.5 42.6 6.3 21.6 15.9 KEY FINDINGS 19.7 9.8 31.8 40.5 5.7 37.0 7.2 28.8 19.5 (단위: %, 복수응답) 소셜 미디어 주 관심 컨텐츠 소재(2014년) 남자는 ‘IT/미디어’, 여자는 ‘생활/문화’ 컨텐츠 선호, 연령대가 높을수록 ‘IT/미디어’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 소셜 미디어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중에서 ‘생활/문화’가 40.5%로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T/미디어(37%)’, ‘사회(31.8%)’, ‘엔터테인먼트(28.8%)’ 순으로 나 타남. 남자는 ‘IT/미디어’와 ‘경제’, ‘스포츠’ 부문에 있어 여자보다 관심도가 높고, 여자는 ‘생활/문화’, ‘엔터테인먼트’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어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컨텐츠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연령대별로는 저 연령대일수록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부문에, 연령대가 높을수록 ‘IT/미디어’, ‘정치’, ‘경제’ 부문에 대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남. ‘기업/브랜드’ 부문은 남자보단 여자, 저연령층일수록 관심도가 높게 나타나 기업의 소셜 미디어 마케팅 타겟 설정 시 고려 가능할 것으로 보임. Base)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 10. 6. 소셜 미디어 선호 컨텐츠 유형 KEY FINDINGS 소셜 미디어에서 가장 선호하는 컨텐츠 유형은 ‘텍스트+이미지’ 형 텍스트형 이미지형 텍스트+이미지형 동영상형 링크형 남자 (n=369) 여자 (n=330) 20대 (n=181) 30대 (n=214) 40대 이상 (n=304) 1.1 0.3 0.5 1.4 0.7 23.6 32.8 38.5 32.6 18.1 65.3 62.3 53.8 58.6 73.4 7.9 4.3 6.0 6.0 6.3 2.2 0.3 1.1 1.4 1.6 선호하는 소셜 미디어 컨텐츠 유형(2014년) 0.9 27.8 6.2 1.3 63.9 (단위: %, 단답) 소셜 미디어 컨텐츠 유형 중 ‘텍스트+이미지형(63.9%)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시각적인 요소와 내용적인 요소가 동시에 총족될 때 가장 컨텐츠 전달력이 높 은 것을 알 수 있음. 단독 텍스트와 이미지 컨텐츠에 있어선 ‘이미지형’이 월등히 높은 선호도를 보임. 핀터레스트, 인스타그램, 플리커 등 이미지(포토) 기반의 SNS가 새로운 트렌드로 급부상하게 된 것도 같은 맥락에서 사용자의 니즈가 반영된 결과인 것으로 판단됨. 남자는 ‘동영상형’, ‘링크형’을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고, 여자는‘이미지형’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연령이 낮을수록 ‘이미지형’을 선호하며, 연령이 높을수록 ‘이미지+텍스트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Base)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 11. KEY FINDINGS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국제 IT/미디어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기업/브랜드 텍스트형 63.7 16.9 30.1 43.3 0.0 29.1 0.0 16.9 0.0 이미지형 22.6 7.2 28.2 47.2 5.5 20.8 12.0 37.2 19.3 텍스트+이미지 18.1 11.1 34.3 40.2 4.4 43.5 5.0 24.9 18.4 동영상 13.2 3.7 25.6 15.6 22.8 42.5 10.2 28.3 38.1 링크형 41.0 23.6 14.2 25.0 0.0 44.3 5.2 46.6 0.0 선호하는 소셜 미디어 컨텐츠 유형: 소재별 (단위: %, 단답) 기업/브랜드 컨텐츠는 ‘동영상’, 정치 컨텐츠는 ‘텍스트형’이 효과적으로 정보 전달 컨텐츠 소재에 따른 컨텐츠 유형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정치는 ‘텍스트형(63.7%)’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생활/문화 컨텐츠는 ‘텍스트형(63.7%), 기업/브랜드 컨텐츠는’ 동영상형(38.1%)’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컨텐츠 소재별 선호하는 컨텐츠 유형이 상이한 것을 알 수 있음. 이에 따라 컨텐츠 소재에 따라 컨텐츠 유형을 선택한다 면, 조금 더 효과적으로 소셜 미디어에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6. 소셜 미디어 선호 컨텐츠 유형: 소재별 Base)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 12. 7. 향후 소셜 미디어 이용 의향 KEY FINDINGS 향후 소셜 미디어 이용 의향 향후 소셜 미디어 이용량 2.3 8.7 89.0 전혀 없다 보통 매우 많다 5.5 52.1 42.5 매우 감소 지금과 비슷 매우 증가 전혀 없음 보통 매우 많음 남자 (n=369) 0.3 11.7 88.1 여자 (n=330) 4.5 5.5 90.0 20대 (n=181) 0.5 8.2 91.2 30대 (n=214) 0.5 11.2 88.3 40대 이상 (n=304) 4.6 7.5 87.9 매우 감소 비슷 매우 증가 남자 (n=369) 5.8 50.0 44.2 여자 (n=330) 5.0 54.4 40.6 20대 (n=181) 8.5 61.2 30.4 30대 (n=214) 5.9 52.1 42.0 40대 이상 (n=304) 3.2 46.4 50.3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향후 소셜 미디어 이용 의향은 89.0%로 나타나, 10명 중 9명은 지속적으로 이용할 것으로 밝힘. 