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ist ein Scribd-Unternehmen logo
1 von 142
Downloaden Sie, um offline zu lesen
디브러리 포털 협력망 및 서비스
목      차

제1장 서론 ·····················
       ··· ···· ···· ··· ···· ·· 1
       · ···· ···· ··· ···· ····
        ··· ··· ···· ···· ···· ··
1. 디브러리 포털의 목표 ····················1
               ·········· ··········
                ······· ·········· ···
                ···· ·········· ·····
2. 포털 협력망 연구의 필요성 ··················
                  ···· ···· ···· ···· · 2
                   ··· ···· ··· ···· ···
                   · ···· ···· ···· ····
3. 포털 협력망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 ·· ·· ·· ·· ·· ·· 3
                       · ·· ·· ·· ·· ·· ·· ·
                       · · ·· ·· ·· ·· ·· ··

제2장 디브러리 포털 콘텐츠 ·············
                ······· ····· 4
                · ········ ···
                 ··· ········ ·
1. 대상 자원의 범위 ······················4
             ······················
              ······················
              ·····················
2. 대상 자원의 선정 기준 ····················
                ········ ········ ··· 6
                 ····· ········ ······
                 ··· ········ ········
3. 대상 자원 및 기관 선정방법 ·················
                   ················ 10
                    ·· ··· ··· ··· ··· ··
                    · ··· ··· ··· ··· ···
4. 서비스 대상 콘텐츠 범위 ··················14
                 ···· ····· ···· ·····
                  ··· ····· ···· ····· ·
                  ·· ···· ····· ···· ··

제3장 디브러리 포털 서비스 ············
                ··········· 15
                 ·· ···· ··· ··
                 ··· ··· ···· ·
1. 포털 서비스 기획방향 ····················
               ··················· 15
                ····· ········ ······
                ··· ········ ········
2. 메인포털 서비스 ······················20
            ······················
             ······················
             ·····················
3. 지역포털 서비스 ······················
            ····················· 27
             ·····················
             ·····················
4.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
              ··················· 34
               ····· ········ ······
               ··· ········ ········
5. 다문화포털 서비스 ·····················
             ···················· 42
              ·········· ··········
              ······ ··············
6. 장애인포털 서비스 ·····················
             ···················· 52
              ·········· ··········
              ······ ··············

제4장 디지털정보공유 협력망 ············
                ··········· 55
                ·· ··· ···· ··
                 ·· ···· ··· ··
1. 협력망 구축을 위한 선결조건 ················55
                   ··· ·· ··· ··· ·· ···
                   ·· ·· ··· ··· ·· ··· ·
                    · ··· ·· ··· ··· ·· ·
2. 협력망 운영 사례 ·····················55
             ·····················
              ··············· ······
              ········· ···········
3. 협력망 운영 사례 분석의 시사점 ···············
                     ·············· 63
                     · ·· ·· ·· ·· ·· ·· ·
                      · · ·· ·· ·· ·· ·· ··
4. 디브러리 포털 협력망 ···················66
               ······ ······· ······
                ···· ······· ······ ··
                ·· ······· ······ ···
5. 지역포털 협력망 ······················80
            ······················
             ······················
             ·····················
6. 정책정보포털 협력망 ····················88
              ·········· ··········
               ······· ·········· ···
               ···· ·········· ·····
7. 다문화포털 협력망 ·····················94
             ·····················
              ··············· ······
              ········· ···········
8. 장애인포털 협력망 ·····················
             ···················· 110
              ·········· ··········
              ······ ··············
9. 디지털정보공유협의회 운영 정관 ··············120
                    ·· ·· · ·· ·· ·· · ··
                    · ·· ·· · ·· ·· ·· · ·
                     ·· ·· ·· · ·· ·· ··

[참 고 문 헌] ·························127
          ·························
          ·························
           ························
표 목      차
<표 1> 협력대상기관 ······················ 5
             ······················
             ······················
              ······················
<표 2> 협력 대상기관 선정 기준 ·················
                    ·················
                    ················ 11
                     ················
<표 3> 웹 자원 평가 요소 채택 여부 - 디브러리 ········· 12
                              ·········
                              ·········
                               ·········
<표 4> 웹 자원 선정 기준 - 디브러리 ·············· 13
                        ··············
                        ··············
                         ··············
<표 5> 포털 차별화 전략 ····················
                ····················
                 ··················· 19
                 ···················
<표 6> 메인포털 서비스 구성 ··················
                  ··················
                   ················· 22
                   ·················
<표 7> 지역포털 서비스 구성 ·················· 29
                  ··················
                  ··················
                   ··················
<표 8>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구성 ················
                    ················
                     ··············· 35
                     ···············
<표 9> 정책정보포털 통합검색 범위 ··············· 36
                     ···············
                     ···············
                      ···············
<표 10> 다문화포털 서비스 구성 ·················
                    ·················
                    ················ 43
                     ················
<표 11> 다문화포커스 구성내용 ·················
                   ·················
                   ················ 48
                    ················
<표 12> 다문화정보 구성내용 ··················
                  ··················
                   ················· 49
                   ·················
<표 13> 장애인포털 서비스 메뉴 구성 ··············
                       ··············
                       ············· 53
                        ·············
<표 14> 국가지식포털의 분야별 정보센터 및 주요 지식정보 ···· 58
                                  ····
                                   · ·· ·
                                   ····
<표 15> 협력기관 지원방안 ···················
                 ···················
                  ·················· 72
                  ··················
<표 16> 협력기관 참여 범위 ·················· 74
                  ··················
                  ··················
                   ··················
<표 17> 기관 선정의 우선순위 - 장서 기준 ··········· 75
                           · ·· · ·· · ·· · ·
                           ···········
                            ···········
<표 18> 기관 선정의 우선 순위 - 경제성 기준 ··········
                             ··········
                             ········· 76
                              ·········
<표 19> 주제별 순위 ······················ 90
              ······················
               ······················
               ······················
<표 20> 다문화지식정보를 제공하는 기관 및 단체 ·········
                             ·········
                             ········ 96
                              ········
<표 21> 다문화지식정보원 콘텐츠 유형 ··············
                       ··············
                       ············· 97
                        ·············
<표 22> 해외사례 장애인 협력망의 특징 ·············
                        ·············
                        ············ 112
                         ············
<표 23> 국내 장애인 관련기관 ·················
                   ·················
                    ················ 114
                    ················
<표 24> 협력망 대상기관 선정 ················· 114
                   ·················
                    ·················
                    ·················
<표 25> 장애인포털 협력망 연계방식 정의 ············
                         ············
                         ··········· 116
                          ···········
그 림 목 차
[그림 1] 포털 구축 개요 ·····················5
                ·····················
                ·····················
                 ····················
[그림 2] 포털 서비스 구성도 ···················
                  ·················· 16
                  ··················
                   ··················
[그림 3] 검색 서비스 ······················
              ····················· 16
              ·····················
               ·····················
[그림 4] 참여 서비스 ······················
              ····················· 17
              ·····················
               ·····················
[그림 5] 공유 서비스 ······················17
              ······················
              ······················
               ·····················
[그림 6] 활용 서비스 ······················18
              ······················
              ······················
               ·····················
[그림 7] 디브러리 포털 메인화면 ·················
                    ················ 21
                     ········· ·······
                     ······· ·········
[그림 8] 지역포털 메인화면 ···················30
                 ···················
                 ···················
                  · · · · · ·· · · · · · · · · · · ·
[그림 9] 지역포털 통합검색 화면 ·················
                    ················ 31
                     ········· ·······
                     ······· ·········
[그림 10] 정책정보포털 메인화면 ·················
                    ················ 37
                     ········· ·······
                     ······· ·········
[그림 11] 정책정보포털 통합검색 화면 ··············39
                       · ··· ···· ··· ···
                        ··· ··· ···· ··· ·
                        ·· ··· ···· ··· ·
[그림 12] 다문화포털 메인화면 ··················
                   ················· 45
                    ·················
                    ·················
[그림 13] 다문화포털 통합검색 화면 ···············46
                      · ····· ···· ·····
                       ····· ···· ····· ·
                       ··· ····· ···· ··
[그림 14] 다문화포털 다국어 화면 ················51
                     ·· ······· ·······
                      ······· ······· ··
                      ····· ······· ···
[그림 15] 장애인포털 메인 화면 ·················53
                    ···· ·············
                     ············· ····
                     ·········· ······
[그림 16] 디브러리 협력망 기본 모델 ···············
                       ·············· 67
                        ···· ···· ··· ···
                        ··· ··· ···· ····
[그림 17] 다층적 협력망 모델 ··················68
                   ··················
                    ··················
                    ·················
[그림 18] 디브러리 포털 협력망 연계 모델 ············68
                          · ·· · ·· ·· ·· ··
                           ·· ·· ·· ·· · ·· ·
                           · ·· ·· ·· ·· ··
[그림 19] 협력망 메타 모델 ···················69
                  ···················
                  ···················
                   · · · · · ·· · · · · · · · · · · ·
[그림 20] 협력망 활성화 모델 ··················70
                   ··················
                    ··················
                    ·················
[그림 21] 협력망 조직도 ·····················
                ···················· 71
                ····················
                 ····················
[그림 22] 디브러리 지역포털 협력망 모형 ·············
                         ············ 81
                          ·· ·· ·· ··· ·· ·
                          · ·· ··· ·· ·· ··
[그림 23] 지역거점기관 중심의 협력망 모형 ············
                          ··········· 81
                           ·· · ·· ·· · ·· ·
                           · ·· · ·· ·· · ··
[그림 24] 유형별 대표기관 중심의 협력망 모형 ··········
                            ········· 82
                            ·········
                             ·········
[그림 25] 국립디지털도서관 직할의 협력망 모형 ··········
                            ········· 83
                            ·········
                             ·········
[그림 26] 지역포털 협력망 운영원칙 ···············85
                      · ····· ···· ·····
                       ····· ···· ····· ·
                       ··· ····· ···· ··
[그림 27] 지역포털의 단계적 운영방안 ··············
                       ············· 85
                        ··· ··· ·· ··· ··
                        ·· ··· ·· ··· ···
[그림 28] 지역포털 협력망 조직도표 ···············87
                      · ····· ···· ·····
                       ····· ···· ····· ·
                       ··· ····· ···· ··
[그림 29] 국립중앙도서관 중심의 다문화포털 협력망 구축 · · · · · 98
                                 · · ·· ·
                                  · ·· · ·
                                  · ·· ·
[그림 30] 다문화포털 협력망 모형 ················99
                     ·· ······· ·······
                      ······· ······· ··
                      ····· ······· ···
[그림 31] 다문화포털 주제별 모형 ················99
                     ·· ······· ·······
                      ······· ······· ··
                      ····· ······· ···
[그림 32] 다문화포털 협력망 확장 ················
                     ··············· 103
                      ······ ····· ····
                      ···· ····· ······
[그림 33] 협력대상기관 유형별 협력 추진방안 ··········105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34] 다문화지식정보 유형별 협력 추진방안 ·········105
                            ·········
                            ·········
                             ········
[그림 35] 다문화포털 협력망 활성화 방안 ············109
                         · ·· · ·· ·· ·· ··
                         ·· ·· ·· ·· · ·· ·
                          · ·· ·· ·· ·· ··
제1장 서론


1. 디브러리 포털의 목표

가. 디브러리 미션


 모든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전 세계 고품질 지식정보의 통
합검색 환경인 포털서비스를 제공하며, 전 국민이 평생 학습하고 연구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열람공간을 구축하여 국민의 정보력 강화에 기여한다.


나. 디브러리 목표


목표1 모든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국내외 고품질 지식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통합적 정보서비스 환경을 제공한다.
목표2 이용자의 정보 접근 및 사용의 편리성, 균등성 그리고 이용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개방형 체제를 구축한다.
목표3 이용자가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정보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참고정보서비스 및 정보활용능력 서비스를 제공한다.
목표4 장애인, 이주민, 노령계층, 외국인, 저소득가정 등 사회적으로 정보취약계
   층이나 정보취약지역에 속한 국민을 위한 시스템과 서비스를 지원한다.
목표5 디브러리는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서비스와 협력 및 연계를 통
   해 세계지식정보 유통 구현에 이바지 하며, 국가 대표 디지털도서관으
   로서 독창성과 정체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목표6 디브러리 운영조직과 자원구축을 위한 경영관리 체제를 수립한다.


디브러리의 사명과 목표를 이루기 위한 핵심적인 단어는 통합과 개방이다.
통합은 국내외에 산재하는 디지털도서관의 고품질 정보자원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것이고, 개방은 디브러리 정보자원의 접근과 이용자의 자발적 참여가 가
능한 개방형 체제를 지향한다는 의미이다.
 통합은 내부적/관리적 개념이며, 개방은 외부적/서비스적 개념이다. 통합과
개방은 개별적인 개념이 아니며,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 디브러리 서비스를
창출한다. 또한 통합과 개방은 정보공유와 이용자의 참여를 가능케 하는 중요
한 수단이다. 전 국민을 위한 정보공유 환경, 이용자 참여 환경을 제공하여 전
국민의 지식 활용능력 향상에 이바지하게 된다. 이는 지식 강국의 대한민국
실현의 바탕이 되며, 지식기반사회의 핵심기반이 될 것이다.




                    - 1 -
2. 연구의 필요성

 인터넷의 등장 및 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정보서비스의 범위가 한층 더
확대, 변화되고 있다. 과거 도서관에서의 정보서비스가 정보에 대한 소유 및
제공, 활용의 개념이었다면 이제는 정보 위치 파악 및 위치 정보의 제공 그리
고 제공된 정보의 활용 개념에 이르기까지 그 서비스 범위가 광범위하게 변화
되고 있다. 대부분의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서비스는 단순히 정보에
대한 위치 정보와 이의 연계를 통한 정보에의 접근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반
적인 정보에 국한되는 것이 현실이다. 즉, 포털 사이트를 통하여 제공되는 전
문 정보는 매우 제한적이며, 따라서 다양한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포털 서비스 기관들은 가치
있는 정보의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가치 있는 정보의 지속적인 확보
를 추구하는 포털 서비스 기관과 정보의 효율적인 제공을 원하는 소장기관은
상호간의 약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호 협력관계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지금까지 정보의 공동 활용을 위한 노력은 대부분 정보의 수집, 관리 및 제
공을 주도해 왔던 도서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서관은 이와 관련
된 노하우를 축적해 오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통한 정보서비스의 활성화와
더불어 소규모의 정보를 소장하고 있는 개별 기관들도 서로 간의 접촉을 통하
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협력체를 구성함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기 위
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보 소장기관들이 이용자에 대한 정보의 직
접 제공을 선호하고 있으며, 머지않아 포털과의 차별화를 위하여 이들에게 소
장정보에 대한 연계 혹은 접근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리라는 점이
다. 특히 정보의 가치 상승과 더불어 정보 소장기관들은 유사 정보기관과의
협력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서비스함으로써 정보서비스 기관
으로서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용자에게 디지털 자원에 대한 막힘없는 연계와 제공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는 디브러리는 가치 있는 정보를 소장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하여 제공 가치가 있는 정보를 우선적으로 확보하여야 한다. 따라서 디브러
리는 다양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분야별, 분야간 디지털 자료
에 대한 원문정보는 물론 목록과 같은 서지정보의 확보와 이를 공유․소장할
수 있는 공동이용 시스템과 같은 인프라 구축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이러한 인프라의 구축을 위한 기본 조건으로 소장기관들과의 협력은 반드시 필
요하다.



                   - 2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립중앙도서관이 디브러리 포털을 통하여 서비스
할 수 있는 정보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디지털 자료 소장기관과의
협력망을 효율적으로 구축하는데 있으며, 이에 요구되는 협력망 구성의 기본
원칙, 운영 방안, 협력 대상 정보 및 기관의 선정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다.
    둘째,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전 세계 고품질 지식정보의 포
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브러리 포털의 서비스 방안을 기획하는 것이며,
통합검색 포털과 참여형, 공유형, 개방형 포털 서비스 모델을 구현함으로써 통
합적이고, 이용자 친화적인 포털 서비스 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본 연구에서 수행될 연구의 내용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n     디브러리 포털의 종합적 협력망 구축
n     검색, 참여, 연계, 활용 서비스를 위한 민간, 공공기관 중심의 협력 대상
      기관 조사 분석
n     민간 포털 등의 장서 리스트 및 장서 메타 데이터 구축
n     협력망 구축 기본 모형 개발 및 협력망 운영 방안 수립
n     디브러리 포털의 서비스 기획 및 운영방안 수립
n     디브러리 포털 콘텐츠 범위 및 선정기준




                       - 3 -
제2장 디브러리 포털 콘텐츠

1. 대상 자원의 범위

 디브러리에서 주어진 사명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대상 자원 즉 수집대
상 정보원과 수집 대상 정보원을 보유하고 있는 기관에 대한 현황이 우선적으
로 파악되어야 한다. 그 다음은 대상 자원을 선정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우
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수집 및 서비스 대상 자원의 종류를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수집 대상 자원에 대한 선정기준을 설정하고 대상 자원에 대한 목록
    을 작성하는 것이다.
 셋째, 선정 대상 자원을 소장하고 있는 협력 대상기관에 대한 현황을 파악
    하는 것이다.
 넷째, 협력 대상기관에 대한 선정기준을 설정하고 대상기관을 선정하는 것
    이다.


 현재 서비스 중인 디지털 도서관의 서비스 항목 가운데 가장 일반적으로 서
비스되고 있는 아이템을 기준으로 수집 및 서비스 대상 자원의 기준을 정하
고, 디지털 도서관에서 필요로 하는 자원의 보유정도와 기관의 권위 등에 따
라 대상기관의 현황 파악 및 선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와 함께 디브러리에서
우선적으로 서비스해야 할 장서와 디브러리의 사명, 목표 등을 고려하여 대상
장서에 대한 선정 기준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n 대상 장서 및 기관의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하위포털 간 선정 장서 및 기관의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 모색
  - 포털 간 장서나 기관의 중복이 발생될 경우 기관이나 장서가 제한적인
   포털에 우선 배정 (예: 다문화포털 우선)
  - 정책포털과 지역포털의 경우 대상 정보의 성격에 따라 배정
  - 메인포털과 정책포털의 경우 정책 포털에 우선으로 배정
  - 서비스는 수집과 구분하여 통합검색, 하위포털별 검색 등을 통하여
   누락이나 중복이 나타나지 않도록 유도




                    - 4 -
[   그림 1] 포털 구축 개요




협력망                         협력 대상 설명             비고
지역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화원, 문예회관, (16개시도)지자체, 단체
정책 공공기관(정부기관, 투자기관, 연구소, 위원회, 부속기관)
   동아시아국립도서관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몽골, 타이완, 우즈베키스탄, 방글라데시,
                                                 국외
다문화   스리랑카, 파키스탄, 인도, 네팔 등)
      주한해외대사관, 주한해외문화원,
      다문화관련단체(안산이주민센터, 한국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등)
    민간상용(전자책, 해외저널), 포털사이트
 메인 방송(한국정책방송, EBS, KBS, 아리랑TV 등)
    한․중․일 국립도서관, Open Archives, Open Library     국외
장애인 장애인 관련기관
                        <표 1> 협력대상기관


                              - 5 -
2. 대상 자원의 선정 기준


가. 선정 기준의 필요성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서비스가 보편화됨에 따라 지식정보의 생산형태는 과
거 실물 공간을 통한 정보의 유통 체제에 적합했던 인쇄매체에서 가상공간을
통한 신속하고 제한 없는 서비스가 가능한 디지털매체로 급속히 이동하고 있
다. 이에 따라 과거 실물 공간에서의 정보유통의 핵심임을 자부해왔던 도서관
의 지위가 후발 주자인 포털 사이트나 유사 정보센터에 위협받고 있다. 다행
히 도서관도 이러한 위기감을 인식하고 과거의 인쇄매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
이고 디지털 매체로의 전환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특히 미국이나 유
럽을 비롯한 정보 선진국들의 도서관은 가상공간인 인터넷을 통한 정보유통
보편화 노력과 함께 온라인 디지털자원을 수집․보존하고, 저작권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이용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디지털자원은 그 범위와 양적 측면에서 방대
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자료 또한 다량으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도서관별
로 적합한 온라인 디지털자원의 수집을 위한 선정지침을 마련하여 그 지침을
충족시키는 디지털자원만을 수집하고 있다. 디브러리는 과거 도서관이나 정보
센터에서 부가적인 서비스로 제공하던 디지털 정보를 주요 정보원으로 삼아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국가전자도서관이다. 따라서
디브러리는 고품질의 온라인 디지털자원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수집을
위한 선정지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디브러리에서의 자료 선정 기준은 디브러리의 사명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
여 요구되는 고품질의 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대상 자원은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가 가능한 웹 자원으로
그 형태와 관계없이 지식정보가 우선이다.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지식정보 가
운데 디브러리에서 수집, 서비스하고자 하는 웹 정보자원은 데이터베이스 형
태와 문서 형태의 크게 2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형태의 웹 자
원은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반면에 문서형태의 웹 자원은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되
는 웹 문서들로 인터넷의 페이지를 통하여 정보의 직접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웹 자원을 통칭한다.


