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5
111012 Critic 김선희(102ETG11)



논문제목: Learned Resourcefulnes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Performance
저자: Serap Akgun, Joseph Ciarrochi


Introduction


⊙ 문제제기
∙ 학업 스트레스는 학습자의 심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학업성과에도 부정적인 영
향을 미친다(Clark & Rieker, 1986; Felsten & Wilcox, 1992).
∙ 스트레스 대처 요인으로, ‘학습된 자원동원성(Learned Resourcefulness)’ 제시
∙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업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학업성취도 향
상에서의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력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 학습된 자원동원성(Learned Resourcefulness): 목표로 하는 행위에 장애가 되는 정서, 통증, 인
지 등의 내적 반응을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Rosenbaum, 1980; Rosenbaum & Jaffe, 1983).


Theoretical Background


⊙ 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 스트레스는 학습자들이 가장 공통적으로 가지는 문제점(Aldwin & Greenberger, 1987).
∙ 스트레스는 학업과 관련된 활동에서 부정적 결과(체력약화, 우울증, 낮은 학업성취도)를 일으키
는 요소(Lesko & Summerfield, 1989; Aldwin & Greenberger, 1987; Clark & Rieker, 1986).
∙ 다수의 선행연구를 통해 스트레스는 낮은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상관이 있음 확인(Struthers,
Perry, & Mence, 2000; Felsten & Wilcox, 1992).


⊙ 학습된 자원동원성, 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 학습된 자원동원성: 스트레스 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획득된 인지행동적 기술의
레파토리로서의 개인의 성향 (Rosenbaum, 1980).
∙ Rosenbaum(1980)는 학습된 자원동원성을 측정하기 위한 자가보고식 도구를 개발하여,
일상생활에서 겪는 불쾌한 상황에서의 자기통제방법의 적용 능력 평가.
∙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높은 대상자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기통제를 더 잘 하며,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낮은 대상자는 정서적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훈련이나 기술을 더 많이 학습할
필요가 있다(Rosenbaum, 1989).
∙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높은 학습자는 다른 학습자들과 스트레스의 정도가 같아도 이를 보다 잘
해결하여 학업성적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감소시킴(Rosenbaum & Jaffe, 1983).
∙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낮은 학습자는 학업에 장애를 겪고, 학업에 있어서의 자기관리에 실패하
기 쉽다(Rosenbaum & Ben-Ari, 1985; Kennet, 1996).


⊙ 연구가설
111012 Critic 김선희(102ETG11)



   1. 학업 스트레스는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높은 학습자들에게는 학업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력이 감소될 것
         이다(학습된 자원동원성은 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그림 1] 가설적 연구모형


Method


⊙ 연구대상
∙ 호주 New South Wales 지역의 University of Wollongong의 1학년 365명 대상
   -     141명의 최종 연구대상자(남: 45명, 여: 96명)
   -     168명 데이터 수거했으나, 불성실한 응답 제외
   -     심리학부 1학년 학생들은 연구 참여에 있어 보너스 점수 획득


⊙ 측정도구
학업 스트레스: Crandall, Preisler and Aussprung(1992)의 Undergraduate Stress Questionnaire(USQ)
   -     20개의 문항
   -     학업에서 설문문항과 같은 스트레스를 경험했는지, 경험했다면 그 정도가 얼마나 됐는지
   -     5점(경험했고 매우 스트레스를 받았었다) ~ 1점(경험하지 않았다)의 5점 척도
   -     총 점수 범위는 100점~0점
   -     문항내적신뢰도 Cronbach α=0.86
   -
학습된 자원동원성: Rosenbaum(1980)의 Self-Control Schedule(SCS)
   -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36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평가 방식
   -     +3점(매우 그러하다) ~ -3점(매우 그렇지 않다)의 6점 척도
   -     총 점수 범위는 +108점 ~ -108점, 평균은 +25점, 표준편차 20점
   -     원전에서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Cronbach α=0.78-0.86
   -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Cronbach α=0.83
▶ 검사-재검사 신뢰도: 동일한 검사를 동일한 피험자 집단에게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두 번
실시하여 얻은 두 검사 점수 간의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검사 도구의 신뢰성을 추정하는 방법. 즉,
첫 번째 검사 시행이 두 번째 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두 검사 시행 사이의 시간 간격도
문제가 될 수 있다. 검사의 실시 간격은 일반적으로 피험자의 기억이 소멸된다고 여겨지는 2주에
111012 Critic 김선희(102ETG11)