향후 소셜 미디어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들 중에 향후 소셜 미디어 이용량을 조사한 결과, 52.1%가 ‘지금이랑 비슷 할 것이다’ 라고 응답하였으며, 42.5%가 ‘지금보다 더 많이 이용할 것 이다’라고 응답함. 따라서 기업들은 소셜 미디어를 마케팅 채널로 활용 하는 것이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다만 타켓 고 객의 특성에 맞는 소셜 미디어 마케팅 전략이 전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향후 소셜 미디어 이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 할 전망 Base)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단위: %, 단답) (단위: %, 단답)
  • 13. I.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1. 소셜 미디어 광고 선호 유형 2.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II. 소셜 미디어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 III.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활용 방법 Ⅳ. 소셜 미디어 사용자 인식
  • 14. 1. 선호하는 소셜 미디어 광고 유형: 전체 2013년 대비 ‘시선을 사로잡는 흥미로운 광고’, ‘관심을 갖고 있는 제품/브랜드 관련 광고’ 선호도가 증가함 KEY FINDINGS 소셜 미디어 광고 선호 유형: 전체 2012년 2013년 2014년 나의 관심사에 맞춰진 광고 시선을 사로잡는 흥미로운 광고 관심을 갖고 있는 제품/브랜드 관련 광고 짧고 재미있는 게임이나 도전이 담긴 광고 나의 생활 지역에서 진행되는 광고 시간, 시기에 맞는 광고 (점심시간 런치메뉴광고, 여름휴가철 여행광고 등) 나의 성별, 연령에 맞는 광고 (단위: %, 복수응답) 56.8 36.8 33.8 14.1 13.8 13.5 5.0 56.6 43.9 43.2 13.1 10.9 16.3 7.9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경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은 ‘나의 관심사에 맞춰진 광고(56.6%)’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관심사에 맞춰진 광고 선호도가 높은 것은 꼭 소셜 미디어에서만 해당되는 사항은 아니며, 미디어 전반에 걸쳐 리타 케팅 광고기법이 각광받고 있는 추세임. 2013년 대비 2014년 소셜 미디어 광고 선호도를 살펴보면, ‘시선을 사 로잡는 흥미로운 광고’는 8.6% 증가하였으며, ‘관심을 갖고 있는 제품/ 브랜드 관련 광고’는 7.0% 증가하였음. 특히, 제품/브랜드 광고에 대한 선호도는 3년 연속 증가하고 있어 기업의 소셜 미디어 마케팅이 소비 자의 인식 속에 긍정적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51.0 35.3 36.2 10.5 10.4 12.9 5.0
  • 15. 소셜 미디어 광고 선호 유형: 소비자 특성별 연령대가 낮을수록 ‘흥미로운 광고’, ‘관심을 갖고 있 는 제품/브랜드 관련 광고’를 선호 (단위: %, 복수응답) 2013년 2014년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이상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이상 나의 관심사에 맞 춰진 광고 50.7 51.2 56.4 46.5 50.4 58.8 54.1 54.2 53.4 60.3 시선을 사로잡는 흥미로운 광고 37.9 32.6 38.5 38.5 28.9 46.2 41.4 48.6 44.3 40.9 관심을 갖고 있는 제품/브랜드 관련 광고 41.0 31.2 48.0 42.0 18.6 41.2 45.5 46.7 45.2 39.8 짧고 재미있는 게임이나 도전이 담긴 광고 11.9 9.0 11.0 10.9 9.6 13.8 12.3 14.8 16.6 9.7 나의 생활 지역에서 진행되는 광고 10.0 10.9 10.4 9.0 12.0 8.2 13.9 8.7 8.1 14.2 시간, 시기에 맞는 광고 10.4 15.5 11.8 10.3 16.7 15.4 17.2 14.9 14.7 18.2 나의 성별, 연령에 맞는 광고 5.3 4.2 4.0 6.1 4.1 10.1 5.5 7.7 9.6 6.9 1. 선호하는 소셜 미디어 광고 유형: 소비자 특성별 KEY FINDINGS 2013년 소셜 미디어 이용자 특성별 광고 선호 유형을 살펴보면, 연령 대가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시선을 사로잡는 흥미로운 광고’와 ‘관심을 갖고 있는 제품/브랜드 관련 광고’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2014년도 동일한 결과로 나타나, 저 연령대가 타켓인 마케팅 진행시 참고요소로 활용 가능. 여자는 ‘자신이 관심을 갖고 있는 제품/브랜드 관련 광고’를 다른 광고 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광고를 광고로 인식하기 보다는 제품/ 브랜드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보임. 남자는 상대적으로 ‘시선을 사로잡는 흥미로운 광고’를 선호해 재미요소를 추 구하는 것으로 보여짐.