 그러나 디브러리에서 수집, 서비스하고자 하는 정보자원은 웹 정보자원의
형태도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어야 하지만 그 자체가 지식정보로서의 역할 수
행이 가능한 것인가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브러리에서 자



                   - 6 -
료의 기준은 웹 자원의 형태로 구분하기 보다는, 지식정보로 분류될 수 있는
모든 자원 중에서 디지털 형태로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가 가능한 웹 정보자
원에 대한 평가기준이 되어야 한다.


 디브러리의 사명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료에 대한 평가 기준과 선정
기준을 엄격히 구분하면 의미적으로 차이가 있다. 평가 기준은 대상 자원을
주어진 원칙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것인 반면에 선정 기
준은 다양한 정보원을 디브러리에서 수집 혹은 서비스 대상으로 선택하기 위
하여 제시된 기준이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디브러리에서 서비스가 가능한 정
보는 정보로서 그리고 지식의 제공을 위하여 최소한의 가치가 있어야 함을 고
려하여 평가 기준에 따라 특정 등급 이상의 정보원을 우선적으로 선정하는 것
을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디브러리에서 자료의 선정을 위한 평가 기준과 선
정 기준은 의미적 차이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웹 정보자원에 대한 품질 평가는 내용적 측면, 이용자 측면(서비
스 측면), 그리고 시스템적 측면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
하여 제시된 평가기준을 우선적으로 분석하되 개인 연구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기준과 도서관 혹은 기관 차원에서 웹 정보 자원의 선정을 위하여 제시하고
있는 기준을 종합하여 새로운 선정 기준을 제시한다. 다만 디브러리의 경우,
실질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기준이 되어야 하며, 특히 대상 정보의 입수 가능
여부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충분히 고려하여 직접 입
수 혹은 교환 등을 통하여 직접 연계가 가능한 웹정보 자원의 경우와 단순 연
계와 간접 연계를 통한 서비스 대상 자원을 구분하여 선정 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즉 정보의 교환이나 수집을 통하여 직접 연계가 가능한 정보자원의 경
우 품질적 측면을 서비스나 시스템적 측면 보다 강조할 필요가 있으며, 단순
연계와 간접 연계의 경우 3 가지 측면을 균등하게 고려하는 것이다.
 디브러리에서의 장서는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한 디지털 장서만으로
한정한다.


나. 디브러리의 정보 수집 정책


1) 일반 포털과의 차별화는 필수
 n 일반포털이 보편적이고 상업적인 유형의 정보 유통과 전문지식에 대한
   1차적 접근점을 제공한다면 디브러리는 심층적 지식 정보에 대한 사용
   자 중심 (원문 혹은 필요로 하는 정보의 제공)의 시스템적 접근을 제공
   한다.




                      - 7 -
2) 일반적 질의사항은 민간 일반포털의 지식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것이 현재
 이용자들의 추세임을 볼 때
 n 일반적 사항의 정보는 일반포털에서 해결
 n 전문지식정보에 있어서는 디브러리로 유도할 수 있어야 하며, 이것이
   디브러리의 성패 여부 결정에 절대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3) 일반 포털과의 차별화를 위해서 지식정보의 검색 범위를 확대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지식정보 확보가 우선되어야 한다.


4) 디브러리는 포털의 서비스 형태를 참고하여 대중화에 부응하되 검증된 지
 식 정보를 우선적으로 수집하여 서비스함으로써 신뢰를 축적하여야 한다.


다. 대상 정보원


 디브러리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
 원과 디지털 도서관에서 제공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정보원을 포함한다.


 n 지식정보의 정의
  - 다양한 데이터들이 정제되어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는 자원
  - 지식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정보
  - 지식화가 가능하거나 지식화된 정보
  - 지식으로 활용가치가 있거나 실제 지식으로 활용되고 있는 정보
  - 지식정보의 집합체는 장서로 표현


라. 장서의 범위


 디브러리에서 수집하고 서비스하는 장서의 범위는 지식정보로서 도서관에
 서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디지털화되거나 디지털화 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정보를 포함한다.


1) 디지털 장서의 범위
 n 디지털화된 모든 정보로 디브러리를 통하여 서비스 가능한 것
 n 전자정보원, 웹 사이트, 데이터베이스, 멀티미디어
 n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한 전자화된 디지털 자원의 집합체. 일반
   적으로 동일한 유형 혹은 동일한 주제의 데이터를 모아 놓은 데이터베
   이스
 n 인터넷 등을 통해 개인용 혹은 노트북 컴퓨터, PDA 등의 정보통신 단
   말기에서 전자적으로 유통 (검색, 서비스) 될 수 있는 텍스트, 소리, 동



                    - 8 -
영상정보 등을 담고 있는 컴퓨터 파일


2) 장서 선정 기준의 확보
 n 일반 도서관 대상
  - 국내외의 다양한 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장서 선정 기준 확보
  - 이론적 근거에 따른 장서 선정기준 확보
 n 문헌정보학 관련 단행본, 논문 등
 n 웹 사이트
 n 포털 사이트
  - 네이버, 구글 등 주요 상용 포털
  - Gils, usa.gov, Google Scholar, inforoute, NSDL 등의 공공 포털
 n 정보센터
 n 국립중앙도서관의 장서개발 정책


마. 디지털 자원의 수집 원칙


1) 선정기준에 부합되는 자원
 n 유용성, 저작자의 평판, 제공된 정보의 유일성, 학술적 내용, 정보의 최
    신성, 업그레이드 빈도, 접근의 용이성 등
 n 정보로서의 이용가치
 n 선정기준에 부합


2) 공신력, 품질이 보증될 수 있는 자원을 우선적으로 수집
 n 공공 데이터베이스


3) 지식정보에 대한 망라적 수집
 n 자료 형태, 주제에 대한 범위 제한 철폐


바. 디지털 자원 - 우선 수집 대상


1) 공공기관, 학회, 대학 등에서 생산된 디지털 형태의 정보자원으로 학술적
 가치를 가진 것
 n 대학 간행물 (학위논문, 연구보고서, 논문집 등)
 n 회의자료
 n 전자저널


2) 협회 등 비영리 단체에서 생산된 정보 가운데 학술적 가치가 있는 디지털
 자료



                              - 9 -
3) 민간이나 영리단체에서 생산된 정보로 학술적 가치가 있는 디지털 자료


4) 기타 정보로서의 가치가 있는 자료


사. 수집 제외 대상 자원


1) 블로그 사이트
  n 자신의 생각을 이론적 기반에 근거하지 않고 게재하는 웹사이트


2) CAMS
  n LAN 전용선이 카메라에 직접 연결되어 실시간 이미지를 인터넷에 전송
     하여 세계 어느 곳에서든지 볼 수 있도록 한 사이트
3) 토론리스트, 채팅 사이트
4) 게시판과 뉴스 그룹
5) 뉴스 사이트
6) 인쇄물이 존재하는 온라인 일간 신문
7) 광고 사이트


3. 대상 자원 및 기관 선정방법

가. 협력 대상 기관의 선정


 디브러리가 주어진 사명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자원을 용이하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실제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디브러리는 협력 대상기관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야 하며, 그 기
준은 대상기관의 권위, 대상 기관에서 생산되는 정보의 양, 대상 기관에서 제
공할 수 있는 정보의 양, 보유 정보의 품질, 보유 정보의 디브러리에서의 유용
성 정도, 정보 보유량, 기관의 성격, 협력 정도, 비용 혹은 노력 요구 정도 등
으로 정리될 수 있다.


 협력 대상 기관을 선정함에 있어 디브러리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n 디브러리가 추구하는 목표 이용자 (Target user)
  n 목표 이용자들이 추구하는 정보의 형태
  n 다양한 정보원의 포함 여부
  n 디브러리의 목표 달성에 필요한 지식정보의 포함 여부



                       - 10 -
이러한 우선 고려사항을 포함하여 채택된 협력 대상기관의 선정 기준은
 다음의 표와 같다.

    평가 요소                        상세 내용
      권위          대상 기관의 명성, 권위, 사회적 인지도 등
    정보 생산량        생산되는 정보의 총량
    정보 제공량        디브러리에 제공 가능한 정보의 양
  보유 정보의 품질       대상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 질적 측면
보유 정보의 유용성 정도     대상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 디브러리에서의 서
                  비스 가치 정도
    정보 보유량        대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 총량
 성격(공공, 상업, 기타)   대상 기관의 성격
     협력 정도        디브러리와의 협력 정도 (참여 기관의 의향)
     요구 정도        정보의 공유를 위하여 예상되는 비용, 노력,요구 정도
   이용자 만족도        소장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 정도
              <   표 2> 협력 대상기관 선정 기준
나. 협력 대상 기관의 선정 방법


 대상 자원 및 기관의 선정 작업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첫째, 디지털 자원 평가 요소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를 실시한다.
 둘째, 평가 요소를 제시하고 있는 주체를 집단으로 구분한다.
 셋째,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있을 경우 평가 요소를 의미상 유사한 개념으로
    통합하거나 단순화한다.
 넷째, 통합되거나 단순화된 평가 요소들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만든다.
 다섯째, 평가 요소별로 각 집단에서 출현하는 빈도를 기준으로 등급을 부여한다.
 여섯째, 부여된 등급에 기준하여 평가 기준으로 채택한다.


 웹 자원에 대한 평가 기준은 매우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하게 제시된 평가 기준을 단순화하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제시된 평가 기
준을 살펴보면 크게 웹 사이트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기준, 웹 사이트에서 제
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평가 기준, 그리고 시스템 차원에서의 웹 사이트
자체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 구별된다. 평가 주체에 따라 정량적 지표와 정성
적 지표로 구분하기도 하고, 이용 측면이나 서비스 품질 측면 등으로 다르게
제시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평가 요소에 대한 단순화를 우선적으로 시도
하였으며, 시스템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 콘텐츠의 평가 기준과 중복되거나 보
충할 수 있는 경우는 포함시키되 나머지는 제외하였다.


 웹 자원에 대한 평가 요소를 선정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 11 -
공공도서관, 개인 연구자, 그리고 정보센터나 데이터베이스 평가 기관에서 지
시하고 있는 요소들을 비교하였으며, 제시된 25개의 웹 자원에 대한 평가 기
준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디브러리에서의 웹 자원 선정 기준이 제시되었
다. 여기에 제시된 기준은 디브러리에서의 수집 대상 정보 가운데 품질 기준
으로 적부를 판정하거나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한 기준으로 보는 것이 적합
하다. 각각의 주체별로 제시된 25개의 평가 요소 가운데, 정보의 유효성 등 5
개의 요소를 제외한 20개 요소가 선정되었다.


     연구 구분               출현     출현 출현횟수 총
     평가 요소               횟수     횟수 (정보센터) 출현횟수   디브러리

                        (개인)   (도서관)
                                                 채택여부

    이용편의성                4        7     2   13    O
     최신성                 3        6     3   12    O
      권위                 3        7     2   12    O
     접근성                 4        5     2   11    O
  정확성(신뢰성)               4        3     2    9    O
     주제범위                2        6     0    8    O
 적합성(요구부합정도)             1        6     1    8    O
      비용                 0        6     1    7    O
   가치(유용성)               2        3     2    7    O
    표준 준수                1        4     1    6    O
   이용자 선호도
                         0        6     0   6     O
      (요구정도)
      자원 유형
                         2        2     1   5     O
 (메타, 원문, 서지 등)
       객관성               2        1     2   5     O
       일관성               1        1     2   4     O
  유효성(Availability)      0        3     1   4     X
문서형태(pdf, html, jpeg)    0        4     0   4     O
 이용보장(과거, 향후)            0        3     0   3     O
       완전성               1        0     2   3     O
       안정성               1        2         3     X
       정보량                        3         3     X
 S/W, H/W 의존 정도                   3         3     X
       유일성               1        0     1   2     O
    언어(사용언어)             0        2     0   2     O
       디자인                        2         2     X
    사명부응정도                        1         1     O

            <표 3> 웹 자원 평가 요소 채택 여부 - 디브러리
 디브러리에서 웹 자원에 대한 평가 기준 요소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우선적
으로 고려한 사항은 각 주체별 혹은 집단별로 평가 요소로 채택한 빈도수이
다. 빈도수를 최우선 기준 요소로 채택한 이유는 웹 자원에 대한 평가 기준이



                               - 12 -
시대별로, 기관별로, 평가 주체별로 변화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다는 것은 그 만큼 중요한 요소임을 의미하기 때문으로 해석하였
다.


 그러나 콘텐츠와 무관하게 시스템적 측면이 강한 안정성이나 디자인, H/W
의존성, S/W 의존성, 정보량, 정보의 유효성 등은 배제되었다. 특히 정보의 유
효성은 출현 빈도는 적지 않으나, 디브러리에 주어진 사명을 준수하는데 걸림
돌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로 판단되어 제외되었다. 정보의 유효성이란 주변
혹은 유사 도서관에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정도로서 정보의 유효성이 높을
수록 당해 도서관에서 자료를 수집할 필요성이 낮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
서 정보의 유효성은 정보 수집 및 서비스의 망라성을 중시하는 디브러리의 정
책과 부합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 디브러리의 수집 대상 자원은 웹 사이트와 기관별로 웹을 통하
여 제공하고 있는 디지털화된 정보이며, 이에 대한 평가 요소로 선정된 기준
은 모두 20개이다. 그 구성은 다음의 <표 4>과 같다.

 평가 요소                 평가 내용                 비고
   최신성     정보의 최신성, 갱신 빈도 등
   접근성     정보에 대한 접근 용이성 정도 (접근 제한 정도 등)
   정확성     포함된 정보에 대한 신뢰성
   객관성     정보의 객관성
   일관성     포함된 정보의 형식상의 일관성 유지 정도
   완전성     포함된 정보의 완전성
   유일성     정보의 고유성 혹은 유일성
  자원 유형    메타 데이터, 원문, 서지 데이터 등 포함된 정보의 유형
  문서형태     포함된 정보의 문서 형태 (pdf, html, jpeg)
    권위     정보의 저작자나 생산자의 권위
  주제범위     포함된 정보의 주제 범위
   적합성     포함된 정보의 이용자 요구 부합 정도
    비용     정보의 입수에 소요되는 비용
    가치     정보의 유용성 등 정보의 종합적인 가치
  표준 준수    데이터의 표준 준수 (예: DC, MARC 등)
 이용자 선호도   타 정보에 비해 이용자가 선호하는 정도
  이용편의성    검색의 용이성, 가독성 등
  이용보장     포함된 정보의 이용에 대한 보장 여부
    언어     포함된 정보의 언어 (사용언어)
 사명부응정도    수집된 정보와 디브러리의 사명과의 부합 정도
             <표 4> 웹 자원 선정 기준 - 디브러리

                      - 13 -
4. 서비스 대상 콘텐츠 범위


 n 학술자료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자료 및 포털 협력망 참여기관 연계 자료, 학위논
   문, 학술지 서지정보 및 원문정보
  - 네이버 책정보 등 민간상용DB


 n 전문정보
  - 국가지식포털 국가지식자원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포털 문화콘텐츠
  - 국가기록포털 국가기록물
  - 국립중앙도서관 OASIS 및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
  - 네이버 전문정보


 n 해외정보
  - 오픈 DB 및 해외디지털도서관 서비스 정보
  - OAI 기관 및 해외국립도서관, Open Library 등


 n 정책정보
  -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생산 및 소장 공공정보
  - 정부 발행자료 및 2차 가공 정책테마정보


 n 지역정보
  - 16개 시․도 지역 소식, 지역테마, 지역 향토자료 등
  - 도서관, 박물관, 지자체 등이 보유한 디지털자원 연계


 n 지식공유 (향후계획)
  - 학술․연구․창작 관련 생산물을 등록 및 공유
  - 논문, 창작물, 교육․문화 프로그램, 사업취업 문서 등




                        - 14 -
제3장 디브러리 포털 서비스

1. 포털 서비스 기획방향


가. 포털 서비스 구성


 n 포털 서비스는 검색, 참여, 공유, 활용을 핵심 축으로 하여 구성된다.
  - 디브러리가 수집 및 연계하는 장서 및 콘텐츠에 대한 통합적이고 이용
   자 친화적인 검색 서비스를 구현한다.
  - 개방, 공유, 참여를 통한 정보의 생산, 공유, 재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
   록 하는 이용자 참여 서비스를 구현한다.
  -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로
   벌 지식정보 공유 협력체계를 구현한다.
  - 디브러리 이용자 공간 및 포털을 통한 정보리터러시 및 정보레퍼런스
   교육 기반 마련을 통해 정보 취약 계층의 정보 활용능력을 향상시키고
   정보복지를 실현하는 활용 서비스를 구현한다.


 n 디브러리 포털은 메인포털을 비롯하여 지역포털, 정책정보포털, 다문화
   포털, 장애인포털 등 하위에 구성된 특성화 포털과 유기적으로 통합되고
   이용자 특성 및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콘텐츠 및 서비스를 특성화한다.


 n 지역포털은 지역에 의한, 지역에 관한, 지역을 위한 우수한 콜렉션 발굴
   및 확보와 지역에서 생산, 관리되는 지역지식정보의 통합적 검색을 통
   하여 지역지식정보 콘텐츠를 연계함으로써 대한민국 지역지식정보의 메
   타포털 역할을 목표로 한다.


 n 정책정보포털은 정부부처 및 산하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기관으로
   부터 생산되는 전자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며, 정책정보 자원의 부처
   간 상호교환 및 공동활용을 통하여 정책정보의 활용성을 극대화하며 일
   반 이용자에게는 정책정보의 체계적인 통합 검색을 통하여 원문까지 서
   비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n 다문화포털은 자국민, 이주민, 다문화가정, 유학생 등 대한민국에 거주
   하는 다양한 다문화인의 문화적 소통을 위한 사이버 공간으로 다문화
   지식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공공기관, 민간단체와의 협력을 통한 콜렉션
   의 지속적인 확보와 자국의 문화와 타 문화의 차이를 이해하고 소통하
   며, 교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15 -
n 장애인포털은 대학 도서관, 특수 도서관 등에 분산되어 있는 장애인 지
   식정보를 수집하여 장애인에게 통합적인 검색 및 원문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며 온라인 및 장애인 전용단말기에서 공통으로 활용가능 한 디지
   털 지식정보의 지속적인 구축 및 활용 체계 마련을 목표로 한다.