서 4주로 설정한다.
성취도: 학기말 성적(학생들의 동의 구함)


⊙ 연구절차
∙ 학생들에게 설문에 대한 사전동의를 구한 후, 2개의 설문 실시
∙ 언제든지 벌점 부여 없이 연구에서 도중 하차 할 수 있음을 고지


Results
⊙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표 1> 측정변수의 평균, 표준편차
                                                            (n=141)
                측정변수               평균              표준편차
               1. 학업 스트레스          44.94            14.47

               2. 학습된 자원동원성        20.90            24.52

               3. 학업성취도            64.61            11.19


∙ 독립변수(학업 스트레스, 학습된 자원동원성, 성별) 간의 유의성 없음
∙ 학습된 자원동원성과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 없음


⊙ 가설검증
∙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가설 검증
   -      변수들간의 다중공선성을 피하기 위해 학업 스트레스와 학습된 자원동원성은 z 점수(표
          준점수), 성별은 남성(-1), 여성(1)로 전환하여 사용
   -      z 점수는 표준점수의 하나로서 평균으로부터의 편차점수를 그 분포의 표준편차로 나누어
          얻어진 전환점수의 하나
∙ 성별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 존재(F 통계값 22.76, P<. 01)
   -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학업성취도
∙ 학업 스트레스는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 존재(F 통계값 12.10, P<. 01)
   -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낮은 학업성취도
∙ 학업 스트레스와 학습된 자원동원성의 상호작용효과
   -      학업 스트레스는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낮은 학습자들의 성취도에 더 큰 영향력을 가짐
   -      학업 스트레스는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높은 학습자들의 성취도에는 영향력의 변화 거의
          없음
111012 Critic 김선희(102ETG11)




Discussion


⊙ 논의
∙ 학업 스트레스는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
∙ 학습된 자원동원성의 조절효과 확인
   -   학업 스트레스는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낮은 학습자들의 성취도에 더 큰 영향력을 가짐
   -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높은 학습자는 다른 학습자에 비해 스트레스의 강도가 약함
   -   자원동원성과 스트레스의 심함의 정도와는 관련성이 없음
   -   학습된 자원동성원이 높은 학습자도 다른 학습자와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정도가 같지만,
       그것을 더 효과적을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
∙ 학습자들에게 자원동원성의 정도를 높여주고, 효과적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Meichenbaum(1996)의 Stress Inoculation Program 제안
   -   개념 단계: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협력관계 구축 필요성
   -   습득과 연습 단계: 학습자들에게 학습상황과 일상생활에서 겪는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
       식 가르침
   -   적용과 마무리 단계: 늘어나는 스트레스 요인들에 대한 다양한 대처방식을 적용할 기회를
       제공


⊙ 연구의 제한점
∙ 학업 스트레스와 학습된 자원동원성의 측정 시기(학기 초에 측정)
   -   학업 스트레스는 학기 중에 측정되는 것이 보다 정확
   -   학업성취도가 학습된 자원동원성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존재
   -   학습된 자원동원성은 시험(기말+퀴즈) 전에 측정
   -   학습된 자원동원성의 정도는 대체로 변하지 않는 특성(Rosenbaum, 1980)을 가져, 학기
       초의 학습된 자원동원성은 학업성취도에 영향력이 거의 없을 가능성이 높음


⊙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111012 Critic 김선희(102ETG11)



-   후속연구에서는 학습된 자원동원성을 학습자들이 피드백을 받은 후에 평가해야 함
-   학습된 자원동원성과 학업성취도 간의 매개변수의 확인
-   일반적으로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높은 학습자들은 지식과 스킬이 많으므로 스트레스, 학
    습된 자원동원성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높은 학습자는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 때에만 높은 학업성취도를 기
    대할 수 있음
-   스트레스 정도가 낮을 때에는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높은 학습자나 낮은 학습자나 비슷한
    정도의 지식과 스킬 보유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1207발표자료
1207발표자료1207발표자료
1207발표자료Sunhee Kim
 
김선희 Et 스토리보드 최종
김선희 Et 스토리보드 최종김선희 Et 스토리보드 최종
김선희 Et 스토리보드 최종Sunhee Kim
 
홍콩학회 101214 최종안
홍콩학회 101214 최종안홍콩학회 101214 최종안
홍콩학회 101214 최종안Sunhee Kim
 
E learning 2011 rome ppt final version 0720
E learning 2011 rome ppt final version 0720E learning 2011 rome ppt final version 0720
E learning 2011 rome ppt final version 0720Sunhee Kim
 