  • 16. 2.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2012년 이후 가장 높은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를 나타냄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DMC Digital Advertisement Index) •인터넷광고, 모바일광고, 소셜 미디어 광고와 같은 디지털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광고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DMC미디어가 개발한 지표임. •디지털 광고에 대한 수용지수와 실제 구매로 이어지는 행동지수로 구성됨. 디지털 광고 수용지수가 높을수록 소비자의 태도가 긍정적이며, 광고 제품/서비스 구매에도 더 큰 영향을 미침. •지수구성에 대한 설명 [종합지수] 소셜미디어 광고 태도지수와 행동지수를 반영한 종합지수. 100점 만점 기준. [태도지수] 소셜미디어 광고 인지도, 신뢰도, 관심, 호감도의 4개 항목을 5점척도로 측정 하여 긍정응답률(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을 이용함. 100점 만점 기준. [행동지수] 클릭경험, 구매욕구 자극의 2개 항목을 5점척도로 측정하여 긍정읍답률 (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을 이용함. 100점 만점 기준. 종합지수 태도지수 행동지수 DMC 디지털광고수용지수 (Digital Advertisement Index ; DAI) 광고태도 구매 영향력 인지도 신뢰도 관심 호감도 클릭경험 구매욕구 자극 2012년 60.2 56.6 56.6 56.6 51.9 55.3 2013년 70.2 56.2 58.4 55.0 51.4 48.5 2014년 74.2 58.4 67.6 61.0 56.4 56.2 55.0 57.5 52.655.0 60.0 50.0 60.8 65.3 56.3 2012년 2013년 2014년 KEY FINDINGS DMC미디어에서 조사한 최근 3년간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2014년 소셜 미디어 광고 수용지수가 가장 높게 나타 나,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가 긍정적이고 실제로 제품/서비스 구 매에도 영향을 끼치는 정도가 높아졌을 것으로 예상됨. 광고 태도별 특성을 살펴보면, ‘인지도’ 항목이 크게 상승하였는데, 이 는 2012년 때 보다 소셜 미디어 이용이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 며, 소셜 미디어 광고에 관심도도 작년 대비 9.2% 상승한 것으로 조사 됨. (단위: 지수)
  • 17. 2.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소비자 특성별(성별) 소셜 미디어의 광고태도는 ‘남자’가 더 높은 반면, 구매영향력은 ‘여자’가 더 높음 광고태도 구매 영향력 인지도 신뢰도 관심 호감도 클릭경험 구매욕구 자극 2012년 남자 63.3 56.2 56.9 58.7 50.0 50.3 여자 56.7 57.1 56.2 54.3 54.0 56.5 2013년 남자 (n=289) 73.1 56.6 59.5 56.2 52.4 49.0 여자 (n=271) 67.2 55.8 57.3 53.7 50.3 48.0 2014년 남자 (n=369) 76.0 58.6 68.0 60.6 55.8 54.2 여자 (n=330) 72.2 58.4 67.0 61.2 57.0 58.6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성별 (단위: 지수) KEY FINDINGS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를 성별로 살펴보면, 남자가 여자보다 광고 태도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셜 미디어 광고를 통해 실제 구 매에 미치는 영향력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이에 따라 여자는 소셜 미디어 광고를 보고 구매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제품/서비스의 타켓이 여성인 기업들은 소셜 미디어 광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기업 마케팅 활동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 됨.