 n 포털 서비스 구성도




             그림 2] 포털 서비스 구성도
             [

나. 검색 서비스




                 그림 3] 검색 서비스
                 [



                     - 16 -
다. 참여 서비스




            그림 4] 참여 서비스
            [




라. 공유 서비스




            그림 5] 공유 서비스
            [




                - 17 -
마. 활용 서비스




            그림 6] 활용 서비스
            [




                - 18 -
바. 포털 차별화 전략


구분          디브러리포털                민간포털           공공포털
 목적   공익적 콘텐츠 검색          상업적 정보 검색          공익적 콘텐츠 검색
      협력형 일반 포털 추구        일반 포털 추구           분야별 전문 포털 추구
 대표                       구글, 네이버, 다음, 야후    국가지식포털,
 포털   디브러리                등                  문화포털, 지역포털(대
                                             구포털, 공주사랑 등)
 운영  참여기관 협력체계 중심         포털 및 CP 체계         전담기관 관리체계중심
 체계  전국적 협력형 운영조직         다수의 운영조직           소수의 운영조직
 역할  전 분야 포털 서비스          시류적인 포털 서비스        전문 분야 포털 서비스
     전 분야 활용성 제고          수익 창출 제고           전문 분야 활용성 제고
     공익적, 보존가치, 소외가       엔터테인먼트             공익적, 보존가치
     치                    상업적 일반 (생활, 연예,    기관의 사업범위 내
콘 범위 국가적 일반(전 분야의 고       증권, 부동산, 뉴스, 영화,   (해당 분야 공공기관
텐    품질 지식정보-지역, 정책,      음악, 지도, 책)         생산정보)
츠    다문화, 장애인, 해외 등)
  확충 연계 콘텐츠의 증대           접속 콘텐츠의 증대         보유 콘텐츠의 증대
  방식
사이트                       -주 : 웹사이트
 연계 -주 : 웹데이터베이스          -부 : 웹데이터베이스
                                             -주 : 웹데이터베이스
 형태 -부 : 웹사이트                  (일부시도)
                                             -부 : 웹사이트


서비스 전 분야 이용자 요구 중심
     협력체계 활성화 강화
                          이용자 흥미 중심
                          자유로운 이용자 참여
                                             분야별 전문성 중심
                                             이용의 활성화 강화
     -폭넓은 주제 분야의 디지       -사이트 제공을 통한 일      -해당분야에 대한 정확
      털정보를 공신력 있는 도        상생활정보의 신속한         하고 편리한 정보를
      서관에서 검증하여 제공         제공                 제공함
     -콘텐츠 및 서비스의 신뢰       -재미있는 정보가 많음       -공공기관 생산물로 신

 장점 -성 높음정보가치 높음
      선별적
                          -데이터의 양이 무수히
                           많음
                                              뢰성 높음
                                             -생산적 정보가치 높음
     -통합 및 연계검색을 통한       -의도된 검색의 편리함       -분야별 검색 기능 일
      편리함 높음               제공                 부 제공
     -디지털정보영구보존을 통        -영구보존성 없음          -연구보존성 고려하지
      한 소멸 사이트정보 제공                           못함
      -   재미있는 정보 부족      -정보의 질적 수준 저하
                           정보의 신뢰성 부족   -제한적 정보 제공
 단점                       -
                          -상업적으로 의도한 정보
                           많음
                   <   표 5> 포털 차별화 전략

                              - 19 -
2. 메인포털 서비스


가. 디브러리 포털 목적



 ▪ 국내외 고품질 지식정보 유통 허브
   - 디브러리 포털에서는 국내외 고품질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온라인으로 다양한 디지털 지식정보 이용 가능


 ▪ 참여와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협력형 서비스 제공
   - 가치 있는 디지털 콘텐츠를 소장하고 있는 기관과의 협력
   - 도서관 및 국내외 공공기관, 민간단체 등 다양한 기관들과 데이터 연계


 ▪ 이용자 요구를 반영한 특성화 포털 서비스 제공
   - 지식정보를 검색, 공유, 참여, 활용할 수 있는 메인포털
   - 특성화된 전문포털(지역포털, 다문화포털, 정책정보포털, 장애인포털)




나. 디브러리 포털 서비스 범위


1) 디브러리 메인포털
    : 학술정보, 전문정보, 정책정보, 지역정보, 해외정보, 블로그 등


2) 정책정보포털
    : 정책자료, 테마기획, 참고정보원, 검색노하우 등


3) 지역포털
    : 지역소식, 지역정보, 지역포커스 등


4) 다문화포털
    : 다문화소식, 다문화포커스, 주제별 다문화 정보 등


5) 장애인포털
    : 시각원문 및 대체자료, 커뮤니티 등




                    - 20 -
다. 디브러리 포털 메인화면 (http://www.dibrary.net)




                [그림 7] 디브러리 포털 메인화면




                          - 21 -
라. 서비스 구성


 상위메뉴       하위메뉴                     주요내용
           디브러리 소개                 디브러리의 소개
           디브러리 포털                디브러리 포털의 소개
 디브러리         배너달기
  소개          정보광장          디브러리 정보광장 소개 및 예약
           디브러리 협력망          디브러리 협력망 소개 및 신청
           디브러리 친구            디브러리 친구 커뮤니티 링크
              통합검색         디브러리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상세검색          디브러리 정보에 대한 상세 검색
  검색          디렉토리              사이트 디렉토리 서비스
               RSS           국내 기관/단체 RSS 정보 서비스
               웹진           국내 기관/단체 웹진 정보 서비스
              목록정보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목록 정보
              원문정보           국립중앙도서관 구축 원문 정보
 학술정보          웹DB        국립중앙도서관 구독/구매 웹DB 정보
              학위논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네이버 책정보                  네이버 책정보
            국가지식자원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지식포털 제공 정보
              오아시스          국립중앙도서관 OASIS 제공 정보
             문화콘텐츠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포털 제공 정보
            과학기술정보                 NDSL 제공 정보
 전문정보
             국가기록물         국가기록원 나라기록포털 제공 정보
           네이버전문정보               네이버 제공 전문정보
               특허                  NDSL 특허정보
               표준                 NDSL 표준규격정보
          해외공개 학술정보           Open Access 해외 학술정보
            해외학술회의          NDSL 제공 해외주요 학술회의자료
 해외정보
         해외학술논문(영․미권)     NDSL 제공 영․미권 해외 학술지 논문
         해외학술논문(중․일권)     NDSL 제공 중․일권 해외 학술지 논문
 정책정보         정책정보               정책정보포털로 링크
 지역정보         지역정보                 지역포털로 링크
 질의응답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사서에게 물어보세요’로 링크
               카페
 커뮤니티
              블로그
              공지사항
             이용도움말
고객만족센터        문의하기                    고객 문의
            불편사항신고                   불편사항신고
           나의 질문내역                질문 작성 및 내역 확인
                                 이용약관, 개인정보보호방침,
 기타사항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홈페이지 개선의견

              <표 6> 메인포털 서비스 구성

                        - 22 -
마. 학술정보

 ▪ 국립중앙도서관의 원문정보, 목록정보, 웹DB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원문정보 : 국문중앙도서관에서 구축한 원문DB 중 저작권이
   소멸되었거나, 이용 허락을 받은 자료에 대해서는 누구나 자유롭게

   무료로 이용 가능
  - 웹DB :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구독 및 구매한 웹DB에 대한 검색을
   제공하며, 국립중앙도서관내에서 무료로 이용 가능
  - 목록정보 :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한국 및 외국자료의 목록정보에
   대한 통합검색을 제공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국내 석․박사학위논문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네이버 책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바. 전문정보

 ▪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지식포털 자료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국립중앙도서관 OASIS 자료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포털의 문화유산, 예술, 문화산업, 도서관, 체육,
   관광 소식 등 자료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 논문, 연구보고서, 동향분석,
   사실정보 등 과학기술 및 산업의 전문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국가기록원의 나라기록포털에서 제공하는 우리나라 일반기록물,

   시청각기록물, 총독부기록물, 해외기록물, 역사기록물, 행정박물기록물
   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네이버가 제공하는 학술자료, 전문보고서, 특허/KS표준, 통계 등

   전문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NDSL)에서 제공하는 한국특허, 미국특허,
   일본특허, 유럽특허, 국제특허 등 2천만건의 특허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NDSL)에서 제공하는 한국산업,
   국제표준화기구, 국제전기기술위원회 규격 등 NDSL의

   표준규격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23 -
사. 해외정보



 ▪ 오픈액세스(Open Access) 방식으로 제공되는 해외 주요 대학,
   연구기관, 공공기관의 학술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NDSL)에서 제공하는 해외주요 학술회의자료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NDSL)에서 제공하는 해외 과학기술분야 핵심
   학술지 수록논문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아. 디렉토리 서비스




 ▪ 디브러리 협력망 연구에서 조사된 사이트(콜렉션 메타데이터) 5,000여
   건에 대하여 사이트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
 ▪ 문화역사, 과학기술, 교육학술, 경제건설, 사회과학 등 5개 디렉토리
 ▪ 대분류는 각 주제별 소분류로 사이트 정보 제공
  - 문화역사 > 문화일반, 전통문화, 예술, 미술, 박물, 역사, 관광, 체육,
           인물, 다문화, 언론방송, 게임 (12개 소분류)

  - 과학기술 > 순수과학, 기술과학, 정보통신, 환경 (4개 소분류)
  - 교육학술 > 학술논문, 도서, 철학종교, 학교교육, 사회교육, 언어
           (6개 소분류)

  - 경제건설 > 경제경영, 건설교통, 국토지리, 해양, 산업, 통계, 특허,
           노동, 농림수산, 기획재정, 금융 (11개 소분류)
  - 사회과학 > 사회일반, 법률, 보건복지, 행정안전, 외교, 국방, 통일,

           보훈 (8개 소분류)




                      - 24 -
자. 웹진/RSS


1) 웹진


 ▪ 국내외 정부기관, 공공기관, 민간기관에서 발간하고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웹진, 뉴스레터, 발간물, 사보 등에 대한 통합적 정보 제공
 ▪ 웹진은 기관 분류별, 주제 분류별로 제공



2) RSS


 ▪ 국내외 정부기관, 공공기관, 민간기관에서 제공하는 RSS 서비스에

     대한 통합적 정보 제공
 ▪ RSS는 기관분류별로 제공
   - 지역 / 정책 / 다문화 / 기타

 ▪ 국내외에서 제공되고 있는 기관 RSS feed를 수집하여 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기관의 최신 소식을 편리하게 구독할 수 있도록 함




차. 블로그/카페



 ▪ 지식정보 공유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

 ▪ 블로그와 카페는 지식을 생성하고, 다른 이용자들과 상호교류하며,
     지식정보를 재생산할 수 있도록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
 ▪ 블로그/카페 서비스 항목

   - 블로그 및 카페 기능은 디브러리 공통 기능으로 구현되며 카테고리,
     공지사항, 글쓰기 등으로 구성
 ▪ 블로그/카페의 활성화 방안 마련

   - 향후, 각 협력망 별로 참여기관이 블로그를 통해 기관을
     브랜드화하고, 대국민 정보공유 채널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홍보
     공간의 역할 제공




                          - 25 -
카. OpenAPI (추후 서비스 예정)



 ▪ 웹2.0의 OpenAPI를 디브러리 포털에 적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표준적인 지식정보의 검색 및 재사용(XML형태의 검색결과 제공)이
    가능하도록 함

 ▪ 디브러리 포털에서 제공하고 있는 학술자료, 해외정보 등에 대한 검색
    결과를 API로 제공하는 서비스
 ▪ 디브러리 포털 OpenAPI는 디브러리 포털의 메타데이터를 웹 2.0의
    열린 검색 방식으로 공공기관, 민간기업, 협회, 연구소, 전문가 등에게
    다양한 검색조건으로 제공하며, 검색결과를 XML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디브러리 포털 활용성 제고에 크게 기여하고자 함
 ▪ 디브러리 포털 OpenAPI는 사용을 원하는 공공기관, 민간기업, 협회,
    연구소, 전문가 등이 소정의 이용등록절차를 걸쳐 인증키를 부여
    받은 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음




                         - 26 -
3. 지역포털 서비스


가. 서비스 목표 및 특성


1) 지역포털 서비스 목표
가) 지역정보의 체계적 분류 및 지역 학술연구․지식정보의 통합검색 제공
나) 지역에 의한, 지역에 관한, 지역을 위한 정보․지식의 통합 콜렉션 구축
다) 학술적, 정보적 가치가 있는 지역정보의 발굴, 수집, 보존, 활용
라) 이용자 참여로 다양한 정보가 생산, 공유, 활용되는 Library2.0 서비스


2) 지역포털의 역할
가) 도서관, 미술관, 박물관, 문화원, 문예회관, 문화의집, 지방자치단체 등 기
   관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 지역정보자원의 연계 및 공유체계 마련
나) 분산 생산, 관리, 검색되는 지역 디지털지식정보자원의 통합 검색 제공으
   로 국가 지역지식정보의 메타포털 역할 수행
다) 지역주민을 비롯하여 전 국민의 검색과 접근, 활용이 가능한 지역 콘텐
   츠 추천, 선별 및 연계 서비스 제공
라) 지역정보 활성화를 통해 지역정보 대표기관으로서 공공도서관의 역할 강
   화 및 정보서비스의 질적 향상


3) 지역포털 서비스의 특성
가) 도서관 서비스 중심을 자료 소장의 관점에서 지역의 다양한 정보자원에
   대한 접근의 관점으로 확장
나) 사서, 전문가 및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 및 공유를 통해 성장하고 가치
   를 창출하는 개방형, 참여형 포털 서비스 구축
다) 지역의 공공기관 및 민간의 디지털자원을 공유하는 전국적인 지식정보
   공유협력네트워크 구축


나. 서비스 대상 및 범위


1) 지역 디렉토리
가) 지역별 디렉토리 :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광주,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나) 기관별 디렉토리 : 도서관, 미술관, 문화원, 문예회관, 지방자치단체


2) 지역정보
16개시도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화 관련기관(문화원, 문예회관, 문화의
집), 지방자치단체, 지역단체 등에서 수집한 지역별 콘텐츠를 테마별로 추천



                      - 27 -
소개 (문화, 예술, 관광, 축제, 기관정보 등)


3) 지역포커스
지역포털 협력망 참여기관의 정보원을 소개, 전국 지역별로 구분하여 제공


4) 지역 소식
지역별 소식 및 행사, 축제 정보에 대한 통합 제공


5) 지역자료
지역포털 협력망 기관의 디지털자료에 대해 웹크로링 데이터를 제공


다. 서비스 구성


1) 구성방향
가) 지역포털 서비스는 디브러리 메인포털과 통합적으로 운영되며, 검색, 참
   여, 공유, 활용을 핵심 축으로 하여 구성된다.
 (1) 디브러리가 수집 및 연계하는 장서 및 콘텐츠에 대한 통합적이고 이
    용자 친화적인 검색 서비스를 구현한다.
 (2) 개방과 공유와 참여를 통한 정보의 생산 공유 재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용자 참여 서비스를 구현한다.
 (3)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
    로벌 지식정보 공유 협력체계를 구현한다.
 (4) 디브러리 이용자 공간 및 포털을 통한 정보리터러시 및 정보레퍼런
    스 교육 기반 마련을 통해 정보 취약 계층의 정보 활용능력을 향상
    시키고 정보복지를 실현하는 활용 서비스를 구현한다.


2) 서비스 목적
가) 지역지식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통합적으로 제공
나) 지역 기관의 정보 연계 및 공유를 통해 지역정보 이용을 활성화
다) 학술적, 정보적 가치가 있는 지역정보를 발굴, 수집, 보존, 활용


3) 서비스 내용
가) 지역에 의한, 지역에 관한, 지역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지역메타포털
   서비스
나) 지역지식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및 지역 정보원에 대한 지역별, 기관별
   디렉토리를 제공
다) 지역포털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소식, 테마정보, 향토자료 제공
라) 지역의 지방자치단체, 도서관/미술관/박물관/문화원 등 각종 문화기관, 단



                     - 28 -
체 및 개인과의 지역정보 공유 및 협력을 바탕으로, 지역정보 소통을 위
  한 정보 발굴 및 통합적 지역정보 제공


4) 지역포털 서비스 메뉴 구성

 상위메뉴         하위메뉴                  주요내용            비고

 지역포털       지역포털 서비스       지역포털의 목적, 특징, 주요서비스 등
  소   개
            지역포털 협력망       지역포털 협력망의 목적, 조직도

 지역포털         통합검색         지역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검색          상세검색         지역 정보에 대한 상세 검색
               도서관         도서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미술관         미술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박물관         박물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기관별                      문화원, 문화의집, 문예회관 사이트
              문화기관                                 장서 등록
 디렉토리                      정보
             지방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지역언론         지역언론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연구기관         국립도서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단체          지역 단체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행사          지역별 행사 정보 제공             등록
 지역소식         공연․전시        지역별 공연․전시 정보 제공          등록
               축제          지역별 축제 정보 제공             등록
                           전국 16개시도 및 232개 시군구
          서울/부산/대구/인천/광
                           지역의 지역개요, 지역일반현황,
          주/대전/울산/경기/강원/                           콘텐츠
 지역정보                      지역 역사/유래, 지역 상징물, 지역
          충북/충남/전북/전남/경                             구축
                           문화/관광, 지역 주요기관 정보
             북/경남/제주
                           제공

          서울/부산/대구/인천/광 지역포털 협력망 참여기관의
          주/대전/울산/경기/강원/ 정보원을 소개하는 지역포커스           콘텐츠
 지역포커스
          충북/충남/전북/전남/경 콘텐츠를 전국 지역별로 구분하여           구축
             북/경남/제주       제공
          서울/부산/대구/인천/광
                           지역포털 협력망 기관의
          주/대전/울산/경기/강원/
 지역자료                      디지털자료에 대해 웹크로링          웹크로링
          충북/충남/전북/전남/경
                           데이터를 제공
             북/경남/제주
                                                    추후
 커뮤니티        지역블로그         지역 협력기관의 블로그 운영
                                                   서비스

                 <  표 7> 지역포털 서비스 구성

                           - 29 -
5) 지역포털 메인화면 (http://region.dibrary.net/)




                      그림 8] 지역포털 메인화면
                      [




                               - 30 -
6) 지역포털 통합검색 화면




            [그림 9] 지역포털 통합검색 화면




                   - 31 -
라. 주요서비스


1) 지역정보



 ▪ 전국 16개시도 및 시군구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지역 기본정보 및 소개
    정보를 수집하여 각 지역에 대한 일반현황, 유래/역사, 지역상징물,
    문화/관광, 지역 주요기관 웹사이트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
 ▪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송부 받은 텍스트 및 이미지, 웹사이트 정보를
    토대로 해당 지역의 정보를 구성항목에 따라 콘텐츠 1건으로 구성




2) 지역포커스




  ▪ 지역정보공유협의회 참여기관에 대한 정보원을 소개하는 서비스로

    기관의 주요 서비스 및 발간물 등 핵심 정보를 테마 콘텐츠로
    구성하여 디브러리 지역포털에서 제공
  ▪ 지역포털 협력체계 참여기관으로부터 송부 받은 텍스트 및 이미지,

    웹사이트 정보를 토대로 해당 기관의 정보를 구성항목에 따라
    콘텐츠 1건으로 구성




3) 지역자료


  ▪ 지역포털 협력망 참여를 신청한 기관 중 양질의 디지털 정보를 다수
    보유한 기관 자료에 대하여 웹크로링을 통해 데이터 수집

  ▪ 수집된 지역자료는 지역별로 서비스 제공
  ▪ 수집 대상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제목, 기관명, 등록일자, 설명, URL로
    서비스