2011 교육공학회 final ver_김선희김남희한상윤
2011 교육공학회 final ver_김선희김남희한상윤2011 교육공학회 final ver_김선희김남희한상윤
2011 교육공학회 final ver_김선희김남희한상윤Sunhee Kim
 
Hype vs. Reality: The AI Explainer
Hype vs. Reality: The AI ExplainerHype vs. Reality: The AI Explainer
Hype vs. Reality: The AI ExplainerLuminary Labs
 
Study: The Future of VR, AR and Self-Driving Cars
Study: The Future of VR, AR and Self-Driving CarsStudy: The Future of VR, AR and Self-Driving Cars
Study: The Future of VR, AR and Self-Driving CarsLinkedIn
 

Viewers also liked (7)

1207발표자료
1207발표자료1207발표자료
1207발표자료
 
김선희 Et 스토리보드 최종
김선희 Et 스토리보드 최종김선희 Et 스토리보드 최종
김선희 Et 스토리보드 최종
 
홍콩학회 101214 최종안
홍콩학회 101214 최종안홍콩학회 101214 최종안
홍콩학회 101214 최종안
 
E learning 2011 rome ppt final version 0720
E learning 2011 rome ppt final version 0720E learning 2011 rome ppt final version 0720
E learning 2011 rome ppt final version 0720
 
2011 교육공학회 final ver_김선희김남희한상윤
2011 교육공학회 final ver_김선희김남희한상윤2011 교육공학회 final ver_김선희김남희한상윤
2011 교육공학회 final ver_김선희김남희한상윤
 
Hype vs. Reality: The AI Explainer
Hype vs. Reality: The AI ExplainerHype vs. Reality: The AI Explainer
Hype vs. Reality: The AI Explainer
 
Study: The Future of VR, AR and Self-Driving Cars
Study: The Future of VR, AR and Self-Driving CarsStudy: The Future of VR, AR and Self-Driving Cars
Study: The Future of VR, AR and Self-Driving Cars
 

Similar to 20111012 발표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혜원 정
 
정대영 2013 정서행동장애 중재반응법
정대영 2013 정서행동장애 중재반응법정대영 2013 정서행동장애 중재반응법
정대영 2013 정서행동장애 중재반응법혜원 정
 
하정숙정대영2012 초등학교 1학년 수학학습장애_위험아동을_위한_중재반응모형의_적용_가능성_탐색
하정숙정대영2012 초등학교 1학년 수학학습장애_위험아동을_위한_중재반응모형의_적용_가능성_탐색하정숙정대영2012 초등학교 1학년 수학학습장애_위험아동을_위한_중재반응모형의_적용_가능성_탐색
하정숙정대영2012 초등학교 1학년 수학학습장애_위험아동을_위한_중재반응모형의_적용_가능성_탐색혜원 정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Seoyoung Son
 
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
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
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Jihoon Yang
 
학습전이
학습전이학습전이
학습전이dcjin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1ERICK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Minsoo Jung
 
윤정선박부진2014 대학생 자기주도학습능력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1)
윤정선박부진2014 대학생 자기주도학습능력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1)윤정선박부진2014 대학생 자기주도학습능력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1)
윤정선박부진2014 대학생 자기주도학습능력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1)혜원 정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201325002
 
박영아 2013 아동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정서경험매개효과
박영아 2013 아동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정서경험매개효과박영아 2013 아동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정서경험매개효과
박영아 2013 아동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정서경험매개효과혜원 정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Minsoo Jung
 

Similar to 20111012 발표 (19)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정대영 2013 정서행동장애 중재반응법
정대영 2013 정서행동장애 중재반응법정대영 2013 정서행동장애 중재반응법
정대영 2013 정서행동장애 중재반응법
 
하정숙정대영2012 초등학교 1학년 수학학습장애_위험아동을_위한_중재반응모형의_적용_가능성_탐색
하정숙정대영2012 초등학교 1학년 수학학습장애_위험아동을_위한_중재반응모형의_적용_가능성_탐색하정숙정대영2012 초등학교 1학년 수학학습장애_위험아동을_위한_중재반응모형의_적용_가능성_탐색
하정숙정대영2012 초등학교 1학년 수학학습장애_위험아동을_위한_중재반응모형의_적용_가능성_탐색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
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
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
 