  • 18. 2.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소비자 특성별(연령별) 2012년 이후 40대 이상은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가 꾸준히 증가 광고태도 구매 영향력 인지도 신뢰도 관심 호감도 클릭경험 구매욕구 자극 2012년 20대 72.2 60.0 63.3 59.0 56.7 53.4 30대 70.6 59.0 63.3 60.7 58.1 55.3 40대 이상 51.2 54.7 51.9 52.9 47.4 54.1 2013년 20대 (n=171) 70.0 56.5 60.2 56.2 54.9 50.7 30대 (n=201) 72.5 58.2 60.4 58.2 53.6 49.6 40대 이상 (n=188) 68.0 53.9 54.8 50.4 45.7 45.3 2014년 20대 (n=181) 76.2 58.2 70.6 62.6 58.8 55.8 30대 (n=214) 75.4 58.4 66.8 60.6 57.8 56.6 40대 이상 (n=304) 72.7 58.8 66.2 60.2 54.0 56.2 KEY FINDINGS DMC미디어에서 조사한 최근 3년간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전 연령대에 걸쳐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40대 이상의 소셜 미디어 이용 경험자들은 소셜 미디어 광고에 대한 전반적 인 태도가 호의적으로 변화하였으며, 구매 영향력 또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2012년 조사에 따르면, 40대 이상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소셜 미디어 광고 태도 및 영향력이 낮게 나타났지만, 최근 조사에서는 비슷하게 나 온 것으로 보아 40대 이상도 소셜 미디어를 많이 이용 하고 있으며, 소 셜 미디어 광고에도 호의적인 것을 알 수 있음. (단위: 지수) 소셜 미디어 광고수용지수: 연령별
  • 19. I.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1. 정보 획득 주 이용 매체 2. 매체별 정보 영향력 3. 매체별 정보 신뢰도 III.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활용 방법 II. 소셜 미디어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 Ⅳ. 소셜 미디어 사용자 인식
  • 20. 1. 정보 획득 주 이용 매체: 전체 취미/관심사 정보는 ‘소셜 미디어’ 생활정보는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주로 정보 획득 전통미디어 뉴미디어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뉴스 28.7 9.3 5.0 3.2 55.6 61.7 36.5 브랜드/제품/ 서비스 정보 13.6 7.5 3.6 11.1 65.8 65.3 33.0 취미/관심사 정보 12.4 5.7 4.5 5.8 58.2 65.9 47.6 생활정보 (날씨, 시간, 교통,지역) 30.2 8.5 7.0 4.0 51.4 80.0 18.9 학업 및 업무 11.1 11.7 7.2 13.8 77.2 55.8 23.1 공공정보 (관공서,법률) 19.4 15.4 7.3 6.8 87.8 45.0 18.4 정보 획득을 위한 주 이용 매체: 전통미디어 vs 뉴미디어 (단위: %, 복수응답) KEY FINDINGS DMC미디어가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정 보 획득을 위한 주 이용 매체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전통미디 어보다는 뉴미디어의 강세가 두드러짐. ‘뉴스’부문에 있어선 ‘모바일 인터넷(61.7%)’과 PC인터넷(55.6%)’에 대 한 이용률이 높게 나타남. 전통미디어 중에선 ‘TV’가 28.7%로 가장 높 은 응답을 얻었지만 뉴미디이 부문에 비해서는 PC나 모바일에 비해선 약 2배 이상 낮은 수치임. ‘모바일 인터넷’에 대한 선호도는 날씨, 시간, 교통, 지역 등의 생활정보 부문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PC인터넷’은 학업 및 업무, 공공 정보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냄. 취미/관심사 정보는 타 미디어에 비해 ‘소셜 미디어’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남. 전통미디어 중에서는 ‘TV’의 영향력이 여전히 유효하고 뉴스나 생활정 보 부문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음. 이번 조사를 통해 다양한 부문의 정보 획득 시 전통 미디어 보다는 뉴 미디어를 더 선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브랜드/제품/서비스 정 보에 대한 뉴미디어 선호도 역시 이를 뒷받침하여 기업의 입장에서는 마케팅 활동 시 전통매체와 더불어 뉴미디어에 대한 활용을 필수적으 로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됨.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 21. 남자보다 여자, 연령층이 높을수록 소셜 미디어를 통해 ‘뉴스’ 정보를 획득 전통미디어 뉴미디어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남자 (n=369) 25.5 11.9 3.6 4.1 59.8 64.4 30.7 여자 (n=330) 32.3 6.4 6.7 2.2 51.0 58.6 42.9 20대 (n=181) 29.4 12.2 4.5 2.1 49.1 73.8 29.0 30대 (n=214) 31.7 8.7 4.6 4.6 61.9 61.4 27.0 40대 이상 (n=304) 26.1 8.0 5.7 2.9 55.2 54.6 47.6 정보 획득을 위한 주 이용 매체: 뉴스 정보 KEY FINDINGS ‘뉴스’ 정보 획득을 위한 주로 이용하는 매체를 소비자 특성별로 살펴 본 결과, 상대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소셜 미디어’를 통한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뉴스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20대는 ‘모바일 인터넷(73.8%)’을 가장 선호 하는 반면, 30대와 40대 이상은 ‘PC인터넷’과 ‘모바일 인터넷’을 골고 루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또한 연령층이 높을수록 소셜 미디어를 통 해 뉴스정보 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신문’과 ‘잡지’의 경우 뉴스 정보 이용시 남자가 더 이용률이 높았고, 연령대가 높을 수록 ‘라디오’의 이용률이 높게 나타남. 1. 