                     - 32 -
4) 지역소식

 ▪ 지역 기관의 행사, 공연/전시, 축제 관련 최신 소식에 대한 알림서비스

    제공 : 16개시도 각 지역별 소식
 ▪ 향후 운영방안
  - 현재는 지역포털 담당자가 해당 소식을 조사 및 업로드 하나, 추후에
    는 지역 단위 협의체에서 주도적으로 서비스 운영하여 협력기관에서
    소식을 생성 및 등록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서비스 예정
  - 지역포털 메인에서는 통합적으로 서비스하고, 각 지역거점 포털에서는
    지역별 알림서비스로 해당 지역 정보만 모아서 제공




                    - 33 -
4.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가. 서비스 목표 및 특성


1) 정책정보의 정의
가)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의 정책입안 활동에 필요한 정보
나) 정책결정자가 정책입안, 정책결정, 정책평가 등 정책 전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
다) 연구자와 일반국민 등이 정책에 대해 알고자 할 때 필요로 하는 정보


2)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목표
가)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에서 생산되는 정책자료에 대한 통합접근점 제공
나) 정책정보포털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정책정보자원의 연계 및 공유
다) 정책전문 사서의 상호협력을 통해 생산되는 정보와 국립중앙도서관 정책
  자료과 자체생산 정보의 유기적 활용


3) 정책정보포털의 역할
가) 정부기관 및 산하기관, 유관기관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 정책정보자원 메
  타연계 및 통합검색 서비스
나) 주제별, 기관별 맞춤정보 제공 및 정책정보 참고봉사 서비스 제공
다) 핵심 현안 및 관심 이슈 등 활용성이 높은 정책정보에 대한 2차 가공 및
  제공


4) 디브러리 포털 서비스 특성
가) 정책결정자가 정책입안, 정책결정, 정책평가 등 정책 전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
나) 연구자 및 일반 국민이 정책에 대해 알고자 할 때 필요로 하는 정보에
  대한 선별, 추천, 가공 서비스 제공
다) 국내 정부간행물, 국제기구 발간자료, 국제회의자료, 해외 정부기관 자료,
  국내외 정책정보 온라인DB, 해외 수집 한국자료 등을 제공
라) 국내외 공공 및 민간 지식정보기관과 디지털자원을 공유하는 범국가적
  지식정보공유협력모델 구축


나. 서비스 대상 및 범위


 n 정책정보 검색
  - 정책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으로 사이트, 전문정보, 정책정보 등 검색
 n 정책자료



                    - 34 -
- 국내 및 해외 주요정책 관련기관 발행 자료
 n 정책정보 참고정보원 디렉토리
  - 정책정보 관련 참고정보원에 대한 디렉토리 분류 제공
 n 정책정보 테마기획
  - 국정과제, 대통력 업무보고, 해외정책 사례 정보
 n 정책정보 검색 노하우
  - 정부기관 자료실 담당자 소개 및 자료 검색 노하우를 분야별로 제공
 n 정책정보 커뮤니티
  - 정책정보 담당자들이 운영하는 온라인 교류 공간(정책정보 블로그)


다. 서비스 구성


1)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구성방향
 포털 서비스는 검색, 참여, 공유, 활용을 핵심 축으로 하여 구성
가) 디브러리가 수집 및 연계하는 장서 및 콘텐츠에 대한 통합적이고 이
  용자 친화적인 검색 서비스 구현
나) 개방, 공유, 참여를 통한 정보의 생산, 공유, 재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
  록 하는 이용자 참여 서비스 구현
다)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
  로벌 지식정보 공유 협력체계 구현
라) 디브러리 이용자 공간 및 포털을 통한 정보리터러시 및 정보레퍼런
  스 교육 기반 마련을 통해 정보 취약 계층의 정보 활용능력을 향상
  시키고 정보복지를 실현하는 활용 서비스 구현


2)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메뉴 구성

 상위메뉴        하위메뉴              주요내용

 정책정보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정책정보포털 서비스의 목적 및 내용 소개
 포털소개   정책정보포털 협력망 정책정보공유협의회 및 대상기관 소개
             통합검색    정책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검색
             상세검색    정책정보에 대한 상세 검색
                     국내․외 주요 정책관련 기관 발행 최신자료
            최신정책자료
                     수집․제공
 정책자료
                     국립중앙도서관에 입수된 정부간행물 신간자료
            사서추천자료
                     소개

                     정부 100대 국정과제 관련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테마기획   국정과제 관련자료
                     자료 및 해외 온라인 디지털자료 제공




                      - 35 -
행정기관 업무보고     국내 중앙행정기관의 업무보고자료 제공

         국내정부정보원      국내 정부 및 공공기관 정보원 제공

         외국정부정보원      외국 정부기관 및 정부간행물 정보원 제공
참고정보원
         국제기구정보원      주요 국제기구 정보원 제공

         국제회의정보원      주요 국제회의 정보원 제공

                      정책 전문사서들의 정책정보 검색방법 및 참고
        정책정보 검색노하우
                      정보원에 대한 노하우 소개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주요 용어사전
         정책용어사전
검색노하우                 소개 및 링크
        정부기관자료실 소개 정부 및 공공기관 자료실 소개
                      정책이슈 관련정보 제공, 추천 사이트 소개 등
        정책정보길라잡이
                      각종 유용한 정책정보 제공
 알림마당      공지사항       공지사항, 행사 등 안내

 기관회원   협력기관 대출신청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자료 관외대출 신청
 서비스     정기이용증 발급     공무원 정기 이용증 발급신청
                      6개국(우리나라,미국,영국,캐나다,일본,중국)의
        국가별 중앙행정기관
                      중앙행정기관 사이트 바로가기
 바로가기
         정책정보포털       정책정보공유협의회 참여 신청기관 사이트
          협력기관        바로가기
                      정책 전문사서, 공직자, 정책정보 담당자가
                      운영하는 블로그
 커뮤니티    정책정보 블로그     현재 '해외기록으로 보는 한국'(해외수집기록물
                      블로그), '동북아이야기'(동북아자료실 블로그)
                      운영 중임

                <표 8>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구성
3) 정책정보포털의 통합검색 범위


 상위탭       하위탭                  검색 범위
  사이트       -         장서관리시스템에 등록된 정보원
                      DB연계 방식으로 수집된 전문자료
                      - 대한민국 정책포털의 ‘전문자료’
          일반정보        - 정부출연연구기관 지식정보 검색시스템(IKIS)
 전문정보
                      - 정책연구정보서비스(PRISM)
                      - 국외출장연수정보시스템

          법령정보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제공 현행법령




                       - 36 -
통계정보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제공 통계정보

           정책정보포털 자료       정책정보포털 자체 구축자료

  정책정보        정부간행물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검색의 ‘정부간행물’

               정책소식        부처별 정책정보 및 보도자료

   웹문서           -         웹크로링 방식으로 수집된 웹문서

   블로그           -         정책정보포털 관련 블로그 문서

                 <   표 9> 정책정보포털 통합검색 범위

4) 정책정보포털 메인화면 (http://policy.dibrary.net)




                     그림 10] 정책정보포털 메인화면
                     [




                             - 37 -
5) 정책정보포털 통합검색 화면 (http://policy.dibrary.net)




                            - 38 -
그림 11] 정책정보포털 통합검색 화면
            [



라. 주요 서비스


1) 정책자료

 ▪ 최신정책자료
   - 국내 ․ 외 주요정책관련 기관에서 발행된 최신자료를 수집․제공
   - 서비스 구성항목 : 제목, 발행기관, 정보유형, 주제 분야, 등록일
 ▪ 사서추천자료
   - 국립중앙도서관에 입수된 정부간행물 신간자료 소개
   - 서비스 구성항목 : 표제, 저작자, 발행처, 발행년, 형태사항,
                표지이미지, 소개, 목차



2) 테마기획

 ▪ 이용자들의 관심 현안 및 정책 이슈를 반영하는 테마를 설정하여,
    국․내외 관련 자료 및 정보원 제공
 ▪ 국정과제 관련자료 :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와 관련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및 해외 온라인 디지털자료를 수집․선별하여 제공



                     - 39 -
▪ 서비스 구성항목
   ①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 도서 : 제목, 저작자, 발행자, 발행년도, 청구기호, 목차, 원문
    - 학위논문 : 제목, 저작자, 발행자, 발행년도, 청구기호, 원문
    - 학 술 지 : 기사명/저작자, 발행년도, 수록잡지명, 발행자
   ② 온라인 디지털정보
    - 해외학술DB : 기사명, 저작자, 발행년도, 수록잡지명, 수록정보,
                DB명, 언어
    - 외국정부기관 : 제목, 국가, 기관명, 발행년도, 원문
    - 국제기구 : 제목, 기구명, 발행년도, 원문
 ▪ 행정기관 업무보고 : 국내 중앙행정기관의 업무보고자료 제공


3) 참고정보원


 ▪ 국내정부정보원 : 국내 정부 및 공공기관 사이트 소개, 주요
    정보원제공
 ▪ 외국정부정보원 : 외국 정부기관 및 정부간행물 사이트 소개, 주요
    정보원 제공
 ▪ 국제기구정보원 : 주요 국제기구 사이트 소개, 주요 정보원 제공
 ▪ 국제회의정보원 : 주요 국제회의 사이트 소개, 주요 정보원 제공




4) 검색노하우

 ▪ 정책정보 검색 노하우
   - 정책 전문사서들의 정책정보 검색방법 및 참고정보원에 대한
    노하우 소개
   - 서비스 구성항목 : 제목, KDC 및 DDC 분류, 키워드, 내용,
    작성기관, 작성기관URL
 ▪ 정책용어사전
   -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주요 용어사전 소개 및 링크
   - 서비스 구성항목 : 사전명, 제공기관명, 소개, 사전구분



                      - 40 -
▪ 정부기관 자료실 소개 : 정부 및 공공기관 자료실 소개
 - 서비스 구성항목 : 자료실개요, 이용안내, 장서현황, DB현황,
  연락처 등
▪ 정부정보 길라잡이
 - 정책이슈 관련정보 제공, 추천 사이트 소개 등 각종 유용한
  정책정보 제공
 - 서비스 구성항목 : 제목, 내용, 첨부파일




                  - 41 -
5. 다문화포털 서비스


가. 서비스 목표 및 특성


1) 다문화포털 서비스 목표
가) 다문화 소통을 위한 지식정보의 발굴, 수집 및 통합 정보 제공
나) 이주민의 정보요구 및 생활적응을 지원하는 다문화정보서비스 체계구축
다) 정보적, 학술적 가치가 있는 다문화정보의 활용성 강화
라) 이용자 참여로 다양한 정보가 생산, 공유, 활용되는 Library2.0 서비스


2) 다문화포털의 역할
가) 분산 생산, 관리, 검색되는 다문화 디지털지식정보자원의 통합 검색 제공
   으로 다문화지식정보의 메타포털 역할 수행
나) 외국인 노동자, 결혼이민자, 외국인 유학생 등 이주민을 비롯하여 내국인
   을 대상으로 검색과 활용이 가능한 다문화 콘텐츠 추천 및 선별 제공
다) 동아시아국립도서관, 대사관, 문화원, 다문화관련 정부기관 및 민간단체
   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 다문화정보자원의 연계 및 공유체계 마련


3) 다문화포털 서비스의 특성
 가) 한글, 영어, 중국어(간체), 베트남어, 타이어(태국), 일어, 타갈로그어
   (필리핀) 등 7개 언어 기반 서비스
 나) 다문화 관련 전문가 및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 및 공유를 통해 성장하
   고 가치를 창출하는 개방형, 참여형 포털 서비스 구축
 다) 다문화 관련 국내외 공공기관 및 민간의 디지털자원을 공유하는 전국적
   인 지식정보공유협력네트워크 구축


나. 서비스 대상 및 범위


1) 다국어 검색
가) 다문화정보공유협의회를 통해 수집한 다문화정보원 및 콘텐츠에 대한 다
   국어 기반 검색 제공
나) 동아시아국립도서관, 재외 한국문화원, 주한 해외대사관, 주한 해외 문화
   원, 다문화 관련 정부기관, 다문화 관련단체 콘텐츠 연계


2) 다문화 주제별정보
가) 이주민의 한국 생활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주제별 콘텐츠 제공
나) 생활정보, 교육정보, 정책정보, 문화콘텐츠 등




                     - 42 -
3) 다문화포커스
가) 다문화 관련 기관 소개
나) 다문화 관련 주요 이벤트 소개


4) 다문화 소식
가) 다문화 관련 소식 및 행사, 축제 정보에 대한 통합 제공
나) 다문화 소식 수집 및 등록


다. 서비스 구성


1) 서비스 구성방향
가) 다문화포털 서비스는 디브러리 메인포털과 통합적으로 운영되며, 검색,
   참여, 공유, 활용을 핵심 축으로 하여 구성
나) 디브러리가 수집 및 연계하는 장서 및 콘텐츠에 대한 통합적이고 이용자
   친화적인 검색 서비스 구현
다) 개방, 공유, 참여를 통한 정보의 생산, 공유, 재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
   록 하는 이용자 참여 서비스 구현
라)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로벌
   지식정보 공유 협력체계 구현
마) 디브러리 이용자 공간 및 포털을 통한 정보리터러시 및 정보레퍼런스 교
   육 기반을 마련하여 정보 취약 계층의 정보 활용능력을 향상시키고 정보
   복지를 실현하는 서비스 구현


2) 다문화포털 서비스 메뉴 구성


 상위메뉴       하위메뉴             주요내용            비고
            다문화포털
                       다문화포털의 목적, 개요 등
 다문화포털       서비스
  소   개     다문화포털
                    다문화포털 협력망의 목적, 참여기관 등
            협력망

 다문화포털      통합검색     다문화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

  검색        상세검색      다문화 정보에 대한 상세 검색        -

          주한해외대사관      주한해외대사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기관별       공공기관     다문화 관련 공공기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디렉토리
            다문화단체       다문화단체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주한해외문화원      주한해외문화원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 43 -
재외한국문화원      재외한국문화원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국립도서관        국립도서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소식           다문화 관련 언론보도         한국어

다문화소식     행사           다문화 관련 행사 소식        한국어

         영상뉴스      다문화 소식에 관한 영상뉴스(MNTV)   웹크로링
                   정부기관에서 생산되는 다문화 관련
         정책자료                              구축/번역
                          정책 자료 소개
다문화정책
          법령       다문화 관련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한국어

          조례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관련 조례      한국어
                   다문화 관련 학술·연구자료, 교육과정
교육정보     교육자료                              구축/번역
                         및 프로그램 제공
                   이주민의 실생활에 필요한 복지, 소비,
생활정보     생활자료                              구축/번역
                        의료 등의 정보 제공
         다문화 책     다문화 관련 책 소개 및 책 정보 제공   한국어
문화정보                다문화/이주민 관련 영화, 방송 등
         문화콘텐츠                             구축/번역
                     문화 및   미디어 콘텐츠 제공
 다문화               다문화 기관⁄단체 정보, 다문화 관련
        다문화 포커스                            구축/번역
 포커스                  주요 이벤트 정보를 제공
                    7개 국어 서비스
 한글, 영어, 일본어, 중국어(간체), 베트남어, 타이어(태국어), 타갈로그어(필리핀어)

               <표 10> 다문화포털 서비스 구성




                       - 44 -
3) 다문화포털 메인화면 (http://multiculture.dibrary.net/)




                    [   그림 12] 다문화포털 메인화면




                               - 45 -
4) 다문화포털 통합검색 화면




           [   그림 13] 다문화포털 통합검색 화면



                      - 46 -
라. 주요 서비스


1) 다문화포털 통합검색

 ▪ 다문화 정책 : 정부기관에서 생산되는 다문화 관련 정책 자료, 다문화

              관련 법령 및 조례 등을 소개
 ▪ 교육정보 : 다문화 관련 학술·연구자료,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등을
            소개

 ▪ 생활정보 : 이주민의 실생활에 필요한 복지, 소비, 의료 등의 정보를
            소개
 ▪ 문화정보 : 이주민 대상 문화 정보, 다문화 관련 문화 공연, 방송, 영화

            등 미디어 소개


2) 다문화소식

 ▪ 다문화 관련 언론보도 : 관리자가 언론보도 등록

 ▪ 다문화 관련 행사소식 : 관리자가 조사 후 등록, 또는 해당
                     기관으로부터 자료를 제공 받아 등록
 ▪ 다문화 소식에 관한 영상뉴스

   - MNTV 다국어 영상뉴스를 웹크로링 방식으로 수집하여 데이터
    제공(이주민방송 MNTV)
 ▪ 다문화소식 정보구성 항목
   - 소식     : 제목 / 출처 / 보도일자 / 링크 URL
   - 행사     : 행사명 / 주관기관 / 기간 / 장소 / 홈페이지 / 내용 /
              첨부파일
   - 영상뉴스 : 등록일자, 제목, 기관명, 설명, 등록일, (언어)

3) 다문화포커스



 ▪ 다문화 기관⁄단체 정보, 다문화 관련 주요 이벤트 정보를 제공
 ▪ 한국어로 구축하여 한국어 페이지에 등록하며, 6개 다국어로
   번역/감수하여 해당 언어페이지에 등록하여 서비스를 제공




                        - 47 -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Weitere ähnliche Inhalte

Andere mochten auch

Free web based tools you can use in your classroom today!
Free web based tools you can use in your classroom today!Free web based tools you can use in your classroom today!
Free web based tools you can use in your classroom today!Bernard Robin
 
บาสเก็ตบอล
บาสเก็ตบอลบาสเก็ตบอล
บาสเก็ตบอลguest447138
 
Medical recruitment-fall2010
Medical recruitment-fall2010Medical recruitment-fall2010
Medical recruitment-fall2010Bernard Robin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Hansung University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Hansung University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Hansung University
 
독서의 해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2012년
독서의 해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2012년독서의 해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2012년
독서의 해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2012년Hansung University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Hansung University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Hansung University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4_user-spa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4_user-space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4_user-spa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4_user-spaceHansung University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Hansung University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Hansung University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Hansung University
 

Andere mochten auch (19)

Love1
Love1Love1
Love1
 
Free web based tools you can use in your classroom today!
Free web based tools you can use in your classroom today!Free web based tools you can use in your classroom today!
Free web based tools you can use in your classroom today!
 