김인선
김인선김인선
김인선
 
학습전이
학습전이학습전이
학습전이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윤정선박부진2014 대학생 자기주도학습능력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1)
윤정선박부진2014 대학생 자기주도학습능력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1)윤정선박부진2014 대학생 자기주도학습능력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1)
윤정선박부진2014 대학생 자기주도학습능력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1)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박영아 2013 아동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정서경험매개효과
박영아 2013 아동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정서경험매개효과박영아 2013 아동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정서경험매개효과
박영아 2013 아동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정서경험매개효과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20111012 발표

  • 1. 111012 Critic 김선희(102ETG11) 논문제목: Learned Resourcefulnes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Performance 저자: Serap Akgun, Joseph Ciarrochi Introduction ⊙ 문제제기 ∙ 학업 스트레스는 학습자의 심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학업성과에도 부정적인 영 향을 미친다(Clark & Rieker, 1986; Felsten & Wilcox, 1992). ∙ 스트레스 대처 요인으로, ‘학습된 자원동원성(Learned Resourcefulness)’ 제시 ∙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업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학업성취도 향 상에서의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력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 학습된 자원동원성(Learned Resourcefulness): 목표로 하는 행위에 장애가 되는 정서, 통증, 인 지 등의 내적 반응을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Rosenbaum, 1980; Rosenbaum & Jaffe, 1983). Theoretical Background ⊙ 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 스트레스는 학습자들이 가장 공통적으로 가지는 문제점(Aldwin & Greenberger, 1987). ∙ 스트레스는 학업과 관련된 활동에서 부정적 결과(체력약화, 우울증, 낮은 학업성취도)를 일으키 는 요소(Lesko & Summerfield, 1989; Aldwin & Greenberger, 1987; Clark & Rieker, 1986). ∙ 다수의 선행연구를 통해 스트레스는 낮은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상관이 있음 확인(Struthers, Perry, & Mence, 2000; Felsten & Wilcox, 1992). ⊙ 학습된 자원동원성, 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 학습된 자원동원성: 스트레스 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획득된 인지행동적 기술의 레파토리로서의 개인의 성향 (Rosenbaum, 1980). ∙ Rosenbaum(1980)는 학습된 자원동원성을 측정하기 위한 자가보고식 도구를 개발하여, 일상생활에서 겪는 불쾌한 상황에서의 자기통제방법의 적용 능력 평가. ∙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높은 대상자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기통제를 더 잘 하며,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낮은 대상자는 정서적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훈련이나 기술을 더 많이 학습할 필요가 있다(Rosenbaum, 1989). ∙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높은 학습자는 다른 학습자들과 스트레스의 정도가 같아도 이를 보다 잘 해결하여 학업성적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감소시킴(Rosenbaum & Jaffe, 1983). ∙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낮은 학습자는 학업에 장애를 겪고, 학업에 있어서의 자기관리에 실패하 기 쉽다(Rosenbaum & Ben-Ari, 1985; Kennet, 1996). ⊙ 연구가설
  • 2. 111012 Critic 김선희(102ETG11) 1. 학업 스트레스는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높은 학습자들에게는 학업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력이 감소될 것 이다(학습된 자원동원성은 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그림 1] 가설적 연구모형 Method ⊙ 연구대상 ∙ 호주 New South Wales 지역의 University of Wollongong의 1학년 365명 대상 - 141명의 최종 연구대상자(남: 45명, 여: 96명) - 168명 데이터 수거했으나, 불성실한 응답 제외 - 심리학부 1학년 학생들은 연구 참여에 있어 보너스 점수 획득 ⊙ 측정도구 학업 스트레스: Crandall, Preisler and Aussprung(1992)의 Undergraduate Stress Questionnaire(USQ) - 20개의 문항 - 학업에서 설문문항과 같은 스트레스를 경험했는지, 경험했다면 그 정도가 얼마나 됐는지 - 5점(경험했고 매우 스트레스를 받았었다) ~ 1점(경험하지 않았다)의 5점 척도 - 총 점수 범위는 100점~0점 - 문항내적신뢰도 Cronbach α=0.86 - 학습된 자원동원성: Rosenbaum(1980)의 Self-Control Schedule(SCS) -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36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평가 방식 - +3점(매우 그러하다) ~ -3점(매우 그렇지 않다)의 6점 척도 - 총 점수 범위는 +108점 ~ -108점, 평균은 +25점, 표준편차 20점 - 원전에서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Cronbach α=0.78-0.86 -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Cronbach α=0.83 ▶ 검사-재검사 신뢰도: 동일한 검사를 동일한 피험자 집단에게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두 번 실시하여 얻은 두 검사 점수 간의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검사 도구의 신뢰성을 추정하는 방법. 즉, 첫 번째 검사 시행이 두 번째 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두 검사 시행 사이의 시간 간격도 문제가 될 수 있다. 검사의 실시 간격은 일반적으로 피험자의 기억이 소멸된다고 여겨지는 2주에
  • 3. 111012 Critic 김선희(102ETG11) 서 4주로 설정한다. 성취도: 학기말 성적(학생들의 동의 구함) ⊙ 연구절차 ∙ 학생들에게 설문에 대한 사전동의를 구한 후, 2개의 설문 실시 ∙ 언제든지 벌점 부여 없이 연구에서 도중 하차 할 수 있음을 고지 Results ⊙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표 1> 측정변수의 평균, 표준편차 (n=141) 측정변수 평균 표준편차 1. 학업 스트레스 44.94 14.47 2. 학습된 자원동원성 20.90 24.52 3. 학업성취도 64.61 11.19 ∙ 독립변수(학업 스트레스, 학습된 자원동원성, 성별) 간의 유의성 없음 ∙ 학습된 자원동원성과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 없음 ⊙ 가설검증 ∙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가설 검증 - 변수들간의 다중공선성을 피하기 위해 학업 스트레스와 학습된 자원동원성은 z 점수(표 준점수), 성별은 남성(-1), 여성(1)로 전환하여 사용 - z 점수는 표준점수의 하나로서 평균으로부터의 편차점수를 그 분포의 표준편차로 나누어 얻어진 전환점수의 하나 ∙ 성별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 존재(F 통계값 22.76, P<. 01) -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학업성취도 ∙ 학업 스트레스는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 존재(F 통계값 12.10, P<. 01) -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낮은 학업성취도 ∙ 학업 스트레스와 학습된 자원동원성의 상호작용효과 - 학업 스트레스는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낮은 학습자들의 성취도에 더 큰 영향력을 가짐 - 학업 스트레스는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높은 학습자들의 성취도에는 영향력의 변화 거의 없음
  • 4. 111012 Critic 김선희(102ETG11) Discussion ⊙ 논의 ∙ 학업 스트레스는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 ∙ 학습된 자원동원성의 조절효과 확인 - 학업 스트레스는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낮은 학습자들의 성취도에 더 큰 영향력을 가짐 -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높은 학습자는 다른 학습자에 비해 스트레스의 강도가 약함 - 자원동원성과 스트레스의 심함의 정도와는 관련성이 없음 - 학습된 자원동성원이 높은 학습자도 다른 학습자와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정도가 같지만, 그것을 더 효과적을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 ∙ 학습자들에게 자원동원성의 정도를 높여주고, 효과적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Meichenbaum(1996)의 Stress Inoculation Program 제안 - 개념 단계: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협력관계 구축 필요성 - 습득과 연습 단계: 학습자들에게 학습상황과 일상생활에서 겪는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 식 가르침 - 적용과 마무리 단계: 늘어나는 스트레스 요인들에 대한 다양한 대처방식을 적용할 기회를 제공 ⊙ 연구의 제한점 ∙ 학업 스트레스와 학습된 자원동원성의 측정 시기(학기 초에 측정) - 학업 스트레스는 학기 중에 측정되는 것이 보다 정확 - 학업성취도가 학습된 자원동원성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존재 - 학습된 자원동원성은 시험(기말+퀴즈) 전에 측정 - 학습된 자원동원성의 정도는 대체로 변하지 않는 특성(Rosenbaum, 1980)을 가져, 학기 초의 학습된 자원동원성은 학업성취도에 영향력이 거의 없을 가능성이 높음 ⊙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5. 111012 Critic 김선희(102ETG11) - 후속연구에서는 학습된 자원동원성을 학습자들이 피드백을 받은 후에 평가해야 함 - 학습된 자원동원성과 학업성취도 간의 매개변수의 확인 - 일반적으로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높은 학습자들은 지식과 스킬이 많으므로 스트레스, 학 습된 자원동원성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높은 학습자는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 때에만 높은 학업성취도를 기 대할 수 있음 - 스트레스 정도가 낮을 때에는 학습된 자원동원성이 높은 학습자나 낮은 학습자나 비슷한 정도의 지식과 스킬 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