정보 획득 주 이용 매체: 뉴스 정보 (단위: %, 복수응답)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 22. 연령대가 낮을 수록 소셜 미디어를 통해 ‘브랜드/제품/서비스’ 정보 획득 전통미디어 뉴미디어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남자 (n=369) 19.1 8.7 3.8 8.2 71.9 60.3 28.0 여자 (n=330) 7.4 6.2 3.5 14.4 59.1 70.9 38.6 20대 (n=181) 11.2 5.3 4.2 12.7 64.3 65.9 36.4 30대 (n=214) 15.3 5.6 5.9 8.7 71.8 60.0 32.7 40대 이상 (n=304) 13.7 10.2 1.7 11.9 62.6 68.7 31.2 정보 획득을 위한 주 이용 매체: 브랜드/제품/서비스 정보 1. 정보 획득 주 이용 매체: 브랜드/제품/서비스 정보 KEY FINDINGS ‘브랜드/제품/서비스’ 정보 획득을 위해 주로 이용하는 매체를 살펴보 면, 남자는 ‘PC인터넷(71.9%)’, 여자는 ‘모바일 인터넷(70.9%)’을 통해 가장 많이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남. 또 ‘소셜 미디어’와 ‘잡지’ 부문에 있어서도 남자보다는 여자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소셜 미디어’ 활용에 있어 ‘뉴스’ 정보는 연령대가 높을 수록 선호도가 높았던 반면, ‘브랜드/제품/서비스’ 정보에 있어선 연령대가 낮을 수록 높은 응답을 얻음. 이는 저 연령층이 소셜 미디어 활동에 비교적 활발 하기 때문에 기업의 마케팅 활동이 저 연령대의 흥미를 자극하는 방식 또는 저 연령층에 타겟팅 된 아이템 위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일 것 으로 추측됨. (단위: %, 복수응답)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 23. ‘취미/관심사’ 정보 획득 시 20대/40대는 모바일/소셜, 30대는 PC인터넷 선호 전통미디어 뉴미디어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남자 (n=369) 8.9 4.0 4.7 6.8 65.8 67.3 42.5 여자 (n=330) 16.3 7.5 4.2 4.6 49.7 64.3 53.3 20대 (n=181) 8.0 4.1 3.3 6.9 59.9 69.0 48.8 30대 (n=214) 11.1 7.0 4.6 6.6 63.5 63.1 44.1 40대 이상 (n=304) 15.8 5.7 5.1 4.6 53.5 66.0 49.4 정보 획득을 위한 주 이용 매체: 취미/관심사 정보 1. 정보 획득 주 이용 매체: 취미/관심사 정보 KEY FINDINGS ‘취미/관심사’ 정보 획득을 위해 주로 이용하는 매체를 살펴보면, 해당 정보는 전통미디어 대비 뉴미디어의 강세가 좀 더 도드라지는 결과를 보임. 연령에 따른 취미/관심사 정보를 획득하는 매체를 살펴보면, 20대와 40대는 ‘모바일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가 강세인 반면, 30대는 ‘PC인 터넷’을 통한 정보 획득이 높게 나타남. 전통미디어는 여자가 남자보다 TV를 통한 취미/관심사 정보 이용이 높 게 나타났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선호도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 (단위: %, 복수응답)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 24. 객관성 및 실시간성을 기반한 ‘생활 정보’는 접속용이가 편리한 ‘모바일 인터넷’을 선호 전통미디어 뉴미디어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남자 (n=369) 24.7 7.3 5.5 5.1 57.0 82.9 17.5 여자 (n=330) 36.3 9.8 8.8 2.8 45.1 76.8 20.4 20대 (n=181) 27.7 7.3 6.5 3.0 50.0 87.5 17.9 30대 (n=214) 29.2 7.0 7.8 6.6 53.0 80.8 15.8 40대 이상 (n=304) 32.3 10.2 6.8 2.9 51.2 75.1 21.6 정보 획득을 위한 주 이용 매체: 생활 정보 1. 정보 획득 주 이용 매체: 생활 정보 KEY FINDINGS 날씨, 시간, 교통, 지역 등 실시간 업데이트가 필요한 ‘생활정보’의 경우 소비자 특성에 상관없이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획득하는 비율이 전반 적으로 높게 나타남. 본 정보영역에 있어선 ‘소셜 미디어’의 이용률이 타 정보부문에 비해 낮게 나타남. 소셜 미디어가 실시간으로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지만 객관적이고 즉시적인 정보 활용에 있어선 선호 도가 낮게 나타나고, 이를 통해 소셜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의 전문성 과 신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 있음. 