บาสเก็ตบอล
บาสเก็ตบอลบาสเก็ตบอล
บาสเก็ตบอล
 
To Ragismeno Doxeio
To Ragismeno DoxeioTo Ragismeno Doxeio
To Ragismeno Doxeio
 
O A8eos
O A8eosO A8eos
O A8eos
 
Notes2
Notes2Notes2
Notes2
 
Medical recruitment-fall2010
Medical recruitment-fall2010Medical recruitment-fall2010
Medical recruitment-fall2010
 
Poioseinaioarxigos
PoioseinaioarxigosPoioseinaioarxigos
Poioseinaioarxigos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독서의 해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2012년
독서의 해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2012년독서의 해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2012년
독서의 해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2012년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4_user-spa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4_user-space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4_user-spa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4_user-space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RDF 해설서
RDF 해설서RDF 해설서
RDF 해설서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Ähnlich wi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올림픽재원확보(최종)[1]
올림픽재원확보(최종)[1]올림픽재원확보(최종)[1]
올림픽재원확보(최종)[1]준일 홍
 
(2008 15)람사르총회에 대한 전국민의 의식실태 조사분석
(2008 15)람사르총회에 대한 전국민의 의식실태 조사분석(2008 15)람사르총회에 대한 전국민의 의식실태 조사분석
(2008 15)람사르총회에 대한 전국민의 의식실태 조사분석seekly
 
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
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
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Henry Hyeongrae Kim
 
경남지역의 창업과 부도실태 분석[이슈분석2007 11호]
경남지역의 창업과 부도실태 분석[이슈분석2007 11호]경남지역의 창업과 부도실태 분석[이슈분석2007 11호]
경남지역의 창업과 부도실태 분석[이슈분석2007 11호]seekly
 
(2007 22)경상남도 이미지 분석 v1
(2007 22)경상남도 이미지 분석 v1(2007 22)경상남도 이미지 분석 v1
(2007 22)경상남도 이미지 분석 v1seekly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atelier t*h
 
Web standard-guide-2005-appendix
Web standard-guide-2005-appendixWeb standard-guide-2005-appendix
Web standard-guide-2005-appendixnam kwangjin
 
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및 개인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
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및 개인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및 개인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
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및 개인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Young Keun Keun
 
온라인 환경변화에 따른 소통방안 최종본 2014 문체부
온라인 환경변화에 따른 소통방안 최종본 2014 문체부온라인 환경변화에 따른 소통방안 최종본 2014 문체부
온라인 환경변화에 따른 소통방안 최종본 2014 문체부Yubyeol Kim
 
2012_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_한국인터넷진흥원
2012_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_한국인터넷진흥원2012_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_한국인터넷진흥원
2012_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_한국인터넷진흥원YOO SE KYUN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중간점검보고서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중간점검보고서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중간점검보고서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중간점검보고서봉조 김
 
기본보고%2812 35%29김은숙
기본보고%2812 35%29김은숙기본보고%2812 35%29김은숙
기본보고%2812 35%29김은숙준일 홍
 
[Kisdi]sns의 이용과 개인의 사회관계 변화 분석 보고서
[Kisdi]sns의 이용과 개인의 사회관계 변화 분석 보고서[Kisdi]sns의 이용과 개인의 사회관계 변화 분석 보고서
[Kisdi]sns의 이용과 개인의 사회관계 변화 분석 보고서Becky Kim
 
한국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경쟁력
한국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경쟁력한국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경쟁력
한국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경쟁력Gori Communication
 
한국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경쟁력
한국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경쟁력한국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경쟁력
한국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경쟁력Gori Communication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seekly
 

Ähnlich wi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20)

Bb560
Bb560Bb560
Bb560
 
올림픽재원확보(최종)[1]
올림픽재원확보(최종)[1]올림픽재원확보(최종)[1]
올림픽재원확보(최종)[1]
 
(2008 15)람사르총회에 대한 전국민의 의식실태 조사분석
(2008 15)람사르총회에 대한 전국민의 의식실태 조사분석(2008 15)람사르총회에 대한 전국민의 의식실태 조사분석
(2008 15)람사르총회에 대한 전국민의 의식실태 조사분석
 
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
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
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
 
경남지역의 창업과 부도실태 분석[이슈분석2007 11호]
경남지역의 창업과 부도실태 분석[이슈분석2007 11호]경남지역의 창업과 부도실태 분석[이슈분석2007 11호]
경남지역의 창업과 부도실태 분석[이슈분석2007 11호]
 
(2007 22)경상남도 이미지 분석 v1
(2007 22)경상남도 이미지 분석 v1(2007 22)경상남도 이미지 분석 v1
(2007 22)경상남도 이미지 분석 v1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Korean Sports
Korean SportsKorean Sports
Korean Sports
 
2009 서비스디자인 측면에서 공공서비스평가 방향연구 한수련_석사논문
2009 서비스디자인 측면에서 공공서비스평가 방향연구 한수련_석사논문2009 서비스디자인 측면에서 공공서비스평가 방향연구 한수련_석사논문
2009 서비스디자인 측면에서 공공서비스평가 방향연구 한수련_석사논문
 
Web standard-guide-2005-appendix
Web standard-guide-2005-appendixWeb standard-guide-2005-appendix
Web standard-guide-2005-appendix
 
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및 개인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
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및 개인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및 개인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
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및 개인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
 
온라인 환경변화에 따른 소통방안 최종본 2014 문체부
온라인 환경변화에 따른 소통방안 최종본 2014 문체부온라인 환경변화에 따른 소통방안 최종본 2014 문체부
온라인 환경변화에 따른 소통방안 최종본 2014 문체부
 
Otgwrk960579
Otgwrk960579Otgwrk960579
Otgwrk960579
 
2012_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_한국인터넷진흥원
2012_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_한국인터넷진흥원2012_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_한국인터넷진흥원
2012_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_한국인터넷진흥원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중간점검보고서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중간점검보고서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중간점검보고서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중간점검보고서
 
기본보고%2812 35%29김은숙
기본보고%2812 35%29김은숙기본보고%2812 35%29김은숙
기본보고%2812 35%29김은숙
 
[Kisdi]sns의 이용과 개인의 사회관계 변화 분석 보고서
[Kisdi]sns의 이용과 개인의 사회관계 변화 분석 보고서[Kisdi]sns의 이용과 개인의 사회관계 변화 분석 보고서
[Kisdi]sns의 이용과 개인의 사회관계 변화 분석 보고서
 
한국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경쟁력
한국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경쟁력한국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경쟁력
한국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경쟁력
 
한국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경쟁력
한국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경쟁력한국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경쟁력
한국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경쟁력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Mehr von Hansung University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Hansung University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Hansung University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Hansung University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Hansung University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Hansung University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Hansung University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Hansung University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Hansung University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Hansung University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Hansung University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Hansung University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Hansung University
 

Mehr von Hansung University (20)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Linked Open Data
Linked Open DataLinked Open Data
Linked Open Data
 
2014 odb 한국현황
2014 odb 한국현황2014 odb 한국현황
2014 odb 한국현황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digital archiving
digital archivingdigital archiving
digital archiving
 
library linked data
library linked datalibrary linked data
library linked data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Bibframe
BibframeBibframe
Bibframe
 
링크드 데이터 사례
링크드 데이터 사례링크드 데이터 사례
링크드 데이터 사례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Library linkeddata
Library linkeddataLibrary linkeddata
Library linkeddata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
 