연령대가 높을수록 ‘TV’를 통해서 생활정보를 획득하는 비율이 높으며, 연령대가 낮을수록 모바일 인터넷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연 령별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임. (단위: %, 복수응답)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 25. ‘학업 및 업무’ 관련 정보는 검색 환경이 용이한 ‘PC 인터넷’을 가장 선호 전통미디어 뉴미디어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남자 (n=369) 9.2 9.3 8.5 9.0 81.8 60.2 22.0 여자 (n=330) 13.3 14.4 5.8 19.1 72.1 50.9 24.4 20대 (n=181) 10.2 10.6 6.8 12.3 76.4 62.4 21.2 30대 (n=214) 10.9 11.6 6.4 12.1 81.0 55.9 22.1 40대 이상 (n=304) 11.9 12.4 8.0 15.8 75.1 51.8 25.0 정보 획득을 위한 주 이용 매체: 학업 및 업무 정보 1. 정보 획득 주 이용 매체: 학업 및 업무 정보 KEY FINDINGS ‘학업 및 업무’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주로 이용하는 매체를 살펴 본 결과, 다양하고 편리한 검색환경을 제공하는 ‘PC 인터넷’이 높은 응 답률을 보임. 여자는 남자보다 상대적으로 ‘TV’, ‘신문’, ‘잡지’의 이용률이 높고, 남자 는 소셜 미디어를 제외한 뉴미디어 부문에서 이용률이 높게 나타남. 또 연령대가 높을수록 ‘TV’, ‘신문’을, 연령대가 낮을수록 ‘모바일 인터넷’ 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단위: %, 복수응답)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 26. ‘공공정보’ 역시 정보 탐색이 용이한 PC 인터넷을 압도적으로 선호 전통미디어 뉴미디어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남자 (n=369) 20.5 12.0 6.1 6.0 88.0 50.2 17.1 여자 (n=330) 18.2 19.2 8.7 7.7 87.4 39.1 19.8 20대 (n=181) 23.4 11.5 5.0 6.2 83.4 53.8 16.6 30대 (n=214) 21.8 11.6 6.0 6.5 90.9 48.0 15.3 40대 이상 (n=304) 15.4 20.4 9.6 7.4 88.1 37.6 21.6 정보 획득을 위한 주 이용 매체: 공공 정보 1. 정보 획득 주 이용 매체: 공공 정보 KEY FINDINGS ‘공공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주로 이용하는 매체를 살펴본 결과, PC인 터넷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학업 및 업무’ 정 보와 마찬가지고 공공정보의 특성상 원하는 정보를 탐색하기 용이 한 디바이스가 PC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임. ‘PC인터넷’에 대한 선호도는 전연령대에 걸쳐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나 고, 연령대가 낮을수록 ‘TV’와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서, 연령이 높을수 록 ‘신문’을 통해서 획득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단위: %, 복수응답)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 27. TV와 더불어 뉴미디어가 여론 형성에 강세, 특히 소셜 미디어에 대한 여성 지지도가 높게 나타남. 2. 매체별 정보 영향력 85.5 60.4 34.6 14.6 84.8 88.0 83.8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남자 (n=369) 84.0 61.8 36.0 13.3 82.0 83.7 75.3 여자 (n=330) 87.2 58.8 33.0 16.0 87.9 92.7 93.3 20대 (n=181) 89.0 58.6 32.8 17.0 89.5 90.1 88.4 30대 (n=214) 86.0 61.2 35.0 16.4 84.7 86.0 85.0 40대 이상 (n=304) 82.9 60.9 35.2 11.8 82.5 88.2 80.6 KEY FINDINGS DMC미디어에서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를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매체별 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모바일 인터넷’이 88.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V(85.5%)’ > ‘PC인터넷(84.8%)’ > ‘소셜 미디어(83.8%)’ 순으로 편차가 그리 크지 않게 나타남. 정보 획득에 있어선 전통미디어에 비해 뉴미디 어가 강세인 것으로 나타났던 것과 비교하면, 여론 형성 영향력에 있어서도 뉴미디어가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여전히 ‘TV’의 영향력은 높음을 알 수 있음. 전반적으로 뉴미디어 전 부문에 있어서 여자가 남자보다 여론 형성에 대한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나, 여론 형성에 대한 적극성과 매체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 비례관계 에 있음을 유추할 수 있음. 특히 소셜 미디어 부문에 있어선 여자가 남자보다 18% 높게 나타나 소셜 미디어 바이럴에 있어 여성이 더 수용도가 높음을 알 수 있음. 조사 결과를 통해 PC나 모바일 인터넷과 더불어 소셜 미디어 역시 여론을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기업 마케팅 활동 시 정보 전달 및 확산의 미디어로써 중요한 고려대상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 매체별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단위: Top2%)
  • 28. PC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모두 획득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형성 3. 매체별 정보 신뢰도 29.0 28.5 22.9 17.5 35.0 36.1 34.9 TV 신문 라디오 잡지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남자 (n=369) 28.1 26.9 20.3 16.5 34.9 35.5 29.7 여자 (n=330) 30.0 30.3 25.8 18.5 35.2 36.7 40.6 20대 (n=181) 33.7 35.4 29.8 26.5 37.6 35.6 24.9 30대 (n=214) 32.2 30.8 26.6 20.2 33.6 33.6 31.8 40대 이상 (n=304) 23.9 22.7 15.8 10.2 34.5 38.2 43.1 KEY FINDINGS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한 경험자를 대상으로 매체별 획득 정보의 신뢰도를 조사한 결과, ‘모바일 인터넷(36.1%)’과 ‘PC인터넷(35%)’, ‘소셜 미디어(34.9%)’가 근소한 차로 우위를 점하는 것으로 나타남. 성별로 살펴보면, 여자는 남자보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남. 여자는 소셜 미디어 광고영향력도 높게 나타났으며, 여론 형성의 영향력 측면에서도 남자보다 높은 응답률을 보여 여성 타겟의 마케팅 시 소셜 미디어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한다면, 기업/브랜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됨. 연령별로는 고 연령대 일수록 ‘소셜 미디어’를, 저 연령대일수록 ‘신문’, ‘라디오’, ‘잡지’에 대한 정보 신뢰도가 높게 나타남. (단위: Top2%) 획득한 정보의 신뢰도: 매체별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 29. I.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1.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2.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이용자의 전반적 태도 Ⅳ. 소셜 미디어 사용자 인식 II. 소셜 미디어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 III.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활용 방법
  • 30.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가장 높은 소셜 미디어는 ‘페이스북’ (단위: %, 복수응답) 소비자 특성별 남자 (n=369) 여자 (n=330) 20대 (n=181) 30대 (n=214) 40대 이상 (n=304) 블로그 38.4 45.3 43.4 52.4 32.9 페이스북 67.9 64.1 60.9 63.5 71.0 트위터 17.2 19.1 16.7 14.4 21.6 카카오스토리 15.2 12.3 10.3 15.5 14.8 밴드 11.7 5.7 5.6 7.3 12.0 링크드인 9.7 8.4 8.4 7.4 10.8 유투브 21.7 21.4 27.0 19.3 19.9 인스타그램 5.0 6.5 11.3 4.2 3.4 구글플러스 7.8 9.1 8.6 7.2 9.1 1.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41.6 66.1 18.1 13.8 8.9 9.1 21.6 5.7 8.4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밴드 링크드인 유투브 인스타그램 구글플러스 KEY FINDINGS DMC미디어에서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가장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 같은 소셜 미디어에 대하여 질문 한 결과, ‘페이스북(66.1%)’에 대한 응답률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블 로그(41.6%)’, ‘유투브(21.6%)’, ‘트위터(18.1%)’ 순으로 나타남. 성별로는 여자가 ‘블로그’와 ‘트위터’에서, 남자는 ‘카카오스토리’, ‘밴드’ 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또 연령대가 높을 수록 ‘페이스북’, ‘밴드’ 에, 연령대가 낮을 수록 ‘인스타그램’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남. 20대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유투브(27.0%)’와 ‘인스타그램(11.3%)’을 신뢰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40대의 경우 ‘트위터(21.6%)’와 ‘밴드 (12.0%)’를 신뢰하는 것으로 조사됨.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 31. 주 이용 소셜 미디어 vs 정보 신뢰도 소셜 미디어 이용 선호도와 정보 신뢰도가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님 (단위: %, 복수응답) 1.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계속) KEY FINDINGS 주 이용 소셜 미디어가 ‘페이스북>블로그>카카오스토리>밴드>유투 브’ 순이었던 것에 비교하면, 정보의 신뢰도 측면에서는 ‘페이스북’과 ‘블로그’를 제외한 차 순위에 차이가 발생함. 이를 통해 개인의 소셜 미 디어에 대한 이용 선호도와 소셜 미디어별 신뢰도 이미지가 반드시 일 치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고, 그 원인은 미디어를 이용하는 개개인 의 목적과 환경적인 특성에 기인할 것으로 보여짐. 이용 현황에 있어선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밴드 등 국내 소셜 미디어 의 이용률이 높게 나온 반면, 신뢰도 측면에선 페이스북, 유투브, 트위 터 등 글로벌 미디어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남. 