ISO Identifier and UCI
ISO Identifier and UCIISO Identifier and UCI
ISO Identifier and UCI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2. 차 제1장 서론 ····················· ··· ···· ···· ··· ···· ·· 1 · ···· ···· ··· ···· ···· ··· ··· ···· ···· ···· ·· 1. 디브러리 포털의 목표 ····················1 ·········· ·········· ······· ·········· ··· ···· ·········· ····· 2. 포털 협력망 연구의 필요성 ·················· ···· ···· ···· ···· · 2 ··· ···· ··· ···· ··· · ···· ···· ···· ···· 3. 포털 협력망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 ·· ·· ·· ·· ·· ·· 3 · ·· ·· ·· ·· ·· ·· · · · ·· ·· ·· ·· ·· ·· 제2장 디브러리 포털 콘텐츠 ············· ······· ····· 4 · ········ ··· ··· ········ · 1. 대상 자원의 범위 ······················4 ······················ ······················ ····················· 2. 대상 자원의 선정 기준 ···················· ········ ········ ··· 6 ····· ········ ······ ··· ········ ········ 3. 대상 자원 및 기관 선정방법 ················· ················ 10 ·· ··· ··· ··· ··· ·· · ··· ··· ··· ··· ··· 4. 서비스 대상 콘텐츠 범위 ··················14 ···· ····· ···· ····· ··· ····· ···· ····· · ·· ···· ····· ···· ·· 제3장 디브러리 포털 서비스 ············ ··········· 15 ·· ···· ··· ·· ··· ··· ···· · 1. 포털 서비스 기획방향 ···················· ··················· 15 ····· ········ ······ ··· ········ ········ 2. 메인포털 서비스 ······················20 ······················ ······················ ····················· 3. 지역포털 서비스 ······················ ····················· 27 ····················· ····················· 4.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 ··················· 34 ····· ········ ······ ··· ········ ········ 5. 다문화포털 서비스 ····················· ···················· 42 ·········· ·········· ······ ·············· 6. 장애인포털 서비스 ····················· ···················· 52 ·········· ·········· ······ ·············· 제4장 디지털정보공유 협력망 ············ ··········· 55 ·· ··· ···· ·· ·· ···· ··· ·· 1. 협력망 구축을 위한 선결조건 ················55 ··· ·· ··· ··· ·· ··· ·· ·· ··· ··· ·· ··· · · ··· ·· ··· ··· ·· · 2. 협력망 운영 사례 ·····················55 ····················· ··············· ······ ········· ··········· 3. 협력망 운영 사례 분석의 시사점 ··············· ·············· 63 · ·· ·· ·· ·· ·· ·· · · · ·· ·· ·· ·· ·· ·· 4. 디브러리 포털 협력망 ···················66 ······ ······· ······ ···· ······· ······ ·· ·· ······· ······ ··· 5. 지역포털 협력망 ······················80 ······················ ······················ ····················· 6. 정책정보포털 협력망 ····················88 ·········· ·········· ······· ·········· ··· ···· ·········· ····· 7. 다문화포털 협력망 ·····················94 ····················· ··············· ······ ········· ··········· 8. 장애인포털 협력망 ····················· ···················· 110 ·········· ·········· ······ ·············· 9. 디지털정보공유협의회 운영 정관 ··············120 ·· ·· · ·· ·· ·· · ·· · ·· ·· · ·· ·· ·· · · ·· ·· ·· · ·· ·· ·· [참 고 문 헌] ·························127 ························· ························· ························
  • 3. 표 목 차 <표 1> 협력대상기관 ······················ 5 ······················ ······················ ······················ <표 2> 협력 대상기관 선정 기준 ················· ················· ················ 11 ················ <표 3> 웹 자원 평가 요소 채택 여부 - 디브러리 ········· 12 ········· ········· ········· <표 4> 웹 자원 선정 기준 - 디브러리 ·············· 13 ·············· ·············· ·············· <표 5> 포털 차별화 전략 ···················· ···················· ··················· 19 ··················· <표 6> 메인포털 서비스 구성 ·················· ·················· ················· 22 ················· <표 7> 지역포털 서비스 구성 ·················· 29 ·················· ·················· ·················· <표 8>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구성 ················ ················ ··············· 35 ··············· <표 9> 정책정보포털 통합검색 범위 ··············· 36 ··············· ··············· ··············· <표 10> 다문화포털 서비스 구성 ················· ················· ················ 43 ················ <표 11> 다문화포커스 구성내용 ················· ················· ················ 48 ················ <표 12> 다문화정보 구성내용 ·················· ·················· ················· 49 ················· <표 13> 장애인포털 서비스 메뉴 구성 ·············· ·············· ············· 53 ············· <표 14> 국가지식포털의 분야별 정보센터 및 주요 지식정보 ···· 58 ···· · ·· · ···· <표 15> 협력기관 지원방안 ··················· ··················· ·················· 72 ·················· <표 16> 협력기관 참여 범위 ·················· 74 ·················· ·················· ·················· <표 17> 기관 선정의 우선순위 - 장서 기준 ··········· 75 · ·· · ·· · ·· · · ··········· ··········· <표 18> 기관 선정의 우선 순위 - 경제성 기준 ·········· ·········· ········· 76 ········· <표 19> 주제별 순위 ······················ 90 ······················ ······················ ······················ <표 20> 다문화지식정보를 제공하는 기관 및 단체 ········· ········· ········ 96 ········ <표 21> 다문화지식정보원 콘텐츠 유형 ·············· ·············· ············· 97 ············· <표 22> 해외사례 장애인 협력망의 특징 ············· ············· ············ 112 ············ <표 23> 국내 장애인 관련기관 ················· ················· ················ 114 ················ <표 24> 협력망 대상기관 선정 ················· 114 ················· ················· ················· <표 25> 장애인포털 협력망 연계방식 정의 ············ ············ ··········· 116 ···········
  • 4. 그 림 목 차 [그림 1] 포털 구축 개요 ·····················5 ····················· ····················· ···················· [그림 2] 포털 서비스 구성도 ··················· ·················· 16 ·················· ·················· [그림 3] 검색 서비스 ······················ ····················· 16 ····················· ····················· [그림 4] 참여 서비스 ······················ ····················· 17 ····················· ····················· [그림 5] 공유 서비스 ······················17 ······················ ······················ ····················· [그림 6] 활용 서비스 ······················18 ······················ ······················ ····················· [그림 7] 디브러리 포털 메인화면 ················· ················ 21 ········· ······· ······· ········· [그림 8] 지역포털 메인화면 ···················30 ··················· ··················· · · · · · ·· · · · · · · · · · · · [그림 9] 지역포털 통합검색 화면 ················· ················ 31 ········· ······· ······· ········· [그림 10] 정책정보포털 메인화면 ················· ················ 37 ········· ······· ······· ········· [그림 11] 정책정보포털 통합검색 화면 ··············39 · ··· ···· ··· ··· ··· ··· ···· ··· · ·· ··· ···· ··· · [그림 12] 다문화포털 메인화면 ·················· ················· 45 ················· ················· [그림 13] 다문화포털 통합검색 화면 ···············46 · ····· ···· ····· ····· ···· ····· · ··· ····· ···· ·· [그림 14] 다문화포털 다국어 화면 ················51 ·· ······· ······· ······· ······· ·· ····· ······· ··· [그림 15] 장애인포털 메인 화면 ·················53 ···· ············· ············· ···· ·········· ······ [그림 16] 디브러리 협력망 기본 모델 ··············· ·············· 67 ···· ···· ··· ··· ··· ··· ···· ···· [그림 17] 다층적 협력망 모델 ··················68 ·················· ·················· ················· [그림 18] 디브러리 포털 협력망 연계 모델 ············68 · ·· · ·· ·· ·· ·· ·· ·· ·· ·· · ·· · · ·· ·· ·· ·· ·· [그림 19] 협력망 메타 모델 ···················69 ··················· ··················· · · · · · ·· · · · · · · · · · · · [그림 20] 협력망 활성화 모델 ··················70 ·················· ·················· ················· [그림 21] 협력망 조직도 ····················· ···················· 71 ···················· ···················· [그림 22] 디브러리 지역포털 협력망 모형 ············· ············ 81 ·· ·· ·· ··· ·· · · ·· ··· ·· ·· ·· [그림 23] 지역거점기관 중심의 협력망 모형 ············ ··········· 81 ·· · ·· ·· · ·· · · ·· · ·· ·· · ·· [그림 24] 유형별 대표기관 중심의 협력망 모형 ·········· ········· 82 ········· ········· [그림 25] 국립디지털도서관 직할의 협력망 모형 ·········· ········· 83 ········· ········· [그림 26] 지역포털 협력망 운영원칙 ···············85 · ····· ···· ····· ····· ···· ····· · ··· ····· ···· ·· [그림 27] 지역포털의 단계적 운영방안 ·············· ············· 85 ··· ··· ·· ··· ·· ·· ··· ·· ··· ··· [그림 28] 지역포털 협력망 조직도표 ···············87 · ····· ···· ····· ····· ···· ····· · ··· ····· ···· ·· [그림 29] 국립중앙도서관 중심의 다문화포털 협력망 구축 · · · · · 98 · · ·· · · ·· · · · ·· · [그림 30] 다문화포털 협력망 모형 ················99 ·· ······· ······· ······· ······· ·· ····· ······· ··· [그림 31] 다문화포털 주제별 모형 ················99 ·· ······· ······· ······· ······· ·· ····· ······· ···
  • 5. [그림 32] 다문화포털 협력망 확장 ················ ··············· 103 ······ ····· ···· ···· ····· ······ [그림 33] 협력대상기관 유형별 협력 추진방안 ··········105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34] 다문화지식정보 유형별 협력 추진방안 ·········105 ········· ········· ········ [그림 35] 다문화포털 협력망 활성화 방안 ············109 · ·· · ·· ·· ·· ·· ·· ·· ·· ·· · ·· · · ·· ·· ·· ·· ··
  • 6. 제1장 서론 1. 디브러리 포털의 목표 가. 디브러리 미션 모든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전 세계 고품질 지식정보의 통 합검색 환경인 포털서비스를 제공하며, 전 국민이 평생 학습하고 연구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열람공간을 구축하여 국민의 정보력 강화에 기여한다. 나. 디브러리 목표 목표1 모든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국내외 고품질 지식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통합적 정보서비스 환경을 제공한다. 목표2 이용자의 정보 접근 및 사용의 편리성, 균등성 그리고 이용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개방형 체제를 구축한다. 목표3 이용자가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정보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참고정보서비스 및 정보활용능력 서비스를 제공한다. 목표4 장애인, 이주민, 노령계층, 외국인, 저소득가정 등 사회적으로 정보취약계 층이나 정보취약지역에 속한 국민을 위한 시스템과 서비스를 지원한다. 목표5 디브러리는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서비스와 협력 및 연계를 통 해 세계지식정보 유통 구현에 이바지 하며, 국가 대표 디지털도서관으 로서 독창성과 정체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목표6 디브러리 운영조직과 자원구축을 위한 경영관리 체제를 수립한다. 디브러리의 사명과 목표를 이루기 위한 핵심적인 단어는 통합과 개방이다. 통합은 국내외에 산재하는 디지털도서관의 고품질 정보자원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것이고, 개방은 디브러리 정보자원의 접근과 이용자의 자발적 참여가 가 능한 개방형 체제를 지향한다는 의미이다. 통합은 내부적/관리적 개념이며, 개방은 외부적/서비스적 개념이다. 통합과 개방은 개별적인 개념이 아니며,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 디브러리 서비스를 창출한다. 또한 통합과 개방은 정보공유와 이용자의 참여를 가능케 하는 중요 한 수단이다. 전 국민을 위한 정보공유 환경, 이용자 참여 환경을 제공하여 전 국민의 지식 활용능력 향상에 이바지하게 된다. 이는 지식 강국의 대한민국 실현의 바탕이 되며, 지식기반사회의 핵심기반이 될 것이다. - 1 -
  • 7. 2. 연구의 필요성 인터넷의 등장 및 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정보서비스의 범위가 한층 더 확대, 변화되고 있다. 과거 도서관에서의 정보서비스가 정보에 대한 소유 및 제공, 활용의 개념이었다면 이제는 정보 위치 파악 및 위치 정보의 제공 그리 고 제공된 정보의 활용 개념에 이르기까지 그 서비스 범위가 광범위하게 변화 되고 있다. 대부분의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서비스는 단순히 정보에 대한 위치 정보와 이의 연계를 통한 정보에의 접근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반 적인 정보에 국한되는 것이 현실이다. 즉, 포털 사이트를 통하여 제공되는 전 문 정보는 매우 제한적이며, 따라서 다양한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포털 서비스 기관들은 가치 있는 정보의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가치 있는 정보의 지속적인 확보 를 추구하는 포털 서비스 기관과 정보의 효율적인 제공을 원하는 소장기관은 상호간의 약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호 협력관계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지금까지 정보의 공동 활용을 위한 노력은 대부분 정보의 수집, 관리 및 제 공을 주도해 왔던 도서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서관은 이와 관련 된 노하우를 축적해 오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통한 정보서비스의 활성화와 더불어 소규모의 정보를 소장하고 있는 개별 기관들도 서로 간의 접촉을 통하 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협력체를 구성함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기 위 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보 소장기관들이 이용자에 대한 정보의 직 접 제공을 선호하고 있으며, 머지않아 포털과의 차별화를 위하여 이들에게 소 장정보에 대한 연계 혹은 접근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리라는 점이 다. 특히 정보의 가치 상승과 더불어 정보 소장기관들은 유사 정보기관과의 협력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서비스함으로써 정보서비스 기관 으로서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용자에게 디지털 자원에 대한 막힘없는 연계와 제공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는 디브러리는 가치 있는 정보를 소장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하여 제공 가치가 있는 정보를 우선적으로 확보하여야 한다. 따라서 디브러 리는 다양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분야별, 분야간 디지털 자료 에 대한 원문정보는 물론 목록과 같은 서지정보의 확보와 이를 공유․소장할 수 있는 공동이용 시스템과 같은 인프라 구축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이러한 인프라의 구축을 위한 기본 조건으로 소장기관들과의 협력은 반드시 필 요하다. - 2 -
  • 8.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립중앙도서관이 디브러리 포털을 통하여 서비스 할 수 있는 정보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디지털 자료 소장기관과의 협력망을 효율적으로 구축하는데 있으며, 이에 요구되는 협력망 구성의 기본 원칙, 운영 방안, 협력 대상 정보 및 기관의 선정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다. 둘째,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전 세계 고품질 지식정보의 포 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브러리 포털의 서비스 방안을 기획하는 것이며, 통합검색 포털과 참여형, 공유형, 개방형 포털 서비스 모델을 구현함으로써 통 합적이고, 이용자 친화적인 포털 서비스 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본 연구에서 수행될 연구의 내용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n 디브러리 포털의 종합적 협력망 구축 n 검색, 참여, 연계, 활용 서비스를 위한 민간, 공공기관 중심의 협력 대상 기관 조사 분석 n 민간 포털 등의 장서 리스트 및 장서 메타 데이터 구축 n 협력망 구축 기본 모형 개발 및 협력망 운영 방안 수립 n 디브러리 포털의 서비스 기획 및 운영방안 수립 n 디브러리 포털 콘텐츠 범위 및 선정기준 - 3 -
  • 9. 제2장 디브러리 포털 콘텐츠 1. 대상 자원의 범위 디브러리에서 주어진 사명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대상 자원 즉 수집대 상 정보원과 수집 대상 정보원을 보유하고 있는 기관에 대한 현황이 우선적으 로 파악되어야 한다. 그 다음은 대상 자원을 선정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우 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수집 및 서비스 대상 자원의 종류를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수집 대상 자원에 대한 선정기준을 설정하고 대상 자원에 대한 목록 을 작성하는 것이다. 셋째, 선정 대상 자원을 소장하고 있는 협력 대상기관에 대한 현황을 파악 하는 것이다. 넷째, 협력 대상기관에 대한 선정기준을 설정하고 대상기관을 선정하는 것 이다. 현재 서비스 중인 디지털 도서관의 서비스 항목 가운데 가장 일반적으로 서 비스되고 있는 아이템을 기준으로 수집 및 서비스 대상 자원의 기준을 정하 고, 디지털 도서관에서 필요로 하는 자원의 보유정도와 기관의 권위 등에 따 라 대상기관의 현황 파악 및 선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와 함께 디브러리에서 우선적으로 서비스해야 할 장서와 디브러리의 사명, 목표 등을 고려하여 대상 장서에 대한 선정 기준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n 대상 장서 및 기관의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하위포털 간 선정 장서 및 기관의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 모색 - 포털 간 장서나 기관의 중복이 발생될 경우 기관이나 장서가 제한적인 포털에 우선 배정 (예: 다문화포털 우선) - 정책포털과 지역포털의 경우 대상 정보의 성격에 따라 배정 - 메인포털과 정책포털의 경우 정책 포털에 우선으로 배정 - 서비스는 수집과 구분하여 통합검색, 하위포털별 검색 등을 통하여 누락이나 중복이 나타나지 않도록 유도 - 4 -
  • 10. [ 그림 1] 포털 구축 개요 협력망 협력 대상 설명 비고 지역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화원, 문예회관, (16개시도)지자체, 단체 정책 공공기관(정부기관, 투자기관, 연구소, 위원회, 부속기관) 동아시아국립도서관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몽골, 타이완, 우즈베키스탄, 방글라데시, 국외 다문화 스리랑카, 파키스탄, 인도, 네팔 등) 주한해외대사관, 주한해외문화원, 다문화관련단체(안산이주민센터, 한국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등) 민간상용(전자책, 해외저널), 포털사이트 메인 방송(한국정책방송, EBS, KBS, 아리랑TV 등) 한․중․일 국립도서관, Open Archives, Open Library 국외 장애인 장애인 관련기관 <표 1> 협력대상기관 - 5 -
  • 11. 2. 대상 자원의 선정 기준 가. 선정 기준의 필요성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서비스가 보편화됨에 따라 지식정보의 생산형태는 과 거 실물 공간을 통한 정보의 유통 체제에 적합했던 인쇄매체에서 가상공간을 통한 신속하고 제한 없는 서비스가 가능한 디지털매체로 급속히 이동하고 있 다. 이에 따라 과거 실물 공간에서의 정보유통의 핵심임을 자부해왔던 도서관 의 지위가 후발 주자인 포털 사이트나 유사 정보센터에 위협받고 있다. 다행 히 도서관도 이러한 위기감을 인식하고 과거의 인쇄매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 이고 디지털 매체로의 전환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특히 미국이나 유 럽을 비롯한 정보 선진국들의 도서관은 가상공간인 인터넷을 통한 정보유통 보편화 노력과 함께 온라인 디지털자원을 수집․보존하고, 저작권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이용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디지털자원은 그 범위와 양적 측면에서 방대 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자료 또한 다량으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도서관별 로 적합한 온라인 디지털자원의 수집을 위한 선정지침을 마련하여 그 지침을 충족시키는 디지털자원만을 수집하고 있다. 디브러리는 과거 도서관이나 정보 센터에서 부가적인 서비스로 제공하던 디지털 정보를 주요 정보원으로 삼아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국가전자도서관이다. 따라서 디브러리는 고품질의 온라인 디지털자원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수집을 위한 선정지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디브러리에서의 자료 선정 기준은 디브러리의 사명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 여 요구되는 고품질의 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대상 자원은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가 가능한 웹 자원으로 그 형태와 관계없이 지식정보가 우선이다.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지식정보 가 운데 디브러리에서 수집, 서비스하고자 하는 웹 정보자원은 데이터베이스 형 태와 문서 형태의 크게 2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형태의 웹 자 원은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반면에 문서형태의 웹 자원은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되 는 웹 문서들로 인터넷의 페이지를 통하여 정보의 직접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웹 자원을 통칭한다. 그러나 디브러리에서 수집, 서비스하고자 하는 정보자원은 웹 정보자원의 형태도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어야 하지만 그 자체가 지식정보로서의 역할 수 행이 가능한 것인가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브러리에서 자 - 6 -