특히 트위터 이용 률은 8.9%로 상당히 낮았던 것에 반해 정보 신뢰도 측면에선 18.1%로 급등한 결과를 보여, 미디어의 나라별 속성이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 인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을 반증하고 있음. 29.8 77.4 8.9 29.5 22 2 15.8 8 2 41.6 66.1 18.1 13.8 8.9 9.1 21.6 5.7 8.4 주이용매체 정보신뢰도 페이스북 블로그 카카오 스토리 밴드 유투브 유투브 트위터 카카오 스토리 주 이용 소셜 미디어 제공 정보 신뢰도 Base) 2014년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 32. 소셜 미디어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 소비자 특성별 소셜 미디어는 ‘가치’있고 ‘정확’하고 ‘현장감’있는 정보를 제공 (단위: Top2%) 2.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이용자의 전반적 태도 Base)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 이용자 기준(n=699) 전문성 신속성 진실성 공정성 가치성 정확성 유용성 다양성 현장감 남자 32.6 16.0 14.9 11.7 81.9 76.2 41.7 59.6 73.8 여자 34.1 21.3 25.5 16.7 90.6 88.8 41.5 62.8 83.6 20대 22.1 11.6 13.2 7.7 87.3 84.5 40.3 60.8 80.8 30대 28.8 17.4 17.8 13.0 85.5 85.5 41.4 59.8 80.5 40대 이상 41.4 23.4 25.6 18.8 85.9 78.3 42.8 62.3 75.4 KEY FINDINGS 최근 1개월간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경험자들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의견을 물어본 결과, 소셜 미디어는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고 86.0%가 응답하여 가 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 순으로는 ‘정확한 정보(82.1%)’, ‘현장감 있는 정보(78.4%)’를 제공한다고 응답한 반면, ‘공정성(14.0%)’, ‘진실성(19.9%)’, ‘신속성(18.5%)’ 부문에 있어선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기록함. 성별로 살펴보면, 여자가 남자보다 소셜 미디어에 대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정확성(+12.6%)’, ‘진실성(+10.6%)’ 항목에 대해 높게 평가. 또 연령대가 높을 수록 소셜 미디어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본 조사를 통해 소셜 미디어는 전통매체 및 PC/모바일 기반 미디어 외에 또 다른 정보 출처로써 기능하고 있음. 다만 소셜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는 일부 속성(가치 성, 정확성, 다양성, 현장감)에서는 지지도가 높지만 공정성, 진실성, 전문성 등의 속성에 있어선 아직 미흡한 바, 소셜 미디어가 더욱 신뢰감 있는 미디어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취급되는 정보의 깊이와 객관성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Note) 5점척도로 질문하여 ‘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에 응답한 비율임. 32.6 18.5 19.9 14.0 86.0 82.1 41.6 61.1 78.4
  • 33. 보고서 제목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분류 Survey Report > 서베이 S/N SU2014003 작성일자 2014.06.13 작성자 DMC MEDIA | 마케팅팀 관련 문의 marketing@dmcmedia.co.kr | 02-6230-6628 출처 DMC REPORT (www.dmcreport.co.kr) 본 내용은 ‘디지털 미디어&마케팅’의 이해 및 마케팅 가이드 정보의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보고서에 대한 모든 저작권은 DMC리포트에 있습니다. 내용의 발췌 또는 인용 시 반드시 당사의 사전 동의를 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Notice & Contact us DMC리포트에서 더 많은 광고.마케팅.미디어 관련 전문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www.dmcreport.co.kr
  • 34. Digital Media & Marketing Intelligence Center DMC리포트는 디지털 미디어&광고마케팅 분야 연구/조사/분석 미디어입니다. 국.내외 디지털 미디어.광고.마케팅 관련 종합적 전문자료를 제공하는 지식센터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10여년간의 디지털 광고마케팅 실 집행 결과 데이터베이스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마켓, 미디어, 컨슈머, 서베이, 글로벌 이슈 및 다양한 통계자료 등을 꾸준히 생산/제공한 결과 디지털 미디어&광고마케팅 분야 전문자료로써의 가치 및 활용도, 영향력이 꾸준하게 확대되면서 해당 분야 전반을 아우르는 ‘전문지식채널’로써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시장을 통찰함과 동시에 실무에도 즉시 반영될 수 있는 ‘DMC리포트’를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DMC리포트는 디지털 미디어&마케팅 솔루션 전문기업 ‘DMC미디어’에서 제공합니다. All About Digital Media & Marketing AD & Marketing | Internet / Mobile / IPTV / DOOH Solution | AD & Marketing Solution Contents | DMC REPORT / BOXTORY www.dmcmedia.co.kr | www.dmcreport.co.kr | www.box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