  • 12. 료의 기준은 웹 자원의 형태로 구분하기 보다는, 지식정보로 분류될 수 있는 모든 자원 중에서 디지털 형태로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가 가능한 웹 정보자 원에 대한 평가기준이 되어야 한다. 디브러리의 사명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료에 대한 평가 기준과 선정 기준을 엄격히 구분하면 의미적으로 차이가 있다. 평가 기준은 대상 자원을 주어진 원칙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것인 반면에 선정 기 준은 다양한 정보원을 디브러리에서 수집 혹은 서비스 대상으로 선택하기 위 하여 제시된 기준이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디브러리에서 서비스가 가능한 정 보는 정보로서 그리고 지식의 제공을 위하여 최소한의 가치가 있어야 함을 고 려하여 평가 기준에 따라 특정 등급 이상의 정보원을 우선적으로 선정하는 것 을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디브러리에서 자료의 선정을 위한 평가 기준과 선 정 기준은 의미적 차이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웹 정보자원에 대한 품질 평가는 내용적 측면, 이용자 측면(서비 스 측면), 그리고 시스템적 측면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 하여 제시된 평가기준을 우선적으로 분석하되 개인 연구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기준과 도서관 혹은 기관 차원에서 웹 정보 자원의 선정을 위하여 제시하고 있는 기준을 종합하여 새로운 선정 기준을 제시한다. 다만 디브러리의 경우, 실질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기준이 되어야 하며, 특히 대상 정보의 입수 가능 여부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충분히 고려하여 직접 입 수 혹은 교환 등을 통하여 직접 연계가 가능한 웹정보 자원의 경우와 단순 연 계와 간접 연계를 통한 서비스 대상 자원을 구분하여 선정 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즉 정보의 교환이나 수집을 통하여 직접 연계가 가능한 정보자원의 경 우 품질적 측면을 서비스나 시스템적 측면 보다 강조할 필요가 있으며, 단순 연계와 간접 연계의 경우 3 가지 측면을 균등하게 고려하는 것이다. 디브러리에서의 장서는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한 디지털 장서만으로 한정한다. 나. 디브러리의 정보 수집 정책 1) 일반 포털과의 차별화는 필수 n 일반포털이 보편적이고 상업적인 유형의 정보 유통과 전문지식에 대한 1차적 접근점을 제공한다면 디브러리는 심층적 지식 정보에 대한 사용 자 중심 (원문 혹은 필요로 하는 정보의 제공)의 시스템적 접근을 제공 한다. - 7 -
  • 13. 2) 일반적 질의사항은 민간 일반포털의 지식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것이 현재 이용자들의 추세임을 볼 때 n 일반적 사항의 정보는 일반포털에서 해결 n 전문지식정보에 있어서는 디브러리로 유도할 수 있어야 하며, 이것이 디브러리의 성패 여부 결정에 절대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3) 일반 포털과의 차별화를 위해서 지식정보의 검색 범위를 확대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지식정보 확보가 우선되어야 한다. 4) 디브러리는 포털의 서비스 형태를 참고하여 대중화에 부응하되 검증된 지 식 정보를 우선적으로 수집하여 서비스함으로써 신뢰를 축적하여야 한다. 다. 대상 정보원 디브러리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 원과 디지털 도서관에서 제공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정보원을 포함한다. n 지식정보의 정의 - 다양한 데이터들이 정제되어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는 자원 - 지식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정보 - 지식화가 가능하거나 지식화된 정보 - 지식으로 활용가치가 있거나 실제 지식으로 활용되고 있는 정보 - 지식정보의 집합체는 장서로 표현 라. 장서의 범위 디브러리에서 수집하고 서비스하는 장서의 범위는 지식정보로서 도서관에 서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디지털화되거나 디지털화 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정보를 포함한다. 1) 디지털 장서의 범위 n 디지털화된 모든 정보로 디브러리를 통하여 서비스 가능한 것 n 전자정보원, 웹 사이트, 데이터베이스, 멀티미디어 n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한 전자화된 디지털 자원의 집합체. 일반 적으로 동일한 유형 혹은 동일한 주제의 데이터를 모아 놓은 데이터베 이스 n 인터넷 등을 통해 개인용 혹은 노트북 컴퓨터, PDA 등의 정보통신 단 말기에서 전자적으로 유통 (검색, 서비스) 될 수 있는 텍스트, 소리, 동 - 8 -
  • 14. 영상정보 등을 담고 있는 컴퓨터 파일 2) 장서 선정 기준의 확보 n 일반 도서관 대상 - 국내외의 다양한 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장서 선정 기준 확보 - 이론적 근거에 따른 장서 선정기준 확보 n 문헌정보학 관련 단행본, 논문 등 n 웹 사이트 n 포털 사이트 - 네이버, 구글 등 주요 상용 포털 - Gils, usa.gov, Google Scholar, inforoute, NSDL 등의 공공 포털 n 정보센터 n 국립중앙도서관의 장서개발 정책 마. 디지털 자원의 수집 원칙 1) 선정기준에 부합되는 자원 n 유용성, 저작자의 평판, 제공된 정보의 유일성, 학술적 내용, 정보의 최 신성, 업그레이드 빈도, 접근의 용이성 등 n 정보로서의 이용가치 n 선정기준에 부합 2) 공신력, 품질이 보증될 수 있는 자원을 우선적으로 수집 n 공공 데이터베이스 3) 지식정보에 대한 망라적 수집 n 자료 형태, 주제에 대한 범위 제한 철폐 바. 디지털 자원 - 우선 수집 대상 1) 공공기관, 학회, 대학 등에서 생산된 디지털 형태의 정보자원으로 학술적 가치를 가진 것 n 대학 간행물 (학위논문, 연구보고서, 논문집 등) n 회의자료 n 전자저널 2) 협회 등 비영리 단체에서 생산된 정보 가운데 학술적 가치가 있는 디지털 자료 - 9 -
  • 15. 3) 민간이나 영리단체에서 생산된 정보로 학술적 가치가 있는 디지털 자료 4) 기타 정보로서의 가치가 있는 자료 사. 수집 제외 대상 자원 1) 블로그 사이트 n 자신의 생각을 이론적 기반에 근거하지 않고 게재하는 웹사이트 2) CAMS n LAN 전용선이 카메라에 직접 연결되어 실시간 이미지를 인터넷에 전송 하여 세계 어느 곳에서든지 볼 수 있도록 한 사이트 3) 토론리스트, 채팅 사이트 4) 게시판과 뉴스 그룹 5) 뉴스 사이트 6) 인쇄물이 존재하는 온라인 일간 신문 7) 광고 사이트 3. 대상 자원 및 기관 선정방법 가. 협력 대상 기관의 선정 디브러리가 주어진 사명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자원을 용이하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실제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디브러리는 협력 대상기관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야 하며, 그 기 준은 대상기관의 권위, 대상 기관에서 생산되는 정보의 양, 대상 기관에서 제 공할 수 있는 정보의 양, 보유 정보의 품질, 보유 정보의 디브러리에서의 유용 성 정도, 정보 보유량, 기관의 성격, 협력 정도, 비용 혹은 노력 요구 정도 등 으로 정리될 수 있다. 협력 대상 기관을 선정함에 있어 디브러리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n 디브러리가 추구하는 목표 이용자 (Target user) n 목표 이용자들이 추구하는 정보의 형태 n 다양한 정보원의 포함 여부 n 디브러리의 목표 달성에 필요한 지식정보의 포함 여부 - 10 -
  • 16. 이러한 우선 고려사항을 포함하여 채택된 협력 대상기관의 선정 기준은 다음의 표와 같다. 평가 요소 상세 내용 권위 대상 기관의 명성, 권위, 사회적 인지도 등 정보 생산량 생산되는 정보의 총량 정보 제공량 디브러리에 제공 가능한 정보의 양 보유 정보의 품질 대상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 질적 측면 보유 정보의 유용성 정도 대상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 디브러리에서의 서 비스 가치 정도 정보 보유량 대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 총량 성격(공공, 상업, 기타) 대상 기관의 성격 협력 정도 디브러리와의 협력 정도 (참여 기관의 의향) 요구 정도 정보의 공유를 위하여 예상되는 비용, 노력,요구 정도 이용자 만족도 소장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 정도 < 표 2> 협력 대상기관 선정 기준 나. 협력 대상 기관의 선정 방법 대상 자원 및 기관의 선정 작업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첫째, 디지털 자원 평가 요소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를 실시한다. 둘째, 평가 요소를 제시하고 있는 주체를 집단으로 구분한다. 셋째,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있을 경우 평가 요소를 의미상 유사한 개념으로 통합하거나 단순화한다. 넷째, 통합되거나 단순화된 평가 요소들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만든다. 다섯째, 평가 요소별로 각 집단에서 출현하는 빈도를 기준으로 등급을 부여한다. 여섯째, 부여된 등급에 기준하여 평가 기준으로 채택한다. 웹 자원에 대한 평가 기준은 매우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하게 제시된 평가 기준을 단순화하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제시된 평가 기 준을 살펴보면 크게 웹 사이트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기준, 웹 사이트에서 제 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평가 기준, 그리고 시스템 차원에서의 웹 사이트 자체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 구별된다. 평가 주체에 따라 정량적 지표와 정성 적 지표로 구분하기도 하고, 이용 측면이나 서비스 품질 측면 등으로 다르게 제시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평가 요소에 대한 단순화를 우선적으로 시도 하였으며, 시스템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 콘텐츠의 평가 기준과 중복되거나 보 충할 수 있는 경우는 포함시키되 나머지는 제외하였다. 웹 자원에 대한 평가 요소를 선정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 11 -
  • 17. 공공도서관, 개인 연구자, 그리고 정보센터나 데이터베이스 평가 기관에서 지 시하고 있는 요소들을 비교하였으며, 제시된 25개의 웹 자원에 대한 평가 기 준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디브러리에서의 웹 자원 선정 기준이 제시되었 다. 여기에 제시된 기준은 디브러리에서의 수집 대상 정보 가운데 품질 기준 으로 적부를 판정하거나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한 기준으로 보는 것이 적합 하다. 각각의 주체별로 제시된 25개의 평가 요소 가운데, 정보의 유효성 등 5 개의 요소를 제외한 20개 요소가 선정되었다. 연구 구분 출현 출현 출현횟수 총 평가 요소 횟수 횟수 (정보센터) 출현횟수 디브러리 (개인) (도서관) 채택여부 이용편의성 4 7 2 13 O 최신성 3 6 3 12 O 권위 3 7 2 12 O 접근성 4 5 2 11 O 정확성(신뢰성) 4 3 2 9 O 주제범위 2 6 0 8 O 적합성(요구부합정도) 1 6 1 8 O 비용 0 6 1 7 O 가치(유용성) 2 3 2 7 O 표준 준수 1 4 1 6 O 이용자 선호도 0 6 0 6 O (요구정도) 자원 유형 2 2 1 5 O (메타, 원문, 서지 등) 객관성 2 1 2 5 O 일관성 1 1 2 4 O 유효성(Availability) 0 3 1 4 X 문서형태(pdf, html, jpeg) 0 4 0 4 O 이용보장(과거, 향후) 0 3 0 3 O 완전성 1 0 2 3 O 안정성 1 2 3 X 정보량 3 3 X S/W, H/W 의존 정도 3 3 X 유일성 1 0 1 2 O 언어(사용언어) 0 2 0 2 O 디자인 2 2 X 사명부응정도 1 1 O <표 3> 웹 자원 평가 요소 채택 여부 - 디브러리 디브러리에서 웹 자원에 대한 평가 기준 요소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우선적 으로 고려한 사항은 각 주체별 혹은 집단별로 평가 요소로 채택한 빈도수이 다. 빈도수를 최우선 기준 요소로 채택한 이유는 웹 자원에 대한 평가 기준이 - 12 -
  • 18. 시대별로, 기관별로, 평가 주체별로 변화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다는 것은 그 만큼 중요한 요소임을 의미하기 때문으로 해석하였 다. 그러나 콘텐츠와 무관하게 시스템적 측면이 강한 안정성이나 디자인, H/W 의존성, S/W 의존성, 정보량, 정보의 유효성 등은 배제되었다. 특히 정보의 유 효성은 출현 빈도는 적지 않으나, 디브러리에 주어진 사명을 준수하는데 걸림 돌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로 판단되어 제외되었다. 정보의 유효성이란 주변 혹은 유사 도서관에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정도로서 정보의 유효성이 높을 수록 당해 도서관에서 자료를 수집할 필요성이 낮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 서 정보의 유효성은 정보 수집 및 서비스의 망라성을 중시하는 디브러리의 정 책과 부합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 디브러리의 수집 대상 자원은 웹 사이트와 기관별로 웹을 통하 여 제공하고 있는 디지털화된 정보이며, 이에 대한 평가 요소로 선정된 기준 은 모두 20개이다. 그 구성은 다음의 <표 4>과 같다. 평가 요소 평가 내용 비고 최신성 정보의 최신성, 갱신 빈도 등 접근성 정보에 대한 접근 용이성 정도 (접근 제한 정도 등) 정확성 포함된 정보에 대한 신뢰성 객관성 정보의 객관성 일관성 포함된 정보의 형식상의 일관성 유지 정도 완전성 포함된 정보의 완전성 유일성 정보의 고유성 혹은 유일성 자원 유형 메타 데이터, 원문, 서지 데이터 등 포함된 정보의 유형 문서형태 포함된 정보의 문서 형태 (pdf, html, jpeg) 권위 정보의 저작자나 생산자의 권위 주제범위 포함된 정보의 주제 범위 적합성 포함된 정보의 이용자 요구 부합 정도 비용 정보의 입수에 소요되는 비용 가치 정보의 유용성 등 정보의 종합적인 가치 표준 준수 데이터의 표준 준수 (예: DC, MARC 등) 이용자 선호도 타 정보에 비해 이용자가 선호하는 정도 이용편의성 검색의 용이성, 가독성 등 이용보장 포함된 정보의 이용에 대한 보장 여부 언어 포함된 정보의 언어 (사용언어) 사명부응정도 수집된 정보와 디브러리의 사명과의 부합 정도 <표 4> 웹 자원 선정 기준 - 디브러리 - 13 -
  • 19. 4. 서비스 대상 콘텐츠 범위 n 학술자료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자료 및 포털 협력망 참여기관 연계 자료, 학위논 문, 학술지 서지정보 및 원문정보 - 네이버 책정보 등 민간상용DB n 전문정보 - 국가지식포털 국가지식자원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포털 문화콘텐츠 - 국가기록포털 국가기록물 - 국립중앙도서관 OASIS 및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 - 네이버 전문정보 n 해외정보 - 오픈 DB 및 해외디지털도서관 서비스 정보 - OAI 기관 및 해외국립도서관, Open Library 등 n 정책정보 -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생산 및 소장 공공정보 - 정부 발행자료 및 2차 가공 정책테마정보 n 지역정보 - 16개 시․도 지역 소식, 지역테마, 지역 향토자료 등 - 도서관, 박물관, 지자체 등이 보유한 디지털자원 연계 n 지식공유 (향후계획) - 학술․연구․창작 관련 생산물을 등록 및 공유 - 논문, 창작물, 교육․문화 프로그램, 사업취업 문서 등 - 14 -
  • 20. 제3장 디브러리 포털 서비스 1. 포털 서비스 기획방향 가. 포털 서비스 구성 n 포털 서비스는 검색, 참여, 공유, 활용을 핵심 축으로 하여 구성된다. - 디브러리가 수집 및 연계하는 장서 및 콘텐츠에 대한 통합적이고 이용 자 친화적인 검색 서비스를 구현한다. - 개방, 공유, 참여를 통한 정보의 생산, 공유, 재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 록 하는 이용자 참여 서비스를 구현한다. -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로 벌 지식정보 공유 협력체계를 구현한다. - 디브러리 이용자 공간 및 포털을 통한 정보리터러시 및 정보레퍼런스 교육 기반 마련을 통해 정보 취약 계층의 정보 활용능력을 향상시키고 정보복지를 실현하는 활용 서비스를 구현한다. n 디브러리 포털은 메인포털을 비롯하여 지역포털, 정책정보포털, 다문화 포털, 장애인포털 등 하위에 구성된 특성화 포털과 유기적으로 통합되고 이용자 특성 및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콘텐츠 및 서비스를 특성화한다. n 지역포털은 지역에 의한, 지역에 관한, 지역을 위한 우수한 콜렉션 발굴 및 확보와 지역에서 생산, 관리되는 지역지식정보의 통합적 검색을 통 하여 지역지식정보 콘텐츠를 연계함으로써 대한민국 지역지식정보의 메 타포털 역할을 목표로 한다. n 정책정보포털은 정부부처 및 산하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기관으로 부터 생산되는 전자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며, 정책정보 자원의 부처 간 상호교환 및 공동활용을 통하여 정책정보의 활용성을 극대화하며 일 반 이용자에게는 정책정보의 체계적인 통합 검색을 통하여 원문까지 서 비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n 다문화포털은 자국민, 이주민, 다문화가정, 유학생 등 대한민국에 거주 하는 다양한 다문화인의 문화적 소통을 위한 사이버 공간으로 다문화 지식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공공기관, 민간단체와의 협력을 통한 콜렉션 의 지속적인 확보와 자국의 문화와 타 문화의 차이를 이해하고 소통하 며, 교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15 -
  • 21. n 장애인포털은 대학 도서관, 특수 도서관 등에 분산되어 있는 장애인 지 식정보를 수집하여 장애인에게 통합적인 검색 및 원문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며 온라인 및 장애인 전용단말기에서 공통으로 활용가능 한 디지 털 지식정보의 지속적인 구축 및 활용 체계 마련을 목표로 한다. n 포털 서비스 구성도 그림 2] 포털 서비스 구성도 [ 나. 검색 서비스 그림 3] 검색 서비스 [ - 16 -
  • 22. 다. 참여 서비스 그림 4] 참여 서비스 [ 라. 공유 서비스 그림 5] 공유 서비스 [ - 17 -
  • 23. 마. 활용 서비스 그림 6] 활용 서비스 [ - 18 -
  • 24. 바. 포털 차별화 전략 구분 디브러리포털 민간포털 공공포털 목적 공익적 콘텐츠 검색 상업적 정보 검색 공익적 콘텐츠 검색 협력형 일반 포털 추구 일반 포털 추구 분야별 전문 포털 추구 대표 구글, 네이버, 다음, 야후 국가지식포털, 포털 디브러리 등 문화포털, 지역포털(대 구포털, 공주사랑 등) 운영 참여기관 협력체계 중심 포털 및 CP 체계 전담기관 관리체계중심 체계 전국적 협력형 운영조직 다수의 운영조직 소수의 운영조직 역할 전 분야 포털 서비스 시류적인 포털 서비스 전문 분야 포털 서비스 전 분야 활용성 제고 수익 창출 제고 전문 분야 활용성 제고 공익적, 보존가치, 소외가 엔터테인먼트 공익적, 보존가치 치 상업적 일반 (생활, 연예, 기관의 사업범위 내 콘 범위 국가적 일반(전 분야의 고 증권, 부동산, 뉴스, 영화, (해당 분야 공공기관 텐 품질 지식정보-지역, 정책, 음악, 지도, 책) 생산정보) 츠 다문화, 장애인, 해외 등) 확충 연계 콘텐츠의 증대 접속 콘텐츠의 증대 보유 콘텐츠의 증대 방식 사이트 -주 : 웹사이트 연계 -주 : 웹데이터베이스 -부 : 웹데이터베이스 -주 : 웹데이터베이스 형태 -부 : 웹사이트 (일부시도) -부 : 웹사이트 서비스 전 분야 이용자 요구 중심 협력체계 활성화 강화 이용자 흥미 중심 자유로운 이용자 참여 분야별 전문성 중심 이용의 활성화 강화 -폭넓은 주제 분야의 디지 -사이트 제공을 통한 일 -해당분야에 대한 정확 털정보를 공신력 있는 도 상생활정보의 신속한 하고 편리한 정보를 서관에서 검증하여 제공 제공 제공함 -콘텐츠 및 서비스의 신뢰 -재미있는 정보가 많음 -공공기관 생산물로 신 장점 -성 높음정보가치 높음 선별적 -데이터의 양이 무수히 많음 뢰성 높음 -생산적 정보가치 높음 -통합 및 연계검색을 통한 -의도된 검색의 편리함 -분야별 검색 기능 일 편리함 높음 제공 부 제공 -디지털정보영구보존을 통 -영구보존성 없음 -연구보존성 고려하지 한 소멸 사이트정보 제공 못함 - 재미있는 정보 부족 -정보의 질적 수준 저하 정보의 신뢰성 부족 -제한적 정보 제공 단점 - -상업적으로 의도한 정보 많음 < 표 5> 포털 차별화 전략 - 19 -
  • 25. 2. 메인포털 서비스 가. 디브러리 포털 목적 ▪ 국내외 고품질 지식정보 유통 허브 - 디브러리 포털에서는 국내외 고품질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온라인으로 다양한 디지털 지식정보 이용 가능 ▪ 참여와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협력형 서비스 제공 - 가치 있는 디지털 콘텐츠를 소장하고 있는 기관과의 협력 - 도서관 및 국내외 공공기관, 민간단체 등 다양한 기관들과 데이터 연계 ▪ 이용자 요구를 반영한 특성화 포털 서비스 제공 - 지식정보를 검색, 공유, 참여, 활용할 수 있는 메인포털 - 특성화된 전문포털(지역포털, 다문화포털, 정책정보포털, 장애인포털) 나. 디브러리 포털 서비스 범위 1) 디브러리 메인포털 : 학술정보, 전문정보, 정책정보, 지역정보, 해외정보, 블로그 등 2) 정책정보포털 : 정책자료, 테마기획, 참고정보원, 검색노하우 등 3) 지역포털 : 지역소식, 지역정보, 지역포커스 등 4) 다문화포털 : 다문화소식, 다문화포커스, 주제별 다문화 정보 등 5) 장애인포털 : 시각원문 및 대체자료, 커뮤니티 등 - 20 -
  • 26. 다. 디브러리 포털 메인화면 (http://www.dibrary.net) [그림 7] 디브러리 포털 메인화면 - 21 -
  • 27. 라. 서비스 구성 상위메뉴 하위메뉴 주요내용 디브러리 소개 디브러리의 소개 디브러리 포털 디브러리 포털의 소개 디브러리 배너달기 소개 정보광장 디브러리 정보광장 소개 및 예약 디브러리 협력망 디브러리 협력망 소개 및 신청 디브러리 친구 디브러리 친구 커뮤니티 링크 통합검색 디브러리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상세검색 디브러리 정보에 대한 상세 검색 검색 디렉토리 사이트 디렉토리 서비스 RSS 국내 기관/단체 RSS 정보 서비스 웹진 국내 기관/단체 웹진 정보 서비스 목록정보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목록 정보 원문정보 국립중앙도서관 구축 원문 정보 학술정보 웹DB 국립중앙도서관 구독/구매 웹DB 정보 학위논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네이버 책정보 네이버 책정보 국가지식자원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지식포털 제공 정보 오아시스 국립중앙도서관 OASIS 제공 정보 문화콘텐츠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포털 제공 정보 과학기술정보 NDSL 제공 정보 전문정보 국가기록물 국가기록원 나라기록포털 제공 정보 네이버전문정보 네이버 제공 전문정보 특허 NDSL 특허정보 표준 NDSL 표준규격정보 해외공개 학술정보 Open Access 해외 학술정보 해외학술회의 NDSL 제공 해외주요 학술회의자료 해외정보 해외학술논문(영․미권) NDSL 제공 영․미권 해외 학술지 논문 해외학술논문(중․일권) NDSL 제공 중․일권 해외 학술지 논문 정책정보 정책정보 정책정보포털로 링크 지역정보 지역정보 지역포털로 링크 질의응답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사서에게 물어보세요’로 링크 카페 커뮤니티 블로그 공지사항 이용도움말 고객만족센터 문의하기 고객 문의 불편사항신고 불편사항신고 나의 질문내역 질문 작성 및 내역 확인 이용약관, 개인정보보호방침, 기타사항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홈페이지 개선의견 <표 6> 메인포털 서비스 구성 - 22 -
  • 28. 마. 학술정보 ▪ 국립중앙도서관의 원문정보, 목록정보, 웹DB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원문정보 : 국문중앙도서관에서 구축한 원문DB 중 저작권이 소멸되었거나, 이용 허락을 받은 자료에 대해서는 누구나 자유롭게 무료로 이용 가능 - 웹DB :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구독 및 구매한 웹DB에 대한 검색을 제공하며, 국립중앙도서관내에서 무료로 이용 가능 - 목록정보 :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한국 및 외국자료의 목록정보에 대한 통합검색을 제공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국내 석․박사학위논문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네이버 책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바. 전문정보 ▪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지식포털 자료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국립중앙도서관 OASIS 자료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포털의 문화유산, 예술, 문화산업, 도서관, 체육, 관광 소식 등 자료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 논문, 연구보고서, 동향분석, 사실정보 등 과학기술 및 산업의 전문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국가기록원의 나라기록포털에서 제공하는 우리나라 일반기록물, 시청각기록물, 총독부기록물, 해외기록물, 역사기록물, 행정박물기록물 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네이버가 제공하는 학술자료, 전문보고서, 특허/KS표준, 통계 등 전문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NDSL)에서 제공하는 한국특허, 미국특허, 일본특허, 유럽특허, 국제특허 등 2천만건의 특허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NDSL)에서 제공하는 한국산업, 국제표준화기구, 국제전기기술위원회 규격 등 NDSL의 표준규격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23 -
  • 29. 사. 해외정보 ▪ 오픈액세스(Open Access) 방식으로 제공되는 해외 주요 대학, 연구기관, 공공기관의 학술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NDSL)에서 제공하는 해외주요 학술회의자료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NDSL)에서 제공하는 해외 과학기술분야 핵심 학술지 수록논문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아. 디렉토리 서비스 ▪ 디브러리 협력망 연구에서 조사된 사이트(콜렉션 메타데이터) 5,000여 건에 대하여 사이트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 ▪ 문화역사, 과학기술, 교육학술, 경제건설, 사회과학 등 5개 디렉토리 ▪ 대분류는 각 주제별 소분류로 사이트 정보 제공 - 문화역사 > 문화일반, 전통문화, 예술, 미술, 박물, 역사, 관광, 체육, 인물, 다문화, 언론방송, 게임 (12개 소분류) - 과학기술 > 순수과학, 기술과학, 정보통신, 환경 (4개 소분류) - 교육학술 > 학술논문, 도서, 철학종교, 학교교육, 사회교육, 언어 (6개 소분류) - 경제건설 > 경제경영, 건설교통, 국토지리, 해양, 산업, 통계, 특허, 노동, 농림수산, 기획재정, 금융 (11개 소분류) - 사회과학 > 사회일반, 법률, 보건복지, 행정안전, 외교, 국방, 통일, 보훈 (8개 소분류) - 24 -
  • 30. 자. 웹진/RSS 1) 웹진 ▪ 국내외 정부기관, 공공기관, 민간기관에서 발간하고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웹진, 뉴스레터, 발간물, 사보 등에 대한 통합적 정보 제공 ▪ 웹진은 기관 분류별, 주제 분류별로 제공 2) RSS ▪ 국내외 정부기관, 공공기관, 민간기관에서 제공하는 RSS 서비스에 대한 통합적 정보 제공 ▪ RSS는 기관분류별로 제공 - 지역 / 정책 / 다문화 / 기타 ▪ 국내외에서 제공되고 있는 기관 RSS feed를 수집하여 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기관의 최신 소식을 편리하게 구독할 수 있도록 함 차. 블로그/카페 ▪ 지식정보 공유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 ▪ 블로그와 카페는 지식을 생성하고, 다른 이용자들과 상호교류하며, 지식정보를 재생산할 수 있도록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 ▪ 블로그/카페 서비스 항목 - 블로그 및 카페 기능은 디브러리 공통 기능으로 구현되며 카테고리, 공지사항, 글쓰기 등으로 구성 ▪ 블로그/카페의 활성화 방안 마련 - 향후, 각 협력망 별로 참여기관이 블로그를 통해 기관을 브랜드화하고, 대국민 정보공유 채널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홍보 공간의 역할 제공 - 25 -
  • 31. 카. OpenAPI (추후 서비스 예정) ▪ 웹2.0의 OpenAPI를 디브러리 포털에 적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표준적인 지식정보의 검색 및 재사용(XML형태의 검색결과 제공)이 가능하도록 함 ▪ 디브러리 포털에서 제공하고 있는 학술자료, 해외정보 등에 대한 검색 결과를 API로 제공하는 서비스 ▪ 디브러리 포털 OpenAPI는 디브러리 포털의 메타데이터를 웹 2.0의 열린 검색 방식으로 공공기관, 민간기업, 협회, 연구소, 전문가 등에게 다양한 검색조건으로 제공하며, 검색결과를 XML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디브러리 포털 활용성 제고에 크게 기여하고자 함 ▪ 디브러리 포털 OpenAPI는 사용을 원하는 공공기관, 민간기업, 협회, 연구소, 전문가 등이 소정의 이용등록절차를 걸쳐 인증키를 부여 받은 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음 - 26 -
  • 32. 3. 지역포털 서비스 가. 서비스 목표 및 특성 1) 지역포털 서비스 목표 가) 지역정보의 체계적 분류 및 지역 학술연구․지식정보의 통합검색 제공 나) 지역에 의한, 지역에 관한, 지역을 위한 정보․지식의 통합 콜렉션 구축 다) 학술적, 정보적 가치가 있는 지역정보의 발굴, 수집, 보존, 활용 라) 이용자 참여로 다양한 정보가 생산, 공유, 활용되는 Library2.0 서비스 2) 지역포털의 역할 가) 도서관, 미술관, 박물관, 문화원, 문예회관, 문화의집, 지방자치단체 등 기 관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 지역정보자원의 연계 및 공유체계 마련 나) 분산 생산, 관리, 검색되는 지역 디지털지식정보자원의 통합 검색 제공으 로 국가 지역지식정보의 메타포털 역할 수행 다) 지역주민을 비롯하여 전 국민의 검색과 접근, 활용이 가능한 지역 콘텐 츠 추천, 선별 및 연계 서비스 제공 라) 지역정보 활성화를 통해 지역정보 대표기관으로서 공공도서관의 역할 강 화 및 정보서비스의 질적 향상 3) 지역포털 서비스의 특성 가) 도서관 서비스 중심을 자료 소장의 관점에서 지역의 다양한 정보자원에 대한 접근의 관점으로 확장 나) 사서, 전문가 및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 및 공유를 통해 성장하고 가치 를 창출하는 개방형, 참여형 포털 서비스 구축 다) 지역의 공공기관 및 민간의 디지털자원을 공유하는 전국적인 지식정보 공유협력네트워크 구축 나. 서비스 대상 및 범위 1) 지역 디렉토리 가) 지역별 디렉토리 :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광주,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나) 기관별 디렉토리 : 도서관, 미술관, 문화원, 문예회관, 지방자치단체 2) 지역정보 16개시도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화 관련기관(문화원, 문예회관, 문화의 집), 지방자치단체, 지역단체 등에서 수집한 지역별 콘텐츠를 테마별로 추천 - 27 -
  • 33. 소개 (문화, 예술, 관광, 축제, 기관정보 등) 3) 지역포커스 지역포털 협력망 참여기관의 정보원을 소개, 전국 지역별로 구분하여 제공 4) 지역 소식 지역별 소식 및 행사, 축제 정보에 대한 통합 제공 5) 지역자료 지역포털 협력망 기관의 디지털자료에 대해 웹크로링 데이터를 제공 다. 서비스 구성 1) 구성방향 가) 지역포털 서비스는 디브러리 메인포털과 통합적으로 운영되며, 검색, 참 여, 공유, 활용을 핵심 축으로 하여 구성된다. (1) 디브러리가 수집 및 연계하는 장서 및 콘텐츠에 대한 통합적이고 이 용자 친화적인 검색 서비스를 구현한다. (2) 개방과 공유와 참여를 통한 정보의 생산 공유 재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용자 참여 서비스를 구현한다. (3)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 로벌 지식정보 공유 협력체계를 구현한다. (4) 디브러리 이용자 공간 및 포털을 통한 정보리터러시 및 정보레퍼런 스 교육 기반 마련을 통해 정보 취약 계층의 정보 활용능력을 향상 시키고 정보복지를 실현하는 활용 서비스를 구현한다. 2) 서비스 목적 가) 지역지식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통합적으로 제공 나) 지역 기관의 정보 연계 및 공유를 통해 지역정보 이용을 활성화 다) 학술적, 정보적 가치가 있는 지역정보를 발굴, 수집, 보존, 활용 3) 서비스 내용 가) 지역에 의한, 지역에 관한, 지역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지역메타포털 서비스 나) 지역지식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및 지역 정보원에 대한 지역별, 기관별 디렉토리를 제공 다) 지역포털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소식, 테마정보, 향토자료 제공 라) 지역의 지방자치단체, 도서관/미술관/박물관/문화원 등 각종 문화기관, 단 - 28 -
  • 34. 체 및 개인과의 지역정보 공유 및 협력을 바탕으로, 지역정보 소통을 위 한 정보 발굴 및 통합적 지역정보 제공 4) 지역포털 서비스 메뉴 구성 상위메뉴 하위메뉴 주요내용 비고 지역포털 지역포털 서비스 지역포털의 목적, 특징, 주요서비스 등 소 개 지역포털 협력망 지역포털 협력망의 목적, 조직도 지역포털 통합검색 지역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검색 상세검색 지역 정보에 대한 상세 검색 도서관 도서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미술관 미술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박물관 박물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기관별 문화원, 문화의집, 문예회관 사이트 문화기관 장서 등록 디렉토리 정보 지방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지역언론 지역언론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연구기관 국립도서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단체 지역 단체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행사 지역별 행사 정보 제공 등록 지역소식 공연․전시 지역별 공연․전시 정보 제공 등록 축제 지역별 축제 정보 제공 등록 전국 16개시도 및 232개 시군구 서울/부산/대구/인천/광 지역의 지역개요, 지역일반현황, 주/대전/울산/경기/강원/ 콘텐츠 지역정보 지역 역사/유래, 지역 상징물, 지역 충북/충남/전북/전남/경 구축 문화/관광, 지역 주요기관 정보 북/경남/제주 제공 서울/부산/대구/인천/광 지역포털 협력망 참여기관의 주/대전/울산/경기/강원/ 정보원을 소개하는 지역포커스 콘텐츠 지역포커스 충북/충남/전북/전남/경 콘텐츠를 전국 지역별로 구분하여 구축 북/경남/제주 제공 서울/부산/대구/인천/광 지역포털 협력망 기관의 주/대전/울산/경기/강원/ 지역자료 디지털자료에 대해 웹크로링 웹크로링 충북/충남/전북/전남/경 데이터를 제공 북/경남/제주 추후 커뮤니티 지역블로그 지역 협력기관의 블로그 운영 서비스 < 표 7> 지역포털 서비스 구성 - 29 -
  • 35. 5) 지역포털 메인화면 (http://region.dibrary.net/) 그림 8] 지역포털 메인화면 [ - 30 -
  • 36. 6) 지역포털 통합검색 화면 [그림 9] 지역포털 통합검색 화면 - 31 -
  • 37. 라. 주요서비스 1) 지역정보 ▪ 전국 16개시도 및 시군구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지역 기본정보 및 소개 정보를 수집하여 각 지역에 대한 일반현황, 유래/역사, 지역상징물, 문화/관광, 지역 주요기관 웹사이트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 ▪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송부 받은 텍스트 및 이미지, 웹사이트 정보를 토대로 해당 지역의 정보를 구성항목에 따라 콘텐츠 1건으로 구성 2) 지역포커스 ▪ 지역정보공유협의회 참여기관에 대한 정보원을 소개하는 서비스로 기관의 주요 서비스 및 발간물 등 핵심 정보를 테마 콘텐츠로 구성하여 디브러리 지역포털에서 제공 ▪ 지역포털 협력체계 참여기관으로부터 송부 받은 텍스트 및 이미지, 웹사이트 정보를 토대로 해당 기관의 정보를 구성항목에 따라 콘텐츠 1건으로 구성 3) 지역자료 ▪ 지역포털 협력망 참여를 신청한 기관 중 양질의 디지털 정보를 다수 보유한 기관 자료에 대하여 웹크로링을 통해 데이터 수집 ▪ 수집된 지역자료는 지역별로 서비스 제공 ▪ 수집 대상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제목, 기관명, 등록일자, 설명, URL로 서비스 - 32 -
  • 38. 4) 지역소식 ▪ 지역 기관의 행사, 공연/전시, 축제 관련 최신 소식에 대한 알림서비스 제공 : 16개시도 각 지역별 소식 ▪ 향후 운영방안 - 현재는 지역포털 담당자가 해당 소식을 조사 및 업로드 하나, 추후에 는 지역 단위 협의체에서 주도적으로 서비스 운영하여 협력기관에서 소식을 생성 및 등록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서비스 예정 - 지역포털 메인에서는 통합적으로 서비스하고, 각 지역거점 포털에서는 지역별 알림서비스로 해당 지역 정보만 모아서 제공 - 33 -
  • 39. 4.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가. 서비스 목표 및 특성 1) 정책정보의 정의 가)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의 정책입안 활동에 필요한 정보 나) 정책결정자가 정책입안, 정책결정, 정책평가 등 정책 전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 다) 연구자와 일반국민 등이 정책에 대해 알고자 할 때 필요로 하는 정보 2)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목표 가)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에서 생산되는 정책자료에 대한 통합접근점 제공 나) 정책정보포털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정책정보자원의 연계 및 공유 다) 정책전문 사서의 상호협력을 통해 생산되는 정보와 국립중앙도서관 정책 자료과 자체생산 정보의 유기적 활용 3) 정책정보포털의 역할 가) 정부기관 및 산하기관, 유관기관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 정책정보자원 메 타연계 및 통합검색 서비스 나) 주제별, 기관별 맞춤정보 제공 및 정책정보 참고봉사 서비스 제공 다) 핵심 현안 및 관심 이슈 등 활용성이 높은 정책정보에 대한 2차 가공 및 제공 4) 디브러리 포털 서비스 특성 가) 정책결정자가 정책입안, 정책결정, 정책평가 등 정책 전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 나) 연구자 및 일반 국민이 정책에 대해 알고자 할 때 필요로 하는 정보에 대한 선별, 추천, 가공 서비스 제공 다) 국내 정부간행물, 국제기구 발간자료, 국제회의자료, 해외 정부기관 자료, 국내외 정책정보 온라인DB, 해외 수집 한국자료 등을 제공 라) 국내외 공공 및 민간 지식정보기관과 디지털자원을 공유하는 범국가적 지식정보공유협력모델 구축 나. 서비스 대상 및 범위 n 정책정보 검색 - 정책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으로 사이트, 전문정보, 정책정보 등 검색 n 정책자료 - 34 -
  • 40. - 국내 및 해외 주요정책 관련기관 발행 자료 n 정책정보 참고정보원 디렉토리 - 정책정보 관련 참고정보원에 대한 디렉토리 분류 제공 n 정책정보 테마기획 - 국정과제, 대통력 업무보고, 해외정책 사례 정보 n 정책정보 검색 노하우 - 정부기관 자료실 담당자 소개 및 자료 검색 노하우를 분야별로 제공 n 정책정보 커뮤니티 - 정책정보 담당자들이 운영하는 온라인 교류 공간(정책정보 블로그) 다. 서비스 구성 1)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구성방향 포털 서비스는 검색, 참여, 공유, 활용을 핵심 축으로 하여 구성 가) 디브러리가 수집 및 연계하는 장서 및 콘텐츠에 대한 통합적이고 이 용자 친화적인 검색 서비스 구현 나) 개방, 공유, 참여를 통한 정보의 생산, 공유, 재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 록 하는 이용자 참여 서비스 구현 다)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 로벌 지식정보 공유 협력체계 구현 라) 디브러리 이용자 공간 및 포털을 통한 정보리터러시 및 정보레퍼런 스 교육 기반 마련을 통해 정보 취약 계층의 정보 활용능력을 향상 시키고 정보복지를 실현하는 활용 서비스 구현 2)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메뉴 구성 상위메뉴 하위메뉴 주요내용 정책정보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정책정보포털 서비스의 목적 및 내용 소개 포털소개 정책정보포털 협력망 정책정보공유협의회 및 대상기관 소개 통합검색 정책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검색 상세검색 정책정보에 대한 상세 검색 국내․외 주요 정책관련 기관 발행 최신자료 최신정책자료 수집․제공 정책자료 국립중앙도서관에 입수된 정부간행물 신간자료 사서추천자료 소개 정부 100대 국정과제 관련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테마기획 국정과제 관련자료 자료 및 해외 온라인 디지털자료 제공 - 35 -
  • 41. 행정기관 업무보고 국내 중앙행정기관의 업무보고자료 제공 국내정부정보원 국내 정부 및 공공기관 정보원 제공 외국정부정보원 외국 정부기관 및 정부간행물 정보원 제공 참고정보원 국제기구정보원 주요 국제기구 정보원 제공 국제회의정보원 주요 국제회의 정보원 제공 정책 전문사서들의 정책정보 검색방법 및 참고 정책정보 검색노하우 정보원에 대한 노하우 소개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주요 용어사전 정책용어사전 검색노하우 소개 및 링크 정부기관자료실 소개 정부 및 공공기관 자료실 소개 정책이슈 관련정보 제공, 추천 사이트 소개 등 정책정보길라잡이 각종 유용한 정책정보 제공 알림마당 공지사항 공지사항, 행사 등 안내 기관회원 협력기관 대출신청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자료 관외대출 신청 서비스 정기이용증 발급 공무원 정기 이용증 발급신청 6개국(우리나라,미국,영국,캐나다,일본,중국)의 국가별 중앙행정기관 중앙행정기관 사이트 바로가기 바로가기 정책정보포털 정책정보공유협의회 참여 신청기관 사이트 협력기관 바로가기 정책 전문사서, 공직자, 정책정보 담당자가 운영하는 블로그 커뮤니티 정책정보 블로그 현재 '해외기록으로 보는 한국'(해외수집기록물 블로그), '동북아이야기'(동북아자료실 블로그) 운영 중임 <표 8>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구성 3) 정책정보포털의 통합검색 범위 상위탭 하위탭 검색 범위 사이트 - 장서관리시스템에 등록된 정보원 DB연계 방식으로 수집된 전문자료 - 대한민국 정책포털의 ‘전문자료’ 일반정보 - 정부출연연구기관 지식정보 검색시스템(IKIS) 전문정보 - 정책연구정보서비스(PRISM) - 국외출장연수정보시스템 법령정보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제공 현행법령 - 36 -
  • 42. 통계정보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제공 통계정보 정책정보포털 자료 정책정보포털 자체 구축자료 정책정보 정부간행물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검색의 ‘정부간행물’ 정책소식 부처별 정책정보 및 보도자료 웹문서 - 웹크로링 방식으로 수집된 웹문서 블로그 - 정책정보포털 관련 블로그 문서 < 표 9> 정책정보포털 통합검색 범위 4) 정책정보포털 메인화면 (http://policy.dibrary.net) 그림 10] 정책정보포털 메인화면 [ - 37 -
  • 43. 5) 정책정보포털 통합검색 화면 (http://policy.dibrary.net) - 38 -
  • 44. 그림 11] 정책정보포털 통합검색 화면 [ 라. 주요 서비스 1) 정책자료 ▪ 최신정책자료 - 국내 ․ 외 주요정책관련 기관에서 발행된 최신자료를 수집․제공 - 서비스 구성항목 : 제목, 발행기관, 정보유형, 주제 분야, 등록일 ▪ 사서추천자료 - 국립중앙도서관에 입수된 정부간행물 신간자료 소개 - 서비스 구성항목 : 표제, 저작자, 발행처, 발행년, 형태사항, 표지이미지, 소개, 목차 2) 테마기획 ▪ 이용자들의 관심 현안 및 정책 이슈를 반영하는 테마를 설정하여, 국․내외 관련 자료 및 정보원 제공 ▪ 국정과제 관련자료 :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와 관련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및 해외 온라인 디지털자료를 수집․선별하여 제공 - 39 -
  • 45. ▪ 서비스 구성항목 ①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 도서 : 제목, 저작자, 발행자, 발행년도, 청구기호, 목차, 원문 - 학위논문 : 제목, 저작자, 발행자, 발행년도, 청구기호, 원문 - 학 술 지 : 기사명/저작자, 발행년도, 수록잡지명, 발행자 ② 온라인 디지털정보 - 해외학술DB : 기사명, 저작자, 발행년도, 수록잡지명, 수록정보, DB명, 언어 - 외국정부기관 : 제목, 국가, 기관명, 발행년도, 원문 - 국제기구 : 제목, 기구명, 발행년도, 원문 ▪ 행정기관 업무보고 : 국내 중앙행정기관의 업무보고자료 제공 3) 참고정보원 ▪ 국내정부정보원 : 국내 정부 및 공공기관 사이트 소개, 주요 정보원제공 ▪ 외국정부정보원 : 외국 정부기관 및 정부간행물 사이트 소개, 주요 정보원 제공 ▪ 국제기구정보원 : 주요 국제기구 사이트 소개, 주요 정보원 제공 ▪ 국제회의정보원 : 주요 국제회의 사이트 소개, 주요 정보원 제공 4) 검색노하우 ▪ 정책정보 검색 노하우 - 정책 전문사서들의 정책정보 검색방법 및 참고정보원에 대한 노하우 소개 - 서비스 구성항목 : 제목, KDC 및 DDC 분류, 키워드, 내용, 작성기관, 작성기관URL ▪ 정책용어사전 -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주요 용어사전 소개 및 링크 - 서비스 구성항목 : 사전명, 제공기관명, 소개, 사전구분 - 40 -
  • 46. ▪ 정부기관 자료실 소개 : 정부 및 공공기관 자료실 소개 - 서비스 구성항목 : 자료실개요, 이용안내, 장서현황, DB현황, 연락처 등 ▪ 정부정보 길라잡이 - 정책이슈 관련정보 제공, 추천 사이트 소개 등 각종 유용한 정책정보 제공 - 서비스 구성항목 : 제목, 내용, 첨부파일 - 41 -
  • 47. 5. 다문화포털 서비스 가. 서비스 목표 및 특성 1) 다문화포털 서비스 목표 가) 다문화 소통을 위한 지식정보의 발굴, 수집 및 통합 정보 제공 나) 이주민의 정보요구 및 생활적응을 지원하는 다문화정보서비스 체계구축 다) 정보적, 학술적 가치가 있는 다문화정보의 활용성 강화 라) 이용자 참여로 다양한 정보가 생산, 공유, 활용되는 Library2.0 서비스 2) 다문화포털의 역할 가) 분산 생산, 관리, 검색되는 다문화 디지털지식정보자원의 통합 검색 제공 으로 다문화지식정보의 메타포털 역할 수행 나) 외국인 노동자, 결혼이민자, 외국인 유학생 등 이주민을 비롯하여 내국인 을 대상으로 검색과 활용이 가능한 다문화 콘텐츠 추천 및 선별 제공 다) 동아시아국립도서관, 대사관, 문화원, 다문화관련 정부기관 및 민간단체 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 다문화정보자원의 연계 및 공유체계 마련 3) 다문화포털 서비스의 특성 가) 한글, 영어, 중국어(간체), 베트남어, 타이어(태국), 일어, 타갈로그어 (필리핀) 등 7개 언어 기반 서비스 나) 다문화 관련 전문가 및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 및 공유를 통해 성장하 고 가치를 창출하는 개방형, 참여형 포털 서비스 구축 다) 다문화 관련 국내외 공공기관 및 민간의 디지털자원을 공유하는 전국적 인 지식정보공유협력네트워크 구축 나. 서비스 대상 및 범위 1) 다국어 검색 가) 다문화정보공유협의회를 통해 수집한 다문화정보원 및 콘텐츠에 대한 다 국어 기반 검색 제공 나) 동아시아국립도서관, 재외 한국문화원, 주한 해외대사관, 주한 해외 문화 원, 다문화 관련 정부기관, 다문화 관련단체 콘텐츠 연계 2) 다문화 주제별정보 가) 이주민의 한국 생활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주제별 콘텐츠 제공 나) 생활정보, 교육정보, 정책정보, 문화콘텐츠 등 - 42 -
  • 48. 3) 다문화포커스 가) 다문화 관련 기관 소개 나) 다문화 관련 주요 이벤트 소개 4) 다문화 소식 가) 다문화 관련 소식 및 행사, 축제 정보에 대한 통합 제공 나) 다문화 소식 수집 및 등록 다. 서비스 구성 1) 서비스 구성방향 가) 다문화포털 서비스는 디브러리 메인포털과 통합적으로 운영되며, 검색, 참여, 공유, 활용을 핵심 축으로 하여 구성 나) 디브러리가 수집 및 연계하는 장서 및 콘텐츠에 대한 통합적이고 이용자 친화적인 검색 서비스 구현 다) 개방, 공유, 참여를 통한 정보의 생산, 공유, 재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 록 하는 이용자 참여 서비스 구현 라)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로벌 지식정보 공유 협력체계 구현 마) 디브러리 이용자 공간 및 포털을 통한 정보리터러시 및 정보레퍼런스 교 육 기반을 마련하여 정보 취약 계층의 정보 활용능력을 향상시키고 정보 복지를 실현하는 서비스 구현 2) 다문화포털 서비스 메뉴 구성 상위메뉴 하위메뉴 주요내용 비고 다문화포털 다문화포털의 목적, 개요 등 다문화포털 서비스 소 개 다문화포털 다문화포털 협력망의 목적, 참여기관 등 협력망 다문화포털 통합검색 다문화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 검색 상세검색 다문화 정보에 대한 상세 검색 - 주한해외대사관 주한해외대사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기관별 공공기관 다문화 관련 공공기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디렉토리 다문화단체 다문화단체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주한해외문화원 주한해외문화원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 43 -
  • 49. 재외한국문화원 재외한국문화원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국립도서관 국립도서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소식 다문화 관련 언론보도 한국어 다문화소식 행사 다문화 관련 행사 소식 한국어 영상뉴스 다문화 소식에 관한 영상뉴스(MNTV) 웹크로링 정부기관에서 생산되는 다문화 관련 정책자료 구축/번역 정책 자료 소개 다문화정책 법령 다문화 관련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한국어 조례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관련 조례 한국어 다문화 관련 학술·연구자료, 교육과정 교육정보 교육자료 구축/번역 및 프로그램 제공 이주민의 실생활에 필요한 복지, 소비, 생활정보 생활자료 구축/번역 의료 등의 정보 제공 다문화 책 다문화 관련 책 소개 및 책 정보 제공 한국어 문화정보 다문화/이주민 관련 영화, 방송 등 문화콘텐츠 구축/번역 문화 및 미디어 콘텐츠 제공 다문화 다문화 기관⁄단체 정보, 다문화 관련 다문화 포커스 구축/번역 포커스 주요 이벤트 정보를 제공 7개 국어 서비스 한글, 영어, 일본어, 중국어(간체), 베트남어, 타이어(태국어), 타갈로그어(필리핀어) <표 10> 다문화포털 서비스 구성 - 44 -
  • 50. 3) 다문화포털 메인화면 (http://multiculture.dibrary.net/) [ 그림 12] 다문화포털 메인화면 - 45 -
  • 51. 4) 다문화포털 통합검색 화면 [ 그림 13] 다문화포털 통합검색 화면 - 46 -
  • 52. 라. 주요 서비스 1) 다문화포털 통합검색 ▪ 다문화 정책 : 정부기관에서 생산되는 다문화 관련 정책 자료, 다문화 관련 법령 및 조례 등을 소개 ▪ 교육정보 : 다문화 관련 학술·연구자료,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등을 소개 ▪ 생활정보 : 이주민의 실생활에 필요한 복지, 소비, 의료 등의 정보를 소개 ▪ 문화정보 : 이주민 대상 문화 정보, 다문화 관련 문화 공연, 방송, 영화 등 미디어 소개 2) 다문화소식 ▪ 다문화 관련 언론보도 : 관리자가 언론보도 등록 ▪ 다문화 관련 행사소식 : 관리자가 조사 후 등록, 또는 해당 기관으로부터 자료를 제공 받아 등록 ▪ 다문화 소식에 관한 영상뉴스 - MNTV 다국어 영상뉴스를 웹크로링 방식으로 수집하여 데이터 제공(이주민방송 MNTV) ▪ 다문화소식 정보구성 항목 - 소식 : 제목 / 출처 / 보도일자 / 링크 URL - 행사 : 행사명 / 주관기관 / 기간 / 장소 / 홈페이지 / 내용 / 첨부파일 - 영상뉴스 : 등록일자, 제목, 기관명, 설명, 등록일, (언어) 3) 다문화포커스 ▪ 다문화 기관⁄단체 정보, 다문화 관련 주요 이벤트 정보를 제공 ▪ 한국어로 구축하여 한국어 페이지에 등록하며, 6개 다국어로 번역/감수하여 해당 언어페이지에 등록하여 서비스를 제공 - 47 -